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993A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993A
KR20180005993A KR1020160086411A KR20160086411A KR20180005993A KR 20180005993 A KR20180005993 A KR 20180005993A KR 1020160086411 A KR1020160086411 A KR 1020160086411A KR 20160086411 A KR20160086411 A KR 20160086411A KR 20180005993 A KR20180005993 A KR 2018000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visible light
information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786B1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86B1/ko
Priority to US16/307,862 priority patent/US10909849B2/en
Priority to CN201780042266.4A priority patent/CN109451760B/zh
Priority to PCT/KR2017/007325 priority patent/WO2018009038A1/ko
Publication of KR2018000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Guided parking by providing commands to the driver, e.g. acoustically or opt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29Traffic data processing for creating historical data or processing based on historical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ID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PARK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이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에너지 삼아 전기 모터를 돌리는 자동차를 뜻하며,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이 있다.
한편, 최근 운전자, 보행자 등의 안전이나 편의를 위해 지능형 자동차(Smart Vehicle)의 개발이 활발히 되고 있다.
지능형 자동차는 정보기술(IT) 기술을 융합한 최첨단 자동차로 스마트 자동차라고도 한다. 지능형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의 첨단 시스템 도입은 물론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의 연동을 통한 최적의 교통 효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지능형 자동차는 ACC(Adaptive Cruise Control), 장애물 감지, 충돌 감지 또는 경감 장치 등과 같은 안전에 관련된 핵심 기술의 개발로 운전자, 탑승자 만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까지 극대화하는 기술적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요즘 차량의 증가로 인해 많은 사람이 목적지까지 자신이 차를 운전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이로 이내 볼 일을 마칠 때까지 차량을 주차장에 안정되게 주차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차량의 출입이 많은 백화점, 관공서, 대형 건물 또는 주차용 빌딩과 같은 곳에서는 주차의 요금을 징수하면서 차량의 출입만 통제하는 상태에 있다
즉, 차량의 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요금의 징수를 위한 티켓을 운전자가 취하면 차단기를 열어주어 차량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주차를 완료한 차량이 출구로 나오면 기록된 진입 시간에 따라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한 후 요금이 지불된 후 차단기를 열어주어야만 차량의 주차장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량이 주차장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스스로 빈 주차 공간을 찾아서 주차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차를 주차하기 위해 주차장의 내부를 저속으로 주행함으로써 공기의 오염, 시간의 소모 및 좁은 공간에서 차량의 접촉 사고 등 많은 사고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주차 층의 입구와 주차장 블록들의 사이에 안내 인력을 배치하여 주차공간을 안내하고 더 이상의 공간이 없으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한 후 다른 주차장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안내 인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빈 공간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차량에 구비된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램프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진입 차량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주차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미등록된 차량의 방문 예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개별 주차 구역 내의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ID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부는, 상기 식별 ID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가시광 송신부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싣고 출력되는 가시광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가시광을 복조하여 상기 가시광에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가시광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 관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 관제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된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공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방문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예약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예약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조명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사이드 램프, 스탑 램프, 프런트 램프 및 테일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식별 ID가 포함된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 내에 포함된 식별 ID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식별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차 예정 위치로 상기 차량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주차 지정석을 상기 주차 예정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 시점에서의 빈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주차 공간 정보를 토대로 수신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 ID를 획득하는 가시광 통신부와, 상기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 게이트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 ID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ID와 상기 차량 ID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게이트 진입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방문 차량의 차량 ID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로부터 상기 차량 ID를 획득하여 상기 방문 차량의 방문 예약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주행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 및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사이의 주행 동선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명 장치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개별 주차 구역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별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제 2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 2 조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홈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상태 정보는 주차 위치 정보, 주차 시간 정보 및 주차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실제 이동 동선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세기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실제 이동 동선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토대로 상기 차량과 연계된 스마트 홈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스마트 홈 장치로 상기 차량의 진입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차량 등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 차량 등록을 위한 등록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등록을 진행하며, 상기 등록 정보는, 차량의 식별 ID, 상기 차량의 세대 정보, 상기 차량과 연계된 이동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계된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램프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차량 주차 관제를 위한 센서나 전선 케이블 