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996A -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1996A KR20180011996A KR1020160094660A KR20160094660A KR20180011996A KR 20180011996 A KR20180011996 A KR 20180011996A KR 1020160094660 A KR1020160094660 A KR 1020160094660A KR 20160094660 A KR20160094660 A KR 20160094660A KR 20180011996 A KR20180011996 A KR 201800119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igarette smoke
- wall
- smoking
- booth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7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86 smoking ces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3 nox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04B1/40—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 E04B2001/405—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는, 내부에 흡연공간을 이루는 다수의 측면패널부와 상기 측면패널부의 상단부를 덮는 천장패널부로 이루어지는 부스몸체 및 상기 부스몸체의 내측면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상기 흡연공간에 제공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는 흡연부스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부는, 상기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는 측면덕트부가 외벽체와 다수의 측면미세공이 형성된 내벽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공조된 공기가 상기 측면덕트부를 거쳐 상기 측면미세공을 통해 토출됨에 따라 상기 흡연공간에서 발생된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연공간을 이루는 다수의 측면패널부 및 이를 덮는 천장패널부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미세공(측면,상단)을 통해 온기 또는 냉기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됨에 따라 흡연공간의 온도조절이 이루어짐은 물론, 패널부(측면,천장)의 내측면에 대한 담배연기의 흡착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면적인 공조된 공기의 토출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 중인 담배연기는 천장패널부의 배기부 쪽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됨에 따라 담배연기의 외부 배출 및 공기순환이 더욱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연부스 내로 쾌적한 상태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면서도 흡연부스 내의 패널 벽체에 담배연기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패널 벽체의 변색 및 불쾌한 담배 냄새의 저감을 이룰 수 있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간접흡연 등의 문제로 인해 특정한 지역의 노변, 공공장소나 지하철역 주변 등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금연구역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막대한 세수를 납부하고 있는 금연자를 위한 시설은 극히 미비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금연구역 등에서의 실질적인 관리나 규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실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나 후미진 골목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담배꽁초나 가래 등으로 인한 주변 미관의 저해 및 통행자의 불쾌감이나 간접흡연 등이 유발되는 문제를 낳고 있다.
이에 비흡연 통행자의 간접흡연을 미연에 방지되어 비흡연자의 건강을 배려함과 아울러 흡연금지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흡연부스의 설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는 흡연부스와 관련된 기술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6-0025211호(공개일: 2016년03월08일)는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부스본체 및 상기 부스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공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강제 공급하는 외기공급유닛 및 상기 부스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유닛 및 상기 부스본체 외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흡기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집진유닛 및 상기 외기공급유닛, 흡기유닛, 집진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강제 흡배기 방식을 이용하여 오염된 내부공기의 지속적인 배출과 청정한 외부공기의 지속적이 공급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흡연부스 내부공간의 정화 효율이 향상되어 흡연자가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흡연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흡연부스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여전히 개선이 요구되며, 꾸준한 개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예컨대, 측면 쪽에 외기공급유닛이 자리하여 외기를 내부공간에 공급하고, 내부공간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유닛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의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이루어진 구조는, 전형적인 공기 순환구조로서 내부공간의 담배연기를 외부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에 무리가 없지만, 이러한 구조 자체만으로는 흡착력이 강한 담배연기가 내부공간의 벽면에 침착 내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내부공간 벽면에 대한 담배연기의 침착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중첩되면서 벽면을 누렇게 변색시켜 내부 미관을 해치고, 불쾌한 담배냄새를 유발시킴은 물론, 이로부터 3차 간접흡연의 피해까지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이를 해소 내지 저감시킬 수 있는 흡연부스에 대한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아울러, 외기공급유닛은 흡연부스 측면 쪽에 하나가 설치되는 반면, 흡기유닛은 천장 쪽에 다수 개로 설치되는 구조는, 공급되는 외기와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내부공간상에서 불규칙한 와류를 발생시켜 담배연기와 벽면 간의 접촉을 더욱 활발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내부공간으로의 공기 유입과 유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면서도 신속한 담배연기의 외부 배출을 이룰 수 있는 흡연부스에 