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997A -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997A
KR20180106997A KR1020180032136A KR20180032136A KR20180106997A KR 20180106997 A KR20180106997 A KR 20180106997A KR 1020180032136 A KR1020180032136 A KR 1020180032136A KR 20180032136 A KR20180032136 A KR 20180032136A KR 20180106997 A KR20180106997 A KR 2018010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lotion
whitening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969B1 (ko
Inventor
민진우
김혜진
한우리자랑
주광식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지에프씨생명과학
Publication of KR2018010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발효 전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 대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6~7배 증대되어,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Fermented Extracts of Vernicia fordii}
본 발명은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동(Vernicia fordii)은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낙엽교목으로, 나무 종자에서 기름이 나오기 때문에 흔히 기름오동나무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의 남부해안지방에서도 자란다. 나무의 높이는 약 7.5~10 m까지 자라고, 나무껍질은 잿빛을 띄는 갈색이고 피목이 있으며 굵은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서 자라고 심장 모양 또는 동그란 모양이며, 꽃은 5월에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삭과로서 9월이면 성숙하는데 둥글고 세 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남부지방에서는 유동을 녹음수나 정원수로 심으며, 종자에서는 기름을 채취하는데, 이 기름을 "동유(桐油)"라고 한다. 동양에서는 동유를 전통적으로 불을 밝히는데 썼으며, 현대에도 산업용으로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다.
유동의 열매는 동양 전통의학에서 통토풍담, 소종독 등의 효능이 있으며, 풍담후비(후두결핵, 후두매독 등), 개선, 단독, 화상, 농포창, 식적복창, 대소변 불리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뿌리는 소식, 이수, 화담, 살충의 효능이 있으며, 식적비만, 수종, 고창, 효천, 나력, 회충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잎은 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어 옹창, 단독, 겸창, 동창, 개선, 이질 치료에 사용하였다.
유동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s)가 함유되어 있으며, 화학성분연구를 통해 디터피노이드에스터(Diterpenoid esters), 스테롤(Sterols), 탄닌(Tannins), 오일(Oil), 쿠마린(Coumarin), 쿠마로리그난(Coumarolignan)계 화합물들이 함유되어있다는 연구결과가 알려져 있다. 유동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로는 인간 다형핵 백혈구 활성 인자(Human polymorphonuclear leukocyte activating factor), 인간 호중구 활성 인자(Human neutrophil-activating factor) 등이 밝혀졌으며, 유동의 추출물 및 디테르펜에스터(Diterpene esters)에 의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활성이 유도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유동의 12-O-헥사데카노일-16-하이드록시포볼 13-아세테이트(12-O-hexadecanoyl-16-hydroxyphorbol 13-acetate)는 인간 T-림프구친화성 바이러스 타입 I(Human T-lymphotrophic virus type I, HTLV-I)에 의해 유도되는 림프구의 콜로니 형성을 증대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을 이용하는 기술로는, 국내의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5133호「유동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148호「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황백(Phellodendron amurense)은 산초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황경피 나무 또는 이의 껍질을 말려 제조한 약재를 의미하며, 황경피, 자벽, 소벽, 단환 등의 이름으로도 불린다. 줄기껍질은 연한 회색이나 코르크층이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며, 코르크층을 벗긴 내피는 노란색이다. 주로 약재로 사용되는 부분은 수피로서 일반적으로 3mm 정도의 두께와 30cm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단환이라고 불리는 황벽나무(황백나무)의 뿌리인 황벽근은 명치에 생긴 질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점액성이 있으며 침을 황색으로 물들인다. 약효는 황금 또는 황련과 비슷하나 그 약효가 적용되는 부위는 차이가 있다. 알려진 약리작용은 항미생물 작용, 수렴 작용, 피하출혈흡수촉진 작용, 항염증 작용, 건위 작용, 혈압강하 작용, 근수축력증강 작용 등이며, 유행성 뇌막염, 세균성이질, 폐렴, 폐결핵, 간경변, 급성 결막염, 해열, 해독, 설사, 당뇨병, 황달, 비만증, 관절통, 근육통 등에 쓰인다.
