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359A -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터치 패널 적층체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터치 패널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359A
KR20180006359A KR1020177010109A KR20177010109A KR20180006359A KR 20180006359 A KR20180006359 A KR 20180006359A KR 1020177010109 A KR1020177010109 A KR 1020177010109A KR 20177010109 A KR20177010109 A KR 20177010109A KR 20180006359 A KR20180006359 A KR 20180006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filling material
interlayer
meth
interlayer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가와다
주이치 후카타니
도모키 도다
야스하루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being photo-polymeri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4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정보 단말의 제조 등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단차에의 추종성이 우수하고, 또한,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그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터치 패널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상기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유리판의 층간, 유리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기판과 유리판의 층간, 기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기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서, 폴리비닐아세탈, 반응성 희석제, 및,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이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터치 패널 적층체{INTERLAYER FILLING MATERIAL FOR TOUCH PANELS, AND TOUCH PANEL LAMINATE}
본 발명은, 휴대 정보 단말의 제조 등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그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터치 패널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휴대 정보 단말에 있어서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패널의 아래에 터치 패널이 배치되어 있고, 계속해서,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가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 정보 단말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의 층간, 및, 터치 패널과 편광 필름의 층간을, 공기와 비교해서 이들 부재와의 굴절률차가 작은 충전 재료로 메움으로써, 표시 화면의 투명성, 휘도, 콘트라스트 등을 개선하고, 시인성 (視認性) 을 향상시키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서는, 투명성, 점착성, 도공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다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아크릴계 점착제는, 강인성이나 굽힘 강성이 낮은 데다가, 유리 등에 대한 접착성도 낮다. 따라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층간 충전 재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터치 패널 적층체는, 표면 보호 패널이나 유리 기판에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아크릴계 점착제는, 손실 탄성률이 높고, 충격에 대해 변형되기 쉬운 점에서, 응집 파괴를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최근, 휴대 정보 단말의 소형화, 박형화 또는 경량화에 수반하여, 표면 보호 패널이나 유리 기판, 충전 재료의 박화 (薄化) 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얇은 터치 패널 적층체는 휘기 쉬워, 한층 더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쉬워진다.
아크릴 점착제를 층간 충전제에 사용하면, 더욱 굽힘 탄성률이 저하되어 휘기 쉬워져, 한층 터치 패널 적층체의 균열·파손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서, 고(高)가교 등에 의해 고탄성률을 발휘할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검토되었지만, 탄성률을 높인 아크릴계 점착제는,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악화되거나, 경화 시의 경화 수축이 크고, 액정 불균일을 일으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 기인의 황색미를 띠는 경우도 있고, 이것을 충전한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이 약간 황색미를 띠고 있어, 고품위인 화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74308호
본 발명자는,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 종래 다용되어 온 아크릴계 점착제를 대신하는 재료로서, 폴리비닐아세탈을 사용하는 것을 검토했다. 폴리비닐아세탈은, 강인성이나 굽힘 강성이 높은 것에 더하여, 유리 등에 대한 접착성도 높다는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을 층간 충전 재료로서 이용하면, 표면 보호 패널이나 유리 기판에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만일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휴대 정보 단말이 파손된 경우라도, 유리 등의 파편의 비산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비닐아세탈은 23 ℃ 정도의 상온에서는 고체인 점에서, 층간의 충전 시 (첩합 시) 에 가식 인쇄부 단차나 배선 단차 등의 단차에의 추종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폴리비닐아세탈을 용해한 용액상으로 사용하는 것도 검토했지만, 유기 용매 제거 공정이 필요해지는 데다가, 비록 제거 공정을 거쳐도 잔류하는 유기 용매가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황을 감안하여, 휴대 정보 단말의 제조 등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단차에의 추종성이 우수하고, 또한,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그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터치 패널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상기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유리판의 층간, 유리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기판과 유리판의 층간, 기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기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서, 폴리비닐아세탈, 반응성 희석제, 및,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비닐아세탈에 반응성 희석제와 광 중합 개시제를 첨가함으로써, 23 ℃ 정도의 상온에 있어서 액상 (졸상) 으로서 높은 단차 추종성을 발휘시킬 수 있음과 함께,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첩합 (貼合) 후에 광을 조사하여 반응성 희석제를 반응시키면, 반응성 희석제가 잔류하거나 블리드 아웃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다른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면 보호 패널 (예를 들어, 유리판, 폴리카보네이트판, 아크릴판), 편광 필름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표면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의 층간, 및/또는, 터치 패널과 편광 필름의 층간,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유리판의 층간, 유리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기판과 유리판의 층간, 기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기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등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한다. 폴리비닐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사용하여 얻어진 터치 패널 적층체는,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을, 촉매 존재하에서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70 ∼ 99.9 몰% 의 범위 내에 있고, 비누화도 70 ∼ 99.8 몰% 가 바람직하고, 80 ∼ 99.8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다 우수한 강인성이나 굽힘 강성을 얻는 관점에서는 분자량이 큰 폴리비닐아세탈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평균 중합도가 높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 바람직한 상한은 4000 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100 미만이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강인성이나 굽힘 강성이 저하되고, 충분한 균열이나 파손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4000 을 초과하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할 때에 용액 점도가 비정상으로 높아져 아세탈화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도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평균 중합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00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00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촉매 존재하에서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할 때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로서 예를 들어, 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 10 인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 10 인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사슬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분지상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예를 들어,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즉,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은, 폴리비닐부티랄 (상기 알데히드가 n-부틸알데히드인 경우,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을 폴리비닐부티랄이라고 한다)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부티랄을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적절히 발현되고, 내광성, 내후성 등이 향상된다. 또, 필요에 따라 2 종 이상의 폴리비닐아세탈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수산기의 함유율 (수산기량) 의 바람직한 하한은 16 몰%, 바람직한 상한은 45 몰% 이다. 상기 수산기량이 16 몰% 이상이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향상된다. 상기 수산기량이 45 몰% 이하이면, 내습성이나 내후성이 향상된다. 상기 수산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8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22 몰% 이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8 몰%,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6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35 몰% 이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의 수산기량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 (몰%) 로 나타낸 값이다.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화도 (아세틸기량) 의 바람직한 하한은 0.1 몰%, 바람직한 상한은 30 몰% 이다. 상기 아세틸기량이 0.1 몰% 이상이면, 상기 반응성 희석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기량이 30 몰% 이하이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내습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아세틸기량이 30 몰% 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을 제조할 때의 반응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세틸기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2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3 몰% 이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4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0 몰%, 보다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19.5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15 몰% 이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량은,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에서,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 (몰%) 로 나타낸 값이다.