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630A -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630A
KR20180008630A KR1020177035988A KR20177035988A KR20180008630A KR 20180008630 A KR20180008630 A KR 20180008630A KR 1020177035988 A KR1020177035988 A KR 1020177035988A KR 20177035988 A KR20177035988 A KR 20177035988A KR 20180008630 A KR20180008630 A KR 20180008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m
packaging
lifting
fol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447B1 (ko
Inventor
신지 하야미
마사아키 카네마루
Original Assignee
타이요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요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요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2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43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x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포장구(501)를 제조한다.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필름(31, 32)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610)와, 판형부재(510)의 선단이 필름(31, 32)을 밀도록, 판형부재(510)를 반송하는 반송부(620)와, 필름(31, 32)을 용착하고 통모양 필름(530)을 형성하는 용착부(640)와, 용착부(640)가 필름(31, 32)을 용착하기 전에, 판형부재(510)가 절곡선(21)에서 구부러지도록 필름(32)을 끌어들이는 인입부(650)와, 인입부(650)가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형부재(510) 선단의 들어올림을 규제하는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물품을 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포장구로서, 필름과 판형부재 사이에 물품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필름을 팽팽하게 침으로써 물품을 판형부재로 눌러, 물품을 정위치에 유지하는 포장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구에서, 열수축성 필름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수축터널을 통해 필름을 열수축시켜 필름을 팽팽하게 침으로써 물품이 판형부재에 대해 고정된다.
여기서, 특허문헌1에는, 판형부재에 고정된 가요성 시트를 이용하여, 판형부재의 가요성 시트가 고정된 부분을 판형부재의 바닥면측으로 구부림으로써 물품을 판형부재로 밀어 붙이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등록 3189377호 공보
상기와 같이 필름을 열수축시킴으로써 물품을 포장하는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포장를 하는 공정에서, 예를 들면 수축터널 등의, 필름을 열수축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장치 자체나 포장을 하는 환경 내에서 대량의 전력 등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또 연속적으로 다수의 물품을 포장하는 등의 경우가 아니라, 때때로 포장을 행하는 등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고가이며 대규모의 장치를 도입하기는 어렵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의 포장재에서는, 수축터널 등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포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가요성 시트를 판형부재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포장재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고가이다는 문제가 있다. 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판형부재 내 가요성 시트가 고정된 부분을 바닥면측으로 구부릴 필요가 있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쉽게 물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면, 통모양 필름과, 상면측에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는 포장구를 제조하는 포장구 제조장치는,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판형부재의 선단이 상기 필름을 밀도록, 판형부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필름을 용착하여 통모양 필름을 형성하는 용착부와, 용착부가 필름을 용착하기 전에, 판형부재가 절곡선에서 구부러지도록 필름을 끌어들이는 인입부와, 인입부가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판형부재 선단의 들어올림을 규제하는 들어올림 규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들어올림 규제부는, 인입부가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판형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유지부는, 접촉부를 유지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인입부가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들어올림 규제부는 판형부재의 상면측 내, 절곡선보다 판형부재의 선단측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입부가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들어올림 규제부는, 필름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판형부재의 선단측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반송부는, 판형부재가 얹히는 탑재부와, 탑재부에 얹힌 판형부재의 후단을 밀고, 판형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압입부와, 판형부재의 들어올림을 규제하고, 판형부재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반송부가 판형부재의 반송을 완료했을 때, 들어올림 규제부와 가이드부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가이드부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송부가 판형부재의 반송을 완료한 후, 필름과 접촉하지 않고 판형부재를 누르는 누름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착부는, 열원을 갖는 실부와, 실부를 받는 실받이부를 가지며, 용착부는, 실부와 실받이부가 접촉함으로써 필름을 용착하고, 인입부가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실부와 실받이부의 틈새는 필름의 두께보다 크고 판형부재의 두께보다 작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통모양 필름과, 상면측에 절곡선이 형성되며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는 포장구를 제조하는 포장구 제조방법은, 필름과, 판형부재와, 들어올림 규제부 및 용착부를 구비하는 포장구 제조장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판형부재의 선단이 필름을 밀면서, 판형부재의 선단부터 판형부재의 후단까지 필름이 접촉하도록 필름을 판형부재에 감는 단계와, 판형부재 선단의 들어올림이 들어올림 규제부에 의해 규제될 때까지 판형부재가 절곡선에서 구부러지도록 필름을 끌어들이는 단계와, 용착부가 필름을 용착하고 통모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끌어들이는 단계에서, 판형부재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감는 단계에서, 판형부재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의 하방을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구 제조장치는, 판형부재의 선단이 필름을 밀도록 판형부재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감는 단계에서, 반송부는 판형부재의 들어올림을 규제하여, 판형부재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판형부재를 반송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구 제조장치는, 필름과 접촉하지 않고 판형부재를 누르는 누름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감는 단계에서, 반송부가 판형부재의 반송을 완료한 후, 끌어들이는 단계의 전에, 누름부는 판형부재를 누른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포장구는, 통모양 필름과,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며, 판형부재는,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포장되는 물품이 배치되는 배치면과, 절곡선을 개재하여 배치면에 인접하는 인접면을 가지며, 통모양 필름은, 배치면과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이 통모양 필름이 형성하는 통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판형부재에 감기고, 인접면이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된 상태에서, 배치면과 통모양 필름 사이의 틈새에 물품의 배치가 가능하며, 틈새에 물품이 배치된 상태에서 인접면이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됨에 따라, 통모양 필름이 물품에 접촉한 상태에서 팽팽하게 쳐짐으로써, 물품이 판형부재로 밀어 붙여지도록 구성되고, 절곡선은 판형부재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판형부재는 판지제이며, 절곡선은 판형부재의 코어시트의 파형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치면의 면적은 인접면의 면적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통모양 필름은 신축성 필름이다.
바람직하게는, 판형부재는, 판형부재 상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는 2개의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며, 1개의 배치면과, 각각 2개의 절곡선의 한쪽을 개재하여 배치면에 인접하는 2개의 인접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판형부재는, 배치면과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에 판형부재 상에서 교차하는 서브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배치면에 인접하는 스탠드부를 가지며, 판형부재는, 스탠드부가 서브 절곡선에서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됨으로써, 인접면이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되어 통모양 필름이 팽팽하게 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 절곡선은 점선가공이 실시되며, 절곡선은 점선가공이 실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부는, 판형부재 상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는 2개의 서브 절곡선의 각각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2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탠드부는, 서브 절곡선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보조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며, 구획된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절곡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장구가 외부상자 내에 수납된 포장체는, 스탠드부가 배치면에 대하여 구부러진 상태에서 외부상자 내에 수납됨으로써, 스탠드부가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된 상태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장구가 외부상자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포장구의 바닥부와 스탠드부의 상부가 외부상자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구는, 통모양 필름과,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며, 판형부재는,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포장되는 물품이 배치되는 배치면과, 절곡선을 개재하여 배치면에 인접하는 인접면을 가지며, 통모양 필름은, 배치면과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이 통모양 필름이 형성하는 통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판형부재에 감기고, 절곡선은, 판형부재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며,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은, 인접면을 배치면에 대하여 구부리는 절곡 단계와, 절곡 단계에 의해 판형부재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배치면과 통모양 필름 사이의 틈새에 물품을 배치하는 배치 단계와, 배치 단계에 의해 물품이 틈새에 배치된 상태에서 인접면을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하고, 통모양 필름을 물품에 접촉한 상태에서 팽팽하게 침으로써, 물품을 판형부재로 밀어 붙이는 전개 단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판형부재는, 배치면과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에 판형부재 상에서 교차하는 서브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배치면에 인접하는 스탠드부를 가지며, 전개 단계는, 스탠드부를 배치면에 대하여 구부림으로써 인접면을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시켜 통모양 필름을 팽팽하게 친다.
본 발명들을 따르면, 판형부재를 구부린 상태에서 배치면과 필름 사이의 틈새에 물품을 배치할 수 있고, 인접면을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하여 필름을 팽팽하게 침으로써, 물품이 판형부재로 밀어 붙여진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쉽게 물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판이 구부러진 상태의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포장이 행해져서 전개(展開)상태가 된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스탠드부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포장구가 외부상자 내에 수납된 상태의 포장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포장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을 할 때에 이용되는 치구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치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판이 구부러진 상태의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7은 포장이 행해져서 전개 상태가 된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스탠드부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을 할 때에 이용되는 치구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치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스탠드부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포장체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제2 실시형태의 한 변형예에 관한 포장구의 판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포장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포장이 행해져서 스탠드부가 세워진 포장구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a)는 들어올림 규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는 들어올림 규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3(a)는 들어올림 규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b)는 들어올림 규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4(a) 및 (b)는 들어올림 규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36(a)는 반송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b)는 반송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7(a)는 누름부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b)는 누름부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용착부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의 평면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포장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장구는, 통모양의 필름(통모양 필름)과, 예를 들면 판지로 된 판형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통모양의 필름을 단지 필름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포장구는 필름에 의해 물품을 판형부재로 밀어 붙임으로써 물품을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판형부재를 구부린 상태에서 판형부재의 접지면과 필름 사이에 벌어지는 틈새에 물품을 배치할 수 있다. 판형부재를 전개함으로써, 필름을 팽팽하게 치고, 필름에 의해 물품을 고정할 수 있다.
포장구는, 판형부재에 통모양 필름이 부착된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포장구는 쉽게 제조할 수 있다. 판형부재에 필름을 감고 필름끼리 서로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도 제조할 수 있다.