황칠(Dendropanax mordifera)은 한국의 남부 해변과 섬의 산록 수림속에 나는 상록교목이다. 껍질에 상처가 나면 황색 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이나, 노목(老木)에서는 잎이 난형,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20cm이다. 양 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가 있다. 꽃은 양성화,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리고, 화축의 길이 3-5cm, 꿀샘이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종형, 끝이 5갈래, 꽃잎 5장, 수술 5개, 자방 5실, 암술머리 5갈래이다.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 검은색으로 익는다. 수액은 가구의 칠용으로 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황칠은 정유성분(精油成分)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담황색의 진한 유상액체(油狀液體)로서 상쾌한 향기를 지니며 맛은 쓰다. 황칠 안에 들어 있는 정유는 주로 고불점(高弗點) 부분으로, 그 주성분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이며, 그 밖에 알코올, 에스테르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황칠은 항암 작용, 항균 작용, 항산화 작용, 정혈 작용, 진통작용, 신경안정작용이 있으며, 면역력 강화, 경조직(뼈와 치아) 재생, 간기능 개선, 염좌상, 안식향, 풍습비통, 반신 불수, 혈액순환촉진, 중풍, 편두통, 월경불순, 관절염, 사지마비동통 등에 우수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에서 분리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로 발효된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이 발효 전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 대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6~7배 증대되어,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51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1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균주로 발효된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를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에 접종 및 발효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및 황칠(Dendropanax mordifera)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및 황칠(Dendropanax mordifera) 추출물의 비율은 1:0.01~0.5:0.01~0.5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발효 전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 대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6~7배 증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발효 전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 대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6~7배 증대되어,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세포독성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이하 'GFC 160704'로 약칭함)를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에 접종 및 발효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 추출물은 유동의 잎, 줄기, 나무 껍질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중에서도 잎 부위를 사용하는 것이 발효 추출시 다당체 함량이 현저하게 높아진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을 이용할 경우 유동나무의 잎, 줄기, 나무 껍질을 10~500메시(mesh) 크기로 분쇄 또는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은 유동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용매 100 ~ 20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유동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GFC 160704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시킨 후, 여과 및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 ~ 10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하기의 추출방법으로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과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은 균주 배양이 가능한 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매에 유동을 첨가하고 GFC 160704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시켜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GFC 160704 균주를 유동 추출물에 접종한 후, 발효시킬 시 27 ~ 37℃에서 3 ~ 7일 동안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배양 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발효균주의 배양조건이 맞지 않아 균주 증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동 발효 추출물에 포함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이 증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GFC 160704 균주는 균주의 활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종균 배양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FC 160704 균주를 배양 시, MRS 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동 1~2 중량부를 첨가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상기 유동이 첨가된 배지에 GFC 160704 균주를 접종하여 종균 배양하는 것이 GFC 160704 균주의 활성을 용이하게 유도하여 다당체 생성에 효과적이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종균 배양은 27 ~ 37℃에서 3 ~ 7일 동안 배양하는 것이 다당체 함량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된 종균은 유동에 직접 접종하여 발효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균주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락토오스(Lactose)를 추가적으로 첨가하고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토오스는 상기 유동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GFC 160704 균주의 생장이 가장 원활하고, 효소의 활성도가 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유동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부 화장료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동 발효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은 원심 분리, 살균 및 여과를 거쳐 제조하는 것이 향후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유효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은 발효 전 유동 추출물 대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6~7배 증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동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이 GFC 160704 균주로 인한 발효과정을 통해 발효 전 대비 함량이 증가하여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등 단순히 피부 미용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피부 건강 개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및 황칠(Dendropanax mordifera)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더욱 증대되어 화장료로서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황백 및 황칠은 품종, 부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황백 및 황칠은 10~500메시(mesh) 크기로 분쇄 또는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하기의 추출방법으로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추출용매로 이용되며, 이러한 추출용매를 사용할 경우 추출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어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황백 또는 황칠을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교반추출, 환류 냉각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초임계 추출 중 하나 이상의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의 비율은 1:0.01~0.5:0.01~0.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은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농축 공정을 거쳐 수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농축은 증발농축 또는 감압농축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동 발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회전진공농축장치(rotary vacuum evaporator)에 투입하여 농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GFC 160704 균주로 발효된 유동 발효 추출물은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자극이 적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가용화제 또는 착향제, 염료,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암모늄라우릴술포석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으며, 점증제는 잔탄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가능하며,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며, 항균(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구체적으로 피이지 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향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수득된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부여하기 때문에 피부 개선에 효과적인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유동 발효 추출물 제조
유동은 제천한방약초에서 완전 건조된 국내산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균주에 의한 발효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MRS 배지 100g에 유동 잎 분말(200 mesh)을 2g 첨가한 다음, 상기 배지에 인삼에서 분리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를 1.0 X 107CFU로 접종하고, 37℃에서 3일 동안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종균 배양 하였다.
