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19A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419A
KR20180003419A KR1020170057538A KR20170057538A KR20180003419A KR 20180003419 A KR20180003419 A KR 20180003419A KR 1020170057538 A KR1020170057538 A KR 1020170057538A KR 20170057538 A KR20170057538 A KR 20170057538A KR 20180003419 A KR20180003419 A KR 2018000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face
region
uniform
transi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166B1 (ko
Inventor
나루히로 미즈타니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63B53/0412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63B53/0462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characterised by tapering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8Golf club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obtaining a variable impact
    • A63B2053/0408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63B53/0425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the face insert compris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9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고반발 영역이 넓고 페이스부의 내구성이 높은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헤드(2)는 페이스부(4)를 갖고 있다. 페이스부(4)는,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S1, S2)과,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R1, R2, R3)을 갖고 있다.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이, 제1 균일 영역(S1)과, 이 제1 균일 영역(S1)보다 얇은 제2 균일 영역(S2)을 갖고 있다. 제1 균일 영역(S1)과 제2 균일 영역(S2) 사이에,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R1, R2, R3)이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의 사이에서 두께 변화율이 상이하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발명은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 헤드로서, 우드형, 아이언형, 유틸리티형 등이 알려져 있다. 어느 타입의 헤드도 페이스부를 갖는다. 페이스부는 타격면을 그 외면으로 하는 부분이다.
미국 특허 공개 공보 US2010/0234135는, 페이스부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과 경사부를 갖는 우드형 골프 클럽 헤드를 개시한다. 제1 영역은 최대의 두께를 가지며, 제2 영역은 최소의 두께를 가지며, 경사부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공개 공보 US2010/0234135
반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휘어짐을 크게 하는 것이 좋고, 이 관점에서는, 페이스부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페이스부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성을 높이면서 고반발 영역을 넓히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반발 영역이 넓고 또한 페이스부의 내구성이 높은 골프 클럽 헤드의 제공에 있다.
바람직한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부를 갖고 있다. 상기 페이스부는,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과,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을 갖고 있다.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이, 제1 균일 영역과, 이 제1 균일 영역보다 얇은 제2 균일 영역을 갖고 있다. 상기 제1 균일 영역과 상기 제2 균일 영역 사이에,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두께 이행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두께 이행 영역의 사이에서 두께 변화율이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기 두께 이행 영역의 두께가, 상기 제1 균일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균일 영역으로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균일 영역이, 복수의 상기 균일 두께 영역 중의 가장 두꺼운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균일 영역이 페이스 센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균일 영역의 두께가 TS1(mm)이고, 상기 제2 균일 영역의 두께가 TS2(mm)이다. 바람직하게는, TS2/TS1이 0.6 이하이다.
상기 제1 균일 영역의 면적이 MS1(㎟)이고, 상기 제2 균일 영역의 면적이 MS2(㎟)이고, 상기 페이스부의 외면을 구성하는 페이스면의 전체 면적이 Mf1(㎟)이다. 바람직하게는, MS1/Mf1이 0.2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MS2/Mf1이 0.08 이상이다.
상기 페이스부의 중량이 Wf1(g)이고, 상기 페이스부의 외면을 구성하는 페이스면의 전체 면적이 Mf1(㎟)이다. 바람직하게는, Wf1/Mf1이 0.0112(g/㎟) 이하이다.
상기 페이스부가, 복합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Wf1/Mf1이 0.0105(g/㎟) 이하이다.
고반발 영역이 넓고 또한 페이스의 내구성이 높은 골프 클럽 헤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페이스 윤곽선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프 클럽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두께 분포의 개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두께 분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기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적절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골프 클럽 헤드(2)를 나타낸다. 헤드(2)는, 페이스부(4), 크라운부(6), 소울부(8) 및 호젤부(10)를 갖는다. 또한 헤드(2)는 사이드부(12)를 갖는다. 사이드부(12)는 스커트부라고도 칭해진다. 사이드부(12)는, 크라운부(6)와 소울부(8)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페이스부(4)의 외면은 페이스면(f1)(타격면)이다. 또, 페이스면(f1)에는 스코어라인홈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스코어라인홈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페이스면(f1)은, 외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이다. 페이스면(f1)은, 페이스 벌지와 페이스 롤을 갖는다. 헤드(2)는 우드형 골프 클럽 헤드이다. 헤드(2)는 드라이버 헤드(1번 우드)이다.
헤드(2)는 중공 형상 헤드이다. 페이스부(4)의 내면(도시되지 않음)은 페이스 이면이라고도 칭해진다. 이 페이스 이면은 헤드(2)의 중공부에 면해 있다.
〔용어의 정의〕
본원에서의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기준 상태]
기준 상태란, 소정의 라이각 및 로프트각으로 헤드가 수평면(HP) 상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 기준 상태에서는, 헤드의 샤프트 구멍의 중심축선(Z)(샤프트축선(Z))이 기준 수직면(VP)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기준 수직면(VP)은 수평면(HP)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다. 소정의 라이각 및 로프트각은, 예컨대 제품 카타로그에 기재되어 있다.
[토우-힐 방향]
상기 기준 상태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수직면(VP)과 상기 수평면(HP)의 교선의 방향이 토우-힐 방향이다.
[페이스-백 방향]
상기 토우-힐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상기 수평면(HP)에 평행한 방향이 페이스-백 방향이다. 페이스-백 방향은 전후 방향이기도 하다. 페이스측은 전방측이라고도 칭해진다.
[상하 방향]
상기 토우-힐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고 또한 상기 페이스-백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페이스 센터(Fc)]
우선, 상하 방향 및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 페이스면의 대략 중앙 부근의 임의의 점(Pr)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이 점(Pr)을 통과하고, 그 점(Pr)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토우-힐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x)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중점(Px)을 통과하고, 그 점(Px)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상하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y)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중점(Py)을 통과하고, 그 점(Py)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토우-힐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x)이 새롭게 결정된다. 다음으로, 이 새로운 중점(Px)을 통과하고, 그 점(Px)에서의 페이스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상하 방향에 평행한 평면이 결정된다. 이 평면과 페이스면의 교선을 그어, 그 중점(Py)이 새롭게 결정된다. 이 공정을 반복하여 Px 및 Py가 순차적으로 결정된다. 이 공정을 반복하는 가운데, 새로운 중점(Py)과 그 직전의 중점(Py) 사이의 거리가 최초로 1 mm 이하가 되었을 때의 그 새로운 위치(Py)(최후의 위치(Py))가 페이스 센터(Fc)이다.
