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09038A1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9038A1
WO2018009038A1 PCT/KR2017/007325 KR2017007325W WO2018009038A1 WO 2018009038 A1 WO2018009038 A1 WO 2018009038A1 KR 2017007325 W KR2017007325 W KR 2017007325W WO 2018009038 A1 WO2018009038 A1 WO 20180090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visible light
parking
information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3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42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451760B/zh
Priority to US16/307,862 priority patent/US10909849B2/en
Publication of WO20180090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90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Guided parking by providing commands to the driver, e.g. acoustically or optic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29Traffic data processing for creating historical data or processing based on historical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 parking control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capable of performing parking control of a vehicl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 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the vehicle is a device for moving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on board.
  • An example is a car.
  • Ca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ime movers used, such a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 an external combustion engine car, a gas turbine car, or an electric vehicle.
  • 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uses electric energy to run an electric motor.
  • HEV hybrid electric vehicles
  •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 FCEV hydrogen fuel cell vehicles
  • Intelligent cars are state-of-the-art cars that combine information technology (IT) technology, also known as smart cars. Intelligent cars provide optimal traffic efficienc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systems of the vehicle itself and in conjunction with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 IT information technology
  •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Intelligent cars for example, have the technical advantage of maximizing the safety of drivers, riders as well as pedestrians by developing key safety-related technologies such as Adaptive Cruise Control (ACC), obstacle detection, collision detection or mitigation.
  • ACC Adaptive Cruise Control
  • the driver when the driver takes a ticket to collect the fare, the driver opens the breaker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the interior.When the parked vehicle exits the exit, the fare i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recorded entry time. After the payment was made, the breaker must be opened to allow the vehicle to exit outside the parking lot.
  • a guide maneuver is arranged between the entrance of each parking floor and the parking block to guide the parking space, and if there is no more space, it blocks the entry of the vehicle and leads to another parking lot. do.
  •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which may perform parking management of the vehicle by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a lamp hav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Do it.
  •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 parking control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hich may output parking guide information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information of an entry vehicle.
  •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 parking control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hich enable an easier visit reservation of an unregistered vehicle.
  •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capable of acquiring vehicle parking state information in each individual parking area and managing the obtained vehicle parking state information through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individual parking area; It provides a parking control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includes: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an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modulating the identification ID stored in the memory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identification ID through visible light; And
  • a processor configured to activate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as the vehicle approaches the parking entrance gate, and to output visible light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as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is activated.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visible light transmitter including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identification ID, an illumination for outputting the modulated identification ID through visible light,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visible light output from external data; And a visible light receiver including a data acquirer configured to demodulate the received visible light to obtain data included in the visible light.
  • a visible light transmitter including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identification ID, an illumination for outputting the modulated identification ID through visible light
  •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visible light output from external data
  • a visible light receiver including a data acquirer configured to demodulate the received visible light to obtain data included in the visible light.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parking control device to exchange data with the parking control device.
  • th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one of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authentication of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ID is normally authenticated. Receiv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and transmits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nned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parking space information.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vehicle reserv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sited vehicle from the outside, and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output a visible light signal including the vehicle reserv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when the vehicle reservation information is input. do.
  • the processor when authent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is completed, the processor outputs a visible light signal for acquir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contro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 the received parking state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pre-registered mobile terminal and a smart home device.
  • the lighti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de lamp, a stop lamp, a front lamp, and a tail lamp provided in the vehicle.
  • the parking control system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which is provided in the vehicle, store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and outputs a visible light signal including the stored identification ID; And a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a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btain an identification ID included in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and determine whether to permit entr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obtained identification ID.
  • a parking control device comprising a, wherein the server,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is normally performed, the guide information to confirm the planned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 the confirmed parking planned position
  • the server sets the parking reserved seat to the scheduled parking position. If the reserved seat does not exist, the server provides parking space information on the empty parking space at the present time. And transmits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based on the transmitted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cheduled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at an entrance gate to receive an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to obtain an identification ID, and a vehicle installed at the entrance gate to enter the entrance gate.
  • the camera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configured to acquire a vehicle ID, wherein the server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D with the vehicle ID and determines whether to enter the g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the parking control device receives a visible light signal including a vehicle ID of the visited vehicle throug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obtains the vehicle ID from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and registers a visit reservation of the visited vehicle. .
  • the parking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a vehicle driving path in a parking lot, and the server may include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a planned parking position when the scheduled parking position is set. At least one first lighting device arranged in the traveling copper line is sequentially driven.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ghting devices that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individual parking zones and receive visible light signals transmitted from vehicles parked in the individual parking zones to obtain state information of the parked vehicles. It includes more.
  • the server may further receive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ing devices, and transmit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o a pre-registered mobile terminal and a smart home device,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parking tim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nd the parking fee information.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When the ident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is completed,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utputs a visible light signal for acquir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the plurality of first lighting apparatuses are provided from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Receives the transmitted visible light signal, and transmits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to the server, the server, using the intensi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the first lighting device to the actual moving copper wir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cquire.
  • the server drives the first lighting device arranged on the actual moving copper lin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tensity information.
  • the server as the vehicle enters, identifies the smart home devi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vehicle entry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identified smart home device.
  • the server When the vehicle regist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the server requests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vehicle registration from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receives a visible light signal includ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and a smart home devi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 the lamp by ob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lamp with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to perform the parking management of the vehicle, it is unnecessary to use a sensor or wire cable for controlling the parking of the vehicle. Therefore, i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thus enabling more efficient parking management.
  • the parking guidance of the vehicle by sequentially driving the lights included in the moving lin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or the selected parking area of the in-vehicle vehicle, the parking guidance of the vehicle more efficiently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You can.
  •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by providing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with information of an unregistered vehicle using a lamp provided in the registered vehicl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erform a visit reservation for the visited vehicle.
  • a separate sensor by receiv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lamp of the vehicle, and driving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ata, a separate sensor It is possible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without driving, thereby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by driving only the lighting disposed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lamp of the vehicle to store the mov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it may be generated later in the parking lot by using the moving copper traffic information. You can prepare for a variety of situations.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having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ner tube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ignal spectrum in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illustrated in FIG. 4.
  • 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shown in FIG. 1.
  •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ate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7.
  •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light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7.
  •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lighting device shown in FIG. 7.
  • 11 to 2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of FIG. 2.
  • the vehicle described herein may be a concept including an automobile and a motorcycle.
  • a vehicle is mainly described for a vehicle.
  • the vehicle described herein may be a concept including bo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having an engine as a power source, a hybrid vehicle having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and the like.
  •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means the lef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means the righ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having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nner tube of a vehicle having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ignal spectrum in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illustrated in FIG. 4.
  • the vehicle 700 includes wheels 13FL and 13FR rotating by a power source, and driving operation means 721A, 721B, 721C, and 721D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execute a function of assisting driving by exchang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700 and executing a set of some of the units of the vehicle 700. It may be defined as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 the device When the device is a separate device, some of the units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not be included in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but may be units of a vehicle or another apparatus mounted on the vehicle 700. These units may be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interface unit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s directly including each unit shown in FIG. 4,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each unit directly installed in the vehicle 7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each unit installed directly at 70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may be an idle limit device that turns off starting when the vehicle is stopped.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will mainly be described in terms of starting the vehicle. .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may be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constitut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illumination for transmitting a visible light signal, wherein the illumination for transmitting the visible light signal is a head light provided in the vehicle 700. Can be.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memory 140,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a camera 160, a processor 170, and a display.
  • the unit 18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that detects a user's input. The user may perform an execution input of turning on / off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through the input unit 110 or turning on / off a power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 the user may activate or deactivate a function of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constituting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through the input unit 110.
