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896A - 전사박 - Google Patents

전사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896A
KR20180013896A KR1020177033607A KR20177033607A KR20180013896A KR 20180013896 A KR20180013896 A KR 20180013896A KR 1020177033607 A KR1020177033607 A KR 1020177033607A KR 20177033607 A KR20177033607 A KR 20177033607A KR 20180013896 A KR20180013896 A KR 20180013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crylate
protective layer
transf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198B1 (ko
Inventor
가즈야 요시다
히로유키 하세가와
요시히로 이마쿠라
료지 핫토리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3Identity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피전사체 표면에 충분한 내마모 성능 및 내용제 성능 등의 내구 성능을 부여할 수 있고, 꼬리 끌기나 버 등의 전사 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높은 전사성을 갖는 전사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은, 기재와, 상기 기재와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보호층을 구비하고, 보호층이 활성 광선 경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며, 활성 광선 경화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40nm 이하이다.

Description

전사박
본 발명은 전사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성이 양호함과 함께, 피전사체 표면에 충분한 내구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전사박에 관한 것이다.
신분 증명서 등의 ID 카드나 은행의 현금 카드 등의 IC 카드는, 표면에 얼굴 사진이나 주소, 성명 등의 개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그 내용이 위조, 변조되지 않도록 시큐리티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IC 카드 표면에 홀로그램을 형성한 것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IC 카드의 표면에는, 기록된 정보나 홀로그램을 보호하기 위해, 전사박을 사용하여, 보호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이 설치되어 있다.
전사박은, 기재 상에 전사 가능한 보호층 등을 포함하는 전사층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 것이며, IC 카드 등의 피전사체의 표면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피전사체 표면에, 내용제성,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사박에는, 꼬리 끌기(尾引)나 버 등의 전사 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높은 전사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11942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무기 입자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로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을 갖는 열전사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열전사박으로부터 하드 코팅층 등을 피전사체에 전사할 때의 전사성 및 장식 성형품, 즉, 인화물 등의 내구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1194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투명성이 높은 보호층 등을 구비하고, 보호층 등을 피전사체에 전사할 때의 전사성이 양호하며, 또한 내구성이 높고, 헤이즈감이 방지된 양호한 인화물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전사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은, 기재와, 상기 기재와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보호층을 구비한 전사박이며,
상기 보호층이, 활성 광선 경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 광선 경화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40nm 이하인 전사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층 상에 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층이 수용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이형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수가 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활성 광선 경화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관능기수가 2 이상, 4 이하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관능기수가 2 이상, 5 이하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층이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박이, 기재와, 활성 광선 경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활성 광선 경화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40nm 이하임으로써, 피전사체 표면에 충분한 내마모 성능 및 내용제 성능 등의 내구 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전사박의 전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사박이 구비하는 보호층 등은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헤이즈감이 방지된 양호한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사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사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사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사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사박의 단면 모식도이다.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합을 나타내는 「부」, 「%」, 「비」 등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약어, 동의어, 기능적 표현, 통칭 또는 업계 용어이다. 또한, 활성 광선 경화성 수지란, 활성 광선을 조사하기 전의 전구체 또는 조성물을 의미하고, 활성 광선을 조사하여 활성 광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킨 것을 활성 광선 경화 수지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활성 광선이란, 활성 광선 경화성 수지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작용시켜 중합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방사선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α선, β선, γ선 등을 의미한다.
