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80B1 -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180B1
KR102060180B1 KR1020170107762A KR20170107762A KR102060180B1 KR 102060180 B1 KR102060180 B1 KR 102060180B1 KR 1020170107762 A KR1020170107762 A KR 1020170107762A KR 20170107762 A KR20170107762 A KR 20170107762A KR 102060180 B1 KR102060180 B1 KR 10206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view mirror
monitor
spee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034A (ko
Inventor
문영실
최영희
최주형
Original Assignee
문영실
최영희
최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실, 최영희, 최주형 filed Critical 문영실
Priority to KR102017010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1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고 차량내부의 네비게이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로 구성하며, 좌,우 깜빡이를 점등 시(차선변경, 회전시, 비상시)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며,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 등을 모니터 해줌으로 차선변경 및 안전운전을 할 수 있으며 시야가 안 좋을 땐 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를 통해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를 보면서 변경하도록 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거나 없도록 하여 안전한 차선변경이 가능한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that rearview mirror acts as camera monitor and works with naviga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고 차량내부의 네비게이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로 구성하며, 좌,우 깜빡이를 점등 시(차선변경, 회전시, 비상시)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며,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 등을 모니터 해줌으로 차선변경 및 안전운전을 할 수 있으며 시야가 안 좋을 땐 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를 통해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를 보면서 변경하도록 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거나 없도록 하여 안전한 차선변경이 가능한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 시 운전자가 주행 차선의 좌 , 우의 후방측 도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어 외측에 백미러(또는 후사경(side mirror)이라고도 함)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자동차 사이드 미러는 차체 양측에 부착되어 운행도중 운전자가 전방과 좌우측을 주시한 상태에서 사이드 미러의 몸체에 부착된 거울을 통해 후방에서 주행 해오는 다른 차량의 주행 방향이나 속도 등을 인식하여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하거나 또는 전후방 차량의 안전거리 유지 그리고 후방에서 주행해오는 타 차량의 운행에 방해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추월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등 안전운행에 없어서는 안될 여러 가지 필수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운전석 우측 상단에도 차량의 후방을 볼 수 있는 백미러가 있다.
한편, 조수석 측에 형성된 사이드 미러의 경우 운전석과 거리가 있어 운전자가 볼 수 있는 거울의 반사각이 아주 작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각 확보를 위하여 반사각이 거울의 양측에서 중앙으로 약간 볼록해지는 거울이 설치되지만 사각지대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결정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후사경이 평면거울인 경우에는 굴절현상이 없어 정확한 거리감과 형체의 반사를 제공하기는 하나, 시야각이 작아서 자동차의 측방향에는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있다.
결과적으로, 운전 중 자동차에 설치되는 종래의 평면의 사이드 미러는 후방 시야각이 작은 문제점이 있고, 이를 보완하기위해 고안된 중앙 볼록형 후사경은 또 다른 문제점인 측면과 후방의 다른 차량의 정확한 거리와 각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유리재질의 특수한 현상인 굴절현상 때문에 볼록한 각도를 주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측면 및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과 좌회전, 우회전, 끼어들기 등에 의한 접촉사고 및 대형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보조 미러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를 구입하여 기존의 차량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각기 다른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조절하여야 하므로 그 조정 수단이 번거로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차를 후진할 때, 차체의 후방에 구비된 카메라가 작동되어 후방의 시야를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하도록 하는 자동차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시스템이 구비된 자동차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불편하게 몸을 돌릴 필요가 없이 화면을 통해 후방 시야를 확보하면서 후진할 수 있는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통상 사용자는 차량을 후진할 때에도 후방과 함께 사이드 미러를 통해 옆측면을 응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이드 미러와 상기한 후방이 촬영되는 화면을 함께 응시해야 하는데 따른 불편을 느끼게 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115117호 - 백미러 카메라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087호 - 차량의 미러 디스플레이 시스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고 차량내부의 네비게이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로 구성하며, 좌,우 깜빡이를 점등 시(차선변경, 회전시, 비상시)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며,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 등을 모니터 해줌으로 차선변경 및 안전운전을 할 수 있으며 시야가 안 좋을 땐 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를 통해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를 보면서 변경하도록 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거나 