  •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esture input unit for detecting a user gesture, a touch input unit for detecting a touch, and a microphone for detecting a voice input to detect a user input.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20 that communicates with another vehicle 510, a terminal 600, a server 500, and the like.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and / or traffic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of the parking lot from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 the parking lot may be a parking lot provided in an apartment complex, a large shopping mall, a large mart and a commercial building, and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a server for parking management of the parking lot.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or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in a wireless manner.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exchange data with the vehicle 700 equipped wit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various data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or NFC are possible.
  •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planned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700 to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based on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Can be.
  •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before the parking of the vehicle 700, the information on each parking zone for the parking lot existing in the building in which the vehicle 700 enters, and the information on each parking zone
  • the parking space may have already been occupied by another vehicle within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an empty space may be included.
  •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after the parking of the vehicle 70 is completed, may include actual parked position information, parking time information and vehicle abnormal state information.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30 that receives vehicle-related data or transmits a signal processed or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to the outside.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and / or sensor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 the interface unit 13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770, the AVN device 400, the sensor unit 760, etc. in the vehicle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b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770 AVN device 400 and / or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770 or the sensor unit 760.
  • the sensor information includes direction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acceleration information, tilt information, forward / reverse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front and rear vehicl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lane, and turn signals of the vehicle 700.
  •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 the sensor information may include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a position module, a vehicle forward / reverse sensor, a wheel sensor, a vehicle speed sensor, It may be obtained from a vehicle body tilt sensor, a battery sensor, a fuel sensor, a tire sensor, a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a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sensor, a vehicle interior humidity sensor, and the like.
  • the position module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of the vehicle 700.
  •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720 of the vehicle 700 or through the control unit 770. That is, when the input unit is disposed in the vehicle itself, the user input may b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 the user input may include visited vehicle information for reservation of a visited vehicle, input information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for setting a parking position when the vehicle is parked, and the like.
  • the memory 140 may store various data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170.
  • the memory 140 may be hardware, and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and the like.
  • the memory 140 may store an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700 on whic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is mounted.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not shown) for capturing an interior image of the vehicle.
  • the monitoring unit may detect and obtain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 Such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of a user, fingerprint information, finger-iris information, iris-scan information, retina-scan information, hand geo-metry information, and facial recognition (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and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That is, the monitor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a state of the vehicle 700 in whic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is mounted, and controls an operation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 the camera 160 may include an internal camera to obtain 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inside the vehicle.
  • the camera 160 may be provided at various locations outside the vehicle.
  • the plurality of cameras 16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the rear side, the right side, the front side, and the ceiling of the vehicle, respectively.
  • the left camera may be disposed in a case surrounding the left side mirror.
  • the left camer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surrounding the left side mirror.
  • the left camera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utside the left front door, the left rear door, or the left fender.
  • the right camera may be disposed in a case surrounding the righ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right camera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surrounding the righ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right camera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utside the right front door, the right rear door, or the right fendere.
  • the rear camera may be arranged near the rear license plate or the trunk switch.
  • the front camera may be arranged near the emblem or near the radiator grille.
  • the processor 170 may synthesize an image photographed from all directions and provide an around view image of the vehicle viewed from the top view.
  • an around view image a boundary portion between each image area occurs. This boundary portion may be naturally displayed by image blending.
  • the ceiling camera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vehicle to photograph both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 the camera 160 may directl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 the camera 160 may proces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rocess the still image or the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extract necessary image information, and transfer the extracted image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170.
  • the display unit 180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the user.
  •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For example, when the parking assistance function by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is executed, the UI (User Interface) or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parking lot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vehicle 700 has entered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18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and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 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8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80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body.
  • Two or more display units 180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 the display unit 180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 the display unit 180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device.
  • the touch sensor may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80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80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of the touch but also the pressure and capacitance at the touch.
  • the touch controlle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processor 170.
  • the processor 170 may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is touched.
  • the processor 17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touch input of the user based on the area, the pressure, and the capacitance during the touch. 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may distinguish a user's finger touch, fingernail touch, finger node touch, and multi-touch using a plurality of fingers.
  • the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cover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a contact sensor.
  • the proximity sensor examples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 the touch screen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refers to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stored in the memory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performed by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receive the external power and the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rocessor 17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run an application program. Further, the processor 17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rocessor 17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processors ( 170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170, and an electrical unit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processors 170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170, and an electrical unit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the processor 17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700 has approached the entrance gate of the parking lot of the specific building, and activates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if the vehicle 700 has approached the entrance gate.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is normally maintained in an inactive state and may be activated as the processor 170 detects that the vehicle 700 has entered the parking lot entrance gate.
  • the processor 170 communicates with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accordingly, the vehicle 700 controls the entrance gate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You can detect that you have approached.
  •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as the vehicle 700 approaches the entrance gate, and includes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A visible light signal is output.
  •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may include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700. That is,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may include a unique ID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ehicles, for example, may be the vehicle number as described above.
  • the processor 170 may output the information of the visited vehicle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own vehicle through the visible light.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may output not only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700 but also a visible light signal including reservation information for reservation of the visited vehicle.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outputs a visible light signal at regular intervals even aft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comple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identification ID.
  • the visible light signal output at each predetermined period is f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to be obtained through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constituting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
  • the processor 170 selectively displays a parking position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700.
  • a parking reserved seat designated for the vehicle 700 may exist in the parking lot, and the reserved seat may not exist. Accordingly, if the reserved seat is present, the parking position setting screen will not be displayed, and if the reserved seat does not exist, the parking position setting screen will be displayed.
  • the processor 170 receives the par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through the fraud communication unit 120 and displays the received parking information.
  • the processor 170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set planned parking position to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 the information on the planned parking posi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visible light signal by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 the information on the planned parking posi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registering the vehicle ID of the vehicle 700 in whic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is mounted in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To this end, the processor 170 receives an identification ID of the vehicle 700 through the input unit 110, transmit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D to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The identification ID can be registered.
  • the processor 170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and accordingly a registration permission signal of the identification ID is received from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 the identification ID may be transmit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 the processor 170 transmits genera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700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D. It is desirable to.
  • the vehicle information is output in the visible light spectrum.
  • the visible light emitted by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has a spectral wavelength band of 400 to 700 nm. Accordingly,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dims and emits light of the wavelength band accor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may include a visible light receiver 151 and a visible light transmitter 152.
  • the visible light receiver 151 may include a light receiver 1511, an amplifier 1512, an A / D converter 1513, and a demodulator 1514.
  • the visible light receiver 152 may include a light emitter 1521, an illumination driver 1522, an A / D converter 1523, and a modulator 1524.
  • the light emitting unit 1521 may include a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or fluorescent lamps.
  • the light emitting unit 1521 may be any one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provided in the vehicle 700.
  • the light emitting unit 1521 may include a front lamp including a day running light (DRL), a position lamp (PSTN), a turn signal lamp (TSL), and the like, and a stop lamp and a tail lamp of the vehicle 700.
  • the rear combination lamp may include any one of a turn signal lamp, a reverse lamp, a fog lamp, and the like.
  • the modulator 1524 receives the data and modulates the received data.
  • the data may be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that is, a unique ID of the vehicle 700.
  • the modulator 1524 may store a unique ID of the vehicle 700 and modulate the stored unique ID.
  • the A / D converter 1523 is an analog-digital converter and converts data modulated by the modulator 1524.
  • the modulator 1524 may further include a dimming unit, and the dimming unit may receive a dimming signal from the outside and process the same.
  • the illumination driver 1522 generates an illumination driving signal for outputting a visible light signal according to the modulated data according to the processed dimming signal.