[평면 투영도]
페이스면(f1)을 정면에서 봤을 때의 평면도가 평면 투영도라고 칭해진다. 이 평면 투영도는, 페이스면(f1)을 특정 평면에 투영한 투영도이다. 이 투영의 방향은, 페이스 센터(Fc)에서의 페이스면(f1)의 법선의 방향이다. 상기 특정 평면은 이 법선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이다.
[평면 투영도의 적용]
이하에 기재된 면적 MS1, MS2, Mf1 등 본원에 기재된 면적은, 상기 평면 투영도에 있어서 측정된다. 이하에 나타내는 각 영역의 형상(타원형 등)은 상기 평면 투영도에서의 형상이다. 또한, 각 영역의 위치 및 형상에 관한 사항(중심점, 타원의 장축 및 단축, 도심, 영역끼리의 위치 관계 등)도 상기 평면 투영도에 있어서 판단된다.
[페이스부(4)의 두께]
페이스부(4)의 두께는, 페이스면(f1)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측정된다. 이 페이스부(4)의 두께는, 페이스 두께 또는 단순히 두께라고도 칭해진다. 페이스면(f1)이 곡면인 경우, 페이스면(f1)의 법선 방향은, 페이스면(f1) 상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어떤 점의 페이스 두께는, 그 점에서의 페이스면(f1)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측정된다.
[페이스 윤곽선]
페이스면의 전체 면적 Mf1 등을 결정하기 위해, 페이스 윤곽선이 결정된다. 이 윤곽선의 결정에서는, 페이스 센터(Fc)를 통과하고 또한 페이스-백 방향에 평행한 무수한 평면이 고려된다. 이들 평면은, 페이스 센터(Fc)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무수한 평면이다. 이들 평면이 방사형 단면이라고도 칭해진다. 이들 방사형 단면의 각각에 있어서, 헤드 외면의 곡률 반경이 확인된다. 이 곡률 반경을, 페이스 센터(Fc)로부터 페이스 외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이 곡률 반경이 최초로 200 mm 이하가 된 점이 결정된다. 이 점이, 페이스 윤곽선을 구성하는 점으로 정의된다.
단, 상기 방법에서는 윤곽선을 결정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헤드에 따라서는, 호젤부(10)의 근방에 있어서, 페이스면(f1)의 힐측 상부가 호젤부(10)의 원통부까지 거의 단차없이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방법으로 페이스면(f1)의 윤곽선을 결정할 수 없고, 결과로서, 윤곽선이 도중에 끊어진다. 이 도중에 끊어진 윤곽선은, 다음과 같은 보완 처리에 의해 해소된다.
도 2는, 상기 보완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보완 처리에서는, 우선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도중에 끊어진 윤곽선이 평면에 투영되어, 평면 투영도 상의 윤곽선(CL1)이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투영의 방향은 페이스 센터(Fc)에서의 페이스면(f1)의 법선의 방향이며, 투영면은 상기 특정 평면이다.
이 평면 투영도에 있어서, 2개의 절단 단부(BT1, BT2)의 각각으로부터 연장선이 그려진다. 절단 단부(BT1)로부터 연장선(EX1)이 그려진다. 이 연장선(EX1)은, 윤곽선 상의 3점(P1, P2 및 P3)을 통과하는 원호이다. 점(P1)은, 절단 단부(BT1)로부터의 거리가 1 mm인 점이다. 점(P2)은, 절단 단부(BT1)로부터의 거리가 2 mm인 점이다. 점(P3)은, 절단 단부(BT1)로부터의 거리가 3 mm인 점이다. 마찬가지로, 절단 단부(BT2)로부터 연장선(EX2)이 그려진다. 이 연장선(EX2)은, 윤곽선 상의 3점(P4, P5 및 P6)을 통과하는 원호이다. 점(P4)은, 절단 단부(BT2)로부터의 거리가 1 mm인 점이다. 점(P5)은, 절단 단부(BT2)로부터의 거리가 2 mm인 점이다. 점(P6)은, 절단 단부(BT2)로부터의 거리가 3 mm인 점이다.
그리고, 이들 연장선 EX1과 EX2의 교점(SP1)이 결정된다. 연장선(EX1) 중, 절단 단부(BT1)로부터 교점(SP1)까지의 부분이 제1 보완선이다. 연장선(EX2) 중, 절단 단부(BT2)로부터 교점(SP1)까지의 부분이 제2 보완선이다. 도중에 끊어진 상기 윤곽선에 이들 제1 및 제2 보완선을 가함으로써, 보완된 페이스 윤곽선이 완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완선이 2개이지만, 보완선이 1개인 경우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페이스부의 중량 Wf1]
페이스부의 중량 Wf1의 결정에서는, 헤드의 표면 상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윤곽선이 결정된다. 단, 전술한 보완 처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평면 투영도에 그려진 보완선이 헤드의 표면에 역투영된다. 이 역투영의 방향도, 페이스 센터(Fc)에서의 페이스면(f1)의 법선의 방향이다. 이 페이스 윤곽선을 따라서 헤드가 절단된다. 이 절단의 방향은, 페이스-백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이 절단에 의해 페이스부가 절취된다. 이 절취된 페이스부의 중량이 중량 Wf1로 정의된다. 또, 페이스부가 아닌 것이 분명한 비페이스부가 페이스부와 함께 절취된 경우에는, 그 비페이스부가 제거되어 중량 Wf1이 결정된다.
도 1로 되돌아가면, 도 1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되는 것은, 페이스부(4)의 각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선이다. 이들 구획선은, 페이스부(4)의 두께 분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들 구획선은, 페이스부(4)의 이면에 형성된 능선 및 곡선에 대응할 수 있다. 단, 페이스의 이면을 보더라도 이들 구획선이 시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페이스부(4)는,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으로서, 제1 균일 영역(S1)과 제2 균일 영역(S2)을 갖는다. 제1 균일 영역(S1)은 페이스부(4)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균일 영역(S1)은 페이스 센터(Fc)를 포함한다. 제2 균일 영역(S2)은,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균일 영역(S2)은, 페이스부(4)의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균일 영역(S2)의 윤곽선의 일부는 페이스 윤곽선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종류(3개소)의 균일 두께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3종류 이상의 균일 두께 영역이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3개소 이상에 균일 두께 영역이 설치되어도 좋다. 과도하게 복잡한 두께 분포로 하면, 금형 등의 비용이 증대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균일 두께 영역은 3종 이하가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균일 두께 영역은, 4개소 이하가 바람직하고, 3개소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 분포의 최적화의 관점에서, 균일 두께 영역은 2개소 이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균일 두께 영역의 종류는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두께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종류로 간주된다.
