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635A -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 Google Patents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635A
KR20170142635A KR1020160076424A KR20160076424A KR20170142635A KR 20170142635 A KR20170142635 A KR 20170142635A KR 1020160076424 A KR1020160076424 A KR 1020160076424A KR 20160076424 A KR20160076424 A KR 20160076424A KR 20170142635 A KR20170142635 A KR 2017014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bacillus licheniformis
glucosidase
glucosidase inhibitors
glucosidase inhib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4705B1 (ko
Inventor
이해익
김희웅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705B1/ko
Priority to PCT/KR2017/001754 priority patent/WO2017222142A1/ko
Priority to JP2018565720A priority patent/JP6785324B2/ja
Publication of KR2017014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C12R1/1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0Bacillus licheniform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를 고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수탁번호KCTC13021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는, 혐기성 조건에서도 서식이 가능한 신균주로서, 장내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여 공급하므로 유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우수한 체중감량 및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장내에 고착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서식하는 특성을 나타내 필요에 따라 투여된 균주 또는 균주가 생산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배출이 가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생성을 위한 별도의 발효비용 및 가공비가 필요하지 않아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발효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식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Novel strains of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producing high amount of α-glucosidase inhibitors}
본 발명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신균주인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Bacillus licheniformis NY1505)에 관한 것이다.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s)는 일부의 식물이나 미생물에 분포하며, 올리고당을 단당류로의 분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의 저해는 장내에서 당류의 원활한 흡수를 저해함으로써 식후 혈당상승 억제는 물론이고 비만치료와 같은 부수적인 효과가 기대가 되므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필요성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물 기원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는 뽕잎에 함유된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eoxynojirimycin)과 같은 아자당(aza sugar)류, 콩에 함유된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과 같은 이소플라본(isoflavone), 일부의 플라본 배당체(flavone glycoside) 등이 알려져 있으며, 미생물 기원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로는 악티노플라네스속(Actinoplanes) 균주 기원의 유사올리고당(pseudooligosaccharide), 스트렙토미세스속(Streptomyces) 또는 바실러스속(Bacillus) 등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1-데옥시노지리마이신(1-deoxynojirimycin), 트리스 염(tris bas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으로는 아카보오스(acarbose), 보글리보오스(voglibose) 등과 같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들이 이미 당뇨병 치료제로서 시판되고 있다.
최근, 혈당강하에 효과가 있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식품으로 섭취하기 위해 식용 가능한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식품으로 사용되는 천연물 기원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식물의 경우 뽕잎, 미생물의 경우 일부의 낫토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의 1차 가공품 또는 추출물은 대량으로 생산이 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냄새, 색택과 같은 기호성을 떨어뜨리는 인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품의 다양화에 제한이 있다. 또한, 이들은 식물 또는 미생물이 생산한 이차대사산물을 이용하는 경우이므로 하루에 수회 일정량을 복용하여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젖산균 등과 같은 장내 세균은 장내에서 서식하며 증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와 같은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는 장내 세균은 장내에서 증식하며 끊임없이 장내 환경에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여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종래에 알려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등과 같은 일부의 낫토균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호기성 균으로 장내에서 서식하기 힘들기 때문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증식으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장내에서 공급받기는 어렵고, 낫토의 섭취를 통해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다량 섭취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내에서 서식이 가능하고,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성할 수 있어 체중 감량과 혈당강하 등을 위한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한 새로운 균주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3847호 (2014.10.23.)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8997호 (2007.03.13.)
해외논문(Zhu Y.P, Li X.T, Teng C, Sun B.G, "Enhanced produc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 by a newly isolated strain of Bacillus subtilis B2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AND BIOPRODUCTS PROCESSING Vol. 91 No. 3 264p ~ 270p) 국내논문(김현수, 이재연, 황교열, 조용석, 박영식, 강경돈, 성수일,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1-deoxynojirimycin을 생산하는 Bacillus 균주의 분리 및 동정"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ol. 39, No. 1, 49-55 (2011))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이 강한 장내 미생물을 선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미생물들 중에서 통성 혐기성이고 포자를 형성하며 장내에서 증식이 가능한 GRAS 균으로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으로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를 분리·동정하였으며, 상기 미생물의 발효물 또는 포자를 포함한 영양세포는 체중 감량과 혈당강하를 목적으로 식품, 의약품, 사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신균주인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를 고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수탁번호KCTC13021BP)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N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혐기성이거나, 또는, 호기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는 포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균주가 투여된 후, 생물체로부터 2주 이내에 배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는 동물의 장내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할 수 있으며, 장내에서 생산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상기 균주가 투여된 후, 생물체로부터 2주 이내에 배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균주가 포자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고, 1 kg 당 106 내지 1010개의 포자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발효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효물은 대두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는, 혐기성 조건에서도 서식이 가능한 신균주로서, 장내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여 공급하므로 유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우수한 체중감량 및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장내에 고착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서식하는 특성을 나타내 필요에 따라 투여된 균주 또는 균주가 생산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배출이 가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생성을 위한 별도의 발효비용 및 가공비가 필요하지 않아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발효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식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고탄수화물 식이의 급여시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주 포자의 투여가 마우스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 고탄수화물식이군 및 고탄수화물식이 + 포자군).
