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647A -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647A
KR20180012647A KR1020160095756A KR20160095756A KR20180012647A KR 20180012647 A KR20180012647 A KR 20180012647A KR 1020160095756 A KR1020160095756 A KR 1020160095756A KR 20160095756 A KR20160095756 A KR 20160095756A KR 20180012647 A KR20180012647 A KR 20180012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ginseng
composition
fermentation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312B1 (ko
Inventor
민진우
김혜진
한우리자랑
주광식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씨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씨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지에프씨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6009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활성 성분 및 다당체의 함량이 증대되고,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 OF FERMENTED GINSENG USING LACTOBACILLUS CASEI GFC1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름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은 피부 세포의 노화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의 원인은 고령화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 노화와 외부환경에 의해 나타나는 내적인 노화로 분류될 수 있다. 자연 노화는 유전자적 요인 등이 많이 관여되기 때문에 제어가 어렵다. 때문에, 자외선,산화,건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을 제어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환경적 요인은 주로 진피층에 포함된 콜라겐 단백질, 엘라스틴 단백질 등을 파괴하거나 변성을 일으켜 주름을 유발한다. 특히, 태양의 자외선은 피부를 산화 시키고, 활성 산소를 양산하는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이다. 이러한 산화력과 활성 산소는 피부 세포 내의 단백질 파괴, 당의 산화, 유전자 변형 등을 일으켜 피부에 노화 및 주름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SNAP receptor protein)이 피부 주름 발생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최근에 수행된 연구들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 스네어 단백질은 수송소포와 표적막 융합에 관여하는 막내재성 단백질로서, 주름형성을 형성하는 신경 물질의 분비를 촉진하여 주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종래에는 보톨리눔균 신경독소를 이용해 스네어 단백질을 한정분리함으로써 신경전달을 차단하고 신경독소가 침투된 근육세포가 마비되도록 하여 주름을 개선하는 방법이 기술화되어 있다. 그러나, 보톨리눔균 신경독소는 인체에 내성을 유발하여 사용빈도수가 증가할수록 사용량 대비 효과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으며, 신경독소를 정제화하는데 높은 비용 및 고도의 정제설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천연 물질을 이용하여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유용한 수준으로 억제하면서도, 기존의 펩타이드 및 단백질 소재에 비하여 월등히 저렴한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신경독소 또는 합성 물질로 유발되는 부작용은 최소화하고, 피부 자극, 세포 독성 등의 위해 요소가 적어 함량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과제는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활성 성분 및 다당체의 함량이 증대되고,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은 인삼 열매 분쇄물 및 락토오스를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마늘 분쇄물, 오가피 분쇄물 및 용매를 더 포함하고, 전체 발효용 조성물 중 인삼 열매 분쇄물은 7 중량% 내지 10 중량%, 마늘 분쇄물은 4.5 중량% 내지 6 중량%, 오가피 분쇄물은 1.5 중량% 내지 2 중량%, 락토오스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용매는 72 중량% 내지 86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더 갖고, 주름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인삼을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에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접종하고, 27℃ 내지 37℃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균체가 제거된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발효용 조성물에 접종하기 전에, 상기 발효용 조성물을 8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90분 동안 살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발효물을 6000 rpm 내지 10000 rpm으로 15분 내지 2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침전물이 제거된 발효물의 상층액을 여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전체 발효용 조성물 중 인삼 열매 분쇄물은 7 중량% 내지 10 중량%, 마늘 분쇄물은 4.5 중량% 내지 6 중량%, 오가피 분쇄물은 1.5 중량% 내지 2 중량%, 락토오스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용매는 72 중량% 내지 8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발효 인삼 추출물을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제를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로 제형화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활성 성분 및 다당체의 함량이 증대되고,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유래되는 활성 성분 및 다당체의 함량이 증대되고,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의 효능을 증대시키고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을 규명하기 위하여, 인삼 분쇄액을 멸균 식염수에 현탁시켜 희석한 후, NA 한천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24시간 배양 후 형성된 콜로니(colony)를 계대 배양하여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균주를 순수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에 속하는 신규 균주로 규명되었으며,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이 선발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로 명명하고, 한국미생물센터에 2014년 10월 21일자로 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 KCTC18333P를 부여받았다.
