KR20180015041A -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041A
KR20180015041A KR1020160098658A KR20160098658A KR20180015041A KR 20180015041 A KR20180015041 A KR 20180015041A KR 1020160098658 A KR1020160098658 A KR 1020160098658A KR 20160098658 A KR20160098658 A KR 20160098658A KR 20180015041 A KR20180015041 A KR 20180015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ilage
composition
regeneration
tissu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475B1 (ko
Inventor
민병현
박소라
최병현
김영직
오현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475B1/ko
Priority to EP17837249.6A priority patent/EP3517144B1/en
Priority to CN201780061241.9A priority patent/CN109789246B/zh
Priority to PCT/KR2017/008353 priority patent/WO2018026198A1/ko
Priority to US16/322,193 priority patent/US11801331B2/en
Priority to JP2019505508A priority patent/JP6980004B2/ja
Publication of KR2018001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61L27/3817Cartilage-forming cells, e.g. pre-chondr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33Extracellular matrix [EC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4Cartilage, e.g. menis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9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eatment, e.g.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osition, pressure cycles, ultrasonic/sonication or microwave treatment,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39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843Connective tissue
    • A61L27/3852Cartilage, e.g. menis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95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using specific culture conditions, e.g. stimulat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pulsatile flow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5Chondrocytes; Carti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12N2500/10Metals; Metal chelators
    • C12N2500/12Light metals, i.e. alkali, alkaline earth, Be, Al, M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12N2500/10Metals; Metal chelators
    • C12N2500/20Transition metals
    • C12N2500/24Iron; Fe chelators; Transferrin
    • C12N2500/25Insulin-transferrin; Insulin-transferrin-sele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2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8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3Insul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8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 C12N2501/39Steroid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8Protei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90Substrates of biological origin, e.g. extracellular matrix, decellularised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ir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인공 지지체 없이 연골로 사용에 적합한 크기의 3차원 조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조성물이 젤 형태로 투여 가능하면서도 높은 도포성과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여 부위의 연골결손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쉽게 이식이 가능하며, 숙주조직과의 높은 결합능을 보이면서 성숙한 연골조직의 표현형을 가짐으로써 연골재생 효능이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Description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골은 단일세포인 연골세포와 세포외기질만으로 이루어진 조직이다. 연골조직은 혈관과 신경이 없어 손상을 받으면 치유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골세포는 단단한 세포외기질로 둘러 싸여 있기 때문에 한번 손상 받거나 퇴화되면 재생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손상된 연골조직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치료제(진통제, 스테로이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 등), 연골보호제(히알루론산,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를 이용하거나 수술적 처치(관절경 수술, 경골 근위부 절골술, 관절부분 치환술, 슬관절 전치환술, 골수자극술, 골-연골조직 이식술 등)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제의 경우는 통증이나 염증반응 자체를 비특이적으로 완화시키는 효과만을 가지며, 연골보호제는 단지 연골세포에 영양을 공급해 주거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일시적으로 관절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또한, 정형외과에서 다양한 임상학적 수술 방법이 시행되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골수자극술 (Bone marrow stimulation)과 골연골조직이식술 (Osteochondral graft)이 있다. 골수자극술은 손상된 연골하골 (subchondral bone)을 노출시켜, 골수로부터 유도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혈병(blood clot)으로 연골손상을 메우는 방법으로 비교적 수술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술 후 초자연골이 아닌 섬유연골로 재생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골-연골조직이식술은 환자 자신의 연골조직에서 체중을 덜 받는 부위의 골-연골 결합조직을 채취한 다음 이를 연골손상 부위에 이식치료 하는 방법으로 손상부위가 클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수술 치료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에서 치료세포를 공급하는 세포치료제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가장 먼저 제품화된 기술은 자가연골세포이식술 (Autologous Chondrocytes Implantation, ACI)로서 환자 자신의 연골조직에서 체중을 덜 받는 부위에서 건강한 연골을 조금 떼어내어 이로부터 연골세포를 분리하고 체외 배양한 후 손상 부위에 다시 주입하는 기법인데, 두 번의 수술로 인한 번거로움과 건강한 부위의 연골이 손상을 입는 단점이 있고 무엇보다 채취한 연골세포의 수가 적어 일정 기간을 배양하여야 하고 배양 기간 중 연골세포의 특성을 잃어 버리는 탈분화 현상이 일어나며 주입된 연골세포가 비균질적이고 중력 때문에 특정 부위에 집중되어 분포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연구가 활발한데 최근에는 동종의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손상된 연골부위에 이식치료 하는 기술이 제품화되었다. 제대혈 외에도 골수 또는 지방조직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연골손상을 치료하는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주입된 중간엽줄기세포의 생존에 대한 근거가 박약하고 이식 후 생체 내에서 연골세포로의 분화 및 연골조직 형성 효율이 증명되지 않아 보편적인 치료 방법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연골세포 또는 줄기세포를 연골손상 부위에 주입하는 세포치료제는 세포의 생존, 분화, 분포에 대한 근거가 박약하고 세포의 작용 기전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세포치료제 상호간의 상대적 유효성이 연구되지 않아 임상적으로 추천할 만한 치료제로 인정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앞선 문제점들로 인하여, 세포치료제의 생체 내 분포 및 분화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생체소재 (biomaterials)를 지지체 (scaffolds)로 이용하여 세포를 전달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체외 (in vitro)에서 3차원 구조의 인공연골조직 (tissue engineered cartilage)을 제작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식부위에 세포 전달을 위해 현재 사용되는 지지체는 스폰지, 겔, 섬유 및 미세구슬 (microbead)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천연 또는 합성 생체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지지체를 이용하는 경우 이식술 자체에는 높은 효율을 보이고 이식 부위에 골고루 분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지지체 내에서 세포가 증식하거나 세포외기질이 분비되는 경우 이 지지체가 오히려 공간적 제한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수화젤 (hydrogel) 형태의 지지체는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세포의 생존율과 연골분화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막 (membrane) 형태의 지지체는 3차원의 연골조직을 형성하지 못하며, 3차원 스폰지 (sponge) 또는 메쉬 (mesh) 형태의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 제작된 인공연골이 원래 조직 (host tissue)과 결합력이 낮아 연골재생 잘 안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모든 지지체는 분해를 하게 되는데 분해의 속도가 빠른 천연 생체소재의 경우 분해와 함께 세포가 유실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결국, 지지체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역시 기존의 세포치료제와의 상대적 유효성이 증명되지 않아 우선적 선택을 권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위 기술들과 별도로, 세포를 생체재료에 접종한 후 활성인자 (bioactive factors)와 함께 생체반응기(bioreactor)에서 배양하여 연골과 유사한 화학적 구성을 갖는 인공연골 소재를 제작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연골조직을 제작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포를 높은 농도로 배양접시에 접종 한 후 외부자극(bioreactor)을 주어 인공연골을 만드는 방법, 우태아혈청 및 성장인자를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능을 높여 만드는 방법 및 여러 세포를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펠릿 형태로 제작하는 방법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대부분 두께가 수십 micrometer (mm) 정도인 얇은 막 (membrane) 형태 또는 직경 1 mm 정도의 작은 펠릿 형태의 조직만이 제조되어 연골로 실제 사용하기에 크기가 작고 충분한 재생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 하에 연골 조직을 대체할 수 있는 연골 재생용 소재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체에 적합한 연골 재생용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특히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하고 있다.