<전사박>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전사박의 단면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은, 기재(10)와, 기재(10) 상에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보호층(20)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전사박(1)을 사용하여 피전사체(도시하지 않음)에 전사층(40)을 전사하면, 보호층(20)이 전사층(40)으로서, 피전사체에 전사된다. 또한, 보호층(20) 상에는, 접착층(30)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1 참조). 또한, 기재(10)로부터 보호층(20)이 박리되어 전사층(40)이 피전사체에 전사되기 쉽도록, 기재(10)와 보호층(20) 사이에 이형층(50)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2 참조). 또한, 보호층(20)과 접착층(30) 사이에 프라이머층(60)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3 참조). 추가로, 전사박에는, 수용층(70)이, 보호층(20) 또는 프라이머층(60)과 접착층(30)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추가로, 기재(10)와 이형층(50) 사이에 앵커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도시 생략).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망에 따라서 설치되는 접착층은, 그 구성을 조정함으로써, 수용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을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재>
기재로서는, 전사박으로부터 전사층을 피전사체에 전사할 때의 열에너지(예를 들어, 서멀 헤드의 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고, 전사층을 지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나 내용제성을 갖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테레프탈산-시클로헥산디메탄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압출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니트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피트 등의 엔지니어링 수지, 폴리스티렌, 고충격성 폴리스티렌, AS 수지(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셀로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는, 상기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수지 또는 혼합체(알로이를 포함함) 또는 복수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여도 된다. 또한, 기재는 연신 필름이어도,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는, 이들 수지 중 적어도 1층을 포함하는 필름, 시트, 보드 형상으로서 사용한다. 상기한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이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블로킹 방지를 위해, 필요에 따라 기재 표면에 요철을 부여할 수 있다. 기재에 요철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매트제 혼련 가공, 샌드 블라스트 가공, 헤어라인 가공, 매트 코팅 처리, 또는 케미컬 에칭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매트 코팅 처리를 행하는 경우, 가교 아크릴계 수지나 가교 스티렌계 수지 등의 유기물 및 이산화규소,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등의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는, 두께가 0.5㎛ 이상, 5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 20㎛ 이하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전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기재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이형층을 형성할 수 있기 위해, 미리, 이형층을 형성하는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처리, 프레임 처리, 접착제(앵커 코팅, 접착 촉진제, 접착 용이화제라고도 불림) 도포 처리, 예열 처리, 제진애 처리, 증착 처리, 알칼리 처리, 대전 방지층 부여 등의 접착 용이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충전제, 가소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보호층>
이어서, 전사층을 구성하는 보호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호층은, 활성 광선 경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고, 피전사체 표면의 보호를 담당하는 것이다.
활성 광선 경화 수지는, 중합 성분으로서,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중합체, 예비 중합체, 올리고머 및/또는 단량체를 적절히 혼합한 조성물 등을 포함한다.
보호층을 형성하는 활성 광선 경화 수지는, 중합 성분으로서, 다관능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보호층이, 다관능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내용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이 다관능성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후술하는 필러가 보호층 중에 견고하게 유지되어, 보존, 전사 등을 행할 때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수는, 5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6 이상,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보호층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이다. 또한, 관능기란, 예를 들어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ㆍ아디프산ㆍ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ㆍ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ㆍ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ㆍ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프탈릴메타크릴레이트ㆍ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폴리부타디엔글리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ㆍ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ㆍ프로필렌글리콜ㆍ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ㆍ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이, 우레탄 수지에 (메트)아크릴산을 도입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용제성과 굴곡성의 양립이라는 관점에서, 2 이상, 4 이하 정도의 관능기수의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관능기수가 2 이상, 5 이하인(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관능기수의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조합하여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 5 이하 정도의 관능기수의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보호층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총량으로 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이다.