도 2는 고지방 식이의 급여시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 포자의 투여가 마우스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 고지방식이군 및 고지방식이 + 포자군).
도 3은 마우스의 분변에 포함된 균주 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고탄수화물식이 + 포자군 및 고지방식이 + 포자군).
도 4는 마우스의 분변에 포함된 α-글루코시다아제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고탄수화물식이 + 포자군 및 고지방식이 + 포자군).
도 5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의 분류학상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를 고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수탁번호KCTC13021BP)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볏짚 및 건초를 시료로 하여 내열성 포자를 형성하는 균을 분리고, 생체내에서 생육이 가능하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고생산하는 균주를 선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균주는 하기 서열번호 1의 16s RN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열번호 1:
AGGGCTTCCCCTTCGGGGGCAGAG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GATCTTAGTTGCCAGCATTCAGTTGGGCACTCTAAGGT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GCAGAACAAAGGGCAGCGAAGCCGCGAGGCTAAGCCAATCCCACAAATCTGTTCTCAGTTCGGATCGCAGTCTGCAACTCGACTGCGTGAAGCTGGAATCGCTAGTAATCGCGGATCAGCAT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CGAGAGTTTGTAACACCCGAAGTCGGTGAGGTAACCTTTTGGAGCCAGCCGCCGAAGGTGGGACAGATGATTGGGGTGAAGTCGTACAGGGAAAA
상기 균주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장내에서 고수율로 생산가능하는 혐기성 특성과 생체외에서도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가능한 호기적 특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상기 균주는 포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장내에 고착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서식하는 특성을 나타내, 필요에 따라 투여된 균주의 제거가 가능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주는 생물체에 투여된 후, 2주 경과하는 시점에 생물체외로 배설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주 경과하는 시점에 배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균주는 장내에서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할 수 있어,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유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장내에서 생산한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배설이 가능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균주가 생물체에 투여된 후, 2주 경과하는 시점에 생물체외로 배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방법에 의해 투여하여 장내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어, 생물체외로 배출이 가능해 체중 감량과 혈당강하의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의 배양방법에 의해 배양된 균주, 균주의 포자 또는 균주의 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포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품 조성물은 1 kg 당 106 내지 1010개의 포자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여 상기 균주가 장내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균주의 발효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효물은 상기 균주를 대두에 접종하여 발효한 대두 발효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탐색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약 500여점의 볏짚 및 건초를 시료로 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각 시료를 멸균 식염수에 소량 가하여 현탁시킨 다음 80℃ 항온 수조에서 20분간 열처리하여 얻은 포자액을 2% 한천을 함유하는 LB 평판배지(1% 트립톤, 0.2% 설탕, 0.5% 효모추출물 및 0.5% NaCl, pH7.0)에 도말하고, 55℃ 배양기에서 2일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균 집락을 형성하는 균체를 분리하였다.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리된 균주를 5 ml의 5% 콩가루를 현탁한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으로부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활성을 측정하였다(표 1의 호기적 배양). 상기의 과정으로 약 60종의 통성혐기성 세균을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생산균으로 1차 선발 한 후, 50℃에서 혐기적으로 생육이 가능하고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을 자화하는 균주를 선발하여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이 높은 3종을 2차 선발하였으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으로부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활성을 측정하였다(표 1의 혐기적 배양). 상기한 3종의 균주는 버지스 매뉴얼(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002)에 의한 분류학적 특성 분석 방법에 따라서 분류하였으며, 그 중 1종이 식용 가능한 균인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어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Bacillus licheniformis NY1505)로 명명하고, 상기 균주가 하기 서열번호 1의 16S RNA서열을 갖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서열을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2016.05.03.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13021BP).