  • the lighting driver 1522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unit 1521, and the control signal turns the light emitting unit 1521 on-off according to the modulated data. It may be a power pulse signal to make.
  • the visible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1521 is loaded with the unique I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 / off time and on / off order.
  • the light receiver 1511 may be an opto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light and outputs the received light as an electrical signal by photoelectric conversion.
  • the light receiver 1511 may be implemented as a photodiode.
  •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1511 includes not only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but also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gnal.
  • the amplifier 1512 amplifie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through the light receiver 1511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to a level that can be processed (recognized) by the demodulator 1514.
  • the A / D converter 1513 converts the amplified signal into a signal recognizable by the demodulator 1514.
  • the demodulator 1514 de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code modulated by a modulator of a transmitting device that transmits a visible light signal.
  • 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illustrated in FIG. 1
  •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gate management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7
  • FIG. 9 is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light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7. It is a figure
  •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2nd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gate management device 210, a first lighting device 220, a second lighting device 230, and a server 240.
  • the gate management device 21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and manages the entrance and exit vehicle.
  • the gate management device 210 receives a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from a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more specifically, a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obtains an ID of the entered vehicle from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do.
  • the gate management apparatus 210 verifies whether the acquired vehicle ID is a pre-registered ID and authenticates the acquired vehicle ID.
  • the gate management device 210 permits entry of the vehicle when authent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is normally performed, and restricts entry of the vehicle when the authentication is abnormally performed.
  • the gate management device 210 includes a parking ticket issuing unit 211, a camera unit 212,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213, an automatic breaker 214, and an information output unit 215.
  • the parking ticket issuing unit 211 issues a parking ticket for allowing entry into the parking lot for the unregistered vehicle.
  • the parking ticket issuing unit 211 is provided for passing a gate of a vehicle in which an identification ID is not registered in a vehicle or a server 240 having no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 the camera unit 212 is optionally provided in the gate management device 210, and is provided to enhance vehicle authentication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213.
  • the camera unit 212 photographs a vehicle entering the gator, and obtains an identification ID from the captured image.
  • the identification ID obtained through the camera unit 212 may be a vehicle number recognized from a vehicle license plat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213 receives the visible light output from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vehicle 700 and acquires an identification ID carried in the received visible light.
  • An automatic breaker 214 is provided to permit vehicle entry or vehicle entry into the gate.
  •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15 output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authentication result.
  •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15 may output authentication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ID.
  •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15 may output information on the precautions in the parking lot.
  • the information output unit 215 may output the ID of the authenticated vehicle.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is installed on a driving path of the vehicle 700 in a parking lot to guide driving of the vehicle.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may simply be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may be a lighting device hav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may be a light hav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driving path that the vehicle may drive in the parking lot.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may be selectively turned off to guid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700 in the parking lot. For example, when the scheduled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700 entering the gate is set,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existing on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planned parking position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movement path may be turned off.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may receive a visible light signal from the vehicle 700 passing through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ransmit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to the server 240.
  •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may detect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and transmit the detected visible light signal to the server 240.
  •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is installed in each individual parking area in a parking lot and manages a vehicle parked in each individual parking area.
  •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obtains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and periodically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to the server 240. That is,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periodically acquir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th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and whether the parked vehicle is abnormal, and transmits the obtained information to the server 240.
  •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may selectively receive only the visible light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signal strength or more in order to receive only the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existing in the parking area.
  • the server 240 controls the gate management device 210,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and the gate management device 210,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and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 the parking of the vehicle 700 is controlled by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230.
  • the server 240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vehicle 700 that wants to enter the gat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D obtained through the gate management apparatus 210, and whether the vehicle 700 is allowed to enter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Determine.
  • the server 240 guides the driving of the vehicle 700 to the parking reserved seat. That is, the server 240 checks at least one first lighting device 220 present in the driving line of the vehicle 70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and the identified first lighting device. Only 220 is on.
  • the server 240 receives the scheduled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700 and guides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the predetermined parking scheduled position.
  • the server 240 determines whether to allow gate entry of an unregistered vehicle entering later using the reservation information.
  • the server 240 when the vehicle 700 is parked in a specific parking area, the server 240 periodically receives par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through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installed in the parked specific parking area. Then, the received parking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 the server 240 may transmit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that is previously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700. In addition, the server 240 may transmit the parking state information to the smart home device 300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700.
  • the server 24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entered vehicle to the smart home device 300 register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700.
  • the lamp by ob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lamp with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to perform the parking management of the vehicle, it is unnecessary to use a sensor or wire cable for controlling the parking of the vehicle. Therefore, i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thus enabling more efficient parking management.
  • the parking guidance of the vehicle by sequentially driving the lights included in the moving line to the designated parking area or the selected parking area of the in-vehicle vehicle, the parking guidance of the vehicle more efficiently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You can.
  •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by providing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with information of an unregistered vehicle using a lamp provided in the registered vehicl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erform a visit reservation for the visited vehicle.
  • a separate sensor by receiving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lamp of the vehicle, and driving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ata, a separate sensor It is possible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without driving, thereby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by driving only the lighting disposed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lamp of the vehicle to store the mov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lot, it may be generated later in the parking lot by using the moving copper traffic information. You can prepare for a variety of situations.
  • 11 to 2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park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 and receive mutual identification IDs, and accordingly, transmit the ID of the vehicle 700 in which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is installed to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Register (step 11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When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detects that the vehicle 700 enters the gate (step 120),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activates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and registers the device through the activat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The visible light signal for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D is output (step 13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a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to obtain an identification ID (step 14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obtained identification ID to check whether the identification ID is a registered ID or an unregistered ID (step 15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authent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is norm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ID.
  •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allows the vehicle 700 to enter, if authent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D is normally performed (step 17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700 may transmit not only its own identification ID, but also other vehicle IDs to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That is,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70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visited vehicle to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in order to make a reservation for the visited vehicle.
  •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visit the visited vehicle.
  • the reservation signal for the reservation of the transmission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step 220).
  • the reserv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100, and alternatively,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May be sent.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outputs a visible light signal including the visit identification ID for the reservation of the visited vehicle through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operation 230).
  •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receives reservation result information of the visited vehicle according to the output visible light signal from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utilizes the camera unit 212 and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nit 213 of the vehicle entering the gate management apparatus 210.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a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vehicle 700 (operation 31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obtains a first identification ID included in the visible light signal by using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obtains a second identification ID for the entered vehicle through the camera unit 212 (step 33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compares the obtained first identification ID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D.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allows entry of the vehicle 700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ID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D are the same.
  •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may guid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700 entering the parking lot.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detects entry of the vehicle 700 into the parking lot (41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determines whether a reserved seat for the entered vehicle exists.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empty parking space in the parking lot to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700 (operation 43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receives information on a planned parking position from the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10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checks the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present in the moving line between the parking plan position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confirms In operation 450,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is sequentially driven.
  •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checks a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existing in a moving line between the reserved seats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identified first lighting device 220 is sequentially driven (step 460).
  • a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are disposed on a driving path of a parking lot. Then, when the position where the vehicle 700 is to be parked (the reserved seat or the predetermined parking scheduled position, G25 in the drawing) is determined,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is present in the moving line between the determined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are checked.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turns on the first lighting device 222 disposed in the moving copper wir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and the first lighting device disposed outside the moving copper wire. 221 is turned off.
  •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may transmit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vehicle 700 to an external device linked to the entered vehicle, when the entry of the vehicle into the parking lot is detected.
  •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mobile terminal linked to the vehicle 700, or alternatively, may be a smart home device 30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uses an ID of the entered vehicle 700 to link an external device linked to the identification ID, that is, a smart home.
