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383A -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 Google Patents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383A
KR20180007383A KR1020160088091A KR20160088091A KR20180007383A KR 20180007383 A KR20180007383 A KR 20180007383A KR 1020160088091 A KR1020160088091 A KR 1020160088091A KR 20160088091 A KR20160088091 A KR 20160088091A KR 20180007383 A KR20180007383 A KR 2018000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film
concentration
adjus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최봉석
오승재
조태용
최현민
박소연
엄병진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7383A/ko
Priority to PCT/KR2016/014941 priority patent/WO2018012689A1/ko
Priority to US15/424,910 priority patent/US10040338B2/en
Publication of KR2018000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21Operation of devices; Circuit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04Change display of window to another as function of settable active display time of wind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28Door, wind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18Car, auto,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시 햇빛이나 반대차선의 상향등으로 인한 눈부심으로 시야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조도에 따라 빛의 투과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액정 선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리창에 부착되며, 농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 필름(50)과; 상기 액정 필름(50)의 농도를 설정하는 조작부(10)와; 외부의 환경 변화를 데이터로 수치로 정량화 하는 감지센서부(20)와; 상기 감지센서부(20)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액정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THE LIQUID CRYSTAL DEVICE FOR ADJUSTING THE SUNLIGHT PENETRATION DURING DRIVING}
본 발명은 차량 운행시 햇빛이나 반대차선의 상향등으로 인한 눈부심으로 시야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조도에 따라 빛의 투과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액정 선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전 중 마주보고 오는 반대편 차선의 차량의 상향등이나 해질녘 직사광선에 의해 안전운전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시야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시야확보를 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한다면 운전자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차량에도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야간주행이나 직사광선과 같은 악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시야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차량유리의 썬팅은, 차량의 창문에 썬팅을 위한 반투명 시트지를 붙여 빛의 투과량을 항시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다.
보통 차량 구매시 차량 제조회사에서 썬팅 시공 쿠폰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별도의 시공업체에 방문하여 시공을 받는다. 빛의 투과율이 높은 썬팅지를 부착하게 되면, 햇빛 차단효과가 낮아 썬팅지를 부착한 의미가 없으며, 투과율이 낮은 썬팅지를 부착하게 되면, 특히 야간 주행시 어두워서 앞이 잘 보이지 않는다.
한편, 일단 유리창에 시공된 썬팅지는 빛의 투과율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썬팅지 제거작업이 까다로워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는 차량의 선바이저에 고정클립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썬가드가 있다. 보통 반투명 편광 아크릴 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었다 펼수 있어 휴대성이 좋아 필요에 따라 햇빛이나 직사광선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햇빛 차단을 위한 방법으로는 빛의 세기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려우며,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운전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햇빛 차단을 위한 차량용 물품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그 중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249호(공개일자:2012.07.02.)는 자동차 유리 단계별 선팅에 관한 것으로, 차 유리가 올라오는 곳 옆에 홈을 더 만들어서 단계별 선팅 유리가 들어가 있어, 유리문처럼 선팅유리도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249호(공개일자:2012.07.02)
본 발명은 차량 운전시 운행에 방해가 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빛의 세기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팅지의 농도를 조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는 조도에 따라 빛의 투과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액정 선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리창에 부착되며, 농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 필름과;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를 설정하는 조작부와; 외부의 환경 변화를 데이터로 수치로 정량화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액정필름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유리창에 부착된 빛 감지센서로, 감지한 빛의 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동차의 휠과 구동축에 설치된 속도 감지센서가 속도 변화 신호를 상기 제어부 보내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감지센서가 온도 변화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가 구비된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가변저항 값이 변하며, 변한 가변저항 값에 따라 변화된 전력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는 빛의 세기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는 시공이 용이하며,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 감지센서를 이용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센서를 이용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의 구성도이다.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된 액정 필름(50)의 명암인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액정 필름(50)에 연결된 조작부(10) 또는 감지센서부(20)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30)가 프로그램된 설정값과 비교를 한 후에 액정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 반대편 차선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이나 상향등으로 인해 시야확보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운전자가 조작부(10)를 통해 액정 필름(50)을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야간 운전시 액정 필름(50)으로 인해 시야가 어둡다면 액정 필름(50)을 밝게 조절하거나 그 기능을 꺼서 시야가 밝은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부(20)와 연결된 제어부(30)를 통해 액정 필름(50)의 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며, 제어부(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0)로는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42)를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제어부(30)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는 감지센서부(20)와 연동되면서, 제어부(30)의 역할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처리속도를 가진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즉각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시스템인 만큼 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C언어 기반의 장치가 좋을 것이며, 차량용 부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보다 안정적이고,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는 별도의 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감지센서부(20)로는 햇빛이나 상대 차량의 전조등의 밝기의 정도를 인식하는 빛 감지센서와 차량의 진행속도를 인식하는 속도 감지센서 및 차량 외부의 온도를 인식하는 온도 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안전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면 다양한 종류의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필름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차량의 앞 유리에 액정 필름(50)이 부착되어 있다. 액정 필름(50)은 부착이 용이하도록 굴곡이 있거나, 잘 휘어지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며, 접착력이 더 구비되어 있으면 좋을 것이다.
