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421A -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 Google Patents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421A
KR20180000421A KR1020160078359A KR20160078359A KR20180000421A KR 20180000421 A KR20180000421 A KR 20180000421A KR 1020160078359 A KR1020160078359 A KR 1020160078359A KR 20160078359 A KR20160078359 A KR 20160078359A KR 20180000421 A KR20180000421 A KR 20180000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ub
output
ga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421A/ko
Publication of KR2018000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유닛; 상기 버너 유닛와 밸브 유닛을 연결하며,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배관; 상기 밸브 유닛은, 솔레노이브 밸브로 구성되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와 동일 구조를 가지며, 병렬 배치되는 서브 밸브; 상기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매니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의 온오프 조합에 의해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 Gas cooker and valve unit for gas cooker }
본 발명은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조리기기란,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가스 조리기기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스 조리기기는 외부에 구비되는 노브의 조작에 의해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염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리를 위한 화력을 조절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28172호에는 노브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되는 기계식 밸브가 구비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화력의 조절을 위해 상기 노브를 회전시키고, 노브와 결합된 밸브의 축이 회전하여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상기 노브 조작에 따라 연소를 위해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버너의 화력을 조절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밸브는 기계식 밸브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버튼 또는 터치 타입의 조작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식 밸브를 사용하여 가스공급량을 조절하는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전자식 밸브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조합으로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여 버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유닛; 상기 버너 유닛와 밸브 유닛을 연결하며,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배관; 상기 밸브 유닛은, 솔레노이브 밸브로 구성되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와 동일 구조를 가지며, 병렬 배치되는 서브 밸브; 상기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매니폴더를 포함하며,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의 온오프 조합에 의해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니폴더에는,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메인 출력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출력 유로와 동일 내경을 가지며, 상기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서브 출력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는 상기 메인 토출 유로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유로가 형성되는 조절 노즐이 삽입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밸브 및 이에 대응하는 서브 출력 유로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 구비되는 복수의 조절 노즐은 그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버너 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버너 유닛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밸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밸브 유닛의 동작을 조절하는 터치 또는 버튼방식의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며,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은, 솔레노이브 밸브로 구성되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와 동일 구조를 가지며, 병렬 배치되는 서브 밸브; 상기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매니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의 온오프 조합에 의해 가스 조리기기의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니 폴더는, 병렬 배치되는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가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일측에 연결되며, 가스를 상기 연결부로 공급하는 유입부; 상기 연결부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서 조절된 유량의 가스를 상기 버너 유닛측으로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향하여 연장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입력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입력 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입력 연결부 내부의 유로를 성형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입력 가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입력 가공홀에는 상기 입력 가공홀을 차폐하는 실링 볼트가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출부에는,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향하여 연장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출력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부에는 상기 입력 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출력 연결부 내부의 출력 유로를 성형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출력 가공홀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력 유로는,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메인 출력 유로와, 상기 메인 출력 유로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서브 출력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는 상기 메인 출력 유로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유로를 가지는 조절 노즐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 노즐은 상기 출력 가공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출력 유로와 상기 출력 가공홀을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 밸브와 조절 노즐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조절 노즐은 서로 다른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 노즐에는 상기 출력 가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부에는 복수의 구속부가 삽입되어 상기 조절 노즐을 지지하는 구속부재가 