서열번호 1:
AGGGCTTCCCCTTCGGGGGCAGAG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GATCTTAGTTGCCAGCATTCAGTTGGGCACTCTAAGGT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GCAGAACAAAGGGCAGCGAAGCCGCGAGGCTAAGCCAATCCCACAAATCTGTTCTCAGTTCGGATCGCAGTCTGCAACTCGACTGCGTGAAGCTGGAATCGCTAGTAATCGCGGATCAGCAT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CGAGAGTTTGTAACACCCGAAGTCGGTGAGGTAACCTTTTGGAGCCAGCCGCCGAAGGTGGGACAGATGATTGGGGTGAAGTCGTACAGGGAAAA
2. 낫토의 제조
콩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불린 후 121℃에서 40분 동안 삶았다. 삶은 콩을 냉각하기 전 g당 103마리의 포자를 접종한 후, 50g씩 낫토 제조용 발포스티렌 용기에 넣고 비닐막을 씌운뒤 37℃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낫토를 12시간 동안 냉장보관 후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표 1의 낫토).
3.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측정
α-글루코시다아제는 돼지의 소장으로부터 추출하여 부분 정제한 것을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α-글루코시다아제 효소액은 24unit/ml가 되게 0.5M 인산염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으로 적당히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기질은 p-니트로페닐 α-D-글루코피라노시드(p-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pNPG)를 이용하였다. 시험관에 배양 상등액 30μl와 효소 50μl를 섞어 37 ℃에서 10분간 예비 보온을 한 후, 3mM pNPG 50μl를 첨가하고 37 ℃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0.1M Na2CO3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으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의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단위(α-glucosidase inhibition unit, AGI unit)는 하기 수학식 1에서 활성 측정에 사용된 α-glucosidase를 100% 저해할 때의 저해제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소의 공급 여부에 관계 없이 균일한 AGI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Bacillus licheniformis가 통성 혐기성 세균이므로 혐기적인 조건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물의 장관 내에서 Bacillus licheniformis는 증식을 하며 유용한 생리 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4.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의 식이 실험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가 동물의 장관내에서 유용물질을 생산 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의 사료에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포자를 혼합하여 투여함으로서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의 장내 증식 여부, 장내에서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생산 여부 등을 검토하였다.
먼저, α-Glucosidase저해제를 생산하는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의 포자를 혼합한 사료(108포자/kg사료)를 마우스에 급여하며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시판되는 표준사료와 물을 자유로 급여하며 수컷 마우스(00주령)를 1주일간 예비 사육한 후 사용하였다. 명암 사이클은 오전 08:00시에서 오후 20:00를 명기, 오후 20:00에서 오전 08:00를 암기로 하였으며, 22.5±0.5℃의 온도 및 50 내지 60%의 습도가 유지되는 환경하에서 사육하였다. 비만 유도식으로 하기 표 2 및 표 3의 고탄수화물 식이와 고지방 식이로 하였으며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의 포자가 함유된 사료는 각각의 비만 유도식 1kg당 108포자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마우스는 5개의 군(각 8마리)으로 나누어, 대조군, 고탄수화물식이군, 고탄수화물 식이 + 포자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 + 포자군으로 나누어 각각 7주간 사육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1) 고탄수화물 식이의 급여시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 포자의 투여가 마우스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탄수화물 식이 급여된 마우스의 체중(body weight, 단위 gram)에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 포자의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탄수화물사료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뚜렷한 체중 증가를 보이나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의 포자가 혼합된 고탄수화물 사료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체중 증가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고지방 식이의 급여시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 포자의 투여가 마우스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
고지방 식이 급여된 마우스의 체중에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 포자의 투여가 마우스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사료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뚜렷한 체중 증가를 보이나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의 포자가 혼합된 고지방 사료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체중 증가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분변으로 배설되는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수의 변화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 포자가 투여된 마우스의 변에 포함된 포자수를 측정하여 변으로 배설되는 균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료 1g 당 105마리의 포자가 혼합되어 있고 한 마리 당 하루에 약 5g의 사료를 섭취하므로 하루에 약 5 x 105 마리의 포자를 섭취한다. 포자 투여 3주후에는 분변 1g 당 약 107마리의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가 검출되므로 장내에서 본 균주가 왕성하게 증식하여 배출됨을 알 수 있었다. 포자를 7주간 투여한 경우, 포자를 투여하지 않은 1주일 만인 8주차에는 균의 숫자가 현격히 감소하므로 장내에 고착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균주의 투여를 중단하면 장내 균총의 변화가 예상되므로 필요에 따라 장내에서 본 균주의 제거도 가능한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변으로 배설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의 변화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균 포자가 투여된 마우스의 변에 포함된 α-글루코시다아제의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는 변으로 배출될 정도로 장내에서 왕성하게 증식하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자가 투여된 마우스의 2주 경과한 시점의 변에서 장내에서 증식한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가 변으로 배출되어 활성이 검출되었다. 