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062A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062A
KR20180011062A KR1020177027236A KR20177027236A KR20180011062A KR 20180011062 A KR20180011062 A KR 20180011062A KR 1020177027236 A KR1020177027236 A KR 1020177027236A KR 20177027236 A KR20177027236 A KR 20177027236A KR 20180011062 A KR20180011062 A KR 20180011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ed chain
carbon atoms
chain structure
composition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카와노베
유카리 야마모토
코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수용성 축합인산염의 스테인 제거력이 향상하고, 치아의 스테인 제거 효과에 우수한, (A) 하기 일반식(1) Mn +2PnO3n +1 (1)(단, 식 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수용성 축합인산염과, (B)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및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USE IN ORAL CAVITY}
본 발명은, 수용성 축합인산염에 의한 스테인 제거력이 향상하고, 치아의 스테인 제거 효과에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치아의 착색 오염의 일종인 스테인의 제거에는, 연마제의 증량(增量)에 의한 물리적 작용 및/또는 폴리인산나트륨 등의 축합인산염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미백(美白) 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그렇지만, 연마제의 증량은, 구강점막 자극의 증가 및 상아질 마모를 초래하고, 축합인산염의 증량은, 그 수렴성에 의한 구강점막 자극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과제가 있어서,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높은 스테인 제거력을 줄 수는 없었다.
특허문헌 1(국제공개 제2012/124533호)에서는, 2층 분리형 액체 구강용 조성물에서 유제(油劑)량, 유제/축합인산 또는 그 염의 비율을 특정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담배 진, 스테인 오염 제거 효과의 향상, 수렴감의 저감을 얻고 있지만, 스테인 제거력에 관해서는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고, 또한, 유제를 다량 배합하고 있는 조성이기 때문에, 안정성이나 사용감의 면에도 아직도 과제가 있다.
국제공개 제2012/124533호 일본 특개2002-20251호 공보 일본 특개소59-36882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1/077847호
따라서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축합인산염의 스테인 제거력을 증강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치아의 스테인 제거 효과에 우수하고, 또한 양호한 사용감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수용성 축합인산염에, 특정한 분기쇄상(分岐鎖狀) 구조를 갖는 지방산 및/또는 특정한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를 배합함에 의해, 수용성 축합인산염에 의한 스테인 제거력이 대폭적으로 향상하고, 또한, 사용감도 양호하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A) 하기 일반식(1)
Mn +2PnO3n +1 (1)
(단, 식 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수용성 축합인산염과, (B)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및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함에 의해, 치아의 스테인 제거 효과가 현격하게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도 좋은 구강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B)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하기한 (B-1)성분 및 (B-2)성분,
(B-1)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B-2)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산(酸) 잔기(殘基) 및/또는 알코올 잔기에 갖는 히드록시카르본산에스테르,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및 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A)성분에 (B)성분을 조합시키면, (A)성분인 화학적 작용에 의한 스테인 제거력이 현격하게 향상하고,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우수한 스테인 제거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청소 작용을 갖는 연마제의 증량에 의지하는 일 없이, 그 배합량이 적어도 우수한 스테인 제거 효과를 주는 것이고, 이에 의해, 연마제의 증량에 의한 구강점막 자극을 억제하고, 또한, 맛이나 냄새도 양호해지고, 잇몸 등에 염증, 통증을 갖는 치주 질환 이환자(罹患者)에 대해서도 양호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2층 분리형 액체 제제는 축합인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지만, 유층 중의 유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은 직쇄상의 지방산에스테르이다. 또한, 특허문헌 2∼4(일본 특개2002-20251호 공보, 일본 특개소59-36882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1/077847호)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산이나 지방산에스테르를 배합한 치마제 등의 구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축합인산염에 병용하는 것의 구체적 기재가 없고, 스테인 제거력에 관한 언급도 없다. 이러한 선행 기술으로부터, 특정한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또는 에스테르에 의해 수용성 축합인산염의 스테인 제거력이 특이적이면서 현격하게 증강하는 것은 상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
(A) 하기 일반식(1)
Mn +2PnO3n +1 (1)
(단, 식 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수용성 축합인산염과,
(B)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및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B)성분이,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와의 혼합물인 [1]에 기재된 구강용 조성물.
