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47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476B1
KR102132476B1 KR1020140011291A KR20140011291A KR102132476B1 KR 102132476 B1 KR102132476 B1 KR 102132476B1 KR 1020140011291 A KR1020140011291 A KR 1020140011291A KR 20140011291 A KR20140011291 A KR 20140011291A KR 102132476 B1 KR102132476 B1 KR 10213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rt
gas
supplie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534A (ko
Inventor
이동재
김양호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476B1/ko
Priority to US14/607,892 priority patent/US10024543B2/en
Publication of KR2015009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26Radiant burners cooperating with refractory wal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4Fuel valve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6Fuel valves variable flow or proportiona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8Groups of two or mor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02Controlling two or more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10High or low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버너 유닛; 및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유동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 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제1혼합공간을 가지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혼합공간과 구획되며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제2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포트를 포함하는 버너 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은, 상기 제1포트로의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차단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포트로의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기기 중에서 쿡탑은 가스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50828호(공개일 2011.05.17.)에는,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하나 이상의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어셈블리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인너 포트와, 상기 인너 포트의 외측에 구비되며, 가스와 공기의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아우터 포트와, 상기 인너 포트 및 상기 아우터 포트로 공급되는 혼합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 매트와, 아우터 포트와 인너 포트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노브의 조작에 대응하여 기계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인너 포트로만 가스를 공급하거나(저 발열 모드) 상기 아우터 포트와 인너 포트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고 발열 모드).
종래의 조리기기에 의하면, 아우터 포트로는 가스가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도록만 구성될 뿐, 아우터 포트로 가스가 공급될 때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버너 유닛에서의 열량을 두 가지 단계로만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너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포트 중 일부 포트의 열량을 다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유닛; 및 상기 버너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제1혼합공간을 가지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혼합공간과 구획되며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제2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포트를 포함하는 버너 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은, 상기 제1포트로의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차단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포트로의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는 리니어 밸브이고, 상기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는 소 열량 모드,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제1,2밸브가 온 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최저 기준온도와 최고기준 온도의 범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고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대 열량 모드의 목표 온도는 상기 최저 기준온도와 상기 최고 기준온도의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유닛; 및 상기 버너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제1혼합공간을 가지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혼합공간과 구획되며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제2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포트를 포함하는 버너 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로의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차단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포트로의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는 리니어 밸브이고, 상기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는 소 열량 모드,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제1,2밸브가 온 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최저 기준온도와 최고기준 온도의 범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고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대 열량 모드의 목표 온도는 상기 최저 기준온도와 상기 최고 기준온도의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2밸브는 리니어 밸브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는, 소 열량 모드,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 열량 모드에서는, 상기 제1밸브는 온되고 상기 제2밸브는 오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에서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가 온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에서의 상기 제2밸브의 개도는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의 상기 제2밸브의 개도 보다 작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유닛; 및 상기 버너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제1혼합공간을 가지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혼합공간과 구획되며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제2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포트를 포함하는 버너 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로의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차단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포트로의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2밸브는 리니어 밸브이고, 상기 제2포트의 내부에 상기 제1포트가 위치되고, 상기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는 소 열량 모드,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에서는,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가 온 되고 상기 제2밸브의 개도가 조절되고, 상기 소 열량 모드일 