또한, 다관능, 및 2 이상, 4 이하 정도의 관능기수의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분자량은, 모두 400 이상, 200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10000 이하이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분자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에 있으면,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을 2000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박 절단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서, 2 이상, 5 이하 정도의 관능기수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분자량은, 200 이상, 50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분자량」이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하고, JIS-K-7252-1(2008년 발행)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은, 중합 성분으로서, 불포화 결합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불포화 결합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말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하이믹산, 말론산, 숙신산, 이타콘산, 피로멜리트산, 푸마르산, 글루탈산, 피멜산, 세바스산, 도데칸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등의 다염기산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옥시드, 1,4-부탄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1,6-헥산디올, 1,2,6-헥산트리올 등의 다가 알코올의 결합으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에 (메트)아크릴산을 도입한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류, 예를 들어 비스페놀 Aㆍ에피클로로히드린(메트)아크릴산, 페놀노볼락에피클로로히드린(메트)아크릴산과 같이 에폭시 수지에 (메트)아크릴산을 도입한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류 및 트리아진(메트)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층은, 중합 성분으로서, 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이외에도 이하와 같은 예비 중합체, 올리고머 및/또는 단량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ㆍ디이소시아네이트ㆍ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실리콘 수지 아크릴레이트류, 그 밖에 유변성(油變性) 알키드 수지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도입한 알키드 변성(메트)아크릴레이트류, 스피란 수지 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로서는, 일반적으로 활성 광선 중합성 단량체ㆍ올리고머로서 알려져 있는, 예를 들어 에틸렌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이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적어도 메타크릴로일기 또는 아크릴로일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옥시헥사놀리드아크릴레이트, 1,3-디옥산알코올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아크릴레이트, 1,3-디옥솔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또는 이들 아크릴레이트를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코네이트, 크로토네이트, 말레에이트로 대체한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로퀴논디아크릴레이트, 레조르신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의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의 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아크릴레이트, 2-(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5-히드록시메틸-5-에틸-1,3-디옥산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티디메틸올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아크릴레이트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또는 이들 아크릴레이트를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코네이트, 크로토네이트, 말레에이트로 대체한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 피로갈롤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ㆍ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릴알데히드 변성 디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산에스테르산, 또는 이들 아크릴레이트를 메타크릴레이트, 이타코네이트, 크로토네이트, 말레에이트로 대체한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에스테르, 포스파젠 단량체, 트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시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아크릴산벤조산에스테르, 알킬렌글리콜 타입 아크릴 변성 아크릴레이트, 상기에서 서술한 관능기수에 한정되지 않는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은 필러를 포함한다. 필러로서는, 유기 필러, 무기 필러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형 필러를 들 수 있다. 또한, 필러는 분체여도, 졸 상태의 것이어도 된다. 높은 경도를 갖고,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필러 중에서도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보호층에 함유되는 필러는,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40nm 이하이다. 30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40nm 이하임으로써, 보호층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은, 1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10nm 이상임으로써 분산성을 유지할 수 있어, 보호층 도공액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동적 광산란법을 사용한 측정 장치나 TEM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BET법(분체 입자의 표면에 흡착 점유 면적이 알려진 분자를 액체 질소의 온도에서 흡착시키고, 그 양으로부터 시료의 비표면적을 구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도 분포ㆍ입경 분포 측정 장치(예를 들어, 나노트랙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니키소(주)제 등), 비표면적ㆍ세공 분포 측정 장치(예를 들어, (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하여, JIS-Z-8819-2(2001년 발행)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콜로이달 실리카, 퓸드 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등), 알루미나 입자, 지르코니아 입자, 티타니아 입자,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를 들 수 있고, 내마모성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입자는,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 커플링제 등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가 실시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필러는, 보호층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5질량% 이상, 60질량% 이하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임으로써, 전사박의 전사성 및 이 전사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보호층이 물러지고, 균열 등의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의 두께는, 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층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 내임으로써, 전사 불량을 방지하면서, 높은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호층은, 활성 광선 경화성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 바 코팅, 로드 코팅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기재 또는 후술하는 이형층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시키고, 활성 광선에 의해, 상기한 중합 가능한 공중합체 등의 중합 성분을, 가교ㆍ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의 조사는, 종래 공지된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크세논 아크, 메탈 할라이드 램프, 무전극 자외선 램프, LED 등, 각종의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선의 조사는, 100keV 이상, 300keV 이하의 에너지로 전자선을 조사하는 고에너지형 전자선 조사 장치나 100keV 이하의 에너지로 전자선을 조사하는 저에너지형 전자선 조사 장치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또한 조사 방식도, 주사형이나 커튼형 중 어느 방식의 조사 장치여도 된다.