등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더욱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진입 차량의 지정 주차 구역 또는 선택 주차 구역으로의 이동 동선 내에 포함된 조명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안내를 수행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등록 차량에 구비된 램프를 이용하여 미등록된 차량의 정보를 주차 관리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방문 차량에 대한 방문 예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개별 주차 구역 내의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차 위치, 주차 시간 및 차량 이상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수신 신호 세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른 조명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센서 없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현 위치에 배치된 조명만을 구동시켜 에너지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의 이동 동선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상기 이동 동선 정보를 활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신호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게이트 관리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는 도 2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신호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조작 수단(721A, 721B, 721C, 721D) 및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700)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운전을 보조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차량(700)의 유닛 중 일부의 집합을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치일 때,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각 유닛들 중 일부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 또는 차량(700)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각 유닛들을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차량(700)에 직접 설치된 각 유닛들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700)에 직접 설치된 각 유닛들의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정차시 시동을 오프(off)하는 공회전 제한장치일 수 있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가 시동을 온(on)하는 관점을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가시광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가시광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조명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시광 신호를 송신하는 조명은, 차량(700)에 구비되는 헤드 라이트일 수 있다.
자세히,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가시광 통신 모듈(150), 카메라(16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 보조장치 기능을 온/오프하거나,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가시광 통신 모듈(150)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타차량(510),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또는/및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주차 관제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차장은 아파트 단지, 대형 쇼핑몰, 대형 마트 및 상용 빌딩 등에 구비되는 주차장일 수 있으며,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주차장의 주차 관리를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주차 관제 장치(2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700)과도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20)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주차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700)의 주차가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주차장에 대한 각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와, 상기 각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 내에서 타차량에 의해 이미 주차 공간이 점령된 공간과, 비어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70)의 주차가 완료된 이후에는, 실제 주차된 위치 정보, 주차 시간 정보 및 차량 이상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700)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 정보, 차량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700)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700)의 입력부(7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가 차량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방문 차량 정보나, 가시광 통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입력 정보나, 차량의 주차 시에 주차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700)의 식별 ID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정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정보,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700)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700)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카메라(160)는 차량 내부에서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160)는 차량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카메라(160)는, 각각 차량의 좌측, 후방, 우측, 전방 및 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을 탑뷰에서 바라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카메라는 차량의 천장 상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후좌우를 모두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의한 주차 보조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의 주차장 정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 및 정전용량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터치 시의 면적, 압력 및 정전용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손톱 터치, 손가락 마디 터치,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 터치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5)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이 특정 건물의 주차장 입구 게이트로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입구 게이트에 접근하였다면,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시킨다.
즉,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평상 시에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70)에 의해 상기 차량(700)이 주차장 입구 게이트로 진입하였음이 감지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차량(700)이 상기 입구 게이트에 접근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상기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제어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상기 차량(70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700)의 정보는 상기 차량(700)의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700)의 정보는 다른 차량들과 구분될 수 있는 고유의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와 같은 차량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문 차량의 정보가 입력되면, 자신의 차량의 정보와 함께 상기 방문 차량의 정보도 상기 가시광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는 상기 차량(700)의 식별 ID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상기 식별 ID의 전송에 따라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이후에도 일정 주기마다 가시광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일정 주기마다 출력되는 가시광 신호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를 구성하는 제 1 조명 장치(220) 및 제 2 조명 장치(230)를 통해 상기 차량(700)의 상태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상기 전송된 가시광 신호에 따른 차량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주차장 내에는 상기 차량(700)에 대해 지정된 주차 지정석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은 표시되지 않을 것이고, 상기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이 표시될 것이다.