다음으로, 건조된 유동 잎 분말(200 mesh) 1kg에 50% 에탄올 20kg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 추출 후 여과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다음, 회전 진공농축장치(Eyela, 일본)에서 농축하여 유동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동 추출물 10g에 상기 종균 배양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를 1.0 X 107CFU로 접종하였다. 이때 균주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락토오스 5g 첨가하고,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물을 8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다음, 여과 및 살균하여 최종 유동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복합 추출물 제조
황백 및 황칠은 제천한방약초에서 완전 건조된 국내산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황백은 줄기 및 뿌리 부위를 50 mesh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으며, 황칠은 잎 및 줄기 부위를 50 mesh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황백 및 황칠 각각 1kg에 50% 에탄올 20kg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 추출 후 여과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다음, 회전 진공농축장치(Eyela, 일본)에서 농축하여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에 1에서 수득된 유동 발효 추출물 10g, 황백 추출물 0.5g, 황칠 추출물 0.2g을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유동 추출물 제조
유동은 제천한방약초에서 완전 건조된 국내산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유동 잎 분말(200 mesh) 1kg에 50% 에탄올 20kg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 추출 후 여과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다음, 회전 진공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유동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황백 및 황칠 복합 추출물 제조
황백 및 황칠은 제천한방약초에서 완전 건조된 국내산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황백은 줄기 및 뿌리 부위를 50 mesh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으며, 황칠은 황칠은 잎 및 줄기 부위를 50 mesh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황백 및 황칠 각각 1kg에 50% 에탄올 20kg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 추출 후 여과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다음, 회전 진공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에 1에서 수득된 황백 추출물 1g, 황칠 추출물 0.3g을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각각 80% 이상의 에탄올(Ethanol)에 침지하여 4℃에서 24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침전물에 5%의 증류수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105℃에서 가열하여 에탄올을 증류시키고, 한외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동결건조기(Eyela FDU 540, Japan)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리한 후,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실시예 1 32.30.58
실시예 2 48.50.18
비교예 1 5.010.22
비교예 2 2.10.19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비교예 1~2 대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월등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인 유동 발효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32.3mg/g이고, 비교예 1인 유동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5.01mg/g인 것으로 나타나,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6~7배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삼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을 증가시킨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2 중에서도 실시예 1 보다 실시예 2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16.2mg/g 증가하여, 유동 발효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유동 발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했을 경우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더욱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세포독성 시험 : WST(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assay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포에 대한 자극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RAW 264.7 cell을 대상으로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1.0x104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RAW 264.7 cell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각 농도별(0, 10, 25, 50, 100㎍/㎖)로 배지와 혼합한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및 5% CO2조건의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반응한 다음,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WST-1 assay solution(ez-cytox)을 첨가하여 배양기에서 2시간 반응 후 ELISA reader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군(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 (%)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 무처리군의 흡광도) * 100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두 RAW 264.7 cell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발효 후에도 화장품에 안전한 소재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항산화 시험 :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프리라디칼은 활성산소를 말하며, 우리가 호흡한 산소가 에너지를 만들고 물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산화력이 수 천 배나 높은 물질이다. 동식물의 체내 세포들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스트레스, 광자극, 세균 침투에 의해서도 발생되며, 과량의 활성산소가 체내에 존재하면 정상 세포까지 무차별 공격, 각종 질병과 노화의 주범이 된다. 또한, 외부 자극에 민감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병리적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항산화능을 나타냄으로써 염증 완화 효과를 가지는지를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DPPH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0.1M DPPH 250㎕(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을 혼합 후 30분간 4℃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각 Sample을 96Well plate에 담아 ELISA reader기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자유라디칼소거능(%)=[100-(시료 처리군의 흡광도/시료 무처리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자유라디칼소거능(%)