  • Check the device 300 (step 520).
  •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entry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entered vehicle 700 to the identified smart home device 300 (step 530).
  • the entry notification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the smart home device (for example, the device installed in 502) registered vehicle 700 has passed through the entrance gate. It may be information informing.
  • the entranc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vehicle (for example, vehicle B reserved for visit in step 502) that has been visited by the household has passed through the entrance gate. have.
  •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may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actual moving line of the vehicle 700 moving in the parking lot, and may later use the stored information in various ways.
  • the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constituting the parking control device 200 receives the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700, respectively, and receives th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server ( In step 240, the method transmits to step 240.
  • the server 240 checks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by using the recep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 the server 240 checks the actual moving line of the vehicle 700 by using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identified visible light signal (step 630). That is,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disposed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700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lighting devices 220 will appear the highest. Therefore, the server 240 may identify the actual moving line of the vehicle 700 by us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lighting device 220 that receives the visible light signal having the highest reception intensity.
  • the server 240 stores actual moving copper wir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vehicle 700.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individual parking area by using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to obta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obtained vehicle Alternatively, the smart home device 300 may be transmitted.
  • the parking control apparatus 200 may receive a visible light signal transmitted from a vehicle installed in the parking zone through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installed in each individual zone (step 710).
  •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obtains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by using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step 720). That is,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receives a visible light signal from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area, and uses the received visible light signal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f the parked vehicle, the parking time, and whether the vehicle is abnormal. Can be obtained.
  • the server 240 receives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lighting device 230 and transmits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the smart home device 300 (step 730).
  • the transmitted state information may b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regarding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700 is parked, as shown in the A diagram of FIG. 20.
  • the transmitted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parking time information of the parking time and the parking time of the vehicle 700, as shown in FIG. 20B.
  • 21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of FIG. 2.
  •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100 may be included in a vehicle.
  • the vehicl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710, an input unit 720, a sensing unit 760, an output unit 740, a vehicle driver 750, a memory 730, an interface unit 780, a control unit 770, and a power supply unit 790.
  •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may be included.
  • the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etween the vehicle 7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between the vehicle 700 and the external server 510, or between the vehicle 700 and another vehicle 510. It may include a modu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vehicle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711, a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714,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715.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7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broadcast includes a radio broadcast or a TV broadcast.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a vehicle.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in accordance with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and the like.
  • 712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a range including the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may exchange data wirelessly with the external server 51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 traffic information (eg,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510.
  •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using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reless-Fidelity (Wi-Fi),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technologies.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ZigBee
  • Near field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using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reless-Fidelity (Wi-Fi),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ireless USB) technologies.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may form short range wireless networks to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wirelessly.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of a road (for example, a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TPEG))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 the mobile terminal 600 of the user and the vehicle may perform pairing with each other automatically or b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the user.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714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vehicle,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 vehicle may acqui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715 may include an optical transmitter and an optical receiver.
  • the light receiver may convert the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receive information.
  • the light receiver may include a photo diode (PD) for receiving light.
  • Photodiodes can convert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throug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front vehicle.
  • the light emitter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 light emitting diode (LED).
  • the light emitting unit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 the light transmitting unit may emit an optical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frequency.
  •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integrated with a lamp provided in the vehicle.
  •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headlight, a taillight, a brake light, a turn signal, and a vehicle width lamp.
  •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715 may exchange data with another vehicle 520 through optical communication.
  • the input unit 720 may include a driving manipulation unit 721, a camera 195, a microphone 723, and a user input unit 724.
  • the driving operation means 721 receives a user input for driving the vehicle.
  • the driving operation means 721 may include a steering input means 721A, a shift input means 721D, an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and a brake input means 721B.
  • the steering input means 721A receives the heading input of the vehicle from the user.
  • the steering input means 721A is preferably formed in a wheel shape to enable steering input by rotation.
  • the steering input means 721A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 the shift input means 721D receives an input of parking (P), forward, neutral (N), and reverse (R) of the vehicle from the user.
  • the shift input means 721D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lever.
  • the shift input unit 721D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 the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receives an input for accelerating the vehicle from the user.
  • the brake input means 721B receives an input for deceler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user.
  • the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and the brake input means 721B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ped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or the brake input means 721B may be formed as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 the camera 722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 the camera 722 may proces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rocess the still image or the moving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sensor,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fer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770.
  • the vehicle may include a camera 722 for capturing a vehicle front image or a vehicle surrounding image and a monitoring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vehicle.
  • the monitoring unit may acquire an image of the occupant.
  • the monitoring unit may acquire an image for biometrics of the occupant.
  • FIG. 21 illustrates that the monitoring unit and the camera 722 are included in the input unit 720, the camera 722 may be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vehicle assistanc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 the microphone 723 may process an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data.
  • the processed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function being performed in the vehicle.
  • the microphone 723 may convert the user's voice command into electrical data.
  • the converted electrical data may be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770.
  • the camera 722 or the microphone 723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760, not a component included in the input unit 720.
  • the user input unit 724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24, the controller 7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 the user input unit 724 may include a touch input means or a mechanical inp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724 may be disposed in one region of the steering wheel. In this case, the driver may manipulate the user input unit 724 with a finger while holding the steering wheel.
  • the sensing unit 760 senses a signal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 the sensing unit 760 may include a collision sensor, a wheel sensor, a speed sensor, a tilt sensor, a weight sensor,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 the sensing unit 760 may include vehicle collision information,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vehicle forward / reverse information, and battery information.
  • the sensing signal may be acquired for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nal humidity information, and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 the sensing unit 760 in addition to the accelerator pedal sensor, pressure sensor, engine speed sensor (engine speed sensor), air flow sensor (AFS), intake temperature sensor (ATS), water temperature sensor (WTS), throttle
  • the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sensor TPS, a TDC sensor, a crank angle sensor CAS, and the like.
  • the sensing unit 760 may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ng unit.
  •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or detects and acqui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ccupant.
  • Biometric information includes fingerprint information, iris-scan information, retina-scan information, hand geo-metry information,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voice recognition (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ccupant.
  • the monitoring unit and the microphone 723 may operate as a sensor.
  •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ion unit may acquire hand shape information an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ing unit.
  • the output unit 740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ler 770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741, a sound output unit 742, and a haptic output unit 743.
  • the display 741 may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ler 770.
  • the display unit 741 may display vehicle related information.
  •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control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driving guide to the vehicle driver.
  •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current state of a vehicle or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 the display unit 74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the display unit 74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 a touch screen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while functioning as a user input unit 724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user.
  • the display unit 74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741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Using this,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741, the touch sensor may sense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77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sensor.
  •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display unit 741 may include a cluster (cluster)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r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 the cluster can be located on the dashboard. In this case, the driver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luster while keeping the gaze in front of the vehicle.
  • the display unit 741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up display (HUD).
  • HUD head up display
  •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provided in the wind shield.
  • the display unit 741 may include a projection module to output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projected on the wind shield.
  • the sound output unit 742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7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 the sound output unit 742 may include a speaker.
  • the sound output unit 742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724.
  • the haptic output unit 743 generates a tactile output.
  • the haptic output unit 743 may vibrate the steering wheel, the seat belt, and the sea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utput.
  • the vehicle driver 750 may control operations of various vehicles.
  • the vehicle driver 750 includes a power source driver 751, a steering driver 752, a brake driver 753, a lamp driver 754, an air conditioning driver 755, a window driver 756, an airbag driver 757, and a sunroof. It may include a driver 758 and a suspension driver 759.
  • the power source driver 751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n a power source in the vehicle.