포장구를 이용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포장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 포장구는, 예를 들면 포장 라인에서 다수의 물품을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등의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 라인에서의 포장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포장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b)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1(a)에서 나타내는 좌표의 X축 방향을 좌우방향(원점에서 보아 X축에서 양이 되는 방향이 우방향), Y축 방향을 전후방향(원점에서 보아 Y축에서 양이 되는 방향이 후방향), Z축 방향(XY평면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방향(원점에서 보아 Z축에서 양이 되는 방향이 상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1(a)에 나타내듯이, 포장구(1)는 판(판형부재의 한 예)(10)과 , 통모양의 필름(30)을 갖는다. 판(10)에는 필름(30)이 감겨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판(10)은, 예를 들면 두께가 5mm 정도의 1매의 판지제이다. 필름(3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제이며 신축성(가요성)을 갖는 필름이다. 필름(30)은 무색투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른바 반투명이나 불투명한 것이어도 되며, 착색된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도1(a)에서는 포장구(1)의 전개 상태가 나타내어진다. 전개 상태의 포장구(1)의 치수는, 예를 들면 좌우방향이 300mm 정도이고 전후방향이 180mm 정도이다. 포장구(1)의 치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장대상으로 상정되는 물품의 크기나 각종 용도 등에 따라 설정된다.
도1(b)에 나타내 듯이, 판(10)에는 3개의 절곡선(절곡선; 줄)(21, 23, 24)이 형성된다. 즉 1개의 주 절곡선(21)과 2개의 서브 절곡선(23, 24)이 형성된다. 이들 절곡선(21, 23, 24)은, 예를 들면 롤러(creasing roller)나 블레이드(creasing blade)를 밀어 붙임으로써 형성된다. 절곡선(21, 23, 24)에는 점선가공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주 절곡선(21)은 판(10) 전후방향의 거의 중앙의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X축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10)은 주 절곡선(21)에 대하여 전후 양 끝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쉽게 구부릴 수 있다.
서브 절곡선(23)은, 판(10)의 우단부 근방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Y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서브 절곡선(24)은, 판(10)의 좌단부 근방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판(10)은 서브 절곡선(23)에 대하여 우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쉽게 구부릴 수 있다. 판(10)은 서브 절곡선(24)에 대하여 좌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쉽게 구부릴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2에 나타내듯이, 판(10)은 표면 라이너(19a)와, 뒷면 라이너(19b)와, 코어시트(19c)로 형성된다. 표면 라이너(19a)와 뒷면 라이너(19b)는 판형이다. 코어시트(19c)는 파형이다. 서브 절곡선(23, 24)은 판(10)의 코어시트(19c)의 파형 부분의 줄방향(이른바, 종이 폭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또 주 절곡선(21)이 코어시트(19c)의 줄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즉, 주 절곡선(21)이, 이른바 흐름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주 절곡선(21)은 코어시트(19c)의 파형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주 절곡선(21)에 의해 판(10)을 구부린 경우에는 판(10)이 전개 상태로 되돌아가게 작용하는 복원력이 비교적 커진다.
판(10)에 주 절곡선(21)과 서브 절곡선(23, 24)이 형성됨으로써, 판(10)은 다음과 같이 구획된다.
도3은 판(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에서 각종 해칭으로 둘러싸인 부위가 여기서 말하는 1개의 구획에 상당한다. 도3에 나타내듯이, 판(10)에는 포장되는 물품(50)이 배치되는 배치면(11)과, 배치면(11)에 인접하는 인접면(12)과, 2개의 스탠드부(15, 16)의 4개의 구획이 형성된다.
배치면(11)과 인접면(12) 사이에는 주 절곡선(21)이 배치된다. 바꾸어 말한다면, 배치면(11)과 인접면(12)은 주 절곡선(21)을 사이에 두고 구획된다. 배치면(11)은 판(10)의 앞쪽에, 인접면(12)은 판(10)의 뒤쪽에 각각 배치된다. 스탠드부(15, 16)는 서브 절곡선(23, 24)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면(11) 및 인접면(12)에 인접되도록 구획된다. 스탠드부(15)는 판(10) 내 서부 절곡선(23)보다 오른쪽 부분이다. 스탠드부(16)는 판(10) 내 서부 절곡선(24)보다 왼쪽 부분이다. 바꾸어 말한다면, 배치면(11)은 주 절곡선(21)보다 앞의 부위이며, 서브 절곡선(23, 24) 사이에 있는 부위이다. 또 인접면(12)은 주 절곡선(21)보다 뒤의 부위이며, 서브 절곡선(23, 24) 사이에 있는 부위이다.
판(10)은 인접면(12)과 스탠드부(15, 16)의 뒤쪽 부위가, 배치면(11)과 스탠드부(15, 16)의 앞쪽 부위에 대해 주 절곡선(21)에서 구부릴 수 있다.
도1(a)를 다시 참조하면, 필름(30)은 판(10) 내에서 주로 배치면(11)과 인접면(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통모양 필름(30)의 폭방향(둘레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좌우방향이 되도록 필름(30)이 배치된다. 바꾸어 말한다면, 필름(30)은 주 절곡선(21)이 필름(30)이 형성되는 통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판(10)에 감긴다.
필름(30)은, 판(10)에 각종 방법으로 부착되면 된다. 예를 들면, 미리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필름(30)의 내부에 판(10)을 통과시킴으로써 필름(30)이 판(10)에 부착된다. 또 예를 들면 포장기(band wrapping machine) 등을 이용하여, 판(10)에 대해 필름(30)을 적어도 1바퀴 감고 필름(30)끼리 접착함으로써 필름(30)이 판(10)에 부착된다. 필름(30)이 판(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판(10)은 각 절곡선(21, 23, 24)에서 구부릴 수 있다.
다음은, 포장구(1)를 이용하여 물품(50)을 포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판(10)이 구부러진 상태의 포장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에 나타내듯이, 포장구(1)는 주 절곡선(21)에서 인접면(12)이 배치면(11)에 대해 구부러진 상태(이하, 절곡 상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된다. 포장구(1)가 절곡 상태일 때, 필름(30)과 판(10)의 상면과의 사이의 틈새(A)에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절곡 상태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판(10)의 전단부, 후단부, 및 주 절곡선(21)부의 절곡부분을 직선으로 잇는 경로의 길이가 전개 상태보다 작아진다. 절곡 상태에서는, 이 경로와 통모양 필름(30)의 둘레길이와의 차가 커지므로, 인접면(12) 및 배치면(11)과, 필름(30)과의 사이에 틈새(A)가 생긴다. 이 틈새(A)에, 포장대상이 될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절곡 각도가 커질 수록(인접면(12)과 배치면(11)이 이루는 각이 작아질 수록), 상기 경로의 길이와 필름(30)의 둘레 길이와의 차가 커지는 데, 인접면(12)과 배치면(11)의 사이가 좁아진다. 따라서 물품(50)을 틈새(A)에 배치 가능한 적당한 각도까지 인접면(12)을 배치면(11)에 대해 구부리도록 하면 된다.
도5는, 포장구(1)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5에서는 도1(a)의 A-A선 단면이 나타내진다. 도5에서 위에서 아래로 단계(S11, S12, S13)를 차례로 진행하도록 하여, 포장구(1)를 이용한 포장이 이루어진다.
도5에 나타내듯이, 전개 상태의 포장구(1)는 평판형이다(S11). 이 상태로부터, 도면에 상향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판(10)을 주 절곡선(21)에서 구부리고 인접면(12)을 배치면(11)에 근접시켜 절곡 상태로 한다(절곡 단계).
다음은 판(10)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배치면(11)과 필름(30) 사이의 틈새(A)에 물품(50)이 배치된다(S12;배치 단계).
그 후, 도면에 하향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인접면(12)을 배치면(11)에 대하여 전개하여 전개 상태로 한다(S13). 그렇게 하면 필름(30)이 물품(50)의 상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팽팽하게 쳐진다. 이로써 물품(50)이 판(10)으로 밀어 붙여진 상태가 된다(전개 단계).
도6은, 포장이 행해지고 전개 상태가 된 포장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에 나타내듯이, 전개 단계가 행해지면, 측면에서 볼 때, 판(10)의 전단부, 후단부, 주 절곡선(21)부의 절곡부분, 및 물품(50)의 상부를 직선으로 잇는 경로의 길이가, 물품(50)이 배치됨으로써, 당초의 전개 상태보다 커진다. 필름(30)은 물품(50)의 상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약간 신장되면서 팽팽하게 쳐진다. 이에 따라, 필름(30)에 의해 물품(50)이 판(10)에 밀어 붙여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개 단계로 할 때, 스탠드부(15, 16)를 서브 절곡선(23, 24)에서 배치면(11)에 대해 구부림으로써, 세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인접면(12)을 배치면(11)에 대해 전개시키고, 그것에 의해 필름(30)을 팽팽하게 칠 수 있다. 여기서, 전개 단계를 실행한 후에 스탠드부(15, 16)를 세워도 된다(스탠드 단계).
도7은, 스탠드부(15, 16)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에 나타내듯이, 서브 절곡선(23, 24)은 주 절곡선(21)에 판(10) 상에서 교차하므로, 스탠드부(15, 16)를 서브 절곡선(23, 24)에서 구부리면, 판(10)이, 배치면(11)과 인접면(12)의 부분에서 전개된 상태인 채(인접면(12)이 배치면(11)에 대해 거의 평행이 되도록 전개된 상태인 채)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배치면(11)과 인접면(12)이 거의 평행이 된 상태가 되지 않으면 스탠드부(15, 16)를 구부릴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10) 상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는 2개의 서브 절곡선(23, 24) 각각을 개재하여 2개의 스탠드부(15, 16)가 형성되므로, 양 스탠드부(15, 16)를 구부려서 세운 상태로 함으로써, 판(10)이, 배치면(11)과 인접면(12)의 부분에서 전개된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 서브 절곡선(23, 24)은 판(10)의 코어시트(19c)의 파형부분의 줄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서브 절곡선(23, 24)에서 스탠드부(15, 16)를 구부린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이로써, 쉽게 포장을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주 절곡선(21)에 점선가공을 하지 않고 서브 절곡선(23, 24)에 점선가공을 함으로써, 서부 절곡선(23, 24)이 구부러진 상태가 유지되기 쉽게 구성되어도 된다.