이러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는 계통학적 특성 분석 및 형태학적 특성 분석 결과를 통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99% 이상의 상동성을 같는 동속계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상기 계통학적 특성 분석으로는 16S rDNA 시퀀스 분석 및 PCR을 이용한 계통수(Phylogenetic tree)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상기 형태학적 특성 분석으로는 그람 염색법(gram staining), 아포염색법(endospore staining) 및 주사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 촬영법을 수행하였다.
전술한 분석방법들에 의해 동정된 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는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 및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능이 우수하며, 인삼의 발효에 이용 시 인삼으로부터 유래되는 활성 성분 및 다당체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효능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함으로써, 인삼으로부터 유래되는 활성 성분 및 다당체의 함량을 증대하고,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 또는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갖는 종래의 신경독소, 합성의약 등에 비해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고도의 정제기술이 요구되지 않아 낮은 생산단가 및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어 경제성이 특히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효과를 통해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그 산업적 유용성이 특히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 인삼 추출물"은 인삼을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된 발효물 및/또는 상기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으로부터 유래되는 유효 성분의 및 다당체의 함량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작용 시 피부 내부에 흡수되기 용이한 형태를 갖도록 변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용액을 이용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의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두릅나무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대표적인 생약(약용식물)으로 이용되고 있다. 발효용 조성물에 인삼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은 인삼의 주요 활성성분인 사포닌(saponin) 및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복합 탄수화물(다당체)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효 인삼 추출물은 상기 인삼을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킴으로써, 진세노사이드로 Rb1, Rb2, Rc, Rd, Re, Rg1 및 그 외 미량의 사포닌 유도체 성분들을 우수한 함량으로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생체 이용률이 낮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e를 생체이용률이 높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g2로 전환시켜 진세노사이드 Rg2의 함량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를 안정화된 형태로 고함량 포함하게 되며, 제형화 후 고온에서 발생하는 제형 분리 또는 변색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인삼으로서, 인삼의 뿌리, 잎 및 열매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인삼으로서 인삼 열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에 의해 다당체 및 사포닌 함량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 중 인삼 열매 분쇄물은 7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인삼 이외에 락토오스(Lacto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의 생장을 촉진하여 발효도를 더욱 적절히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가 생성하는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도를 향상시켜 인삼의 다당체 및 사포닌의 함량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균주의 생장을 촉진하여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 중 락토오스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의 활성 향상의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마늘 분쇄물, 오가피 분쇄물 및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추출물은 마늘 및 오가피로부터 유래된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더 포함하고, 세포독성 및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며,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마늘은 식물분류학적으로 백합목 백합과 알리움속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 식물로 탄수화물(스크로토스)과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리인(alliin;s-allylcysteine-s-oxide), C6H11O3NS, cyclo-alliin, allyl-L-cysteine, allicin, scorodose, 비타민 B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마늘 분쇄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마늘로부터 유래된 항산화 물질들을 포함하게 되고, 이러한 성분들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 시 피부 세포에 작용하여 항균, 산화 방지 및 노화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늘은 발효 조성물로 이용됨으로써, 자극성이 있고 쉽게 변질되는 마늘의 유효성분을 비자극성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발효조성물은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 중 마늘 분쇄물은 4.5 중량%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조성물은 항균 및 항산화 효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가피는 두릅나무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리그난(lignan) 배당체인 syringaresinol diglycoside, acanthside D, syringoside, eleutheroside B 및 eleutheroside E, falcarindol, methyl-hexacosanoate, coniferin, pimaradiene diterpene 및 sumogaside,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eleutheroside B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오가피 분쇄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오가피로부터 유래된 항산화 물질들을 포함하게 되고, 이러한 성분들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 시 피부 세포에 작용하여 산화 방지 및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가피의 뿌리에는 다른 종의 오갈피나무속 식물에서 보고된 바 없는 acanthoic acid(아칸토익산)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는 경우,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 중 오가피 분쇄물은 1.5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로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 중 용매는 72 중량% 내지 8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 인삼 조성물은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용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균주의 생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 중 인삼 열매 분쇄물 : 마늘 분쇄물 : 오가피 분쇄물은 1 : 0.1 내지 5 : 0.1 내지 5 중량비, 구체적으로는 1 : 0.1 내지 1 : 0.1 내지 1 중량비, 더욱 구체적으로는 1 : 0.6 : 0.2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인삼, 마늘 및 오가피에 포함된 각각의 활성 성분가 상기 균주에 의해 발효되면서 상승작용이 발생하여 세포독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인삼, 마늘 및 오가피에 포함된 각각의 활성 성분이 상기 균주에 의해 발효되면서 상승작용이 발생하여 세포독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 이외에 다양한 화장료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제형화하기 위한 부형제를 50 중량% 내지 99.99 중량%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형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가용화제,착향제, 안료 및 염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해보조제는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옥살레이트, 디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에톡시디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베헤네이트, 에톡시디글리콜이소스테아레이트, 에톡시디글리콜올리에이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암모늄라우릴술포석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예를 들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예를 들면, 잔탄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는 예를 들면,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예를 들면,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예를 들면,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살균제는 예를 들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분은 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미생물성분은 예를 들면,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예를 들면, 피이지 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착향제, 안료 및 염료는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인삼을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에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분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접종하고, 27℃ 내지 37℃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균체가 제거된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균주를 이용해 인삼으로부터 유래되는 활성 성분 및 다당체의 함량을 더욱 증대시키고, 세포독성 및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가 우수하고,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발효물의 제조 시 발효온도가 27℃ 미만 또는 37℃ 이상 경우,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 및 콜라겐 분해효소(엘라스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기 어렵다.
