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139B1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139B1
KR101797139B1 KR1020160068188A KR20160068188A KR101797139B1 KR 101797139 B1 KR101797139 B1 KR 101797139B1 KR 1020160068188 A KR1020160068188 A KR 1020160068188A KR 20160068188 A KR20160068188 A KR 20160068188A KR 101797139 B1 KR101797139 B1 KR 10179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culture
lactobacillus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Priority to KR102016006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Y2220/00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과,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균주와 그 배양물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고, 열, pH, 유기용매, 가수분해효소 등에 대해 안정성이 뛰어나며, 동물의 장내 유해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면서 대장염의 예방 내지 치료 효과가 우수하므로, 생균제 조성물, 동물 사료용 조성물, 식품 조성물, 대장염의 예방 치료용 약학 조성물 등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Lactobacillus gallinarum strai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과,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축의 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여 가축의 질병을 예방, 치료함으로써 축산의 생산성을 높여왔으나, 축산물 내에 항생제가 잔류하거나 축산물의 항생제 내성이 점점 증가하였고, 이러한 잔류 항생제나 그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사람에게까지 전이되는 등의 문제가 대두하였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EU)에서는 2006년부터 사료 내 항생제 첨가를 금지하였고, 국내에서는 2011년부터 배합사료 내 항생제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였다.
가축 사료 내에 항생제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항생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들에 대해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 생균제(probiotics)가 주목을 받고 있다.
생균제는 적절한 양으로 섭취되었을 때 숙주의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이다. 생균제가 주목받는 이유는 동물의 소화관 내에 도달해서 장내에서 증식하고 있는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고, 유산균 등의 유용균을 증식시켜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유지하며, 동물의 영양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균제를 가축에게 적용하는 경우 가축에 대해 안전해야 하며, 항균성 물질과 함께 사료 내에 병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항균성 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가축의 장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생균제는 숙주 동물에 대해 독성이 없으면서, pH나 온도 등의 생육조건이 넓고, 위나 십이지장에서 죽지 않고 충분한 균량으로 소장이나 대장까지 도달하여 젖산을 생성하고 유해균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하며, 동물의 장내에 잘 정착하여 장내 균총을 정상화할 수 있어야 한다.
가축에게 적용할 생균제는 가축의 장내에서 분리하여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축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많은 생균제들은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동물 섭취에 적합한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양계장의 닭의 분변으로부터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고서, 상기 균주 및 이의 배양물이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나타내고, 다양한 장내 유행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며, 동물의 대장염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닭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되어 항균 활성이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대장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닭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되어, 내산성 및 내담즘성을 나타내고,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를 제공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본 발명에서 CS L001로 명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16S rRNA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나타내고,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유해세균은, 예를 들어, 쥐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세라티아 마르세센스균(Serratia marcesc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스트렙토코쿠스 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intermedius), 부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하나 이상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동물의 대장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고, 열, pH, 유기용매, 가수분해효소 등에 대해 안정성이 뛰어나며, 동물의 장내 유해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면서 대장염의 예방 내지 치료 효과가 우수하므로, 생균제, 동물 사료용 첨가제, 식품,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등으로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를 MRS 고체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7℃에 배양한 후 형성된 원형 집락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ATCC 33199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과 대비한 도이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JCM 201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과 대비한 도이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기초로 하여 다른 락토바실러스 종과 대비한 계통도이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를 pH 2.5에서 처리하였을 때 생존 균수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를 0.3% 담즙산이 함유된 MRS 액체배치에서 생육하였을 때 생존 균수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의 대장염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발명이 관련된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재료, 방법 및 실시예는 오직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양계장에서 사육하고 있는 닭의 분변 시료로부터 장내 물질을 채취하였다. 이를 희석하고 배양하여 형성된 집락 형태가 다른 균주들을 각각 순수 분리 및 동정하였고, 그 중에서 내산성 및 내담즙성 평가에서 사멸하지 않고 여러 유해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CS L001 균주를 선발하였다. CS L001 균주는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는 간균이었고, MRS 고체배지에서 최대 직경 1mm 이내의 유백색 원형 집락을 형성하였다(도 1 참조). 특히 CS L001 균주는 pH 2.5 환경에서의 내산성 평가와 0.3% 담즙산을 함유하는 환경에서의 내담즙성 평가에서 사멸하지 않았으므로, 위장 환경에서도 살아남아 소장 내지 대장에 도달하여야 하는 생균제로서의 조건을 충족시킨다(도 6 및 도 7 참조).