도8은, 포장구(1)가 외부상자(70) 내에 수납된 상태의 포장체(8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8에 나타내듯이, 포장구(1)는 스탠드부(15, 16)가 배치면(11)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외부상자(70) 내에 수납된다. 바꾸어 말하면, 외부상자(70)의 치수는, 이와 같이 스탠드부(15, 16)가 구부러진 상태의 포장구(1)가 걸맞게 수납되도록 설정된다. 스탠드부(15, 16)가 배치면(11)에 대하여 구부러진 상태에서 포장구(1)가 외부상자(70) 내에 수납됨으로써, 스탠드부(15, 16)가 배치면(11)에 대하여 절곡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필름(30)이 팽팽하게 쳐진 상태가 유지되어, 물품(50)이 판(10) 상의 정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외부상자(70)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판지상자이다. 도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외부상자(70)의 상측 덮개가 열려 있다. 외부상자(70)의 상측 덮개가 닫혀지면, 거의 직방체 형상의 포장체(80)가 완성된다.
도9는 포장체(8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9에서는, 외부상자(70) 상하의 덮개가 닫힌 상태의 포장체(80)의 XZ평면에 평행인 단면이 나타내진다. 도9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서 포장구(1)가 외부상자(7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포장구(1)의 바닥부 즉 배치면(11) 및 인접면(12)과, 스탠드부(15, 16)의 상부가 외부상자(70)의 내면에 접촉한다. 특히 포장구(1)의 바닥부는 외부상자(70) 내면의 바닥면에 접촉하며, 스탠드부(15, 16) 각각의 상단부는 외부상자(70) 상면의 내면에 접촉한다. 즉, 도7에서 h1로 나타내지는, 스탠드부(15, 16)의 서브 절곡선(23, 24)으로부터의 폭 치수(세운 상태에서의 높이 치수)와, 도7에서 h2로 나타내지는 외부상자(70)의 높이 치수가 거의 동등하게 설정된다.
이로써, 외부상자(70)는 스탠드부(15, 1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어, 포장체(80)가 튼튼한 것이 된다. 또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포장구(1)의 위치가 외부상자(70) 내부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수송시 등에 포장체(80)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지거나, 포장체(80)가 기울어지거나 해도 물품(50)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구(1)의 바닥부가 외부상자(70)의 바닥면에 근접하고, 스탠드부(15, 16)의 상단부가 외부상자(70)의 천장면에 근접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스탠드부(15, 16)는 상방을 향해 구부러지고, 스탠드부(15, 16)의 상단부는 물품(50)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즉, 외부상자(70)의 상면과 물품과의 거리가 떨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사용자가 포장체(80)를 풀 때, 외부상자(70) 상측의 덮개를 개(開)상태로 하기 위해 칼 등의 예리한 공구를 이용하더라도, 그 공구와 물품(50)이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물품(50)이 보호된다.
여기서, 포장구(1)의 판(10)으로서, 일정한 정도의 두께가 있는 판지 등, 쿠션성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포장체(80)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져도 물품(50)으로 전달되는 충격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물품(50)을 보호할 수 있다. 또, 판(10)이 두꺼우면, 절곡 상태에서 전개 상태에 가까운 자연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이 커지므로, 보다 물품(50)을 고정시키기 쉬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포장구(1)에서, 판(10)을 절곡 상태로 하여 물품(50)을 배치하고, 다시 판(10)을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물품(50)을 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쉽게 물품(50)을 포장할 수 있다. 판(10)은, 일단 절곡 상태로 한 후에도, 전개 상태에 가까운 자연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필름(30)을 팽팽하게 치기 위해 복잡한 순서는 필요없으며, 쉽게 판(10)을 전개 상태로 할 수 있다.
포장구(1)는 판(10)과 통모양 필름(30)을 조합한 간단한 구성을 갖는다. 이로써, 물품(50)을 고정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장치나 대규모 장치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포장에 필요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포장구(1)는, 2개의 스탠드부(15, 16)를 세운 상태로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물품(50)이 유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포장을 풀 때에는, 포장 시와 역 순으로 스탠드부(15, 16)를 원래 자리로 되돌리고, 판(10)을 전개 상태에서 절곡 상태로 하면 된다. 이로써, 필름(30)의 팽팽함을 완화시켜, 쉽게 물품(50)을 떼놓을 수 있다. 포장을 실행하는 공정에서, 필름을 열수축시키거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등의 불가역적인 공정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쉽게 포장 및 풀기를 행할 수 있다. 또, 일단 포장에 사용한 포장구(1)를 다시 이용하여 다른 물품(50)을 포장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필름(30)과 판(10)의 조합에 접착제 등이 이용되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필름(30)만이 손상된 경우라도, 새로운 필름(30)과 교환함으로써 포장구(1)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구(1)는 수작업으로 포장을 행하는 등의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공장 등에서 포장라인에서 복수의 물품(50) 각각을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등의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라인에서 포장구(1)를 라인으로 흐르게 하여 이용하는 경우,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나, 치구를 이용하여 포장구(1)를 라인으로 흐르게 해도 된다.
도10은, 포장구(1)를 이용한 포장을 할 때에 이용되는 치구(90)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에 나타내듯이 치구(90)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블록형상을 갖는다. 치구(90)는 상면에, 포장구(1)의 배치면(11)에 대응하는 지지면(91)과, 인접면(12)에 대응하는 지지면(92)을 갖는다. 지지면(91)과 지지면(92)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치구(90)는 지지면(91)과 지지면(92)으로 구성된, 주 절곡선(21)에 대응하는 좌우방향을 따른 'V'자형 홈을 갖는다.
도11은, 치구(9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에 나타내듯이 포장구(1)는 치구(90)의 상면에 얹어진다. 포장구(1)의 배치면(11), 인접면(12)이 치구(90)의 지지면(91, 92)에 의해 지지되고, 판(10)이 절곡 상태로 된 채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구(90)는, 포장라인에서 포장구(1)를 라인에 흐르게 하는 등의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수작업으로 포장작업을 하는 등의 경우에 치구(90)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절곡 상태로 했을 때에 포장구(1)를 단독으로 세우기는 어렵지만, 이와 같은 복수의 지지면(91, 92)으로 포장구(1)의 판(10)을 절곡 상태인 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포장작업을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장구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포장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2개의 스탠드부(15, 16)가 형성되고, 포장방법에 있어서 그들을 세워서 포장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점이나, 그 후의 외부상자(70)에의 수납구조 등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 절곡선이 2개 형성되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1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2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2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 도13에 나타내듯이, 포장구(201)는 필름(30)과 판(판형 부재의 한 예)(210)으로 구성된다.
판(210)은 2개의 주 절곡선(221, 222)을 갖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판(10)과 다르다. 판(210)에서 2개의 서브 절곡선(23, 24)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2개의 주 절곡선(221, 222)은 판(210) 위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주 절곡선(221, 222)은 각각 X축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주 절곡선(221)이 판(10)의 전단 가까이에 배치된다. 주 절곡선(222)이 판(10)의 후단 가까이에 배치된다.
도14는 판(2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4에 나타내듯이, 판(210)에는 포장되는 물품(50)이 배치되는 배치면(211)과, 배치면(211)에 인접하는 2개의 인접면(212, 213)과, 2개의 스탠드부(15, 16)의 5개의 구획이 형성된다.
배치면(211)과 인접면(212)은 앞쪽의 주 절곡선(221)을 개재하여 구획된다. 배치면(211)과 인접면(213)은 뒤쪽의 주 절곡선(222)을 개재하여 구획된다. 판(210)의 앞쪽에서부터, 좌우양측의 스탠드부(15, 16)인 부분을 제외하고, 인접면(212), 배치면(211), 인접면(213)이 각각 이 순으로 배치된다.
판(210)은, 인접면(212)과 스탠드부(15, 16)의 앞쪽 부위가 배치면(211)에 대하여 주 절곡선(221)에서 절곡 가능하다. 또 인접면(212)과 스탠드부(15, 16)의 뒤쪽 부위가 배치면(211)에 대하여 주 절곡선(222)에서 절곡 가능하다.
도12를 다시 참조하면, 필름(30)은, 판(210) 내에서 주로 배치면(211)과 인접면(212, 213)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필름(30)은, 주 절곡선(221, 222)이 필름(30)을 형성하는 통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판(210)에 감긴다.
다음에, 포장구(201)를 이용하여 물품(50)을 포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장방법도 크게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15는, 판(210)이 구부러진 상태의 포장구(2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에 나타내듯이 포장구(201)는, 인접면(212)과 인접면(213)이 배치면(211)에 대하여 구부러진 절곡 상태에서, 필름(30)과 판(210) 상면 사이의 틈새(A)에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즉, 판(210)을 절곡 상태로 하면, 측면에서 보아, 판(210)의 전단부, 후단부, 및 주 절곡선(221, 222) 각각의 절곡부분을 직선으로 있는 경로의 길이가 전개 상태보다 작아진다. 절곡 상태로 하면, 이 경로와 통모양 필름(30)의 둘레 길이와의 차가 커지므로, 인접면(212, 213) 및 배치면(211)과, 필름(30)과의 사이에 틈새(A)가 생긴다. 이 틈새(A)에, 포장대상이 될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도16은 포장구(201)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16은, 도12의 B-B선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16에서 위에서 아래로, 단계(S21, S22, S23)를 차례로 진행하도록 하여 포장구(201)를 이용한 포장이 이루어진다.
도16에 나타내듯이, 전개 상태의 포장구(201)는 평판형이다(S21). 이 상태로부터, 도면에 상향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판(210)을 주 절곡선(221, 222)에서 구부려, 절곡 상태로 한다(절곡 단계).
다음에, 판(210)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배치면(211)과 필름(30) 사이의 틈새(A)에 물품(50)이 배치된다(S22;배치 단계).
그 후, 도면에 하향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인접면(212, 213)을 배치면(211)에 대하여 전개하여, 전개 상태로 한다(S23). 그렇게 하면 필름(30)이 물품(50)의 상부에 접촉한 상태로 팽팽하게 쳐진다. 이로써 물품(50)이 판(210)으로 밀어 붙여진 상태가 된다(전개 단계).
