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487A -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487A
KR20170140487A KR1020160072694A KR20160072694A KR20170140487A KR 20170140487 A KR20170140487 A KR 20170140487A KR 1020160072694 A KR1020160072694 A KR 1020160072694A KR 20160072694 A KR20160072694 A KR 20160072694A KR 20170140487 A KR20170140487 A KR 20170140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unk
control device
signal
appr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선
선기상
Original Assignee
케이디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487A/ko
Priority to PCT/KR2017/000835 priority patent/WO2017213324A1/ko
Publication of KR2017014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은,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제1 단말기를 보유한 배달원이 통신장치를 통한 제1 단말기와 제어장치 간 통신에 의해 지피에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단계; 배달원이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수령자가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승인하는 데이터승인단계; 및 제2 단말기가 제어장치로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령자 차량의 트렁크를 활용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UNMANNED PARCEL DELIVERY SERVICE METHOD, AUTHENTICATION METHOD AND RECEIPT METHOD USING AUTOMOBILE TRUNK}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령자 차량의 트렁크를 활용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택배(courier) 서비스는 사람이나 업체가 포장된 상품이나 물품 등을 요구하는 장소까지 직접 배달해 주는 작업을 말한다. 택배 서비스는 전자상거래 시장규모의 확대로 인하여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 완전히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택배 이용건수는 증가하는 한편, 현대 도시가구 형태의 변화로 인한 1인 가구,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으로 인해 택배 수령에 있어서 커다란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아파트와 같이 경비원이 있거나 무인 택배 보관함이 있는 곳은 택배 수령에 있어서 불편함이 낮은 편이지만, 다세대주택, 단독주택, 빌라 등은 택배 수령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택배회사에서도 택배물품 전달을 위해 1회 이상 방문함에 따라 원가상승의 부담을 안고 있다.
도시가구 택배 서비스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국내외에서 무인 택배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무인 우편창고'라고 불리는 무인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형 택배사들도 물품보관함 제조사들과 협력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령자 차량의 트렁크를 활용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제1 단말기를 보유한 배달원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어장치 간 통신에 의해 상기 지피에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단계;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수령자가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승인데이터를 승인하는 데이터승인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데이터입력단계 이후, 상기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상기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한 경우,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부가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달원이 상기 트렁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알림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승인단계; 및 상기 수령자가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처리완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폐쇄승인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미폐쇄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1 단말기로 미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호송신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트렁크에 설치된 녹화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폐쇄승인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녹화장치의 녹화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제1 단말기를 보유한 배달원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어장치 간 통신에 의해 상기 지피에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단계;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및 상기 배달원이 상기 트렁크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알림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상기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한 경우,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부가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통신장치를 통한 상기 배달원의 제1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지피에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위치송신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배달원의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수령자의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는 신호수신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승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폐쇄승인단계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폐쇄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폐쇄승인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미폐쇄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1 단말기로 미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배달원이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수령자가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승인데이터를 승인하는 데이터승인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폐쇄승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령자가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처리완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상기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은 수신알림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상기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하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폐쇄승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령자의 차량에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와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단말기와 제어장치 간 통신을 통해 락킹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수령자 차량의 트렁크를 활용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수령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은, 수령자 차량의 트렁크를 활용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수령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S100,S200)은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10)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S100,S200)을 설명하기에 앞서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10)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10)은,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제어장치(610), 지피에스(620), 통신장치(630), 락킹장치(640) 및 녹화장치(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장치(610)는 수령자의 차량(600)에 설치된다. 