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4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46A
KR20180000046A KR1020160077556A KR20160077556A KR20180000046A KR 20180000046 A KR20180000046 A KR 20180000046A KR 1020160077556 A KR1020160077556 A KR 1020160077556A KR 20160077556 A KR20160077556 A KR 20160077556A KR 20180000046 A KR20180000046 A KR 2018000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d
driving
pad terminal
dr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925B1 (ko
Inventor
김병용
하승화
류승수
송상현
양정도
조정연
황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925B1/ko
Priority to US15/362,082 priority patent/US10217806B2/en
Priority to EP17176523.3A priority patent/EP3260912B1/en
Priority to EP20152740.5A priority patent/EP3663845B1/en
Priority to CN201710474301.1A priority patent/CN107527937B/zh
Publication of KR2018000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46A/ko
Priority to US16/267,003 priority patent/US10879335B2/en
Priority to US17/115,744 priority patent/US11605697B2/en
Priority to US18/162,136 priority patent/US2023017202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7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01L27/3288
    • H01L51/524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05K1/112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directly combined with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weld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64Conductor shape
    • H05K2201/0373Conductors having a fine structure, e.g.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act points with a structured to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845Stepped hole, via, edge, bump or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85Using ultrasound, e.g. for cleaning, soldering or wet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드 단자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복수개의 패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구동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패드 단자는 구동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단차홈과, 패드 단자를 관통하는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폰, 랩 탑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정보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나, 데스크 탑 컴퓨터, 텔레비전, 옥외 광고판, 전시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판 상의 패드 단자와 구동부의 구동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의 결합을 위해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 사이에 비등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ic conductive film)이 개재됨에 따라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가 전기적으로 불안정하게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드 단자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복수개의 패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구동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패드 단자는 구동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단차홈과, 패드 단자를 관통하는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 단자 또는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의 일부 및 구동 단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홈 및 개구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단차홈 및 복수개의 개구홀 중 적어도 일부는 접합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패드 단자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패드 단자와 이격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홈 및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구동 단자와 마주보는 패드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홈 및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패드 단자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드 단자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복수개의 패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구동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단차홈과, 구동 단자를 관통하는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 단자 또는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의 일부 및 구동 단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홈 및 개구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단차홈 및 복수개의 개구홀 중 적어도 일부는 접합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패드 단자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패드 단자와 이격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홈 및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홈 및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개의 패드 단자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박막 봉지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복수개의 패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구동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패드 단자는 구동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제1 단차홈과, 패드 단자를 관통하는 제1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 단차홈과, 구동 단자를 관통하는 제2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1 단차홈 및 제1 개구홀은 제2 단차홈 및 제2 개구홀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 단자 또는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의 일부 및 구동 단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차홈, 제2 단차홈, 제1 개구홀 및 제2 개구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1 단차홈, 복수개의 제2 단차홈, 복수개의 제1 개구홀 및 복수개의 제2 개구홀 중 적어도 일부는 접합부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단자는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패드 단자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패드 단자와 이격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차홈 및 제1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구동 단자와 마주보는 패드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제2 단차홈 및 제2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오목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차홈 및 제1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패드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고, 제2 단차홈 및 제2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패드 단자 및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에 단차홈 및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서로 접촉시키는 단계와,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가 서로 가까워지는 제1 방향으로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을 가압하여,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단차홈 및 개구홀 중 하나 이상에 패드 단자의 일부 또는 구동 단자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단계와,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진동시켜 초음파 본딩(ultrasound bonding)을 통해 서로 접합함으로써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차홈은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가 서로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개구홀은 패드 단자 및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드 단자와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나의 패드 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패드 단자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패드 단자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패드 단자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패드 단자 상에 구동 단자가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패드 단자 상에 구동 단자가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패드 단자 상에 구동 단자가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구동 단자와 패드 단자에 압력을 가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9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4의 패드 단자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4의 패드 단자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하나의 패드 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일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yid crystal display, LCD)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이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lectronic paper display, EDP)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개의 소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기판(120)과, 디스플레이 기판(120)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TFE, 1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판(120) 상에는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복수개의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 상에는 편광판, 터치 스크린, 커버 윈도우와 같은 기능 필름(14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 영역(active area, AA, 111)과, 상기 활성 영역(111)의 바깥으로 연장된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 IAA, 112)이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은 활성 영역(111)을 덮을 수 있다.