첫째로 이식 연골을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부피가 되어야 한다.
둘째로, 관절연골의 결손은 대개 비정형으로 생기기 때문에 인공연골은 이러한 비정형 결손 모양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로, 체외 배양 연골은 조직학적으로 자연연골과 유사할 수 없기 때문에, 체외에서 조직이 모두 완성되기 보다는 이식 후에 체내의 환경에 의해 분화 및 재형성(remodeling)이 될 수 있어야 하고, 재형성 과정에서 주위 조직과의 융합 (integration)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은 큰 연골을 만들었을 때 중심 조직의 괴사 등이 발행하며 골연골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어려운 점이 있어 그 해결이 어렵다. 또한, 예컨대 3차원 지지체를 사용하여 제작된 인공연골조직은 체외에서 물성이 딱딱하게 (rigid) 변하기 때문에 손상된 연골조직에 이식할 경우 주변조직과의 결합 (integration)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체외 배양된 연골은 인체에서 거부 반응을 일으키거나 조직과의 융합 측면에서 충분한 안정성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위 세가지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인체에 적합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에 대해 연구 개발을 수행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하였다.
KR10-1340458 2013.12.11. KR10-0917422 2009.09.22.
본 발명의 목적은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위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위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골 결함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위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약제학적으로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여 연골 결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연골 결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위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는 태아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총칭하며, 바람직하게 콜라게나제 등을 이용하여 연골 조직을 완전히 소화시킨 후 분리된 연골 전구 세포(chondrocytes)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은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로부터 세포에 의해 합성되고 세포외에 분비, 축적된 분자로 구성되어 있는 생체 고분자의 집합체로 교원질, 탄력소 등의 섬유성 단백질,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등의 복합 단백질, 피브로넥틴, 라미닌 등의 세포 부착성 단백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연골”은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 섬유연골 (fibrocartilage) 또는 탄성연골(elastic cartilage)을 포함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귀 연골, 비연골, 팔꿈치 연골, 반월상연골 (meniscus), 무릎연골, 늑연골, 발목연골, 기관연골, 후두연골 및 척추 연골 등 연골 부위에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재생"은 일반적으로 생물체에는 몸의 일부 또는 그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그 부분의 조직이나 기관을 다시 만들어 원래 상태로 복구시키거나 그 기능을 회복하려는 작용을 일컫는다. 이러한 재생능력은 체계가 간단하고 계통적으로 진화의 정도가 낮은 것일수록 강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연골 결함 또는 손상 부분에 이식되었을 때 연골 재생 능력을 발휘하여 연골 손상에 대한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젤(gel)"은 젤리와 유사한 물질로서 부드럽고 약한 범위로부터 강하고 거친 범위까지의 물성을 가지며, 정상상태에서 흐름을 나타내지 않는 고체(solid)를 의미하며, 젤의 대부분 중량은 액체(liquid)이나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전체적으로는 고체와 같이 행동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연골 결함 질환”이란 연골, 연골 조직 및/또는 관절조직 (활막, 관절포, 연골하골 등)이 기계적 자극이나 염증 반응에 의해 상해된 연골의 결함, 손상, 결손에 따른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연골 결함 질환에는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절, 근육조직의 손상, 족저근막염, 상완골외과염, 석회화근염, 골절의 불유합 또는 외상에 의한 관절손상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물리적 강도”는 물리적 자극에 대하여 견디는 정도를 말하며, 바람직하게 압축 강도이며 수직 응력으로 압축시의 단면에 있어서의 압축 하중을 시료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축 강도는 시료를 1 mm/min 속도로 눌러 형태 변형률 (strain)이 10-16 % 사이에서 나타나는 Young’s modulus를 측정하였을 때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도포성(퍼짐성)”은 물성 중 퍼지는 성질을 말하며, 환부 등에 바를 때 덩어리가 되지 않고 매끄럽게 전면에 퍼지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퍼짐성은 시료를 1 mm/min 속도로 1초 동한 5 N의 힘을 수직으로 시료에 주었을 때 시료의 단위 무게당 퍼지는 정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부착성”은 물질에 다른 물질이 붙는 성질을 말하며, 환부 등에 바를 때 물질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착성은 직경 5 mm의 지그와 환부에 물질을 접촉하여 부착시킨 후 1.3 mm/min의 속도로 끌어당기면서 지그와 환부에 부착된 물질이 떨어져 분리될 때까지의 저항력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연골 분화 배지"는 시험관 내 성장 및 생존을 지지하며 연골 재생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배지를 의미하며, 배양 기간 동안 세포로부터 분비된 기질 등과 세포 배양에 소모되고 남은 영양성분 등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이식(transplantation)"은 일반적으로 공여자의 세포, 조직 또는 장기 등을 수혜자의 손상 조직 또는 장기에 옮기는 과정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연골 결함, 손상, 결손 부위로의 적용을 의미한다. 이식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적 수술로 수행될 수 있고, 환부에 직접 주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환자"란 연골결함 질환을 가지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를 투여하여 연골 재생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집단이다.