도17은, 포장이 행해져서 전개 상태가 된 포장구(2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7에 나타내듯이, 전개 단계가 행해지면, 측면에서 볼 때, 판(210)의 전단부, 후단부, 주 절곡선(221, 222)의 절곡부분, 및 물품(50)의 상부를 직선으로 잇는 경로의 길이가, 물품(50)이 배치됨으로써 당초의 전개 상태보다 커진다. 필름(30)은, 물품(50)의 상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약간 신장되면서 팽팽하게 쳐진다. 이에 따라, 필름(30)에 의해 물품(50)이 판(210)으로 밀어 붙여진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상기와 같이 전개 단계로 할 때(또는 전개 단계를 실행한 후에), 스탠드부(15, 16)를 서브 절곡선(23, 24)에서 배치면(211)에 대하여 구부려, 세운 상태로 할 수 있다(스탠드 단계).
도18은, 스탠드부(15, 16)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에 나타내듯이, 포장구(201)는, 스탠드부(15, 16)가 배치면(211)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필름(30)이 팽팽하게 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물품(50)이 판(210) 위의 정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배치면(211)의 전후 양쪽에 배치된 인접면(212, 213)이 절곡된 상태에서, 틈새(A)에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판(210)을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물품(50)을 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쉽게 물품(50)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를 비롯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절곡 상태로 했을 때에도 배치면(211)을 거의 수평하게 유지하기 쉬우므로, 물품(50)을 보다 쉽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배치면(211)이 전후 중앙부에 배치되므로, 물품(50)을 주 절곡선(221, 222)에 걸리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치면(211)에 대한 물품(50)의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 판(210)을 절곡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할 수 있다. 쉽게, 배치면(211) 상의 타겟 위치에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치구를 이용하여 포장하거나, 치구를 이용하여 포장구(201)를 라인으로 흐르게 하도록 해도 된다.
도19는, 포장구(201)를 이용한 포장을 행할 때에 이용되는 치구(290)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에 나타내듯이, 치구(290)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블록형상을 갖는다. 치구(290)는 상면에, 포장구(201)의 배치면(211)에 대응하는 거의 수평의 주 지지면(295)과, 인접면(212, 213)에 대응하는 서브 지지면(291, 292)을 갖는다. 서브 지지면(291)과 서브 지지면(292)은 각각 주 지지면(295)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치구(290)는 전체적으로 주 지지면(295)의 전후 단연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도20은 치구(290)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0에 나타내듯이 포장구(201)는 치구(290)의 상면에 얹힌다. 포장구(201)의 배치면(211), 인접면(212, 213)이 치구(290)의 지지면(291, 292, 295)에 의해 지지되고, 판(210)이 절곡 상태인 채 유지된다. 따라서 치구(290)를 이용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효율적으로 포장작업을 할 수 있다. 치구(290)는 포장 라인에 있어서 포장구(201)을 라인에 흐르게 하는 등의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수작업으로 포장작업을 하는 등의 경우에서 치구(290)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서 주 지지면(295)의 전후방향 폭은, 배치면(211)의 폭보다 크게 해도 된다. 주 지지면(295)과 배치면(211) 사이에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치구(290)에 대한 포장구(201) 위치가 약간 벗어났다 해도, 그것에 상관없이 치구(290)에 포장구(201)를 세팅하여 포장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이때, 서브 지지면(291, 292)이 배치면(211)에 대하여 보다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하거나, 서브 지지면(291, 292)의 배치면(211)으로부터의 돌출량을 크게 하거나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장구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각 스탠드부가 보조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21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3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1에 나타내듯이, 포장구(301)는 판(판형부재의 한 예)(310)에 통모양의 필름(30)이 부착되어 구성된다.
도22는 판(3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2에 나타내듯이 판(310)에는, 포장되는 물품(50)이 배치되는 배치면(11)과, 배치면(11)에 인접하는 인접면(12)과, 2개의 스탠드부(315, 316)가 배치된다. 배치면(11)과 인접면(12) 사이에는 주 절곡선(21)이 있다. 우측 스탠드부(315)와, 배치면(11) 및 인접면(12)과의 사이에는 서브 절곡선(23)이 있다. 좌측 스탠드부(316)와, 배치면(11) 및 인접면(12)과의 사이에는 서브 절곡선(24)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스탠드부(315)에는 보조 절곡선(23b(점선으로 나타냄))이 형성된다. 보조 절곡선(23b)은 서브 절곡선(23)과 거의 평행이다. 보조 절곡선(23b)을 개재하여, 스탠드부(315)는 추가로 2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다. 즉, 배치면(11)에 인접하는 수직부(15a)와, 수직부(15a)에 인접하는 수평부(15b)의 2개가 보조 절곡선(23b)을 개재하여 배치된다.
또, 스탠드부(316)에는 보조 절곡선(24b(점선으로 나타냄))이 형성된다. 보조 절곡선(24b)은 서브 절곡선(24)과 거의 평행이다. 보조 절곡선(24b)을 개재하여, 스탠드부(316)는 추가로 2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다. 즉, 배치면(11)에 인접하는 수직부(16a)와, 수직부(16a)에 인접하는 수평부(16b)의 2개가 보조 절곡선(24b)을 개재하여 배치된다.
포장구(301)를 이용하여, 상술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탠드부(315, 316)를 세울 때까지의 순서를 실행함으로써 물품(50)을 배치면(11)에 고정할 수 있다. 포장구(301)에서, 스탠드부(315, 316) 중의 적어도 수직부(15a, 16a)가 배치면(11)에 대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필름(30)이 팽팽하게 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물품(50)이 판(210) 위의 정위치에 확실히 유지된다. 수직부(15a, 16a)는, 예를 들면 배치면(11)에 대하여 수직하게 구부러진다.
도23은 스탠드부(315, 316)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3에 나타내듯이 제3 실시형태에서, 스탠드부(315, 316)에 있어서 보조절곡선(23b, 24b)에서 수직부(15a, 16a)에 대하여 수평부(15b, 16b)를 구부릴 수 있다. 수평부(15b, 16b)는, 예를 들면 배치면(11) 즉 거의 수평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도록 수직부(15a, 16a)에 대하여 구부러진다. 즉, 도23에 나타내듯이 판(310)은 수평인 배치면(11)과 수평부(15b)와, 수직인 수직부(15a)에 의해, 앞쪽에서 볼 때 'U'자형(역 'ㄷ'자형)을 이루도록 구부러진다. 또 이와 마찬가지로 판(310)은 수평인 배치면(11) 및 수평부(16b)와, 수직인 수직부(16a)에 의해, 앞쪽에서 볼 때 'U'자형을 이루도록 구부러진다.
도24는 포장체(380)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4에서, 짐(50)을 유지하는 포장구(301)가 외부상자(70)에 수납되어 포장체(380)가 구성된다. 수직부(15a, 16a)의 높이는 외부상자(70) 내측의 높이 치수에 맞추어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서브 절곡선(23)과 보조 절곡선(23b)의 간격이나, 서브 절곡선(24)과 보조 절곡선(24b)의 간격은 외부상자(70) 내측의 높이 치수에 맞추어 설정된다. 이로써, 도24에 나타내듯이 포장구(301)가 외부상자(70)에 수납되면 스탠드부(315, 316)가 상술한 듯이 구부러진 상태인 채 유지된다. 이때, 수직부(15a, 16a)는 외부상자(70)의 측면을 따르고, 수평부(15b, 16b)는 외부상자(70)의 상면을 따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외부상자(70)가 포장구(301)에 의해 지지되어 포장체(380)가 튼튼한 것이 된다. 특히 수평부(15b, 16b)가 외부상자(70)의 상면을 따르고 있으므로, 외부상자(70)에 대하여 위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외부상자(70)의 상면이 확실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포장체(380)의 내충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배치면(11)과 인접면(12)이 가까워지도록 구부러진 상태에서 틈새(A)에 물품(50)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판(310)을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물품(50)을 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쉽게 물품(50)을 포장할 수 있는 효과를 비롯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스탠드부(315, 316)가 형성된 부분을, 서브 절곡선(23, 24)과 보조 절곡선(23b, 24b)에 의해, 앞쪽에서 볼 때 'U'자형을 이루도록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포장구(301)나 그것을 외부상자(70)에 수납한 포장체(380)의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다.
[기타]
주 절곡선의 수나 위치, 서브 절곡선의 수나 위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 절곡선은 1개 이상 형성되면 된다. 서브 절곡선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즉, 배치면에 추가로, 그것에 인접하는 1개 또는 2개의 인접면이 형성되면 된다. 또, 인접면에 인접하며, 절곡 상태에서 그 인접면에 대하여 구부러지는 다른 인접면이 형성되어도 된다. 스탠드부는 1개라도 되고,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판을 절곡 상태로 함으로써 생긴 틈새에 물품을 배치한 후, 판을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그 물품을 고정할 수 있고, 쉽게 포장작업을 할 수 있다.
도25는 제2 실시형태의 한 변형예에 관한 포장구의 판(4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25에 나타내듯이, 판(410)은 2개의 주 절곡선(421, 422)과 1개의 서브 절곡선(23)을 갖는다. 2개의 주 절곡선(421, 422)은 판(410) 위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변형예에서 주 절곡선(421, 422)은 각각 X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주 절곡선(421)과 주 절곡선(422)은 판(410)의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거의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양 주 절곡선(421, 422)간의 전후방향 거리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커진다. 서브 절곡선(23)은 판(410)의 우측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서브 절곡선(23)은 주 절곡선(421, 422)에 판(410) 위에서 교차한다.
판(410)은 사다리꼴의 배치면(411) 및 2개의 인접면(412, 413)과 1개의 스탠드부(15)로 구획된다. 판(410)에 통모양의 필름을 감은 포장구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물품의 포장에 이용할 수 있다. 스탠드부(15)는 오른쪽에만 형성되나, 스탠드부(15)를 세움으로써 배치면(411)과 2개의 인접면(412, 413)이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는 전개 상태인 채 유지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서 포장구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기본적인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대략적으로 말한다면 주 절곡선(21)이 판(510)의 전후 중앙보다 뒤쪽으로 오프셋되는 점과, 필름의 개구 단부가 스탠드부에 걸리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5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6에 나타내듯이 포장구(501)는 판(판형부재의 한 예)(510)과 필름(530)을 갖는다. 포장구(501)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포장구(1)와 마찬가지이며, 판(510)에는 필름(530)이 감긴다.