  • the power source driver 751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n the engine. Thereby, the output torque of an engine, etc. can be controlled.
  • the power source driver 751 is an engine, the speed of the vehicle may be limited by limiting the engine output torq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70.
  • the power source driver 751 may perform control on the motor. Thereby, the rotation speed, torque, etc. of a motor can be controlled.
  • the steering driver 752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teering apparatus in the vehicle. As a resul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changed.
  • the brake driver 753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brake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 the speed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 disposed on the wheels.
  •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may be adjusted to the left or the right.
  • the lamp driver 754 may control turn on / turn off of a lamp disposed in or outside the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nsity, direction, etc. of the light of the lamp. For example, control of a direction indicator lamp, a brake lamp,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 the air conditioning driver 755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n air cinditioner (not shown) in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 the air conditioner may be operated to control cold air to be supplied into the vehicle.
  • the window driver 756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window apparatus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left and right windows of the side of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 the airbag driver 757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n airbag apparatus in the vehicle. For example, in case of danger, the airbag can be controlled to burst.
  • the sunroof driver 758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nroof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sunroof can be controlled.
  • the suspension driver 759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spension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urvature on the road surface, the suspension device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to be reduced.
  • the memory 7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770.
  • the memory 770 may store basic data for the uni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and input / output data.
  • the memory 790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and the like, in hardware.
  • the memory 730 may store various data for overall vehicle operation,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770.
  • the interface unit 780 may serve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 the interface unit 780 may include a port connectable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through the port.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780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 the interface unit 780 may serve as a path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600.
  • the interface unit 780 provides the mobile terminal 600 with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790. do.
  • the controller 7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 the controller 770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ECU electronice control unit
  • the controller 770 may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according to the execution signal transmission of the vehicle auxiliary apparatus.
  • the controller 770 may be hardware, such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processors (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processo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 the controller 770 may delegate the role of the processor 17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rocessor 170 of the vehicle assistance apparatus may be directly set to the controller 770 of the vehicle. In this embodiment, the vehicle assistance device may be understood to refer to a combination of some components of the vehicle.
  • controller 770 may control the components to transmit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processor 170.
  • the power supply unit 79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70.
  • the power supply unit 770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in the vehicle.
  • the AVN device 400 may exchange data with the controller 770.
  • the controller 770 ma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AVN device 400 or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not shown).
  •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et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map information or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ID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이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에너지 삼아 전기 모터를 돌리는 자동차를 뜻하며,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이 있다.
한편, 최근 운전자, 보행자 등의 안전이나 편의를 위해 지능형 자동차(Smart Vehicle)의 개발이 활발히 되고 있다.
지능형 자동차는 정보기술(IT) 기술을 융합한 최첨단 자동차로 스마트 자동차라고도 한다. 지능형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의 첨단 시스템 도입은 물론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의 연동을 통한 최적의 교통 효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지능형 자동차는 ACC(Adaptive Cruise Control), 장애물 감지, 충돌 감지 또는 경감 장치 등과 같은 안전에 관련된 핵심 기술의 개발로 운전자, 탑승자 만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까지 극대화하는 기술적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요즘 차량의 증가로 인해 많은 사람이 목적지까지 자신이 차를 운전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이로 이내 볼 일을 마칠 때까지 차량을 주차장에 안정되게 주차시켜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므로, 차량의 출입이 많은 백화점, 관공서, 대형 건물 또는 주차용 빌딩과 같은 곳에서는 주차의 요금을 징수하면서 차량의 출입만 통제하는 상태에 있다
즉, 차량의 입구를 통해 진입하여 요금의 징수를 위한 티켓을 운전자가 취하면 차단기를 열어주어 차량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주차를 완료한 차량이 출구로 나오면 기록된 진입 시간에 따라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한 후 요금이 지불된 후 차단기를 열어주어야만 차량의 주차장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는 차량이 주차장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스스로 빈 주차 공간을 찾아서 주차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차를 주차하기 위해 주차장의 내부를 저속으로 주행함으로써 공기의 오염, 시간의 소모 및 좁은 공간에서 차량의 접촉 사고 등 많은 사고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주차 층의 입구와 주차장 블록들의 사이에 안내 인력을 배치하여 주차공간을 안내하고 더 이상의 공간이 없으면 차량의 진입을 차단한 후 다른 주차장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안내 인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빈 공간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차량에 구비된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램프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진입 차량의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주차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미등록된 차량의 방문 예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개별 주차 구역 내의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주차 관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ID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시광 통신부는, 상기 식별 ID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가시광 송신부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싣고 출력되는 가시광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가시광을 복조하여 상기 가시광에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가시광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 관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 관제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된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공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방문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예약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예약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조명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사이드 램프, 스탑 램프, 프런트 램프 및 테일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식별 ID가 포함된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 내에 포함된 식별 ID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식별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주차 예정 위치로 상기 차량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주차 지정석을 상기 주차 예정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 시점에서의 빈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주차 공간 정보를 토대로 수신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 ID를 획득하는 가시광 통신부와, 상기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 게이트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 ID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 ID와 상기 차량 ID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게이트 진입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방문 차량의 차량 ID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로부터 상기 차량 ID를 획득하여 상기 방문 차량의 방문 예약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주행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 및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사이의 주행 동선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명 장치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는, 개별 주차 구역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별 주차 구역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제 2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 2 조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홈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상태 정보는 주차 위치 정보, 주차 시간 정보 및 주차 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실제 이동 동선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세기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실제 이동 동선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진입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토대로 상기 차량과 연계된 스마트 홈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스마트 홈 장치로 상기 차량의 진입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차량 등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 차량 등록을 위한 등록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등록을 진행하며, 상기 등록 정보는, 차량의 식별 ID, 상기 차량의 세대 정보, 상기 차량과 연계된 이동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계된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램프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차량 주차 관제를 위한 센서나 전선 케이블 등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더욱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진입 차량의 지정 주차 구역 또는 선택 주차 구역으로의 이동 동선 내에 포함된 조명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안내를 수행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등록 차량에 구비된 램프를 이용하여 미등록된 차량의 정보를 주차 관리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방문 차량에 대한 방문 예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개별 주차 구역 내의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차 위치, 주차 시간 및 차량 이상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수신 신호 세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른 조명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센서 없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현 위치에 배치된 조명만을 구동시켜 에너지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의 이동 동선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상기 이동 동선 정보를 활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신호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게이트 관리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는 도 2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신호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조작 수단(721A, 721B, 721C, 721D) 및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700)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운전을 보조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차량(700)의 유닛 중 일부의 집합을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치일 때,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각 유닛들 중 일부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 또는 차량(700)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각 유닛들을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차량(700)에 직접 설치된 각 유닛들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700)에 직접 설치된 각 유닛들의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정차시 시동을 오프(off)하는 공회전 제한장치일 수 있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가 시동을 온(on)하는 관점을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가시광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가시광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조명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시광 신호를 송신하는 조명은, 차량(700)에 구비되는 헤드 라이트일 수 있다.