없도록 하여 안전한 차선변경이 가능한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는, 차량의 주행 시 주행 안내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부; 상기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차선변경, 좌회전, 우회전, 유턴이나 비상 시에 조작하면 해당 방향지시등의 조작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감지부;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과 차량의 우측 후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 상기 각각의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된 방향의 카메라로 구동하여 상기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 중 해당하는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되어 후방 차량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촬영하는 좌측 후방 카메라와, 우측 후방 카메라; 상기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의 표면에 구성되어 방향지시등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된 방향의 속도/거리 센서로 구동되는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와,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상기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나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의 센싱결과에 따라 후방차량의 속도/거리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후방 차량 영상, 차량 속도가 차량 영상과 함께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차량내 백미러; 상기 차량좌측 백미러나 차량우측 백미러 중 하나의 표면에 구성되어 상기 비가오는 경우 상기 방향 지시등 감지부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문자를 차량 내부의 백미러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감지센서; 및 상기 네비게이션부, 방향지시등 감지부, 차량 좌측 백미러, 차량 우측 백미러, 좌측 후방 카메라, 우측 후방 카메라,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 차량내 백미러 및 빗물 감지 센서를 제어하며, 상기 빗물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외부의 백미러 이용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차량좌측 백미러나 우측 백미러가 모니터로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내 백미러도 후방 상황을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모니터로써 동작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좌측 백미러, 차량우측 백미러 및 차량내 백미러는 거울형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빗물 감지 센서외에 조도 센서를 더 부가하여 조도가 밝은 경우(낮)와 조도가 낮은 경우(저녁, 흐린날씨, 비오는 경우)에는 차량의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시 운전자가 보기 쉽도록 밝은 경우에는 보다 강한 밝기로 흐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흐리도록 표시할 수도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은,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제어부는 방향지시등 온을 감지하고, 감지되면 감지된 방향지시등 방향의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백미러의 후방 카메라는 후방 차량을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후방 차량 속도/거리 센서를 통해 후방 차량의 속도와 거리를 센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에서는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모니터 및 차량 네비게이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빗물감지센서에 의해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 백미러 가 모니터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방향지시등이 오프되면 모니터로 구동 중인 백미러를 정상으로 복귀시키고 상기 후방카메라, 후방차량 속도/거리센서 오프 및 네비게이션 안내모드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운행 종료시까지 계속해서 방향 지시등의 온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자동차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고 차량내부의 네비게이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서 차선변경, 좌우회전시, 비상 시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면 해당 방향의 백미러 전체가 카메라 및 모니터 역할을 하도록 하여 사각지대없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둘째, 차선변경, 좌우회전시, 비상 시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면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 등을 모니터 해줌으로 차선변경 및 안전운전을 할 수 있다.
셋째, 비가 오는 경우와 같이 시야가 안 좋을 땐 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를 통해 후미 차량 거리 및 속도를 보면서 변경하도록 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거나 없도록 하여 안전한 차선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에서 백미러가 일반주행 중인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에서 백미러가 방향지시등을 인식한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에서 차량 밖의 시야가 안좋은 경우 차량 내부 백미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에서 백미러가 일반주행 중인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에서 백미러가 방향지시등을 인식한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에서 차량 밖의 시야가 안좋은 경우 차량 내부 백미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부(100), 방향지시등 감지부(110), 차량 좌측 백미러(120), 차량 우측 백미러(130), 좌측 후방 카메라(140), 우측 후방 카메라(150),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60),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70),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180), 차량내 백미러(190), 빗물 감지 센서(200) 및 제어부(210)로 구성된다.
네비게이션부(100)는 일반적인 도로 주행을 위한 안내를 디스플레이(예로써, LCD)부와 스피커를 통해 수행한다.
방향지시등 감지부(110)는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차선변경, 좌회전, 우회전, 유턴이나 비상 시 등에 조작하면 해당 방향지시등(일명 : 깜밖이)의 조작을 감지한다.