제4 실시형태에서 판(510)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판(10)과 다르다. 주 절곡선(21)은 판(510)의 전후 중앙보다 뒤쪽으로 오프셋된다. 즉, 주 절곡선(21)은 판(51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배치면(511)은 인접면(512)보다 넓게 된다. 즉, 배치면(511)의 면적은 인접면(512)의 면적보다 크다.
주 절곡선(21)이 뒤쪽으로 오프셋됨으로써 다음의 효과가 생긴다. 즉, 배치면(511)이 넓고 포장구(501)의 무게중심이 주 절곡선(21)보다 앞쪽에 있으므로, 거의 수평한 작업대 위 등에서 포장구(501)를 절곡 상태로 했을 때, 배치면(511)이 작업대 위 등에 설치한 채의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용 치구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포장작업을 할 수 있다.
도27은 포장구(50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7은 도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해칭 등이 실시된 도이다. 도27에서 필름(530)은 2점쇄선으로 나타내진다. 또 주 절곡선(21)과 서브 절곡선(23, 24)은 각각 1점쇄선으로 나타내진다.
포장구(501)가 전개 상태일 때, 필름(530)이 형성하는 통의 좌우 양쪽의 개구단부(530a)는 스탠드부(15, 16)에 걸린다. 특히 개구단부(530a)는 스탠드부(15, 16) 중 서브 절곡선(23, 24)의 근방 부위에 걸린다. 바꾸어 말하면, 필름(530)의 길이(통의 길이)는 배치면(511)의 좌우방향 폭이나 인접면(512)의 좌우방향 폭보다 길게 구성된다.
판(510)의 한 쌍의 테두리부(510m)는 각각 직선형이다. 배치면(511)은 사각형이다. 인접면(512)은 사각형이다.
도28은, 포장이 행해져서 스탠드부(15, 16)가 세워진 포장구(501)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물품의 포장을 행할 수 있다. 도28에는, 물품(50)이 배치면(511)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장구(501)가 전개된 후, 스탠드부(15, 16)가 배치면(511)에 대하여 구부러진 상태가 나타내진다. 도28에 나타내듯이, 물품(50)은 필름(530)에 의해 판(510)으로 밀어 붙여짐으로써 판(510) 위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필름(530)의 개구단부(530a)가 스탠드부(15, 16)에 걸려 있다. 때문에 스탠드부(15, 16)가 배치면(511)에 대하여 구부러질 때, 필름(530)의 개구단부(530a) 근방 부분도 스탠드부(15, 16)와 함께 서브 절곡선(23, 24)에서 구부러진다. 이로써, 판(510)의 배치면(511) 및 인접면(512)과, 필름(530)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구성된다. 이 공간의 기밀을 어느 정도까지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공간 내에 배치된 물품(50)에 큰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 등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포장구(501)를 외부상자 내에 수납할 수 있다.
도26 및 도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29에 나타내듯이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필름공급부(610)와, 반송부(620)와, 용착부(640)와, 인입부(650)와, 들어올림 규제부(660)와, 반출부(630)를 구비한다.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포장구를 제조한다. 포장구는, 예를 들면 포장구(1(도1(a))), 포장구(201(도12)), 포장구(301(도21)) 또는 포장구(501(도26))이다.
이하, 한 예로서 포장구(501)를 제조하는 경우의 포장구 제조장치(600) 및 포장구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26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통모양 필름(530)과 판(510)을 구비한다. 판(510)에는 상면측에 주 절곡선(21)이 형성된다. 판(510)에는 필름(530(통모양 필름))이 감긴다.
필름공급부(610)는 필름을 공급한다. 필름공급부(610)는 상측 필름공급부(612)와 하측 필름공급부(614)를 갖는다. 상측 필름공급부(612)는, 판(510)(도29에서는 도시 생략)의 상방에 띠형상의 상측 필름(31)을 공급한다. 하측 필름공급부(614)는, 판(510)(도29에서는 도시 생략)의 하방에 띠형상의 하측 필름(32)을 공급한다.
반송부(620)는, 탑재부(621)와 압입부(622)를 갖는다. 탑재부(621)에는 판(510)이 얹힌다. 반송부(620)는 판(510)의 선단이 필름(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밀도록, 판(510)을 반송한다. 상세하게는, 압입부(622)는 탑재부(621)에 얹힌 판(510)의 후단을 밀어서 판(510)을 수평방향으로 반송한다.
용착부(640)는 실부(644)와 실받이부(642)를 갖는다. 실부는 열원(646)을 갖는다. 열원(646)은, 예를 들면 용단블레이드(melt-cutting blade)이다. 실받이부(642)는 실부(644)를 받는다. 용착부(640)는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용착하여 통모양 필름(530)을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실부(644)와 실받이부(642)가 접촉함으로써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용착하여 통모양 필름(530)을 형성한다.
인입부(650)는 인입롤러(652)를 갖는다. 인입부(650)는, 용착부(640)가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용착하기 전에, 판(510)이 주 절곡선(21)에서 구부러지도록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인다. 구체적으로는, 인입롤러(652)가 Y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판(510)이 주 절곡선(21)에서 구부러지도록 하측 필름(32)이 인입된다.
들어올림 규제부(660)는,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 선단의 들어올림을 규제한다.
반출부(630)는, 필름(530)이 감긴 판(510), 즉 제조된 포장구(501)를 반출한다. 반출부(630)는 예를 들면 벨트컨베이어이다.
도26, 도30 및 도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50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501)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5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0(a)에 나타내듯이, 필름(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과, 판(510)과, 포장구 제조장치(600)를 준비한다(준비하는 단계). 판(510)은 탑재부(621)에 얹힌다.
도30(b)에 나타내듯이, 판(510)의 선단이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밀면서, 판(510)의 선단부터 판(510)의 후단까지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이 접촉하도록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판형부재에 감는다(감는 단계). 상세하게는, 압입부(622)에 의해 판(510)의 후단이 밀림으로써 판(510)이 반송된다. 판(510)이 반송됨으로써,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의 선단부가 앞쪽으로 당겨진다.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의 선단부가 앞쪽으로 당겨지면, 상측필름 공급부(612)에 의해 상측 필름(31)이 판(510)의 상방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하측필름 공급부(614)에 의해 하측 필름(32)이 판(510)의 하방으로 공급된다. 압입부(622)에 의해 판(510)의 반송이 완료된 후, 압입부(622)는 도30(a)에 나타낸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에 의해 판(510)의 상면 및 하면이 피복되면, 도30(c)에 나타내듯이 판(510) 선단의 들어올림이 들어올림 규제부(660)에 의해 규제될 때까지 판(510)이 주 절곡선(21)에서 구부러지도록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인다(끌어들이는 단계). 상세하게는, 하측 필름(32)이 인입되면, 도31에 나타내듯이 판(510)의 선단(517)이 주 절곡선(21)에서 구부러진다. 하측 필름(32)이 인입되면, 상측 필름(31)은 판(510)의 선단(517)에서 판(510)의 후단(518)에 걸쳐 팽팽하게 친 상태가 된다.
다시 도3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끌어들이는 단계가 끝나면, 도30(c)에 나타내듯이 용착부(640)가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용착해서 통모양 필름(530)을 형성한다(통모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세하게는, 실부(644)와 실받이부(642)가 접촉함으로써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이 용착됨과 동시에 절단된다.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가 용착됨으로써 통모양 필름(530)이 형성된다. 그 결과, 포장구(501)가 제조된다.
제조된 포장구(501)는 반출부(630)에 의해 반출된다.
도32~도34를 참조하여 들어올림 규제부(660)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32(a)는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2(b)는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3(a)는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3(b)는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4(a) 및 도34(b)는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2(a), 도33(a), 도34(a) 및 도34(b)에서 제1 고정구(664b)와 제2 고정구(664c)는 생략한다.
도32(a)에 나타내듯이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한 쌍의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구비한다. 한 쌍의 들어올림 규제부(660)는 각각 접촉부(662)와 유지부(664)를 갖는다.
접촉부(662)는,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과 접촉한다. 접촉부(662)는, 예를 들면 막대형부재이다. 접촉부(662)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된다. 접촉부(662)는 선단부(662a)와 후단부(662b)를 갖는다. 선단부(662a)는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과 접촉한다. 후단부(662b)에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유지부(664)는 접촉부(662)를 유지한다. 유지부(664)는, 유지판(664a)과 제1 고정구(664b)와 제2 고정구(664c)를 갖는다. 유지판(664a)는 예를 들면 판형부재이다. 유지판(664a)은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된다. 도(32b)에 나타내듯이 유지판(664a)에는 개구(664d)가 형성된다. 개구(664d)는 Y축방향으로 이어지는 긴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1 고정구(664b)와 제2 고정구(664c)는, 예를 들면 너트이다. 유지판(664a)을 사이에 두도록, 제1 고정구(664b)와 제2 고정구(664c)를 후단부(662b)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유지부(664)에 접촉부(662)가 고정된다. 그 결과, 유지부(664)는 접촉부(662)를 유지한다.
도33(a)에 나타내듯이, 접촉부(662)는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과 접촉한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 선단의 들어올림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판(510)의 선단이 소정의 각도(θ)로 고정된다. 따라서 판(510)의 선단이 각도(θ)가 부여된 상태에서, 용착부(640)가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용착할 수 있다.
도33(b)에 나타내듯이,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들어올림 규제부(660)는 판(510)의 상면측 중, 주 절곡선(21)보다 판(510)의 선단측에 접촉한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33(b)에 나타내듯이,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들어올림 규제부(660)는 상측 필름(31)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판(510)의 선단측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상측 필름(31)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측 필름(31)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들어올림 규제부(660)는 상측 필름(31)과 겹치는 위치에서 판(510)의 선단측에 접촉해도 된다.