또, 균일 두께 영역에서는 ±0.05 mm의 두께 범위가 허용된다.
제2 균일 영역(S2)은, 토우측 균일 영역(S2t)과 힐측 균일 영역(S2h)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페이스 두께는 힐측 균일 영역(S2h)의 페이스 두께와 동일하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은 제1 균일 영역(S1)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의 일부는, 크라운부(6)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의 일부는, 사이드부(12)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은, 페이스 윤곽선과 토우 윤곽선(L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은, 소울부(8)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을 포함하지 않는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은, 소울부(8)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힐측 균일 영역(S2h)은 제1 균일 영역(S1)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윤곽선의 일부는, 크라운부(6)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윤곽선의 일부는, 사이드부(12)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윤곽선의 일부는, 소울부(8)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윤곽선은, 페이스 윤곽선과 힐 윤곽선(L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도심은, 힐측 균일 영역(S2h)의 도심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도심은, 페이스 센터(Fc)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도심은, 페이스 센터(Fc)보다 하측에 위치해 있다.
본원에서는,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이, 제1 균일 영역과, 이 제1 균일 영역보다 얇은 제2 균일 영역을 갖는다. 제1 균일 영역이,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 중의 가장 두꺼운 영역(최고 두께부)이어도 좋다. 제2 균일 영역이,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 중의 가장 얇은 영역(최소 두께부)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균일 영역(S1)이 최고 두께부이고, 제2 균일 영역(S2)이 최소 두께부이다.
또,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이 3종의 두께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즉,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이, 최고 두께부와, 이 최고 두께부보다 얇은 중간 두께부와, 이 중간 두께부보다 얇은 최소 두께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이, 4종 이상의 두께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2 균일 영역이 제1 균일 영역보다 얇다고 하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한, 어느 영역이 제1 균일 영역이어도 좋고, 어느 영역이 제2 균일 영역이어도 좋다.
헤드(2)는 제1 균일 영역(S1)을 갖는다. 제1 균일 영역(S1)은 페이스 센터(Fc)를 포함한다. 헤드(2)는 제2 균일 영역(S2)을 갖는다. 제2 균일 영역(S2)은 토우측 균일 영역(S2t)과 힐측 균일 영역(S2h)을 갖는다.
제1 균일 영역(S1)의 면적 MS1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균일 영역(S1)은 점이어도 좋다.
페이스부(4)는,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으로서, 제1 이행 영역(R1)과, 제2 이행 영역(R2)과, 제3 이행 영역(R3)을 갖는다. 제1 이행 영역(R1)은 제1 균일 영역(S1)에 인접해 있다. 제1 이행 영역(R1)은 제1 균일 영역(S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이행 영역(R1)의 내측의 윤곽선(L1)은, 제1 균일 영역(S1)의 윤곽선이기도 하다. 이 윤곽선(L1)은 타원형이다. 또, 윤곽선(L1)은 타원이 아니어도 좋다.
또 본원에 있어서 타원형이라고 할 때, 이 타원형은, 진타원에 대한 ±10%의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어떤 진타원 A에 관해, 그 장직경 및 단직경의 길이가 상기 타원 A의 +10%인 타원 B와, 그 장직경 및 단직경의 길이가 상기 타원 A의 -10%인 타원 C가 결정될 수 있다. 이 타원 B와 타원 C 사이에 들어가는 타원형 도형은 타원형이다고 정의된다. 또, 이 경우, 이 타원 B와 타원 C 사이에 들어가는 타원형 도형의 중심은, 상기 타원 A의 중심으로 간주된다. 또한, 이 경우, 이 타원 B와 타원 C 사이에 들어가는 타원형 도형의 장축 및 단축은, 상기 타원 A의 장축 및 단축으로 간주된다.
제1 이행 영역(R1)의 외측의 윤곽선(L2)은 타원형이다. 이 윤곽선(L2)은 상기 윤곽선(L1)과 동심이다. 또 본원에 있어서, 2개의 타원의 중심끼리의 거리가 1 mm 이하인 경우에는, 동심으로 간주된다. 또, 윤곽선(L2)은 타원이 아니어도 좋다.
윤곽선(L2)과 윤곽선(L1) 사이에서, 장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또 본원에 있어서, 2개의 장축이 이루는 각이 3°이하인 경우, 장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고 간주된다. 윤곽선(L2)과 윤곽선(L1) 사이에서, 단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또 본원에 있어서, 2개의 단축이 이루는 각이 3°이하인 경우, 단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고 간주된다.
타원인 윤곽선(L1)의 장축은, 힐측으로 갈수록 상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타원인 윤곽선(L2)의 장축은, 힐측으로 갈수록 상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러한 타원의 경사는, 일반적인 타점 분포에 대응한 고반발 영역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윤곽선(L1)의 장축의 길이가 A1이고, 단축의 길이가 B1이다. 최소한의 두께부에서 유효하게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A1/B1은 소정의 범위 내인 것이 좋다. 즉, A1/B1은, 하한으로는, 1.01 이상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한으로는, 3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윤곽선(L2)의 장축의 길이가 A2이고, 단축의 길이가 B2이다. 최소한의 제1 이행 영역(R1)에서 유효하게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A2/B2는 소정의 범위 내인 것이 좋다. 즉, A2/B2는, 하한으로는, 1.01 이상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한으로는, 2.8 이하가 바람직하고, 2.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2 이행 영역(R2)은 제1 이행 영역(R1)에 인접해 있다. 제2 이행 영역(R2)의 윤곽선의 일부는, 제1 이행 영역(R1)의 외측의 윤곽선(L2)이다. 제2 이행 영역(R2)의 윤곽선은, 이 윤곽선(L2)과 윤곽선(L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윤곽선(L3)은 토우 상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이다. 윤곽선(L3)의 양쪽 단부의 각각은 윤곽선(L2) 상에 위치한다.