제어장치(610)는 지피에스(620) 및 통신장치(630)와 연결되며, 통신장치(630)를 통해 단말기(100,20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현재 각국의 자동차 제조회사에서는 차량(600)의 칵핏 모듈에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GPS 및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는 차량(600)을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10)에 이용하면, 지피에스(620) 및 통신장치(630)와 연결된 제어장치(610)는 차량(600)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인터넷 접속 기능이 없는 기존 차량(600)에는, 제어장치(610), 지피에스(620) 및 통신장치(630)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제어장치(610)는 단말기(100,200)와 상시 통신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배터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100,200)는 통신장치(630)를 통해 제어장치(61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구성으로서, 배달원의 제1 단말기(100) 및 수령자의 제2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는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에는 서버(500)를 통해 통신장치(630)에 접속하는 어플이 설치된다. 제어장치(610)에는 제1 단말기(100) 및 제2 단말기(200)의 어플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제3 단말기(300)는 판매사이트(400)에서 물품을 구매한 구매자의 스마트폰을 의미한다. 구매자와 수령자가 동일한 경우 제3 단말기(300)는 제2 단말기(200)와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락킹장치(640)는 제어장치(610)의 신호에 의해 차량(600)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구성으로서, 차량(600)의 트렁크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락킹장치(640)는 솔레노이브 밸브에 의해 구동되는 잠금장치가 잠금고리를 걸거나 푸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락킹장치(640)가 트렁크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트렁크는 락킹장치(640)에 의해서만 열리거나 닫혀야 한다. 따라서 차량(600) 제조시 설치된 트렁크 개폐장치는 차량(600)의 전자제어장치(ECU)와 연결을 끊음으로써 트렁크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물론, 락킹장치(640)는 차량에 있는 트렁크 개폐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차량(600)에 설치되어 있는 트렁크 개폐장치를 락킹장치(640)로 사용하는 경우, 차량(600)의 전자제어장치(ECU) 대신 제어장치(610)의 신호에 의해서만 트렁크 개폐장치가 개방되도록, 트렁크 개폐장치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제어장치(610)와 연결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내부에는 녹화장치(6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장치(610)는 트렁크의 개방시 녹화장치(650)를 작동시킨 후, 배달원이 트렁크를 폐쇄하면 수령자의 제2 단말기(200)로 녹화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10)은, 차량(600)과 수령자가 동떨어진 상태에서 단말기(100,200)로부터 제어장치(610)로 송신된 데이터를 통해 트렁크를 개방하여 물품을 수령 또는 반품하게 된다.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S100,S200)의 설명에서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S100)은, 수령자 차량(600)의 트렁크를 활용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위치수신단계(S110), 데이터입력단계(S120), 데이터승인단계(S130), 신호송신단계(S140), 신호수신단계(S150), 폐쇄승인단계(S160) 및 처리완료단계(S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수신단계(S110)는 제1 단말기(100)를 보유한 배달원이 통신장치(630)를 통한 제1 단말기(100)와 제어장치(610) 간 통신에 의해 지피에스(620)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위치수신단계(S110) 이전에 인터넷 판매사이트(400)에서는 구매자에 의해 물품이 주문된다. 구매자는 물품 주문시 판매사이트(400)의 입력란에 택배 수령을 위한 기본 정보(성명, 주소 등)와 함께 차량번호 및 인증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차량번호는 수령자가 물품을 수령받을 차량(600)의 번호를 의미하고, 인증번호는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의 어플을 통해 수령받을 차량(600)에 설치된 제어장치(610)에 접속할 수 있는 번호를 의미한다. 인증번호는 처리완료단계(S170)에서 트렁크에 택배를 수령한 후 자동폐기되는 임시번호로 생성될 수 있다.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의 어플에 차량번호 및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배달원은 제1 단말기(100)와 제어장치(610) 간 통신에 의해 지피에스(62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령자 차량(60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물품을 가지고 수령자의 차량(600)에 접근하게 된다.
데이터입력단계(S120)는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위치수신단계(S110)를 통해 차량(600)에 접근한 상태에서 실행된다.
데이터입력단계(S120)에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수령자의 제2 단말기(200)는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승인번호는 인증번호, 운송장번호, 물품 판매자나 택배업체가 임시로 생성한 번호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승인단계(S130)는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승인(S132)하는 단계로서, 데이터입력단계(S120)에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제2 단말기(200)는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알림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데이터승인단계(S130)에서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의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승인(S132)하면, 신호송신단계(S140)가 실행된다. 신호송신단계(S140)는 제2 단말기(200)가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개방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를 구동하여 트렁크를 개방(S150)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입력단계(S120) 이후,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은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승인데이터를 승인했는지 여부를 확인(S131)한다. 그리고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한 경우,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부가승인데이터를 입력(S133)하면, 제1 단말기(100)가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S141)하여 트렁크를 개방(S150)하게 된다.