또 유지부(664)는, 접촉부(662)를 유지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유지부(664)는, 개구(664d)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에서 접촉부(662)를 고정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Y축방향(수평방향)으로 접촉부(662)를 고정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접촉부(662)를 유지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의 각도(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4(a)에 나타내는 접촉부(662)는, 도34(b)에 나타내는 접촉부(662)보다 개구(664d)에 대하여 판(510)의 후단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34(a)에 나타내는 판(510)의 각도(θ)는 도34(b)에 나타내는 판(510)의 각도(θ)보다 커진다. 이와 같이 접촉부(662)의 개구(664d)에 대한 고정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각도(θ)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Y축방향(수평방향)으로 접촉부(662)를 고정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나, 더 나아가 Z축방향(수직방향)으로 접촉부(662)를 고정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유지판(664a)을 고정하는 위치를 Z축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상, 도29~도34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판(510)의 선단의 들어올림을 규제하는 들어올림 규제부(660)를 구비한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의 선단의 들어올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29~도34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접촉부(662)는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과 접촉한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의 선단의 들어올림을 규제할 수 있다. 또 판(510)의 선단이 소정의 각도(θ)로 고정된다. 따라서 판(510)의 선단이 소정의 각도(θ)가 부여된 상태에서 용착부(640)가 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을 용착할 수 있다.
또 도29~도34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유지부(664)는 접촉부(662)를 유지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도(θ)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도29~도34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들어올림 규제부(660)는 판(510)의 상면측 내 주 절곡선(21)보다 판(510)의 선단측에 접촉한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판(510)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29~도34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들어올림 규제부(660)는 상측 필름(31)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판(510)의 선단측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상측 필름(31)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측 필름(31)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26 및 도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판송부(620)가 가이드부(623)를 추가로 갖는 점과, 포장구 제조장치(600)가 누름부(670)를 추가로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29에 나타낸 포장구 제조장치(6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35에 나타내듯이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필름공급부(610)와, 반송부(620)와, 용착부(640)와, 인입부(650)와, 들어올림 규제부(660)와, 반출부(630)에 추가로 누름부(670)를 구비한다. 누름부(670)는, 반송부(620)가 판(510)의 반송을 완료한 후,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이기 전에, 상측 필름(31)과 접촉하지 않고 판(510)을 누른다.
반송부(620)는, 탑재부(621)와 누름부(622)에 추가로 가이드부(623)를 갖는다. 가이드부(623)는 판(510)의 들어올림을 규제한다. 가이드부(623)는 판(510)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660)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도36을 참조하여 가이드부(623)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36(a)는 반송부(62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6(b)는 반송부(62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6(a) 및 도36(b)에 나타내듯이 반송부(620)는 탑재부(621)와 누름부(622)에 추가로 한 쌍의 가이드부(623)와 케이싱(625)을 갖는다.
누름부(622)는, 누름판(622a)과 누름막대(622b)를 갖는다. 누름판(622a)은 예를 들면 판형부재이다. 누름막대(622b)는 예를 들면 막대형부재이다. 누름막대(622b)의 일단에는 누름판(622a)이 장착된다. 누름막대(622b)의 타단은, 케이싱(625)에 장치된 실린더에 장착된다. 실린더에 의해 누름막대(622b) 선단의 위치가 Y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누름판(622a)의 위치가 Y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판(510)의 후단이 누름판(622a)에 의해 눌려 판(510)을 수평방향으로 반송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623)는 각각 막대형부재이다. 가이드부(623)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623)는, 판(510)의 X축방향 단부에서의, 판(510)의 후단에서 판(510)의 선단부에 걸친 들어올림을 규제한다. 따라서 가이드부(623)는 판(510)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660)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도37를 참조하여 누름부(670)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37(a)는 누름부(670)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7(b)는 누름부(670)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7(a)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누름부(670)는 각각 누름판(672)과 누름막대(674)를 갖는다. 누름판(672)은 예를 들면 판형부재이다. 누름막대(674)는 예를 들면 막대형부재이다. 누름막대(674)의 일단에는 누름판(672)이 장착된다. 누름막대(674)의 타단은 실린더에 장착된다. 실린더에 의해 누름막대(674) 선단의 위치가 Z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누름판(672)의 위치가 Z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판(510)의 상면이 누름판(672)에 의해 눌려, 판(510)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37(b)에 나타내듯이, 반송부(620)가 판(510)의 반송을 완료한 후,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이기 전에, 누름부(670)는 상측 필름(31)과 접촉하지 않고 판(510)을 누른다. 따라서 누름부(670)와 상측 필름(31)이 접촉하여 상측 필름(31)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37(b)에 나타내듯이, 반송부(620)가 판(510)의 반송을 완료했을 때, 들어올림 규제부(660)와 가이드부(623)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가이드부(623)는 배치된다. 따라서 들어올림 규제부(660)와 가이드부(623)가 충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실부(644)와 실받이부(642)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8은 용착부(640)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8에서 틈새(d1)는,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의 실부(644)와 실받이부(642) 사이의 틈새이다. 두께(d2)는 판(510)의 두께이다.
도38에 나타내듯이,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 틈새(d1)는 필름(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의 두께보다 크고 판(510)의 두께(d2)보다 작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 필름만이 틈새(d1)를 통과하며, 판(510)은 틈새(d1)를 통과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실부(644)와 실받이부(642) 사이의 틈새(d1)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판(510)이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수 있다.
이상, 도35~도38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반송부(620)는 탑재부(621)와 압입부(622)에 추가로 가이드부(623)를 갖는다. 따라서 가이드부(623)에 의해 판(510)의 들어올림을 규제하고, 판(510)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660)의 하방을 통과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 도35~도38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반송부(620)가 판(510)의 반송을 완료했을 때, 들어올림 규제부(660)와 가이드부(623)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가이드부(623)는 배치된다. 따라서 들어올림 규제부(660)와 가이드부(623)가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35~도38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누름부(670)를 구비한다. 따라서 반송부(620)가 판(510)의 반송을 완료한 후, 판(510)의 상면이 누름부(670)에 의해 눌려, 판(510)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35~도38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실부(644)와 실받이부(642)의 틈새(d1)는 필름(상측 필름(31) 및 하측 필름(32))의 두께보다 크고, 판(510)의 두께(d2)보다 작다. 따라서 인입부(650)가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때에, 필름만이 틈새(d1)를 통과하며, 판(510)은 틈새(d1)를 통과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실부(644)와 실받이부(642) 사이의 틈새(d1)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판(510)이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일 수 있다.
도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3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의 평면도이다. 도3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구 제조장치(600)의 측면도이다. 도39(a) 및 도39(b)에 나타내듯이 포장구 제조장치(600)는 필름공급부(610)와, 반송부(620)와, 용착부(640)와, 인입부(650)와, 들어올림 규제부(660)와, 누름부(670)와, 반출부(630)를 구비한다.
이상, 도면(도1~도39)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단,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형태에서 실시하기가 가능하다(예를 들면 하기에 나타내는 (1)~(9)).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는 다르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1)판이나 필름의 재질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으로서, 판지 외에 두꺼운 종이류를 이용해도 된다. 또 판은 종이로 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와 같은 수지제라도 된다. 판이 고무제인 경우, 판을 전개 상태로 한 경우에 판의 반발력에 의해 필름에 텐션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판은, 구부러지고, 그 후 다시 전개할 수 있는 판형부재이면 된다. 필름은 폴리에틸렌제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제라도 된다.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와 같은 수지제에 한정되지 않고, 천 또는 종이와 같은 섬유제라도 된다. 필름은 신축성이 있는 것이라도 되고, 아니라도 된다. 판을 전개 상태로 한 경우, 필름에 텐션이 걸리도록 하므로, 필름은 신축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은 각각 통모양으로 구성된 복수의 것이 1개의 판에 조합되도록 해도 된다.
(2)판의 치수나 필름의 둘레길이는 포장대상이 될 물품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판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삼각형이라도 오각형 이상이라도 된다. 필름의 둘레길이는, 판을 절곡 상태로 했을 때에 물품을 배치할 수 있고, 그 후 전개 상태로 함으로써 필름에 텐션이 걸리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필름의 형상은 띠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그물형상이라도 된다. 또는 필름의 형상은 평탄형에 한정되지 않고, 기포 완충재와 같이 요철이 있어도 된다.
(3)판은 표면 라이너(19a)와, 뒷면 라이너(19b)와, 코어시트(19c)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은 코어시트를 갖지 않고 1장의 판형부재로 형성되어도 된다.
(4)신축성 필름 대신, 통모양으로 구성된 필름형상의 부재가 이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필름이 주 절곡선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5)외부상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판지제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6)예를 들면 박형의 물품을 상술한 실시형태의 포장구를 이용하여 판에 고정한 상태에서 봉투 등의 바깥 봉지에 넣어서 봉함으로써 포장체가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그 외, 포장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물품을 여러 가지 형태로 포장할 수 있다.
(7)포장구는, 포장구 제조장치(600)에 의해 제조된 포장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고리형으로 형성된 통모양 필름의 내부에 판을 통과시키고, 필름이 판에 부착되도록 하여 포장구가 제조되어도 된다.
(8)포장구 제조장치(600)에서, 인입 롤러(652)가 Y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측 필름(32)을 끌어들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입 롤러(652) 대신, 하측 필름(32)이 감기도록 구성해도 된다.
(9)포장구 제조장치(600)에서, 실부(644)는 실받이부(642)보다 하방에 위치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부(644)는 실받이부(642)보다 상방에 위치해도 된다.
1, 201, 301, 501 : 포장구
10, 210, 310, 410, 510 : 판(판형부재의 한 예)
11,211,411,511 : 배치면
12, 212, 213, 412, 413, 512 : 인접면
15, 16, 315, 316 : 스탠드부 19c : 코어시트
21, 221, 222, 421, 422 : 주 절곡선 23, 24 : 서브 절곡선
23b, 24b : 보조 절곡선 30, 530 : 필름(통모양 필름)
31 : 상측 필름 32 : 하측 필름
50 : 물품 70 : 외부상자
80, 380 : 포장체 90, 290 : 치구
600 : 포장구 제조장치 610 : 필름공급부
620 : 반송부 621 : 탑재부
622 : 압입부 623 : 가이드부
640 : 용착부 642 : 실받이부
644 : 실부 646 : 열원
650 : 인입부 660 : 들어올림 규제부
662 : 접촉부 664 : 유지부
670 : 누름부

Claims (26)

  1. 통모양 필름과, 상면측에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는 포장구를 제조하는 포장구 제조장치이며,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이 상기 필름을 밀도록, 상기 판형부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필름을 용착하여 상기 통모양 필름을 형성하는 용착부와,
    상기 용착부가 상기 필름을 용착하기 전에, 상기 판형부재가 상기 절곡선에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필름을 끌어들이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가 상기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의 들어올림을 규제하는 들어올림 규제부를 구비하는, 포장구 제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들어올림 규제부는,
    상기 인입부가 상기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상기 판형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촉부를 유지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한, 포장구 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가 상기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상기 들어올림 규제부는, 상기 판형부재의 상기 상면측 내, 상기 절곡선보다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측에 접촉하는, 포장구 제조장치.