제2 이행 영역(R2)은, 제1 이행 영역(R1)의 토우측이자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이행 영역(R2)의 도심은, 페이스 센터(Fc)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이행 영역(R2)의 도심은, 페이스 센터(Fc)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제2 이행 영역(R2)의 도심은, 윤곽선(L1)(타원)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이행 영역(R2)의 도심은, 윤곽선(L1)(타원)의 중심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제2 이행 영역(R2)의 도심은, 윤곽선(L2)(타원)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제2 이행 영역(R2)의 도심은, 윤곽선(L2)(타원)의 중심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2 이행 영역(R2)은 일반적인 타점 분포를 고려하고 있어, 페이스부(4)의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3 이행 영역(R3)은, 제1 이행 영역(R1) 및 제2 이행 영역(R2)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이행 영역(R3)의 내측 윤곽선은, 윤곽선(L2) 및 윤곽선(L3)이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페이스부(4)와 크라운부(6)의 경계선이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페이스부(4)와 소울부(8)의 경계선이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토우 윤곽선(L4)이다. 토우 윤곽선(L4)은, 제3 이행 영역(R3)과 토우측 균일 영역(S2t) 사이의 경계선이다. 이 토우 윤곽선(L4)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하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토우 윤곽선(L4)은, 토우 상측(페이스면(f1)의 외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토우 윤곽선(L4)의 힐측(상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크라운부(6)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토우 윤곽선(L4)의 토우측(하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사이드부(12)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토우 윤곽선(L4)의 전체가, 페이스 센터(Fc)보다 토우측에 위치해 있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힐 윤곽선(L5)이다. 힐 윤곽선(L5)은, 제3 이행 영역(R3)과 힐측 균일 영역(S2h) 사이의 경계선이다. 힐 윤곽선(L5)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하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힐 윤곽선(L5)은, 힐 하측(페이스면(f1)의 외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힐 윤곽선(L5)의 힐측(상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크라운부(6)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힐 윤곽선(L5)의 토우측(하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소울부(8)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힐 윤곽선(L5)의 전체가, 페이스 센터(Fc)보다 힐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 윤곽선(L4)에서의 가장 힐측의 점(PL40)은, 힐 윤곽선(L5)에서의 가장 토우측의 점(PL52)보다 토우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 윤곽선(L4)에서의 가장 하측의 점(PL42)은, 힐 윤곽선(L5)에서의 가장 하측의 점(PL52)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 윤곽선(L4)에서의 가장 상측의 점(PL40)은, 힐 윤곽선(L5)에서의 가장 상측의 점(PL50)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토우측 균일 영역(S2t) 및 힐측 균일 영역(S2h)은, 일반적인 타점 분포에 대응한 고반발 영역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제1 이행 영역(R1)에서는 페이스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제1 균일 영역(S1)과 제2 이행 영역(R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이행 영역(R1)의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제2 이행 영역(R2)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또한, 제1 균일 영역(S1)과 제3 이행 영역(R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이행 영역(R1)의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제3 이행 영역(R3)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제2 이행 영역(R2)에서는 페이스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제2 이행 영역(R2)의 두께는, 제1 이행 영역(R1)으로부터 제3 이행 영역(R3)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제3 이행 영역(R3)에서는 페이스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제2 이행 영역(R2)과 토우측 균일 영역(S2t)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3 이행 영역(R3)의 두께는, 제2 이행 영역(R2)으로부터 토우측 균일 영역(S2t)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또한, 제1 이행 영역(R1)과 힐측 균일 영역(S2h)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3 이행 영역(R3)의 두께는, 제1 이행 영역(R1)으로부터 힐측 균일 영역(S2h)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행 영역(R1, R2, R3)의 전부에 있어서, 페이스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페이스부(4)의 둘레 가장자리로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행 영역의 전부에 있어서, 페이스 두께가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페이스부(4)의 둘레 가장자리로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있다.
윤곽선(L1)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2)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3)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4)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5)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페이스부(4)의 이면에는 단차가 없다. 페이스부(4)의 이면의 전체는 단차없이 연속되어 있다. 페이스부(4)에서는, 단차에 기인하는 응력 집중이 방지되어 있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골프 클럽 헤드(20)를 나타낸다. 헤드(20)는, 페이스부(4), 크라운부(6), 소울부(8) 및 호젤부(10)를 갖는다. 또한 헤드(20)는, 사이드부(12)를 갖는다. 사이드부(12)는, 크라운부(6)와 소울부(8)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페이스부(4)의 외면은 페이스면(f1)(타격면)이다. 또, 페이스면(f1)에는 스코어라인홈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스코어라인홈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페이스면(f1)은 외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이다. 페이스면(f1)은 페이스 벌지와 페이스 롤을 갖는다. 헤드(20)는 우드형 골프 클럽 헤드이다. 헤드(20)는 드라이버 헤드(1번 우드)이다.
헤드(20)는 중공 형상 헤드이다. 페이스부(4)의 내면(도시되지 않음)은 페이스 이면이라고도 칭해진다. 이 페이스 이면은 헤드(20)의 중공부에 면해 있다.
도 3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되는 것은, 페이스부(4)의 각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선이다. 이들 구획선은, 페이스부(4)의 두께 분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들 구획선은, 페이스부(4)의 이면에 형성된 능선 및 곡선에 대응할 수 있다.
페이스부(4)는,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으로서, 제1 균일 영역(S1)과 제2 균일 영역(S2)을 갖는다. 제1 균일 영역(S1)은 페이스부(4)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균일 영역(S1)은 페이스 센터(Fc)를 포함한다. 제2 균일 영역(S2)은,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균일 영역(S2)은 페이스부(4)의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균일 영역(S2)의 윤곽선의 일부는 페이스 윤곽선이다.
제2 균일 영역(S2)은, 토우측 균일 영역(S2t)과 힐측 균일 영역(S2h)을 갖는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은, 제1 균일 영역(S1)보다 토우측에 위치한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의 일부는, 크라운부(6)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의 일부는, 사이드부(12)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윤곽선은, 소울부(8)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을 포함하지 않는다.
힐측 균일 영역(S2h)은, 제1 균일 영역(S1)보다 힐측에 위치한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윤곽선의 일부는, 크라운부(6)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윤곽선의 일부는, 사이드부(12)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윤곽선의 일부는, 소울부(8)와 페이스부(4)의 경계선이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도심은, 힐측 균일 영역(S2h)의 도심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도심은, 페이스 센터(Fc)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힐측 균일 영역(S2h)의 도심은, 페이스 센터(Fc)보다 하측에 위치해 있다.
제1 균일 영역(S1)은 최고 두께부이다. 제1 균일 영역(S1)은 페이스 센터(Fc)를 포함한다. 제2 균일 영역(S2)은 최소 두께부이다. 제2 균일 영역(S2)은, 토우측 균일 영역(S2t)과 힐측 균일 영역(S2h)을 갖는다.