양성대조군 70.321.31
실시예 1 69.11.04
실시예 2 88.10.54
비교예 1 68.40.13
비교예 2 62.30.44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비교예 1~2 대비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2 중에서도 실시예 1 보다 실시예 2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한 바, 유동 발효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유동 발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했을 경우 항산화 활성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의 발효 과정을 거쳐 항산화 효능을 갖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함량이 증가하여 발효 전 대비 효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4> 항주름 효능 시험 :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엘라스테이즈(Elastase)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50(㎍/㎖)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10mM Tris-HCl buffer(pH 8.0)에 녹인 N-succinyl-(Ala)3-p-nitroanilide(S4760, Sigma) 1.6 mM 농도의 기질과 Elastase from porcine pancreas Type Ⅳ(E0258, Sigma) 0.4U/mL를 혼합하여 25℃에서 5분 동안 반응한 후 96Well plate에 담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은 시료를 넣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3]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100-(시료 처리군의 흡광도/시료 무처리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양성 대조군 90.300.50
음성 대조군 6.10.50
실시예 1 54.60.43
실시예 2 81.30.64
비교예 1 31.20.55
비교예 2 55.00.33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비교예 1~2 대비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유사 또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2 중에서도 실시예 1 보다 실시예 2가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한 바, 유동 발효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유동 발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했을 경우 주름 개선 효능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의 발효 과정을 거쳐 주름 개선 효과가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미백 효능 시험 : 멜라닌 생성량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미백과 관련이 있는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을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60ΦPetri dish에 한 dish 당 2.0x105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얻은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α-MSH 50nM과 함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취하여 배지와 혼합하여 분주하고 60시간 반응시켜준 뒤, 배양액(상층액) 수거하였다. 60시간 반응시킨 배양액(상층액)은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1ml을 덜어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멜라닌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4]
멜라닌 생성량(%)=(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구분 Melanin contents (% of control)
양성 대조군 26.520.88
음성 대조군 92.121.54
실시예 1 19.890.37
실시예 2 22.741.11
비교예 1 38.810.94
비교예 2 74.511.05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비교예 1~2 대비 멜라닌 생성량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의 발효 과정을 거쳐 미백 효과가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염 효능 시험 : Nitric Oxide(NO)를 억제 활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니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를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및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1.0x104 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RAW 264.7 cell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50(㎍/㎖) 농도로 배지와 혼합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 및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NO를 발현시키는 염증유발인자인 LPS(Lipo poly saccharide)를 1㎍/㎖의 농도로 같이 처리하고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Nitric Oxide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배양액 중 100㎖ 를 96 Well plate에 취하고 Griess reagent A(N-1-Naphthylethylenediamine (NEDHC)) 50㎕ 및 Griess reagent B(Sulfanilamide) 50㎕를 각각 넣어준 뒤 각각 10분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 NO의 농도는 Sodium nitrite (NaNO2)의 농도별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구분 NO 생성농도(μM)
양성대조군 16.50.23
음성대조군 68.60.39
실시예 1 21.90.39
실시예 2 17.40.54
비교예 1 69.00.98
비교예 2 57.40.54
그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비교예 1~2 대비 니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생성농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니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의 발효 과정을 거쳐 항염 효과가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항균 효능 시험 : MIC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1. 평가 배지의 준비
평가 방법으로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항균 활성 평가에는 표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 Korea) 및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배양에는 TSA 배지(Tryptic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칸디다 알비칸스의 배양에는 YM 배지(Yeast extract Media) 배지를 사용하였다.