대한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연부스의 흡연공간 내로 쾌적한 공기의 유입과 흡연공간 내의 담배연기를 포함한 공기의 유출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흡연공간의 내부 벽면에 담배연기가 침착 내지 흡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담배연기의 원활한 배출을 안내할 수 있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흡연공간을 이루는 다수의 측면패널부와 상기 측면패널부의 상단부를 덮는 천장패널부로 이루어지는 부스몸체 및 상기 부스몸체의 내측면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상기 흡연공간에 제공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는 흡연부스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부는, 상기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는 측면덕트부가 외벽체와 다수의 측면미세공이 형성된 내벽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공조된 공기가 상기 측면덕트부를 거쳐 상기 측면미세공을 통해 토출됨에 따라 상기 흡연공간에서 발생된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측면패널부는, 외기와 접하는 상기 외벽체; 상기 외벽체와 상기 측면덕트부를 이루도록 상기 외벽체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다수의 상기 측면미세공이 형성되는 상기 내벽체; 상기 외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상단부과 기밀결합하고, 다수의 상단공기유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상단마감부재; 및 상기 외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양측단부과 기밀결합하고, 다수의 측면공기유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측면마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부 상호 간은, 다수의 상기 측면패널부가 상기 흡연공간을 이룰 수 있도록,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경우 절곡브라켓에 의해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절곡브라켓은,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체와, 상기 중공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각각 배치된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절곡결합단과, 상기 측면공기유입홀과 상기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에 형성된 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부 상호 간은, 상기 흡연부스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치된 경우 연장브라켓에 의해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연장브라켓은,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체와, 상기 중공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연장결합단과, 상기 측면공기유입홀과 상기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에 형성된 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패널부는, 상기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는 상단덕트부가 상단덮개와 하단덮개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덕트부와 상기 측면덕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측면패널부의 상단부와 기밀결합할 수 있다.
상기 천장패널부는, 외기와 접하는 상단덮개; 상기 상단덮개와 상기 상단덕트부를 이루도록, 상기 상단덮개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다수의 상기 상단미세공이 형성되는 하단덮개; 및 상기 상단덮개 및 상기 하단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부의 상단부와 기밀결합하고, 상기 상단덕트부와 상기 측면덕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패널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연공간 내의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부는, 외기와 상기 흡연공간이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배기홀과, 상기 배기홀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공간 내의 담배연기를 외부로 강제 토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패널부는, 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조장치는, 온기를 제공하는 난방부와 냉기를 제공하는 냉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방부는 상기 천장패널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난방부는 상기 천장패널부 및 상기 측면패널부의 하단부 중 어느 한쪽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연공간을 이루는 다수의 측면패널부 및 이를 덮는 천장패널부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미세공(측면,상단)을 통해 온기 또는 냉기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됨에 따라 흡연공간의 온도조절이 이루어짐은 물론, 패널부(측면,천장)의 내측면에 대한 담배연기의 흡착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면적인 공조된 공기의 토출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 중인 담배연기는 천장패널부의 배기부 쪽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됨에 따라 담배연기의 외부 배출 및 공기순환이 보다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체적인 공기순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체적인 공기순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전체적인 공기순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앞쪽), 후(뒤쪽) 등은 권리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또는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100)는, 외기 온도에 따른 흡연공간(S)의 온도조절은 물론, 흡연공간(S)을 이루는 패널 벽체(측면,상단)의 내측면에 대한 담배연기(CS)의 흡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담배연기(CS)의 외부 배출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며 흡연공간(S)의 전체적인 공기순환이 더욱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이러한 기능 내지 작용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1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흡연공간(S)을 이루는 다수의 측면패널부(110)와 측면패널부(110)의 상단부를 덮는 천장패널부(120)로 이루어지는 부스몸체(10) 및 부스몸체(10)의 내측면을 통해 공조된 공기 즉, 온기 또는 냉기를 흡연공간(S)에 제공하는 