페이스부(4)는,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으로서, 제1 이행 영역(R1)과, 제2 이행 영역(R2)과, 제3 이행 영역(R3)을 갖는다. 제1 이행 영역(R1)은 제1 균일 영역(S1)에 인접해 있다. 제1 이행 영역(R1)은 제1 균일 영역(S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이행 영역(R1)의 내측의 윤곽선(L1)은 제1 균일 영역(S1)의 윤곽선이기도 하다. 이 윤곽선(L1)은 타원형이다. 윤곽선(L1)은 타원이 아니어도 좋다.
제1 이행 영역(R1)의 외측의 윤곽선(L2)은 타원형이다. 이 윤곽선(L2)은 상기 윤곽선(L1)과 동심이다. 윤곽선(L2)과 윤곽선(L1) 사이에서, 장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윤곽선(L2)과 윤곽선(L1) 사이에서, 단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윤곽선(L2)은 타원이 아니어도 좋다.
제2 이행 영역(R2)은 제1 이행 영역(R1)에 인접해 있다. 제2 이행 영역(R2)의 내측의 윤곽선은 제1 이행 영역(R1)의 외측의 윤곽선(L2)이다. 제2 이행 영역(R2)은 제1 이행 영역(R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이행 영역(R2)의 외측의 윤곽선은 윤곽선(L3)이다. 제2 이행 영역(R2)의 윤곽선은, 이 윤곽선(L2)과 윤곽선(L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윤곽선(L3)은 타원형이다. 윤곽선(L3)은 타원이 아니어도 좋다.
윤곽선(L3)은 윤곽선(L2)과 동심이다. 윤곽선(L3)과 윤곽선(L2) 사이에서, 장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윤곽선(L3)과 윤곽선(L2) 사이에서, 단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결국, 윤곽선(L3)은, 윤곽선(L1) 및 윤곽선(L2)과 동심이다. 윤곽선(L3)과 윤곽선(L2)과 윤곽선(L1) 사이에서, 장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윤곽선(L3)과 윤곽선(L2)과 윤곽선(L1) 사이에서, 단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타원인 윤곽선(L1)의 장축은, 힐측으로 갈수록 상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타원인 윤곽선(L2)의 장축은, 힐측으로 갈수록 상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타원인 윤곽선(L3)의 장축은, 힐측으로 갈수록 상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러한 타원의 경사는, 일반적인 타점 분포에 대응한 고반발 영역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윤곽선(L3)의 장축의 길이가 A3이고, 단축의 길이가 B3이다. 최소한의 제2 이행 영역(R2)에서 유효하게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A3/B3은 소정의 범위 내인 것이 좋다. 즉, A3/B3은, 하한으로는, 1.01 이상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한으로는, 2.8 이하가 바람직하고, 2.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3 이행 영역(R3)은 제2 이행 영역(R2)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이행 영역(R3)의 내측 윤곽선은 윤곽선(L3)이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페이스부(4)와 크라운부(6)의 경계선이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페이스부(4)와 소울부(8)의 경계선이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토우 윤곽선(L4)이다. 토우 윤곽선(L4)은, 제3 이행 영역(R3)과 토우측 균일 영역(S2t) 사이의 경계선이다. 이 토우 윤곽선(L4)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하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토우 윤곽선(L4)은, 토우 상측(페이스면(f1)의 외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토우 윤곽선(L4)의 힐측(상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크라운부(6)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토우 윤곽선(L4)의 토우측(하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사이드부(12)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토우 윤곽선(L4)의 전체가, 페이스 센터(Fc)보다 토우측에 위치해 있다.
제3 이행 영역(R3)의 외측 윤곽선의 일부는 힐 윤곽선(L5)이다. 힐 윤곽선(L5)은, 제3 이행 영역(R3)과 힐측 균일 영역(S2h) 사이의 경계선이다. 힐 윤곽선(L5)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하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힐 윤곽선(L5)은, 힐 하측(페이스면(f1)의 외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힐 윤곽선(L5)의 힐측(상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크라운부(6)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힐 윤곽선(L5)의 토우측(하측)의 단부는, 페이스부(4)와 소울부(8)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힐 윤곽선(L5)의 전체가, 페이스 센터(Fc)보다 힐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 윤곽선(L4)에서의 가장 힐측의 점(PL40)은, 힐 윤곽선(L5)에서의 가장 토우측의 점(PL52)보다 토우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 윤곽선(L4)에서의 가장 하측의 점(PL42)은, 힐 윤곽선(L5)에서의 가장 하측의 점(PL52)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토우 윤곽선(L4)에서의 가장 상측의 점(PL40)은, 힐 윤곽선(L5)에서의 가장 상측의 점(PL50)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이행 영역(R1)에서는 페이스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제1 이행 영역(R1)의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제2 이행 영역(R2)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제2 이행 영역(R2)에서는 페이스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제2 이행 영역(R2)의 두께는, 제1 이행 영역(R1)으로부터 제3 이행 영역(R3)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제3 이행 영역(R3)에서는 페이스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 제2 이행 영역(R2)과 토우측 균일 영역(S2t)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3 이행 영역(R3)의 두께는, 제2 이행 영역(R2)으로부터 토우측 균일 영역(S2t)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또한, 제2 이행 영역(R2)과 힐측 균일 영역(S2h)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제3 이행 영역(R3)의 두께는, 제2 이행 영역(R2)으로부터 힐측 균일 영역(S2h)을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행 영역(R1, R2, R3)의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페이스부(4)의 주연부로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있다. 복수의 이행 영역(R1, R2, R3)의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제2 균일 영역(S2)으로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있다.
윤곽선(L1)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2)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3)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4)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윤곽선(L5)에 있어서 단차는 없다. 페이스부(4)의 이면에는 단차가 없다. 페이스부(4)의 이면의 전체는 단차없이 연속되어 있다. 페이스부(4)에서는, 단차에 기인하는 응력 집중이 방지되어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이행 영역(R1, R2, R3)의 전부에 있어서, 페이스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페이스부(4)의 둘레 가장자리로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있다. 복수의 이행 영역 중 어느 것에 있어서, 페이스 두께는,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페이스부(4)의 둘레 가장자리로 향함에 따라서 증가하고 있어도 좋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두께 이행 영역은 두께 변화율이 상이하다.
[두께 변화율]
전술한 방사형 단면의 각각에 관해, 그 방사형 단면과 상기 특정 평면의 교선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교선을 따르는 방향(특정 교선 방향)의 거리(mm)가 x축이다. 또한, 페이스 두께(mm)가 y축이다. 이들을 x축 및 y축으로 하는 xy 평면이 정의된다. 이 xy 평면에서의 그래프의 기울기가 두께 변화율로 정의된다.