CS L001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가진다(도 2 참조). CS L001 균주의 16S rRNA는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균주인 ATCC33199 및 JCM2011의 16S rRNA와 99%의 염기서열 상의 상동성을 가진다(도 3 및 도 4 참조). 분자계통분류학적 분석에 의하면 CS L001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이다(도 5 참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6년 4월 8일자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는 젖산균의 일종으로, 그람 양성의 통성 혐기성 세균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막대기 모양의 간균이다. 락토바실러스는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장내 합성뿐만 아니라, 소화촉진, 면역촉진 등의 작용을 하며, 초산과 젖산 등의 유기산을 생성하여 장내 유해세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며, 장내 세균 균총의 균형을 유도하여, 여러 장관 질환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 락토바실러스는 사람이나 동물의 구강, 장관, 육, 소의 첫번째 위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genus)에는 생육온도, 당류의 발효 양상, 생성된 유산의 광학이성질체 등의 성질에 따라 180종 이상의 종(species)이 있다.
락토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대표적인 종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등이 알려져 있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은 1992년에 ATCC33199 균주가 처음으로 동정되어 알려졌으나(토모히코 후지사와(Tomohiko Fujisawa) 등, Int . J. Syst. Bacteriol . 42(3): 487-791 (1992)), 락토바실러스 속의 다른 종에 비해서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는 양계장에서 사육하는 닭의 장내 물질로부터 분리되었는데, 간상형의 그람 양성 균주로 포자를 생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카탈라아제 및 옥시다아제를 생산하지 않고,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가진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는 장내 유해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가진다. 상기 균주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장내 유해 세균은, 예를 들어, 쥐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세라티아 마르세센스균(Serratia marcesc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스트렙토코쿠스 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intermedius), 부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등이 있으나, 이들 세균에 대해서만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로부터의 배양물은 pH 3 내지 pH 11의 다양한 pH 환경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발휘하여 우수한 pH 내성을 나타내고, 2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한 후에도 항균 활성을 보여주며, 클로로포름,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등의 유기용매로 처리한 후에도 여전히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리파제, 트립신, 키모트립신, 펩신, 아밀라제 등의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한 후에도 항균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와 이의 배양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유산균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균주와 이의 배양물은 15℃ 내지 43℃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생장하고, 호기 및 혐기의 배양조건에서 생장하며, 장내 유해 세균을 억제하고 장내 균총의 균형을 도모하므로, 생균제 조성물로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균제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며, 동물의 섭취에 적합하고 장관 건강에 유익한 다른 공지의 미생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균제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나 담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균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열건조나 동결건조될 수 있고, 분말 형태, 캡슐 형태, 현탁액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균제 조성물은 동물 숙주의 장관 내에서 유해 세균들의 생육을 억제하여, 유해 세균들로 인한 각종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장내 균총을 회복, 유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장내 유해 세균 억제제, 정장제, 면역 증강제, 살균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며, 다른 공지의 성분들과 함께 동물 사료에 첨가되어 동물의 장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에게 적용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축동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닭, 오리, 거위, 칠면조, 개, 소, 돼지, 고양이, 양, 염소, 말 등에 적용될 수 있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닭에 적용되나, 적용범위가 이들 동물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적용 대상 동물과 그 동물이 처한 환경에 따라 조성물 내의 함량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적절히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의 함량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동물 사료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 범위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배합사료, 발효사료, 펠렛, 사일리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 엑기스, 즙, 과자, 젤리 등 여러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될 수 있는데, 다른 공지의 식품 성분들과 함께 식품 제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적절하게 공지의 다른 성분들과 배합하여 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과 함께 배합될 수 있는 공지의 성분들로는, 예를 들어, 각종 당류, 당알코올, 감미제, 비타민, 무기질, 유기산, 풍미제, 착색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제조되는 식품의 종류와 형태 등에 따라 조성물 내의 함량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적절히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의 함량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발효유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는 경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 범위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장관 질환을 예방 내지 치료하는 약학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며, 상기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대장염, 위장관염, 설사, 변비, 복통, 복부팽만, 식중독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질환은 장내 유해 미생물에 의한 장관 질환일 수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로는, 예를 들어, 쥐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세라티아 마르세센스균(Serratia marcesc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스트렙토코쿠스 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intermedius), 부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등이 있으나, 이들 미생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담체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안정제, 감미제, 방부제 중에서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고,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항산화제, 향료, 비타민류 등의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동물의 장내 유해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장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진피내, 근육내, 복막내, 정맥내, 피하내, 코안, 경막외 및 구강경로를 통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 환제, 산제 또는 과립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는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패취제 또는 주사제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동물의 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임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인지하듯이, 사용되는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의 양은 적용 대상의 특성, 적용 환경, 적용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약학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용 대상에게 상기의 양을 1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 및 투여회수는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 )의 분리 및 특성 분석
양계장에서 닭의 분변을 채취수집하여 바로 냉장에 보관하였고, 채취 시로부터 24시간 이내에 0.85% 멸균 생리식염수에 10배수로 단계 희석한 후, 100㎕씩 MRS 고체배지에 각각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나타난 집락 형태가 서로 다른 균주들을 선택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 균주들을 MRS 고체배지에서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집락을 형성시키고, 이때 형성된 각 집락을 20% 글리세롤 용액에 현탁시킨 후 -8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젖산균의 탐색에 사용하였다.