2. MIC 테스트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각 표준 시험균주를 3X105cfu/㎖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대표적으로 시험 농도 1%, 0.5%, 0.25%, 0.125%, 0.0625%, 0.03125%, 0.015625%, 0.0078125% 농도로 맞추고, 시험 균주의 Single colony 이용하여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흡광도(600nm)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는 최저 농도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분(단위: %)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 칸디다 알비칸스
실시예 1 0.25 0.25 0.5 0.25
비교예 1 X 0.1 X X
그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는 비교예 1 대비 0.25%의 적용시 기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 참조)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에 대한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0.5%의 적용시,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에 대한 억제 효과가 확인되어,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제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래의 표 7~10에 기재된 조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단위:중량%)
정제수 to 100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1.0
카보머 15.0
트리에탄올아민 0.2
스테아릭애씨드 3.0
비즈왁스 0.5
스쿠알렌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세틸알코올 1.0
방부제 0.01
실시예 1 5.0
성분명 함량(단위:중량%)
정제수 to 100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1.0
카보머 15.0
트리에탄올아민 0.2
스테아릭애씨드 3.0
비즈왁스 0.5
스쿠알렌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세틸알코올 1.0
방부제 0.01
실시예 2 5.0
성분명 함량(단위:중량%)
정제수 to 100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1.0
카보머 15.0
트리에탄올아민 0.2
스테아릭애씨드 3.0
비즈왁스 0.5
스쿠알렌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세틸알코올 1.0
방부제 0.01
비교예 1 5.0
성분명 함량(단위:중량%)
정제수 to 100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1.0
카보머 15.0
트리에탄올아민 0.2
스테아릭애씨드 3.0
비즈왁스 0.5
스쿠알렌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세틸알코올 1.0
방부제 0.01
비교예 2 5.0
상기 표 7~10에서 제조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의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 25℃ 및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및 일광 조건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을 각각 5개씩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평가 항목 분리 및 변색정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45℃ 1 1 1 2
25℃ 0 0 0 0
4℃ 0 0 0 0
일광 1 1 1 1
그 결과,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2는 비교예 1~2 대비 변색 및 분리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GFC 160704 균주(수탁번호: KCTC18474P)를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에 접종 및 발효시켜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및 황칠(Dendropanax mordifera)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및 황칠(Dendropanax mordifera) 추출물의 비율은 1:0.01~0.5:0.01~0.5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Vernicia fordii) 발효 추출물은 발효 전 유동(Vernicia fordii) 추출물 대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이 6~7배 증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80032136A 2017-03-20 2018-03-20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3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14 2017-03-20
KR20170034414 2017-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997A true KR20180106997A (ko) 2018-10-01
KR102163969B1 KR102163969B1 (ko) 2020-10-12

Family

ID=6387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36A KR102163969B1 (ko) 2017-03-20 2018-03-20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2292A (zh) * 2022-05-10 2022-07-08 博雅(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消炎止痛牙膏及其制备方法
CN112438922B (zh) * 2019-08-27 2023-04-07 百岳特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山竹发酵液用于制备美肌及/或减脂组合物的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48B1 (ko) 2009-11-03 2013-11-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30135133A (ko) 2012-05-30 2013-12-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동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48B1 (ko) 2009-11-03 2013-11-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30135133A (ko) 2012-05-30 2013-12-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동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8922B (zh) * 2019-08-27 2023-04-07 百岳特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山竹发酵液用于制备美肌及/或减脂组合物的用途
CN114712292A (zh) * 2022-05-10 2022-07-08 博雅(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消炎止痛牙膏及其制备方法
CN114712292B (zh) * 2022-05-10 2023-10-20 付涛 一种消炎止痛牙膏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69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3104835A (ja) 化粧料組成物
KR101321854B1 (ko) 효소 처리 블래더랙 및 꿀풀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 탄력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5954B1 (ko)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3150B1 (ko)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12116761A (ja) 植物由来水蒸気蒸留含有化粧料
KR20130074983A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312B1 (ko)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124356A (ja) インターロイキン−1α産生阻害剤
JP2022049690A (ja) 新規なアウレオバシジウムプルランス菌株及びその使用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089355A (ja) イソマルトオリゴ糖含有皮膚常在菌叢改善剤
KR101468819B1 (ko) 무화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7436A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723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