상기 발효물의 제조 시 발효기간이 3일 미만인 경우, 균주에 의한 발효가 충분히 진행되기 어렵고, 7일을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안정성 및 발효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인삼을 용매와 함께 5 mesh 내지 50 mesh로 분쇄하여 발효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를 직접 접종하여 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인삼을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추출용 용매 3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3 시간 내지 10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효용 조성물의 고형물이 용이하게 제거되면서도 활성 성분의 소실을 최소화하고, 상기 발효물의 분획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 및 고농축물 제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접종 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는 MRS 배지에서, 35℃ 내지 37℃에서 3일 내지 5일 동안 교반하면서 종균 배양된 후 접종에 이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의 종균 배양은 MRS 배지 100 중량부에 인삼, 마늘 및 오가피를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한 배지에서 종균 배양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인삼으로서, 인삼의 뿌리, 잎 및 열매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인삼으로서 인삼 열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인삼 이외에 락토오스(Lacto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마늘 분쇄물, 오가피 분쇄물 및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전체 발효용 조성물 중 인삼 열매 분쇄물은 7 중량% 내지 10 중량%, 마늘 분쇄물은 4.5 중량% 내지 6 중량%, 오가피 분쇄물은 1.5 중량% 내지 2 중량%, 락토오스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용매는 72 중량% 내지 8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성분들의 함량 및 중량비에 의한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발효용 조성물에 접종하기 전에, 상기 발효용 조성물을 8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90분 동안 살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에 의한 엘라스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유해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발효물을 6000 rpm 내지 10000 rpm으로 15분 내지 2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침전물이 제거된 발효물의 상층액을 여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침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엘라스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고, 스네어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하는 발효 인삼 추출물의 성분은 유효한 함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균체를 제거함으로써 추가의 발효를 방지하여 제형화 시 성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발효 인삼 추출물을 농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증발농축 또는 감압농축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 회전진공농축장치(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일본)에 투입하여 농축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발효 인삼 추출물을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제를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로 제형화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구체적인 함량 및 성분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조예 1
(1) 균주의 분리 및 선별
인삼을 오존수에 살균한 후 밀봉하여 3개월 동안 자연 숙성하였 숙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인삼 숙성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다. 인삼 숙성물을 멸균증류수를 이용하여 1 내지 10-5배의 농도로 희석한 후 MRS agar 배지에 100㎕씩 도말하여 30℃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균주는 모양, 색, 투명도, 크기, 외형구조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선발하였으며 선발 균주는 MRS agar 배지에 Streaking 하여 4회 계대 배양하여 Single colony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는 20% Glycerol stock solution을 만들어 -70℃의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2)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에 의한 분리 균주의 동정
상기 선별된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한 다음, 16S rRNA gene sequencing을 (주)제노텍에 의뢰하였으며, 계통학적 분석을 위하여 NCBI database를 이용하여 Type strain과의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Type strain의 16S rRNA 염기서열을 BioEdit program (Hall, 1999)과 Clustal X program(Thompson et al., 1997)을 이용하여 Alignment 하고, 균주들의 진화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은 Kimura two-parameter model(Kimura, 1983)을 이용하였으며, MEGA 3 Program(Kumar et al., 2004)의 Neighbor-joining(Saitou and Nei, 1987)방법으로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결정하였다.