고정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속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부와 대응하는 구속홀이 개구되며, 상기 구속홀의 사이에는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유출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 노즐은,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1 유로가 형성되는 어퍼 파트와; 상기 출력 가공홀에 수용되는 로어 파트와;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를 연결하며, 상기 유출부의 내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유출부를 연통시키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는 미들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로 다양한 유량의 가스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별도의 추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구조가 간결하게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자식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밸브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기계식 노브 조작외에 버튼 또는 터치 방식의 조작유닛의 구성이 가능하여 전자식 가스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동일 구조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매니 폴더의 내부 구조를 사용하며 전체 구조를 간결하게 함과 동시에, 탈착 가능한 구조의 조절 노즐에 의해 서브 밸브의 제어 유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에 따른 유량 변경이 용이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즉, 요구되는 유량에 따라 상기 유로의 면적을 달리하는 상기 조절 노즐을 탈착에 의해 다양한 모델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장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밸브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밸브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8는 상기 밸브 유닛의 레귤레이팅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밸브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밸브 유닛의 각 동작모드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밸브 유닛의 대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밸브 유닛의 제 1 중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밸브 유닛의 제 2 중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밸브 유닛의 소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밸브 유닛의 소화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밀폐식 버너를 가지는 빌트인 타입의 조리기기에 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버너 타입에 관계없이 가스 유량의 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 가능한 모든 조리기기를 적용 대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의 장착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1)는 싱크장과 같은 가구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조리기기(1)는 상기 싱크장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탑 플레이트(11)에 의해 상기 싱크장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는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조리기기(1)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케이스(12)와 탑 플레이트(11) 그리고 그릴 벤트(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는 판상의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가스 조리기기의 작동을 위한 버너 유닛(30)과 밸브 유닛(50) 등 다수의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2)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1)가 상기 싱크장에 장착되면 상기 싱크장의 개구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케이스(12)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1)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11)가 구비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11)는 상기 가스 조리기기(1)가 싱크장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장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면으로 노츨되어 상기 가스 조리기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11)는 조리를 위한 식품이 안착될 수 있는 평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11)는 세라믹 글라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둘레에는 탑 프레임(111)이 구비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둘레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프레임(111)에는 상기 그릴 벤트(13)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후단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그릴 벤트(13)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벤트(13)는 상기 탑 플레이트(11)에서 다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벤트(13)에는 다수의 벤트 홀(131)이 개구되어 배기가스가 상기 벤트 홀(131)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하방에는 조작 유닛(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20)은 상기 가스 조리기기(1)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 유닛(20)은 터치 방식이 아닌 전자방식의 스위치, 버튼 또는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유닛(20)과 대응하는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 유닛(20)의 조작 부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는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인쇄 또는 필름 부착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상기 조작 유닛(2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11)를 통해서 외부에서 식별이 불가능하지만 별도의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탑 플레이트(11)와 상기 케이스(12)의 결합시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버너 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유닛(30)은 밀폐식 버너로 구성되며 상기 탑 플레이트(11) 하방의 세라믹 적열플레이트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버너 유닛(30) 내측에서 연소가 일어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유닛(3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버너 유닛(30)이 서로 다른 열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2)의 내측에는 가스 배관(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관(40)은 상기 버너 유닛(30)와 밸브 유닛(50)을 연결하여 각각의 상기 버너 유닛(30)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밸브 유닛(50)은 상기 케이스(12)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버너 유닛(30)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버너 유닛(30)과 