때, 상기 제1혼합 공간으로 혼합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가 온 되고 상기 제2밸브는 오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1배관과,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2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배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배관에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연결되는 공통 배관과, 상기 공통 배관과 연결되는 공통 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1배관과, 상기 제1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2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배관에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밸브에 연결되는 공통 배관과, 상기 공통 배관에 연결되는 공통 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포트의 내부에 상기 제1포트가 위치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제2밸브가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버너 유닛 중에서 제2포트의 열량을 다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밸브가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2밸브가 온/오프를 반복하지 않아도 되어 소비전력이 줄어들고 목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가스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 제2밸브가 온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혼합가스의 재점화 과정이 없어지므로 점화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탑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의 (a)는 제2밸브로서 리니어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할 때의 시간에 따른 유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의 (b)는 제2밸브로서 리니어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할 때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탑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케이스(case: 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top plate: 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케이스(10) 내에 수용되며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는 하나 이상의 버너 유닛(burner unit: 20)과, 상기 버너 유닛(20) 내에서 연소된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2)는 상기 케이스(10)의 상측 후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세 개의 버너 유닛(20)이 상기 케이스(10) 내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버너 유닛(2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배출부(12)는 연소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배출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버너 유닛(20)으로 공급되는 가스가 유동하는 가스 공급관(14)과, 상기 버너 유닛(20)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가스 밸브유닛(gas valve unit: 15, 16)과, 상기 버너 유닛(20)으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유닛(nozzle unit: 30)과, 상기 가스 밸브유닛(15)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노브(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노브(13)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15), 노즐 유닛(30), 및 조작 노브(13) 각각은 버너 유닛(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 공급관(14)은 상기 가스 밸브유닛(15)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공통 공급관(14)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15)은 상기 버너 유닛(20)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개별 공급관(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버너 유닛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유닛(20)은, 혼합가스가 유입되는 버너포트(burner pot: 210)와, 상기 버너포트(210)에 안착되며 혼합가스를 연소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연소 부재(230)와, 상기 버너포트(210)에 안착되며, 상기 연소 부재(230) 상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제공하는 버너 프레임(burner frame: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포트(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포트(212)와, 상기 제2포트(212)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포트(2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포트(21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포트(211)의 외면과 상기 제1포트(212) 내면 사이의 공간과 구획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포트(211) 내부의 공간을 제1혼합공간이라 하고, 상기 제2포트(212)의 내주면과 상기 제1포트(211)의 외주면 사이 공간을 제2혼합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노브(13)의 조작에 따라 혼합가스가 상기 제1포트(211)로 공급되거나 상기 제1포트(211) 및 제2포트(212)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포트(212)에는 제1혼합관(217) 및 제2혼합관(218)이 연결된다. 상기 제1포트(211)는 일 예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혼합관(217)은 상기 제2포트(21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포트(211)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혼합관(217)과 상기 제2혼합관(218)이 상기 버너포트(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혼합관(217)은 상기 제2포트(212)에 연결되고, 상기 제1포트(211)와 상기 제2포트(212) 사이에는 상기 제1혼합관(217)의 혼합가스를 상기 제1포트(212)로 안내하는 안내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유닛(30)에서 가스가 상기 각 혼합관(217, 218)으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각 혼합관(217, 218) 주변의 공기가 상기 각 혼합관(217, 218)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217, 218)에서 가스와 공기가 일차적으로 혼합되고, 상기 각 포트(211, 212)의 내부 공간에서 가스와 공기가 이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포트(210)의 상측, 실질적으로 상기 제2포트(212)의 상측에는 상기 연소 부재(23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연소 부재(230)가 상기 제1안착부(214)에 안착되면, 상기 연소 부재(230)는 상기 제1혼합공간 및 제2혼합공간을 동시에 커버한다.
따라서, 상기 연소 부재(230)에서 상기 제1포트(211)의 혼합가스 및 상기 제2포트(212)의 혼합가스가 연소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연소 부재(230)는 상기 제2포트(212)를 커버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연소 부재와, 상기 제1포트(211)를 커버하는 제1연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포트(210)의 상측, 실질적으로 상기 제2포트(212)에는 상기 버너 프레임(220)이 안착되기 위한 제2안착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버너 프레임(220)에는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점화부(228)가 설치된다. 상기 점화부(228)는 상기 연소 부재(230)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1포트(211) 내의 혼합가스가 먼저 점화되도록, 상기 상기 점화부(228)의 단부는 상기 제1포트(211)의 제1혼합공간과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 부재(230)를 통과한 혼합가스는 상기 점화부(228)에 의해서 점화되어 연소됨에 따라 화염이 발생되고, 발생된 화염에 의해서 상기 연소 부재(230)가 가열된다. 상기 연소 부재(230)가 가열된 이후에는 상기 연소 부재(230) 상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된다.