상기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16S rRNA 분석을 실시하고 BLAS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균주의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상기 GFC 1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의 16S rRNA gene과 99% 상동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GFC 1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에 속하는 새로운 균주로 판명되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GFC 1(수탁번호: KCTC18333P)로 명명하고, 이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2014년 10월 21일자로 수탁하고, 수탁번호 KCTC18333P을 부여 받았다.
실시예 1
MRS 배지에 GFC 1 균주를 접종하고, 37℃에서 3일 동안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종균 배양하였다. 상기 생장된 종균은 하기와 같이 인삼 열매에 직접 접종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인삼 열매 10g에 물 100ml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상기 종균 배양된 GFC 1 균주를 접종하였다. 이때 균주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락토오스 0.5g 내지 10g를 첨가하고,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물을 8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다음, 여과 및 살균하여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균주의 유효물질 생성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MRS 배지에 인삼 분말 1 내지 2g을 첨가하고, 상기 배지에서 37℃에서 3일 동안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종균 배양 하였다. 상기 생장된 종균은 하기와 같이 인삼 열매 분쇄물, 마늘 분쇄물 및 오가피 분쇄물 혼합물에 직접 접종하여 발효물을 제조 하였다.
상기 인삼 열매는 인삼의 열매 부위를 50 메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고, 마늘은 마늘을 50 메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으며, 오가피는 줄기 부위를 50 메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인삼 열매 분쇄물 10g, 마늘 분쇄물 6g 및 세절한 오가피 분쇄물 2g에 물 100ml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상기 종균 배양된 GFC 1 균주를 접종하였다. 이때 균주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락토오스 0.5g 내지 10g를 첨가하고,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물을 8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다음, 여과 및 살균하여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인삼 열매 10g에 물 100ml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인삼 열매 분쇄물, 마늘 분쇄물 및 오가피 분쇄물을 1:0.3:0.3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인삼 열매 분쇄물 10g, 마늘 분쇄물 6g 및 오가피 분쇄물 2g에 물 100ml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Lactobacillus casei GFC1 균주 대신 Lactobacillus casei 일반 균주를 접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다당체 함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시료를 각각 80% 이상의 에탄올(ethanol)에 침지하여 4에서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침전물에 5%의 증류수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105에서 가열하여 에탄올을 증류시키고, 한외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동결건조기(Eyela FDU 540, Japan)에서 동결 건조하여 분리한 후, 고형분 무게를 측정하여 수용성 다당체 함량으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다당체 함량(mg/g)
실시예 1 29.9±0.58
실시예 2 47.2±0.28
비교예 1 7.01±0.33
비교예 2 11.1±0.38
비교예 3 30.0±0.3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물은, 발효를 하지 않은 추출물이 포함된 비교예 1 및 2 보다 각각 4.2배 높은 다당체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actobacillus casei GFC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실시예 2는, 동종의 균주(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비교예 3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다당체 함량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2) 세포 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각각 0, 3.125, 6.25, 12.5, 25, 50, 100(㎍/㎖)의 농도로 희석하여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4 well plate에 1.0 x 104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24 시간 배양한 cell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 농도별로 배지와 혼합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및 5% CO2조건의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반응한 다음,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WST-1 assay solution (ez-cytox)을 첨가하여 배양기에서 2 시간 반응 후 ELISA reader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추출물은 100 ㎍/㎖의 고농도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Lactobacillus casei GFC1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비교예 1 추출물에 비해 세포 독성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3) 염증유발인자 억제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Nitric Oxide(NO)를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및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1.0 x 104 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cell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추출물을 50(㎍/㎖) 농도로 배지와 혼합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 및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반응 시켜주었다. 이때, NO를 발현 시키는 염증유발인자인 LPS(lipo poly saccharide)를 1㎍/㎖의 농도로 같이 처리하고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주었다. 그 다음에,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Nitric Oxide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배양액 중 100㎖ 를 96 well plate에 취하고 Griess reagent A 50㎕ 및 Griess reagent B 50㎕를 각각 넣어준 뒤 각각 10 분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Griess Reagent A: N-1-Naphthylethylenediamine (NEDHC)