분리된 균주들 중에서 MRS 고체배지에서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 직경 1mm 이내인 작은 유백색의 원형 집락을 형성하고, 형태학적으로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는 간균인 CS L001 균주를 선발하였다(도 1 참조). 이의 형태학적 성질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았다.
CS L001 균주의 형태학적 성질
형태 간균
집락 색깔 유백색
포자 없음
운동성 없음
CS L001 균주를 MRS 고체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호기 및 혐기의 배양조건에서 모두 잘 생장하였다. 또한, CS L001 균주는 MRS 고체배지에서 15℃ 내지 43℃ 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잘 생장하였다.
CS L001 균주의 배양 특성
배양 조건 호기 생장
혐기 생장
배양 온도 15℃ 생장
30℃ 생장
37℃ 생장
40℃ 생장
43℃ 생장
45℃ 생장 안함
또한 CS L001 균주는 그람 양성균으로 밝혀졌고, 카탈라아제와 옥시다아제를 생산하지 않았으며, 발효하는 특성을 보였고, 포도당으로부터 가스를 생성하지 않았다. CS L001 균주의 구체적인 당 이용성은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다.
CS L001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
그람 염색 양성
카탈라아제 생산 생산 안함
옥시다아제 생산 생산 안함
산화/발효 발효
포도당으로부터 가스 생성 생성 안함
당 이용성 아미그달린 -
아라비노스 -
셀로비오스 +
에스쿨린 +
프룩토스 +
갈락토스 +
글루코스 +
글루코네이트 -
락토스 +
말토스 +
만니톨 -
만노스 +
멜레치토스 -
멜리비오스 -
라피노스 +
람노스 -
리보스 -
살리친 -
소르비톨 -
수크로스 +
트레할로스 +
자일로스 -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 )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및 동정
CS L001 균주의 유전학적 동정을 위하여 미생물 동정 전문기관인 (주)솔젠트에 동정을 의뢰하였다. CS L001 균주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CS L001 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의 16S rRNA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도 2 참조).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S L00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GenBank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염기서열과 대비하였을 때,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균주인 ATCC33199 및 JCM2011의 16S rRNA와 염기서열 상 99%의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및 도 4 참조). 16S rRNA의 염기서열을 토대로 분자계통분류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CS L001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인 것으로 판정되었다(도 5 참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6년 4월 8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FCC11658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 )의 내산성 내담즙성 평가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를 MRS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균주 배양물을 침전시킨 후, 생리식염수로 침전물을 2회 세척하였다. 한편 pH를 2.5로 조정하여 멸균된 MRS 액체배지에 0.2 ㎛ 필터로 제균시킨 펩신을 액체배지 ㎖ 당 1000 유닛(unit)이 되도록 첨가하여 내산성 측정용 인공위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인공위액에 상기에서 세척하여 수득한 침전물을 1~3시간 배양시킨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는 pH 2.5에서 3시간 처리했을 때에도 사멸하지 않아 우수한 내산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 참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를 MRS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균주 배양물을 침전시킨 후, 생리식염수로 침전물을 2회 세척하였다. 한편 0.3% 담즙산(oxgall)이 함유된 MRS 액체배지를 제조한 다음, 이 액체배지에 상기에서 세척하여 수득한 침전물을 1~3시간 배양시킨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는 0.3% 담즙산을 함유한 배지에서도 사멸하지 않아 우수한 내담즙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 참조).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 )의 항균 활성 평가
아가-웰 확산시험(agar-well diffusion assay)을 통해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의 항균 활성을 시험하였다. 지표 세균으로는 쥐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CCARM0125 균주, 세라티아 마르세센스균(Serratia marcescens) KCTC2356 균주, 대장균(Escherichia coli) KCCM40271 균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KCTC1637 균주, 스트렙토코쿠스 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intermedius) ATCC29663 균주, 부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ATCC15305 균주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11335 균주를 사용하였다.