자세히,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가시광 통신 모듈(150), 카메라(16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 보조장치 기능을 온/오프하거나,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가시광 통신 모듈(150)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타차량(510),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또는/및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주차 관제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주차장의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차장은 아파트 단지, 대형 쇼핑몰, 대형 마트 및 상용 빌딩 등에 구비되는 주차장일 수 있으며,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주차장의 주차 관리를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주차 관제 장치(2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700)과도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20)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주차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700)의 주차가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주차장에 대한 각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와, 상기 각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 내에서 타차량에 의해 이미 주차 공간이 점령된 공간과, 비어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70)의 주차가 완료된 이후에는, 실제 주차된 위치 정보, 주차 시간 정보 및 차량 이상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700)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 정보, 차량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700)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700)의 입력부(7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가 차량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방문 차량 정보나, 가시광 통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입력 정보나, 차량의 주차 시에 주차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700)의 식별 ID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정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정보,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700)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700)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카메라(160)는 차량 내부에서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160)는 차량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카메라(160)는, 각각 차량의 좌측, 후방, 우측, 전방 및 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을 탑뷰에서 바라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카메라는 차량의 천장 상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후좌우를 모두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의한 주차 보조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의 주차장 정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 및 정전용량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터치 시의 면적, 압력 및 정전용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손톱 터치, 손가락 마디 터치,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 터치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5)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이 특정 건물의 주차장 입구 게이트로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입구 게이트에 접근하였다면,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시킨다.
즉,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평상 시에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70)에 의해 상기 차량(700)이 주차장 입구 게이트로 진입하였음이 감지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토대로 상기 차량(700)이 상기 입구 게이트에 접근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상기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제어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상기 차량(700)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700)의 정보는 상기 차량(700)의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700)의 정보는 다른 차량들과 구분될 수 있는 고유의 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와 같은 차량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방문 차량의 정보가 입력되면, 자신의 차량의 정보와 함께 상기 방문 차량의 정보도 상기 가시광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는 상기 차량(700)의 식별 ID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상기 식별 ID의 전송에 따라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이후에도 일정 주기마다 가시광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일정 주기마다 출력되는 가시광 신호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를 구성하는 제 1 조명 장치(220) 및 제 2 조명 장치(230)를 통해 상기 차량(700)의 상태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상기 전송된 가시광 신호에 따른 차량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주차장 내에는 상기 차량(700)에 대해 지정된 주차 지정석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은 표시되지 않을 것이고, 상기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이 표시될 것이다.
상기 주차 위치 설정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170)는 사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주차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표시되는 주차 정보를 통해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에 의한 가시광 신호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700)의 차량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입력부(110)를 통해 차량(700)의 식별 ID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상기 식별 ID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식별 ID의 등록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상기 식별 ID의 등록 허용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식별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가 아파트와 같은 주거 건물인 경우, 상기 차량(700)의 운전자의 세대 정보를 상기 식별 ID와 함께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차량 정보는 가시광 스펙트럼 내에 실려 출력된다.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이 방출하는 가시광은 400 내지 700nm 대의 스펙트럼 파장대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상기 파장대의 빛을 상기 차량 정보에 따라 디밍하여 방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가시광 수신부(151) 및 가시광 송신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시광 수신부(151)는 수광부(1511), 증폭부(1512), A/D 컨버터(1513) 및 복조부(15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 수신부(152)는 발광부(1521), 조명 구동부(1522), A/D 컨버터(1523) 및 변조부(1524)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521)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부(1521)는 차량(700)에 구비된 다수의 광원 중 어느 하나의 광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521)는 차량(700)에 구비된 DRL(Day Running Light), PSTN(Position Lamp), TSL(Turn Signal Lamp) 등을 포함하는 프런트 램프와, 스탑 램프, 테일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후진 램프 및 안개등 등을 포함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변조부(1524)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변조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차량(700)의 정보, 다시 말해서 상기 차량(700)의 고유 ID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조부(1524)는 상기 차량(700)의 고유 ID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고유 ID를 변조할 수 있다.
A/D 컨버터(1523)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이며, 상기 변조부(1524)를 통해 변조된 데이터를 컨버팅한다. 이때, 상기 변조부(1524)는 디밍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밍부는 외부로부터 디밍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가공할 수 있다.
조명 구동부(1522)는 상기 가공된 디밍 신호에 따라 상기 변조된 데이터에 따른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명 구동 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명 구동부(1522)는 상기 발광부(1521)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변조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발광부(1521)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1521)를 통해 방출되는 가시광은 온오프 시간, 온오프 순서에 따라 상기와 같은 차량의 고유 ID를 싣고 출력된다.
수광부(1511)는 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빛을 광전변환(photoelectric conversion)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전소자일 수 있다. 여기에서, 수광부(1511)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광부(1511)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신호의 세기 정보뿐 아니라, 신호의 유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증폭부(1512)는 상기 수광부(1511)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복조부(1514)에서 가공 가능한(인식 가능한) 레벨로 변환한다.
A/D 컨버터(1513)는 상기 증폭된 신호를 상기 복조부(1514)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복조부(1514)는 가시광 신호를 송신한 송신장치의 변조부에서 변조한 코드에 따라 상기 전기적 신호를 복조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주차 관제 장치(200)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게이트 관리 장치의 구성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 2 조명 장치의 구성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주차 관제 장치(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게이트 관리 장치(210), 제 1 조명 장치(220), 제 2 조명 장치(230) 및 서버(240)를 포함한다.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며, 출입 차량을 관리한다. 특히,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상기 주차장을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보다 명확하게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로부터 상기 진입한 차량의 ID를 획득한다.
그리고,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상기 획득한 차량의 ID가 기등록된 ID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획득한 차량의 ID를 인증한다.
또한,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차량의 진입을 허가하고, 상기 인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차량의 진입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 관리 장치(210)는 주차권 발행부(211), 카메라부(212), 가시광 통신부(213), 자동 차단기(214) 및 정보 출력부(215)를 포함한다.
주차권 발행부(211)는 미등록 차량에 대한 주차장 내로의 진입 허용을 위한 주차권을 발급한다. 상기 주차권 발행부(211)는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차량 또는 서버(240)에 식별 ID가 미등록된 차량의 게이트 통과를 위해 구비된다.
카메라부(212)는 게이트 관리 장치(210)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가시광 통신부(213)를 통한 차량 인증을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제공된다.
카메라부(212)는 게이터로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식별 ID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획득되는 식별 ID는 상기 촬영한 영상 내에 포함된 차량 번호판으로부터 인식한 차량 번호일 수 있다.
가시광 통신부(213)는 상기 차량(7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내에 실려 있는 식별 ID를 획득한다.
자동 차단기(214)는 게이트 내로의 차량 진입 허용 또는 차량 진입 제한을 위해 구비된다.
정보 출력부(215)는 차량 인증 결과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부(215)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 결과에 따른 인증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215)는 주차장 내에서의 주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215)는 상기 인증한 차량의 ID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조명 장치(220)는 주차장 내에서, 차량(700)의 주행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제 1 조명 장치(220)는 단순히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조명일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주행로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상기 주차장 내에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온 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내로 진입한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서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사이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제 1 조명 장치(220)는 온 되고, 상기 이동 경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0)는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명 장치(220)는 해당 설치 위치를 통과하는 차량(700)으로부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220)는 상기 가시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가시광 신호의 세기를 상기 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조명 장치(230)는 주차장 내에서, 각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각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을 관리한다.
특히, 제 2 조명 장치(230)는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700)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버(240)에 전송한다. 즉, 상기 제 2 조명 장치(230)는 차량의 주차 여부, 차량의 주차 시간 및 주차된 차량의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를 서버(240)에 전송한다.
이때, 제 2 조명 장치(230)는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만을 수신하기 위해, 일정 신호 세기 이상의 가시광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240)는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 제 1 조명 장치(220) 및 제 2 조명 장치(230)를 제어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 제 1 조명 장치(220) 및 제 2 조명 장치(2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700)의 주차를 관제한다.
특히, 서버(240)는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를 통해 획득되는 식별 ID를 토대로 게이트 진입을 원하는 차량(700)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700)의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서버(240)는 게이트 관리 장치(210)의 게이트로 진입된 차량(700)의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주차 지정석으로의 상기 차량(700)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즉, 상기 서버(240)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 중 상기 차량(700)의 주행 동선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 1 조명 장치(220)만이 온 되도록 한다.