Griess Reagent B: Sulfanilamide
구분 NO 생성농도(μM)
양성대조군 15±0.15
음성대조군 55±0.21
실시예 1 27±0.24
실시예 2 12±0.36
비교예 1 58±0.71
비교예 2 60±0.32
비교예 3 41±0.68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3보다 Nitric oxide(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 자유라디칼 제거 능력 시험
프리라디칼은 활성산소를 말하며, 우리가 호흡한 산소가 에너지를 만들고 물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산화력이 수 천 배나 높은 물질이다. 동식물의 체내 세포들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스트레스, 광자극, 세균 침투에 의해서도 발생되며, 과량의 활성산소가 체내에 존재하면 정상 세포까지 무차별 공격, 각종 질병과 노화의 주범이 된다. 또한, 외부 자극에 민감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병리적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항산화능을 나타냄으로써 염증 완화 효과를 가지는지를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DPPH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를 50(㎍/㎖)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0.1M DPPH 250㎕(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을 혼합 후 30 분간 4℃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각 sample을 96 well plate에 담아 ELISA reader기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시료의 자유라디칼 소거량(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1]
자유라디칼소거능(%)=[100-(시료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자유라디칼소거능(%)
양성대조군 66.74±0.98
실시예 1 60.9±0.24
실시예 2 82.1±0.68
비교예 1 55.3±0.13
비교예 2 51.4±0.44
비교예 3 78.9±0.5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물은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나, 균주를 접종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2 보다 DPPH 소거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actobacillus casei GFC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실시예 2는, 동종의 균주(Lactobacillus casei)를 이용한 비교예 3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능(항산화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5) 주름방지 효능 검증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엘라스테이즈(Elastase)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50(㎍/㎖)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10mM Tris-HCl buffer(pH 8.0)에 녹인 N-succinyl-(Ala)3-p-nitroanilide (S4760, Sigma) 1.6 mM 농도의 기질과 Elastase from porcine pancreas Type Ⅳ(E0258, Sigma) 0.4U/mL를 혼합하여 25℃에서 5분 동안 반응한 후 96 well plate에 담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료를 넣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Oleanolic acid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2]
엘라스테이즈 저해활성(%)=100-(시료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엘라스테이즈 저해활성(%)
양성 대조군 88.30±0.50
음성 대조군 6.1±0.50
실시예 1 44±0.43
실시예 2 79.3±0.64
비교예 1 28±0.55
비교예 2 50.0±0.33
비교예 3 69.1±0.35
상기 표 4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2 보다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며,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6) Snare 막융합 효과 저해
막융합현상 저해제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대해 막융합 저해 효과를 시험하였다. SNARE 단백질은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 단백질을 과다 발현 시킨 후, 발현된 단백질을 글루타티온 아가로스 비드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정제하여 수득했다. 다음 형광물질이 표시된 미세한 피막입자인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 1-팔미토일-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파티딜콜린(POPC, 62 mol%),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파티딜세린(DOPS, 35 mol%),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세린-N-(7-니트로-2-1,3-벤즈옥사디아졸-4-일)(NBD-PS, 1.5 mol%) 및 형광물질인 로다민(Rhodamin-PE, 1.5 mol%)을 혼합하여 10mM 리포좀(v-vesicle)을 제조했다. 다음 형광물질이 표식되지 않은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 DOPS와 POPC를 몰농도가 35 : 65가 되도록 혼합하여 50mM 리포좀(t-vesicle)을 제조했다. 정제된 SNAP-25와 신택신 1a의 복합체를 만들기 위해 몰농도가 1 : 1이 되도록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물질이 표식되지 않은 리포좀과 몰비율이 100 : 1이 되도록 섞고, VAMP-2는 형광물질이 들어있는 리포좀과 몰비율이 50 : 1로 결합시켰다. 후속하여, 2종의 리포좀을 투석한 후 1 : 9 (v-vesicle : t-vesicle)의 비율로 섞은 후, 형광강도 측정기기(모델명:
SpectraMax M2, 제조사: 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막융합 저해 (%)
양성 대조군
(Myricetin)
50.60±0.35
음성 대조군 2.2±0.31
실시예 1 28.1±0.22
실시예 2 49.3±0.35
비교예 1 16.1±0.29
비교예 2 20.0±0.84
비교예 3 27.3±0.54
(7)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추출물에 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을 각각 적용하여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단위:중량%)
정제수 88.97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1.0
카보머 15.0
트리에탄올아민 0.2
스테아릭애씨드 3.0
비즈왁스 0.5
스쿠알렌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세틸알코올 1.0
방부제 0.01
추출물 5.0
합계 100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 25℃ 및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또한 일광 조건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를 각 5개씩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평가 항목 분리 및 변색정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45℃ 1 1 1 2
25℃ 0 0 0 0
4℃ 0 0 0 0
일광 1 1 1 1