본 발명은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인공 지지체 없이 연골로 사용에 적합한 크기의 3차원 조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조성물이 젤 형태로 투여 가능하면서도 높은 도포성과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여 부위의 연골결손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쉽게 이식이 가능하며, 숙주조직과의 높은 결합능을 보이며, 성숙한 연골조직의 표현형을 가짐으로써 연골재생 효능이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특히 인체 밖에서는 성숙된 실제 연골에 비해 강도가 낮지만 젤 형태를 가지면서 도포성과 부착성을 가져 환부에 적용이 쉬운 장점을 가지며, 체내 (in vivo) 환부에 이식시 성숙 (maturation)과 재형성을 통해서 실제 연골과 유사한 강도를 가진다.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
(a) 태아연골조직에서 연골전구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배양된 연골전구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세포막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세포 펠릿을 연골분화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의해 제조된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물성을 가진다 :
형상 : 젤 형태 (gel type)
압축 강도: 제조 후 in vitro 상태에서 1 mm/min 속도로 눌러 조직의 변형률 (strain)이 10~16% 사이로 변할 때 가해진 Young’s modulus가 20 kPa 이하, 바람직하게 0.2 내지 20 kPa, 보다 바람직하게 4.1 내지 18.9 kPa;
도포성 : 제조 후 in vitro 상태에서 1 mm/min 속도로 1초 동안 5 N의 힘을 수직으로 시료에 주었을 때 단위 무게 (1 mg) 당 퍼지는 면적이 0.1 내지 2.0 mm2/mg, 바람직하게 0.2 내지 1.7 mm2/mg, 보다 바람직하게 0.4 내지 1.2 mm2/mg의 도포성;
부착성 : 제조 후 in vitro 상태에서 직경 5 mm의 지그와 환부에 물질을 접촉하여 부착시킨 후 1.3 mm/min의 속도로 끌어당기면서 지그와 환부에 부착된 물질이 떨어져 분리될 때 힘의 크기가 0.5 내지 5.0 kPa, 바람직하게 0.9 내지 4.5 kPa, 보다 바람직하게, 1.0 내지 2.8 kPa의 부착성.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젤 형태를 가짐으로써 환부에 주사로 이식될 수도 있고 도포되어 발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in vivo에 적용 전, in vitro 상태 또는 제조 직후 상기와 같은 우수한 도포성를 가짐으로써 환부 적용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이 잘 발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in vivo에 적용 전, in vitro 상태 또는 제조 직후 상기와 같은 우수한 부착성을 가짐으로써 환부에 적용시 조성물이 환부에서 떨어지지 않고 연골 조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젤 형태가 25 내지 37℃에서 24시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상 1년 이하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세포 펠릿을 연골분화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에서 배양 기간에 따라 그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며, 직경 1 mm 내지 15 mm이며, 높이 1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또한 세포 펠릿을 연골분화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에서 배양 기간에 따라 압축강도, 도포성 및 부착성을 조절하여 연골 재생에 최적의 적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생체 조건, 바람직하게 인체 내 적용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당단백과 제2교원질의 발현이 증진되어 성숙 연골의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위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세포 펠렛 형성 및 이로부터 배양에 따라 젤 형상의 물성을 제공하며, 배양 기간의 조절에 따라 생성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물성을 조절하여 인체에 적합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
(a) 태아연골조직에서 연골전구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배양된 연골전구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세포막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세포 펠릿을 연골분화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태아연골조직에서 연골전구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태아연골조직은 태아의 관절부위(예를 들어, 무릎 관절)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태아연골조직은 콜라게나제, 펩신 등과 같은 프로테아제로 처리되어 연골조직이 분해된 후 방출된 세포들을 취합하여 얻을 수 있다. 분리된 연골전구세포들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배양 배지 (예컨대, DMEM 하에 FBS 및 항생제가 첨가된 배지)하에서 배양되면서 세포외기질을 생성하며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b) 상기 배양된 연골전구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세포의 취득방법과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수득 방법은 배양된 연골전구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모두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것이다. 즉, 배양 접시로부터 세포를 분리할 때 세포들을 단일 세포로 분리하는 과정 없이 배양접시 내 연골전구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를 모두 포함하여 수득한다. 이러한 수득은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트립신-EDTA 등을 처리하고 바닥에 부착된 세포와 함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막 전체를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c) 상기 수득된 세포막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수득된 세포막은 원심분리를 통해 응집체(즉, 펠렛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펠렛 형태의 형성은 바람직하게 100 g 내지 500 g에서 5분 내지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연골 분화 인자들을 포함하는 연골 분화배지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골 분화 배지는 바람직하게 인슐린(insulin), 인간 트랜스페린(human transferrin), 소듐 셀레나이트(sodium selenit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롤린(proline) 및 TGF-β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배지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든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 1.0 mg/mL 인슐린(insulin), 0.55 mg/mL 인간 트랜스페린(human transferrin), 0.5 mg/mL 소듐 셀레나이트(sodium selenite), 50㎍/mL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1.25 mg/mL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100 n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40 ㎍/mL 프롤린(proline) 및 10 ng/ml TGF-β를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gle Medium-High Glucose; DMEM-HG이다.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d) 상기 세포 펠릿을 연골분화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골 분화배지 하의 세포 펠렛 배양은 배양 기간에 따라 압축 강도, 부착성 및 도포성이 변화하게 되는바, 환부에 적절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배양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배양은 바람직하게 3차원 배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양 기간은 4주 이내, 바람직하게 1 일 내지 21 일, 보다 바람직하게 3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골 결함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앞서 살핀 바와 같다.