[3]
에스테르가,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산 잔기 및/또는 알코올 잔기에 갖는 히드록시카르본산에스테르,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및 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된 구강용 조성물.
[4]
(B)성분이,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산 잔기 및 알코올 잔기에 갖는 지방산스테롤에스테르와의 혼합물인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강용 조성물.
[5]
(A)성분을 0.1∼2질량%, (B)성분을 0.01∼1질량% 함유하는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강용 조성물.
[6]
또한, (C) 연마제를 3∼20질량% 함유하는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강용 조성물.
[7]
치마제인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성 축합인산염에 의한 스테인 제거력을 향상시키고, 치아의 스테인 제거 효과에 우수하고, 또한 양호한 사용감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인 청소 작용을 갖는 연마제의 증량에 의지하지 않고서, 우수한 스테인 제거 효과를 주는 것이고, 다량의 연마제에 의한 구강점막 자극의 과제가 생기지 않아, 잇몸 등에 염증, 통증을 갖는 치주 질환 이환자에 대해서도 양호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A) 수용성 축합인산염과, (B)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및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한다.
(A)성분인 수용성 축합인산염은, 치아의 스테인 제거를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고, 하기 일반식(1)
Mn +2PnO3n +1 (1)
(단, 식 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
로 표시된다.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축합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트리폴리인산칼륨, 테트라폴리인산나트륨, 테트라폴리인산칼륨, 메타인산나트륨 등의 직쇄상(直鎖狀)의 폴리인산염, 트리메타인산나트륨, 트리메타인산칼륨, 테트라메타인산나트륨, 테트라메타인산칼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 헥사메타인산칼륨 등의 환상(環狀)의 폴리인산염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직쇄상의 폴리인산염, 특히 중합도 2∼4의 폴리인산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이 알맞다.
(A)성분인 축합인산염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1∼2%(질량%, 이하 마찬가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1.5%이다. 0.1% 이상이면, 스테인 제거력이 충분히 얻어진다. 2% 이하면 구강점막 자극이 생기는 일이 없고, 사용감을 양호하게 유지하는데는 보다 알맞다.
(B)성분은,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및/또는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이다.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8∼22의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소데칸산, 이소트리데칸산, 이소미리스틴산, 이소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구강 조직 친화성의 관점에서, 탄소수가 12 이상, 특히 12∼20의 고급지방산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소스테아린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는, 분기쇄의 탄소수가 8∼22이고,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0이고, 이와 같은 분기쇄상 구조를 산 잔기 및/또는 알코올 잔기에 갖는 히드록시카르본산에스테르,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이와 같은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사과산에스테르, 젖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특히 지방산에스테르가 알맞다. 또한, 사과산에스테르, 젖산에스테르는, 알코올 잔기에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것이고, 지방산에스테르는, 지방산 잔기, 알코올 잔기의 어느 하나가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것이고, 이 경우, 분기쇄상 구조가 지방산 잔기 또는 알코올 잔기에 있어도, 양방에 있어도 좋다.
에스테르의 종류로서는, 특히, 스테롤 골격을 갖는 스테롤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 피토스테롤에스테르, 콜레스테롤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피토스테롤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 히드록시카르본산에스테르로서는,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젖산옥틸도데실,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로서는,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등의 N-아실아미노산스테롤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로서는,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옥틸도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낙산콜레스테릴, 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린산피토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마카다미아너츠유지방산콜레스테릴 등의 지방산스테롤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소스테아린산피토스테릴,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특히 이소스테아린산피토스테릴이 바람직하다.
(B)성분으로서는, 스테인 제거 효과, 맛, 냄새의 점에서,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8∼22의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탄소수 8∼22의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소스테아린산과 이소스테아린산피토스테릴을 병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성분의 배합량으로서는, 특단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 전체의 0.01∼1%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4%이다. 0.01% 이상이면 충분한 스테인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이하면 맛, 냄새, 향미(香味)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고, 양호한 사용감의 유지에는 알맞다.