비활성 영역(112)은 활성 영역(111)을 둘러싸고 있다. 비활성 영역(112)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벤딩 영역(bending area, BA)과, 벤딩 영역(BA)의 바깥으로 연장된 패드 영역(pad area, PA)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 영역(BA)은 활성 영역(1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벤딩 영역이 비활성 영역(112)에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기준선인 벤딩 라인(BL)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활성 영역(111)과 패드 영역(PA)은 벤딩 영역(BA) 없이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벤딩 라인(BL) 없이 리지드(rigid)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벤딩 라인(BL)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패드 영역(PA)은 디스플레이 기판(120)의 일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에는 복수개의 패드 단자(15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패드 단자(150)는 디스플레이 기판(120)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패드 단자(150)는 활성 영역(111)으로부터 연장된 배선(113)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패드 단자(150)는 구동부(1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구동부(160)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일 수 있다. 하지만, 구동부(16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데, 구동부(160)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이나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일 수 있다.
구동부(160)는 회로 배선이 패턴화된 플렉서블 필름(170)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20) 상에 배치된 구동 IC(180), 및 구동 IC(180)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구동 단자(19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필름(170)과 구동 IC(18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70)은 회로 보드(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보드(200)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복수개의 패드 단자(150)와 복수개의 구동 단자(190)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패드 단자(150)의 각 패드 단자 및 복수개의 구동 단자(190)의 각 구동 단자는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세히, 복수개의 패드 단자(150, 도 8의 420c 참조)와 복수개의 구동 단자(190, 도 8의 540 참조)는 서로 접합부(도 8의 CP 참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접합부(CP)는 패드 단자(150)와 구동 단자(190)를 초음파 본딩(ultrasonic bonding)을 통해 결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층으로써, 초음파 본딩 공정 중에 서로 인접하는 패드 단자(150)의 일부와 구동 단자(190)의 일부가 서로를 향해 확산(diffusion)되어 결합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 단자(150)와 구동 단자(190)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에 관해서는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나의 패드 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디스플레이 기판(301)과 박막 봉지층(317)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00)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301)에는 활성 영역(AA, 11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영역(DA) 및 비활성 영역(IAA, 112)에 구비된 패드 영역(PA)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301)은 플렉서블한 글래스 기판이나, 플렉서블한 폴리머 기판이나, 리지드한 글래스 기판이나, 리지드한 폴리머 기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301)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판(301) 상에는 배리어막(302)이 배치될 수 있다. 배리어막(302)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30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배리어막(302)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막(302)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DA)에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개수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리어막(302) 상에는 반도체 활성층(303)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활성층(303)은 N형 불순물 이온이나, P형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는 것에 의하여 배치되는 소스 영역(304) 및 드레인 영역(305)을 포함한다. 소스 영역(304)과 드레인 영역(305) 사이는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는 채널 영역(306)일 수 있다. 반도체 활성층(303)은 유기 반도체나, 무기 반도체나,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활성층(303)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반도체 활성층(303)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307)이 증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07)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307)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07) 상에는 게이트 전극(308)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8)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 전극(308)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308)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308) 상에는 층간 절연막(309)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09)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층간 절연막(309) 상에는 소스 전극(310)과 드레인 전극(311)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07)의 일부 및 층간 절연막(309)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컨택 홀을 형성하고, 컨택 홀을 통하여 소스 영역(304)에 대하여 소스 전극(3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 영역(305)에 대하여 드레인 전극(3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전극(310)과 드레인 전극(311)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소스 전극(310)과 드레인 전극(311)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을 포함한다. 소스 전극(310)과 드레인 전극(311)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예컨대, 소스 전극(310)과 드레인 전극(311)은 티타늄(Ti)/알루미늄(Al)/티타늄(Ti)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소스 전극(310), 드레인 전극(311) 상에는 보호막(312)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312)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보호막(312)은 패시베이션막 또는 평탄화막일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과 평탄화막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보호막(3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313)과 중간층(314) 및 제2 전극(315)을 포함한다.