대응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유닛(50)의 장착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케이스(12) 내부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밸브 유닛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밸브 유닛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5-5'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6-6'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유닛(50)은 전체적으로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 그리고 상기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를 연결하는 매니폴더(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유닛(50)은 하나의 메인 밸브(61)와 상기 메인 밸브(61)와 연결되는 다수의 서브 밸브(62,6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서브 밸브(62,63)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서브 밸브(62,63)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는 상기 조작 유닛(20)의 조작 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조작 유닛(20)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 유닛(50)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버너 유닛(3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는 그 크기와 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 유닛(50)은 동일한 크기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기 매니폴더(70)에 의해 병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유닛(50)은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2)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밸브(61)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메인 밸브(61)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611)와, 상기 바디(6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코일부(612)와 상기 코일부(612)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로드(613)와, 상기 로드(613)의 단부에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 출력 유로(751a)를 개폐하는 포핏(614)과, 상기 로드(613)를 탄성 지지하며 상기 로드(613)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 압축되는 탄성부재(6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611)의 하단은 상기 매니폴더(7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매니폴더(70)의 내측으로 상기 로드(613)의 하단 및 상기 포핏(614)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핏(614)은 승강 되면서 상기 매니폴더(70)의 메인 출력 유로(751a)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밸브(62,63)는 메인 밸브(61)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매니폴더(70)에서의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밸브(62,63)에 의해 상기 매니폴더(70)의 서브 출력 유로(752a,753a)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더(70)는 상기 밸브 유닛(50)이 장착되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71)와, 상기 밸브 유닛(50)의 동작에 따라 조절된 유량의 가스가 배출되는 유출부(73)와 상기 유입부(71) 및 유출부(73)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 유닛(50)이 장착되는 연결부(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입부(71)는 전체적으로 가스의 유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71)는 상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배관(40)과 연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가스 배관(40)과 연결되는 부분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71)의 개구된 단부에는 상기 가스 배관(40)과 연결되기 위한 입구 접속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7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50)을 구성하는 상기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를 가로지르는 직관의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71)에는 상기 메인 밸브(61) 및 서브 밸브(62,63) 각각이 장착되는 위치에 입력 연결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연결부(74)는 상기 밸브 유닛(50)을 구성하는 밸브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등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 연결부(74)는 가스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입력 연결부(74)의 내경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7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입력 연결부(74)를 통해 상기 연결부(72)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연결부(74)와 대응하는 상기 유입부(71)에는 상기 입력 연결부(74) 내부의 유로 가공을 위한 입력 가공홀(7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가공홀(712)에는 상기 제 1 실링 볼트(713)가 체결되어 상기 입력부의 성형 후 상기 입력 가공홀(712)을 차폐한다.
상기 연결부(72)는 상기 메인 밸브(61) 및 서브 밸브(62,63)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 밸브(61) 및 서브 밸브(62,63)의 상기 바디(611) 하단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2)는 상기 메인 밸브(61) 및 서브 밸브(62,63)의 포핏(614)과, 탄성부재(615) 그리고 로드(613)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의 저면에는 출력 유로(751a,752a,753a)가 개구된다. 이때, 상기 출력 유로(751a,752a,753a)는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유로(751a,752a,753a)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부(72)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7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721)는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로드(61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포핏(614)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721)의 내경은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테두리부(721)에 의해 상기 출력 유로(751a,752a,753a)의 상단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노즐(81,82)의 상단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내경(D1)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상기 출력 연결부(75)는 모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밸브(61)에 의해 개폐되는 메인 출력 연결부(751)와 상기 서브 밸브(62,63)에 의해 개폐되는 서브 출력 연결부(752,753)는 모두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73)는 상기 다수의 출력 연결부(75)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 연결부(75)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출부(73)는 일측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가스 배관(40)이 연결되는 출구 