<접착층>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이 소망에 따라서 구비하는 접착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착층은 전사박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전사층과 피전사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추가로, 이 접착층은, 열전사에 의해,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로부터 열전사법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수용층으로서의 기능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화상이 형성된 전사박의 전사층은, 피전사체에 전사되고, 그 결과, 인화물이 형성된다.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열로 용융 또는 연화시켜 접착하는 열 접착형 접착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아이오노머 수지,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ㆍ메타크릴계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말레산 수지, 부티랄계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틸렌옥시드 수지, 페놀계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멜라민-알키드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고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를 단독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들 중에서도, 접착력 등의 면에서,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부티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메트)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이다.
또한, 접착층이 수용층으로서의 기능을 행하는 것으로 할 경우, 승화성 염료 또는 열용융성 잉크 등의 열이행성 색재를 수용하기 쉬운 종래 공지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 중합체의 공중합체계 수지, 아이오노머 또는 셀룰로오스 디아스타제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 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바람직하고,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의 함유량은, 접착층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3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에 있어서의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임으로써, 피전사체로의 전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승화성 염료 또는 열용융성 잉크 등의 열이행성 색재에 대한 수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리콘에는, 변성 실리콘 수지 및 변성 실리콘 오일이 포함된다. 변성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 모노아민 변성 실리콘 수지, 디아민 변성 실리콘 수지, 머캅토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실리콘 오일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모노아민 변성 실리콘 오일, 디아민 변성 실리콘 오일, 머캅토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이 실리콘을 포함함으로써,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와의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에 있어서의 상기 실리콘의 함유량은, 접착층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에 있어서의 실리콘의 함유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임으로써,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와의 이형성과 피전사체로의 전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통상, 접착층의 두께는, 0.1㎛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 3㎛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상술한 재료 중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복수의 재료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는 각종 첨가제 등을, 물 또는 유기 용제 등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접착층용 도공액을 제조하고, 이것을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판을 사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형층>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이 소망에 따라서 구비하는 이형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형층은 기재 상에 설치되고, 이형층 상에 설치되는 전사층을, 전사박으로부터 박리하여 피전사체에 전사시키기 위한 층이다. 또한, 전사층을 전사박으로부터 박리할 때, 이형층은 기재측에 머문다.
이형층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멜라민계 수지, 실리콘,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요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섬유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전사박에 대하여 기재와 전사층의 적당한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멜라민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통상, 이형층의 두께는, 0.1㎛ 이상, 5㎛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 2㎛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층은, 상술한 수지를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공지된 코팅 방법으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100℃ 이상, 200℃ 이하 정도의 온도에서 베이킹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이 소망에 따라서 구비하는 프라이머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라이머층은 보호층 상에 설치된다. 또한, 프라이머층은, 열가소성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경우, 이들 배합비(폴리에스테르 수지/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질량 기준으로, 1/4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이상,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 이상, 6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프라이머층 중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프라이머층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5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 9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임으로써, 피전사체 또는 접착층과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2,4-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2-클로로-1,4-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trans-시클로헥산, 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4,4',4"-트리메틸-3,3',2'-트리이소시아네이트-2,4,6-트리페닐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 중에 있어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유량은, 프라이머층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임으로써, 접착층 또는 수용층과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통상,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 이상, 3㎛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외에도, 마이크로실리카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층>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이 소망에 따라서 구비하는 수용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사박이 소망에 따라서 구비하는 접착층은, 그 구성을 조정함으로써, 수용층으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전사박은 수용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용층은 보호층 또는 프라이머층 상에 설치되고, 이 수용층 상에는, 열전사에 의해,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로부터 열전사법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상이 형성된 전사박의 전사층은, 피전사체에 전사되고, 그 결과, 인화물이 형성된다. 또한, 소망에 따라서, 이 수용층 상에 접착층이 설치된다.
수용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승화성 염료 또는 열용융성 잉크 등의 열이행성 색재를 수용하기 쉬운 종래 공지된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 중합체의 공중합체계 수지, 아이오노머 또는 셀룰로오스 디아스타제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 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가 바람직하고,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 수용층의 두께는, 0.5㎛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3㎛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층은, 상술한 재료 중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복수의 재료,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각종 첨가제 등을, 물 또는 유기 용제 등의 적당한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수용층용 도공액을 제조하고, 이것을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그라비아판을 사용한 리버스 코팅법 등의 수단에 의해, 도포,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전사층의 전사>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을 사용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전사법이면 되고, 예를 들어 열 각인에 의한 핫 스탬프(박 스탬핑), 열 롤에 의한 전체면 또는 스트라이프 전사, 서멀 헤드(감열 인화 헤드)에 의한 서멀 프린터(열전사 프린터라고도 함)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핫 스탬프이다.