공조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스몸체(10)는, 담배연기(CS)가 외기로 직접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흡연공간(S)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측면패널부(110) 및 천장패널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부스몸체(10)를 4개의 측면패널부(110)를 사방(四方)에 배치하고, 그 상단부를 기밀상태로 덮는 1개의 천장패널부(120)로 구현하여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형상이 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3개의 측면패널부(110)를 삼각형 형태로 배치하거나, 5개의 측면패널부(110)를 오각형 형태로 배치하거나, 또는 6개의 측면패널부(110)를 육각형 형태 등으로 배치하고, 그 상단부를 기밀상태로 덮는 1개의 천장패널부(120)로 부스몸체(10)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각각의 측면패널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20)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는 측면덕트부(113)가 외벽체(112)와 다수의 측면미세공(114a)이 형성된 내벽체(114)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된 이중벽구조의 구성요소로서, 다수의 측면패널부(110) 상호 간은 기밀결합되어 담배연기(CS)의 외부 확산을 방지하는 흡연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측면덕트부(113)는 외벽체(112)와 내벽체(114) 사이에 구비되는 빈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공조장치(20)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계속적으로 제공받아 수용하게 된다. 이때, 측면덕트부(113) 내에서 공조된 공기가 소정압력 이상으로 축적되면, 공조된 공기는 내벽체(114)의 측면미세공(114a)을 통해 흡연공간(S) 쪽으로 소정의 토출압으로 토출됨에 따라 흡연공간(S)에서 발생된 담배연기(CS)와 내벽체(114) 간의 접촉을 방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내벽체(114)에 대한 담배연기(CS)의 흡착이 저지 내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패널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체(112), 내벽체(114), 상단마감부재(116) 및 측면마감부재(1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벽체(112)는 외기와 접하는 쪽에 배치되어 흡연공간(S)에서 발생된 담배연기(CS)의 확산을 방지하는 판형상의 구성요소로서, 합성수지, 유리, 금속 등과 같은 기체불투과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투과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내벽체(114)는 외벽체(112)와 측면덕트부(113)를 이루도록 외벽체(112)에 대하여 내측(즉, 흡연공간(S)과 접하는 쪽)으로 이격배치되는 판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측면덕트부(113)와 흡연공간(S)을 연통시키는 다수의 측면미세공(114a)이 내벽체(114)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걸쳐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미세공(114a)은, 공조된 공기의 토출시 측면덕트부(113) 내측에서 직접 토출되지 못한 공기의 간섭에 의한 내부 와류로 인해 공조된 공기를 은은하게 토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미세공(114a)은, 내벽체(114)로부터 일정한 분포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내벽체(114)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조장치(20)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의 송출압(SP)이 일정할 때, 측면미세공(114a)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압(DP)은 일반적으로 측면미세공(114a)의 크기(HS)와 반비례(연속의 방정식 참조)관계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측면미세공(114a)은 담배연기(CS)와 내벽체(114) 간의 접촉을 저지할 정도의 토출압(DP)을 갖는 측면미세공(114a)의 크기(HS)를 한도로 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SP ∝ DP ∝ 1/HS)
다만, 공조된 공기가 흡연자의 피부에 직접풍의 형태로 가해지지 않고 은은하고 미세한 형태로 토출될 수 있도록, 측면미세공(114a)의 크기는 0.1mm 내지 3mm 내외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된 형태의 측면미세공(114a)은 토출압의 증대를 위해 흡연공간(S) 쪽으로 갈수록 구멍의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천장패널부(12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기부(128) 쪽으로 담배연기(CS)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측면미세공(114a)은 서로 인접한 측면미세공(114a) 간에 관통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조된 공기가 서로 인접한 측면미세공(114a)으로부터 각각 토출된 후 서로 맞부딪치도록 하여 소정의 와류를 생성시킴으로써 담배연기(CS)의 접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하기 위함이다.
내벽체(114)도 외벽체(112)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유리, 금속 등과 같은 기체불투과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투과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단마감부재(116)는, 외벽체(112) 및 내벽체(114) 간의 이격거리유지와 측면패널부(110)의 견고한 형태유지를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판재 또는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벽체(112) 및 내벽체(114)의 상단부과 기밀결합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단공기유입홀(116a)이 이격형성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단마감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하단마감부재는 상단공기유입홀(116a)과 같은 구멍이 없는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측면마감부재(118)는, 상단마감부재(116)와 마찬가지로 외벽체(112) 및 내벽체(114) 간의 이격거리유지와 측면패널부(110)의 견고한 형태유지를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판재 또는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벽체(112) 및 내벽체(114)의 양측단부과 각각 기밀결합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측면공기유입홀(118a)이 이격형성된다.
앞서 살핀 상단마감부재(116)와 측면마감부재(118)는 측면패널부(110)를 모듈화된 형태로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흡연부스(100)의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면패널부(11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측면패널부(110)는 서로 인접한 패널 간의 결합을 위해 절곡브라켓(130) 또는 연장브라켓(140)이 사용될 수 있다.