또한,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의 주차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받고, 상기 설정받은 주차 예정 위치로의 상기 차량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또한,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으로부터 방문 차량에 대한 예약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추후 진입하는 미등록 차량의 게이트 진입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이 특정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되면, 상기 주차된 특정 주차 구역에 설치된 제 2 조명 장치(230)를 통해 상기 차량(700)의 주차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주차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에 대해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로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에 대해 기등록된 스마트 홈 장치(300)로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40)는 상기 차량(700)이 상기 게이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차량(700)에 대해 기등록된 스마트 홈 장치(300)로 상기 진입한 차량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가시광 통신 기능이 구비된 램프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차량 주차 관제를 위한 센서나 전선 케이블 등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더욱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진입 차량의 지정 주차 구역 또는 선택 주차 구역으로의 이동 동선 내에 포함된 조명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안내를 수행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등록 차량에 구비된 램프를 이용하여 미등록된 차량의 정보를 주차 관리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방문 차량에 대한 방문 예약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가시광 통신 모듈을 통해 각각의 개별 주차 구역 내의 차량 주차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차 위치, 주차 시간 및 차량 이상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통신 데이터의 수신 신호 세기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른 조명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센서 없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현 위치에 배치된 조명만을 구동시켜 에너지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의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가시광 통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의 이동 동선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상기 이동 동선 정보를 활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호 식별 ID를 주고 받으며, 그에 따라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설치된 차량(700)의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에 등록한다(110단계).
그리고,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차량(700)이 게이트로 진입함이 감지되면(120단계),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기등록된 식별 ID에 대한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130단계).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송신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복조하여 식별 ID를 획득한다(140단계).
이후,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획득한 식별 ID의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식별 ID가 기등록된 ID인지, 아니면 등록되지 않은 ID인지를 확인한다(15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60단계).
이후,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면, 상기 차량(700)의 진입을 허용한다(170단계).
한편, 상기 차량(700)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자신의 식별 ID뿐 아니라, 다른 차량의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700)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방문 차량에 대한 예약을 위해, 상기 방문 차량의 식별 ID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700)이 게이트로 진입하면(210단계),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은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예약 신호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한다(220단계). 이때, 상기 예약 신호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듈(150)을 통해 상기 방문 차량의 예약을 위한 방문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한다(230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로부터 상기 출력된 가시광 신호에 따른 방문 차량의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240단계).
한편, 주차 관제 장치(200)는 다른 차량의 ID를 이용한 불법 주차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부(212) 및 상기 가시광 통신부(213)를 활용하여 상기 게이트 관리 장치(210)로 진입하는 차량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700)의 가시광 통신 모듈(150)로부터 송신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다(310단계).
그리고,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신호 내에 포함된 제 1 식별 ID를 획득한다(320단계).
또한, 주차 관제 장치(200)는 카메라부(212)를 통해 상기 진입한 차량에 대한 제 2 식별 ID를 획득한다(33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획득한 제 1 식별 ID와 상기 제 2 식별 ID를 비교한다(340단계).
이후,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제 1 식별 ID와 상기 제 2 식별 ID가 서로 동일하면, 해당 차량(700)의 진입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주차장 내로 진입하는 차량(700)의 주차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로의 차량(700) 진입을 감지한다(41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진입한 차량에 대한 지정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
이후, 상기 차량에 대한 지정석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의 빈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700)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 전송한다(430단계).
그리고,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440단계).
이후,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서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사이의 이동 동선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 1 조명 장치(220)를 순차적으로 구동한다(450단계).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차량(700)의 지정석이 존재하면, 상기 차량의 현 위치에서 상기 지정석 사이의 이동 동선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 1 조명 장치(220)를 순차적으로 구동한다(460단계).
즉, 도 15를 참조하면, 주차장의 주행로에는 다수의 제 1 조명 장치(22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700)이 주차될 위치(지정석 또는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 도면 상에서 G25)가 결정되면,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사기 결정된 위치와 상기 차량의 현 위치 사이의 이동 동선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제 1 조명 장치(220) 중 상기 이동 동선 내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2)를 온 시키고, 상기 이동 동선을 벗어난 곳에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1)는 오프 시킨다.
한편, 상기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진입한 차량에 연동된 외부 기기로 상기 차량(700)의 진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기기는 상기 차량(700)에 연동된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스마트 홈 장치(300)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로 차량(700)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진입한 차량(700)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ID에 연동된 외부 기기, 다시 말해서 스마트 홈 장치(300)를 확인한다(520단계).
그리고, 주차 관제 장치(200)는 상기 스마트 홈 장치(300)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스마트 홈 장치(300)로 상기 진입한 차량(700)에 대한 진입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530단계).
즉, 도 17을 참조하면 (A)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진입 알림 정보는 해당 스마트 홈 장치(예를 들어, 502호에 설치된 장치)에 연계되어 등록된 차량(700)이 입구 게이트를 통과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17의 (B) 도면과 같이, 상기 진입 알림 정보는, 해당 세대에서 방문 예약한 차량(예를 들어, 502호에서 방문 예약한 B 차량)이 입구 게이트를 통과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주차 관제 장치(200)는 주차장 내에서 이동하는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에 상기 저장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차 관제 장치(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제 1 조명 장치(220)는 상기 차량(700)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ㄱ가시광 신호의 수신 상태 정보를 서버(240)에 전송한다(610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240)는 상기 수신되는 가시광 신호의 수신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의 수신 세기를 확인한다(620단계).
이어서, 상기 서버(240)는 상기 확인된 가시광 신호의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을 확인한다(630단계). 즉, 상기 다수의 제 1 조명 장치(220) 중 상기 차량(700)의 현 위치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 1 조명 장치(220)에서 수신되는 가시광 신호의 세기가 가장 높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서버(240)는 가장 높은 수신 세기의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 제 1 조명 장치(220)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240)는 상기 확인된 차량(700)의 실제 이동 동선 정보를 저장한다(640단계).
한편, 본 발명의 주차 관제 장치(200)는 제 2 조명 장치(230)를 이용하여 개별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 홈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9를 참조하면, 주차 관제 장치(200)는 각 개별 구역 내에 설치된 제 2 조명 장치(230)를 통해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설치된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710단계).
이후, 제 2 조명 장치(230)는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720단계). 즉, 상기 제 2 조명 장치(230)는 해당 주차 구역 내에 주차된 차량으로부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시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의 존재 여부, 주차 시간 및 차량의 이상 여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40)는 상기 제 2 조명 장치(230)로부터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 홈 장치(300)로 전송한다(730단계).