차량 좌측 백미러(120)와, 차량 우측 백미러(130)는 차량의 좌측 후방과 차량의 우측 후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좌측 후방 카메라(140)와, 우측 후방 카메라(150)는 각각 차량 좌측 백미러(120)와 차량 우측 백미러(130)의 내측에 구성되어 방향지시등 감지부(110)의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된 방향의 카메라가 구동되고, 해당 카메라 구동 시 차량 좌측 백미러(120)와 차량 우측 백미러(130) 중 해당하는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 백미러는 거울형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될 수 있는데,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OP(picture out picture)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영상(후방 차량 영상) 디스플레이와, 문자 디스플레이(후방 차량의 거리, 속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거울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 예로는 열처리 또는 화학적(예를 들면, 칼륨치환)처리에 의한 화학강화유리(chemical strengthening glass)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강화 유리의 장점으로는 생산가능 두께가 0.1mm부터 가능하고, 원판을 강화하여 실사용자가 사용크기만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강화 처리 후 불량 및 파손이 현저히 적으며, 강화경, 칼라유리 가공처리 또한 가능하다. 또한 Glass 자체 물성 안정화로 굴절 왜곡이 거의 없으며, 자체의 굴절률 이외 굴절 왜곡 요소가 거의 전무하고, 저온에서 강화가 됨으로써 굴곡도 변화가 적다. 그리고 자외선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백화/변형 등이 거의 없으며 강도가 현재 사용되는 내강화유리의 강도의 2배 이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울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유리표면에는 금속 산화물을 붙여 빛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거울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적용 예에 따라 다양한 수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LED, LCD,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거울형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는 거울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필름은 예를 들면 저반사 코팅된 필름(anti-reflection : AR)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필름은 SiO2와 TiO2가 교대로 PET(polyethyleneterephtalate)와 같은 고분자 필름 위에 적층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투과도가 거의 99% 이상으로 우수한 투과도를 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후방의 차량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백미러 들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 혹시라도 모니터 기능에 이상이 있더라도 거울 기능을 통해 차량 좌우측 후방 상황을 알 수 있게 된다.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60)와,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70)는 각각 차량 좌측 백미러(120)와 차량 우측 백미러(130)의 표면에 구성되어 방향지시등 감지부(110)의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된 방향의 속도/거리 센서가 구동된다.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180)는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60)나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70)의 센싱결과에 따라 후방차량의 속도/거리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속도/거리 센서는 레이저 센서를 후속 차량에 발사하는 방식으로 시간차를 계산한 뒤 속도와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내 백미러(190)는 차량 외부 환경에 따라 즉 차량좌측 백미러나 차량우측 백미러가 고장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로 동작이 불가능하거나, 비가 많이 오는 경우 등인 경우이면서 카메라는 정상 동작되는 경우 해당 후방 차량 영상, 차량 속도 등을 도 4에서와 같이 차량 영상과 함께 문자 등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빗물 감지 센서(200)는 차량 운행 중 비가 오는가를 센싱하여 비가 오는 경우 방향 지시등 감지부(110)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문자를 도 4에서와 같이 차량 내부의 백미러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빗물 감지 센서(200)외에 조도 센서를 더 부가하여 조도가 밝은 경우(낮)와 조도가 낮은 경우(저녁, 흐린날씨, 비오는 경우 등)에는 차량의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시 운전자가 보기 쉽도록 밝은 경우에는 보다 강한 밝기로 흐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흐리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운전자의 눈의 피로도도 낮추고, 전력 소모도 절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도가 너무 밝은 경우에는 차량 내 백미러에도 동시에 후방 차량 상황, 속도, 거리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다양한 현장경험(Field Test)에 의해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네비게이션부(100), 방향지시등 감지부(110), 차량 좌측 백미러(120), 차량 우측 백미러(130), 좌측 후방 카메라(140), 우측 후방 카메라(150),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60),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170),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180), 차량내 백미러(190) 및 빗물 감지 센서(20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빗물 감지 센서(200)나 조도센서에 의해 운전자가 차량 외부의 백미러 이용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로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차량내 백미러도 후방 상황을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모니터로써 동작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방향지시등이 감지되면 차량 네비게이션부(100) 역시도 백미러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차량 영상, 속도 및 거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S100), 제어부(210)는 방향지시등 온을 감지하고(S110), 감지되면 감지된 방향지시등 방향의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S120).
이때 백미러의 후방 카메라는 후방 차량을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후방 차량 속도/거리 센서를 통해 후방 차량의 속도와 거리를 센싱하도록 제어한다(S130).
이어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에서는 후방차량의 속도/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모니터 및 차량 네비게이션에 디스플레이한다(S140).
그리고 빗물감지센서(200)에 의해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S150), 제어부(210)는 차량 내부 백미러 역시도 모니터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S160).
이러한 동작은 방향지시등 오프(S170)시까지 반복되며, 방향지시등이 오프되면 모니터로 구동 중인 백미러를 정상으로 복귀시킨다. 즉 모니터 기능 오프시킨다. 또한 후방카메라,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오프 및 네비게이션은 정상적인 안내모드로 복귀시킨다(S180).