상기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170)는 사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주차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표시되는 주차 정보를 통해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에 의한 가시광 신호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700)의 차량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입력부(110)를 통해 차량(700)의 식별 ID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상기 식별 ID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식별 ID의 등록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상기 식별 ID의 등록 허용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식별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가 아파트와 같은 주거 건물인 경우, 상기 차량(700)의 운전자의 세대 정보를 상기 식별 ID와 함께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차량 정보는 가시광 스펙트럼 내에 실려 출력된다.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이 방출하는 가시광은 400 내지 700nm 대의 스펙트럼 파장대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상기 파장대의 빛을 상기 차량 정보에 따라 디밍하여 방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가시광 수신부(151) 및 가시광 송신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시광 수신부(151)는 수광부(1511), 증폭부(1512), A/D 컨버터(1513) 및 복조부(15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 수신부(152)는 발광부(1521), 조명 구동부(1522), A/D 컨버터(1523) 및 변조부(1524)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521)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부(1521)는 차량(700)에 구비된 다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의 광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521)는 차량(700)에 구비된 DRL(Day Running Light), PSTN(Position Lamp), TSL(Turn Signal Lamp) 등을 포함하는 프런트 램프와, 스탑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후진 램프 및 안개등 등을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변조부(1524)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변조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차량(700)의 정보, 다시 말해서 상기 차량(700)의 고유 ID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조부(1524)는 상기 차량(700)의 고유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고유 ID를 변조할 수 있다.
A/D 컨버터(1523)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이며, 상기 변조부(1524)를 통해 변조된 데이터를 컨버팅한다. 이때, 상기 변조부(1524)는 디밍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밍부는 외부로부터 디밍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가공할 수 있다.
조명 구동부(1522)는 상기 가공된 디밍 신호에 따라 상기 변조된 데이터에 따른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명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명 구동부(1522)는 상기 발광부(1521)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변조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광부(1521)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1521)를 통해 방출되는 가시광은 온오프 시간, 온오프 순서에 따라 상기와 같은 차량의 고유 ID를 싣고 출력된다.
수광부(1511)는 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빛을 광전변환(photoelectric conversion)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전소자일 수 있다. 여기에서, 수광부(1511)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광부(1511)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신호의 세기 정보뿐 아니라, 신호의 유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증폭부(1512)는 상기 수광부(1511)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복조부(1514)에서 가공 가능한(인식 가능한) 레벨로 변환한다.
A/D 컨버터(1513)는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복조부(1514)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복조부(1514)는 가시광 신호를 송신한 송신장치의 변조부에서 변조한 코드에 따라 상기 전기적 신호를 복조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게이트 관리 장치의 구성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주차 관제 장치(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게이트 관리 장치(210), 제 1 조명 장치(220), 제 2 조명 장치(230) 및 서버(240)를 포함한다.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며, 출입 차량을 관리한다. 특히,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상기 주차장을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보다 명확하게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로부터 상기 진입한 차량의 ID를 획득한다.
그리고,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상기 획득한 차량의 ID가 기등록된 ID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획득한 차량의 ID를 인증한다.
또한,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차량의 진입을 허가하고, 상기 인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차량의 진입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주차권 발행부(211), 카메라부(212), 가시광 통신부(213), 자동 차단기(214) 및 정보 출력부(215)를 포함한다.
주차권 발행부(211)는 미등록 차량에 대한 주차장 내로의 진입 허용을 위한 주차권을 발급한다. 상기 주차권 발행부(211)는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차량 또는 서버(240)에 식별 ID가 미등록된 차량의 게이트 통과를 위해 구비된다.
카메라부(212)는 게이트 관리 장치(210)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가시광 통신부(213)를 통한 차량 인증을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제공된다.
카메라부(212)는 게이터로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식별 ID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획득되는 식별 ID는 상기 촬영한 영상 내에 포함된 차량 번호판으로부터 인식한 차량 번호일 수 있다.
가시광 통신부(213)는 상기 차량(7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내에 실려 있는 식별 ID를 획득한다.
자동 차단기(214)는 게이트 내로의 차량 진입 허용 또는 차량 진입 제한을 위해 구비된다.
