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12689A1 -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 Google Patents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12689A1
WO2018012689A1 PCT/KR2016/014941 KR2016014941W WO2018012689A1 WO 2018012689 A1 WO2018012689 A1 WO 2018012689A1 KR 2016014941 W KR2016014941 W KR 2016014941W WO 2018012689 A1 WO2018012689 A1 WO 20180126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vehicle
panel film
concentra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49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재
최봉석
오승재
조태용
최현민
박소연
엄병진
이경민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126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126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21Operation of devices; Circuit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04Change display of window to another as function of settable active display time of wind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28Door, wind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18Car, auto,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difficulty of securing a field of view due to glare due to sunlight or the upward of the opposite lane when driving the vehicle, and relates to a display panel selecting apparatus that enables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 the most commonly used vehicle glass is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at all times by attaching semi-transparent sheet of paper to the window of the vehicle.
  • the vehicle manufacturer When purchasing a vehicle, the vehicle manufacturer provides a shunting construction coupon. In addition, the vehicle is visited by a separate construction company to receive the construction.
  • the suntung paper with high light transmittance it does not mean that the suntight paper is attached due to low sun blocking effect, and when the suntpaper with low light transmittance is attached, it is particularly dark at night driving, so the front is hard to see.
  • a sun guard attached to the sun visor of the vehicle using a fixing means such as a fixing clip. It is usually in the form of a translucent polarized acrylic plate, and can be folded and unfolded for good portability and is used to block sunlight or direct sunlight as need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1249 (published date: 2012.07.02.) Relates to the step-by-step of the glass of the car. Like glass doors, the sun glasses do the same.
  • Patent Document 1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1249 (published date: 2012.07.02)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block the light that interferes with the driving when driving the vehicle.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sunting paper manually or automatically.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because it is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vehicl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 the display panel selecting apparatus for driving a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relates to a display panel selecting apparatus that enables light transmittanc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illuminance, and is attached to a glass window.
  • Possible display panel films An operation unit for set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A sensor unit for quantifying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into data;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data of the sensor unit and adjusts the density of the display panel film according to a set program; Include.
  • the sensor unit is a light sensor attached to the glass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sity of the display panel film is controlled by send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to the control unit.
  •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sensor is installed on the wheel and the drive shaft of the vehicle sends a speed change signal to the control unit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is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o send a signal for the temperature change to the controller.
  • control unit provided with a variable resistor is a variabl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by the received signal,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wer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changed. It is done.
  • the display panel turning apparatus for driving a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light intensity.
  • the display panel turning apparatus for driving a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has an effect of being easily removable.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panel turning device for driving a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a display panel turning device for driving a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panel turning device for driving a vehicle using a speed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other embodiment of a display panel selecting apparatus for driving a vehicle using a temperatur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panel selecting apparatus for driving a vehicle in which light transmittance is adjustable.
  • the density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can be adjusted, the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film 50,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20 After comparing with the programmed setting value,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is adjusted.
  • the driver may darkly adjust the display panel film 50 through the operation unit 10.
  • the display panel film 50 may be brightly adjusted or the function may be turned off so that the field of view is bright.
  •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unit 20, and the power supply unit 40 may supply power for smooth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
  • the battery 42 provided in the vehicle may be used.
  • the program installed in the control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processor having a processing speed such that the role of the control unit 30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while interworking with the detection sensor unit 20.
  • C-based devices that can perform this properly would be better because it is a system requiring immediate response, and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module that is more stable and faster to use as a vehicle component. .
  • the detection sensor unit 20 may include a light sensor that recognizes the degree of brightness of the headlight of the sunlight or the other vehicle, a speed sensor that recognizes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d a temperature sensor that recognizes the temperature outside the vehicle. will be.
  • the vehicle can be used with a variety of sensors.
  • FIG. 2 it shows an embodiment of a display panel film for driving a vehicle capable of adjusting the light transmission amount.
  • the display panel film 50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 the display panel film 50 should be flexible or bendable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adhesive force.
  •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0, the driver can directly adjust the brightness to the desired density.
  •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is automatically compared after comparing the data value set in the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a signal connected with various sensing sensor units 20. To adjust.
  •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may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operation unit 10.
  •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may be manually adjusted by using a switch of the operation unit 10.
  • the operation unit 1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teering wheel 12 provided in the cumulus seat, and in addition, it may be anywhere if it is in a position where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 the sensing sensor unit 2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may include a light sensor 22, a speed sensor 24, a temperature sensor 26, and the like, as well as a chang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f the driver's field of view can be comfortably ensured, a sensor that recognizes other external conditions may be used.
