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799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799A
KR20170080799A KR1020150189841A KR20150189841A KR20170080799A KR 20170080799 A KR20170080799 A KR 20170080799A KR 1020150189841 A KR1020150189841 A KR 1020150189841A KR 20150189841 A KR20150189841 A KR 20150189841A KR 20170080799 A KR20170080799 A KR 2017008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rotective film
disposed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697B1 (ko
Inventor
이상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697B1/ko
Priority to US15/378,709 priority patent/US10516119B2/en
Publication of KR2017008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51/5253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0097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하는 구동부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을 가지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되, 보호 필름이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제 1 방향으로 접혀지는 폴딩 영역이 배치되며, 보호 필름에는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폴딩 보강부가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폰, 랩 탑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정보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장치나, 데스크 탑 컴퓨터, 텔레비전, 옥외 광고판, 전시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보다 슬림화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는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다양한 형상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장 유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드 타입(curved type) 디스플레이 장치, 벤딩 타입(bending type) 디스플레이 장치, 폴딩 타입(folding type) 디스플레이 장치, 롤 타입(roll type)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거나(curved), 구부리거나(bendable), 접거나(foldable), 감을 때(rollable),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을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동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주보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을 가지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 필름이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제 1 방향으로 접혀지는 폴딩 영역이 배치되며, 상기 보호 필름에는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폴딩 보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는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보호 필름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폴딩 홀은 상기 보호 필름이 접히는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폴딩 홀은 스트립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폴딩 홀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보호 필름이 접히는 제 1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 1 폴딩 홀과, 이웃하는 한 쌍의 제 1 폴딩 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폴딩 홀을 포함하며, 복수의 제 1 폴딩 홀 및 복수의 제 2 폴딩 홀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홀은 몰딩부로 감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폴딩 홀이 배치된 보호 필름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보호 필름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돌기부는,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며, 상기 폴딩 홀을 매립하는 하부;와, 상기 보호 필름으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된 상부;와, 상기 하부 및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부의 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부의 단면은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는 하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폴딩 홀은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파상형이나, 사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딩 보강부는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딤플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금속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아웃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접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바깥으로 연장되는 비활성 영역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구비하며,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 1 면 상에 배칙되며,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 1 면에 반대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 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호 필름에 폴딩 보강부가 배치됨으로써, 굽힘 강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보호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폴딩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폴딩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폴딩 영역을 일부 절제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접힌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동부(130),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15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이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lectronic paper display, EDP)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 영역(active area, AA)과, 상기 활성 영역(AA)의 바깥으로 연장되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 IAA)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영역(IAA)은 상기 활성 영역(AA)을 둘러싸고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AA)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활성 영역(AA)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으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소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기판(111)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TFE, 112)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은 제 1 면(114)과, 상기 제 1 면(114)에 반대되는 제 2 면(115)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봉지층(112)은 상기 제 1 면(1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50)은 상기 제 2 면(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은 플렉서블한 소재,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상기 박막 봉지층(112)은 상기 활성 영역(AA)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112) 상에는 편광판이나, 터치 스크린이나, 커버 윈도우와 같은 기능 필름(113)이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플렉서블 필름(131),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131) 상에 배치된 구동 IC(132)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필름(131)의 일 가장자리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접속되는 구동 단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단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의 제 1 면(114)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의 패드 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이나,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일 