정보 출력부(215)는 차량 인증 결과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부(215)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 결과에 따른 인증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215)는 주차장 내에서의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215)는 상기 인증한 차량의 I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조명 장치(220)는 주차장 내에서, 차량(700)의 주행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제 1 조명 장치(220)는 단순히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조명일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주행로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상기 주차장 내에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온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내로 진입한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서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사이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 1 조명 장치(220)는 온 되고, 상기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0)는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명 장치(220)는 해당 설치 위치를 통과하는 차량(700)으로부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상기 가시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가시광 신호의 세기를 상기 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조명 장치(230)는 주차장 내에서, 각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각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을 관리한다.
특히, 제 2 조명 장치(230)는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700)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버(240)에 전송한다. 즉, 상기 제 2 조명 장치(230)는 차량의 주차 여부, 차량의 주차 시간 및 주차된 차량의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를 서버(240)에 전송한다.
이때, 제 2 조명 장치(230)는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만을 수신하기 위해, 일정 신호 세기 이상의 가시광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240)는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 제 1 조명 장치(220) 및 제 2 조명 장치(230)를 제어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 제 1 조명 장치(220) 및 제 2 조명 장치(2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700)의 주차를 관제한다.
특히, 서버(240)는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를 통해 획득되는 식별 ID를 토대로 게이트 진입을 원하는 차량(7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700)의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서버(240)는 게이트 관리 장치(210)의 게이트로 진입된 차량(700)의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주차 지정석으로의 상기 차량(700)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즉, 상기 서버(240)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 중 상기 차량(700)의 주행 동선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 1 조명 장치(220)만이 온 되도록 한다.
또한,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의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받고, 상기 설정받은 주차 예정 위치로의 상기 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또한,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으로부터 방문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추후 진입하는 미등록 차량의 게이트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이 특정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되면, 상기 주차된 특정 주차 구역에 설치된 제 2 조명 장치(230)를 통해 상기 차량(700)의 주차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주차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에 대해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로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에 대해 기등록된 스마트 홈 장치(300)로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이 상기 게이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차량(700)에 대해 기등록된 스마트 홈 장치(300)로 상기 진입한 차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램프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차량 주차 관제를 위한 센서나 전선 케이블 등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더욱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진입 차량의 지정 주차 구역 또는 선택 주차 구역으로의 이동 동선 내에 포함된 조명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안내를 수행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등록 차량에 구비된 램프를 이용하여 미등록된 차량의 정보를 주차 관리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방문 차량에 대한 방문 예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개별 주차 구역 내의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차 위치, 주차 시간 및 차량 이상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수신 신호 세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른 조명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센서 없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현 위치에 배치된 조명만을 구동시켜 에너지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의 이동 동선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상기 이동 동선 정보를 활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호 식별 ID를 주고 받으며, 그에 따라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설치된 차량(700)의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등록한다(110단계).
그리고,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차량(700)이 게이트로 진입함이 감지되면(120단계),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기등록된 식별 ID에 대한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130단계).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송신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복조하여 식별 ID를 획득한다(140단계).
이후,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획득한 식별 ID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식별 ID가 기등록된 ID인지, 아니면 등록되지 않은 ID인지를 확인한다(15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60단계).
이후,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면, 상기 차량(700)의 진입을 허용한다(170단계).
한편, 상기 차량(700)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자신의 식별 ID뿐 아니라, 다른 차량의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700)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방문 차량에 대한 예약을 위해, 상기 방문 차량의 식별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700)이 게이트로 진입하면(210단계),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예약 신호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한다(220단계). 이때, 상기 예약 신호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상기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방문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한다(230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상기 출력된 가시광 신호에 따른 방문 차량의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240단계).
한편, 주차 관제 장치(200)는 다른 차량의 ID를 이용한 불법 주차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212) 및 상기 가시광 통신부(213)를 활용하여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로 진입하는 차량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7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로부터 송신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다(310단계).
그리고,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신호 내에 포함된 제 1 식별 ID를 획득한다(320단계).
또한, 주차 관제 장치(200)는 카메라부(212)를 통해 상기 진입한 차량에 대한 제 2 식별 ID를 획득한다(33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획득한 제 1 식별 ID와 상기 제 2 식별 ID를 비교한다(340단계).