  • the light sensor 22 may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windshield that does not obstruct the driver's view, and quantifies the brightness level of the headlight approaching from the sunlight or the opposite lane as a data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30.
  • control unit 30 receiving data from the light sensor 22 changes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of the constant current system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30 by comparing with the data value previously set.
  •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ognized by the light sensor 22 may be chang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 FIG. 3 shows another example of a display panel sheet in which a brightness sensor is positioned on a wheel and shaft axis that enable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brightness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speed.
  • the speed sensor 24 provided on the shaft 25 of the vehicle quantifi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haft 25 to the data value to send to the control unit 30 to the light mentioned above
  • the control unit 30 adjusts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lay panel film 50 in the same manner as the detection sensor 24.
  • the speed sensor 24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located on the shaft 25, and the speed sensor 24 provided on the shaft 25 sends a signal to the rotating wheel and reflects the speed according to the return time. It can be used as data. In addition, any method of measuring and moving the speed of the vehicle to the data would be good.
  • FIG. 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sheet is changed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 the temperature sensor 26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de mirror 27, which is the outside of the vehicle, transmits a signal in which the external temperature value is quantified to a data value to the controller 30 to display the film.
  • the concentration of 50 is adjusted.
  •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30 may be used by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42 provided in the vehicle, the degree of shielding rate of the glass window due to the display panel film 50 does not deviate from the law 15 ⁇ 75 Will be done within the% category.
  • the whole or part of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may be attached and used, and the driver may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the help of an expert.
  • control panel 12 steering
  • control unit 40 power supply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행시 햇빛이나 반대차선의 상향등으로 인한 눈부심으로 시야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조도에 따라 빛의 투과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리창에 부착되며, 농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설정하는 조작부(10)와; 외부의 환경 변화를 데이터로 수치로 정량화 하는 감지센서부(20)와; 상기 감지센서부(20)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본 발명은 차량 운행시 햇빛이나 반대차선의 상향등으로 인한 눈부심으로 시야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조도에 따라 빛의 투과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전 중 마주보고 오는 반대편 차선의 차량의 상향등이나 해질녘 직사광선에 의해 안전운전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시야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시야 확보를 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한다면 운전자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차량에도 큰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야간주행이나 직사광선과 같은 악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시야 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차량유리의 선팅은, 차량의 창문에 선팅을 위한 반투명 시트지를 붙여 빛의 투과량을 항시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다.
보통 차량 구매시 차량 제조회사에서 선팅 시공 쿠폰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별도의 시공업체에 방문하여 시공을 받는다. 빛의 투과율이 높은 선팅지를 부착하게 되면, 햇빛 차단효과가 낮아 선팅지를 부착한 의미가 없으며, 투과율이 낮은 선팅지를 부착하게 되면, 특히 야간 주행시 어두워서 앞이 잘 보이지 않는다.
한편, 일단 유리창에 시공된 선팅지는 빛의 투과율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선팅지 제거작업이 까다로워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는 차량의 선바이저에 고정클립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선가드가 있다. 보통 반투명 편광 아크릴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었다 펼 수 있어 휴대성이 좋아 필요에 따라 햇빛이나 직사광선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햇빛 차단을 위한 방법으로는 빛의 세기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려우며,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운전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햇빛 차단을 위한 차량용 물품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그 중의 하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249호(공개일자: 2012.07.02.)는 자동차 유리 단계별 선팅에 관한 것으로, 차 유리가 올라오는 곳 옆에 홈을 더 만들어서 단계별 선팅 유리가 들어가 있어, 유리문처럼 선팅 유리도 같은 동작을 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1249호(공개일자:2012.07.02)