접속부(7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출부(73)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 배관(40)을 통해서 상기 버너 유닛(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73)는 상기 다수의 출력 연결부(75)가 모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밸브(61) 및 서브 밸브(62,63)를 가로지르는 직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유닛(50)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유입부(71)와 유출부(73)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구 접속부(711)와 출구 접속부(73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출력 연결부(75)와 대응하는 상기 유출부(73)에는 출력 가공홀(7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가공홀(732)은 상기 다수의 출력 연결부(75)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며, 각각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73)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출력 가공홀(732) 중 상기 메인 밸브(61)와 대응하는 위치의 메인 출력 가공홀(732)에는 제 2 실링 볼트(733)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성형 후 상기 메인 출력 가공홀(732)을 막아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출력 가공홀(732) 중 상기 서브 밸브(62,63)와 대응하는 위치의 서브 출력 가공홀(732)의 내측에는 조절 노즐(81,8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노즐(81,82)은 상기 출력 가공홀(732)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내측까지 삽입된다. 상기 조절 노즐(81,82)은 상기 서브 밸브(62,63)의 개방시 통과되는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출력 연결부(75)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실질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절 노즐(81,82)은 상기 출력 가공홀(732)에서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내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출력 가공홀(732)과 출력 연결부(75)의 내측에 접하여 기밀 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 노즐(81,82)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 노즐(81,82)의 후단은 상기 출력 가공홀(732)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조절 노즐(81,82)의 후단은 하나의 구속부재(76)에 의해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재(76)를 관통하여 상기 유출부(73)에 체결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7)에 의해 상기 조절 노즐(81,82)은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상기 조절 노즐(81,82)이 장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조절 노즐(81,82)에 형성되는 제 1 유로(811a,821a)의 내경(D2,D3)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로(811a,821a)의 내경(D2,D3)은 상기 출력 연결부(75)의 내경(D1)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의 개폐의 조합에 따라서 다양한 유량의 가스 공급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 밸브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는 상기 밸브 유닛의 레귤레이팅 노즐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밸브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조절 노즐(81,82)은 상기 출력 가공홀(732)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유출부(73)를 수직하게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 노즐(81,82)의 상부 둘레가 상기 서브 출력 연결부(752,75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서브 출력 유로(752a,753a)를 기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노즐(81,82)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절 노즐(81,82)은 어퍼 파트(811)와 미들 파트(812) 그리고 로어 파트(8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노즐(81,82)이 상기 매니폴더(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811)는 상기 서브 출력 유로(752a,753a)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로어 파트(813)는 상기 출력 가공홀(732)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파트(812)는 상기 유출부(73)의 유로 상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조절 노즐(81,82)은 제 1 유로(811a,821a)의 내경(D2,D3)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조는 모두 동일하며, 따라서 하나의 조절 노즐에 대해서만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어퍼 파트(811)의 상단은 상기 연결부(72)의 바닥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테두리부(721)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811) 중앙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 1 유로(8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811a)는 상기 서브 출력 유로(752a,753a)의 형성 방향과 동일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811)의 상면은 상기 서브 출력 유로(752a,753a)에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파트(811)에는 제 1 유로(811a,821a)의 개구된 상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72) 내부의 가스는 상기 서브 출력 유로(752a,753a) 및 제 1 유로(811a,821a)를 차례로 지나도록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811a,821a)는 상기 미들 파트(81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유로(811a.821a)의 하단은 상기 미들 파트(812)에 형성된 제 2 유로(812a,822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로(812a,822a)는 상기 미들 파트(812)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로(811a,821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811)의 둘레에는 어퍼 씰(8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씰(814)은 오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출력 유로(752a,753a)의 내부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파트(812)는 상기 유출부(73)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어퍼 파트(811) 및 로어 파트(813)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출부(73) 내측에서 유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로(812a,822a)는 상기 미들 파트(812)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미들 파트(812)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유로(812a)의 개구된 양단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파트(812)는 상기 유출부(73)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유로(811a)를 통해 상기 제 2 유로(812a,822a)로 유동되는 가스는 상기 제 2 유로(812a,822a)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상기 유출부(73)의 내측으로 유동된다.