이후,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제 1 식별 ID와 상기 제 2 식별 ID가 서로 동일하면, 해당 차량(700)의 진입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주차장 내로 진입하는 차량(700)의 주차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로의 차량(700) 진입을 감지한다(41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진입한 차량에 대한 지정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
이후, 상기 차량에 대한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의 빈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700)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 전송한다(430단계).
그리고,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440단계).
이후,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서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사이의 이동 동선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 1 조명 장치(220)를 순차적으로 구동한다(450단계).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700)의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서 상기 지정석 사이의 이동 동선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 1 조명 장치(220)를 순차적으로 구동한다(460단계).
즉, 도 15를 참조하면, 주차장의 주행로에는 다수의 제 1 조명 장치(22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700)이 주차될 위치(지정석 또는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 도면 상에서 G25)가 결정되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사기 결정된 위치와 상기 차량의 현 위치 사이의 이동 동선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 중 상기 이동 동선 내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2)를 온 시키고, 상기 이동 동선을 벗어난 곳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1)는 오프 시킨다.
한편,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진입한 차량에 연동된 외부 기기로 상기 차량(700)의 진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차량(700)에 연동된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스마트 홈 장치(300)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로 차량(700)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진입한 차량(700)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ID에 연동된 외부 기기, 다시 말해서 스마트 홈 장치(300)를 확인한다(52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스마트 홈 장치(300)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스마트 홈 장치(300)로 상기 진입한 차량(700)에 대한 진입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530단계).
즉, 도 17을 참조하면 (A)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진입 알림 정보는 해당 스마트 홈 장치(예를 들어, 502호에 설치된 장치)에 연계되어 등록된 차량(700)이 입구 게이트를 통과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 도면과 같이, 상기 진입 알림 정보는, 해당 세대에서 방문 예약한 차량(예를 들어, 502호에서 방문 예약한 B 차량)이 입구 게이트를 통과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에서 이동하는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에 상기 저장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차 관제 장치(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는 상기 차량(700)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ㄱ가시광 신호의 수신 상태 정보를 서버(240)에 전송한다(610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240)는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 신호의 수신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의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620단계).
이어서, 상기 서버(240)는 상기 확인된 가시광 신호의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을 확인한다(630단계). 즉, 상기 다수의 제 1 조명 장치(220) 중 상기 차량(700)의 현 위치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0)에서 수신되는 가시광 신호의 세기가 가장 높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서버(240)는 가장 높은 수신 세기의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 제 1 조명 장치(220)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240)는 상기 확인된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 정보를 저장한다(640단계).
한편, 본 발명의 주차 관제 장치(200)는 제 2 조명 장치(230)를 이용하여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 홈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9를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각 개별 구역 내에 설치된 제 2 조명 장치(230)를 통해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710단계).
이후, 제 2 조명 장치(230)는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720단계). 즉, 상기 제 2 조명 장치(230)는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 주차 시간 및 차량의 이상 여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40)는 상기 제 2 조명 장치(230)로부터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 홈 장치(300)로 전송한다(730단계).