각 지표 세균들을 LB(Luria-Bertani) 아가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을 전배양하여 활성화시킨 다음, LB 브로스(broth) 배지를 사용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현탁액을 0.8% 한천을 함유한 LB 브로스 소프트 아가에 1% 농도로 접종하고 혼합한 다음,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25㎖씩 분주하여 시험용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직경 6mm의 웰(well)을 형성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를 MRS 액체배지에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고 원심분리(13,000rpm, 15분)로 상등액을 회수한 다음, 이 상등액을 0.2㎛ 크기의 포어 필터(pore filter)를 통해 제균하였다. 제균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을 상기에서 페트리 디쉬에 형성한 웰에 80㎕ 접종한 다음,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생육저지대(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형성된 생육저지대를 그 크기에 따라 4등급(+++, ++, +, -)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는데, +++ 등급은 7~9mm의 생육저지대 크기, ++ 등급은 4~6mm 크기, + 등급은 1~3mm 크기를 각각 나타내고, - 등급은 생육저지대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대조군으로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ATCC33199 균주를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및 ATCC33199 균주의 항균 활성
지표 세균 CS L001 균주에 의해 형성된 생육저지대 ATCC33199 균주에 의해 형성된 생육저지대
쥐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CCARM0125 균주 ++ +
세라티아 마르세센스균(Serratia marcescens) KCTC2356 균주 +++ +++
대장균(Escherichia coli) KCCM40271 균주 +++ +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KCTC1637 균주 +++ +
스트렙토코쿠스 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intermedius) ATCC29663 균주 +++ +++
부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ATCC15305 균주 +++ ++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11335 균주 + -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는 상기 지표 세균들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ATCC33199 균주와 비교했을 때, 쥐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CCARM0125 균주, 대장균(Escherichia coli) KCCM40271 균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KCTC1637 균주, 부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ATCC15305 균주에 대하여 더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ATCC33199 균주가 항균 활성을 갖지 않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11335 균주에 대하여도 항균 활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가 동물의 장내 유해 세균들을 생육을 억제하는 데에 우수한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 ) 배양액의 성분 및 내성 분석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를 25㎖의 MRS 액체배지에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고 원심분리(13,000rpm, 15분)로 상등액을 회수한 다음, 그 상등액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상등액의 성분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의 성분 분석
pH 3.8
젖산 33.9 mg/g
글루코스 0.0 mg/g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 0.3 mg/g
글루탐산 0.63 mg/g
세린 0.13 mg/g
아르기닌 0.23 mg/g
트레오닌 0.13 mg/g
글리신 0.13 mg/g
알라닌 0.3 mg/g
프롤린 0.2 mg/g
발린 0.3 mg/g
메티오닌 0.1 mg/g
이소류신 0.2 mg/g
류신 0.6 mg/g
그 다음으로, 상기에서 원심분리로 회수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의 상등액에 대하여, 열, pH, 유기용매 및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에서 대장균(Escherichia coli) KCCM40271 균주를 지표 세균으로 하는 아가-웰 확산시험(agar-well diffusion assay)을 시행하였다.