한편, 복수의 상기 서브 조절 노즐(81,82)에 형성되는 제 1 유로(811a,821a)는 그 내경(D2,D3)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조절 노즐(81)의 내경(D2)은 상기 제 2 조절 노즐(82)의 내경(D3)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조절 노즐(81)의 내경(D2)은 상기 메인 출력 유로(751a)의 내경(D1) 보다는 현저히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제 1 조절 노즐(81)과 제 2 조절 노즐(82)의 상기 제 1 유로(811a,821a)의 내경(D2,D3)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조절 노즐(81) 및 제 2 조절 노즐(82)의 상기 제 1 유로(811a,821a)들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어 파트(813)는 상기 미들 파트(812)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 가공홀(73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813)의 둘레에는 로어 씰(815)이 구비되며, 오링 형상의 로어 씰(815)에 의해 상기 출력 가공홀(732)이 기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파트(813)의 하단에는 고정단(813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813a)은 상기 로어 파트(813)의 하단에서 상기 출력 가공홀(732)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813a)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813a) 상방의 상기 로어 파트(813) 직경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재(76)의 장착시 상기 고정단(813a)이 상기 구속부재(76)의 고정홀(76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단(813a)의 높이는 상기 고정홀(761)의 깊이와 같거나 더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차진 상기 로어 파트(813)의 하단이 상기 구속부재(76)에 의해 지지 및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속부재(76)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조절 노즐(81,82)의 하단을 구속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76)에는 상기 고정단(813a,823a)이 삽입되도록 천공된 상기 고정홀(76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고정홀(761) 사이에는 상기 체결부재(77)가 체결되는 체결홀(7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밸브 유닛의 화력 조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밸브 유닛의 각 동작모드에 따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밸브 유닛의 대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밸브 유닛의 제 1 중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밸브 유닛의 제 2 중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밸브 유닛의 소화력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밸브 유닛의 소화모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밸브 유닛(50)은 상기 조작 유닛(20)의 조작 입력을 통해 상기 메인 밸브(61)와 서브 밸브(62,63)들의 동작을 조합하여 상기 조리기기(1)가 다양한 화력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데,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유닛(50)이 대화력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밸브(61)가 열리게 되고 상기 메인 출력 유로(751a)를 통해 가스가 상기 유출부(73)로 유입될 수 있으며, 다량의 가스가 상기 버너 유닛(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 출력 유로(751a)의 유로 단면적이 15.9㎟로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되어 많은 유량의 가스가 공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버너 유닛(30)은 대화력으로 연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밸브(61)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메인 출력 유로(751a)의 단면적은 15.9㎟로 상기 서브 밸브(62,63)들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제 1 유로(811a,821a)들의 단면적 0.38㎟ 및 0.12㎟ 에 비해 현저하게 크게 되므로, 상기 서브 밸브(62,63)들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대화력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유닛(50)이 제 1 중화력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밸브(61)가 닫힌 상태에서 두개의 서브 밸브(62,63)가 모두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조절 노즐(81)과 제 2 조절 노즐(82)에 형성된 제 1 유로를 통해 가스가 상기 유출부(73)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 유닛(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조절 노즐(81) 및 제 2 조절 노즐(82)의 제 1 유로(811a,821a)의 단면적 합은 0.50㎟로 상기 대화력모드에서의 유량보다는 적은 유량의 가스가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 유닛(30)은 중대화력으로 연소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유닛(50)이 제 2 중화력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밸브(61)가 닫힌 상태에서 두개의 서브 밸브(62,63) 중 유로 단면적이 큰 서브 밸브(62,63)만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조절 노즐(81)에 형성된 제 1 유로(811a)를 통해 가스가 상기 유출부(73)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 유닛(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조절 노즐(81)의 제 1 유로(811a)의 단면적은 0.38㎟로 중간 정도 유량의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 유닛(30)은 중대화력 보다는 다소 화력이 약한 중소화력으로 연소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유닛(50)이 소화력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밸브(61)가 닫힌 상태에서 두개의 서브 밸브(62,63) 중 유로 단면적이 작은 서브 밸브(62,63)만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조절 노즐(82)에 형성된 제 1 유로(821a)를 통해 가스가 상기 유출부(73)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 유닛(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조절 노즐(82)의 제 1 유로(821a)의 단면적은 0.12㎟로 최소 유량의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 유닛(30)은 소화력으로 연소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 유닛(50)이 소화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밸브(61)와 상기 서브 밸브(62,63)가 모두 닫히게 된다. 소화모드에서는 상기 유출부(73)로 가스가 공급될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버너 유닛(30)은 소화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연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유닛;
    상기 버너 유닛와 밸브 유닛을 연결하며,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배관;
    상기 밸브 유닛은,
    솔레노이브 밸브로 구성되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와 동일 구조를 가지며, 병렬 배치되는 서브 밸브;