데이터입력단계(S120)에서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설정시간이 타이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설정시간은, 배달원이 수령자에 의한 트렁크의 개방을 기다릴 수 있는 최대시간을 의미한다. 설정시간은 수십초에서 수십분의 범위 내에서 지정될 수 있다.
개방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610)가 락킹장치(640)를 구동하여 트렁크를 개방(S150)하면, 배달원은 트렁크에 택배 물품을 싣고 트렁크를 닫게 된다. 폐쇄승인단계(S160)는, 제어장치(610)가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162)하는 단계로서, 트렁크 개방(S150) 이후 제어장치(610)가 락킹장치(640)에 의한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161)하면서 개시된다.
제어장치(610)는, 신호송신단계(S140)에서 트렁크에 설치된 녹화장치(650)를 작동시키고, 폐쇄승인단계(S160)에서 제2 단말기(200)로 녹화장치(650)의 녹화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녹화장치(650)는 트렁크 내에 설치되어 트렁크가 개방된 동안 트렁크 내외부를 촬영하게 된다.
처리완료단계(S170)는,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단계이다. 폐쇄승인단계(S160)에서 제어장치(610)가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162)하면, 제2 단말기(200)의 어플은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확인창이 띄워진다.
수령자는 폐쇄승인단계(S160)에서 수신된 녹화데이터를 통해 물품이 정상적으로 트렁크에 실린 것을 확인한 후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게 된다. 수령자가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과정이 종료되며, 이후 수령자는 차량(600)의 트렁크를 열고 택배 물품을 찾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S200)은, 위치수신단계(S210), 데이터입력단계(S220), 데이터승인단계(S230), 신호송신단계(S240), 신호수신단계(S250), 폐쇄알림단계(S260), 폐쇄승인단계(S270) 및 처리완료단계(S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수신단계(S210), 데이터입력단계(S220), 데이터승인단계(S230), 신호송신단계(S240) 및 신호수신단계(S250)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수신단계(S110), 데이터입력단계(S120), 데이터승인단계(S130), 신호송신단계(S140) 및 신호수신단계(S150)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신호송신단계(S140)에서 제2 단말기(200)가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S240)하거나 제1 단말기(100)가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S241)하면, 트렁크가 개방(S250)되고, 배달원은 트렁크에 택배 물품을 싣고 트렁크를 닫게 된다.
배달원은 트렁크를 폐쇄하고 나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제어장치(610)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S260)하게 된다.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하면 폐쇄승인단계(S270)가 개시된다.
폐쇄승인단계(S270)는, 제어장치(610)가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271)하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272)하는 단계로서, 트렁크 개방(S250) 이후 제어장치(610)가 락킹장치(640)에 의한 트렁크의 폐쇄를 감지(S271)하면서 개시된다. 트렁크 또는 락킹장치에는 트렁크의 폐쇄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폐쇄승인단계(S270)에서, 제어장치(610)가 락킹장치(640)에 의한 트렁크의 미폐쇄를 확인(S271)한 경우,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에 의한 트렁크의 폐쇄가 확인될 때까지 배달원의 제1 단말기(100)로 미폐쇄알림신호를 송신(S273)하게 된다.
제1 단말기(100)에 미폐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배달원은 트렁크의 폐쇄 여부를 다시 한번 점검하여 트렁크를 확실하게 닫게 되며, 제어장치(610)는 트렁크의 폐쇄를 감지(S271)한 후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272)하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S200)은, 상술한 폐쇄알림단계(S260) 및 폐쇄승인단계(S270)를 통해 트렁크 미폐쇄에 의한 택배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처리완료단계(S280)는,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단계이다. 폐쇄승인단계(S270)에서 제어장치(610)가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272)하면, 제2 단말기(200)의 어플은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확인창이 띄워진다.