열, pH, 유기용매 및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각 안정성 측정은 아가-웰 확산시험에서 형성된 생육저지대의 크기에 따라 4등급(+++, ++, +, -)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는데, +++ 등급은 7~9mm의 생육저지대 크기, ++ 등급은 4~6mm 크기, + 등급은 1~3mm 크기를 각각 나타내고, - 등급은 생육저지대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열 안정성
배양액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배양 상등액을 20℃, 40℃, 60℃, 80℃ 및 100℃에서 각각 60분간 열처리한 후 잔존하는 박테리오신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의 열 안정성
온도 (℃) 생육저지대의 크기 등급
20 +++
40 +++
60 +++
80 +++
100 +++
표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의 배양액은 20℃ 내지 100℃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뛰어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는바, 본 발명의 배양액이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삭제
pH 내성
배양액의 pH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상등액을 각각의 pH 3.0(0.1M 시트르산염 완충액), pH 5.0(0.1M 아세트산염 완충액), pH 7.0(0.1M 인산염 완충액), pH 9.0(0.1M 붕산염 완충액) 및 pH 11.0(0.1M 탄산염 완충액)의 완충액과 1 : 1로 혼합하여 24시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잔존하는 배양액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의 pH 내성
pH 생육저지대의 크기 등급
3 +++
5 ++
7 ++
9 ++
11 ++
표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의 배양액은 pH 3 내지 11의 넓은 pH 범위에서 뛰어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는바, 본 발명의 배양액이 우수한 pH 내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기용매 내성
배양 상등액을 각각의 클로로포름,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의 유기용매와 1 : 1로 혼합하여 용매의 최종 농도를 50%로 맞추고 상온에서 1시간 배양한 후, 항균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배양액의 유기용매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기재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의 유기용매 내성
유기용매 생육저지대의 크기 등급
클로로포름 +++
이소프로판올 ++
메탄올 ++
에탄올 ++
아세톤 ++
아세토니트릴 ++
표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의 배양액은 다양한 유기용매로 처리한 후에도 뛰어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는바, 본 발명의 배양액이 우수한 유기용매 내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내성
리파제(lipase)와 트립신(trypsin)은 50mM Tris-HCl 완충액(pH 7.5)에서, α-키모트립신(α-chymotrypsin)은 50mM Tris-HCl 완충액(pH 8.0)에서, 펩신(pepsin)은 10mM 시트르산염 완충액(pH 6.0)에서, α-아밀라제(α-amylase)는 0.1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0)에서, 그리고 프로테이나제(proteinase) K는 0.01M Tris-HCl, 0.005M EDTA 및 0.5% SDS의 완충액(pH 7.9)에서 각각 20㎎/㎖의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배양 상등액에 상기에서 준비한 각각의 가수분해효소를 2 ㎎/㎖의 농도로 첨가하고, 37℃에서 15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프로테이나제(proteinase) K만은 37℃에서 150분이 아니라 45℃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측정 결과를 표 9에 기재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의 가수분해효소 내성
효소 생육저지대의 크기 등급
리파제 ++
트립신 +++
α-키모트립신 +++
펩신 +++
α-아밀라제 +++
프로테이나제 K -
표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의 배양액은 지방 분해효소인 리파제나 다당류 분해효소인 α-아밀라제로 처리한 경우에도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만, 히스톤 단백질을 제거하는 프로테이나제 K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항균 활성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로부터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의 배양액이 주로 펩티드로 구성된 물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의 배양액은 위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이나 이자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트립신과 α-키모트립신에 대하여는 뛰어난 안정성을 보여주었는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나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동물의 경구로 투여하여도 위장을 안전하게 통과하여 목표로 하는 소·대장까지 도달하여 유해 세균을 억제하고 장내 건강을 증진시키는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 ) 배양액의 대장염 예방 및 치료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갖고 있는 항균 활성을 다음과 같이 동물의 대장염에 대한 예방 내지 치료 효과를 통해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수탁번호: KFCC11658P)를 20㎖의 MRS 액체배지에 24시간 동안 37℃에서 전배양하여 활성시킨 다음, 2L의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4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0.2㎛ 필터로 여과한 뒤, 121℃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멸균기에서 완전히 멸균시켰으며, 마우스가 섭취할 음수에서 균주 배양액이 3% 농도가 되도록 CS L001 균주의 시험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ATCC33199 균주의 시험용액을 별도로 제조하였다.