액정 필름(50)의 일편에는 조작부(10)와 연결되어 있어, 운전자가 원하는 농도로 밝기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0)에 더 포함된 자동 조절기능을 이용하면, 각종 감지센서부(20)와 연결된 신호를 따라 제어부(30)에 설정된 데이터 값과 비교한 후에 액정 필름(50)의 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조작부(10)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액정 필름(50)의 밝기 정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수동 기능을 사용할 경우, 조작부(10)에 구비된 On/Off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어부(30)의 전원을 차단시켜 액정 필름(50)이 없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감지센서부(20)와 제어부(30)의 자동 저항 결정 기능만을 Off시켜 조작부(10)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액정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조작부(10)는 운적석에 구비된 스티어링(12)에 더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며, 이밖에도 운전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면 어느 곳이라도 좋을 것이다.
자동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제어부(30)와 연결된 감지센서부(20)는 빛 감지센서(22), 속도 감지센서(24), 온도 감지센서(26) 등이 있을 것이며, 이밖에도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면 다른 외부환경의 조건을 인식하는 감지센서를 더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빛 감지센서(22)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앞 유리 일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것이며, 햇빛이나 반대편 차선에서 접근하는 헤드라이트의 밝기 정도를 데이터 수치로 정량화 시켜 제어부(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빛 감지센서(22)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은 제어부(30)에서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값과 비교를 하여 제어부(30) 내부에 구비된 정전류 시스템의 가변저항 값을 변화시키게 되며, 옴의 법칙(V=IR)에 따라 전압을 조정하게 된다. 변경된 전압으로 전력값(P=VI)도 변하게 되어 빛의 양이 많을수록 액정 필름(50)의 차폐율이 높아지도록 농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빛 감지센서(22)가 인식하는 빛의 양에 따른 액정 필름(50)의 농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차량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휠과 샤프트 축에 속도 감지센서가 위치하여 속도의 변화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액정 시트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속도 감지센서(24)를 보면, 차량의 샤프트(25)에 구비되어 있는 속도 감지센서(24)가 샤프트(25)의 회전 속도를 데이터 수치로 정량화 시켜 제어부(30)로 보내 상기에서 언급한 빛 감지센서(24)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30)가 액정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속도 감지센서(24)는 반드시 샤프트(25)에 위치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샤프트(25)에 구비된 속도 감지센서(24)가 회전하는 휠에 신호를 보내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에 따른 속도를 데이터화 하여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차량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하는 방법이 있다면 어느 것이라도 좋을 것이다.
도 4는 차량의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액정 시트의 밝기를 변하게 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온도 감지센서(26)의 경우, 차량의 외부인 사이드 미러(27)의 하단에 구비된 온도 감지센서(26)가 외부 온도 값을 데이터 수치로 정량화 시킨 신호를 제어부(30)로 발신하여 액정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30)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42)의 전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액정 필름(50)으로 인한 유리창의 차폐율 정도는 법규에 어긋나지 않을 15~75% 범주 내에서 이루어 질 것이다.
액정 필름(50)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차량의 앞 유리 전체 또는 일부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전문가의 도움 없이 운전자가 손쉽게 탈부착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조작부 12 : 스티어링
20 : 감지센서부 22 : 빛 감지센서
24 : 속도 감지센서 25 : 샤프트
26 : 온도 감지센서 27 : 사이드 미러
30 : 제어부 40 : 전원공급장치
42 : 배터리 50 : 액정 필름

Claims (5)

  1. 유리창에 부착되며, 농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 필름;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를 설정하는 조작부;
    외부의 환경 변화를 데이터로 수치로 정량화 하는 감지센서부;
    상기 감지센서부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액정필름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유리창에 부착된 빛 감지센서로, 감지한 빛의 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자동차의 휠과 구동축에 설치된 속도 감지센서가 속도 변화 신호를 상기 제어부 보내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온도 감지센서가 온도 변화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가 구비된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가변저항 값이 변하며, 변한 가변저항 값에 따라 변화된 전력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액정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액정 선팅장치.