즉, 상기 전달되는 상태 정보는 도 20의 A 도면과 같이, 상기 차량(700)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주차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되는 상태 정보는, 도 20의 B 도면과 같이, 상기 차량(700)의 주차 시간 및 상기 주차 시간에 따른 주차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는 도 2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러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차량 보조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7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700)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700)과 타차량(51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는 모니터링부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보조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차량 보조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차량 보조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보조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ID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부는,
    상기 식별 ID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가시광 송신부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싣고 출력되는 가시광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가시광을 복조하여 상기 가시광에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가시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주차 관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 관제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된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공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방문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예약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예약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사이드 램프, 스탑 램프, 프런트 램프 및 테일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8.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식별 ID가 포함된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 내에 포함된 식별 ID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식별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차 예정 위치로 상기 차량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주차 지정석을 상기 주차 예정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 시점에서의 빈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주차 공간 정보를 토대로 수신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로 설정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 ID를 획득하는 가시광 통신부와,
    상기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 게이트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 ID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ID와 상기 차량 ID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게이트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방문 차량의 차량 ID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로부터 상기 차량 ID를 획득하여 상기 방문 차량의 방문 예약을 등록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주행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 및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사이의 주행 동선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명 장치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주차 관제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개별 주차 구역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별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제 2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 2 조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홈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상태 정보는
    주차 위치 정보, 주차 시간 정보 및 주차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실제 이동 동선 정보를 획득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세기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실제 이동 동선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를 구동시키는
    주차 관제 시스템.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토대로 상기 차량과 연계된 스마트 홈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스마트 홈 장치로 상기 차량의 진입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차량 등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 차량 등록을 위한 등록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등록을 진행하며,
    상기 등록 정보는,
    차량의 식별 ID, 상기 차량의 세대 정보, 상기 차량과 연계된 이동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계된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0160086411A 2016-07-07 2016-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562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411A KR102562786B1 (ko) 2016-07-07 2016-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US16/307,862 US10909849B2 (en) 2016-07-07 2017-07-07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CN201780042266.4A CN109451760B (zh) 2016-07-07 2017-07-07 车辆驾驶辅助装置及包括该车辆驾驶辅助装置的停车控制系统
PCT/KR2017/007325 WO2018009038A1 (ko) 2016-07-07 2017-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411A KR102562786B1 (ko) 2016-07-07 2016-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993A true KR20180005993A (ko) 2018-01-17
KR102562786B1 KR102562786B1 (ko) 2023-08-03

Family

ID=6091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411A KR102562786B1 (ko) 2016-07-07 2016-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09849B2 (ko)
KR (1) KR102562786B1 (ko)
CN (1) CN109451760B (ko)
WO (1) WO201800903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7752A (zh) * 2019-01-15 2019-03-29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与光学通信相结合的单车停放监测系统及方法
CN112995911A (zh) * 2021-03-05 2021-06-18 浙江万里学院 基于可见光通信的智慧物流定位方法
KR102338643B1 (ko) * 2020-07-07 2021-12-16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운전자 보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923B1 (ko) * 2017-09-26 2022-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간구분방식 정차제어방법 및 차량
CN111386562B (zh) * 2018-01-10 2022-10-11 宝马股份公司 停车位锁以及用于提供停车服务的系统和方法
WO2019220254A1 (en) * 2018-05-14 2019-11-21 Gentex Corporation Vehicle control module for smart home control system
JP7163669B2 (ja) * 2018-08-28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システム
JP7096783B2 (ja) * 2019-03-15 2022-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33650B2 (en) * 2019-03-25 2022-01-25 Micron Technology, Inc. Verifying identity of a vehicle entering a trust zone
US11323275B2 (en) 2019-03-25 2022-05-03 Micron Technology, Inc. Verification of identity using a secret key
US11218330B2 (en) 2019-03-25 2022-01-04 Micron Technology, Inc. Generating an identity for a computing device using a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US11361660B2 (en) 2019-03-25 2022-06-14 Micron Technology, Inc. Verifying identity of an emergency vehicle during operation