상기 버너 프레임(220)에는 상기 연소 부재(230)에서 연소된 가스가 통과하기 위한 홀(223)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연소 부재(230)는 상기 홀(223)을 관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연소 부재(230)가 상기 홀(223)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버너 프레임(221)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연소 부재(230)에 의해서 연소된 가스가 상기 홀(223)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 프레임(220)은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하면과의 접촉 면적을 늘리기 위한 접촉부(227)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227)는 상기 버너 프레임(220)의 상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촉부(227)가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하면과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탑 플레이트(11)와 상기 버너 프레임(220) 사이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프레임(220)에는 혼합가스가 연소될 때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29)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15)은, 공통 밸브(151)와, 상기 공통 밸브(151)에 연결되는 공통 배관(302)과, 상기 공통 배관(302)에서 분지되는 제1배관(310) 및 제2배관(312)과, 상기 제1배관(310)에 구비되는 제1밸브(152)와, 상기 제2배관(312)에 구비되는 제2밸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트(211)로 공급될 가스는 상기 제1배관(310)을 유동하고, 상기 제2포트(212)로 공급될 가스는 제2배관(312)을 유동한다.
상기 공통 배관(302), 제1배관(310), 제2배관(312)은 앞에서 설명한 개별 공급관(16)을 구성한다.
상기 공통 밸브(151) 및 상기 제1밸브(152)는 일 예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 시에 가스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오프 시에 가스 유동을 차단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오프 밸브이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온된 상태에서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지 못한다.
반면, 상기 제2밸브(153)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리니어 밸브(linear valve)일 수 있다. 상기 리니어 밸브는 개도를 조절하여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밸브(153)가 가스의 유량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포트(212)로 공급되는 가스 양이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포트(212)의 열량이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버너 유닛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노브(13)를 조작하면, 상기 버너포트(210)로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팬(50)이 회전된다. 상기 버너포트(210)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상기 점화부(228)에 의해서 점화되어 연소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된 열에 의해서 상기 연소 부재(230)가 가열된다.
상기 연소 부재(230)의 방사 에너지는 적어도 가시광선 대역의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가시광선에 의해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가 동작 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 부재(230)에 의해서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음식물은 상기 탑 플레이트(11)의 전도열에 의해서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연소 부재(230)에 의해서 연소된 가스는 상기 버너 프레임(220)을 따라 유동된 후에 상기 배출부(12)의 배출홀(122)을 통하여 상기 조리기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의 (a)는 제2밸브로서 리니어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할 때의 시간에 따른 유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의 (b)는 제2밸브로서 리니어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할 때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 및 (b)에서 실선은 제2밸브가 리니어 밸브일 때의 그래프이고, 점선은 제2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일 때의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조작노브(13)를 조작하여, 상기 버너 유닛(13)의 열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가 대 열량 모드, 중 열량 모드, 소 열량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중 열량 모드는 다수의 세부적인 중 열량 모드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조작노브(13)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조작노브(13)를 조작하여 소 열량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공통 밸브(151) 및 제1밸브(152)가 온된다. 반면, 상기 제2밸브(153)는 오프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면, 가스가 상기 공통 밸브(151) 및 제1밸브(152)를 지난 후에 상기 제1포트(211)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포트(211)로 공급된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는 상기 점화부(228)에 의해서 점화되어 연소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 부재(230)에서 상기 제1포트(211)와 대응되는 부분만 가열된다.
상기 조작노브(13)를 조작하여 중 열량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공통 밸브(151), 제1밸브(152), 제2밸브(153)가 온된다. 이 때, 상기 제2밸브(15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밸브(153)는 일부가 개방된다. 즉, 상기 제2밸브(153)의 개도는 0에서 100 범위 내에서 제1개도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포트(211)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포트(212)로 혼합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제2포트(212)의 혼합가스가 연소될 수 있다.
상기 조작노브(13)를 조작하여 대 열량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공통 밸브(151), 제1밸브(152), 제2밸브(153)가 온된다. 이 때, 상기 제2밸브(153)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밸브(153)는 전부가 개방된다(제2개도). 즉, 상기 제2밸브(153)의 제2개도는 상기 제1개도 보다 크며, 일 예로 100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의 제2포트(212)의 열량은 중 열량 모드에서의 제2포트(212)의 열량 보다 크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밸브(153)의 개도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서 상기 제2포트(212)의 열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제2밸브(153)가 전부 개방된 후에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 온도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2밸브(153)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밸브(153)가 조절된다는 것은 상기 제2포트(212)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제2밸브(153)가 온되면, 상기 제2밸브(153)는 전부 개방된다. 상기 제2밸브(153)가 전부 개방되면, 상기 제2포트(212)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점화되고, 상기 연소 부재(230)가 가열되어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도 6의 (b)의 실선과 같이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높은 한계 온도(TH3)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153)는 개도를 단계적으로 줄인다. 그러면,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229)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낮은 제1최저 온도(TL1)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153)는 개도를 최대로 증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높아지고,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높은 제1최고 기준온도(TH1)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153)는 개도를 단계적으로 줄인다. 이 때, 상기 제1최고 기준온도(TH1)는 한계 온도(TH3) 보다 낮다. 즉, 상기 제2밸브(153)는 목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최고 기준온도와 상기 제2최저 기준온도 사이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개도를 조절한다.