절곡브라켓(130)은, 다수의 측면패널부(110)가 흡연공간(S)을 이룰 수 있도록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경우 측면패널부(110) 상호 간을 기밀상태로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32), 절곡결합단(134) 및 통기홀(1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체(132)는 중앙부에 중공(133)이 형성된 관체(132)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측면패널부(110)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때 중공(133)의 형상은 인접한 측면패널부(110) 간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즉, 도 3에서처럼 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 삼각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절곡결합단(134)은 중공(133)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각각 배치된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인접한 측면패널부(110)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절곡결합단(134)의 배치 각도는 인접한 측면패널부(110)의 개수와 배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예로, 3개의 측면패널부(110)로 정삼각형 형태의 흡연부스(100)를 형성하는 경우 절곡결합단(134)의 배치 각도는 60°가, 5개의 측면패널부(110)로 오각형 형태의 흡연부스(100)를 형성하는 경우 절곡결합단(134)의 배치 각도는 108°가, 6개의 측면패널부(110)로 육각형 형태의 흡연부스(100)를 형성하는 경우 절곡결합단(134)의 배치 각도는 120°가 될 수 있다.
측면패널부(110)의 단부와 절곡결합단(134) 간의 결합은 외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실링 결합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통기홀(136)은 측면공기유입홀(118a)과 중공(133)이 서로 연통되도록 관체(132)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천장패널부(120)를 통해 중공(133)으로 공급된 공조된 공기는 통기홀(136)을 거쳐 다시 측면패널부(110)(측면공기유입홀(118a))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연장브라켓(140)은, 다수의 측면패널부(110)가 흡연부스(100)의 크기를 확장하기 위해, 일렬로 배치된 경우 측면패널부(110) 상호 간을 기밀상태로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42), 연장결합단(144) 및 통기홀(14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브라켓(140)은 측면패널부(110)를 일렬로 연결하여 흡연부스(100)의 폭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 구성요소인 관체(142)와 통기홀(146)은 상술한 절곡브라켓(130)과 유사한 구조이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연장결합단(144)은 중공(143)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측면패널부(110)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때, 연장결합단(144)의 배치 각도는 180°가 된다.
천장패널부(120)는, 공조장치(20)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는 상단덕트부(123)가 상단덮개(122)와 하단덮개(124)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된 이중벽구조의 구성요소로서, 상단덕트부(123)와 측면덕트부(113)가 서로 연통되도록 측면패널부(110)의 상단부와 기밀결합되되, 일측을 통해서 흡연공간(S) 내의 담배연기(CS)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단덕트부(123)는 상단덮개(122)와 하단덮개(124) 사이에 구비되는 빈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공조장치(20)로부터 공조된 공기를 계속적으로 제공받아 수용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단덕트부(123) 내에서 공조된 공기가 소정압력 이상으로 축적되면, 공조된 공기는 상단덕트부(123)와 서로 연통된 측면덕트부(113)로 유입되어 결국에는 내벽체(114)의 측면미세공(114a)을 통해 흡연공간(S) 쪽으로 소정의 토출압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러한 천장패널부(1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형상의 이중벽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중앙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돔형상이 되도록 형성하여 천장패널부(120)의 내측면과 담배연기(CS)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후술할 배기부(128)로 담배연기(CS)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부(1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덮개(122), 하단덮개(124), 끼움부(126) 및 배기부(12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단덮개(122)는 외기와 접하는 쪽에 배치되어 흡연공간(S)에서 발생된 담배연기(CS)의 확산을 방지하는 판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외벽체(112)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유리, 금속 등과 같은 기체불투과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투과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단덮개(124)는 상단덮개(122)와 상단덕트부(123)를 이루도록 상단덮개(122)에 대하여 내측(측, 흡연공간(S)과 접하는 쪽)으로 이격배치되는 판형상의 구성요소로서, 하단덮개(124)는 미세공이 없는 평평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공간(S) 내에서 상승하는 담배연기(CS)가 하단덮개(124) 내측에 흡착되지 않도록, 측면패널부(110)의 내벽체(114)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상단미세공(12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단미세공(124a)은 