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량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를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량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에 의존하는 것이며, 비누화도가 낮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량은 커지고, 비누화도가 높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기량은 작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몰%, 바람직한 상한은 85 몰% 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50 몰% 이상이면, 상기 반응성 희석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85 몰% 이하이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아세탈화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4 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58 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60 몰% 이다. 상기 아세탈화도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2 몰%,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79 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77 몰% 이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 (몰%) 로 나타낸 값이다.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아세틸기량과 비닐알코올량 (수산기의 함유율) 을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몰분율을 산출하고, 이어서, 100 몰% 에서 아세틸기량과 비닐알코올량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알데히드의 첨가량을 조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의 첨가량을 적게 하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는 낮아지고, 상기 알데히드의 첨가량을 많게 하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는 높아진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반응성 희석제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 상용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액화 (졸화) 시킬 수 있음과 함께, 광을 조사함으로써 반응성 희석제간에 반응하여 가교, 경화시킬 수 있는 제를 의미한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모노머, (메트)아크릴 올리고머 등의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나,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계 반응성 희석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의 상용이 높고, 또한, 광 중합 개시제와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가교, 경화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에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병용함으로써, 상온 (25 ℃) 에 있어서 액상 (졸상) 으로서 높은 단차 추종성을 발휘시킬 수 있음과 함께,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로서의 (메트)아크릴 모노머로서는, 단관능, 2 관능 또는 3 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하이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하이드록실프로필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 관능 (메트)아크릴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 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2-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 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의 상용성이 특히 우수한 점에서 (메트)아크릴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2 하이드록시에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로서의 (메트)아크릴 올리고머로서는, 상기 (메트)아크릴 모노머가 복수개 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의 상용성이 특히 우수한 점에서, 상기 아크릴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초기 헤이즈값 및 고온 고습 시험 후의 헤이즈값을 억제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요구되는 우수한 투명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광 반응성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이중 결합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경화 시의 경화 수축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기의 수가 2 ∼ 23 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헥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 14 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기의 수가 2 ∼ 14 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 23 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기의 수가 2 ∼ 14 인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기의 수가 2 ∼ 14 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 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나, E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EO, PO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 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EO」 란 에틸렌옥사이드를 나타내고, EO 변성된 화합물은 에틸렌옥사이드기의 블록 구조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또, 「PO」 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나타내고, PO 변성된 화합물은 프로필렌옥사이드기의 블록 구조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의 NK 에스테르 AM-90G, AM-130G, M-90G, A-200, A-600, APG-400, APG-700, A-GLY-9E, A-TMPT-3EO, A-TMPT-9EO, A-TMPT-3PO, A-TMPT-6PO, ATM-35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저장 탄성률을 높게 유지한 채로, tanδ 값을 높게 할 수 있고, 특히 내충격성이 우수한 터치 패널 적층체가 얻어진다. 또, 착색이 적어 특히 높은 투명성을 발휘한 터치 패널 적층체가 얻어진다. 이것은,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 중에서도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의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의 상용성이 우수함으로써,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점도를 억제하여, 광 반응성도 우수하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일반식 (1) 중, Z1 은, A2-O-X2-,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가지지 않는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Z2 는 A3-O-X3-,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가지지 않는 치환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A1, A2 및 A3 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나타내고, X1, X2 및 X3 은 알킬렌기, 알킬렌옥시기, 알킬렌옥시카르보닐기, 알킬렌카르보닐옥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낸다.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사토마사 제조의 SR9050), 인산트리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사토마사 제조의 SR9051), 인산트리스[2-(아크릴로일옥시)에틸](사토마사 제조의 SR9053) 이나, 닛폰 화약사 제조의 KAYAMER 시리즈나, 유니케미컬사 제조의 Phosmer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로서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나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나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다른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성 희석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20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400 중량부이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히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액화 (졸화) 시킬 수 없어 높은 단차 추종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4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강인성이나 굽힘 강성, 유리 등에 대한 접착성이 저하되어,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4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5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6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0 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8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250 중량부이다.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로서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경우,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중에 있어서의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8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38 중량% 이다. 이로써, 경화물의 초기 헤이즈값을 1 % 이하, 또한, 온도 85 ℃, 습도 85 % 하에서 240 시간 처리한 후의 헤이즈값을 1.5 % 이하로 할 수 있다. 즉,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요구되는 높은 투명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8 중량% 미만이면, 습열 내구 시험 후의 헤이즈가 1 %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고, 38 중량% 를 초과하면, 초기의 헤이즈가 1 %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8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 중량% 이다.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로서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경우,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중에 있어서의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2 중량%, 바람직한 상한은 10 중량% 이다.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이 범위 내이면, 특히 높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경화물의 옐로우 인덱스 (YI) 값을 1 이하로 할 수 있다. 즉,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요구되는 착색이 없는 높은 투명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 중량% 이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광 중합 개시제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 중의 이중 결합량이 2.9 mmo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경화 시의 경화 수축률을 4 % 이하로 할 수 있고, 경화 수축에 의한 액정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중 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4 mmol/g,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2.2 mmol/g 이다.