만약, 상기 제2밸브(153)가 솔레노이드 밸브라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된 후 상기 온도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한계 온도(T3)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오프될 것이다.
그러면,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낮은 제2최저 기준온도(TL2)에 도달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다시 온될 것이다. 그러면,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높아지고,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높은 제2최고 기준온도(TH2)에 도달하면, 상기솔레노이드 밸브는 오프될 것이다. 즉, 상기 온도 센서(22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1최고 기준온도와 상기 제2최저 기준온도 사이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제2밸브(153)는 온오프를 반복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오프를 반복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에 따른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 기준온도인 제2최고 온도(TH2)는 제1최고 온도(TH1)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제2최저 온도(TL2)는 제1최저 온도(TL1) 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153)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경우에 목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포트(212)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제2밸브(153)가 리니어 밸브인 경우의 제2포트(212)로 공급되는 가스량 보다 많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면, 상기 제2포트로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온되면 다시 상기 제2포트로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재점화되어야 하므로, 재점화 시 마다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와 같이 상기 제2밸브(153)를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사용함에 따라서, 소비전력이 줄어들고 목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가스량이 줄어들 수 있고, 제2밸브가 온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혼합가스의 재점화 과정이 없어지므로 점화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는 대 열량 모드에서의 제2밸브의 개도 조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중 열량 모드에서 목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2밸브의 개도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스 밸브유닛(15)은, 공통 밸브(151)와, 상기 공통 밸브(151)에 연결되는 공통 배관(302)과, 상기 공통 배관(302)에 연결되는 제1밸브(154)와, 상기 제1밸브(154)에서 분지되는 제1배관(320) 및 제2배관(321)과, 상기 제2배관(321)에 구비되는 제2밸브(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트(211)로 공급될 가스는 상기 제1배관(320)을 유동하고, 상기 제2포트(212)로 공급될 가스를 제2배관(321)을 유동한다.
상기 공통 밸브(151) 및 상기 제1밸브(154)는 일 예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154)는 상기 제1포트(211) 및 제2포트(212)의 가스 공급 여부를 조절한다. 반면, 상기 제2밸브(154)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리니어 밸브(linear valve)일 수 있다. 상기 리니어 밸브는 개도를 조절하여 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포트(212)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2배관(321)에 가스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가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제2포트(212)의 열량이 다수 단계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위의 실시 예 들에서는, 제2포트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포트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모드에서는 제2포트로 지속적으로 가스가 공급되고, 모드에 따라서 제1포트로 가스가 공급되거나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제1포트로 가스가 공급될 때에는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5: 가스 밸브유닛 151: 공통 밸브
152: 제1밸브 153: 제2밸브
20: 버너 유닛 210: 버너 포트
211: 제1포트 212: 제2포트

Claims (1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유닛; 및
    상기 버너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제1혼합공간을 가지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혼합공간과 구획되며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제2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포트를 포함하는 버너 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은,
    상기 제1포트로의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차단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포트로의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는 리니어 밸브이고,
    상기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는 소 열량 모드,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제1,2밸브가 온 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최저 기준온도와 최고기준 온도의 범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고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대 열량 모드의 목표 온도는 상기 최저 기준온도와 상기 최고 기준온도의 사이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2.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유닛; 및
    상기 버너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제1혼합공간을 가지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혼합공간과 구획되며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제2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포트를 포함하는 버너 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로의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차단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포트로의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는 리니어 밸브이고,
    상기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는 소 열량 모드,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제1,2밸브가 온 되고,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최저 기준온도와 최고기준 온도의 범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고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최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대 열량 모드의 목표 온도는 상기 최저 기준온도와 상기 최고 기준온도의 사이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 열량 모드에서는, 상기 제1밸브는 온되고 상기 제2밸브는 오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에서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가 온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에서의 상기 제2밸브의 개도는 상기 대 열량 모드에서의 상기 제2밸브의 개도 보다 작은 조리기기.