또한, 4주차부터는 7주까지는 배출되는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의 양이 안정화되는 시기로 배출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양도 일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는 항상 장내에서 생산되므로 장내에서의 농도가 일정량 유지되며 효율이 높게 작용하는 장점을 가지며 생산된 저해제의 일정량이 배출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분변으로 배출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활성을 보면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로 제조한 낫토의 활성(표 1)과 비교하여 보면 상당한 양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가 장내에서 생산되고 그 일부가 배출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가 발효에 의해 생성된 생리활성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체내에서 균주가 생리활성물질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공급하므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생성을 위한 별도의 발효비용 및 가공비가 필요하지 않아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하므로서 유효한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용균의 포자를 이용하므로서 발효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에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분리된 균주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규명
(1) 분리된 균주의 형태학적 특성
상기와 같이 분리된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균주는 LB 한천 평판배지에서 콜로니의 중앙부분은 옅은 적갈색을 나타내며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외형을 나타내었다(도 5). 균의 생육이 가능한 온도 범위는 25 내지 50 ℃의 범위에서 성장이 양호하였으며, 60 ℃ 이상에서는 균체 성장이 확인되지 않았다. LB 액체배지를 이용한 균체 성장의 대수기에서 현미경 관찰한 결과, 그람 양성의 짧은 막대모양을 나타내면 비교 균주인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와 유사하였다. 또한, 분리한 균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람 양성이었고, 세포의 크기는 대략 0.5~0.7 × 1.5~1.8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한 결과를 종합하여,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의 분류학상 위치를 도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2) 분리된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버지스 매뉴얼(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002)에 의한 바실러스속 균주의 분류학적 특성 분석 방법과 API50CHB 키트(BioMerieux사, France)를 사용하여, 분리된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 분리한 균주는 그람 양성의 원통형으로 포자는 세포 중앙에 형성되며, 질산염의 환원력은 양성이며, 인돌 형성은 음성이었다. 또한, 카제인과 전분을 분해하며, 카탈라아제 양성이며, 호기적 조건 및 혐기적 조건에서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생화학적 특성(API test 결과)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다.
Figure pat000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 KCTC13021BP 20160503
<110>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Novel strains of 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producing high amount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s <130> p160454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15 <212> RNA <213> Bacillus licheniformis <400> 1 gttttagagt ttgaatcatg gctcaggacg aacgctggcg gcgtgcctaa tacatgcaag 60 tcgagcggac cgacgggagc ttgctccctt aggtcagcgg cggacgggtg agtaacacgt 120 gggtaacctg cctgtaagac tgggataact ccgggaaacc ggggctaata ccggatgctt 180 gattgaaccg catggttcaa tcataaaagg tggcttttag ctaccactta cagatggacc 240 cgcggcgcat tagctagttg gtgaggtaac ggctcaccaa ggcgacgatg cgtagccgac 300 ctgagagggt gatcggccac actgggactg agacacggcc cagactccta cgggaggcag 360 cagtagggaa tcttccgcaa tggacgaaag tctgacggag caacgccgcg tgagtgatga 420 aggttttcgg atcgtaaaac tctgttgtta gggaagaaca agtaccgttc gaatagggcg 480 gtaccttgac ggtacctaac cagaaagcca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540 tacgtaggtg gcaagcgttg tccggaatta ttgggcgtaa agcgcgcgca ggcggtttct 600 taagtctgat gtgaaagccc ccggctcaac cggggagggt cattggaaac tggggaactt 660 gagtgcagaa gaggagagtg gaattccacg tgtagcggtg aaatgcgtag agatgtggag 720 gaacaccagt ggcgaaggcg actctctggt ctgtaactga cgctgaggcg cgaaagcgtg 780 gggagcgaac aggattagat accctggtag tccacgccgt aaacgatgag tgctaagtgt 840 tagagggttt ccgcccttta gtgctgcagc aaacgcatta agcactccgc ctggggagta 900 cggtcgcaag actgaaactc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960 ggtttaattc gaagcaacgc gaagaacctt accaggtctt gacatcctct gacaacccta 1020 gagatagggc ttccccttcg ggggcagagt gacaggtggt gcatggttgt cgtcagctcg 1080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ccttgatctt agttgccagc 1140 attcagttgg gcactctaag gt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ggggatgacg 1200 tcaaatcatc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g cagaacaaag 1260 ggcagcgaag ccgcgaggct aagccaatcc cacaaatctg ttctcagttc ggatcgcagt 1320 ctgcaactcg actgcgtgaa gct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tgccgcggtg 1380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cgagagtttg taacacccga 1440 agtcggtgag gtaacctttt ggagccagcc gccgaaggtg ggacagatga ttggggtgaa 1500 gtcgtacagg gaaaa 1515

Claims (13)