본 발명은 차량 운전시 운행에 방해가 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빛의 세기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팅지의 농도를 조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장치 없이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는 조도에 따라 빛의 투과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리창에 부착되며, 농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를 설정하는 조작부와; 외부의 환경 변화를 데이터로 수치로 정량화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필름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유리창에 부착된 빛 감지센서로, 감지한 빛의 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동차의 휠과 구동축에 설치된 속도 감지센서가 속도 변화 신호를 상기 제어부 보내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감지센서가 온도 변화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가 구비된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가변저항값이 변하며, 변한 가변저항값에 따라 변화된 전력 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는 빛의 세기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는 시공이 용이하며, 쉽게 탈부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 감지센서를 이용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센서를 이용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명암인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에 연결된 조작부(10) 또는 감지센서부(20)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30)가 프로그램된 설정값과 비교를 한 후에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 반대편 차선에서 오는 차량의 전조등이나 상향등으로 인해 시야 확보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운전자가 조작부(1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을 어둡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야간 운전시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으로 인해 시야가 어둡다면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을 밝게 조절하거나 그 기능을 꺼서 시야가 밝은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부(20)와 연결된 제어부(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며, 제어부(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0)로는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42)를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제어부(30)에 설치된 프로그램으로는 감지센서부(20)와 연동되면서, 제어부(30)의 역할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처리속도를 가진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즉각적인 반응을 요구하는 시스템인 만큼 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C언어 기반의 장치가 좋을 것이며, 차량용 부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보다 안정적이고,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는 별도의 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감지센서부(20)로는 햇빛이나 상대 차량의 전조등의 밝기의 정도를 인식하는 빛 감지센서와 차량의 진행속도를 인식하는 속도 감지센서 및 차량 외부의 온도를 인식하는 온도 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안전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해준다면 다양한 종류의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차량의 앞유리에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이 부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은 부착이 용이하도록 굴곡이 있거나, 잘 휘어지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며, 접착력이 더 구비되어 있으면 좋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일 편에는 조작부(10)와 연결되어 있어, 운전자가 원하는 농도로 밝기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0)에 더 포함된 자동 조절기능을 이용하면, 각종 감지센서부(20)와 연결된 신호를 따라 제어부(30)에 설정된 데이터 값과 비교한 후에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조작부(10)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밝기 정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다.
수동 기능을 사용할 경우, 조작부(10)에 구비된 On/Off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어부(30)의 전원을 차단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이 없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감지센서부(20)와 제어부(30)의 자동 저항 결정 기능만을 Off시켜 조작부(10)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조작부(10)는 운적석에 구비된 스티어링(12)에 더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며, 이 밖에도 운전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면 어느 곳이라도 좋을 것이다.
자동 기능을 사용할 경우, 제어부(30)와 연결된 감지센서부(20)는 빛 감지센서(22), 속도 감지센서(24), 온도 감지센서(26) 등이 있을 것이며, 이 밖에도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면 다른 외부환경의 조건을 인식하는 감지센서를 더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빛 감지센서(22)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앞유리 일부분에 부착되어 있을 것이며, 햇빛이나 반대편 차선에서 접근하는 헤드라이트의 밝기 정도를 데이터 수치로 정량화 시켜 제어부(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빛 감지센서(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은 제어부(30)에서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값과 비교를 하여 제어부(30) 내부에 구비된 정전류 시스템의 가변저항값을 변화시키게 되며, 옴의 법칙(V=IR)에 따라 전압을 조정하게 된다. 변경된 전압으로 전력값(P=VI)도 변하게 되어 빛의 양이 많을수록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차폐율이 높아지도록 농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빛 감지센서(22)가 인식하는 빛의 양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차량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휠과 샤프트 축에 속도 감지센서가 위치하여 속도의 변화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시트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속도 감지센서(24)를 보면, 차량의 샤프트(25)에 구비되어 있는 속도 감지센서(24)가 샤프트(25)의 회전 속도를 데이터 수치로 정량화시켜 제어부(30)로 보내 상기에서 언급한 빛 감지센서(24)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30)가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속도 감지센서(24)는 반드시 샤프트(25)에 위치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샤프트(25)에 구비된 속도 감지센서(24)가 회전하는 휠에 신호를 보내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에 따른 속도를 데이터화 하여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차량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데이터화 하는 방법이 있다면 어느 것이라도 좋을 것이다.