제1 전극(313)은 애노우드로 기능하며, 다양한 도전성 소재일 수 있다. 제1 전극(313)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한다. 이를테면, 제1 전극(313)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시, 제1 전극(313)은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제1 전극(313)이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시, 제1 전극(313)은 반사막과, 반사막 상에 배치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313)은 ITO/Ag/ITO가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보호막(312) 상에는 픽셀 정의막(31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픽셀 정의막(316)은 제1 전극(31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픽셀 정의막(316)은 제1 전극(313)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것에 의하여 각 서브 픽셀의 발광 영역을 한정한다. 제1 전극(313)은 서브 픽셀마다 패터닝될 수 있다. 픽셀 정의막(316)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픽셀 정의막(316)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1 전극(313) 상에는 픽셀 정의막(316)의 일부를 에칭하여 노출되는 영역에 중간층(314)이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314)은 증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314)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상기 중간층(314)은 유기 발광층(emissive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층(314)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전극(315)은 중간층(3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315)은 캐소우드로 기능할 수 있다. 제2 전극(315)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전극(315)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시, 제2 전극(315)은 금속막과, 금속막 상에 배치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제2 전극(315)이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시, 제2 전극(315)은 금속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판(301) 상에는 복수개의 서브 픽셀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서브 픽셀별로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막 봉지층(317)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덮을 수 있다.
박막 봉지층(317)은 무기막(318)(319)과 유기막(320)이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예컨대, 유기 발광 소자(OLED) 상에는 제1 무기막(318), 유기막(320), 및 제2 무기막(319)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317)에 구비되는 무기막 및 유기막의 적층 구조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박막 봉지층(317) 상에는 터치 스크린(34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340)은 정전 용량 타입(electrostatic capacitive type)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상세히, 박막 봉지층(317) 상에는 베이스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 상에는 복수개의 터치 전극용 배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전극용 배선은 티타늄(Ti)/알루미늄(Al)/티타늄(Ti)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층은 생략될 수 있다. 터치 전극용 배선은 터치 전극용 절연막(미도시)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용 절연막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한편, 패드 영역(PA)에는 디스플레이 기판(301) 상에 제1 절연막(33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막(331)은 배리어막(302)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절연막(331)은 배리어막(302)과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막(331) 상에는 제2 절연막(3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막(332)은 게이트 절연막(307)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절연막(332)은 게이트 절연막(307)과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연막(332) 상에는 각 패드 단자(401)에 구비된 제1 도전층(4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층(410)은 디스플레이 영역(DA)으로부터 인출된 배선(3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전층(410)은 게이트 전극(308)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도전층(410)은 게이트 전극(308)과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도전층(410)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301)의 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층(410) 상에는 제3 절연막(33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막(333)은 층간 절연막(309)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막(333)은 층간 절연막(309)과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절연막(333)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일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막(333)은 제1 도전층(41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도전층(410) 상에는 상기 제3 절연막(333)의 일부를 제거하여 컨택 홀(4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택 홀(431)이 형성된 영역에는 제1 도전층(410)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도전층(410) 상에는 제2 도전층(4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전층(420)은 제1 도전층(410) 상에 아일랜드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도전층(420)은 디스플레이 영역(DA)으로부터 인출된 배선(3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도전층(420)은 소스 전극(310) 및 드레인 전극(311)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도전층(420)은 상기 소스 전극(310)과 드레인 전극(311)과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도전층은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알루미늄(Al)과 티타늄(T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제2 도전층(420)의 적층 구조는 알루미늄/티타늄/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도전층(420)은 컨택 홀(431)을 통하여 제1 도전층(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도전층(420)은 제3 절연막(333)이 없는 영역에서 제1 도전층(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전층(410)과 제2 도전층(420)은 컨택 홀(431)이 배치된 영역에서 컨택부(CNT)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전층(420)은 도 4의 컨택 홀(431)을 통하여 노출된 제1 도전층(410)의 일부 영역 및 도 8의 제1 도전층(410)을 덮는 제3 절연막(333)이 배치된 영역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도전층(420)의 크기는 제1 도전층(4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도전층(420)은 제1 도전층(41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제1 도전층(410)과 제2 도전층(420)은 전 영역에 걸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3 절연막(333)의 일부를 제거한 컨택 홀(431)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도전층(420)의 일 부분은 컨택 홀(431)을 통하여 제1 도전층(410)의 노출된 영역에 배치되며, 제2 도전층(420)의 다른 일 부분은 제3 절연막(33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패드 단자(401) 상에는 구동 단자(5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8 참조). 구동 IC(510)의 하부에는 회로 패턴(520)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막(530)은 회로 패턴(52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회로 패턴(520)에는 구동 단자(5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단자(540)는 범프(bump)를 포함한다. 