측면미세공(114a)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바, 상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단, 상단미세공(124a)의 관통방향은 후술할 배기부(128) 쪽으로 담배연기(CS)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흡연공간(S)의 중앙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126)는 상단덮개(122) 및 하단덮개(124)의 가장자리를 변형한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패널부(110)의 상단부에 끼워져 기밀결합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단덕트부(123)와 측면덕트부(113)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의 연통홀(126a)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끼움부(126)는 내측끼움벽체(126b) 및 외측끼움벽체(126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끼움벽체(126b)는 측면패널부(110)의 내측 즉, 내벽체(114)와 면접촉하도록 하단덮개(124)의 가장자리가 상단덮개(122) 쪽으로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측면패널부(110)의 측면덕트부(113)와 상단덕트부(123)가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연통홀(126a)이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형성된다. 외측끼움벽체(126c)는 측면패널부(110)의 외측 즉, 외벽체(112)와 면접촉하도록 상단덮개(122)의 가장자리가 하단덮개(124) 쪽으로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끼움부(126)에 측면패널부(110)의 상단부는 연통홀(126a)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깊이로 끼워지게 되며, 끼움부(126)와 측면패널부(110) 사이에는 기밀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실링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천장패널부(120)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연공간(S) 내의 담배연기(CS)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12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배기부(128)는 배기홀(128a)과 및 배기팬(128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기홀(128a)은 외기와 흡연공간(S)이 연통되도록 천장패널부(120)의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단덮개(122)와 하단덮개(124) 사이에 링형상의 배기홀브라켓(128a1)이 기밀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팬(128b)은 배기홀(128a)에 설치되어 흡연공간(S) 내의 담배연기(CS)를 외부로 강제 토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공기를 일방향(외기 쪽방향)으로 송출시킬 수 있는 공지된 송풍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부스몸체(10)는 측면덕트부(113)의 하단부가 기밀상태가 되도록 평평한 형태의 바닥판(30)과 결합된다.
공조장치(20)는, 덕트 역할을 하는 부스몸체(10)(천장패널부(120) 및 이와 연통된 측면패널부(110))에 온기나 냉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하여 측면미세공(114a) 및/또는 상단미세공(124a)을 통해 온기나 냉기가 토출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공조장치(20)와 이를 컨트롤하는 제어장치를 통해 흡연공간(S)은 필요한 온도와 토출압으로 냉난방 됨에 따라 흡연부스(100) 이용자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으며, 부스몸체(10)의 내측면에 대한 담배연기(CS)의 흡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2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형성된 난방부(21) 및 냉방부(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와 달리 실내나 자동차 내부의 쾌적함을 위해 사용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시스템처럼, 냉방부(22)와 난방부(21)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난방부(21)는 온기를 제공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이와 접촉되어 가열된 외기를 덕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스몸체(10)에 송출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히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방부(22)는 냉기를 제공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냉매의 압축과 팽창을 통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와 냉각된 외기를 덕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스몸체(10)에 송출하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동일 기능의 공지된 냉각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난방부(21)와 냉방부(22)의 설치위치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패널부(120)와 각각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냉방부(22)는 천장패널부(12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난방부(21)는 측면패널부(110)의 하단부(하단 쪽 측면덕트부(113))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후자와 같이, 냉방부(22)와 난방부(21)의 설치위치를 달리한 이유는, 대류 현상 즉, 찬공기는 하강하고 더운 공기는 상승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흡연공간(S)의 신속한 냉난방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즉, 이러한 설치구조를 통해 난방부(21)를 통해 가열되어 송출되는 