연골 결함 질환이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연골 결함 질환”이란 연골, 연골 조직 및/또는 관절조직 (활막, 관절포, 연골하골 등)이 기계적 자극이나 염증 반응에 의해 상해된 연골의 결함, 손상, 결손에 따른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연골 결함 질환에는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절, 근육조직의 손상, 족저근막염, 상완골외과염, 석회화근염, 골절의 불유합 또는 외상에 의한 관절손상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에 더하여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연골 결손, 손상 또는 결함 부위에 직접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바람직하게, 이식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바람직하게 이식량)은 환부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환부의 cm3 당 2 내지 5개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 3 내지 4개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이 투여 (이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환부에 직접 주입 가능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 따르면 환부에 직접 주입 가능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주사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골재생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부에 직접 주입 가능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환부에 직접 주입 가능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 중 하나는 주사제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Hank 용액 또는 멸균된 수용액 등의 수성용제, 올리브 오일 등의 식물유, 에틸올레인산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에탄올, 벤질알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비수성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점막 투과를 위해, 통과할 배리어에 적합한 당업계에 공지된 비침투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변질방지를 위한 안정화제로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과,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콜 등의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바람직하게, 이식)하여 연골 결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연골 결함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위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도, 조성물, 치료 방법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인공 지지체 없이 연골로 사용에 적합한 크기의 3차원 조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조성물이 젤 형태로 투여 가능하면서도 높은 도포성과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여 부위의 연골결손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쉽게 이식이 가능하며, 숙주조직과의 높은 결합능을 보이며, 성숙한 연골조직의 표현형을 가짐으로써 연골재생 효능이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골재생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주, 2주 또는 3주 배양되어 제조된 젤 형태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외관 사진 및 조직의 부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주, 2주 또는 3주 배양되어 제조된 젤 형태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사프라닌-O(Safranin-O) 염색 및 헤마톡실린 &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수행한 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주, 2주 또는 3주 동안 배양되어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수분 함유량, DNA 함량, 글로코스아미노글리칸 및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ex vivo 상에 투여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물리적 강도 (young’s modulus, kPa)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과 영아 연골 세포로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단백당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조직학적 염색 (Safranin O)을 수행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주, 2주 또는 3주 배양되어 제조된 젤 형태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도포성 (퍼지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주, 2주 또는 3주 배양되어 제조된 젤 형태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부착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은 배지조성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형성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human cartilage block에 이식 후 누드 마우스 피하에서 배양한 후 조직학적 염색 및 면역 염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는 형광발현인자 PKH-26를 표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형광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은 형광발현인자 PKH-26를 표지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손상된 연골부위에 이식하여 연골 손상 부위 부착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토끼 무릎 연골손상 모델에 이식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이식 후 연골손상의 재생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원숭이 무릎 연골 손상 모델에 이식하여 MRI을 통해 연골손상의 재생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원숭이 무릎 연골 손상 모델에 이식하여 조직염색학을 통해 연골손상의 재생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1 >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조 단계에 대한 모식도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10~15주된 태아(출처:아주대학교병원 윤리위원회에서 승인한 IRB NO.AJIRB-MED-SMP-10-268)의 무릎관절로부터 연골 전구 세포를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무릎관절로부터 분리된 연골 조직을 PBS (phosphated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0.2%(w/v) 콜라게나제 (collagenase, Worthington Biochemical Corp., Lakewood, NJ)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gle Medium, Gibco, Grand Island, NY)로 4시간 배양하였다. 연골 조직이 완전히 소화되어 방출된 연골 세포를 17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침전된 연골 전구 세포를 조직 배양접시(배양접시당 1X106 cells의 밀도에 150 mm (dia.) X 20mm (h))에 접종하였다.
위 연골 전구 세포(chondrocytes)를 10% FBS(fetal bovine serum), 50 units/mL 페니실린 및 50 ㎍/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에 2x105 cells로 희석한 다음 15~18일 동안 단층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0.05% 트립신-EDTA (Gibco)를 첨가하여 세포외기질과 결합된 세포막을 수득하였다. 세포 및 세포외 기질이 결합된 세포막의 수득은 0.05% 트립신-EDTA (Gibco) 처리 후 세포들을 파이펫으로 분리하지 않고 세포 및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 전체를 한번에 수득하였다.