  4. 제1항에서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가 상기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상기 들어올림 규제부는, 상기 필름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측에 접촉하는, 포장구 제조장치.
  5. 제1항에서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판형부재가 얹히는 탑재부와,
    상기 탑재부에 얹힌 상기 판형부재의 후단을 밀고, 상기 판형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압입부와,
    상기 판형부재의 들어올림을 규제하고,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포장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가 상기 판형부재의 반송을 완료했을 때, 상기 들어올림 규제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포장구 제조장치.
  7. 제1항에서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가 상기 판형부재의 반송을 완료한 후, 상기 필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판형부재를 누르는 누름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포장구 제조장치.
  8. 제1항에서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는,
    열원을 갖는 실부와,
    상기 실부를 받는 실받이부를 가지며,
    상기 용착부는, 상기 실부와 상기 실받이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필름을 용착하고,
    상기 인입부가 상기 필름을 끌어들일 때에, 상기 실부와 상기 실받이부의 틈새는, 상기 필름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판형부재의 두께보다 작은, 포장구 제조장치.
  9. 통모양 필름과, 상면측에 절곡선이 형성되며 상기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는 포장구를 제조하는 포장구 제조방법이며,
    필름과, 상기 판형부재와, 들어올림 규제부 및 용착부를 구비하는 포장구 제조장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이 상기 필름을 밀면서,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부터 상기 판형부재의 후단까지 상기 필름이 접촉하도록 상기 필름을 상기 판형부재에 감는 단계와,
    상기 판형부재 선단의 들어올림이 상기 들어올림 규제부에 의해 규제될 때까지 상기 판형부재가 상기 절곡선에서 구부러지도록 상기 필름을 끌어들이는 단계와,
    상기 용착부가 상기 필름을 용착하고 상기 통모양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구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끌어들이는 단계에서,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이 상기 들어올림 규제부에 접촉하는, 포장구 제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는 단계에서,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이 상기 들어올림 규제부의 하방을 통과하는, 포장구 제조방법.
  12. 제9항에서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구 제조장치는,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이 상기 필름을 밀도록, 상기 판형부재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감는 단계에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판형부재의 들어올림을 규제하여, 상기 판형부재의 선단이 들어올림 규제부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상기 판형부재를 반송하는, 포장구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구 제조장치는, 상기 필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판형부재를 누르는 누름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감는 단계에서, 상기 반송부가 상기 판형부재의 반송을 완료한 후, 상기 끌어들이는 단계의 전에,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판형부재를 누르는, 포장구 제조방법.
  14. 물품을 포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포장구이며,
    통모양 필름과,
    상기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판형부재는,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포장되는 물품이 배치되는 배치면과, 상기 절곡선을 개재하여 상기 배치면에 인접하는 인접면을 가지며,
    상기 통모양 필름은, 상기 배치면과 상기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이 상기 통모양 필름이 형성하는 통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판형부재에 감기고,
    상기 인접면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배치면과 상기 통모양 필름 사이의 틈새에, 상기 물품의 배치가 가능하며,
    상기 틈새에 상기 물품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접면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됨에 따라, 상기 통모양 필름이 상기 물품에 접촉한 상태에서 팽팽하게 쳐짐으로써, 상기 물품이 상기 판형부재로 밀어 붙여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절곡선은, 상기 판형부재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는, 포장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판지제이며,
    상기 절곡선은 상기 판형부재의 코어시트의 파형부분을 가로지르도록 하여 형성되는, 포장구.
  16. 제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의 면적은 상기 인접면의 면적보다 큰, 포장구.
  17. 제14항에서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모양 필름은 신축성 필름인, 포장구.
  18. 제14항에서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판형부재 상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는 2개의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며,
    1개의 상기 배치면과, 각각 상기 2개의 절곡선의 한쪽을 개재하여 상기 배치면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인접면을 갖는, 포장구.
  19. 제14항에서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배치면과 상기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에 상기 판형부재 상에서 교차하는 서브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상기 배치면에 인접하는 스탠드부를 가지며,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서브 절곡선에서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됨으로써, 상기 인접면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되어 상기 통모양 필름이 팽팽하게 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포장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절곡선은, 점선가공이 실시되며,
    상기 절곡선은, 점선가공이 실시되지 않는, 포장구.
  21. 제19 항 또는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판형부재 상에서 서로 교차하지 않는 2개의 상기 서브 절곡선의 각각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2개 형성되는, 포장구.
  22. 제19 항에서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서브 절곡선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보조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며, 구획된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절곡 가능한, 포장구.
  23. 제19 항에서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구가 외부상자 내에 수납된 포장체이며,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상자 내에 수납됨으로써, 상기 스탠드부가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된 상태가 유지되는, 포장체.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구가 외부상자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포장구의 바닥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상부가 상기 외부상자의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포장체.
  25.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이며,
    상기 포장구는,
    통모양 필름과,
    상기 통모양 필름이 감긴 판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판형부재는,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포장되는 물품이 배치되는 배치면과, 상기 절곡선을 개재하여 상기 배치면에 인접하는 인접면을 가지며,
    상기 통모양 필름은, 상기 배치면과 상기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이 상기 통모양 필름이 형성하는 통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판형부재에 감기고,
    상기 절곡선은, 상기 판형부재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은,
    상기 인접면을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구부리는 절곡 단계와,
    상기 절곡 단계에 의해 상기 판형부재가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배치면과 상기 통모양 필름 사이의 틈새에 상기 물품을 배치하는 배치 단계와,
    상기 배치 단계에 의해 상기 물품이 상기 틈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접면을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하고, 상기 통모양 필름을 상기 물품에 접촉한 상태에서 팽팽하게 침으로써, 상기 물품을 상기 판형부재로 밀어 붙이는 전개 단계를 갖는,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는, 상기 배치면과 상기 인접면 사이의 절곡선에 상기 판형부재 상에서 교차하는 서브 절곡선을 개재하여 구획되고, 상기 배치면에 인접하는 스탠드부를 가지며,
    상기 전개 단계는, 상기 스탠드부를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절곡함으로써 상기 인접면을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전개시켜 상기 통모양 필름을 팽팽하게 치는,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20177035988A 2015-08-04 2016-08-04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 KR102071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5/072082 2015-08-04
PCT/JP2015/072082 WO2017022078A1 (ja) 2015-08-04 2015-08-04 梱包具、梱包体及び梱包具を用いた梱包方法
PCT/JP2016/072969 WO2017022832A1 (ja) 2015-08-04 2016-08-04 梱包具、梱包体、梱包具を用いた梱包方法、梱包具製造装置、及び梱包具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630A true KR20180008630A (ko) 2018-01-24
KR102071447B1 KR102071447B1 (ko) 2020-01-30

Family

ID=5754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988A KR102071447B1 (ko) 2015-08-04 2016-08-04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00560B2 (ko)
JP (3) JP6042581B1 (ko)
KR (1) KR102071447B1 (ko)
WO (2) WO2017022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502B1 (ko) * 2016-12-20 2017-06-05 유혜인 박스포장세트와 박스포장방법
US20180229883A1 (en) * 2017-02-14 2018-08-16 E - pac Packaging Services Co. Ltd. Packaging Assembly
JP6971051B2 (ja) * 2017-04-19 2021-11-24 大倉工業株式会社 張力梱包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梱包部材、梱包容器
CN110356709A (zh) * 2018-04-09 2019-10-22 近藤博章 包装工具和包装箱
JP7273526B2 (ja) * 2019-01-30 2023-05-15 株式会社トーモク 包装箱
JP7444598B2 (ja) 2019-12-23 2024-03-06 株式会社トーモク 包装箱
CN111469530B (zh) * 2020-04-26 2022-07-1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纸张的覆膜工艺
CN117602150B (zh) * 2024-01-24 2024-03-26 山东众信包装有限公司 在线式摇臂缠绕全面覆膜包装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804A (en) * 1980-03-06 1981-12-29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ecure product-to-card or card type package having preapplied heat shrinkable plastic film
JPH09501128A (ja) * 1993-06-24 1997-02-04 ジョーンズ,ダブリュー.チャールズ 物品の包装キッ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189377B2 (ja) 1991-04-08 2001-07-16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合成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US6311843B1 (en) * 1999-10-01 2001-11-06 Motion Design, Inc. Packaging boxes and components with internal resilient elements
WO2008126199A1 (ja) * 2007-03-23 2008-10-23 Yamato Packing Technology Institute Co., Ltd. 物品運送用梱包具
JP2014108785A (ja) * 2012-11-30 2014-06-12 Oishi Sangyo Kk 物品の包装用押え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の包装装置
JP2014218305A (ja) * 2013-04-10 2014-11-20 レンゴー株式会社 物品梱包方法
JP2015127208A (ja) * 2013-12-27 2015-07-09 ヤマト包装技術研究所株式会社 物品運送用梱包具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7152A (en) * 1956-12-20 1959-10-06 Swift & Co Method and machine for use in packaging of bacon or the like
US3002432A (en) * 1957-06-26 1961-10-03 Appleton Mach Packaging machine