수 있는등 플렉서블 필름에 복수의 구동 단자가 배치된 구조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부(130)는 회로 보드(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보드(140)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폴딩 영역(folding area, 116)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116)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X 방향)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115)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폭 방향(Y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X 방향)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폭 방향(Y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115)에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폴딩 영역(115)에는 회로 영역이나, 배선 영역이 배치될 수 있는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116)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접는 위치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딩 영역(116)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2 영역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폴딩 영역(115)에 배치된 가상의 폴딩 라인(folding line, FL)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다. 가상의 폴딩 라인(FL)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폭 방향(Y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밖으로 접는 아웃 폴더블(out foldable)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아웃 폴더블형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AA)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바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바깥으로 접은 상태에서도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바깥으로 접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의 제 1 면(114)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5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50)은 접혀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5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주보는 제 1 면(151)과, 상기 제 1 면(151)에 반대되는 제 2 면(152)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필름(150)의 제 1 면(151)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의 제 2 면(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11)의 제 2 면(115)과 보호 필름(150)의 제 1 면(151) 사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50)은 좌굴(buckling)과 같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률(Young's modulus)이 50GPa 이상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50)은 금속막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보호 필름(150)이 영률이 높은 소재로 제조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굽힘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굽힘 강성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보호 필름(150)에는 폴딩 보강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보강부(170)는 상기 폴딩 영역(116)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보강부(170)는 상기 폴딩 영역(116)의 적어도 일부를 절개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보호 필름(15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폴딩 영역(116)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 필름(150)에는 폴딩 영역(11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116)은 상기 보호 필름(150)의 길이 방향(X 방향)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50)은 가상의 폴딩 라인(FL)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116)에는 폴딩 보강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보강부(170)는 상기 폴딩 영역(116)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171)을 포함한다. 복수의 폴딩 홀(171)은 상기 보호 필름(150)을 관통할 수 있다. 각각의 폴딩 홀(171)은 상기 보호 필름(150)이 접히는 방향인 길이 방향(X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 폴딩 홀(171)은 스트립 형상일 수 있다. 각 폴딩 홀(171)의 가장자리에는 라운드부(17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폴딩 홀(171)의 가장자리에 노치(notch)와 같은 뾰족한 형상이 있을 경우, 폴딩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110)은 피로에 의하여 크랙이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노치와 같은 뾰족한 형상을 없애기 위하여, 각 폴딩 홀(171)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폴딩 홀(171)은 상기 폴딩 영역(116)에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폴딩 홀(171)은 상기 보호 필름(150)이 접히는 방향(X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 1 폴딩 홀(173)과, 이웃하는 한 쌍의 제 1 폴딩 홀(173)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폴딩 홀(174)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폴딩 홀(173) 및 복수의 제 2 폴딩 홀(174)은 상기 보호 필름(150)이 접히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Y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폴딩 홀(173)과, 복수의 제 2 폴딩 홀(174)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제 1 폴딩 홀(173)과, 복수의 제 2 폴딩 홀(174)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116)에 폴딩 보강부(170)가 배치되면, 굽힘 강성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딩 영역(116)은 복수의 폴딩 홀(171)이 형성된 영역만큼 반발력을 유발하는 단면 2차 모멘트(second moment of area)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폴딩 반발력은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750)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 필름(75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110)에 마주보는 제 1 면(751)과, 상기 제 1 면(751)에 반대되는 제 2 면(752)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 필름(750)에는 폴딩 영역(71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716)은 상기 보호 필름(750)의 길이 방향(X 방향)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716)에는 폴딩 보강부(7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보강부(770)는 상기 폴딩 영역(716)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771)을 포함한다. 복수의 폴딩 홀(771)은 상기 보호 필름(750)을 관통할 수 있다. 각각의 폴딩 홀(771)은 상기 보호 필름(750)이 접히는 방향인 길이 방향(X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폴딩 홀(771)은 몰딩부(780)로 감쌀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폴딩 홀(771)에는 반복적인 폴딩에 의한 상기 보호 필름(75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몰딩부(7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780)는 상기 폴딩 홀(771)이 배치된 보호 필름(75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780)는 탄성을 가진 소재, 예컨대,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몰딩부(780)는 상기 보호 필름(750)으로부터 아랫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790)를 포함한다. 