상기 이중 결합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 mmo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높은 단차 추종성을 발휘하면서, 확실하게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중 결합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7 mmol/g 이며,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 mmol/g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이중 결합량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포함되는, 상기 광 중합 개시제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에 대해, 각각의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첨가량과 분자량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중 결합량은, JIS K 0070 에 준하는 수법에 의해 요오드가를 구하고, 그 값으로부터 이중 결합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계 (GC-MS) 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조성을 분석하고, 상기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첨가량과 분자량으로부터 산출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상기 반응성 희석제의 종류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 (메트)아크릴 모노머 또는 (메트)아크릴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황산염, 유기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광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벤조페논(미힐러케톤), N,N-테트라에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α-하이드록시이소부틸페논, 2-에틸안트라퀴논, t-부틸안트라퀴논, 1,4-디메틸안트라퀴논, 1-클로로안트라퀴논, 2,3-디클로로안트라퀴논, 3-클로르-2-메틸안트라퀴논, 1,2-벤조안트라퀴논, 2-페닐안트라퀴논, 1,4-나프토퀴논, 9,10-페난트라퀴논,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의 방향족 케톤 화합물, 벤조인, 메틸벤조인, 에틸벤조인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페닐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화합물, 벤질,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β-(아크리딘-9-일)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화합물, 9-페닐아크리딘, 9-피리딜아크리딘, 1,7-디아크리디노헵탄 등의 아크리딘 화합물, 2-(o-클로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2 량체, 2-(o-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이미다졸 2 량체, 2-(o-플루오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2 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2 량체, 2-(p-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2 량체, 2,4-디(p-메톡시페닐)5-페닐이미다졸 2 량체, 2-(2,4-디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2 량체, 2-(p-메틸메르캅토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2 량체 등의 2,4,5-트리아릴이미다졸 2 량체,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리폴리노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1-프로판,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착색이 없는 투명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가 얻어지는 점에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등의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계 화합물,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및 이들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있어서의 상기 광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반응성 희석제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이 0.01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이 5 중량부이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히 상기 반응성 희석제를 반응시킬 수 없거나, 반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해도, 특별히 반응성은 향상되지 않고, 오히려 광 중합 개시제의 블리드 아웃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상기 광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추가로, 비반응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비반응성 성분을 배합하여 25 ℃ 에 있어서의 점도를 적당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높은 도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반응성 성분이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 상용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반응성 이중 결합을 화합물 중에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어도, 실질적으로는 중합 반응성이 거의 없는 제를 의미한다.
상기 비반응성 성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유기산 에스테르, 유기 인산에스테르, 유기 아인산에스테르 등의 가소제,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무용제계 아크릴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 폴리비닐아세탈에 사용되는 종래 공지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 예를 들어, 1 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가소제, 유기 인산 가소제,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가소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1 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 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페라르곤산(n-노닐산), 데실산 등의 1 염기성 유기산과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디프산, 세바크산, 아젤라산 등의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 8 의 직사슬 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산 에스테르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유기산 디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 디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성형성이 향상된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2) 중, R1 및 R2 는 각각 탄소수 5 ∼ 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 10) 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 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 는 3 ∼ 10 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산 에스테르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리에이트, 디헥실아디페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헥실시클로헥실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헵틸노닐아디페이트, 오일 변성 세바크산알키드,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탄소수 4 ∼ 9 의 알킬알코올 및 탄소수 4 ∼ 9 의 고리형 알코올로부터 제작된 혼합형 아디프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헥실아디페이트 (DHA),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3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4GH),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4G7)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3G7)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3G7),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가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인산에스테르 또는 유기 아인산에스테르로서는, 인산 또는 아인산과 알코올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헥산올, 2-에틸부탄올, 헵탄올, 옥탄올, 2-에틸헥산올, 데칸올, 도데칸올, 부톡시에탄올, 부톡시에톡시에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탄소수 1 ∼ 12 의 알코올과, 인산 또는 아인산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인산트리메틸, 인산트리에틸, 인산트리프로필, 인산트리부틸, 인산트리(2-에틸헥실), 인산트리(부톡시에틸), 아인산트리(2-에틸헥실),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로진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로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로진디올은, 분자 내에 로진 골격과 수산기를 각각 2 개 갖는 로진 변성 디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자 내에 로진 성분을 갖는 디올은, 로진폴리올이라고 칭해지지만, 이것에는 로진 성분을 제외한 골격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와 같은 폴리에테르형과, 축합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락톤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과 같은 폴리에스테르형이 있다.
상기 로진디올로서는, 예를 들어, 로진과 다가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로진에스테르, 로진과 에폭시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폭시 변성 로진에스테르, 로진 골격을 갖는 폴리에테르 등의 수산기를 갖는 변성 로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로진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비에틴산과 그 유도체인 데하이드로아비에틴산, 디하이드로아비에틴산,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틴산, 디아비에틴산, 네오아비에틴산, 레보피말산 등의 피말산형 수지산, 이들을 수소 첨가한 수소 첨가 로진, 이들을 불균화한 불균화 로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로진계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의 파인크리스탈 D-6011, KE-615-3, KR-614, KE-100, KE-311, KE-359, KE-604, D-625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테르펜페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페놀계 수지란, 송진이나 오렌지의 껍질 등의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정유 성분인 테르펜계 수지와 페놀의 공중합체로서, 당해 공중합체의 적어도 일부 수소화한 부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계 수지 또는 완전히 수소화한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계 수지도 포함된다. 여기서,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계 수지는, 테르펜페놀계 수지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소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테르펜계 수지 (점착 부여 수지) 이며, 부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계 수지는, 테르펜페놀계 수지를 부분적으로 수소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테르펜계 수지 (점착 부여 수지) 이다. 