  1.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α-glucosidase inhibitor)를 고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Bacillus licheniformis NY1505, 수탁번호KCTC13021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서열번호 1의 16s RN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혐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호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생물체로부터 투여 후 2주 이내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장내에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8. 제1항에 있어서, 장내에서 생산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가 생물체로부터 균주 투여 후 2주 이내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포자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1 kg 당 106 내지 1010개의 포자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상기 균주의 발효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이 대두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60076424A 2016-06-20 2016-06-20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KR10185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24A KR101854705B1 (ko) 2016-06-20 2016-06-20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PCT/KR2017/001754 WO2017222142A1 (ko) 2016-06-20 2017-02-17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JP2018565720A JP6785324B2 (ja) 2016-06-20 2017-02-17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を多量生産するバチルス・リケニフォルミスNY1505菌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424A KR101854705B1 (ko) 2016-06-20 2016-06-20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635A true KR20170142635A (ko) 2017-12-28
KR101854705B1 KR101854705B1 (ko) 2018-05-04

Family

ID=6078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424A KR101854705B1 (ko) 2016-06-20 2016-06-20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85324B2 (ko)
KR (1) KR101854705B1 (ko)
WO (1) WO20172221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692A (ko) 2020-10-06 2022-04-13 이해익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cc 균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733B1 (ko) * 2019-07-09 2021-04-0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4752518B (zh) * 2022-01-21 2024-04-16 武汉中博绿亚生物科技有限公司 地衣芽孢杆菌xcl-09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381A (en) 1994-06-30 1996-12-3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Bacillus licheniformis producing antifungal agents and uses thereof for control of phytopathogenic fungi
KR100708286B1 (ko) * 2005-09-08 2007-04-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알파 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균주 및 그제조방법
KR101302652B1 (ko) * 2011-03-21 2013-09-03 (주)바이오토피아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66268B1 (ko) * 2014-04-07 2016-10-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취가 경미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제 생산을 위한 배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692A (ko) 2020-10-06 2022-04-13 이해익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cc 균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705B1 (ko) 2018-05-04
WO2017222142A1 (ko) 2017-12-28
JP6785324B2 (ja) 2020-11-18
JP2019517810A (ja)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2104B2 (ja) 新たなバチルス・サブチルス{novelbacillussubtilis}
EA028359B1 (ru) Штамм bacillus для добавки к корму животных,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RU2564127C2 (ru) Композиция палочковидных бактерий, устойчивых к желчи и секретирующих высокие уровни незаменимых аминокислот
Ilavenil et al.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strains with antifungal activity isolated from animal manure
KR101845709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4134083B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应用
KR102387028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cc 균주
KR101854705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CN113717881A (zh) 一种凝结芽孢杆菌bc66及其应用
KR101873898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0264361B1 (ko)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pmo08(kfcc-11028)미생물
KR20180017489A (ko)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cjls1511, 상기 균 또는 이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균체의 제조 방법
KR20000073915A (ko) 가축용 복합 미생물 제제
KR100803532B1 (ko)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CN109897800A (zh) 一株富硒坚强肠球菌a8-1及其应用
CN116286514A (zh) 多功能菌剂及其所含的罗伊氏乳杆菌及其应用
KR101431250B1 (ko) 병원성 미생물의 항균활성을 가진 신규한 유산균과 유기물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용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CN114657082B (zh) 一种乳酸乳球菌及其应用
KR19990035280A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y 2104 및 그 용도
KR100621657B1 (ko)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좋고 효소의 생산이 우수한 신규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유비티-엠02 균주 , 이 신규 균주를이용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 사료첨가제를 함유하는가축 사료
KR100500397B1 (ko) 가금 티푸스 원인균 살모넬라 갈리나륨에 대한 항균활성이있는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용복합미생물제제
KR10179713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445292B1 (ko) 다기능 프로바이오틱능력을 가지는 신규 엔테로코카스 페시움 유비티-엠01
KR100372160B1 (ko) 열 및 산에 안정한 새로운 유산균 락토바실러스헬베티쿠스 brd-001 및 고농도 배양방법
RU2268925C2 (ru) Пробиотик лактомикроцикол,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и откорма бройлерной пт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