수득한 세포 및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연골분화 배지 (1%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 1.0 mg/mL 인슐린(insulin), 0.55 mg/mL 인간 트랜스페린(human transferrin), 0.5 mg/mL 소듐 셀레나이트(sodium selenite), 50㎍/mL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1.25 mg/mL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100 n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40 ㎍/mL 프롤린(proline) 및 10 ng/ml TGF-β를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gle Medium-High Glucose; DMEM-HG)가 포함된 50 ml 튜브에 넣고 250x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릿 형태의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포 펠릿을 위 조성과 동일한 연골 분화 배지가 담긴 배양접시에 넣고 37℃, 5% 이산화탄소가 있는 인큐베이터에서 1주, 2주 및 3주 동안 배양하여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사진 및 조직 부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조직의 육안 사진 (눈금당 1 mm)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조직의 부피를 나타낸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에 따라 구형의 젤 타입 조성물이 제조되었으며, 이의 크기 및 부피가 배양 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세포 펠릿으로부터 배양에 따라 구형으로 세포 및 세포외기질 증식함으로써 제조된 것이며, 젤 타입에 해당하여 모양 변형이 쉽게 이루어짐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 >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조직학적 분석
상기 실시예 1의 세포 펠릿으로부터 연골 재생용 조성물 제조 과정에서 1주가 지날 때마다, 4%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여 4 ㎛ 두께로 절단한 후, 축적된 황산화된 프로테오글리칸 검출을 위해 횡단면을 사프라닌(Sarfanin-O) 염색 및 헤마톡실린에오신(H&E)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1주에서 3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헤마톡실린에오신(H&E)에서는 세포 간격이 넓어지며 세포 모양이 연골세포와 유사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프라닌(Sarfanin-O) 염색은 단백당을 염색하는 방법으로 2주, 3주에서 단백당의 양이 증가하고 연골에서 볼 수 있는 라쿠나(lacuna)가 형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총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AG) 함량 및 조성물 조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1주 2주 및 3주간 배양이 수행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수분함유량, DNA 양,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과 하이드록시 프롤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수분함유량은 배양 후 무게를 측정하여 동결건조 후 건조중량과 비교했을 때 수분함유량을 %로 표현하였다. DNA 양은 PicoGreen Kit를 이용하여 건조중량 1mg에 들어있는 DNA 양을 측정하였다.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의 함량은 60℃ 파파인 용액(5 mM L-시스테인, 100 mM Na2HPO4, 5 mM EDTA, 파파인 타입 Ⅲ 125 ㎍/mL, pH 7.5)에서 16시간동안 분해한 후, 12,000×g,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한 상층액과 DMB(dimethylmethylene-blue) 비색분석법(colorimetric assay, Heide, T.R. and Gernot, J.,Histochem. Cell Biol., 112:271, 1999)으로 ELISA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미국)를 사용하여 5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교원질 함량은 4N HCl 용액에 녹여 121℃에서 10분간 처리 후 12,000×g,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한 상층액과 chloramine T, dimethylamino-benzaldehyde를 혼합하여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8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정상 연골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수분 함유량은 평균 95%, DNA 양은 각각 1주 6.88 ± 1.01 ㎍/㎎, 2주 5.74 ± 0.40 ㎍/㎎, 3주 5.05 ± 0.77 ㎍/㎎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DNA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크기가 커지는 것을 비교했을 때 DNA 양에는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화학적으로 분석된 총 GAG 내용물은 각각 1주는 16.76±2.8 ㎍/㎎ (건조중량), 2주는 35.87±5.1 ㎍/㎎ (건조중량) 및 3주는 48.98±8.0㎍/㎎ (건조중량)로 배양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천연연골조직의 GAG의 양이 약 62.8±5.1㎍/㎎ (건조중량) 임을 고려할 때, 배양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총 GAG 함량이 천연 연골 조직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보였다.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양은 각각 1주 7.78 ± 1.89 ㎍/㎎, 2주 40 ± 11.74 ㎍/㎎, 3주에 87.2 ± 3.57 ㎍/㎎으로 배양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 실시예 4 >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물리적 강도 측정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H5K-T, H.T.E, 영국)을 사용하여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압축 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1주, 2주 및 3주간 배양하여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대상으로 먼저 in vitro 조건에서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다음으로 in vitro에서 2 주간 배양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ex vivo 모델에서 2주, 4주, 8주 동안 배양한 다음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생체 내 배양에 의한 압축강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Ex vivo 모델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작성되었다. 먼저, 골관절염 환자에 대한 무릎연골치환술 후 폐기되는 연골조직(아주대학교병원 IRB NO. AJIRB-MED-SMP-11-205)을 수거하여 실제 연골손상과 유사한 모양으로 결손을 만든 다음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결손 부위에 삽입하고 이를 흰쥐의 피하에 이식하여 2주, 4주, 8주 동안 배양 하였다.
압축강도의 측정을 위해서 먼저 각 시료(n=6)를 사진촬영 후 이미지 제이(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면적과 높이를 계산하였다. 각 시료를 1 mm/min 속도로 조직의 변형률 (strain)이 20%가 될 때까지 누른 다음, 변형율 (strain)이 10~16% 인 구간에서의 Young’s modulus의 값을 측정하고, in vitro 결과와 ex vivo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in vitro에서 1주 5.21 kPa, 2주 10.62 kPa, 3주 15.83 kPa를 나타내어 젤 형상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ex vivo 상태에서 2주 50.81 kPa, 4주 155.58 kPa, 8주 602.04 kPa로 체내 환경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정상 연골 조직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이 인체 투여 시 연골 조직과 유사한 압축 강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 세포원 차이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 생성 여부 확인