온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부스몸체(10) 전체로 상방 확산되며, 냉방부(22)를 통해 냉각되어 송출되는 냉기는 대류현상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부스몸체(10) 전체로 하방 확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100)의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변 온도에 기초하여 흡연공간(S)이 쾌적한 온도(18℃~27℃)가 되도록, 난방부(21) 또는 냉방부(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온기 또는 냉기가 소정의 송출압으로 천장패널부(120)의 상단덕트부(123)에 계속적으로 공급되면, 공조된 공기는 상단덕트부(123)에 소정압력 이상으로 축적된 다음, 연통홀(126a)로 유출되는 한편, 하단덮개(124)의 상단미세공(124a)을 통해 흡연공간(S) 쪽으로 토출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연통홀(126a)로 유출된 공조된 공기는 상단공기유입홀(116a)을 통해 측면덕트부(113) 내로 계속적으로 유입되면, 공조된 공기는 측면덕트부(113)에 소정압력 이상으로 축적된 다음, 내벽체(114)의 측면미세공(114a)을 통해 흡연공간(S) 쪽으로 토출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이렇게 상단미세공(124a)과 함께 사방에 배치된 측면미세공(114a)을 통해 공조된 공기가 흡연공간(S) 쪽으로 전면적으로 토출되면, 흡연공간(S) 내에서 발생된 담배연기(CS)는 내벽체(114)와의 접촉이 저지된 상태로 흡연공간(S)의 중앙부 쪽으로 모이게 되고, 대류작용에 따라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중앙부 쪽에 모인 담배연기(CS)는 상단미세공(124a)에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에 의해 하단덮개(124)와의 접촉이 저지된 상태로 배기홀(128a)로 안내된 다음 배기팬(128b)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 흡연공간
CS: 담배연기
10: 부스몸체 20: 공조장치
21: 난방부 22: 냉방부
30: 바닥판
100: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110: 측면패널부 112: 외벽체
113: 측면덕트부 114: 내벽체
114a: 측면미세공 116: 상단마감부재
116a: 상단공기유입홀 118: 측면마감부재
118a: 측면공기유입홀 120: 천정패널부
122: 상단덮개 123: 상단덕트부
124: 하단덮개 124a: 상단미세공
126: 끼움부 126a: 연통홀
126b: 내측끼움벽체 126c: 외측끼움벽체
128: 배기부 128a: 배기홀
128a1: 배기홀브라켓 128b: 배기팬
130: 절곡브라켓 132,142: 관체
133, 143: 중공 134: 절곡결합단
136,146: 통기홀 140: 연장브라켓
144: 연장결합단
10: 부스몸체 20: 공조장치
21: 난방부 22: 냉방부
30: 바닥판
100: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110: 측면패널부 112: 외벽체
113: 측면덕트부 114: 내벽체
114a: 측면미세공 116: 상단마감부재
116a: 상단공기유입홀 118: 측면마감부재
118a: 측면공기유입홀 120: 천정패널부
122: 상단덮개 123: 상단덕트부
124: 하단덮개 124a: 상단미세공
126: 끼움부 126a: 연통홀
126b: 내측끼움벽체 126c: 외측끼움벽체
128: 배기부 128a: 배기홀
128a1: 배기홀브라켓 128b: 배기팬
130: 절곡브라켓 132,142: 관체
133, 143: 중공 134: 절곡결합단
136,146: 통기홀 140: 연장브라켓
144: 연장결합단
Claims (9)
- 내부에 흡연공간을 이루는 다수의 측면패널부와 상기 측면패널부의 상단부를 덮는 천장패널부로 이루어지는 부스몸체 및 상기 부스몸체의 내측면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상기 흡연공간에 제공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는 흡연부스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부는,
상기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는 측면덕트부가 외벽체와 다수의 측면미세공이 형성된 내벽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공조된 공기가 상기 측면덕트부를 거쳐 상기 측면미세공을 통해 토출됨에 따라 상기 흡연공간에서 발생된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부는,
외기와 접하는 상기 외벽체;
상기 외벽체와 상기 측면덕트부를 이루도록 상기 외벽체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다수의 상기 측면미세공이 형성되는 상기 내벽체;
상기 외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상단부과 기밀결합하고, 다수의 상단공기유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상단마감부재; 및
상기 외벽체 및 상기 내벽체의 양측단부과 기밀결합하고, 다수의 측면공기유입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되는 측면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부 상호 간은,
다수의 상기 측면패널부가 상기 흡연공간을 이룰 수 있도록,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경우 절곡브라켓에 의해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절곡브라켓은,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체와, 상기 중공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각각 배치된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절곡결합단과, 상기 측면공기유입홀과 상기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에 형성된 통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부 상호 간은,
상기 흡연부스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치된 경우 연장브라켓에 의해 기밀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연장브라켓은,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체와, 상기 중공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부의 단부와 각각 결합하는 연장결합단과, 상기 측면공기유입홀과 상기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관체에 형성된 통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패널부는,