그리고, 테르펜페놀계 수지는, 테르펜 유래의 이중 결합과 페놀류 유래의 방향족 고리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계 수지란, 테르펜 부위 및 페놀 부위의 양방의 부위가, 완전히, 혹은 거의 수소 첨가된 점착 부여 수지를 의미하고, 부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계 수지란, 그들 부위의 수소 첨가 정도가 완전하지 않고, 부분적인 테르펜페놀계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수소 첨가하는 방법이나 반응 형식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테르펜페놀계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의 YS 폴리스타 NH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용제계 아크릴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20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그 단량체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용제계 아크릴 폴리머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토아 합성사 제조의 ARUFON-UP1000 시리즈, UH2000 시리즈, UC3000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반응성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5000 mPa·s 이하인 액상 비반응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경화물의 점탄성을 높여 균열 방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도를 너무 올리지 않는 범위에서, 25 ℃ 에서 고체인 로진계 수지나 테르펜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가 상기 비반응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그 비반응성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차에의 추종성이 우수하고,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렵고, 액정 불균일이 없고, 또한, 투명성이 높은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는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높은 도공성이 발휘되도록 상기 비반응성 성분의 함유량을 조정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비반응성 성분이 가소제인 경우, 가소제의 함유량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75 중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휴대 정보 단말이 파손된 경우에 파편의 비산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필요에 따라,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접착력 조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유화제, 연화제, 미립자, 충전제, 안료, 염료, 실란 커플링제, 산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왁스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유기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를 함유하면, 첩합 후에 유기 용매 제거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데다가, 비록 제거 공정을 거쳐도 잔류하는 유기 용매의 블리드 아웃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기 용제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과 상용하는 액상의 제로서, 광을 조사해도 반응하지 않는 제를 의미한다. (단, 상기 가소제는 유기 용제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23 ℃ 정도의 상온에 있어서 액상 (졸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높은 단차 추종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25 ℃ 에 있어서의 점도의 바람직한 하한이 20 mPa·s, 바람직한 상한이 500000 mPa·s 이다. 상기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20 mPa·s 미만이면, 유동성이 너무 높아 첩합 조작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500000 mPa·s 를 초과하면, 충분히 높은 단차 추종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25 ℃ 에 있어서의 점도를 10000 mPa·s 이하로 한 경우에는,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터치 패널간에 도공하여 첩합했을 때에, 균일하게 젖어 퍼져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5 ℃ 에 있어서의 점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00 mPa·s,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000 mPa·s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25 ℃ 에 있어서의 점도는, JIS Z 8803 : 2011 에 준하여, 회전식 점도계 (예를 들어, 브룩필드사 제조, DV-II+Pro 등) 로 측정한 점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반응성 희석제를 반응시켜 가교, 경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첩합 시에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액상 (졸상) 으로 하여 높은 단차 추종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첩합 후에 광을 조사하여 반응성 희석제를 반응시켜 가교,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 터치 패널 적층체에 있어서 잔류하는 반응성 희석제가 블리드 아웃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초고압 수은등 등의 자외선 조사 장치를 사용하여, 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조사 시의 광의 파장이나 조도는, 상기 반응성 희석제 및 광 중합 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 (메트)아크릴 모노머 또는 (메트)아크릴 올리고머를 사용하고, 상기 광 중합 개시제로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2 중량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1 중량부 사용한 경우에는, 365 nm 의 파장의 광을 2000 ∼ 6000 mJ/㎠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광 조사 후에 있어서의 25 ℃ 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9 × 106 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한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더욱 높은 내충격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25 ℃ 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 × 107 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광 조사 후에 있어서의 25 ℃ 에서의 손실 탄성률이 1 × 107 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는, 광 조사 후에 있어서의 23 ℃ 에서의 굽힘 탄성률이 30 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굽힘 탄성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G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GPa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GPa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은, 예를 들어 ARES-G2 (TAINSTRUMENTS 사 제조), DVA-200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 등의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에 의해, 3 ℃/분의 강온 속도로 100 ℃ 부터 -25 ℃ 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또한 주파수 1 Hz 및 변형 1 % 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굽힘 탄성률은,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유리 구성체를 제작하고, 예를 들어 오리엔테크사 제조 만능 시험기 UTC-500 을 사용하여, 압축 속도 1 mm/min 으로 적층체를 압축하고, 변위 0.5 ∼ 1.0 mm 로 하는 조건에서 측정한 응력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반응성 희석제, 광 중합 개시제와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첨가제를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LCD, EL, PDP 등의 화상 표시 패널을 사용한 평면형 또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전자 페이퍼, PDA, TV, 게임기) 등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표면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의 층간, 터치 패널과 편광 필름의 층간, 및,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유리판의 층간, 유리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기판과 유리판의 층간, 기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기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층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 패널 (3) 과 터치 패널 (2) 의 층간, 및, 터치 패널 (2) 과 편광 필름 (4) 의 층간이,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1) 로 충전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 패널 (3) 의 뒤쪽에는 마스킹 등을 목적으로 하여 주연부 (周緣部) 에 가식 인쇄부 (5) 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1) 는, 이와 같은 가식 인쇄부 (5) 에 의해 형성된 단차에도, 터치 패널 (2) 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의 단차 (도시 생략) 에도 충분히 추종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의 층간, 터치 패널과 편광 필름의 층간, 및,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유리판의 층간, 유리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기판과 유리판의 층간, 기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기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층간이,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터치 패널 적층체도 또,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표면 보호 패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리판, 폴리카보네이트판, 아크릴판 등의, 휴대 정보 단말, 평면형 또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ITO 막 등의 복수의 층을 갖는 터치 패널 등의, 휴대 정보 단말, 평면형 또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웃셀형, 인셀형, 온셀형, 커버 유리 일체형, 커버 시트 일체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의 방식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저항막식, 정전 용량식, 광학식, 초음파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으로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정보 단말, 평면형 또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사용하여, 표면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의 층간, 터치 패널과 편광 필름의 층간, 및,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층간을 충전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의 제조 등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단차에의 추종성이 우수하고, 또한,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그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터치 패널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폴리비닐부티랄의 조제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 ㎖, 평균 중합도 1600, 비누화도 99.3 몰% 의 폴리비닐알코올을 300 g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 중량% 염산을, 염산 농도가 0.2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하고, 온도를 15 ℃ 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부틸알데히드 (n-BA) 21 g 을 첨가했다. 그 후, n-부틸알데히드 (n-BA) 145 g 을 첨가한 결과, 백색 입자상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하고 나서 15 분 후에, 35 중량% 염산을, 염산 농도가 1.8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하여, 50 ℃ 로 가열하고, 50 ℃ 에서 2 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시키고, 중화한 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비닐부티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의 수산기량은 31.0 몰%, 아세틸기량은 0.3 몰%, 부티랄화도는 68.7 몰% 였다.
(2)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제조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100 중량부, 및, 반응성 희석제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120 중량부와 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30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에서 충분히 교반·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얻었다. 이 혼합 조성물에, 반응성 희석제 100 중량부에 대해, 광 중합 개시제로서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BASF 사 제조, IRGACURE651) 0.5 중량부와 과산화벤조일 0.5 중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 JIS Z 8803 : 2011 에 준하여, 회전식 점도계 (브룩필드사 제조, DV-II+Pro)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25 ℃ 에 있어서의 점도는 7675 mPa·s 였다.
(실시예 2 ∼ 4)
반응성 희석제의 종류 및 배합량을 표 1 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시예 2 ∼ 4 에서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 25 ℃ 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2020, 85, 40 mPa·s 였다.