도 4는 차량의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시트의 밝기를 변하게 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온도 감지센서(26)의 경우, 차량의 외부인 사이드 미러(27)의 하단에 구비된 온도 감지센서(26)가 외부 온도 값을 데이터 수치로 정량화시킨 신호를 제어부(30)로 발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30)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42)의 전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으로 인한 유리창의 차폐율 정도는 법규에 어긋나지 않을 15~75% 범주 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50)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차량의 앞유리 전체 또는 일부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전문가의 도움 없이 운전자가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조작부 12 : 스티어링
20 : 감지센서부 22 : 빛 감지센서
24 : 속도 감지센서 25 : 샤프트
26 : 온도 감지센서 27 : 사이드 미러
30 : 제어부 40 : 전원공급장치
42 : 배터리 50 :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

Claims (5)

  1. 유리창에 부착되며, 농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를 설정하는 조작부;
    외부의 환경 변화를 데이터로 수치로 정량화 하는 감지센서부;
    상기 감지센서부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필름의 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유리창에 부착된 빛 감지센서로, 감지한 빛의 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자동차의 휠과 구동축에 설치된 속도 감지센서가 속도 변화 신호를 상기 제어부 보내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온도 감지센서가 온도 변화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기가 구비된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가변저항값이 변하며, 변한 가변저항값에 따라 변화된 전력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의 농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PCT/KR2016/014941 2016-07-12 2016-12-20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WO20180126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91A KR20180007383A (ko) 2016-07-12 2016-07-12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장치
KR10-2016-0088091 2016-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689A1 true WO2018012689A1 (ko) 2018-01-18

Family

ID=6094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4941 WO2018012689A1 (ko) 2016-07-12 2016-12-20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40338B2 (ko)
KR (1) KR20180007383A (ko)
WO (1) WO2018012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9451B1 (en) * 2017-08-25 2019-03-07 Videowindow B V Dynamic shading system
KR20210036472A (ko) 2019-09-26 2021-04-05 김이수 디스플레이 선팅
KR20210036530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글라스 투과율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65168B1 (ko) 2019-12-30 2021-06-14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라이프 구조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자동차 썬팅 필름 및 썬팅 장치
US11580923B1 (en) * 2021-10-13 2023-02-14 Videowindow B.V. Dynamic shading system
CN114291125B (zh) * 2021-12-03 2023-07-21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用车窗及会议车厢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569A (ja) * 1995-01-31 1996-08-13 Katsumi Yokota 車両用太陽光線調節装置
KR19980025751U (ko) * 1996-11-05 1998-08-05 임경춘 태양광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글래스
KR20110057616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투과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62518A (ko) * 2011-12-05 2013-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949B1 (ko) * 2013-10-07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620B2 (ja) * 1998-07-30 2003-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制御装置及び撮像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6373618B1 (en) * 2000-05-04 2002-04-16 Schott-Donnelly, Llc Chromogenic glazing for automobiles and display filters
WO2001084230A1 (en) * 2000-05-04 2001-11-08 Schott Donnelly Llc Chromogenic glazing
FR2840078B1 (fr) * 2002-05-22 2004-08-13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ommandable a proprietes optiques et/ou energetiques variables
US8102586B2 (en) * 2007-07-23 2012-01-24 Kuwait University Electronic window shading system for houses, transport vehicles and the like
KR20120071249A (ko) 2010-12-22 2012-07-02 이동길 자동차 유리 단계별 선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569A (ja) * 1995-01-31 1996-08-13 Katsumi Yokota 車両用太陽光線調節装置
KR19980025751U (ko) * 1996-11-05 1998-08-05 임경춘 태양광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글래스
KR20110057616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투과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62518A (ko) * 2011-12-05 2013-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949B1 (ko) * 2013-10-07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0338B2 (en) 2018-08-07
US20180015811A1 (en) 2018-01-18
KR20180007383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12689A1 (ko) 빛 투과량 조절이 가능한 차량 운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선팅 장치
CN102026461B (zh) 车用灯光控制装置
US6872901B2 (en) Automatic actuation of device according to UV intensity
US20090116098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tint of glass
EP0498143B1 (en) Active anti-dazzle device for the drivers of cars and other motor vehicles
CN104626937A (zh) 遮阳防眩装置
CN206086298U (zh) 车辆控制系统
JP4246806B2 (ja) 液晶サンバイザー
CN108146201A (zh) 基于可电致变色玻璃的智能车窗投射设备
CN108045311A (zh) 一种汽车后视镜角度调节系统及调节方法
KR20150000477A (ko) 주간 자동차 운전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7466312U (zh) 主动防汽车远光的汽车
JPH05281032A (ja) 光学的検出装置
CN206351655U (zh) 一种汽车夜视仪
KR102035579B1 (ko) 차량용 스마트 윈도우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4238724A (ja) 防眩装置
CN202016434U (zh) 电子防眩可视倒车系统
KR20180096126A (ko) 투과도의 자동 조절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차광판
KR102127158B1 (ko) 차량 글라스의 명암 조절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615320U (zh) 一种自适应环境光通量的汽车前挡风玻璃
CN110228408A (zh) 一种汽车中控阳光检测方法及其装置
CN111016833B (zh) 一种汽车控制装置及系统
KR20030082113A (ko) 액정패널을 이용한 차량의 차광장치
KR20020017508A (ko) 자동차용 자동 차광 장치
CN206264912U (zh) 一种汽车后视镜及其安全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89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89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