세포원을 달리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연골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원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과 대비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세포원을 사람 영아 연골 세포로 하여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위 두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모두 3주간 연골 배지에서 배양된 것이 사용되었다.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들을 4%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여 4 ㎛ 두께로 절단한 후, 횡단면에 사프라닌(Sarfanin-O)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사람 영아연골세포 인공연골조직의 경우 조직 바깥쪽에만 단백당(proteoglycan)이 발현되지만, 사람태아연골전구세포 인공연골조직의 경우 조직 전반적으로 단백당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세포원으로 태아연골전구세포와 이의 세포외기질을 사용하여야만 본원 발명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이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6>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도포성 분석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H5K-T, H.T.E, 영국)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도포성 (퍼지는 정도)을 측정하였다.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도포성 측정에 대한 실험 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골 재생용 조성물 (n=6)의 무게를 측정하고 평평한 바닥에 놓은 다음, 지그를 이용하여 1 mm/min 속도로 1초 동한 5 N의 힘을 수직으로 시료에 가했다. 시료의 사진을 촬영한 다음 영상을 이미지 제이(image J)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시료가 바닥에 퍼져있는 면적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의 A는 도포성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며, 도 7의 B는 이를 수치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배양 기간에 따른 시료의 도포성을 분석한 결과 1주 1.09±0.062 mm2/mg, 2주 0.77±0.001 mm2/mg, 3주 0.48±0.004 mm2/mg로 나타나서 시간이 지날수록 단위 무게 당 도포성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실시예 4에서 배양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강도가 높아지고 조직이 단단해지는 결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골 재생용 소재들은 하중에 견디는 강도 측면에서만 중점을 두어 기술이 개발되었는바, 연골 손상 부위에서 연골 재생용 소재가 적합하게 도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연공 재생용 조성물은 기존에 알려진 연골 재생용 소재들과 다르게 연골 손상 부위에 삽입했을 때 손상 부위에 맞게 퍼지면서 도포되는 특징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7>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부착성 분석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H5K-T, H.T.E, 영국)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인공관절 수술 후 폐기되는 환자의 연골조직을 동의서와 함께 기증받았다. 환자의 연골조직 표면에 6 mm biopsy punch를 이용하여 연골손상 모델을 제작하고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삽입하였다. 그 다음 직경 5 mm의 지그를 삽입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에 접촉하여 부착시킨 후 1.3 mm/min의 속도로 끌어당기면서 지그가 연골 재생용 조성물과 분리될 때까지의 저항력을 측정하였다. 젤 형태의 생체소재인 알지네이트 (alginate)를 연골손상 모델에 동일하게 삽입하여 부착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의 A는 위 실험 모델로 성인 연골조직을 이용하여 전층연골손상 (chondral defect)을 제작하여 부착성을 테스트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8의 B는 배양 기간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부착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의 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배양기간에 따른 시료의 부착성을 분석한 결과 1주 2.624±0.154 kPa, 2주 1.799±0.146 kPa, 3주 1.058±0.067 kPa로 시간이 지날수록 연골 재생용 조성물과 환자 연골조직의 부착력이 조금씩 감소하였지만 대조군으로 사용한 알지네이트 (0.094±0.014 kPa)와 비교하면 현격히 높은 부착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기존의 젤 형태의 시료에 비해 연골 조직에서 매우 높은 부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배양 기간에 따라 부착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8> 배지 조성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 생성 여부 확인
배지 조성 변화에 따라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생성 변화를 확인하고자, 배지 조성을 변경하면서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3주 배양으로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과 우태아혈청을 포함한 분화배지(배지 조성 :1%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 1.0 mg/mL 인슐린(insulin), 0.55 mg/mL 인간 트랜스페린(human transferrin), 0.5 mg/mL 소듐 셀레나이트(sodium selenite), 50㎍/mL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100 n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40 ㎍/mL 프롤린(proline) 및 10 ng/ml TGF-β를 포함하는 Dulbecco's Modified Egle Medium-High Glucose; DMEM-HG)를 배지로 하여 3주 배양으로 제조된 조성물을 사프라닌(Sarfanin-O) 염색을 통해 분석하였다. 위 각각의 조성물을 4%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여 4 ㎛ 두께로 절단한 후, 횡단면에 사프라닌(Sarfanin-O)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골분화배지 (배지 1)에서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세포 전반에 걸쳐 GAG가 확인되었지만, 우태아혈청을 포함한 분화배지(배지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표면에만 연골의 GAG가 남아있고 중심부의 세포는 사멸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연골 배지가 적합한 배지 조성에 해당함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9 >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조직학 및 면역학적 특성 확인
실시예 1에 따라 연골 배지에 2 주간 배양되어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연골손상 모델과 동일한 모양으로 블록을 만들어 이식한 후, 누드마우스 피하에 2, 4, 8주, 12주(w) 동안 배양하고 일반적으로 임상에 사용되는 자가 골연골이식술 (Osteochondral Autologous Transplantation, OAT)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해당 조직을 꺼내어 각각의 block을 4%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여 4 ㎛ 두께로 절단한 후, 횡단면에 사프라닌(Safranin-O) 염색과 교원질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수행하였다. 면역염색은 제 1 교원질과 제 2 교원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식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상연골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단백당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사프라닌(Safranin-O)는 이식 2주 후에는 발현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상연골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연골이 탈분화 될 경우 제 1 교원질의 양이 많아지나 연골로 분화되어 정상 초자연골로 분화될 경우 제 2 교원질의 양이 증가한다. ex vivo에서 2주에서는 제 1, 2 교원질이 염색되지 않았지만 4주, 8주로 지날수록 제 2 교원질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 12주 후에는 제 2 교원질의 양이 정상연골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연골에 가장 많은 콜라겐인 type II collagen의 발현이 12주 째 정상연골과 유사한 수준까지 도달하였음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0 > 형광발현인자 PKH -26 표지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체내 부착확인
세포 표면에 표지되는 형광발현인자 PKH-26을 표지한 세포로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연골 배지 하에서 배양하여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배양 1일과 7일째에 PKH-26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n vitro에서 연골 재생용 조성물에서 형광 인자의 발현이 잘 이루어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나서,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흰쥐의 부분 연골 손상 모델에 이식하였다.
구체적으로, 8주된 흰쥐의 무릎을 절개하여 12호 큐렛으로 대퇴골 (femur)의 연골부분을 긁어 손상을 만든 후 PKH-26 형광표지인자가 부착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식하였다.