    상기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매니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의 온오프 조합에 의해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더에는,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메인 출력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출력 유로와 동일 내경을 가지며, 상기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서브 출력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는 상기 메인 토출 유로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유로가 형성되는 조절 노즐이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 및 이에 대응하는 서브 출력 유로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 구비되는 복수의 조절 노즐은 그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유닛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버너 유닛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밸브 유닛의 동작을 조절하는 터치 또는 버튼방식의 조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며, 조리 대상물이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
  7. 솔레노이브 밸브로 구성되는 메인 밸브;
    상기 메인 밸브와 동일 구조를 가지며, 병렬 배치되는 서브 밸브;
    상기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매니폴더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의 온오프 조합에 의해 가스 조리기기의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 폴더는,
    병렬 배치되는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가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일측에 연결되며, 가스를 상기 연결부로 공급하는 유입부;
    상기 연결부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서 조절된 유량의 가스를 상기 버너 유닛측으로 배출하는 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향하여 연장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입력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입력 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입력 연결부 내부의 유로를 성형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입력 가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입력 가공홀에는 상기 입력 가공홀을 차폐하는 실링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에는,
    상기 메인 밸브와 서브 밸브를 향하여 연장되어 독립적으로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출력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부에는 상기 입력 연결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출력 연결부 내부의 출력 유로를 성형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출력 가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유로는,
    상기 메인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메인 출력 유로와,
    상기 메인 출력 유로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서브 출력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는 상기 메인 출력 유로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유로를 가지는 조절 노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노즐은 상기 출력 가공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출력 유로와 상기 출력 가공홀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와 조절 노즐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조절 노즐은 서로 다른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노즐에는 상기 출력 가공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부에는 복수의 구속부가 삽입되어 상기 조절 노즐을 지지하는 구속부재가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부와 대응하는 구속홀이 개구되며,
    상기 구속홀의 사이에는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유출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노즐은,
    상기 서브 출력 유로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 1 유로가 형성되는 어퍼 파트와;
    상기 출력 가공홀에 수용되는 로어 파트와;
    상기 어퍼 파트와 로어 파트를 연결하며, 상기 유출부의 내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유출부를 연통시키는 제 2 유로가 형성되는 미들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KR1020160078359A 2016-06-23 2016-06-23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KR20180000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59A KR20180000421A (ko) 2016-06-23 2016-06-23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59A KR20180000421A (ko) 2016-06-23 2016-06-23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21A true KR20180000421A (ko) 2018-01-03

Family

ID=6100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59A KR20180000421A (ko) 2016-06-23 2016-06-23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4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8121A1 (zh) * 2021-12-03 2023-06-08 箭牌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出水切换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8121A1 (zh) * 2021-12-03 2023-06-08 箭牌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出水切换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5058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070113838A1 (en) Gas-fired cooking griddle
KR102094530B1 (ko) 가스오븐
KR100691563B1 (ko) 음식점용 가스렌지
KR100688360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배기장치
KR20180000421A (ko)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3786196B2 (ja) ガス調理器具の火力調節装置
US20200032999A1 (en) Gas burner with a pneumatic actuating injet
KR101750525B1 (ko) 기능성 취반기
US20110186036A1 (en) Cooking Appliance
JP3813094B2 (ja) ガス器具
US20090283090A1 (en) Hot Top With Dual Burners
JP2001012709A (ja) コンロ用バーナ
KR101878062B1 (ko) 전자식 밸브 조립체 및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KR100829629B1 (ko) 빌트 인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KR200414662Y1 (ko) 음식점용 가스렌지
US20110186034A1 (en) Cooking Appliance
JP2007139307A (ja) ガス調理器
KR100829624B1 (ko) 가열조리기기
JP4901223B2 (ja) ガス調理器
US10024543B2 (en) Cooking appliance
KR101623633B1 (ko) 조리기기
US10928064B2 (en) Pneumatic actuating injet valve with delayed shut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