또한, 특히 탄소수 8∼22의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탄소수 8∼22의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를 병용하는 경우, 상기 (B)성분의 배합량의 범위 내에서, 상기 지방산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5∼0.5%이고, 상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1∼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5∼0.2%이다. 또한, 상기 지방산과 에스테르와의 배합 비율은, 지방산/에스테르가 질량비로서 1 : 5∼5 : 1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라면, 스테인 제거 효과가 보다 우수하고, 또한, 맛, 냄새가 보다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구강용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특히 단서가 없는 한, 조성물을 제조할 때의 각 성분의 넣는 양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劑形)·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체(용액, 유액, 현탁액 등), 반고체(겔, 크림, 페이스트 등), 고체(정제, 입자상제(粒子狀劑), 캡슐제, 필름제, 혼련물, 용융고체, 납상(蠟狀)고체, 탄성고체 등)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제된 제제는, 예를 들면, 치마제(련치마, 액체치마, 액상치마, 분치마 등), 세구제, 도포제, 첨부제, 구중청량제, 식품(예를 들면, 추잉검, 정과, 캔디, 구미, 필름, 트로키 등) 등의 각종 제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지만, 구강 용도의 범위에서, 상기로 한정되지 않지만 치마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는, 상기 각 성분에 더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마제의 경우는, 연마제, 점조제, 점결제, 계면활성제, 감미제, 방부제, 향료, 약용 성분, 착색제, pH 조정제, 용제 등을 들 수 있고, 제형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첨가 성분의 구체례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성분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연마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규산, 결정성 실리카, 비정성 실리카, 실리카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제올라이트, 인산수소칼슘무수화물, 인산수소칼슘2수화물, 피로인산칼슘,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마그네슘, 제3인산마그네슘, 규산지르코늄, 제3인산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4인산칼슘, 합성수지계 연마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구강점막 자극, 사용성의 관점에서, 무수규산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인산칼슘 등의 인산칼슘계 연마제 등의 무기 연마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무수규산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마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20%가 바람직하고, 3∼20%가 보다 바람직하고, 5∼15%가 더욱 바람직하다. 3% 이상으로 하면, 스테인 등의 착색물에 대한 청소력이 특히 우수하고, 너무 많이 배합하면 구강점막 자극성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세구제에서는, 연마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의 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점조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정할 수 있고, 통상, 조성물 전체에 대해 1∼60%이다.
점결제로서는, 예를 들면, 플루란,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카라기난, 알긴산나트륨, 크산탄고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구아고무, 로커스트빈고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유기계 점결제, 증점성 무수규산, 벤토나이트 등의 무기계 점결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 점결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통상, 조성물 전체에 대해 0.1∼3%이다. 무기계 점결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계 점결제가 증점성 무수규산인 경우에는, 그 배합량이 1∼7%인 것이 바람직하고, 2∼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니온(anion) 계면활성제, 비(非)이온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아니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N-아실아미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N-아실술폰산염, 알킬황산염,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범용성의 점에서, N-아실아미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킬황산염이 바람직하고, 발포성·내경수성의 점에서,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알킬쇄의 탄소쇄 길이로서 탄소수가 10∼16의 α-올레핀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글리세린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올아미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범용성의 점에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알킬올아미드,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가 알맞게 사용된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14∼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부가몰수가 3∼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부가몰수(평균부가 EO)가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올아미드는, 알킬쇄의 탄소쇄 길이가 탄소수 12∼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12∼18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16∼18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에틸렌옥사이드 평균부가몰수가 1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는, (B)성분의 에스테르와는 상위하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아민옥사이드계 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례로서는,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나 야자유지방산아미드알킬베타인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야자유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통상, 조성물 전체에 대해 0∼10%, 특히 0.