이식 후 3일과 7일 뒤 이식한 부위의 무릎을 분리하여 동결 절편기를 이용하여 4 ㎛ 두께로 절편 후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광학현미경과 형광현미경을 사용하여 부분연골손상 부위의 조직과 형광발현을 확인하여 이식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잔존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연골 재생용 조성물이 도포된 3일 후 및 7일 후 모두 연골 재생 조성물이 연골 손상 부위에 부착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위 결과로부터 in vivo 상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이 환부에 도포되어 부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1 > 토끼의 부분 연골 손상 모델에서 연골 재생용 조성물 이식에 따른 연골 재생 효과 확인
본원 발명 실시예 1에 따라 in vitro에서 2 주간 연골 배지에서 배양시킨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을 실시예 9와 같이 제작한 토끼의 부분층 연골결손 모델에 이식하였다.
이식 후 6주, 12주 후 연골 조직의 재생을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손상부위 회복을 조직학적 염색인 사프라닌(Saranin-O) 염색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 있어서 ACI는 자가연골세포 이식 그룹, Defect는 무처리군 및 in vitro 2w은 2주간 연골 분화 배지에서 배양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식 후 6주 및 12주가 경과하였을 때, 연골 손상부위가 거의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정상 조직과 유사하게 연골 조직이 회복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양성대조군인 자가 연골 세포 이식 그룹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효과임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2 > 원숭이 무릎 연골 손상 모델에서 연골 재생용 조성물 이식에 따른 연골 재생 효과 확인
원숭이 무릎 대퇴골 (femur) medial condyle 부분에 3mm biopsy punch를 이용하여 연골손상 모델을 제작하였다. 손상된 연골 결손 부위에 in vitro에서 2주간 배양한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식하여 8주, 16주, 24주 동안 MRI를 촬영하여 연골재생정도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그룹을 사용하였다.
상기 동물 모델에서의 연골 재생 효과는 MRI, 사프라닌(Safranin-O) 염색 및 헤마톡실린 &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통해 확인되었다.
도 14는 MRI를 통해 분석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24주 동안 MRI 결과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식한 그룹에서 연골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24주 후 동물을 희생하여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에도 이식한 부위가 보이지 않을 만큼 정상연골로 재생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5에서 사프라닌(Safranin-O) 염색 및 헤마톡실린 &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염색 결과를 통해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은 연골이 무너지며 단백당의 양이 줄어들었으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식한 실험군에서의 연골손상 부위가 정상적으로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식한 부위인 대퇴골 (femur) 부분만이 아닌 trochlea 부분과 lateral condyle 부분에서도 대조군의 경우 손상되어 연골이 무너졌으나,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이식한 그룹에서는 이식한 부위의 연골이 형성되면서 주변 조직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젤 형상이며 in vitro 상태에서 하기의 물성을 가짐:
    1 mm/min 속도로 눌렀을 때 Young’s modulus가 20 kPa 이하의 압축강도;
    1 mm/min 속도로 1초 동안 5 N의 힘을 수직으로 시료에 주었을 때 퍼지는 정도가 0.1 내지 2.0 mm2/mg의 도포성; 및
    직경 5 mm의 지그와 환부에 물질을 접촉하여 부착시킨 후 1.3 mm/min의 속도로 끌어당겨 분리될 때의 힘의 크기가 0.5 내지 5.0 kPa의 부착강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재생용 조성물은 생체 조건에서 당단백과 제2교원질의 발현이 증진되어 성숙 연골의 특성을 나타내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3. (a) 태아연골조직에서 연골전구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배양된 연골전구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세포막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릿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세포 펠릿을 연골분화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 및 태아연골조직 유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세포막의 수득은 세포의 분리 단계 없이 바닥에 부착된 세포와 함께 세포외기질을 모두 포함하여 수득하는 것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연골 분화 배지는 인슐린(insulin), 인간 트랜스페린(human transferrin), 소듐 셀레나이트(sodium selenit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롤린(proline) 및 TGF-β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배양의 기간은 4주 이내로 수행되는 것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 기간에 따라 연골 재생용 조성물의 압축강도, 부착성 및 도포성을 조절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골 재생용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연골 재생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골 결함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결함 질환은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절, 근육조직의 손상, 족저근막염, 상완골외과염, 석회화근염, 골절의 불유합 및 외상에 의한 관절손상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연골 결함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60098658A 2016-08-02 2016-08-02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658A KR101836475B1 (ko) 2016-08-02 2016-08-02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7837249.6A EP3517144B1 (en) 2016-08-02 2017-08-02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201780061241.9A CN109789246B (zh) 2016-08-02 2017-08-02 软骨再生用组合物及其制造方法
PCT/KR2017/008353 WO2018026198A1 (ko) 2016-08-02 2017-08-02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6/322,193 US11801331B2 (en) 2016-08-02 2017-08-02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and preparing thereof
JP2019505508A JP6980004B2 (ja) 2016-08-02 2017-08-02 軟骨再生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658A KR101836475B1 (ko) 2016-08-02 2016-08-02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041A true KR20180015041A (ko) 2018-02-12
KR101836475B1 KR101836475B1 (ko) 2018-03-08

Family

ID=6107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658A KR101836475B1 (ko) 2016-08-02 2016-08-02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01331B2 (ko)
EP (1) EP3517144B1 (ko)
JP (1) JP6980004B2 (ko)
KR (1) KR101836475B1 (ko)
CN (1) CN109789246B (ko)
WO (1) WO20180261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02A1 (ko) * 2019-07-17 2021-0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성장판 재생용 조성물
WO2021010704A1 (ko) * 2019-07-17 2021-0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수핵 재생용 조성물