US2939258A (en) * 1958-06-16 1960-06-07 Lengsfield Brothers Inc Carton forming and loading apparatus
US3375152A (en) * 1963-11-04 1968-03-26 Du Pont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continuous lengths of polymeric film to the sides of a rigid substrate
US3600872A (en) * 1969-09-29 1971-08-24 Reynolds Metals Co Method of making a package
US3742676A (en) * 1971-04-30 1973-07-03 Speizman Ind Inc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BE789251A (fr) * 1972-01-24 1973-01-15 Oscar Mayer & Inc Emballage contenant du bacon
JPS5222543Y2 (ko) * 1972-09-06 1977-05-24
US3815319A (en) * 1973-03-21 1974-06-11 Mayer & Co Inc O Means and method for unfolding bacon board flaps and the like
US3965645A (en) * 1974-08-26 1976-06-29 Ganz Robert H Package tightener and method
DE2440885C3 (de) * 1974-08-27 1980-06-19 Focke & Pfuhl, 2810 Verden Vorrichtung zum Einhüllen von Gegenständen wechselnder Höhe
US4003184A (en) * 1975-04-28 1977-01-18 Shiu Thomas B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sliced bacon and the like
US3978260A (en) * 1975-07-10 1976-08-31 American Can Company Substantially curl-free semi-rigid support member for food packages
US4125633A (en) * 1976-08-06 1978-11-14 Brown Company Bacon or like container, blank therefor, bacon package and method of packaging bacon therein
JPS5425433A (en) * 1977-07-28 1979-02-26 Yuasa Batte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ell
US4288968A (en) * 1979-12-03 1981-09-15 Fuji Machinery Co., Ltd. End sealing device for a plastic film in a packaging apparatus
US4342182A (en) * 1980-04-24 1982-08-03 Cashin Systems Corp. Card folding and creasing device
US4328657A (en) * 1980-04-24 1982-05-11 Cashin Systems Corp. Automatic card dispenser and pick-off assembly
US4371553A (en) * 1980-08-01 1983-02-01 James River-Dixie/Northern, Inc. Package including product support insert
US4375482A (en) * 1980-08-01 1983-03-01 James River-Dixie/Northern, Inc. Package including product support insert
IT1199031B (it) * 1981-07-17 1988-12-21 Ireneo Bozza Macchina fascettatrice-fardellatrice per l'impacchettamento di pacchi di scatole o prodotti
US4552789A (en) * 1983-02-15 1985-11-12 Huggitt Packaging Company Backing board insert for food packages
US4453628A (en) * 1983-04-01 1984-06-12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Bacon package inner pad
US4549386A (en) * 1983-04-18 1985-10-29 Baker Perkins Holdings Plc Form-fill-seal wrapping apparatus
IT1204553B (it) * 1987-05-05 1989-03-10 A W A X Srl Macchina per imballare prodotti di vario genere con pellicola plastica estensibile a freddo
US4894248A (en) * 1987-07-30 1990-01-16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Windowed bacon package
US5087498A (en) * 1990-04-12 1992-02-11 Nedblake Greydon W Meat L-board
US5326577A (en) * 1992-10-02 1994-07-05 Warnock Food Products, Inc. Shrink wrap package for fragile food products
US5694744A (en) * 1996-02-29 1997-12-09 Jones; William Charles Article packaging kit, and method
IT1285617B1 (it) * 1996-03-15 1998-06-18 Gd Spa Metodo di incarto di prodotti
US5676245A (en) * 1996-04-02 1997-10-14 Jones; William Charles Article packaging kit, system and method
US5934473A (en) * 1996-06-12 1999-08-10 International Paper Co. Method for packaging article and cradle insert
WO1998018694A1 (en) * 1996-10-28 1998-05-07 Jones William C Sealable article packaging kit, system and method
US6074678A (en) * 1998-03-10 2000-06-13 Owens-Illinois Labels Inc. Plastic sheet base for packaging bacon
ITBO20000689A1 (it) * 2000-11-23 2002-05-23 Gianluigi Gamberini Dispositivo per la definizione di una confezione di materiale avvoltoin rotoli in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automatica
ITBO20000733A1 (it) * 2000-12-20 2002-06-20 Gianluigi Gamberini Macchina per il confezionamento di pile di articoli multi - falda di carta o simili entro relativi involucri ottenuti da fogli di avvolgimen
EP1216923B1 (en) * 2000-12-20 2006-03-15 Tissue Machinery Company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stacks of paper or the like into a wrapping foil
US6490844B1 (en) * 2001-06-21 2002-12-10 Emerging Technologies Trust Film wrap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ITBO20020463A1 (it) * 2002-07-18 2004-01-19 Awax Progettazione Apparato per la termosaldatura continua ed a tenuta dei lembi longitudinali e sovrapposti di elementi tubolari di film termoplastico di spes
JP4429192B2 (ja) * 2005-03-09 2010-03-10 ヤマト包装技術研究所株式会社 物品運送用梱包具
US7753209B2 (en) * 2006-04-27 2010-07-13 Mcdonald John Suspension package assembly
EP1860031B1 (en) * 2006-05-26 2009-10-28 M T C - Macchine Trasformazione Carta S.r.l. Paper feeding device for a banding machine for logs of sheet material
US20080110794A1 (en) * 2006-11-15 2008-05-15 Kpc-Master's Craft International, Inc. Retention packaging manufacture
DK176968B1 (da) * 2006-12-20 2010-08-09 Schur Packaging Systems As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at lægge et omslagsark om en stak
US20110108448A1 (en) * 2008-09-30 2011-05-12 David Goodrich Suspension Packaging System
DE102010053872C5 (de) * 2010-12-09 2019-10-17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Verpackungsanlage mit Sortierstation
US9156573B2 (en) * 2011-03-30 2015-10-13 Alkar-Rapidpak, Inc. Packag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8871286B2 (en) * 2011-04-15 2014-10-28 Thomas Marshall Fritz Synthetic board stock suitable for direct food contact
DE102011121642B8 (de) * 2011-12-19 2013-10-10 Multivac Sepp Haggenmüller Gmbh & Co. Kg Verfahren und Falteinrichtung zum Bearbeiten von L- Boards
JP5866258B2 (ja) * 2012-05-29 2016-0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包袋装置
US20140061085A1 (en) * 2012-09-05 2014-03-06 Ade, Inc. Retention packaging structure
WO2015029560A1 (ja) * 2013-08-26 2015-03-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包装装置、溶着用の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カセット
JP3189377U (ja) 2013-11-26 2014-03-13 ジャパン・プラス株式会社 緩衝用物品収納体
US20150266642A1 (en) * 2014-03-21 2015-09-24 John McDonald Heat sealed packag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US20170190449A1 (en) * 2014-07-03 2017-07-06 Gea Food Solutions Germany Gmbh Packaging machine for packages with an l-board
US9868578B2 (en) * 2014-10-31 2018-01-16 Sealed Air Corporation Retention frame for a packaging assembly
DE102016108213A1 (de) * 2016-05-03 2017-11-09 Weber Maschinenbau Gmbh Breidenbach Vorrichtung zur Zuführung von Produktträgern und Vorrichtung zum Verschwenken eines Abdeckabschnitts eines Produktträger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804A (en) * 1980-03-06 1981-12-29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ecure product-to-card or card type package having preapplied heat shrinkable plastic film
JP3189377B2 (ja) 1991-04-08 2001-07-16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合成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H09501128A (ja) * 1993-06-24 1997-02-04 ジョーンズ,ダブリュー.チャールズ 物品の包装キッ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311843B1 (en) * 1999-10-01 2001-11-06 Motion Design, Inc. Packaging boxes and components with internal resilient elements
WO2008126199A1 (ja) * 2007-03-23 2008-10-23 Yamato Packing Technology Institute Co., Ltd. 物品運送用梱包具
JP4920747B2 (ja) * 2007-03-23 2012-04-18 ヤマト包装技術研究所株式会社 物品運送用梱包具
JP2014108785A (ja) * 2012-11-30 2014-06-12 Oishi Sangyo Kk 物品の包装用押え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の包装装置
JP2014218305A (ja) * 2013-04-10 2014-11-20 レンゴー株式会社 物品梱包方法
JP2015127208A (ja) * 2013-12-27 2015-07-09 ヤマト包装技術研究所株式会社 物品運送用梱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0560B2 (en) 2020-10-13
WO2017022078A1 (ja) 2017-02-09
JPWO2017022832A1 (ja) 2018-04-05
JP2019177953A (ja) 2019-10-17
JP6042581B1 (ja) 2016-12-14
JPWO2017022078A1 (ja) 2017-08-03
KR102071447B1 (ko) 2020-01-30
US20180229868A1 (en) 2018-08-16
WO2017022832A1 (ja) 2017-02-09
JP6567057B2 (ja)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8630A (ko) 포장구, 포장체, 포장구를 이용한 포장방법, 포장구 제조장치, 및 포장구 제조방법
AU2010306506B2 (en) Secondary packag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or container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package
KR20170133439A (ko) 맞춤형 패키지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8013197A (ja) 商品の包装方法
JP2015078008A (ja) 電子機器用包装体
JP2018538181A (ja) 包装箱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3272228B (zh) 用于将薄膜包装在物品周围的包装机
WO2017199403A1 (ja) 包装具
JP5426421B2 (ja) ピロー包装体の耳折り方法及び耳折り装置
JP6216963B1 (ja) 梱包具、梱包体及び梱包具を用いた梱包方法
JP7113594B2 (ja) 包装具
JP5477107B2 (ja) 包装袋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54332B1 (ko) 샌드위치 포장대의 포장장치
JP5540822B2 (ja) 包装袋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213869A (ja) 包装装置
JP6165393B1 (ja) 梱包具および梱包方法
IT201600079213A1 (it) Uso di un vassoio per il trasporto di buste per contenitori flessibili e procedimenti e macchine utilizzanti tale vassoio.
JP7369510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を用いたスリーブ包装方法、スリーブ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およびスリーブ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1116410A (ja) フィルム包装体と包装装置
WO2018216138A1 (ja) 梱包具および梱包方法
JP2019172287A (ja) 包装装置及び包装体
JP2006016061A (ja) 包装袋体
JP2022139271A (ja) 保持具および包装済物品の製造方法
KR790002190Y1 (ko) 물품 포장용 부재
JP6000568B2 (ja) 製袋器並びに製袋方法及びピロー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