피전사체로서는, 내마모성이나 내용제성 등의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천연 섬유지, 코팅지, 트레이싱 페이퍼, 전사 시의 열로 변형되지 않는 플라스틱 필름, 유리, 금속, 세라믹스, 목재, 천 또는 염료 수용성이 있는 매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IC 카드 등은, 통상 의장성이나 시큐리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전사박이 수용층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 피전사체의 전사층이 전사되는 면에는, 인쇄층이나 홀로그램층 등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한쪽면에 멜라민계 수지의 이형층이 도포된 필름을 기재로서 사용하고, 그 이형층 상에, 하기 조성을 포함하는 보호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건조 후의 두께가 6㎛로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UV 노광기(Fusion UV, F600V, LH10 램프, H 벌브, 반사경은 콜드 타입)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A>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20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5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실리카) 4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12nm, 닛산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MEK-AC2140Z)
ㆍ톨루엔 200부
ㆍMEK(메틸에틸케톤) 200부
이어서,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한 보호층 상에, 하기 조성을 포함하는 접착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건조 후의 두께가 2㎛로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접착층을 형성하고, 전사박을 얻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착층은, 수용층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접착층 도공액 조성 A>
ㆍ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95부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 CNL)
ㆍ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5부
(신에쯔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KP-1800U)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B>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20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5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실리카) 4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25nm, BYK(주)제, 상품명: NANOBYK-3605)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C>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20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5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실리카) 4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20nm, BYK(주)제, 상품명: NANOBYK-3650)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D>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27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7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4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7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실리카) 2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12nm, 닛산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MEK-AC2140Z)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E>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32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32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7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9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실리카) 5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12nm, 닛산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MEK-AC2140Z)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F>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13.2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3.2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7.2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3.2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3.2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실리카) 6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12nm, 닛산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MEK-AC2140Z)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접착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접착층 도공액 조성 A>
ㆍ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00부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 CNL)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실시예 8)
실시예 1에 나타낸 보호층 도공액을 사용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후, 보호층 상에 하기 조성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팅에 의해, 건조 후의 두께가 1㎛로 되도록 도포, 건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실시예 1에 나타낸 접착층 도공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프라이머층 상에 접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얻었다.
<프라이머층 도공액 조성>
ㆍ폴리에스테르 수지 3.3부
(도요 보세끼(주)제, 상품명: 바이런 200)
ㆍ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7부
(닛신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솔바인 CNL)
ㆍ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1.5부
(더ㆍ잉크 테크(주)제, 상품명: XEL 경화제)
ㆍ톨루엔 3.3부
ㆍMEK 6.7부
(실시예 9)
실시예 4에 있어서, 보호층과 접착층 사이에,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G>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20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5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H>
ㆍ아크릴 수지 60부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상품명: BR-87)
ㆍ필러(실리카) 4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12nm, 닛산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MEK-AC2140Z)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I>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20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5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ZnO) 4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100nm, 사까이 가가꾸 고교(주)제)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보호층 도공액의 조성을 이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사박을 제작하였다.
<보호층 도공액 조성 J>
ㆍ3관능 아크릴레이트 20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A-9300)
ㆍ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20부
(분자량 11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올리고머 UA122-P)
ㆍ15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0부
(분자량 2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U-15HA)
ㆍ불포화 결합 함유 아크릴 공중합체 5부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NK 에스테르 C24T)
ㆍ광중합 개시제 5부
(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ㆍ필러(실리카) 40부
(체적 평균 입자 직경 44nm, 반응성 콜로이달 실리카 입자, 닛산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MIBK-SD-L)
ㆍ톨루엔 200부
ㆍMEK 200부
<전사박의 평가>
하기 재료 조성의 카드 기재를 피전사체로 하였다.