(비교예 1)
메틸노르보르넨메타크릴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헥실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디이소시안산이소포론 (이성체 혼합물) 10 중량부를 충분히 교반·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얻었다. 이 혼합 조성물에 광 중합 개시제로서,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 (BASF 사 제조, IRGACURE184) 1.0 중량부와 LUCIRIN TPO 모노아실포스핀옥사이드 (MAPO) 1.0 중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에 대해 25 ℃ 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1515 mPa·s 였다.
(평가)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1)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광 경화물의 저장 탄성률 및 손실 탄성률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두께 50 ㎛ 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두께가 800 ㎛ 가 되도록 도공했다. 또한 얻어진 층간 충전 재료층 위에, 이형 처리면이 층간 충전 재료층에 접하도록 하여 새롭게 준비한 이형 PET 필름을 중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그 후 시트를 23 ℃ 에서 5 일간 양생하고, 이형 PET 필름이 양면에 첩부된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1 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서는, 건조 후의 두께가 800 ㎛ 가 되도록 도공한 후, 80 ℃ 에서 15 분간 건조시켰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대해,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했다.
광 조사 후의 평가용 샘플에 대해,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 DVA-200) 를 사용하여, 3 ℃/분의 강온 속도로 200 ℃ 부터 -50 ℃ 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또한 주파수 1 Hz 및 변형 1 % 의 조건에서, 25 ℃ 에서의 저장 탄성률 및 손실 탄성률을 측정했다.
(2)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광 경화물의 굽힘 탄성률의 측정
2.5 cm × 25.0 cm, 두께 1.8 mm 의 소다 유리 위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2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다른 일방의 면을 2.5 cm × 25.0 cm, 두께 1.8 mm 의 소다 유리에 첩부하고,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유리 구성체를 제작했다. 이어서, 이 구성체에,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하고, 2 매의 유리의 층간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75 ℃, 0.5 MPa 의 오토클레이브로 30 분 처리했다. 처리 후의 적층체를 23 ℃, 50 %R/H 로 12 시간 양생했다.
오리엔테크사 제조 만능 시험기 UTC-500 을 사용하여, 압축 속도 1 mm/min 으로 적층체를 압축하고, 변위 0.5 ∼ 1.0 mm 의 응력값으로부터 탄성률을 산출했다.
(3) 단차 추종성의 평가
76 mm × 52 mm, 두께 1.0 ∼ 1.2 mm 의 백판 유리 (마츠나미 글라스사 제조, S9112) 에, 외프레임 76 mm × 52 mm, 내프레임 56 mm × 32 mm 인 ロ 자형의 액연상 (額緣狀) 의 두께 75 ㎛ 인 편면 점착제를 첩부하여 단차를 제작했다.
백판 유리의 ロ 자형의 액연상 단차를 첩부하고 있는 면 상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2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또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면에 백판 유리 (마츠나미 글라스사 제조, S9112) 를 첩합하여, 합판 유리상으로 했다. 각각 첩합할 때에는 가능한 한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했다. 이어서, 이 구성체에,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하고, 유리와 유리의 층간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75 ℃, 0.5 MPa 의 오토클레이브로 30 분 처리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디지털 마이크로 스코프 (키엔스사 제조) 로 관찰하여, 단차의 계면에서의 기포 잔존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를 「×」 로, 기포 잔존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를 「○」 로 평가했다.
(4) 내충격성의 평가
10 cm × 7.0 cm, 두께 0.55 mm 의 강화 유리 상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2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다른 일방의 면을 10 cm × 7.0 cm, 두께 1 mm 의 유리에 첩부하고,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유리 구성체를 제작했다. 이어서, 이 구성체에,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하고, 2 매의 유리의 층간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75 ℃, 0.5 MPa 의 오토클레이브로 30 분 처리했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무게 30 g 의 철공을 23 ℃ 의 환경하에서 155 cm 의 높이에서 낙하시키고, 적층체가 균열되지 않은 경우를 1, 적층체가 균열된 것의 유리편이 비산하지 않고, 또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를 2, 적층체가 균열된 것의 유리편이 비산하지 않았지만,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부분적인 찢어짐이 생기고 있던 경우를 3, 유리편이 소량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생기고 있던 경우를 4, 유리편이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확인된 경우를 5 로 했다. 1 ∼ 3 을 「○」 로, 4, 5 를 「×」 로 평가했다.
단, 낙구 (落球) 지점의 유리 자체에서 생긴 유리 가루 또는 유리 자체의 파괴에 의한 파편은 유리편에는 포함하지 않고, 유리와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계면에 있어서의, 유리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부터의 박리에 의한 유리편, 또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응집 파괴에 의한 충전 재료가 부착된 유리편을 평가 대상으로 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5)
(1) 폴리비닐부티랄의 조제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 ㎖, 평균 중합도 1600, 비누화도 99.3 몰% 의 폴리비닐알코올을 300 g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 중량% 염산을, 염산 농도가 0.2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하고, 온도를 15 ℃ 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부틸알데히드 (n-BA) 21 g 을 첨가했다. 그 후, n-부틸알데히드 (n-BA) 145 g 을 첨가한 결과, 백색 입자상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하고 나서 15 분 후에, 35 중량% 염산을, 염산 농도가 1.8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하고, 50 ℃ 로 가열하여, 50 ℃ 에서 2 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시키고, 중화한 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비닐부티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의 수산기량은 31.0 몰%, 아세틸기량은 0.3 몰%, 부티랄화도는 68.7 몰% 였다.
(2)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제조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40 중량% 와,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400아크릴레이트 (단관능, 분자량 454,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AM-90G) 15 중량% 와,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4HBAGE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분자량 200) 20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분자량 142) 15 중량%, 및, 산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사토마사 제조, CN147, 분자량 348) 10 중량% 를 60 ℃ 에서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광 중합 개시제로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BASF 사 제조, IRGACURE184) 2 중량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BASF 사 제조, LUCIRIN TPO) 1 중량부 및 과산화벤조일 0.5 중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얻었다.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포함되는, 상기 광 중합 개시제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 중의 이중 결합량은 2.67 mmol/g 이었다.
또한, 표 2, 3 중의 다른 성분은, 이하와 같다.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APG-700 :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700) 디아크릴레이트, 2 관능, 분자량 808
ATM-35E :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에톡시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4 관능, 분자량 1892
<비반응성 성분>
KE-604 :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산 변성 초담색 로진
(실시예 6 ∼ 15, 비교예 2 ∼ 12)
배합을 표 2, 3 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5 ∼ 15 및 비교예 2 ∼ 12 에서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 3 에 나타냈다.