수령자는 폐쇄승인단계(S270)에서 수신된 녹화데이터를 통해 물품이 정상적으로 트렁크에 실린 것을 확인한 후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게 된다. 수령자가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과정이 종료되며, 이후 수령자는 차량(600)의 트렁크를 열고 택배 물품을 찾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S300,S400)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S300)은 배달원의 제1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며, 위치수신단계(S310), 데이터입력단계(S320) 및 폐쇄알림단계(S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수신단계(S310)는 제1 단말기(100)를 보유한 배달원이 통신장치(630)를 통한 제1 단말기(100)와 제어장치(610) 간 통신에 의해 지피에스(620)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위치수신단계(S310) 이전에 인터넷 판매사이트(400)에서는 구매자에 의해 물품이 주문된다. 구매자는 물품 주문시 판매사이트(400)의 입력란에 택배 수령을 위한 기본 정보(성명, 주소 등)와 함께 차량번호 및 인증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차량번호는 수령자가 물품을 수령받을 차량(600)의 번호를 의미하고, 인증번호는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의 어플을 통해 수령받을 차량(600)에 설치된 제어장치(610)에 접속할 수 있는 번호를 의미한다. 인증번호는 트렁크에 택배를 수령한 후 자동폐기되는 임시번호로 생성될 수 있다.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의 어플에 차량번호 및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배달원은 제1 단말기(100)와 제어장치(610) 간 통신에 의해 지피에스(62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령자 차량(60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물품을 가지고 수령자의 차량(600)에 접근하게 된다.
데이터입력단계(S320)는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로서, 위치수신단계(S310)를 통해 차량(600)에 접근한 상태에서 실행된다.
데이터입력단계(S320)에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수령자의 제2 단말기(200)는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승인번호는 인증번호, 운송장번호, 물품 판매자나 택배업체가 임시로 생성한 번호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입력단계(S320) 이후 폐쇄알림단계(S330) 이전까지는 제2 단말기(200)와 제어장치(610) 간 통신에 의해 트렁크가 개방(S250,도 3을 참조)되며, 배달원은 트렁크에 택배 물품을 싣고 트렁크를 닫게 된다.
폐쇄알림단계(S330)는, 배달원이 트렁크를 닫고 나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제어장치(610)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후 제어장치(610)는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271)하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272)하게 되며,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물품의 배달이 완료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S400)은 배달원의 제1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며, 위치수신단계(S410), 데이터입력단계(S420), 데이터승인단계(S430), 신호송신단계(S440) 및 폐쇄알림단계(S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수신단계(S410) 및 데이터입력단계(S420)는 도 4(A)에 도시된 위치수신단계(S310) 및 데이터입력단계(S320)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입력단계(S420)에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수령자의 제2 단말기(200)는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승인번호는 인증번호, 운송장번호, 물품 판매자나 택배업체가 임시로 생성한 번호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입력단계(S420) 이후,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은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승인데이터를 승인했는지 여부를 확인(S231,도 3을 참조)한다.
데이터승인단계(S430)는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한 경우 실시된다. 즉,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한 경우 배달원은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부가승인데이터를 입력(S430)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100)는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S440)하여 트렁크를 개방하게 된다.
데이터입력단계(S420)에서 배달원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설정시간이 타이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설정시간은, 배달원이 수령자에 의한 트렁크의 개방을 기다릴 수 있는 최대시간을 의미한다. 설정시간은 수십초에서 수십분의 범위 내에서 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입력단계(S420) 이후 폐쇄알림단계(S450) 이전까지는 제2 단말기(200)와 제어장치(610) 간 통신에 의해 트렁크가 개방(S250,도 3을 참조)되며, 배달원은 트렁크에 택배 물품을 싣고 트렁크를 닫게 된다.
폐쇄알림단계(S450)는, 배달원이 트렁크를 닫고 나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제어장치(610)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후 제어장치(610)는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271)하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272)하게 되며,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물품의 배달이 완료된다.
아래에서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S500,S600,S700)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S500)은 차량(600)의 제어장치(610)에서 수행되며, 위치송신단계(S510), 신호수신단계(S520) 및 폐쇄승인단계(S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송신단계(S510)는 제어장치(610)가 통신장치(630)를 통한 배달원의 제1 단말기(100)와의 통신에 의해 지피에스(620)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도 3의 위치수신단계(S210)와 동시에 진행된다. 위치송신단계(S510) 이전에 인터넷 판매사이트(400)에서는 구매자에 의해 물품이 주문된다.