KR1020160088091A 2016-07-12 2016-07-12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KR20180007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91A KR20180007383A (ko) 2016-07-12 2016-07-12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PCT/KR2016/014941 WO2018012689A1 (ko) 2016-07-12 2016-12-20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US15/424,910 US10040338B2 (en) 2016-07-12 2017-02-06 Apparatus for controlling tint of display panel provided on vehicle window to adjust light transmit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91A KR20180007383A (ko) 2016-07-12 2016-07-12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83A true KR20180007383A (ko) 2018-01-23

Family

ID=6094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091A KR20180007383A (ko) 2016-07-12 2016-07-12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40338B2 (ko)
KR (1) KR20180007383A (ko)
WO (1) WO20180126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72A (ko) 2019-09-26 2021-04-05 김이수 디스플레이 선팅
KR102265168B1 (ko) 2019-12-30 2021-06-14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라이프 구조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자동차 썬팅 필름 및 썬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9451B1 (en) * 2017-08-25 2019-03-07 Videowindow B V Dynamic shading system
KR20210036530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글라스 투과율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580923B1 (en) 2021-10-13 2023-02-14 Videowindow B.V. Dynamic shading system
CN114291125B (zh) * 2021-12-03 2023-07-21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用车窗及会议车厢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569A (ja) * 1995-01-31 1996-08-13 Katsumi Yokota 車両用太陽光線調節装置
KR19980025751U (ko) * 1996-11-05 1998-08-05 임경춘 태양광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글래스
JP3423620B2 (ja) * 1998-07-30 2003-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制御装置及び撮像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EP1297380B1 (en) * 2000-05-04 2008-11-26 Schott Donnelly LLC Method of making an electrochromic panel
US6373618B1 (en) * 2000-05-04 2002-04-16 Schott-Donnelly, Llc Chromogenic glazing for automobiles and display filters
FR2840078B1 (fr) * 2002-05-22 2004-08-13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a proprietes optiques et/ou energetiques variables
US8102586B2 (en) * 2007-07-23 2012-01-24 Kuwait University Electronic window shading system for houses, transport vehicles and the like
KR20110057616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투과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71249A (ko) 2010-12-22 2012-07-02 이동길 자동차 유리 단계별 선팅
KR20130062518A (ko) * 2011-12-05 2013-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949B1 (ko) * 2013-10-07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472A (ko) 2019-09-26 2021-04-05 김이수 디스플레이 선팅
KR102265168B1 (ko) 2019-12-30 2021-06-14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라이프 구조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자동차 썬팅 필름 및 썬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15811A1 (en) 2018-01-18
WO2018012689A1 (ko) 2018-01-18
US10040338B2 (en)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7383A (ko)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US20090116098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tint of glass
CN102026461B (zh) 车用灯光控制装置
JP6105396B2 (ja) 車載用表示装置
CN203945946U (zh) 车辆及车用遮阳板系统
US11602979B2 (en) Sun visor for a motor vehicle
CN206086298U (zh) 车辆控制系统
CN104626937A (zh) 遮阳防眩装置
US2015017510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brightness of a lit motor vehicle instrument as well as a motor vehicle with at least one dimmably lit motor vehicle instrument
CN104700727A (zh) 一种汽车导航显示屏
KR20150000477A (ko) 주간 자동차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627376A (zh) 一种自动调节亮度的汽车后视镜装置
US7149026B2 (en) Sensor unit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f lighting devices and coupling medium for a sensor unit
KR102060180B1 (ko)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9189193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127158B1 (ko) 차량 글라스의 명암 조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7616A (ko) 투과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150939A (zh) 汽车内后视镜
CN219339200U (zh) 一种tft全液晶汽车仪表系统
KR101510949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73960A (ko) 차량의 안개등 제어 방법
KR200366652Y1 (ko) 차량용 차광장치
CN209833327U (zh) 一种基于msp430单片机自动控制的汽车滤光仪
CN215182987U (zh) 一种应用于农用机械行车抬头显示的led亮度控制电路
KR20030082113A (ko) 액정패널을 이용한 차량의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