이 xy 평면의 일례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1에는, 페이스 센터(Fc)를 통과하고 또한 제2 이행 영역(R2)을 가로지르는 거리가 가장 긴 횡단선(Lmax)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방사형 단면의 일례로서, 이 횡단선(Lmax)을 따르는 단면이 채용되어 있다. 즉, 도 4의 그래프는, 상기 횡단선(Lmax)을 따르고 있고 또한 페이스-백 방향의 평면(PT)을 단면으로 했을 때의 두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도 4의 그래프에서는, x축과 y축의 사이에서 치수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 도 4의 그래프가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균일 영역(S1)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경사 각도)은,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또한, 제1 균일 영역(S1)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제1 균일 영역(S1)보다 힐측에 있어서,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이 도 4의 그래프가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균일 영역(S1)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제1 이행 영역(R1)의 외측에 인접하여 제2 이행 영역(R2)이 배치되고, 제2 이행 영역(R2)의 외측에 인접하여 제3 이행 영역(R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균일 영역(S1)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경사 각도)은,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또한, 제1 균일 영역(S1)보다 토우측에 있어서,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이 도 4의 그래프가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균일 영역(S1)보다 힐측에 있어서는, 제2 이행 영역(R2)이 존재하지 않고, 제1 이행 영역(R1)의 외측에 인접하여 제3 이행 영역(R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균일 영역(S1)보다 힐측에 있어서,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도 4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되는 것은, 제1 균일 영역(S1)과 제2 균일 영역(S2)(토우측 균일 영역(S2t)) 사이의 두께 변화가 일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가상 두께선(Lk)이다.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작다.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제1 이행 영역(R1)과 제2 이행 영역(R2)의 경계(윤곽선(L2))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작다. 제2 이행 영역(R2)과 제3 이행 영역(R3)의 경계(윤곽선(L3))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크다.
도 4의 실시형태에서는, 윤곽선(L2)에서의 두께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작다. 이 얇은 두께에 의해, 반발 성능이 높아진다. 또한, 제1 이행 영역(R1)에서는, 단차가 아니라 서서히 두께를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페이스부(4)의 내구성은 유지되어 있다.
제2 이행 영역(R2)에서는 두께 변화율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가 억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페이스부(4)의 내구성은 유지되어 있다.
제3 이행 영역(R3)에서는, 단차가 아니라 서서히 두께를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유지된다. 덧붙여, 가상 두께선(Lk)에 비교해서 두께 변화율이 크기 때문에, 윤곽선(L3)에서의 두께를 확보하여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토우 윤곽선(L4)에서의 두께가 억제되어, 고반발 영역이 확대되어 있다.
도 5의 (a), (b) 및 (c)은, 변형예의 두께 분포를 나타낸다. 이 도 5도, 상기 평면(PT)을 단면으로 하는 두께 분포이다.
도 5의 (a)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작다.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작다. 제1 이행 영역(R1)과 제2 이행 영역(R2)의 경계(윤곽선(L2))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작다. 제2 이행 영역(R2)과 제3 이행 영역(R3)의 경계(윤곽선(L3))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작다.
이 도 5의 (a)에서는, 이행부에서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얇기 때문에, 고반발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이행부의 전체에 걸쳐 두께는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급격한 변화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반발 성능이 안정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도 5의 (b)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작다.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제1 이행 영역(R1)과 제2 이행 영역(R2)의 경계(윤곽선(L2))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크다. 제2 이행 영역(R2)과 제3 이행 영역(R3)의 경계(윤곽선(L3))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크다.
이 도 5의 (b)에서는, 이행부에서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두껍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행부의 전체에 걸쳐 두께는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의 급격한 변화가 억제되고, 안정적인 반발 성능이 발휘된다.
도 5의 (c)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행 영역(R1)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작다. 제2 이행 영역(R2)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크다. 제3 이행 영역(R3)에서의 두께 변화율은 가상 두께선(Lk)의 두께 변화율보다 작다. 제1 이행 영역(R1)과 제2 이행 영역(R2)의 경계(윤곽선(L2))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크다. 제2 이행 영역(R2)과 제3 이행 영역(R3)의 경계(윤곽선(L3))에서의 두께는, 가상 두께선(Lk)의 두께보다 작다.
이 도 5의 (c)에서는, 제1 균일 영역(S1)에 가까운 영역이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제1 균일 영역(S1)으로부터 비교적 먼 영역이 비교적 얇기 때문에 고반발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두께는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도 우수하다.
타격시에 있어서의 페이스부의 변형은 복잡하다. 고반발 영역을 확대하면서 페이스부의 내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다 정밀한 두께 분포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두께 변화율이 상이한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을 인접시키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두께 이행 영역에 있어서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다. 또한, 두께 이행 영역 내에서 두께 변화율에 차이를 부여함으로써, 두께 분포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져, 보다 정밀한 두께 설계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페이스면(f1)의 면적 Mf1, 페이스면(f1)의 재질, 페이스면(f1)의 형상 등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미묘하게 변화하는 페이스부(4)의 응력 분포에 대응하여, 정밀한 두께 설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두께 이행 영역을 연속하여 배치함으로써, 두께의 급격한 변화가 억제됨과 함께, 두께에 의존하는 반발 성능의 급격한 변화도 억제된다. 따라서, 타점에 기인하는 비거리의 차가 적은 안정된 비거리가 실현된다.
두께 분포의 최적화의 관점에서, 제1 균일 영역(S1)과 제2 균일 영역(S2) 사이에 2개 이상의 두께 이행 영역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균일 영역(S1)과 제2 균일 영역(S2) 사이에 3개의 두께 이행 영역(R1, R2, R3)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는, 제1 균일 영역(S1)의 두께가 TS1(mm)이고, 제2 균일 영역(S2)의 두께가 TS2(mm)이다. 내구성과 반발 성능의 양립의 관점에서, TS2/TS1은, 0.6 이하가 바람직하고, 0.5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구성과 반발 성능의 양립의 관점에서, TS2/TS1은 지나치게 작아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 관점에서 TS2/TS1은, 0.3 이상이 바람직하고, 0.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4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제1 균일 영역(S1)의 두께 TS1은, 3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3.1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2 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35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두께 TS1은 3.4 mm이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제1 균일 영역(S1)의 두께 TS1은, 4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8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7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6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제2 균일 영역(S2)의 두께 TS2는, 2.2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2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9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5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균일 영역(S2)의 두께 TS2는 1.8 mm이다. 즉,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두께는 1.8 mm이다. 또한, 힐측 균일 영역(S2h)의 두께는 1.8 mm이다.
