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897A -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897A
KR20180004897A KR1020160084563A KR20160084563A KR20180004897A KR 20180004897 A KR20180004897 A KR 20180004897A KR 1020160084563 A KR1020160084563 A KR 1020160084563A KR 20160084563 A KR20160084563 A KR 20160084563A KR 20180004897 A KR20180004897 A KR 2018000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washer
washer fluid
display
wash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667B1 (ko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6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K2350/352
    • B60K2350/9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워셔액 부족을 알리는 경보가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러스터에서 워셔액 부족 경보를 표시함에 있어 워셔액 부족에 대한 최초 1회의 경보만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사용자가 워셔액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점에만 다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alarm display of vehicle cluster}
본 발명은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셔액 부족을 알리는 경보가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클러스터는 차량속도, 엔진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 출력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사용자가 워셔액 보충이 필요한 시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워셔액리저버내 잔존 워셔액이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디스플레이부에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워셔액리저버에 설치된 워셔액 레벨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워셔액 부족을 판단하게 되며, 워셔액 부족을 진단 시 디스플레이부에 워셔액 부족 경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런데, 주행중 차량의 자세 변경 및 흔들림 등에 의해 워셔액 레벨센서의 워셔액 수위 검출이 불안정한 경우, 워셔액 부족을 알리는 로우 워셔(Low Washer) 경보 표시가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온/오프 되며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빈번한 경보 표시가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집중력을 분산시켜 운전하는데 불편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클러스터에서 워셔액 부족 경보를 표시함에 있어 워셔액 부족에 대한 최초 1회의 경보만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사용자가 워셔액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점에만 다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시동 온(On) 이후 최초 감지한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1회만 표시하는 제1단계; 상기 경보를 1회 발생한 이후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의 재표시를 차단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은,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면 경보 재표시 차단을 해제하고, 이후 워셔액 부족을 다시 감지하면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재표시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워셔액 부족 경보의 발생에 따른 경보 표시 플래그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을 기억함으로써 경보의 재표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워셔액스위치의 작동 시 워셔액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요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워셔액스위치의 작동 시 워셔액 부족 경보의 발생에 따른 경보 표시 플래그를 리셋하여 이후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경보 표시 플래그의 리셋 이후 워셔액 부족이 재감지되어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한 후에는, 다시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기 전까지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 재표시를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경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의 시동 온(On) 이후 워셔액 부족 상태가 검출된 최초 1회의 경보만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만 선택적으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경보 발생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클러스터는 각종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 출력 등에 관련된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클러스터에서 워셔액 레벨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워셔액 부족 경보를 표시함에 있어, 워셔액 레벨센서의 불안정한 수위 검출 등으로 인해 워셔액 부족 경보를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점에만 적절하게 워셔액 부족 경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클러스터의 제어부에서는 차량의 시동 온(ON) 이후 워셔액 레벨센서가 감지한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최초 1회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워셔액 레벨센서는 워셔액리저버의 잔존 워셔액 수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워셔액 레벨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하이/로우)에 기초하여 워셔액 부족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워셔액리저버내 잔존 워셔액이 일정 수위 이하이면 디스플레이부에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시동 온(ON) 이후 1회 주행 사이클(driving cycle) 동안 최초 감지된 워셔액 부족만을 알리기 위해 1회만 경보를 표시한다.
제어부는 워셔액 레벨센서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입력받게 되므로, 최초의 워셔액 부족 경보를 발생한 이후 워셔액 레벨센서로부터 하이 신호(워셔액 정상 신호)를 입력받고 다시 로우 신호(워셔액 부족 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또 워셔액 부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워셔액 부족 경보의 재표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최초의 워셔액 부족 경보를 1회 발생한 이후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 표시를 차단한다.