(1) 단차 추종성의 평가
76 mm × 52 mm, 두께 1.0 ∼ 1.2 mm 의 백판 유리 (마츠나미 글라스사 제조, S9112) 에, 외프레임 76 mm × 52 mm, 내프레임 56 mm × 32 mm 인 ロ 자형의 액연상의 두께 75 ㎛ 인 편면 점착제를 첩부하여 단차를 제작했다.
백판 유리의 ロ 자형의 액연상 단차를 첩부하고 있는 면 상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2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또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면에 백판 유리 (마츠나미 글라스사 제조, S9112) 를 첩합하여, 합판 유리상으로 했다. 각각 첩합할 때에는 가능한 한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했다. 이어서, 이 구성체에,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하고, 유리와 유리의 층간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55 ℃, 0.5 MPa 의 오토클레이브로 30 분 처리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디지털 마이크로 스코프 (키엔스사 제조) 로 관찰하여, 단차의 계면에서의 기포 잔존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를 「×」 로, 기포 잔존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를 「○」 로 평가했다.
(2) 내충격성의 평가
10 cm × 7.0 cm, 두께 0.55 mm 의 강화 유리 상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1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다른 일방의 면을 10 cm × 7.0 cm, 두께 1 mm 의 유리에 첩부하고,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유리 구성체를 제작했다. 이어서, 이 구성체에,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하고, 2 매의 유리의 층간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55 ℃, 0.5 MPa 의 오토클레이브로 30 분 처리했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무게 30 g 의 철공을 23 ℃ 의 환경하에서 155 cm 의 높이에서 낙하시키고, 적층체가 균열되지 않은 경우를 1, 적층체가 균열된 것의 유리편이 비산하지 않고, 또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를 2, 적층체가 균열된 것의 유리편이 비산하지 않았지만,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부분적인 찢어짐이 생기고 있던 경우를 3, 유리편이 소량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생기고 있던 경우를 4, 유리편이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확인된 경우를 5 로 했다. 1 ∼ 3 을 「○」 로, 4, 5 를 「×」 로 평가했다.
단, 낙구 지점의 유리 자체로부터 생긴 유리 가루 또는 유리 자체의 파괴에 의한 파편은 유리편에는 포함하지 않고, 유리와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계면에 있어서의, 유리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부터의 박리에 의한 유리편, 또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응집 파괴에 의한 충전 재료가 부착된 유리편을 평가 대상으로 했다.
(3) 경화 수축률의 측정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1 cm 셀에 채우고, 고정밀도 건식 자동 밀도계 (마이크로메리틱스사 제조, 아큐픽크 II 1340-1CC) 를 사용하여, 정용적 팽창법에 의해 용액 밀도 (dl) 를 측정했다.
한편,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시트에 두께 600 ㎛ 가 되도록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도공하고,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로 조사하여 얻어진 수지막을, 가로 세로 30 mm 로 잘라, 벗긴 수지막에 대해, 고정밀도 전자 비중계 (알파미라쥬사 제조, SD-200L) 를 사용하여, JIS K7112 에 준거하여, 수중 치환법에 의해 수지막 밀도 (df) 를 측정했다.
측정한 용액 밀도 (dl) 및 수지막 밀도 (df) 로부터, 이하의 계산식에 의해 경화 수축률을 산출했다.
경화 수축률 (%) = (df - dl)/df × 100
(4) 액정 표시 불균일의 평가
10 cm × 7.0 cm, 두께 0.55 mm 의 강화 유리 상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2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다른 일방의 면을 10 cm × 7.0 cm 의 액정 패널 위에 첩부하고,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액정 패널 구성체를 제작했다. 이어서, 이 구성체에,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로 조사하고, 2 매의 유리의 층간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55 ℃, 0.5 MPa 의 오토클레이브로 30 분 처리했다.
얻어진 적층체 표면에 천정의 형광등을 비쳐, 액정 표시 불균일의 발생에 관하여 간섭 패턴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표시 불균일의 발생이 전혀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 로, 표시 불균일의 발생이 거의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 로, 매우 약한 표시 불균일의 발생은 확인되었지만, 화상 표시에서 신경이 쓰이지 않고, 실용 상은 허용되는 범위에 있던 경우를 「△」 로, 실용 상 문제가 되는 강한 표시 불균일의 발생이 확인된 경우를 「×」 로 평가했다.
(5) 헤이즈값의 측정
10 cm × 7.0 cm, 두께 1 mm 의 유리 위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1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다른 일방의 면을 10 cm × 7.0 cm, 두께 1 mm 의 유리에 첩부하고,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유리 구성체 (유리-유리 구성체) 를 얻었다.
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적층체의 편측의 유리를 IT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세키스이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으로 한,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ITOPET 구성체 (유리-ITO 구성체) 도 얻었다.
얻어진 각 구성체의 헤이즈값을, 컬러 헤이즈 미터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사 제조) 를 이용하여, JIS K 5600 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이것을 초기 헤이즈값으로 했다.
이어서, 얻어진 각 적층체를 온도 85 ℃, 습도 85 % 의 항온 항습조 중에 240 시간 정치(靜置)한 후, 동일한 방법에 의해 헤이즈값을 측정하고, 이것을 내습열 시험 후 헤이즈값으로 했다.
또한, 각 헤이즈값은 기재인 유리나 ITO 페트의 헤이즈값을 포함한 수치이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실시예 16)
(1) 폴리비닐부티랄의 조제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 ㎖, 평균 중합도 1600, 비누화도 99.3 몰% 의 폴리비닐알코올을 300 g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 중량% 염산을, 염산 농도가 0.2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하고, 온도를 15 ℃ 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부틸알데히드 (n-BA) 21 g 을 첨가했다. 그 후, n-부틸알데히드 (n-BA) 145 g 을 첨가한 결과, 백색 입자상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하고 나서 15 분 후에, 35 중량% 염산을, 염산 농도가 1.8 중량% 가 되도록 첨가하고, 50 ℃ 로 가열하여, 50 ℃ 에서 2 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시키고, 중화한 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비닐부티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의 수산기량은 31.0 몰%, 아세틸기량은 0.3 몰%, 부티랄화도는 68.7 몰% 였다.