본원에 있어서, 제1 균일 영역(S1)의 면적이 MS1(㎟)이고, 제2 균일 영역(S2)의 면적이 MS2(㎟)이고, 페이스면(f1)의 전체 면적이 Mf1(㎟)이다. 또,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면적 MS2는, 토우측 균일 영역(S2t)의 면적과 힐측 균일 영역(S2h)의 면적의 합계이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MS1/Mf1은, 0.2 이하가 바람직하고, 0.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MS1/Mf1은, 0.05 이상이 바람직하고, 0.07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8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MS2/Mf1은, 0.08 이상이 바람직하고, 0.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MS2/Mf1은,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0.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면적 MS1은, 8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6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면적 MS1은, 40 ㎟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면적 MS2는, 3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4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8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면적 MS2는, 20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8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6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면적 Mf1은, 37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8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90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룰로 정해진 헤드 체적의 상한을 고려하면, 면적 Mf1은, 50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6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4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페이스부(4)의 중량이 Wf1(g)이고, 페이스면(f1)의 전체 면적이 Mf1(㎟)이다. Wf1/Mf1은 페이스부(4)의 단위면적당 중량이다.
페이스부(4)의 경량화에 의해 헤드(2)가 경량화될 수 있다. 헤드(2)의 경량화는 헤드 스피드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페이스부(4)의 경량화에 의해 잉여 중량이 확보되기 때문에, 헤드(2)의 중량 배분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한 정밀한 두께 설계에 의해, 페이스부(4)의 평균 두께를 실질적으로 억제하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Wf1/Mf1은, 0.0114(g/㎟)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113(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12(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Wf1/Mf1은, 0.001(g/㎟)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105(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11(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은, 페이스 중량 Wf1을 저하시키면서 반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관점에서, Wf1은, 48.5(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8(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7.5(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Wf1은, 44(g) 이상이 바람직하고, 44.5(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5(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페이스부(4)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페이스부(4)의 재질로서, 금속 및 복합 재료가 예시된다. 복합 재료로서, CFRP(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예시된다. 금속으로서, 순티타늄,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텅스텐-니켈 합금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이 예시된다. 스테인리스강으로서, SUS630 및 SUS304가 예시된다. 스테인리스강의 구체예로서, CUSTOM450(카펜터사 제조)이 예시된다. 티타늄 합금으로서, α 티타늄, αβ 티타늄 및 β 티타늄을 들 수 있다. α 티타늄으로서, 예컨대 Ti-5Al-2.5Sn, Ti-8Al-1V-1Mo를 들 수 있다. αβ 티타늄으로서, 예컨대 Ti-6Al-4V, Ti-6Al-2Sn-4Zr-6Mo, Ti-6Al-6V-2Sn 및 Ti-4.5Al-3V-2Fe-2Mo를 들 수 있다. β 티타늄으로서, 예컨대 Ti-15V-3Cr-3Sn-3Al, Ti-20V-4Al-1Sn, Ti-22V-4Al, Ti-15Mo-2.7Nb-3Al-0.2Si 및 Ti-16V-4Sn-3Al-3Nb를 들 수 있다. 순티타늄으로서, 공업용 순티타늄이 예시된다. 이 공업용 순티타늄으로서, 일본 공업 규격에서 규정되는 1종 순티타늄, 2종 순티타늄, 3종 순티타늄 및 4종 순티타늄이 예시된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티타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페이스부(4)의 재질은, 페이스부(4) 이외의 부분의 재질과 상이해도 좋다. 페이스부(4)의 재질은, 페이스부(4) 이외의 부분의 재질과 동일해도 좋다. 페이스부(4)와 페이스부(4) 이외의 부분(헤드 본체부 등)이 따로따로 성형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용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재료(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는 비강도가 우수하다. 페이스부(4)의 재질이 복합 재료인 경우, Wf1/Mf1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Wf1/Mf1은, 0.0105(g/㎟)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04(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03(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페이스부(4)의 재질이 복합 재료인 경우의 Wf1/Mf1은, 0.009(g/㎟)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93(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95(g/㎟)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페이스 센터(Fc)의 근방은, 가장 휘어지기 쉽고 또한 타점이 되는 빈도가 높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제1 균일 영역(S1)의 도심과 페이스 센터(Fc)의 거리는 작은 편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1 균일 영역(S1)의 도심과 페이스 센터(Fc)의 거리는, 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4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거리는 0 mm이어도 좋다.
헤드의 타입은 한정되지 않고, 우드형, 하이브리드형(유틸리티형), 아이언형, 퍼터형 등이 예시된다. 비거리가 중시되는 우드형 및 하이브리드형이 바람직하고, 우드형이보다 바람직하다. 동일한 관점에서, 중공 형상 헤드가 바람직하다.
헤드 체적이 큰 경우, 페이스면(f1)의 면적 Mf1이 큰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헤드 체적은, 1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룰의 관점에서, 헤드 체적은 470 ㎤ 이하가 바람직하다.
강도의 관점에서, 헤드 중량은 175 g 이상이 바람직하고, 18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85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이스부(4)의 경량성에 의해, 헤드 중량의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특히 1번 우드의 헤드에 있어서는, 헤드 중량은, 20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195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9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헤드의 일례는 드라이버 헤드이다. 드라이버란, 1번 우드(W#1)를 의미한다. 드라이버는 페이스부(4)의 면적 Mf1이 크기 때문에,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통상, 드라이버용 헤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a) 곡면의 페이스면(페이스 벌지 및 페이스 롤을 갖는 페이스면)
(1b) 중공부
(1c) 300 cc 이상 460 cc 이하의 체적
(1d) 7도 이상 14도 이하의 리얼 로프트
바람직한 헤드의 다른 예는, 페어웨이 우드이다. 페어웨이 우드도 비교적 큰 면적 Mf1을 갖는다. 페어웨이 우드로서, 3번 우드(W#3), 4번 우드(W#4), 5번 우드(W#5), 7번 우드(W#7), 9번 우드(W#9), 11번 우드(W#11) 및 13번 우드(W#13)가 예시된다. 통상, 페어웨이 우드용 헤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2a) 곡면의 페이스면(페이스 벌지 및 페이스 롤을 갖는 페이스면)
(2b) 중공부
(2c) 100 cc 이상 300 cc 미만의 체적
(2d) 14도보다 크고 33도 이하의 리얼 로프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어웨이 우드의 헤드 체적은 100 cc 이상 200 cc 이하이다.