구동 단자(540)는 금(Au), 니켈(Ni) 및 주석(Sn)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단자(540)는 도 8의 제1 도전층(410)과 제2 도전층(4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역과, 도 10의 제1 도전층(410)과 제2 도전층(420)이 상기 제3 절연막(33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영역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층(410)과, 제2 도전층(420)은 상기 게이트 전극(308), 소스 전극(310), 및 드레인 전극(311)뿐만 아니라, 도 3의 디스플레이 기판(301) 상에 배치된 다른 금속층, 예컨대, 제1 전극(313), 제2 전극(315), 터치 전극(322)중에서 선택된 금속층들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막(333)은 층간 절연막(309)뿐만 아니라, 도 3의 디스플레이 기판(301) 상에 패턴화된 게이트 절연막(307), 보호막(312), 픽셀 정의막(316), 박막 봉지층(317), 터치 전극용 절연막(323)(324)중에서 선택된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23을 참조하여 패드 단자(400) 및 구동 단자(5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패드 단자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패드 단자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패드 단자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패드 단자 상에 구동 단자가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패드 단자 상에 구동 단자가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4의 C-C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패드 단자 상에 구동 단자가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구동 단자와 패드 단자에 압력을 가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패드 영역(PA)에는 구동 단자(54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패드 단자(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드 단자(400)의 각 패드 단자(401)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301)의 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패드 단자(401)는 구동 단자(540)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단차홈(421a)과, 패드 단자(401)를 관통하는 개구홀(421b)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및 도 5에는 패드 단자(401)에 단차홈(421a)만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며, 한편 6 및 도 7에는 패드 단자(401)에 개구홀(421b)만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데 하나의 각 패드 단자(401)에는 단차홈(421a)과 개구홀(421b)이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는 접합부(CP)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는 초음파 본딩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초음파 본딩을 통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맞닿는 각각의 표면은 연화 및 확산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CP)는 패드 단자(401)의 일부와 구동 단자(540)의 일부가 서로 혼합된 혼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티타늄(Ti)으로 구성된 패드 단자(401)와 금(Au)으로 구성된 구동 단자(540)가 서로 초음파 본딩을 통해 결합된 경우, 접합부(CP)는 티타늄과 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차홈(421a)과 개구홀(421b)은 패드 단자(401)의 전면에 걸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단차홈(421a)들 및 복수개의 개구홀(421b) 중 적어도 일부는 접합부(CP)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는 초음파 본딩을 통해 서로 접합되는데, 이때 구동 단자(540)의 일부는 패드 단자(401)의 단차홈(421a) 또는 개구홀(421b)에 인입된 상태로 초음파 본딩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본딩을 통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접합부(CP)는 단차홈(421a) 또는 개구홀(421b)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단차홈(421a) 또는 개구홀(421b)은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차홈(421a)과 개구홀(421b)은 접합부(CP)에 의해 차폐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초음파 본딩을 통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접합 과정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패드 단자(400)의 각 패드 단자(401)는 제1 도전층(410) 및 제1 도전층(410)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도전층(420a)(420b)(42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총 3개의 제2 도전층(420a)(420b)(420c)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2 도전층(420a)(420b)(420c)은 단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도전층(420a)(420b)(420c)이 단층의 제2 도전층(420)으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고, 제2 도전층(420)이 구동 단자(540)와 결합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도전층(410)과 제2 도전층(4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패드 단자(401)의 단차홈(421a)과 개구홀(421b)은 제2 도전층(4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홈(421a)과 개구홀(421b)은 복수개의 제2 도전층(420a)(420b)(420c)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구동 단자(540)와 마주보는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난 구동 단자(540)는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에 패드 단자(401)를 향해 돌출되어 패드 단자(401)와 접촉하는 돌출부(540p)와, 구동 단자(540)의 중앙에 패드 단자(401)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패드 단자(401)와 이격되는 오목부(540c)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데 구동 단자(540)의 돌출부(540p)가 구동 단자(540)의 중앙에 형성되고, 반대로 오목부(540c)가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즉,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 단자(540)의 돌출부(540p)가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된 경우, 접합부(도 8의 CP) 또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외곽에 형성되며, 단차홈(도 9의 421a) 및 개구홀(도 11의 421b)의 적어도 일부 또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합부(CP)는 도 8에만 나타나 있는데, 이는 도 9 및 도 11은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초음파 본딩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합부(CP)가 형성되는 과정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히, 도 12는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에 개구홀(421b)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 이후의 모습을 나타내며,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서로 접촉시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가까워지는 제1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가압한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 중 하나를 가압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를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홀(421b)은 패드 단자(401)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동 단자(54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패드 단자(401) 및 구동 단자(540)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구홀(421b) 뿐만 아니라 도 9의 단차홈(42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구홀(421b)은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에만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결합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가까워지는 제1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압력을 가하면, 구동 단자(540)의 일부가 제2 도전층(420)의 개구홀(421b)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구동 단자(540)를 패드 단자(401) 측으로 가압하면, 구동 단자(540)를 가압하기 이전의 형태(도 12의 X축 참조)보다 하측으로 구동 단자(540)가 이동할 수 있는데, 이는 구동 단자(540)의 일부가 