한편, 생후 5주일된 수컷 ICR 마우스 30마리를 준비하여 동일한 사육 조건에서 7일간 적응기를 주었다. 그 다음, 표 10에 기재한 것처럼 마우스 6마리씩 5개의 그룹으로 나눈 다음, 2.5% 덱스트란 황산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으로 유도된 대장염에 대한 시험용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삭제
DSS 유도 대장염의 예방 치료 효과 관련 마우스 그룹별 실험계획
그룹명 실험조건
적응기 예방투여 여부 대장염 유도 여부 치료투여 여부
정상군
(6마리)
7일 17일간 물 투여 9일간 물 투여 6일간 물 투여
치료효과 대조군
(6마리)
7일 17일간 물 투여 9일간 2.5% DSS 투여
(대장염 유도)
6일간 물 투여
치료효과 시험군
(6마리)
7일 17일간 물 투여 9일간 2.5% DSS 투여
(대장염 유도)
6일간 CS L001 시험용액 투여 투여
(치료투여)
예방치료효과 시험군
(6마리)
7일 17일간 CS L001 시험용액 투여
(예방투여)
9일간 2.5% DSS 투여
(대장염 유도)
6일간 CS L001 시험용액 투여 투여
(치료투여)
예방치료효과 비교군
(6마리)
7일 17일간 ATCC33199 시험용액 투여
(예방투여)
9일간 2.5% DSS 투여
(대장염 유도)
6일간 ATCC33199 시험용액 투여 투여
(치료투여)
표 10에 따른 실험계획을 진행하는 동안, 매일 한번씩 모든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도 8에서 보듯이, 39일간의 상기 실험계획이 종료된 후, 어떠한 시험용액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마우스의 체중 감소가 현저하였다. 반면에, 마우스에 DSS로 대장염을 유도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대장염이 유도되지 않은 정상군의 마우스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체중 증가를 보여주었다(치료효과 시험군 및 예방치료효과 시험군). 아울러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ATCC33199 균주 배양물의 시험용액을 투여한 경우에 대조군보다는 양호한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으나(예방치료효과 비교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보다는 체중 증가율이 떨어졌다.
한편 6일간의 치료투여 기간까지 종료된 직후, 각 그룹의 마우스 전부에 대해 복부를 절개하고 소장 및 대장의 길이를 측정하여,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액에 의한 대장염 예방 내지 치료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1에 정리하였다.
각 마우스 그룹별 소장 및 대장의 길이 (단위: cm)
6일간의 치료투여 기간 직후 해부 결과 (평균)
정상군 소장 49.4
대장 11.6
대조군 소장 45.4
대장 7.6
치료효과 시험군 소장 51.6
대장 9.0
예방치료효과 시험군 소장 52.2
대장 10.3
예방치료효과 비교군 소장 51.8
대장 10.3
표 11에서 보듯이, 마우스에 DSS로 대장염을 유도한 다음 시험용액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대조군), 소장 및 대장 길이가 정상군의 마우스보다 소장 및 대장의 성장에 대한 저해가 뚜렷하였다. 그러나 마우스에 DSS로 대장염을 유도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치료효과 시험군), 대조군에 비하여 소장 및 대장의 성장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소장의 길이가 정상군의 마우스보다 더 길게 나타났다.
또한, 마우스에 DSS로 대장염을 유도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예방치료효과 시험군), 대장염 유도 후에 상기 조성물을 치료한 경우(치료효과 시험군)보다 소장 및 대장이 모두 더 성장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아울러 공지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ATCC33199 균주 배양물의 시험용액을 투여한 경우에도 마우스에 유도된 대장염에 대하여 비슷한 예방치료 효과가 관찰되었으나(예방치료효과 비교군),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CS L001 균주 배양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예방치료효과 시험군)가 ATCC33199 균주 배양물의 시험용액을 투여한 경우(예방치료효과 비교군)보다 소장의 성장에 좀더 유리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FCC11658P 20160408
<110> CARESIDE Co., Ltd. <120> Novel Lactobacillus gallinarum strain and uses thereof <130> P16-0246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360 <212> DNA <213> Lactobacillus gallinarum <400> 1 gctcaggacg aacgctggcg gcgtgcctaa tacatgcaag tcgagcgagc agaaccagca 60 gatttacttc ggtaatgacg ctggggacgc gagcggcgga tgggtgagta acacgtgggg 120 aacctgcccc atagtctagg ataccacttg gaaacaggtg ctaataccgg ataataaagc 180 agatcgcatg atcagcttat aaaaggcggc gtaagctgtc gctatgggat ggccccgcgg 240 tgcattagct agttggtaag gtaacggctt accaaggcaa tgatgcatag ccgagttgag 300 agactgaacg gccacattgg gactgagaca cggcccaaac tcctacggga ggcagcagta 360 gggaatcttc cacaatggac gcaagtctga tggagcaacg ccgcgtgagt gaagaaggtt 420 ttcggatcgt aaagctctgt tgttggtgaa gaaggataga ggtagtaact ggcctttatt 480 tgacggtaat caaccagaaa gtcacggcta actacgtgcc agcagccgcg gtaatacgta 540 ggtggcaagc gttgtccgga tttattgggc gtaaagcgag cgcaggcgga agaataagtc 600 tgatgtgaaa gccctcggct taaccgagga attgcatcgg aaactgtttt tcttgagtgc 660 agaagaggag agtggaactc catgtgtagc ggtggaatgc gtagatatat ggaagaacac 720 cagtggcgaa ggcggctctc tggtctgcaa ctgacgctga ggctcgaaag catgggtagc 780 gaacaggatt agataccctg gtagtccatg ccgtaaacga tgagtgctaa gtgttgggag 840 gtttccgcct ctcagtgctg cagctaacgc attaagcact ccgcctgggg agtacgaccg 900 caaggttgaa actcaaagga attgacgggg gcccgcacaa gcggtggagc atgtggttta 960 attcgaagca acgcgaagaa ccttaccagg tcttgacatc tagtgccatc ctaagagatt 1020 aggagttccc ttcggggacg ctaagacagg tggtgcatgg ctgtcgtcag ctcgtgtcgt 1080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tat tattagttgc cagcattaag 1140 ttgggcactc taatgagact gccggtgaca aaccggagga aggtggggat gacgtcaagt 1200 catcatgccc cttatgacct gggctacaca cgtgctacaa tgggcagtac aacgagaagc 1260 gagcctgcga aggcaagcga atctctgaaa gctgttctca gttcggactg cagtctgcaa 1320 ctcgactgca cgaagctgga atcgctagta atcgcggatc 1360