바람직한 헤드의 또 다른 예는, 유틸리티형 헤드(하이브리드형 헤드)이다. 유틸리티형 헤드도 비교적 큰 면적 Mf1을 갖는다. 통상, 유틸리티형 헤드(하이브리드형 헤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3a) 곡면의 페이스면(페이스 벌지 및 페이스 롤을 갖는 페이스면)
(3b) 중공부
(3c) 100 cc 이상 200 cc 이하의 체적
(3d) 15도 이상 33도 이하의 리얼 로프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틸리티형 헤드(하이브리드형 헤드)의 체적은 100 cc 이상 150 cc 이하이다.
본 발명은, 중공 형상 구조를 갖는 아이언 헤드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공 형상 구조를 갖는 퍼터 헤드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드형 헤드, 유틸리티형 헤드, 하이브리드형 헤드 등 모든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될 수 있다.
2 : 골프 클럽 헤드
4 : 페이스부
6 : 크라운부
8 : 소울부
10 : 호젤부
12 : 사이드부
L1, L2, L3, L4, L5 : 페이스부의 영역을 구획하는 경계선
Fc : 페이스 센터
S1 : 제1 균일 영역(균일 두께 영역)
S2 : 제2 균일 영역(균일 두께 영역)
S2h : 힐측 균일 영역(균일 두께 영역)
S2t : 토우측 균일 영역(균일 두께 영역)
R1 : 제1 이행 영역(두께 이행 영역)
R2 : 제2 이행 영역(두께 이행 영역)
R3 : 제3 이행 영역(두께 이행 영역)

Claims (8)

  1. 페이스부를 갖고 있고,
    상기 페이스부가, 복수의 균일 두께 영역과, 복수의 두께 이행 영역을 갖고 있고,
    복수의 상기 균일 두께 영역이, 제1 균일 영역과, 이 제1 균일 영역보다 얇은 제2 균일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균일 영역과 상기 제2 균일 영역 사이에,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두께 이행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두께 이행 영역의 사이에서 두께 변화율이 상이한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두께 이행 영역의 두께가, 상기 제1 균일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균일 영역으로 향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골프 클럽 헤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균일 영역이, 복수의 상기 균일 두께 영역 중의 가장 두꺼운 영역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균일 영역이 페이스 센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균일 영역의 두께가 TS1(mm)이고, 상기 제2 균일 영역의 두께가 TS2(mm)일 때, TS2/TS1이 0.6 이하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균일 영역의 면적이 MS1(㎟)이고, 상기 제2 균일 영역의 면적이 MS2(㎟)이고, 상기 페이스부의 외면을 구성하는 페이스면의 전체 면적이 Mf1(㎟)일 때, MS1/Mf1이 0.20 이하이고, MS2/Mf1이 0.08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의 중량이 Wf1(g)이고, 상기 페이스부의 외면을 구성하는 페이스면의 전체 면적이 Mf1(㎟)일 때, Wf1/Mf1이 0.0112(g/㎟) 이하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가 복합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Wf1/Mf1이 0.0105(g/㎟) 이하인 골프 클럽 헤드.
KR1020170057538A 2016-06-30 2017-05-08 골프 클럽 헤드 KR102351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0219 2016-06-30
JP2016130219A JP6911292B2 (ja) 2016-06-30 2016-06-30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19A true KR20180003419A (ko) 2018-01-09
KR102351166B1 KR102351166B1 (ko) 2022-01-14

Family

ID=6080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538A KR102351166B1 (ko) 2016-06-30 2017-05-08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7163B2 (ko)
JP (1) JP6911292B2 (ko)
KR (1) KR102351166B1 (ko)
CN (1) CN1075515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317A (ko) * 2020-03-24 2021-10-05 애쿠쉬네트캄파니 개선된 가변 두께 타격 페이스를 갖춘 골프 클럽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2040A1 (en) * 2015-05-12 2016-11-17 Nike, Inc. Golf club head with selectively detachable face
US11850479B2 (en) 2017-05-05 2023-12-2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Variable thickness face plate for a golf club head
KR20240012616A (ko) * 2017-05-05 2024-01-29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골프 클럽 헤드를 위한 가변 두께 페이스 플레이트
US11701557B2 (en) 2017-08-10 2023-07-18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US10874915B2 (en) 2017-08-10 2020-12-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JP7000918B2 (ja) * 2018-02-28 2022-01-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433011B2 (ja) * 2018-10-16 2024-02-19 テイラー メイド ゴルフ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40A (ja) * 2001-02-20 2002-08-27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6212092A (ja) * 2005-02-01 2006-08-17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34135A1 (en) 2004-11-25 2010-09-16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475B2 (en) * 2001-07-03 2004-11-30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7347794B2 (en) * 2004-03-17 2008-03-2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face plate for a golf club head
JP5238628B2 (ja) * 2009-06-30 2013-07-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11019708A (ja) * 2009-07-15 2011-02-03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1136043A (ja) * 2009-12-28 2011-07-14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956246B2 (en) * 2010-12-20 2015-02-17 Acushnet Company Striking face of a golf club head
JP5823121B2 (ja) * 2010-12-28 2015-1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40A (ja) * 2001-02-20 2002-08-27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00234135A1 (en) 2004-11-25 2010-09-16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club head
JP2006212092A (ja) * 2005-02-01 2006-08-17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317A (ko) * 2020-03-24 2021-10-05 애쿠쉬네트캄파니 개선된 가변 두께 타격 페이스를 갖춘 골프 클럽 헤드
US11679314B2 (en) 2020-03-24 2023-06-20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variable thickness striking 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07163B2 (en) 2019-02-19
JP2018000437A (ja) 2018-01-11
CN107551503B (zh) 2021-07-23
US20180001158A1 (en) 2018-01-04
CN107551503A (zh) 2018-01-09
KR102351166B1 (ko) 2022-01-14
JP6911292B2 (ja)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419A (ko) 골프 클럽 헤드
JP463234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45179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37829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98950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JP545118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889348B2 (en) Golf club head
JPH11155981A (ja) ウッド形ゴルフクラブ
JP2013027587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906111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498684B2 (en) Golf club head
WO2014061560A1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273346B2 (en) Golf club head
JP5095687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1010761A (ja) ゴルフクラブ
JP2016026557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16151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249257B2 (ja) ゴルフクラブ
JP578759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及びゴルフクラブ
JP2010005312A (ja) ゴルフクラブ
JP6000393B1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
JP5928643B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3047676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群
JP7034671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22173897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