<카드 기재의 조성>
ㆍ폴리염화비닐 컴파운드(중합도 800) 100부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10% 함유)
ㆍ백색 안료(산화티타늄) 10부
ㆍ가소제(프탈산디옥틸) 0.5부
HDP-600 프린터((주)HID Global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전사 시트의 접착층 상에,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및 시안 염료층을 구비하는 HDP-600용 잉크 리본을 중첩시켜, 화상 정보에 따라서, 서멀 헤드의 열에 의해 화상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상기 카드 기재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여 인화물 1 내지 13을 형성하였다.
상기 카드 기재 상에,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및 시안 염료층을 구비하는 HDP-600 잉크 리본을 중첩시켜, 화상 정보에 따라서, 서멀 헤드의 열에 의해 화상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히트 롤러에 의해, 상기 카드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여 인화물 1' 내지 13'를 형성하였다.
<박 절단성 시험>
상기 전사 조건에서, 연속해서 10장의 전사를 행한 후, 카드의 외관 특성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A: 꼬리 끌기양이 0.3mm 이하이다.
B: 꼬리 끌기양이 0.3mm보다도 크고, 0.5mm 이하이다.
C: 꼬리 끌기양이 0.5mm를 초과하였다.
<표면 강도 시험>
카드 표면의 전사층의 내마모성 시험(Taber 시험)을, ANSI-INCITS322-2002, 5.9 Surface Abrasion에 준거하여, 1500 사이클 실시하였다. 250 사이클마다 표면의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 시험을 행했다(마모륜: CS-10F, 하중: 500gf). 또한, 250 사이클마다 마모륜을 연마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A: 1500 사이클 실시 후의 화상이 양호하였다.
B: 1000 사이클 실시 후의 화상은 양호했지만, 1500 사이클 실시 후의 화상은 양호하지 않았다.
C: 500 사이클 실시 후의 화상이 양호하지 않았다.
<내용제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사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시킨 인화물 1 내지 13'에 있어서, 메틸에틸케톤(MEK)에 침지시킨 면봉으로 30회 왕복한 후의 화상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내용제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A: 화상에 대미지가 보이지 않는다.
B: 화상에 약간의 대미지가 보이지만, 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C: 사용상 문제가 되는 화상의 대미지가 보인다.
<균열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사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시킨 인화물 1 내지 13'를, 인화물의 중앙을 손으로 눌러, 인화물의 양단부를 10mm 상방으로 젖히고, 젖힌 후의 인화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균열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A: 화상에 대미지가 보이지 않거나, 약간의 대미지가 보이지만, 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B: 화상에 대미지가 보이고, 사용상도 문제가 되는 레벨이다.
C: 사용상 문제가 되는 화상의 큰 대미지가 보인다.
<투명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사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시킨 인화물 1 내지 13'의 투명성에 대하여 눈으로 확인을 행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는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A: 화상에 헤이즈감이 거의 보이지 않거나, 약간의 헤이즈감이 보이지만, 사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다.
B: 화상에 헤이즈감이 있고, 사용상도 문제가 되는 레벨이다.
C: 화상에 사용상 문제가 되는 큰 헤이즈감이 보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1: 전사박
10: 기재
20: 보호층
30: 접착층
40: 전사층
50: 이형층
60: 프라이머층
70: 수용층

Claims (7)

  1. 기재와, 상기 기재와 박리 가능하게 설치된 보호층을 구비한 전사박이며,
    상기 보호층이, 활성 광선 경화 수지 및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 광선 경화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4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상에 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전사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수용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전사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이형층을 구비하는 전사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수가 5 이상, 15 이하인 전사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광선 경화 수지가, 중합 성분으로서, 관능기수가 2 이상, 4 이하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관능기수가 2 이상, 5 이하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사박.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실리콘을 포함하는 전사박.