개구홀(421b)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컨데, 도 4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에 진동을 가하고, 또한 초음파 본딩 공정을 통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개구홀(421b) 측으로 인입된 구동 단자(540)의 일부와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은 서로 혼합되어 접합부(CP)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접합부(CP)는 개구홀(421b) 전체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한편 개구홀(421b)의 일부를 채우도록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접합부(CP)가 개구홀(421b)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초음파 본딩을 통해 접합할 경우,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계면(interface)에서 슬립(slip)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계면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할 경우,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패드 단자(401) 및 구동 단자(540)의 경우, 패드 단자(401)에 형성되는 단차홈(421a)이나 개구홀(421b)에 구동 단자(540)의 일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진동을 인가하게 되므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 사이의 마찰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차홈(421a)이나 개구홀(421b)을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부(CP) 측의 패드 단자(401)에 형성할 경우,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마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 사이에 발생하는 슬립(slip)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 단자(540)의 돌출부(540p)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단자(540)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접합부(미도시) 또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중앙에 형성되며, 단차홈(421a) 및 개구홀(421b)의 적어도 일부 또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돌출부(540p)와 맞닿는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의 중앙에는 단차홈(42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단자(401) 및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구동 단자(540)의 일부는 단차홈(421a)으로 인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을 수행함으로써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는 접합부(미도시)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돌출부(540p)와 맞닿는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의 중앙에는 개구홀(42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패드 단자(401) 및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구동 단자(540)의 일부는 개구홀(421b)로 인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을 수행함으로써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는 접합부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단차홈(421a)과 개구홀(421b)은 패드 단자(401)가 아닌 구동 단자(54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9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구동 단자(540)의 돌출부(540p)는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540p)에는 단차홈(54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난 단차홈(541a)에 대해서는 도 9와 같이 확대하여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도 9의 단차홈(421a)과 마찬가지로 단차홈(541a)은 돌출부(540p)의 일부에 형성되며, 나머지 돌출부(540p)는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단차홈(541a) 측으로 제2 도전층(420)의 일부가 인입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접합부(미도시)를 형성하여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된 돌출부(540p)에는 개구홀(54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제2 도전층(420)의 일부는 개구홀(541b) 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접합부를 형성하여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구동 단자(540)의 돌출부(540p)는 구동 단자(540)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540p)에는 단차홈(54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제2 도전층(420)의 일부는 단차홈(541a) 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접합부를 형성하여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9를 참조하면, 구동 단자(54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540p)에는 개구홀(54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제2 도전층(420)의 일부는 개구홀(541b) 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접합부를 형성하여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단차홈(421a)과 개구홀(421b)은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된 돌출부(540p)에는 제2 단차홈(541a)이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돌출부(540p)와 맞닿는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에는 제1 단차홈(4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차홈(421a)과 제2 단차홈(541a)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서로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패드 단자(401)의 일부는 구동 단자(540)에 형성된 제2 단차홈(541a) 측으로 인입되고, 동시에 구동 단자(540)의 일부는 패드 단자(401)에 형성된 제1 단차홈(421a)으로 인입되며, 이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접합부(미도시)를 형성하여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21을 참조하면,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된 돌출부(540p)에는 제2 개구홀(541b)이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돌출부(540p)와 맞닿는 패드 단자(401)의 제2 도전층(420)에는 제1 개구홀(421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구홀(421b)과 제2 개구홀(541b)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서로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패드 단자(401)의 일부는 구동 단자(540)에 형성된 제2 개구홀(541b)로 인입되고, 동시에 구동 단자(540)의 일부는 패드 단자(401)에 형성된 제1 개구홀(421b)으로 인입되며, 이 상태에서 초음파 본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접합부를 형성하여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패드 단자(401)와 구동 단자(540)에 각각 제1 단차홈(421a) 및 제1 개구홀(421b) 중 하나 이상이, 제2 단차홈(541a) 및 제2 개구홀(541b)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경우,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 단자(540)의 중앙은 오목부(540c)로,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은 돌출부(540p)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3 내지 도 15 또는 도 18 및 도 19와 같이, 구동 단자(540)의 중앙이 돌출부(540p)로, 패드 단자(401)와 마주보는 구동 단자(540)의 일면의 외곽이 오목부(540c)로 형성된 상태에서 패드 단자(401)의 중앙에 제1 단차홈(421a) 및 제1 개구홀(421b)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구동 단자(540)의 돌출부(미도시)에도 제2 단차홈(541a) 및 제2 개구홀(541b) 중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2 및 도 23를 참조하여 패드 단자(400)의 제2 도전층(1420)(242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도 4의 패드 단자의 일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4의 패드 단자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써, 패드 단자(1400)의 제2 도전층(1420)은 복수개의 원형의 개구홀(142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2는 개구홀(1421)이 제2 