각 돌기부(790)는 상기 보호 필름(750)에 접촉하는 하부(791)와, 상기 보호 필름(750)으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된 상부(792)와, 상기 하부(791) 및 상부(792)를 서로 연결하는 측부(793)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부(790)의 하부(791)는 상기 폴딩 홀(771)을 매립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부(790)는 폴딩시 간섭을 발생하지 않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기부(790)의 하부(791)로부터 돌기부(790)의 상부(792)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790)의 단면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폴딩 홀(771)에는 복수의 돌기부(790)를 가지는 몰딩부(780)가 인서트 사출되므로, 상기 보호 필름(75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폴딩 홀(171)(771)은 상기 폴딩 영역(116)(716)에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보호 필름(950)에는 폴딩 보강부(9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보강부(970)는 복수의 폴딩 홀(971)을 포함한다. 도 1의 폴딩 홀(171)과는 달리, 각각의 폴딩 홀(971)은 원형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호 필름(1050)에는 폴딩 보강부(10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폴딩 보강부(1070)는 복수의 폴딩 홀(1071)을 포함한다. 각각의 폴딩 홀(1071)은 사각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폴딩 홀은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파상형이나, 사각형 등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딩 보강부는 홀이 아닐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보호 필름(1150)에는 폴딩 보강부(117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폴딩 보강부(170)와는 달리, 상기 폴딩 보강부(1170)는 상기 보호 필름(1150)을 관통하는 홀이 아니라, 상기 보호 필름(1150)의 폴딩 영역(1116)에 인입된 복수의 딤플(dimple, 117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1170)는 폴딩 영역(1116)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구조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200)의 일 서브 픽셀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픽셀들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가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드시 도 12의 구조로만 가능한 것은 아니며, 그 수와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1200)은 디스플레이 기판(1211)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211) 상에 형성되는 박막 봉지층(124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211)은 플렉서블한 글래스 기판이나, 플렉서블한 폴리머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211)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211) 상에는 버퍼막(12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212)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211)의 윗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버퍼막(1212)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212)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버퍼막(121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박막 트랜지스터는 탑 게이트 트랜지스터(top gate transistor)를 설명하나, 바텀 게이트 트랜지스터(bottom gate transistor) 등 다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212) 상에는 반도체 활성층(121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213)은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는 것에 의하여 배치되는 소스 영역(1214)과, 드레인 영역(1215)을 포함한다. 상기 소스 영역(1214)과, 드레인 영역(1215) 사이는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는 채널 영역(1216)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213)은 유기 반도체나, 무기 반도체나,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활성층(1213)은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213) 상에는 게이터 절연막(1217)이 증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17)은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17)은 단일층,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17) 상에는 게이트 전극(121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218)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218)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218) 상에는 층간 절연막(121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219)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219) 상에는 소스 전극(1220)과, 드레인 전극(1221)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1217) 및 층간 절연막(1219)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콘택 홀을 형성하고, 콘택 홀을 통하여 소스 영역(1214)에 대하여 소스 전극(1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 영역(1215)에 대하여 드레인 전극(12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220)과, 드레인 전극(1221) 상에는 패시베이션막(122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222)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222) 상에는 평탄화막(12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222)과, 평탄화막(1223)중 어느 하나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평탄화막(12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 1 전극(1225), 중간층(1226), 및 제 2 전극(1227)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225)은 애노우드로 기능하며, 다양한 도전성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225)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한다. 이를테면, 상기 제 1 전극(1225)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1 전극(1225)은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1225)이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1 전극(1225)은 반사막과, 상기 반사막 상에 배치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평탄화막(1223) 상에는 픽셀 정의막(12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픽셀 정의막(1224)은 제 1 전극(1225)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셀 정의막(1224)은 상기 제 1 전극(1225)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것에 의하여 각 서브 픽셀의 발광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 1 전극(1225)은 서브 픽셀마다 패터닝될 수있다.
상기 픽셀 정의막(1224)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셀 정의막(1224)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225) 상에는 상기 픽셀 정의막(1224)의 일부를 에칭하여 노출되는 영역에 중간층(122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226)은 증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226)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상기 중간층(1226)은 유기 발광층(emissive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중간층(1226)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227)은 상기 중간층(122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227)은 캐소우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227)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전극(1227)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2 전극(1227)은 금속막과, 상기 금속막 상에 배치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1227)이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시, 상기 제 2 전극(1227)은 금속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1211) 상에는 복수의 서브 픽셀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서브 픽셀별로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박막 봉지층(124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1240)은 무기막(1241)과 유기막(1242)이 교대로 적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기막(1241)은 제 1 무기막(1243), 제 2 무기막(1244), 및 제 3 무기막(1245)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막(1242)은 제 1 유기막(1246) 및 제 2 유기막(1247)을 포함한다.