KR1020177033607A 2015-05-28 2016-05-27 전사박 KR102307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8515 2015-05-28
JPJP-P-2015-108515 2015-05-28
PCT/JP2016/065787 WO2016190427A1 (ja) 2015-05-28 2016-05-27 転写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896A true KR20180013896A (ko) 2018-02-07
KR102307198B1 KR102307198B1 (ko) 2021-10-01

Family

ID=5739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607A KR102307198B1 (ko) 2015-05-28 2016-05-27 전사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76711B2 (ko)
EP (1) EP3305518B1 (ko)
JP (1) JP6183731B2 (ko)
KR (1) KR102307198B1 (ko)
CN (1) CN107531011B (ko)
TW (1) TWI679114B (ko)
WO (1) WO2016190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3184B (zh) * 2016-10-27 2021-07-20 琳得科株式会社 介电加热粘接膜、及使用了介电加热粘接膜的接合方法
US11148450B2 (en) 2018-01-31 2021-10-19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coating liquid for release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mal transfer sheet
KR102407422B1 (ko) * 2018-01-31 2022-06-1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열전사 시트, 열전사 시트와 중간 전사 매체의 조합, 인화물의 제조 방법 및 열전사 프린터
JP7037757B2 (ja) * 2018-03-14 2022-03-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
CN116001468A (zh) * 2022-12-03 2023-04-25 佛山市金镭科技有限公司 一种耐磨镭射电化铝的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8563A (ja) * 2005-03-11 2007-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物
JP2013082833A (ja) * 2011-10-12 2013-05-09 Nissha Printing Co Ltd グラビア印刷適性を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
JP2013111942A (ja) 2011-11-30 2013-06-10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694A (ja) * 1999-09-06 2001-03-21 Oike Ind Co Ltd 防眩性表面保護転写材。
JP4074239B2 (ja) * 2003-09-25 2008-04-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WO2006095902A1 (ja) 2005-03-11 2006-09-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物
JP2007118467A (ja) * 2005-10-31 2007-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ホログラム付き成形品
JP2007118466A (ja) * 2005-10-31 2007-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転写箔
JP4930764B2 (ja) * 2006-06-29 2012-05-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転写箔
JP4797834B2 (ja) * 2006-06-29 2011-10-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転写箔
JP2008081728A (ja) * 2006-09-01 2008-04-10 Nippon Shokubai Co Ltd 複合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複合微粒子を含有す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5155645B2 (ja) 2007-12-10 2013-03-0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耐箔バリ性に優れた転写材の製造方法と転写材
JP5831087B2 (ja) * 2010-09-29 2015-12-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品
JP6195146B2 (ja) * 2012-05-17 2017-09-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69523A (ja) * 2012-10-01 2014-04-21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979026B2 (ja) * 2013-01-30 2016-08-24 凸版印刷株式会社 成形同時加飾用転写フィルム
JP6119381B2 (ja) * 2013-03-29 2017-04-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4162956A1 (ja) * 2013-03-30 2014-10-09 日本製紙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8563A (ja) * 2005-03-11 2007-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物
JP2013082833A (ja) * 2011-10-12 2013-05-09 Nissha Printing Co Ltd グラビア印刷適性を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
JP2013111942A (ja) 2011-11-30 2013-06-10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5518A4 (en) 2018-12-19
TW201711858A (zh) 2017-04-01
TWI679114B (zh) 2019-12-11
CN107531011A (zh) 2018-01-02
EP3305518B1 (en) 2020-06-10
KR102307198B1 (ko) 2021-10-01
JP2016221967A (ja) 2016-12-28
CN107531011B (zh) 2023-12-29
US20180141307A1 (en) 2018-05-24
JP6183731B2 (ja) 2017-08-23
WO2016190427A1 (ja) 2016-12-01
US10576711B2 (en) 2020-03-03
EP3305518A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4495B1 (en) Thermal transfer sheet
KR20180013896A (ko) 전사박
CN107949487B (zh) 转印箔
JP6709538B2 (ja) 転写箔
US10549513B2 (en) Transfer film
JP6425127B2 (ja) 転写箔
JP6652217B2 (ja) 熱転写シート
JP6651770B2 (ja) 転写箔
JP2017177782A (ja) 転写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