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미제로서는, 예를 들면,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디히드로칼콘, 글리시리진, 페릴라르틴, p-메톡시신나믹알데히드, 타우마틴, 팔라티노스, 말티톨, 크실리톨, 아라비톨을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나트륨,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염, 염화벤잘코늄 등을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를 사용하는 경우,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윈터그린유, 카시아유, 클로브유, 타임유, 세이지유, 레몬유, 오렌지유, 박하유, 카르다몬유, 코리안더유, 만다린유, 라임유, 라벤더유, 로즈마리유, 로렐유, 카모밀유, 카라웨이유, 마조람유, 베이유, 레몬그라스유, 올리가눔유, 파인니들유, 네롤리유, 로즈유, 자스민유, 그레이프프루츠유, 스위티유, 유자유, 이리스콘크리트, 압솔루트페퍼민트, 압솔루트로즈, 오렌지플라워 등의 천연 향료나, 이들 천연 향료의 가공 처리(전류부(前溜部) 커트, 후류부 커트, 분류(分溜), 액액 추출, 에센스화, 분말향료화 등)한 향료, 및, 멘톨, 카르본, 아네톨, 시네올, 살리실산메틸, 신나믹알데히드, 오이게놀, 3-l-멘톡시프로판-1,2-디올, 티몰, 리날로올, 리날릴아세테이트, 리모넨,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N-치환-파라멘탄-3-카르복사미드, 피넨, 옥틸알데히드, 시트랄, 풀레곤, 카르비톨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바닐린, 운데카락톤, 헥사날, 부탄올, 이소아밀알코올, 헥세놀, 디메틸술파이드, 시클로텐, 푸르푸랄, 트리메틸피라진, 에틸락테이트, 에틸티오아세테이트 등의 단품향료, 또한, 스트로베리플레이버, 애플플레이버, 바나나플레이버, 파인애플플레이버, 그레이프플레이버, 망고플레이버, 버터플레이버, 밀크플레이버, 프루츠믹스플레이버, 트로피컬프루츠플레이버 등의 조합향료 등,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향료 소재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실시례 기재의 향료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배합량도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향료 소재는, 조성물 중에 0.000001∼1%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향료 소재를 사용한 부향용 향료로서는, 조성물 중에 0.1∼2%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홍화 적색소, 치자 황색소, 치자 청색소, 자소 색소, 홍국 색소, 적캐비지 색소, 당근 색소, 하이비스커스 색소, 카카오 색소, 스피룰리나 청색소, 타마린드 색소 등의 천연색소나,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105호, 적색106호, 황색4호, 황색5호, 녹색3호, 청색1호 등의 법정 색소, 리보플라빈, 구리클로로핀나트륨, 이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00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pH(20℃)는, 통상, 6∼10이고, 바람직하게는 6∼8이다.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염산, 황산, 질산, 구연산, 인산, 사과산, 글루콘산, 말레인산, 호박산, 글루타민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아세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구연산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2수소나트륨 등의 산이나 알칼리, 완충제를 들 수 있다. pH 조정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물(水), 및,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탄소수 3 이하의 저급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는, 액체계의 구강용 조성물에는 통상 배합된다. 용제로서 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20∼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로서 저급알코올을 배합한 경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형이 고체인 경우, 또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코팅제, 광택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수용성 축합인산염 이외의 임의의 유효 성분(다른 유효 성분)을,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유효 성분으로서는, 항염증제, 조직 부활제, 비타민, 살균제, 수렴제, 불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례
이하, 본 발명을, 실시례, 비교례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한 예에서 %는 특히 단서가 없는 한 모두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례, 비교례]
표 1∼4에 표시하는 조성의 치마제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조제하고, 용기(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에 충전하고,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표시한다.
<조제 방법>
(1) 정제수 중에 수용성 성분을 상온에서 혼합 용해시켰다(혼합물(X)).
(2) 프로필렌글리콜 중에 점결제를 상온에서 분산시키고(혼합물(Y)), 교반중의 혼합물(X) 중에, 혼합물(Y)를 첨가 혼합하여, 혼합물(Z)을 조제하였다.