도전층(1420)을 관통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홀(1421)은 구동 단자(540)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인입된 단차홈(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제2 도전층(1420)과 맞닿는 구동 단자(540)의 일부가 개구홀(1421) 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패드 단자(1400)와 구동 단자(540)를 초음파 본딩으로 결합하는 공정에서, 개구홀(1421) 측으로 인입된 구동 단자(540)의 일부에 의하여 패드 단자(1400)와 구동 단자(540)가 서로 맞물리면서, 패드 단자(1400)와 구동 단자(540)의 마찰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3을 참조하면, 패드 단자(2400)의 제2 도전층(2420)은 양측면에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개구홀(24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3 또한 도 22과 마찬가지로 개구홀(2421)이 제2 도전층(2420)을 관통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홀(2421)은 구동 단자(540)와 맞닿는 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인입된 단차홈(2421)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제2 도전층(1420)과 맞닿는 구동 단자(540)의 일부가 개구홀(2421) 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 단자(1400)와 구동 단자(540)의 초음파 본딩 공정 시 서로에 대한 마찰력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드 단자(1400)와 구동 단자(54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슬립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난 패드 단자(1400)(2400)의 제2 도전층(1420)(2420)의 다양한 형태와 관련하여서는, 도면에 나타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홈(미도시) 또는 개구홀(1421)(2421)은 제2 도전층 (1420)(2420)의 구동 단자(540)와 맞닿는 면측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구동 단자(540)와 패드 단자(400)의 결합을 위한 초음파 본딩 공정에서 구동 단자(540)와 패드 단자(400)의 마찰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400: 패드 단자
301: 디스플레이 기판 401: 패드 단자
302: 배리어막 410: 제1 도전층
307: 게이트 절연막 420, 430, 440: 제2 도전층
308: 게이트 전극 431: 컨택홀
309: 층간 절연막 500: 구동 IC
317: 박막 봉지층 510: 회로 패턴
331: 제1 절연막 530: 절연막
332: 제2 절연막 540: 구동 단자
333: 제3 절연막

Claims (26)

  1. 복수개의 패드 단자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개의 패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구동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 단자는 상기 구동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단차홈과, 상기 패드 단자를 관통하는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단자 또는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의 일부 및 상기 구동 단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 및 상기 개구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단차홈 및 상기 복수개의 개구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합부에 의해 차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드 단자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상기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패드 단자와 이격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 및 상기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패드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 및 상기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드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복수개의 패드 단자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개의 패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구동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단차홈과, 상기 구동 단자를 관통하는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단자 또는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의 일부 및 상기 구동 단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 및 상기 개구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단차홈 및 상기 복수개의 개구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합부에 의해 차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드 단자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상기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패드 단자와 이격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 및 상기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 및 상기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복수개의 패드 단자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박막 봉지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개의 패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구동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 단자는 상기 구동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제1 단차홈과, 상기 패드 단자를 관통하는 제1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와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 단차홈과, 상기 구동 단자를 관통하는 제2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홈 및 상기 제1 개구홀은 상기 제2 단차홈 및 상기 제2 개구홀과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단자 또는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의 일부 및 상기 구동 단자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홈, 상기 제2 단차홈, 상기 제1 개구홀 및 상기 제2 개구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차홈,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차홈, 상기 복수개의 제1 개구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개구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합부에 의해 차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드 단자와 접촉하는 돌출부와,
    상기 패드 단자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패드 단자와 이격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홈 및 상기 제1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패드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차홈 및 상기 제2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패드 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면의 외곽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홈 및 상기 제1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패드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차홈 및 상기 제2 개구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 단자의 중앙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패드 단자 및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에 단차홈 및 개구홀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를 서로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가 서로 가까워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을 가압하여,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 상기 단차홈 및 상기 개구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패드 단자의 일부 또는 상기 구동 단자의 일부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진동시켜 초음파 본딩(ultrasound bonding)을 통해 서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홈은 상기 패드 단자와 상기 구동 단자가 서로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은 상기 패드 단자 및 상기 구동 단자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077556A 2016-06-21 2016-06-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56A KR102654925B1 (ko) 2016-06-21 2016-06-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362,082 US10217806B2 (en) 2016-06-21 2016-11-28 Display apparatus having grooved terminals