100...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111...디스플레이 기판 112...박막 봉지층
116...폴딩 영역 130...구동부
150...보호 필름 170...폴딩 보강부
171...폴딩 홀 172...라운드부
173...제 1 폴딩 홀 174...제 2 폴딩 홀
771...폴딩 홀 780...몰딩부
790...돌기부

Claims (20)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동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주보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을 가지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 필름이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제 1 방향으로 접혀지는 폴딩 영역이 배치되며, 상기 보호 필름에는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폴딩 보강부가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보강부는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홀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보호 필름을 관통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폴딩 홀은 상기 보호 필름이 접히는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폴딩 홀은 스트립 형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폴딩 홀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폴딩 홀은 상기 보호 필름이 접히는 제 1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 1 폴딩 홀과, 이웃하는 한 쌍의 제 1 폴딩 홀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폴딩 홀을 포함하며, 복수의 제 1 폴딩 홀 및 복수의 제 2 폴딩 홀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홀은 몰딩부로 감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폴딩 홀이 배치된 보호 필름에 인서트 사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보호 필름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기부는,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며, 상기 폴딩 홀을 매립하는 하부;
    상기 보호 필름으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된 상부; 및
    상기 하부 및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측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부의 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부의 단면은 상기 보호 필름에 접촉하는 하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폴딩 홀은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파상형이나, 사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딩 보강부는 상기 폴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금속막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아웃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접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바깥으로 연장되는 비활성 영역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구비하며,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 1 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 1 면에 반대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 2 면 상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89841A 2015-12-30 2015-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841A KR102550697B1 (ko) 2015-12-30 2015-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5/378,709 US10516119B2 (en) 2015-12-30 2016-12-14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841A KR102550697B1 (ko) 2015-12-30 2015-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799A true KR20170080799A (ko) 2017-07-11
KR102550697B1 KR102550697B1 (ko) 2023-07-04

Family

ID=5922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841A KR102550697B1 (ko) 2015-12-30 2015-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16119B2 (ko)
KR (1) KR10255069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34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00088944A (ko) * 2019-01-15 2020-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132027B2 (en) 2018-04-03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201603A1 (ko) * 2020-03-3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1206394A1 (ko) * 2020-04-07 2021-10-14 주식회사 아모센스 폴딩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0086A (ko) * 2020-04-21 2021-10-29 한국광기술원 초소형 led 적용 플렉서블 살균 건조 시스템
KR20210142999A (ko) * 2020-05-19 2021-1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US11469386B2 (en) 2020-01-13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folding area with multi-colored open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1495S1 (en) * 2017-05-31 2020-11-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29148B1 (ko) 2017-12-27 2023-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D949147S1 (en) * 2017-12-27 2022-04-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389876A (zh) * 2018-02-08 2018-08-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器
US10707289B2 (en) 2018-02-08 2020-07-07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CN108847136A (zh) * 2018-06-29 2018-11-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300857A (zh) * 2018-08-30 2019-0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
KR102647358B1 (ko) * 2018-09-12 202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3441B1 (ko) * 2018-12-03 202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61702B1 (ko) * 2018-12-28 202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637363B (zh) * 2019-01-31 2020-05-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面板的背板结构、双面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JP2020126298A (ja) 2019-02-01 2020-08-2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JP2020140007A (ja) * 2019-02-27 2020-09-0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US11137802B2 (en) * 2019-04-21 2021-10-05 Lenovo (Singapore) Pte. Ltd. Anti-warp bezel for foldable device
KR20200126449A (ko)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970391A (zh) * 2019-05-20 2020-11-20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屏幕组件、屏幕保护件及其制作方法
JP2020201698A (ja) * 2019-06-10 2020-12-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及び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
US11785812B2 (en) * 2019-07-31 2023-10-10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via to release internal stress