(3) 혼합물(Z) 중에, 향료, 계면활성제, 연마제 등의 수용성 성분 이외의 성분을, 니더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혼합하고, 감압(5.3㎪)에 의한 탈포(脫泡)를 행하여, 치마제 조성물을 얻었다.
<평가 방법>
(1) 스테인 제거 효과의 평가 방법
미리 표면을 샌드블라스트로 연마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판(板)(1)(HOYA(주), 직경 7.0㎜×3.5㎜, 이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판을 HAP판으로 약기)를 0.5% 알부민 수용액, 탄닌 용액(일본차(명칭 : 노송(老松)) 50g, 홍차 티백(립톤사제, 브리스크티백) 5개를 온수 추출하고, 냉각 후 12g의 분말커피(네스카페사제)를 가하고, 정제수로 1,200㎖로 조제), 0.56% 구연산철(Ⅲ)암모늄 수용액의 각 용액에 순번대로 30분씩 40℃의 항온조 중에서 침지하였다. 이 조작을 1일에 8∼9회 반복하여, 스테인이 충분히 HAP판에 부착할 때까지 계속하여(120사이클), 스테인이 부착한 HAP판(2)를 얻었다.
다음에, HAP판(2)를 인공타액(人工唾液)(50mM KCl, 1mM CaCl2, 0.1mM MgCl2, 1mM KH2PO4, pH 7.0)으로 3배 희석한 치마제 용액에, 37℃에서 2.5분간 침지 후, 평판연마기를 이용하여, 동 시험용액 중에서 브러싱 처리를 행하였다(사용 브러시 : 라이온(주), 시스테마칫솔 4열 헤드). 브러싱 처리는, 200회 행하였다. 브러싱의 후, 수세하여, 청소 후의 HAP판(3)을 얻었다.
스테인 제거 효과의 평가는, HAP판(1, 2, 3)의 각 L*값을 측정하고, 각각 L*1, L*2, L*3으로 하여, 하기 식에 의해 스테인 제거율을 산출하고, 하기한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L *값은, 분광색차계(닛뽄전색(주), SE-2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산출식 :
스테인 제거율(%)={(L*2-L*1)-(L*3-L*1)}/(L*2-L*1)
스테인 제거 효과의 평가 기준
◎ : 스테인 제거율이 40% 이상
○ : 스테인 제거율이 30% 이상 40% 미만
△ : 스테인 제거율이 20% 이상 30% 미만
× : 스테인 제거율이 20% 미만
(2) 사용감(구강점막 자극, 맛, 냄새)의 평가 방법
10명의 모니터가, 치마제 조성물을 칫솔에 묻혀, 구강내를 세정한 때의 구강점막(口腔粘膜) 자극, 맛, 냄새를 하기한 평점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10인의 평가점의 평균을 구하고, 하기한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구강점막 자극의 평점 기준;
4점 : 구강내에서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
3점 : 구강내에서 약간 자극을 느낀다.
2점 : 구강내에서 자극을 느낀다.
1점 : 구강내에서 상당히 자극을 느낀다.
구강점막 자극의 평가 기준;
◎ : 평균점 3.0점 이상 4.0점 이하
○ : 평균점 2.5점 이상 3.0점 미만
△ : 평균점 1.5점 이상 2.5점 미만
× : 평균점 1.5점 미만
맛(味)의 평점 기준;
4점 : 구강내에서 이상한 맛(異味)을 느끼지 않는다.
3점 : 구강내에서 약간 이상한 맛을 느낀다.
2점 : 구강내에서 이상한 맛을 느낀다.
1점 : 구강내에서 매우 이상한 맛을 느낀다.
맛의 평가 기준;
◎ :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 평균점 2.0점 미만
냄새의 평점 기준;
4점 : 구강내에서, 불쾌한 냄새를 느끼지 않는다.
3점 : 구강내에서, 불쾌한 냄새를 약간 느낀다.
2점 : 구강내에서, 불쾌한 냄새를 느낀다.
1점 : 구강내에서, 불쾌한 냄새를 매우 느낀다.