  5.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버너 유닛;
    상기 버너 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 가스 밸브유닛; 및
    상기 버너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 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되는 제1혼합공간을 가지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혼합공간과 구획되며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제2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포트를 포함하는 버너 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밸브유닛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로의 가스 공급 및 가스 공급 차단을 조절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2포트로의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2밸브는 리니어 밸브이고,
    상기 제2포트의 내부에 상기 제1포트가 위치되고,
    상기 버너 유닛의 열량 모드는 소 열량 모드,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중 열량 모드 및 대 열량 모드에서는,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가 온 되고 상기 제2밸브의 개도가 조절되고,
    상기 소 열량 모드일 때, 상기 제1혼합 공간으로 혼합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가 온 되고 상기 제2밸브는 오프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1배관과,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2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1배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배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연결되는 공통 배관과,
    상기 공통 배관과 연결되는 공통 밸브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1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1배관과,
    상기 제1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될 가스가 유동하는 제2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제2배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에 연결되는 공통 배관과,
    상기 공통 배관에 연결되는 공통 밸브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트의 내부에 상기 제1포트가 위치되는 조리기기.
KR1020140011291A 2014-01-29 2014-01-29 조리기기 KR10213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91A KR102132476B1 (ko) 2014-01-29 2014-01-29 조리기기
US14/607,892 US10024543B2 (en) 2014-01-29 2015-01-28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91A KR102132476B1 (ko) 2014-01-29 2014-01-29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34A KR20150090534A (ko) 2015-08-06
KR102132476B1 true KR102132476B1 (ko) 2020-07-09

Family

ID=5367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91A KR102132476B1 (ko) 2014-01-29 2014-01-2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24543B2 (ko)
KR (1) KR102132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3617B2 (en) * 2017-08-16 2020-08-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appliance with a gas burne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562B2 (ja) 1987-09-24 1997-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供給制御装置
JP2003156212A (ja) 2001-11-19 2003-05-30 Rinnai Corp ガスこんろ
JP2005069605A (ja) 2003-08-26 2005-03-17 Rinnai Corp ガスコンロ
JP4415167B2 (ja) * 2004-11-15 2010-02-17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6612A (en) * 1969-10-20 1971-09-20 Columbia Gas Syst Gas burner and control
US3843313A (en) * 1973-07-23 1974-10-22 Raytheon Co Multi-cavity radiant burner
ES2018441A6 (es) * 1989-12-11 1991-04-01 Catalana Gas Sa Perfeccionamientos en quemadores para encimeras vitroceramicas a gas.
US5458294A (en) * 1994-04-04 1995-10-17 G & L Development, Inc.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gas fuel flow
US7523762B2 (en) * 2006-03-22 2009-04-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dulating gas valve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562B2 (ja) 1987-09-24 1997-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供給制御装置
JP2003156212A (ja) 2001-11-19 2003-05-30 Rinnai Corp ガスこんろ
JP2005069605A (ja) 2003-08-26 2005-03-17 Rinnai Corp ガスコンロ
JP4415167B2 (ja) * 2004-11-15 2010-02-17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11744A1 (en) 2015-07-30
US10024543B2 (en) 2018-07-17
KR20150090534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102B (zh) 燃气燃烧器装置以及包括其的烹饪装置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US20140345597A1 (en)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KR100926442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3586974B2 (ja) ガス調理器のバーナ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132476B1 (ko) 조리기기
US20100263658A1 (en) Gas cooker
KR101672634B1 (ko) 조리기기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215405B2 (en) Cooking device and burner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110186036A1 (en) Cooking Appliance
KR101623633B1 (ko) 조리기기
KR101220624B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 상부버너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9B1 (ko) 빌트 인 가열조리기기
US20110186034A1 (en) Cooking Appliance
WO2020244529A1 (zh) 具有组合的辐射炙烤与对流炙烤的烤箱设备
JP2011038696A (ja) 加熱調理器
KR100475725B1 (ko) 가스렌지용 버너유닛
KR20180000421A (ko) 가스 조리기기 및 가스 조리기기용 밸브 유닛
CA2827077C (en) Gas oven
KR101025711B1 (ko) 버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20121115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