Claims (8)

  1. 수탁번호 KFCC1165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Lactobacillus gallinarum) CS L001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16S rRN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이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나타내고,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세균은 쥐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세라티아 마르세센스균(Serratia marcescen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스트렙토코쿠스 인터메디우스(Staphylococcus intermedius), 부생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aprophyticus)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동물의 대장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
KR1020160068188A 2016-06-01 2016-06-01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9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188A KR101797139B1 (ko) 2016-06-01 2016-06-01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188A KR101797139B1 (ko) 2016-06-01 2016-06-01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139B1 true KR101797139B1 (ko) 2017-12-12

Family

ID=6094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188A KR101797139B1 (ko) 2016-06-01 2016-06-01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13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581B2 (en) Lactobacillus reuteri useful as probiotics
US7026161B2 (en) Lactobacillus sp. strain and use thereof
US5951977A (en) Competitive exclusion culture for swine
KR10137094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MX2014012098A (es) Cepas bacillus sensibles a antibioticos que tienen efecto antimicrobiano contra e. coli y clostridium perfringens y tienen alta capacidad de esporulacion.
Le et al. Probiotic potential of novel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salted-fermented shrimp as antagonists for Vibrio parahaemolyticus
KR101498272B1 (ko) 김치에서 분리되고 항균물질생성 및 면역활성 효능을 가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
KR101702499B1 (ko)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1068531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용 복합 생균제 조성물
EP1862080A1 (en) Protease-resistant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use in livestock
KR20090105171A (ko)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조성물
KR101960189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EP2166083B1 (en) 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SG96, a bacteriosta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1854705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KR20120118570A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ET45 및 이의 용도
KR100430298B1 (ko) 축산 사료 첨가용 및 축분 처리용 미생물제제
KR100371503B1 (ko)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165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코쿠스 락티스 kr-w.w-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8046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kr-of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086239B1 (ko)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육계용생균제 조성물
KR10179713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갈리나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50041808A (ko) 항암효과 및 항균활성이 뛰어난 신규 유산균 류코노스톡시트리움 km20
KR100513167B1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 Probio-053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KR101659062B1 (ko)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페디오코커스 파버러스 yml 002,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KR101837160B1 (ko) 신균주 bt-sjp kctc12726bp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