KR20220051298A (ko) * 2020-10-18 2022-04-2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조직 유래 세포외 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2114845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강스템바이오텍 주입이 가능한 동물 연골유래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이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0928A1 (en) * 2019-03-28 2022-05-26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issue fusion composition having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586164B1 (ko) * 2019-03-28 2023-10-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48915A (zh) * 2021-01-20 2022-08-05 上海软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耳软骨组织工程复合物及其用途
CN114848914A (zh) * 2021-01-20 2022-08-05 上海软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软骨组织工程复合物及其用途
CN114796612A (zh) * 2021-01-22 2022-07-29 上海软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孔径的组织工程支架及其用途
CN115944781A (zh) * 2021-10-09 2023-04-11 上海软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3d打印的软骨组织工程复合物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3066A1 (de) * 2002-11-07 2004-05-27 Co.Don Aktiengesellschaft Gewebeersatzstruktur, Verfahren zur Modifikation einer Gewebeläsion und Verwendung von vorgeformtem dreidimensionalem Gewebe als Lieferant von Botenstoffen und/oder Strukturbausteinen
CN101248172A (zh) * 2005-01-28 2008-08-20 诺瓦塞拉有限公司 胚胎干细胞培养方法
WO2006079854A1 (en) * 2005-01-28 2006-08-03 Novathera Ltd Methods for embryonic stem cell culture
JP4044579B2 (ja) * 2005-08-02 2008-02-06 株式会社Pgリサーチ 人工軟骨組織
CN102688524A (zh) 2005-10-31 2012-09-26 株式会社现代组织工学 包含获得自肋软骨的软骨细胞的人工软骨及其制备方法
KR100816395B1 (ko) * 2006-09-21 2008-03-27 (주)필미아젠 세포 유래 세포외기질막의 제조방법
WO2008146956A1 (en) * 2007-05-06 2008-12-04 Byoung-Hyun Min Therapeutic composite for cartilage disorder using extracellular matrix (ecm) scaffold
KR101340458B1 (ko) 2010-11-02 2013-12-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연골 이식용 조성물
EP2546335A1 (en) * 2011-07-11 2013-01-16 Centre Hospitalier Universitaire Vaudois (CHUV) Foetal epiphyseal chondrocyte (FEC) parental cell bank
CN102526806B (zh) * 2012-01-20 2013-12-18 陕西博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组织工程软骨及其制备方法
EP2634251A1 (en) * 2012-02-29 2013-09-04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3D in vitro bi-phasic cartilage-bone construct
KR20140016841A (ko) * 2012-07-30 2014-02-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태아연골조직유래 줄기세포원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KR20150067518A (ko) * 2013-12-10 2015-06-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세포 유래 세포외 기질막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수술 후 유착 방지용 조성물
JP6446222B2 (ja) * 2014-09-30 2018-12-26 株式会社ジーシー 軟骨分化培養液、及び軟骨組織の製造方法
KR20160095677A (ko) * 2015-02-03 2016-08-1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연골결손 치료용 조성물 및 인공연골 제조방법
CN105039247B (zh) * 2015-07-13 2018-07-20 暨南大学 一种用于诱导干细胞向成软骨分化的制剂及制备方法与应用
CN105754937A (zh) * 2016-03-31 2016-07-13 北京大学第三医院 一种促进软骨分化的细胞共培养体系及其制备方法
KR101718669B1 (ko) * 2016-12-16 2017-03-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연골결손 치료용 조성물 및 인공연골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02A1 (ko) * 2019-07-17 2021-0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성장판 재생용 조성물
WO2021010704A1 (ko) * 2019-07-17 2021-01-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수핵 재생용 조성물
KR20220051298A (ko) * 2020-10-18 2022-04-2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골조직 유래 세포외 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2114845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강스템바이오텍 주입이 가능한 동물 연골유래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이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80004B2 (ja) 2021-12-15
JP2019523289A (ja) 2019-08-22
US20190184061A1 (en) 2019-06-20
EP3517144A1 (en) 2019-07-31
CN109789246B (zh) 2022-06-17
EP3517144A4 (en) 2020-07-22
CN109789246A (zh) 2019-05-21
WO2018026198A1 (ko) 2018-02-08
EP3517144B1 (en) 2024-05-01
US11801331B2 (en) 2023-10-31
KR101836475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475B1 (ko)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iang et al. Clinical application status of articular cartilage regeneration techniques: tissue-engineered cartilage brings new hope
EP2522304B1 (e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biological tissues and tissue constructs
ES2367694T3 (es) Sistema de cartílago particulado.
US6482231B1 (en) Biological material for the repair of connective tissue defects compris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hyaluronic acid derivative
JP2020049349A (ja) インビボバイオリアクターを使用する軟骨の修復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US9981063B2 (en) Biosynthetic composite for osteochondral defect repair
JP4958777B2 (ja) 物理的/物理化学的刺激により処理される非晶質細胞送達ビヒクル
KR101718669B1 (ko) 연골결손 치료용 조성물 및 인공연골 제조방법
US20040030404A1 (en) Method for cultivating a cartilage replacement and a biomatrix produced according to this method
KR20160095677A (ko) 연골결손 치료용 조성물 및 인공연골 제조방법
RU2301677C1 (ru) Биотрансплантат для лечения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и травмат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хрящевой ткани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im et al. A new era of cartilage repair using cell therapy and tissue engineering: turning current clinical limitations into new ideas
US20120148632A1 (en) Methods for complex tissue engineering
KR20210040908A (ko) 인간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연골세포의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RU2452527C1 (ru)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хрящевой гиалиновой ткани суставов на начальных стадиях деструк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Noh et al. Selective Extracellular Matrix Guided Mesenchymal Stem Cell Self‐Aggregate Engineering for Replication of Meniscal Zonal Tissue Gradient in a Porcine Meniscectomy Model
KR102334886B1 (ko) 성장판 재생용 조성물
CN115581811B (zh) 一种自体组织工程活细胞睑板替代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373427B2 (ja) 滑膜細胞および細切軟骨片の軟骨修復における使用
Sevastianov et al. A biomedical cell product for the regeneration of articular cartilage: Biocompatible and histomorphological properties (An experimental model of subcutaneous implantation)
KR20210009634A (ko) 척추 수핵 재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