즉, 상기 전달되는 상태 정보는 도 20의 A 도면과 같이, 상기 차량(700)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주차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되는 상태 정보는, 도 20의 B 도면과 같이, 상기 차량(700)의 주차 시간 및 상기 주차 시간에 따른 주차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는 도 2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러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차량 보조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7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700)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700)과 타차량(51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는 모니터링부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보조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차량 보조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차량 보조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보조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ID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입구 게이트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부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식별 ID를 포함하는 가시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부는,
    상기 식별 ID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식별 ID를 가시광을 통해 출력하는 조명을 포함하는 가시광 송신부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싣고 출력되는 가시광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가시광을 복조하여 상기 가시광에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를 포함하는 가시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주차 관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주차 관제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된 식별 ID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차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공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방문 차량에 대응하는 차량 예약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예약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ID의 인증이 완료되면, 일정 주기마다 상기 가시광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 획득을 위한 가시광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상태 정보를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사이드 램프, 스탑 램프, 프런트 램프 및 테일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개별 주차 구역 내에 각각 설치되는 주차 관제 장치로 가시광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장 내에서의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 상기 가시광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이동 동선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미등록에 따라, 상기 주차 관제 장치로 차량 등록을 위한 등록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등록 정보는,
    차량의 식별 ID, 상기 차량의 세대 정보, 상기 차량과 연계된 이동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차량과 연계된 스마트 홈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PCT/KR2017/007325 2016-07-07 2017-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WO20180090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42266.4A CN109451760B (zh) 2016-07-07 2017-07-07 车辆驾驶辅助装置及包括该车辆驾驶辅助装置的停车控制系统
US16/307,862 US10909849B2 (en) 2016-07-07 2017-07-07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411A KR102562786B1 (ko) 2016-07-07 2016-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016-0086411 2016-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9038A1 true WO2018009038A1 (ko) 2018-01-11

Family

ID=6091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325 WO2018009038A1 (ko) 2016-07-07 2017-07-07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09849B2 (ko)
KR (1) KR102562786B1 (ko)
CN (1) CN109451760B (ko)
WO (1) WO20180090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5071A (ja) * 2018-08-28 2020-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システム
US20200279196A1 (en) * 2018-01-10 2020-09-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ing Space Lock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923B1 (ko) * 2017-09-26 2022-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간구분방식 정차제어방법 및 차량
WO2019220254A1 (en) * 2018-05-14 2019-11-21 Gentex Corporation Vehicle control module for smart home control system
CN109547752B (zh) * 2019-01-15 2023-06-30 上海钧正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与光学通信相结合的单车停放监测系统及方法
JP7096783B2 (ja) * 2019-03-15 2022-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218330B2 (en) 2019-03-25 2022-01-04 Micron Technology, Inc. Generating an identity for a computing device using a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US11233650B2 (en) 2019-03-25 2022-01-25 Micron Technology, Inc. Verifying identity of a vehicle entering a trust zone
US11361660B2 (en) 2019-03-25 2022-06-14 Micron Technology, Inc. Verifying identity of an emergency vehicle during operation
US11323275B2 (en) 2019-03-25 2022-05-03 Micron Technology, Inc. Verification of identity using a secret key
CN112147569A (zh) * 2019-06-28 2020-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车辆定位方法、装置和车辆定位系统
KR20210087579A (ko) * 2019-12-31 2021-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 발렛 주차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인프라 및 차량
EP3852078A1 (en) * 2020-01-17 2021-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localizing one or more parked vehicles in a parking area
DE102020203102A1 (de) * 2020-03-11 2021-09-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beleuchteten Route für ein sich auf einem Weg bewegendes Objekt
JP2021162959A (ja) * 2020-03-30 2021-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容領域管理装置
KR102338643B1 (ko) * 2020-07-07 2021-12-16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운전자 보조 방법
CN112995911B (zh) * 2021-03-05 2023-05-05 浙江万里学院 基于可见光通信的智慧物流定位方法
DE102021117744A1 (de) * 2021-07-09 2023-01-12 Cariad Se Selbstlokalisierung eines Fahrzeugs basierend auf einer initialen Po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371A (ko) * 2009-12-28 2011-07-06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가시광 통신장치,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터널 내 차량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1555A (ko) * 2011-05-25 2012-12-05 (주)에스아이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40027574A (ko) * 2012-07-06 2014-03-07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087524A (ko) * 2012-12-31 2014-07-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KR20140121499A (ko) * 2013-03-29 2014-10-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주차유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791A (en) * 1975-08-12 1977-05-24 Kilo Corporatio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US4207468A (en) * 1976-07-27 1980-06-10 Kilo Corporatio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US4665395A (en) * 1984-12-14 1987-05-12 Ness Bradford O Van Automatic access control system for vehicles
JP2543235B2 (ja) * 1990-06-29 1996-10-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cカ―ドアダプタ
US6476715B1 (en) * 2001-05-15 2002-11-05 Nick Bromer Land vehicle identification by flickering lamps
JP2008149771A (ja) 2006-12-14 2008-07-03 Fujifilm Corp 車両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09015452A (ja) 2007-07-02 2009-01-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通信装置
EP2026097A1 (en) * 2007-08-08 2009-02-1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illumination system
WO2009079779A1 (en) * 2007-12-21 2009-07-02 Leddartech Inc.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ing system
JP2010241311A (ja) 2009-04-07 2010-10-28 Fujitsu Ten Ltd 車両情報送信装置、車両情報送信システムおよび車両情報送信方法
US20120284209A1 (en) * 2011-05-03 2012-11-08 Douglas Duffy Rfid controlled parking system
KR101266815B1 (ko) 2011-05-17 2013-05-22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을 이용한 차량 주행간격 검지장치
KR20140118441A (ko) 2013-03-29 2014-10-08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주차 가이드 장치
KR20140121500A (ko) 2013-03-29 2014-10-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주차유도 시스템
US20150170517A1 (en) * 2013-12-12 2015-06-18 Chen Yan Vehicle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 guidance for indicating floor vacant vehicular parking dock
US9354067B2 (en) * 2013-12-18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or devices for aligning a movement path with an indoor routing graph
CN105513409A (zh) * 2015-10-19 2016-04-20 李秋实 基于可见光通信的室内停车场导引方法及系统
CN105355050A (zh) * 2015-11-20 2016-02-24 福州市智聚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新一代光通讯技术物联网车辆管理系统
CN105471981A (zh) * 2015-11-20 2016-04-06 福州市智聚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新一代光通讯技术的车辆物联网管理方法
JP2018088193A (ja) * 2016-11-29 2018-06-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対象識別システム、駐車場装置及び自動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5371A (ko) * 2009-12-28 2011-07-06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가시광 통신장치,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터널 내 차량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1555A (ko) * 2011-05-25 2012-12-05 (주)에스아이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40027574A (ko) * 2012-07-06 2014-03-07 주식회사 아이디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차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087524A (ko) * 2012-12-31 2014-07-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KR20140121499A (ko) * 2013-03-29 2014-10-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주차유도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79196A1 (en) * 2018-01-10 2020-09-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ing Space Lock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Service
US11790283B2 (en) * 2018-01-10 2023-10-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ing space lock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service
JP2020035071A (ja) * 2018-08-28 2020-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システム
JP7163669B2 (ja) 2018-08-28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86B1 (ko) 2023-08-03
US20190213883A1 (en) 2019-07-11
US10909849B2 (en) 2021-02-02
CN109451760A (zh) 2019-03-08
KR20180005993A (ko) 2018-01-17
CN109451760B (zh)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9038A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WO2017061653A1 (ko)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WO2017150768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8070583A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8066741A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8030580A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7022881A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8088651A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7094952A1 (ko) 차량 외부 알람방법, 이를 실행하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7003052A1 (ko) 차량 운전 보조 방법 및 차량
WO2017115916A1 (ko)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8131949A1 (ko) 어라운드뷰 제공장치
WO2017119541A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9221390A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WO2017030240A1 (ko) 차량 보조 장치 및 차량
WO2018088647A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WO2017104888A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WO2018110762A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WO2018110789A1 (en) Vehicle controlling technology
WO2020204213A1 (ko) 음성 인터렉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WO2020235714A1 (ko) 자율 주행 차량과 이를 이용한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9151575A1 (ko) 차량 단말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운송 시스템의 제어방법
WO2021157760A1 (ko)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WO2019108003A1 (ko) 카메라 보정 방법 및 장치
WO2017171124A1 (ko) 외장형 모듈 및 이와 연결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24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245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