상기 표 7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변색 및 분리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은 인삼 열매 분쇄물 및 락토오스를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마늘 분쇄물, 오가피 분쇄물 및 용매를 더 포함하고, 전체 발효용 조성물 중 인삼 열매 분쇄물은 7 중량% 내지 10 중량%, 마늘 분쇄물은 4.5 중량% 내지 6 중량%, 오가피 분쇄물은 1.5 중량% 내지 2 중량%, 락토오스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용매는 72 중량% 내지 86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로 제형화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능을 더 갖고, 주름개선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인삼을 포함하는 발효용 조성물에 스네어 단백질(SNARE protein) 활성 저해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Lactobacillus casei GFC1; KCTC18333P) 균주를 접종하고, 27℃ 내지 37℃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균체가 제거된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발효용 조성물에 접종하기 전에, 상기 발효용 조성물을 8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90분 동안 살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상기 발효물을 6000 rpm 내지 10000 rpm으로 15분 내지 2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후, 침전물이 제거된 발효물의 상층액을 여과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 조성물은 인삼으로 인삼 열매 분쇄물을 이용하고, 마늘 분쇄물, 오가피 분쇄물 및 락토오스를 더 포함하며,
    전체 발효용 조성물 중 인삼 열매 분쇄물은 7 중량% 내지 10 중량%, 마늘 분쇄물은 4.5 중량% 내지 6 중량%, 오가피 분쇄물은 1.5 중량% 내지 2 중량%, 락토오스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용매는 72 중량% 내지 86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 인삼 추출물을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제를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로 제형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60095756A 2016-07-27 2016-07-27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56A KR101860312B1 (ko) 2016-07-27 2016-07-27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756A KR101860312B1 (ko) 2016-07-27 2016-07-27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47A true KR20180012647A (ko) 2018-02-06
KR101860312B1 KR101860312B1 (ko) 2018-05-23

Family

ID=6122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756A KR101860312B1 (ko) 2016-07-27 2016-07-27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3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0954A (zh) * 2018-09-29 2019-01-08 上海海洋大学 一种香瓜茄酸性多糖及其提纯方法和用途
KR102106018B1 (ko) * 2019-08-09 2020-05-15 (주)지에프씨생명과학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갖는 증숙인삼열매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453319B1 (ko) * 2021-08-09 2022-10-1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락토바실러스 쿤키 Hankook-001 균주를 이용한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그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CN115227615A (zh) * 2022-08-03 2022-10-25 北京工商大学 人参根发酵物,含其皮肤外用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1358B1 (en) 2006-10-13 2009-06-17 Compagnie Gervais Danone New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quality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0954A (zh) * 2018-09-29 2019-01-08 上海海洋大学 一种香瓜茄酸性多糖及其提纯方法和用途
CN109160954B (zh) * 2018-09-29 2020-09-08 上海海洋大学 一种香瓜茄酸性多糖及其提纯方法和用途
KR102106018B1 (ko) * 2019-08-09 2020-05-15 (주)지에프씨생명과학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갖는 증숙인삼열매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453319B1 (ko) * 2021-08-09 2022-10-1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락토바실러스 쿤키 Hankook-001 균주를 이용한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그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미백,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CN115227615A (zh) * 2022-08-03 2022-10-25 北京工商大学 人参根发酵物,含其皮肤外用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227615B (zh) * 2022-08-03 2024-04-09 北京工商大学 人参根发酵物,含其皮肤外用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312B1 (ko)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312B1 (ko)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21402B2 (ja) 細胞分化促進剤及び化粧料
KR101785954B1 (ko)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339822B2 (ja) 化粧料
KR101770140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튬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라케케 발효 추출물
JP2017039680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経口組成物
KR101686112B1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5397A (ko) 녹차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조성물
KR102227539B1 (ko)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JP6321401B2 (ja) 化粧料
KR101811411B1 (ko) 딱지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049690A (ja) 新規なアウレオバシジウムプルランス菌株及びその使用
JP6951908B2 (ja) 皮膚外用剤
JP2015199680A (ja) 幹細胞機能維持剤
KR101960810B1 (ko) 블랙커런트 열매와 아로니아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20180106997A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571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당근 발효물 제조방법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4481A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WO2020129888A1 (ja) 植物性乳酸菌を含むスキンケア剤
KR20210025757A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