상기 공조장치와 연통되어 공조된 공기를 제공받는 상단덕트부가 상단덮개와 하단덮개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덕트부와 상기 측면덕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측면패널부의 상단부와 기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패널부는,
외기와 접하는 상단덮개;
상기 상단덮개와 상기 상단덕트부를 이루도록, 상기 상단덮개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격배치되고, 다수의 상기 상단미세공이 형성되는 하단덮개; 및
상기 상단덮개 및 상기 하단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부의 상단부와 기밀결합하고, 상기 상단덕트부와 상기 측면덕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패널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흡연공간 내의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부는,
외기와 상기 흡연공간이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 배기홀과, 상기 배기홀에 설치되어 상기 흡연공간 내의 담배연기를 외부로 강제 토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패널부는,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온기를 제공하는 난방부와 냉기를 제공하는 냉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방부는 상기 천장패널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난방부는 상기 천장패널부 및 상기 측면패널부의 하단부 중 어느 한쪽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4660A KR101827964B1 (ko) | 2016-07-26 | 2016-07-26 |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4660A KR101827964B1 (ko) | 2016-07-26 | 2016-07-26 |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1996A true KR20180011996A (ko) | 2018-02-05 |
KR101827964B1 KR101827964B1 (ko) | 2018-03-22 |
Family
ID=6122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4660A KR101827964B1 (ko) | 2016-07-26 | 2016-07-26 |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796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1753A (ko) | 2019-06-11 | 2020-12-21 | 조정일 | 흡연 부스용 연기 및 냄새 정화 장치 |
KR20210026070A (ko) * | 2019-08-29 | 2021-03-10 | 박성일 | 새시 프레임과 기능성 패널이 조합된 조립식 흡연부스 |
US20210115687A1 (en) * | 2019-10-18 | 2021-04-22 | Trieste Group One Ltd | Booth |
CN114278662A (zh) * | 2021-12-27 | 2022-04-05 | 王济龙 | 一种装配式建筑用平面结构拼接固定器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226B1 (ko) | 2016-07-13 | 2016-10-25 |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 |
-
2016
- 2016-07-26 KR KR1020160094660A patent/KR10182796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1753A (ko) | 2019-06-11 | 2020-12-21 | 조정일 | 흡연 부스용 연기 및 냄새 정화 장치 |
KR20210058798A (ko) | 2019-06-11 | 2021-05-24 | 조정일 | 흡연 부스용 연기 및 냄새 정화 장치 |
KR20210026070A (ko) * | 2019-08-29 | 2021-03-10 | 박성일 | 새시 프레임과 기능성 패널이 조합된 조립식 흡연부스 |
US20210115687A1 (en) * | 2019-10-18 | 2021-04-22 | Trieste Group One Ltd | Booth |
US11952790B2 (en) * | 2019-10-18 | 2024-04-09 | Trieste Group One Ltd | Booth with ventilation system |
CN114278662A (zh) * | 2021-12-27 | 2022-04-05 | 王济龙 | 一种装配式建筑用平面结构拼接固定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7964B1 (ko) | 2018-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7964B1 (ko) | 담배연기의 흡착을 방지하는 냉난방 흡연부스 | |
KR101461988B1 (ko) |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 |
KR20040106805A (ko) |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 |
JP5594721B2 (ja) | 収納キャビネット | |
KR20180068760A (ko) | 자동차용 트리플 존 공기조화장치 | |
JP4718909B2 (ja) | 換気機能を備えるブース | |
KR101572676B1 (ko) | 차량의 환기장치 | |
JP2009012527A (ja) | 鉄道車両 | |
JP4212689B2 (ja) | 置換換気式空気調和装置 | |
JPH10286420A (ja) | 空気清浄システム | |
KR102570303B1 (ko) | 소음 저감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환기장치 | |
JP4087676B2 (ja) | 鉄道車両客室の調和空気供給装置 | |
KR100656140B1 (ko) | 공조기 및 환기장치를 이용한 금연·흡연구역 구획시스템 | |
CN205505190U (zh) | 新风与空气净化系统 | |
CN205065947U (zh) | 一种空调器及其防凝露结构 | |
JP6678011B2 (ja) | 分煙空調システム | |
JP2008302770A (ja) | 鉄道車両の天井構造 | |
JP7456201B2 (ja) | 吹出ユニットおよび空調・換気システム | |
JP7061054B2 (ja) | 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 |
CN217154496U (zh) | 用于隔离异味气体的气闸装置 | |
KR0139241B1 (ko) | 소형승합차용 리어공조장치 | |
JP3823539B2 (ja) | トイレ室内個別空調方法および空調装置 | |
JP2007139300A (ja) | 空調システム | |
KR0139300B1 (ko) | 소형 승합차용 리어 공조장치 | |
KR200351645Y1 (ko) | 싱크대 일체형 공기청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