EP17176523.3A EP3260912B1 (en) 2016-06-21 2017-06-19 Display apparatus having grooved termin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0152740.5A EP3663845B1 (en) 2016-06-21 2017-06-19 Display apparatus having grooved terminals
CN201710474301.1A CN107527937B (zh) 2016-06-21 2017-06-21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包括其的电子设备
US16/267,003 US10879335B2 (en) 2016-06-21 2019-02-04 Display apparatus having grooved terminals
US17/115,744 US11605697B2 (en) 2016-06-21 2020-12-08 Display apparatus having grooved terminals
US18/162,136 US20230172021A1 (en) 2016-06-21 2023-01-31 Display apparatus having grooved termin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56A KR102654925B1 (ko) 2016-06-21 2016-06-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6A true KR20180000046A (ko) 2018-01-02
KR102654925B1 KR102654925B1 (ko) 2024-04-05

Family

ID=5915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556A KR102654925B1 (ko) 2016-06-21 2016-06-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10217806B2 (ko)
EP (2) EP3663845B1 (ko)
KR (1) KR102654925B1 (ko)
CN (1) CN107527937B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091A (ko) * 2018-05-10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24378A (ko) * 2018-08-27 2020-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0256533A1 (ko) * 2019-06-19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칩온 필름의 제조 장치, 및 칩온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1010616A1 (ko) * 2019-07-12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27542B2 (en) 2018-07-04 2022-01-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39584B2 (en) 2019-03-21 2022-0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410967B2 (en) 2019-08-07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672158B2 (en) 2019-04-01 2023-06-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696473B2 (en) 2019-03-13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06960B2 (en) 2020-06-01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908985B2 (en) 2020-02-20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925B1 (ko) 2016-06-21 2024-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3440B1 (ko) * 2017-03-17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847733B2 (en) * 2017-08-04 2020-11-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603403B1 (ko) * 2018-08-09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213391B (zh) * 2018-09-25 2020-11-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9949703B (zh) * 2019-03-26 2021-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方法
CN109935601B (zh) * 2019-04-04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210011529A (ko) 2019-07-22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322720B2 (en) * 2020-02-27 2022-05-0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having a grooved non-display are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407A (ko) * 1997-03-05 1998-11-05 구자홍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5769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JP2007059916A (ja) * 2005-08-24 2007-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半導体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実装した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0168A (ja) * 2008-03-26 2008-07-1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27220B2 (ja) * 2005-07-26 2009-09-09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の検査方法
JP2015200753A (ja) * 2014-04-07 2015-1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637A (en) * 1977-05-31 1981-10-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making metal electrode of semiconductor device
JP3767154B2 (ja) * 1997-06-17 2006-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投写型表示装置
US6259119B1 (en) * 1997-12-18 2001-07-10 Lg. 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41840B1 (ko) * 1999-12-16 2002-06-24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성형장치 및 그 펀치 가공장치
JP2002373779A (ja) * 2001-06-13 2002-12-26 Sony Corp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電気的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US7297572B2 (en) * 2001-09-07 2007-11-20 Hynix Semiconductor, Inc. Fabrication method for electronic system modules
JP4104489B2 (ja) * 2002-05-17 2008-06-18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95518B2 (ja) * 2002-10-31 2008-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192812B2 (en) * 2002-12-20 2007-03-20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substrate
US20040178165A1 (en) 2003-03-12 2004-09-16 Konefal Robert S.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with child-resistant and non-child-resistant modes of operation
JP2005166950A (ja) 2003-12-02 2005-06-23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プラズマ発生器及びプラズマエッチング装置
JP2005166960A (ja) 2003-12-03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93606A (ko) * 2004-03-20 2005-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72767A (ko) * 2004-12-23 2006-06-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KR100671643B1 (ko) * 2006-01-27 2007-0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41131B1 (ko) * 2006-06-20 2007-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818451B1 (ko) * 2006-07-03 2008-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광성을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KR100812001B1 (ko) * 2006-11-10 2008-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SG155096A1 (en) 2008-03-03 2009-09-30 Micron Technology Inc Board-on-chip type substrates with conductive traces in multiple planes,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including such substrat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0952824B1 (ko) * 2008-06-18 2010-04-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0019896A (ja) * 2008-07-08 2010-01-28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US8665192B2 (en) 2009-07-08 2014-03-04 Hitachi Display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585013B2 (ja) * 2009-07-14 2014-09-1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US8203134B2 (en) * 2009-09-21 2012-06-19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s with enhanced isolation of memory cells, systems including same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1084256B1 (ko) * 2009-12-08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88230B2 (en) 2010-09-30 2012-10-1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Method for producing a gate electrode structure