CN112147569A (zh) * 2019-06-28 2020-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车辆定位方法、装置和车辆定位系统
JP7555816B2 (ja) * 2019-12-31 2024-09-25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自動バレーパーキング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及び車両
EP3852078B1 (en) * 2020-01-17 2024-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localizing one or more parked vehicles in a parking area
DE102020203102A1 (de) * 2020-03-11 2021-09-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beleuchteten Route für ein sich auf einem Weg bewegendes Objekt
JP2021162959A (ja) * 2020-03-30 2021-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容領域管理装置
DE102021117744A1 (de) * 2021-07-09 2023-01-12 Cariad Se Selbstlokalisierung eines Fahrzeugs basierend auf einer initialen Po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791A (en) * 1975-08-12 1977-05-24 Kilo Corporatio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KR20110075371A (ko) * 2009-12-28 2011-07-06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가시광 통신장치,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터널 내 차량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1555A (ko) * 2011-05-25 2012-12-05 (주)에스아이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40027574A (ko) * 2012-07-06 2014-03-07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CN105355050A (zh) * 2015-11-20 2016-02-24 福州市智聚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新一代光通讯技术物联网车辆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7468A (en) * 1976-07-27 1980-06-10 Kilo Corporatio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US4665395A (en) * 1984-12-14 1987-05-12 Ness Bradford O Van Automatic access control system for vehicles
JP2543235B2 (ja) * 1990-06-29 1996-10-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cカ―ドアダプタ
US6476715B1 (en) * 2001-05-15 2002-11-05 Nick Bromer Land vehicle identification by flickering lamps
JP2008149771A (ja) 2006-12-14 2008-07-03 Fujifilm Corp 車両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09015452A (ja) 2007-07-02 2009-01-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通信装置
EP2026097A1 (en) 2007-08-08 2009-02-1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illumination system
WO2009079779A1 (en) * 2007-12-21 2009-07-02 Leddartech Inc.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ing system
JP2010241311A (ja) 2009-04-07 2010-10-28 Fujitsu Ten Ltd 車両情報送信装置、車両情報送信システムおよび車両情報送信方法
US20120284209A1 (en) * 2011-05-03 2012-11-08 Douglas Duffy Rfid controlled parking system
KR101266815B1 (ko) 2011-05-17 2013-05-22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을 이용한 차량 주행간격 검지장치
KR101488571B1 (ko) 2012-12-31 2015-02-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KR20140118441A (ko) 2013-03-29 2014-10-0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주차 가이드 장치
KR20140121500A (ko) 2013-03-29 2014-10-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주차유도 시스템
KR20140121499A (ko) 2013-03-29 2014-10-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주차유도 시스템
US20150170517A1 (en) * 2013-12-12 2015-06-18 Chen Yan Vehicle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 guidance for indicating floor vacant vehicular parking dock
US9354067B2 (en) * 2013-12-18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or devices for aligning a movement path with an indoor routing graph
CN105513409A (zh) * 2015-10-19 2016-04-20 李秋实 基于可见光通信的室内停车场导引方法及系统
CN105471981A (zh) * 2015-11-20 2016-04-06 福州市智聚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新一代光通讯技术的车辆物联网管理方法
JP2018088193A (ja) * 2016-11-29 2018-06-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対象識別システム、駐車場装置及び自動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791A (en) * 1975-08-12 1977-05-24 Kilo Corporatio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KR20110075371A (ko) * 2009-12-28 2011-07-06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가시광 통신장치,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터널 내 차량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1555A (ko) * 2011-05-25 2012-12-05 (주)에스아이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40027574A (ko) * 2012-07-06 2014-03-07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CN105355050A (zh) * 2015-11-20 2016-02-24 福州市智聚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新一代光通讯技术物联网车辆管理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7752A (zh) * 2019-01-15 2019-03-29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与光学通信相结合的单车停放监测系统及方法
KR102338643B1 (ko) * 2020-07-07 2021-12-16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운전자 보조 방법
CN112995911A (zh) * 2021-03-05 2021-06-18 浙江万里学院 基于可见光通信的智慧物流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51760A (zh) 2019-03-08
CN109451760B (zh) 2021-11-02
KR102562786B1 (ko) 2023-08-03
WO2018009038A1 (ko) 2018-01-11
US10909849B2 (en) 2021-02-02
US20190213883A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849B2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KR1018264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90547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32466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1719B1 (ko)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98540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101942793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00508B1 (ko)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KR101860615B1 (ko)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573177B2 (en) Vehicle controlling technology
KR10184353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KR102470298B1 (ko) 카메라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2420922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26963A (ko) 차량 도난 방지방법 및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10192930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97350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KR10184353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43528B1 (ko) 정차 이동모드 제공방법,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85496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106336A (ko) 카메라장치,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장치 및 충돌방지방법
KR101938884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6402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KR101929288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17169A (ko) 차량 보조 장치 및 차량
KR20170053878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