(2)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제조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얻어진 폴리비닐부티랄 15 중량% 와,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 (사토마사 제조, 단관능 메타크릴산에스테르, SR9050) 5 중량% 와, 비반응성 성분으로서 산 변성 초담색 로진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KE-604) 15 중량% 와,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GM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20 중량%, 4HBAGE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15 중량%,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400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AM-90G) 21 중량% 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700)디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APG-700) 9 중량% 를 60 ℃ 에서 충분히 교반·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광 중합 개시제로서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BASF 사 제조, IRGACURE184) 2 중량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BASF 사 제조, LUCIRIN TPO) 1 중량부 및 과산화벤조일 0.5 중량부를 충분히 혼합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 JISS Z 8803 : 2011 에 준하여, 회전식 점도계 (브룩필드사 제조, DV-II+Pro) 로 25 ℃ 에 있어서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2650 mPa·s 였다.
(3)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광 경화물의 탄성률의 측정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두께 50 ㎛ 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두께가 800 ㎛ 가 되도록 도공했다. 또한 얻어진 층간 충전 재료층 위에, 이형 처리면이 층간 충전 재료층에 접하도록 하여 새롭게 준비한 이형 PET 필름을 중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했다. 그 후 시트를 23 ℃ 에서 5 일간 양생하고, 이형 PET 필름이 양면에 첩부된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대해,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 DVA-200) 를 사용하여, 3 ℃/분의 강온 속도로 200 ℃ 부터 -50 ℃ 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또한 주파수 1 Hz 및 변형 1 % 의 조건에서, 25 ℃ 에서의 저장 탄성률 및 tanδ 를 측정했다.
(실시예 17 ∼ 26, 비교예 13 ∼ 19)
배합을 표 4, 5 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얻었다.
또한, 표 4, 5 중의 다른 성분은, 이하와 같다.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
SR9051 : 사토마사 제조, 3 관능 메타크릴산에스테르
SR9053 : 사토마사 제조, 3 관능 아크릴산에스테르
<그 밖의 (메트)아크릴레이트>
CN147 : 사토마사 제조, 산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M-5300 : 토아 합성사 제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아크릴레이트
<비반응성 성분>
3GO :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평가)
실시예 16 ∼ 26 및 비교예 13 ∼ 19 에서 얻어진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대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4, 5 에 나타냈다.
(1) 내충격성의 평가
10 cm × 7.0 cm, 두께 0.55 mm 의 강화 유리 상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1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다른 일방의 면을 10 cm × 7.0 cm, 두께 1 mm 의 유리에 첩부하고,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유리 구성체 (유리-유리 구성체) 를 제작했다. 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적층체의 편측의 유리를 두께 3 mm 의 폴리카보네이트 (PC) 판 (타키론 주식회사 제조) 으로 한,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PC 판 구성체 (유리-PC 구성체) 도 얻었다. 이어서, 이 구성체에, 초고압 수은등을 사용하여, 365 nm 의 파장의 광을 4000 mJ/㎠ 조사하고, 2 매의 유리의 층간이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55 ℃, 0.5 MPa 의 오토클레이브로 30 분 처리했다.
얻어진 유리-유리 구성체에 대해 무게 30 g 의 철공을 23 ℃ 의 환경하에서 170 cm 의 높이에서 낙하시키고, 적층체가 균열되지 않은 경우를 「1」, 적층체가 균열된 것의 유리편이 비산하지 않고, 또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를 「2」, 유리편이 소량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생기고 있던 경우를 「3」, 유리편이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확인된 경우를 「4」 라고 했다. 결과가 1, 2 였던 경우를 「○」 로, 3, 4 였던 경우를 「×」 로 평가했다.
얻어진 유리-PC 구성체에 대해 무게 30 g, 60 g, 130 g 의 철공을 370 cm 의 높이에서 연속해서 낙하시키고, 적층체가 균열되지 않은 경우를 「1」, 유리-PC 구성체에 대해 무게 30 g, 60 g, 130 g 의 철공을 350 cm 의 높이에서 연속해서 낙하시키고, 적층체가 균열되지 않은 경우를 「2」, 유리-PC 구성체에 대해 60 g 의 철공을 370 cm 의 높이에서 혹은 130 g 의 철공을 350 cm 의 높이에서 낙하시키고, 유리편이 소량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생기고 있던 경우를 「3」 유리편이 비산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에 찢어짐 또는 응집 파괴가 확인된 경우를 「4」 라고 했다. 결과가 1 이었던 경우를 「◎」 로, 2 였던 경우를 「○」 로, 3, 4 였던 경우를 「×」 로 평가했다.
유리-유리 구성체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 와, 유리-PC 구성체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 로 된 것을 종합 평가로서 「◎」 로 하고, 유리-유리 구성체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 와, 유리-PC 구성체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 로 된 것을 종합 평가로서 「○」 로 하고, 유리-유리 구성체에 대한 평가, 유리-PC 구성체에 대한 평가 어느 하나에 있어서 「×」 로 된 것을 종합 평가로서 「△」 로 하고, 유리-유리 구성체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 와, 유리-PC 구성체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 로 된 것을 종합 평가로서 「×」 로 평가했다.
단, 낙구 지점의 유리 자체에서 생긴 유리 가루 또는 유리 자체의 파괴에 의한 파편은 유리편에는 포함하지 않고, 유리와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계면에 있어서의, 유리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부터의 박리에 의한 유리편, 또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응집 파괴에 의한 충전 재료가 부착된 유리편을 평가 대상으로 했다.