US8409979B2 (en) * 2011-05-31 2013-04-02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interconnect structure with conductive pads having expanded interconnect surface area for enhanced interconnection properties
KR20130013515A (ko) * 2011-07-28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033071B2 (ja) * 2011-12-23 2016-11-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KR101942918B1 (ko) * 2012-05-03 2019-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어셈블리
KR101495713B1 (ko) 2012-05-07 2015-02-25 노바텍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칩온필름 장치
US20130292819A1 (en) * 2012-05-07 2013-11-0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Chip-on-film device
US9257197B2 (en) 2012-07-06 2016-02-09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or methods for operating a memory cell as an anti-fuse
US8828860B2 (en) * 2012-08-30 2014-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uble solder bumps on substrates for low temperature flip chip bonding
WO2014093266A1 (en) 2012-12-10 2014-06-19 Key Safety Systems Inc. A seat belt buckle presenter assembly
DE102013212331A1 (de) 2013-04-04 2014-10-09 Telsonic Holding A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Rohrkabelschuhs mit einer aus Aluminium hergestellten Litze
KR20150003587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358281B (zh) * 2013-07-29 2018-08-07 显色公司 电致变色装置的接触
KR20150072467A (ko) * 2013-12-19 2015-06-30 주성엔지니어링(주) 터치패널 제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212323B1 (ko) 2014-02-10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15881B1 (ko) * 2014-02-17 2021-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5169760A (ja) * 2014-03-06 2015-09-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形成基板
US9478779B2 (en) 2014-08-20 2016-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ell to cell terminal connections for a high voltage battery
CN204287637U (zh) * 2014-11-19 2015-04-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700027B2 (ja) * 2015-11-20 2020-05-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垂直共振器型発光素子
US9868630B2 (en) * 2016-05-20 2018-01-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4925B1 (ko) 2016-06-21 2024-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407A (ko) * 1997-03-05 1998-11-05 구자홍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5769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JP4327220B2 (ja) * 2005-07-26 2009-09-09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の検査方法
JP2007059916A (ja) * 2005-08-24 2007-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半導体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実装した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0168A (ja) * 2008-03-26 2008-07-1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00753A (ja) * 2014-04-07 2015-1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6348B2 (en) 2018-05-10 2021-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130091A (ko) * 2018-05-10 2019-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08398B2 (en) 2018-07-04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27542B2 (en) 2018-07-04 2022-01-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024378A (ko) * 2018-08-27 2020-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917760B2 (en) 2018-08-27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696473B2 (en) 2019-03-13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239584B2 (en) 2019-03-21 2022-0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672158B2 (en) 2019-04-01 2023-06-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0256533A1 (ko) * 2019-06-19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칩온 필름의 제조 장치, 및 칩온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1010616A1 (ko) * 2019-07-12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694990B2 (en) 2019-08-07 2023-07-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410967B2 (en) 2019-08-07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908985B2 (en) 2020-02-20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06960B2 (en) 2020-06-01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79335B2 (en) 2020-12-29
US20170365653A1 (en) 2017-12-21
US10217806B2 (en) 2019-02-26
EP3663845A1 (en) 2020-06-10
CN107527937B (zh) 2023-06-02
EP3663845B1 (en) 2022-10-19
US20210118973A1 (en) 2021-04-22
US20190172896A1 (en) 2019-06-06
KR102654925B1 (ko) 2024-04-05
EP3260912B1 (en) 2020-02-26
US11605697B2 (en) 2023-03-14
EP3260912A1 (en) 2017-12-27
CN107527937A (zh) 2017-12-29
US20230172021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9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492565B (zh) 显示装置
KR10242157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4885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8079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658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16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171194B2 (en) Display apparatus
KR102385229B1 (ko) 패드 전극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3227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407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935613B (zh) 显示面板
KR1025754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31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176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284870A (zh) 显示设备及制造显示设备的方法
KR20240038860A (ko) 표시 장치
KR2022007206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