KR20210056484A (ko) * 2019-11-08 2021-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JP6721853B1 (ja) * 2019-12-27 2020-07-15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機器
JP6843221B1 (ja) * 2019-12-27 2021-03-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機器、ベゼル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02562A (ko) * 2020-02-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03727B2 (en) 2020-02-14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49108B2 (en) * 2020-03-05 2022-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device
CN111429804B (zh) 2020-04-02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1508357A (zh) * 2020-04-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11536144B (zh) * 2020-05-19 2021-1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转轴支撑结构、显示装置及其装配方法
CN111508370B (zh) * 2020-05-19 2023-0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JP6952833B1 (ja) * 2020-05-20 2021-10-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211928943U (zh) * 2020-05-29 2020-11-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背板及显示装置
CN111724678A (zh) * 2020-06-08 2020-09-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柔性显示设备
JP7382109B2 (ja) * 2020-06-15 2023-11-16 武漢華星光電半導体顕示技術有限公司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WO2022003845A1 (ja) * 2020-07-01 2022-01-0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20017176A (ko) * 2020-08-04 2022-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34765A1 (ja) * 2020-08-11 2022-02-17 株式会社ワコム 電子機器
KR20220086028A (ko) * 2020-12-16 2022-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10076A (ko) * 2021-07-08 202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US20230195173A1 (en) * 2021-12-22 2023-06-22 Wuhan China Star Optoelect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547A (ko) * 2011-06-03 2014-03-0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가요성 디스플레이 플렉셔 조립체
KR20140085956A (ko) * 2012-12-28 201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WO2015028704A1 (en) * 2013-09-02 2015-03-05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974B1 (ko)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EP2807529B1 (en) * 2012-02-16 2018-01-10 Apple Inc. Interlocking flexible segments formed from a rigid material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KR101969101B1 (ko) 2013-03-28 2019-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342106B2 (en) 2013-06-05 2016-05-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components in a folded device
KR102097031B1 (ko) 2013-07-22 2020-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114319B1 (ko) 2014-01-22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8724B1 (ko) 2014-02-17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309411B1 (ko) * 2014-10-27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US9379355B1 (en) * 2014-12-15 2016-06-28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upport layer with rounded edge
USD788734S1 (en) * 2015-02-0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1765121B1 (ko) * 2015-06-10 2017-08-04 (주) 프렉코 연동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KR102369943B1 (ko) 2015-06-25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547A (ko) * 2011-06-03 2014-03-05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가요성 디스플레이 플렉셔 조립체
KR20140085956A (ko) * 2012-12-28 2014-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WO2015028704A1 (en) * 2013-09-02 2015-03-05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2027B2 (en) 2018-04-03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03912B2 (en) 2018-04-03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03913B2 (en) 2018-04-03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060134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00088944A (ko) * 2019-01-15 2020-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469386B2 (en) 2020-01-13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folding area with multi-colored openings
US11943996B2 (en) 2020-01-13 2024-03-2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cushion filled openings
WO2021201603A1 (ko) * 2020-03-3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1206394A1 (ko) * 2020-04-07 2021-10-14 주식회사 아모센스 폴딩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CN115380173A (zh) * 2020-04-07 2022-11-22 阿莫善斯有限公司 折叠板及折叠板的制造方法
KR20210130086A (ko) * 2020-04-21 2021-10-29 한국광기술원 초소형 led 적용 플렉서블 살균 건조 시스템
KR20210142999A (ko) * 2020-05-19 2021-1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4580A1 (en) 2017-07-06
KR102550697B1 (ko) 2023-07-04
US10516119B2 (en)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69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234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350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144426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ulti-thickness function layer
US1167545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42157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09491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510821B2 (en) Display device
US9997427B2 (en) Display panel with dam structure
KR2016014938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8440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2958A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31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07534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80121256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284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407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54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17405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