그 다음 차량 운행 종료시까지(S190) 계속해서 방향 지시등의 온을 감지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비게이션부 110 : 방향지시등 감지부
120 : 차량 좌측 백미러 130 : 차량 우측 백미러
140 : 좌측 후방 카메라 150 : 우측 후방 카메라
160 :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170 :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180 :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 190 : 차량내 백미러
200 : 빗물 감지 센서 210 : 제어부

Claims (2)

  1. 차량의 주행 시 주행 안내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부;
    상기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차선변경, 좌회전, 우회전, 유턴이나 비상 시에 조작하면 해당 방향지시등의 조작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감지부;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과 차량의 우측 후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
    상기 각각의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된 방향의 카메라로 구동하여 상기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 중 해당하는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되어 후방 차량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촬영하는 좌측 후방 카메라와, 우측 후방 카메라;
    상기 차량 좌측 백미러와 차량 우측 백미러의 표면에 구성되어 방향지시등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감지된 방향의 속도/거리 센서로 구동되는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와,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상기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나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의 센싱결과에 따라 후방차량의 속도/거리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후방 차량 영상, 차량 속도가 차량 영상과 함께 문자로 디스플레이되는 차량내 백미러;
    상기 차량좌측 백미러나 차량우측 백미러 중 하나의 표면에 구성되어 상기 비가오는 경우 상기 방향 지시등 감지부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나 문자를 차량 내부의 백미러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빗물 감지센서; 및
    상기 네비게이션부, 방향지시등 감지부, 차량 좌측 백미러, 차량 우측 백미러, 좌측 후방 카메라, 우측 후방 카메라, 좌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우측 후방차량 속도/거리 센서,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 차량내 백미러 및 빗물 감지 센서를 제어하며, 상기 빗물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외부의 백미러 이용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차량좌측 백미러나 우측 백미러가 모니터로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차량내 백미러도 후방 상황을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모니터로써 동작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량좌측 백미러, 차량우측 백미러 및 차량내 백미러는 거울형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빗물 감지 센서외에 조도 센서를 더 부가하여 조도가 높은 경우(낮)와 조도가 낮은 경우(저녁, 흐린날씨, 비오는 경우)에 차량의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시 운전자가 보기 쉽도록 조도가 높은 경우에는 보다 강한 밝기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흐리게 표시될 수도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된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제어부는 방향지시등 온을 감지하고, 감지되면 감지된 방향지시등 방향의 백미러가 모니터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백미러의 후방 카메라는 후방 차량을 촬영하도록 제어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후방 차량 속도/거리 센서를 통해 후방 차량의 속도와 거리를 센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후방차량 속도/거리 계산부에서는 상기 후방차량의 속도/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모니터 및 차량 네비게이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빗물감지센서에 의해 빗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 백미러 가 모니터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방향지시등이 오프되면 모니터로 구동 중인 백미러를 정상으로 복귀시키고, 상기 후방카메라, 후방차량 속도/거리센서 오프 및 네비게이션 안내모드로 복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운행 종료시까지 계속해서 방향 지시등의 온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방법.
KR1020170107762A 2017-08-25 2017-08-25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62A KR102060180B1 (ko) 2017-08-25 2017-08-25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762A KR102060180B1 (ko) 2017-08-25 2017-08-25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34A KR20190022034A (ko) 2019-03-06
KR102060180B1 true KR102060180B1 (ko) 2019-12-27

Family

ID=6576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762A KR102060180B1 (ko) 2017-08-25 2017-08-25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335B1 (ko) * 2020-01-15 2021-06-11 송해성 자동차의 주변 영상 및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CN112622764B (zh) * 2020-12-28 2021-09-07 江苏合泰飞梵科技有限公司 一种流媒体后视镜的影像调节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225A (ko) * 2006-12-01 2007-01-15 최유희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사이드 미러 및 그 사이드미러가 장착된 자동차
KR100970087B1 (ko) 2008-03-04 2010-07-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미러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479126B1 (ko) * 2012-12-26 2015-01-05 배규호 차량의 충돌 방지를 위한 사이드미러 시스템
KR101660806B1 (ko) * 2015-01-07 2016-09-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측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시스템
KR20160115117A (ko) 2015-03-26 2016-10-06 이정용 백미러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034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3965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 mirror reflective element assembly having a main reflective element and an auxiliary wide angle reflective element
EP3350001B1 (en) An autonomous vehicle that minimizes human reactions
JP4533762B2 (ja) 可変透過率ウィンドウシステム
CN107848465B (zh) 具有盲区显示和警示系统的车辆视觉系统
US9487143B2 (en) Mirror assembly with formed reflective element substrate
JP2014069703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40039820A (ko) 디스플레이 룸미러 시스템
JP6551930B2 (ja) 電子ミラー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20160091293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KR20140027755A (ko) 차량용 룸미러 모듈
KR102060180B1 (ko)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US10170073B2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CN108045311A (zh) 一种汽车后视镜角度调节系统及调节方法
KR101941903B1 (ko)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충돌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RU236949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глаз от ослепления
JP2003159942A5 (ko)
WO2014084064A1 (ja) 自動車用光量調整器
CN112558372A (zh) 智能玻璃的透射率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1373308B (zh) 光学装置以及用于检测驾驶状况的器件
US9493121B2 (en) Switchable rearview mirror
WO2010010986A1 (en) Blind spot lens for vehicle
KR101510949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5974B1 (ko) 자동변색 기능을 갖는 사각지대 감지 사이드미러
KR20120119704A (ko)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차선변경시스템 및 차선변경방법
JP6418189B2 (ja) 車両の室内指標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