(2) 옐로우 인덱스 (YI) 값의 측정
10 cm × 7.0 cm, 두께 1 mm 의 유리 위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도공 후의 두께가 100 ㎛ 가 되도록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도공하고,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의 다른 일방의 면을 10 cm × 7.0 cm, 두께 1 mm 의 유리에 첩부하고, 유리/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유리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구성체를,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U-4000) 를 사용하여, JIS Z 8722 및 JIS R 3106 에 준거하여, 380 ∼ 780 nm 의 파장 영역에서의 옐로우 인덱스값을 구했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정보 단말의 제조 등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단차에의 추종성이 우수하고, 또한, 균열이나 파손이 생기기 어려운 터치 패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그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터치 패널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1 :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2 : 터치 패널
3 : 표면 보호 패널
4 : 편광 필름
5 : 가식 인쇄부

Claims (11)

  1. 터치 패널과 다른 부재의 층간 또는 상기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유리판의 층간, 유리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기판과 유리판의 층간, 기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기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서,
    폴리비닐아세탈, 반응성 희석제, 및,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는,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3.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는, (메트)아크릴 모노머 또는 (메트)아크릴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4.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는,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중에 있어서의 상기 글리콜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8 ∼ 38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5. 제 2 항에 있어서,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희석제는,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중에 있어서의 상기 인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2 ∼ 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광 중합 개시제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 중의 이중 결합량이 2.9 mmol/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로, 비반응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광 조사 후에 있어서의 25 ℃ 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9 × 106 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광 조사 후에 있어서의 25 ℃ 에서의 손실 탄성률이 1 × 107 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광 조사 후에 있어서의 23 ℃ 에서의 굽힘 탄성률이 30 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11. 표면 보호 패널과 터치 패널의 층간, 터치 패널과 편광 필름의 층간, 및,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유리판과 유리판의 층간, 유리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 기판과 유리판의 층간, 기판과 투명 도전 필름의 층간, 기판과 편광 필름의 층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층간이,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로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적층체.
KR1020177010109A 2015-05-15 2016-05-13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터치 패널 적층체 KR20180006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0497 2015-05-15
JP2015100497 2015-05-15
JP2015206447 2015-10-20
JPJP-P-2015-206447 2015-10-20
JPJP-P-2016-014540 2016-01-28
JP2016014540 2016-01-28
JP2016027092 2016-02-16
JPJP-P-2016-027092 2016-02-16
PCT/JP2016/064304 WO2016186029A1 (ja) 2015-05-15 2016-05-13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359A true KR20180006359A (ko) 2018-01-17

Family

ID=5732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109A KR20180006359A (ko) 2015-05-15 2016-05-13 터치 패널용 층간 충전 재료 및 터치 패널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41315A1 (ko)
EP (1) EP3296846A4 (ko)
JP (2) JP6134448B2 (ko)
KR (1) KR20180006359A (ko)
CN (1) CN107003782A (ko)
TW (1) TW201702837A (ko)
WO (1) WO2016186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545A1 (ja) * 2015-10-07 2017-04-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接着シート、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積層体
JP6391882B1 (ja) * 2016-12-27 2018-09-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上下導通材料、及び、液晶表示素子
US20200023619A1 (en) 2017-02-03 2020-01-23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 intermediate film and laminated glass
WO2018181386A1 (ja) * 2017-03-27 2018-10-04 株式会社クラレ 合わせガラス用の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JP2019147707A (ja) * 2018-02-27 2019-09-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211713B2 (ja) * 2018-04-12 2023-01-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剤樹脂組成物
WO2019198545A1 (ja) * 2018-04-12 2019-10-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接着剤
CN112280186B (zh) * 2020-11-11 2024-05-24 广西北海精一电力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混凝土电杆的保护层垫块及其制备方法
WO2024034575A1 (ja) * 2022-08-08 2024-02-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層間接着剤、タッチパネル用層間接着剤、及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6541A (en) * 1978-01-18 1979-07-31 Teijin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US4293665A (en) * 1978-04-24 1981-10-06 Lord Corporation Structural adhesive formulations
US4710539A (en) * 1981-11-02 1987-12-01 W. R. Grace & Co. Heat activatable adhesive or sealant compositions
US4719539A (en) * 1985-09-06 1988-01-12 Electronic Concepts Hermetically sealed capacitor
JP2001098165A (ja) * 1999-07-29 2001-04-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3119207A (ja) * 2001-10-11 2003-04-23 Jsr Corp 光硬化性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積層体
JP2004339370A (ja) * 2003-05-15 2004-12-02 Kyoto Elex Kk 感光性樹脂組成物
US8680171B2 (en) * 2011-07-01 2014-03-25 Arkema France Method of encapsulating a photovoltaic cell and encapsulated photovoltaic cell
WO2013022056A1 (ja) * 2011-08-10 2013-02-14 東亞合成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空隙充填用樹脂組成物
JP2013077198A (ja) * 2011-09-30 2013-04-25 Tomoegawa Paper Co Ltd タッチパネル用粘着層、タッチパネル用粘着型光学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用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JP6475457B2 (ja) * 2013-09-30 2019-02-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及び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組成物
JP6290598B2 (ja) * 2013-11-12 2018-03-07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摩擦材組成物および摩擦材
US20150255186A1 (en) * 2014-03-06 2015-09-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se material with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ouch panel, and solar cell
JP6116772B1 (ja) * 2015-10-07 2017-04-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積層体
US10647895B2 (en) * 2015-10-07 2020-05-12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ler material for touch panels, and touch panel laminate
US20180299980A1 (en) * 2015-10-07 2018-10-1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ler material for touch panels, and touch panel laminate
WO2017061545A1 (ja) * 2015-10-07 2017-04-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接着シート、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積層体
US11248149B2 (en) * 2015-10-07 2022-02-15 Sekisui Chemical Co., Ltd.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79372A (ja) 2017-10-05
US20180141315A1 (en) 2018-05-24
JPWO2016186029A1 (ja) 2017-06-01
JP6134448B2 (ja) 2017-05-24
WO2016186029A1 (ja) 2016-11-24
TW201702837A (zh) 2017-01-16
EP3296846A1 (en) 2018-03-21
CN107003782A (zh) 2017-08-01
EP3296846A4 (en)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4448B2 (ja)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積層体
JP6197899B2 (ja) 光学用粘着材樹脂組成物、光学用粘着材シート、画像表示装置、光学用粘着材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116772B1 (ja)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積層体
KR20150072400A (ko)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7924247B (zh) 触控面板用层间填充材料及触控面板层叠体
EP3360903B1 (en)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 adhesive sheet, interlaminar filling material for touch panel, and laminate
KR20120058410A (ko) 광경화성 접착제 및 표시 소자
KR101907238B1 (ko)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8084905A (ja)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積層体
JP2018083878A (ja)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積層体
EP3361358B1 (en) Interlayer filler material for touch panels, and touch panel laminate
JP2017078154A (ja) 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積層体
KR102062174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시트, 광학부재 및 표시장치
KR102102636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광학용 점착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