냄새의 평가 기준;
◎ :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 평균점 2.0점 미만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Claims (7)

  1. (A) 하기 일반식(1)
    Mn +2PnO3n +1 (1)
    (단, 식 중, M은 Na 또는 K를 나타내고, n은 2 또는 3의 정수이다)
    로 표시되는 수용성 축합인산염과,
    (B)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 및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B)성분이,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또는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1한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스테르가,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산 잔기 및/또는 알코올 잔기에 갖는 히드록시카르본산에스테르, 아실아미노산에스테르 및 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제1한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성분이,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갖는 지방산과, 탄소수가 8∼22인 분기쇄상 구조를 산 잔기 및 알코올 잔기에 갖는 지방산스테롤에스테르와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구강용 조성물.
  5. 제1한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성분을 0.1∼2질량%, (B)성분을 0.01∼1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6. 제1한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C) 연마제를 3∼2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7. 제1한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177027236A 2015-05-29 2016-05-20 구강용 조성물 KR20180011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9857 2015-05-29
JP2015109857 2015-05-29
PCT/JP2016/064957 WO2016194645A1 (ja) 2015-05-29 2016-05-20 口腔用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062A true KR20180011062A (ko) 2018-01-31

Family

ID=5744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236A KR20180011062A (ko) 2015-05-29 2016-05-20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73348B2 (ko)
KR (1) KR20180011062A (ko)
CN (1) CN107613948B (ko)
MY (1) MY187533A (ko)
WO (1) WO2016194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076A1 (ja) * 2017-02-20 2018-08-23 ライオン株式会社 ジェル状歯磨剤組成物及びそのべたつき抑制剤
GB2568554A (en) * 2017-11-17 2019-05-22 Fourteen Five Ltd Buccal delivery system
KR20200093439A (ko) 2017-11-30 2020-08-05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구강용 스테인 제거제, 구강용 스테인 형성 억제제 및 구강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135A (ja) * 1999-02-18 2000-09-05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DE60215148T2 (de) * 2001-05-15 2007-08-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Mundpflegezusammensetzungen
US6685916B1 (en) * 2002-10-31 2004-02-03 Cadbury Adams Usa Llc Compositions for removing stains from dental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743027A (zh) * 2004-09-02 2006-03-08 深圳市清华源兴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含银口腔清洁用品
WO2012124533A1 (ja) * 2011-03-11 2012-09-20 ライオン株式会社 2層分離型液体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4645A1 (ja) 2016-12-08
MY187533A (en) 2021-09-27
JPWO2016194645A1 (ja) 2018-03-15
CN107613948A (zh) 2018-01-19
CN107613948B (zh) 2021-02-09
JP6673348B2 (ja)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648B2 (ja) 口腔用組成物
JP5846787B2 (ja) 歯磨組成物
KR20170094133A (ko) 구강용 조성물
KR20180011062A (ko) 구강용 조성물
CN105658194B (zh) 洁齿剂组合物
JP2007161598A (ja) 歯磨剤組成物
JP7447470B2 (ja) 歯磨剤組成物
JP6648640B2 (ja) 口腔用組成物
JP7124403B2 (ja) 歯磨剤組成物
JP3815556B2 (ja) 口腔用組成物
JP7172028B2 (ja) 口腔用組成物
JP7167713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80133220A (ko) 구강용 조성물
JP6647008B2 (ja) 口腔用組成物
JP7000823B2 (ja) 練歯磨剤組成物
WO2022138487A1 (ja) 口腔用組成物
WO2022071593A1 (ja) 歯磨剤組成物
WO2022102628A1 (ja) 口腔用組成物
WO2022075422A1 (ja) 歯磨剤組成物
WO2022145167A1 (ja) 口腔用組成物
KR20180103686A (ko) 치마제 조성물
JP2022104233A (ja) 口腔用組成物
JP6264292B2 (ja) 歯磨剤組成物及び歯の再石灰化促進剤
JP5489479B2 (ja) 口腔用ミクロゲル
JP2022046221A (ja) 歯磨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