이는 차량 주행상황에서 차량 자세 변경 및 흔들림 등으로 인해 워셔액 레벨센서의 신호가 하이와 로우 값으로 반복해서 변동됨으로 인해 워셔액 부족 경보가 반복 표시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최초의 워셔액 부족을 감지할 때 워셔액 부족 경보를 1회만 일정 시간 동안 표시하고 경보 표시를 종료하며, 워셔액 부족 경보의 발생에 따른 경보 표시 플래그를 이용하여 최초 경보 발생을 기억한다.
상기 경보 표시 플래그는 최초 경보 발생 시 하이(high) 상태가 되어 사용자 요구에 의해 리셋되기 전까지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제어부에서는 최초 경보 발생을 기록 저장하여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보면, 워셔액 레벨센서의 신호는 워셔액 부족 여부에 따라 하이(high)와 로우(low) 상태로 반복적으로 변경되는 반면, 클러스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경보는 최초 1회만 표시되고, 경보 표시 플래그는 최초 워셔액 부족 경보가 표시될 때에 하이 상태로 변경되며 워셔액 레벨센서의 신호 변동에 상관없이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워셔액리저버의 잔존 워셔액 상태(정상/부족)를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 자세 변경 및 흔들림이 완화되어 워셔액 레벨센서의 신호가 안정화된 상황이라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멀티펑션 스위치에 구비된 워셔액스위치가 작동되면, 제어부는 워셔액리저버에 남아있는 워셔액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요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워셔액 부족 경보의 재표시 차단을 해제시킨다.
참고로, 상기 워셔액스위치는 차량의 글래스 상에 워셔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워셔액모터펌프의 구동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제어부는 워셔액 부족 경보의 재표시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경보 표시 플래그를 로우 상태로 리셋(reset)하여 최초 경보 발생의 기록을 삭제함으로써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사용자 의지 및 요구에 따라 경보 재표시 차단을 해제한 이후 워셔액 레벨센서가 다시 워셔액 부족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에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한다.
도 2를 보면, 경보 표시 플래그가 하이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워셔액 레벨센서의 로우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워셔액 부족 경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워셔액스위치 조작에 의해 경보 표시 플래그가 로우 상태로 리셋되어 경보 재표시 차단이 해제된 이후에는 워셔액 레벨센서의 로우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다시 워셔액 부족 경보를 표시한다.
이렇게 워셔액 부족이 재감지되어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한 이후에는, 다시 워셔액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기 전까지 워셔액 부족 경보의 재표시를 차단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을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보면, 먼저 차량의 이그니션 온(Ignition ON) 시 경보 표시 플래그의 발생 여부(혹은 하이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경보 표시 플래그가 워셔액 부족 경보를 표시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로우 상태일 때, 워셔액 부족을 나타내는 워셔액 레벨센서의 로우 신호가 발생하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워셔액 부족 경보를 표시하고, 경보 표시 시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워셔액 부족 경보의 표시를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경보 표시 플래그가 하이 상태일 때, 즉 차량의 이그니션 온 이후 워셔액 부족 경보가 이미 1회 발생하여 기억된 경우, 사용자가 워셔액 상태 정보를 재확인하기 위해 워셔액스위치를 온(ON)으로 작동시키면 경보 표시 플래그가 로우 상태로 리셋되어 경보 재표시 차단이 해제되고, 워셔액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사용자 요구가 없는 상황이므로 경보 재표시 차단이 지속되어 워셔액 레벨센서의 로우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워셔액 부족 경보가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시동 온(ON) 이후 워셔액 부족 경보 발생 시 최초의 1회 경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경보 표시 플래그를 사용하여 경보가 이미 발생한 상황임을 기록 저장함으로써 워셔액 부족을 감지한 워셔액 레벨센서의 로우 신호가 재입력되더라도 경보 재표시를 차단하고, 이후 사용자의 능동적인 요구에 의해 경보 재표시 차단이 해제되면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자세 변경 및 진동 등으로 인해 워셔액 레벨센서의 신호가 불안정하여 하이와 로우 상태로 빈번하게 변동되는 경우, 워셔액 부족 경보가 반복적으로 온/오프 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워셔액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때에만 적절하게 워셔액 부족 경보가 재표시되므로, 사용자 만족도가 증대되고 상품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 장치 청구항 추가시
워셔액 레벨센서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Claims (6)

  1. 차량의 시동 온(On) 이후 최초 감지한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1회만 표시하는 제1단계;
    상기 경보를 1회 발생한 이후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의 재표시를 차단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워셔액 부족 경보의 발생에 따른 경보 표시 플래그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을 기억함으로써 경보의 재표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면 경보 재표시 차단을 해제하고, 이후 워셔액 부족을 다시 감지하면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를 재표시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워셔액스위치의 작동 시 워셔액 상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요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워셔액스위치의 작동 시 워셔액 부족 경보의 발생에 따른 경보 표시 플래그를 리셋하여 이후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보 표시 플래그의 리셋 이후 워셔액 부족이 재감지되어 워셔액 부족 경보를 재표시한 후에는, 다시 사용자 요구가 입력되기 전까지 워셔액 부족을 알리기 위한 경보 재표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KR1020160084563A 2016-07-05 2016-07-05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KR10244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63A KR102440667B1 (ko) 2016-07-05 2016-07-05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63A KR102440667B1 (ko) 2016-07-05 2016-07-05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897A true KR20180004897A (ko) 2018-01-15
KR102440667B1 KR102440667B1 (ko) 2022-09-05

Family

ID=6100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563A KR102440667B1 (ko) 2016-07-05 2016-07-05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6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8046B2 (ja) * 1988-02-23 1997-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警報表示装置
JP2005145217A (ja) * 2003-11-14 2005-06-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表示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KR20050096214A (ko) * 2004-03-29 2005-10-05 신재근 차량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JP2006275877A (ja) * 2005-03-30 2006-10-12 Fuji Heavy Ind Ltd 液量残量検出装置
JP2008014866A (ja) * 2006-07-07 2008-01-24 Asmo Co Ltd 液位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8046B2 (ja) * 1988-02-23 1997-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警報表示装置
JP2005145217A (ja) * 2003-11-14 2005-06-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表示装置及び車両周辺監視装置
KR20050096214A (ko) * 2004-03-29 2005-10-05 신재근 차량의 비상상황 경보장치
JP2006275877A (ja) * 2005-03-30 2006-10-12 Fuji Heavy Ind Ltd 液量残量検出装置
JP2008014866A (ja) * 2006-07-07 2008-01-24 Asmo Co Ltd 液位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667B1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3604B2 (ja) エコランシステム、エコラン制御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306719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方法
US20130194099A1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US7698057B2 (en) Map display control apparatus, program product theref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vehicle navigation apparatus
JP2012246844A (ja) エンジン自動停止システム
US20190094036A1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10949404B (zh) 警示方法及装置、中控设备、存储介质及系统
CN107298104B (zh) 换挡杆的控制方法和系统
JP4596910B2 (ja) 車両情報表示装置
KR20180004897A (ko) 자동차 클러스터의 워셔액 부족 경보 표시 제어 방법
US11673532B2 (en) Automatic camera washer deactivation
JP6241646B2 (ja) 車載バッテリ情報表示装置
US6940401B2 (en) Customizable low fuel indicator system
JP4513976B2 (ja) 車両の点検整備時期警報装置
JP2005022615A (ja) 警告情報表示装置
JP2011131883A (ja) エコランシステム、エコラン制御装置
JP7314631B2 (ja) 車両用装置
US73927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fuel level
JP2009184470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KR101062720B1 (ko) 자동차 순간 연비 표시 방법
JP3931376B2 (ja) 車両用燃料計
JP5619411B2 (ja) 車室内二酸化炭素濃度警報装置
JP7314632B2 (ja) 車両用装置
JP2005352816A (ja) 車両用情報提示装置および車両用情報提示方法
JP2006038620A (ja) 車両用残燃料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