배달원은 제1 단말기(100)와 제어장치(610) 간 통신에 의해 지피에스(62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령자 차량(60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물품을 가지고 수령자의 차량(600)에 접근하게 된다.
신호수신단계(S520)는 제어장치가 배달원의 제1 단말기 또는 수령자의 제2 단말기로부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수신(S521)하면 트렁크를 개방(S522)하는 단계로서, 도 3에서 제2 단말기(200)가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S240)하거나 제1 단말기(100)가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S241)하면,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를 통해 트렁크를 개방(S522)시키고, 이후 배달원은 트렁크에 택배 물품을 싣고 트렁크를 닫게 된다.
폐쇄승인단계(S530)는 제어장치(610)가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531)하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532)하는 단계로서, 트렁크 개방(S522) 이후 제어장치(610)가 락킹장치(640)에 의한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531)하면서 개시된다. 트렁크 또는 락킹장치에는 트렁크의 폐쇄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장치는, 신호수신단계(S520)에서 트렁크에 설치된 녹화장치(650)를 작동시키고, 폐쇄승인단계(S530)에서 제2 단말기(200)로 녹화장치(650)의 녹화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물품의 배달이 완료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S600)은 차량(600)의 제어장치(610)에서 수행되며, 위치송신단계(S610), 신호수신단계(S620) 및 폐쇄승인단계(S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송신단계(S610) 및 신호수신단계(S620)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송신단계(S510) 및 신호수신단계(S520)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신호수신단계(S620)에서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를 통해 트렁크를 개방(S622)시키고, 이후 배달원은 트렁크에 택배 물품을 싣고 트렁크를 닫게 된다. 배달원은 트렁크를 폐쇄하고 나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제어장치(610)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S260,도 3 참조)하며,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631)하면 폐쇄승인단계(S630)가 개시된다.
폐쇄승인단계(S630)는,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631) 후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632)하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633)하는 단계로서, 트렁크 개방(S622) 이후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631)하면서 개시된다. 트렁크 또는 락킹장치에는 트렁크의 폐쇄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폐쇄승인단계(S630)에서, 제어장치(610)가 락킹장치(640)에 의한 트렁크의 미폐쇄를 확인(S632)한 경우,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에 의한 트렁크의 폐쇄가 확인될 때까지 배달원의 제1 단말기(100)로 미폐쇄알림신호를 송신(S634)하게 된다.
제1 단말기(100)에 미폐쇄알림신호가 수신되면, 배달원은 트렁크의 폐쇄 여부를 다시 한번 점검하여 트렁크를 확실하게 닫게 되며, 제어장치(610)는 트렁크의 폐쇄를 감지(S632)한 후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633)하게 된다.
제어장치는, 신호수신단계(S620)에서 트렁크에 설치된 녹화장치(650)를 작동시키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633)할 때 녹화장치(650)의 녹화데이터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물품의 배달이 완료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S700)은 차량(600)의 제어장치(610)에서 수행되며, 위치송신단계(S710), 신호수신단계(S720) 및 폐쇄승인단계(S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송신단계(S710) 및 신호수신단계(S720)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송신단계(S510) 및 신호수신단계(S520)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
신호수신단계(S720)에서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를 통해 트렁크를 개방(S722)시키고, 이후 배달원은 트렁크에 택배 물품을 싣고 트렁크를 닫게 된다. 배달원은 트렁크를 폐쇄하고 나서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제어장치(610)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S260,도 3 참조)하며,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하면 폐쇄승인단계(S730)가 개시된다.
폐쇄승인단계(S730)는,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한 후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732)하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733)하는 단계로서, 트렁크 개방(S722) 이후 개시된다. 제어장치(610)는 트렁크 개방 후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하기 전까지 대기한다.
폐쇄승인단계(S730)에서,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한 후 트렁크의 개방을 확인(S732)한 경우,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에 폐쇄신호를 송신(S735)하여 트렁크를 닫게 된다. 따라서, 배달원이 트렁크를 닫지 않고 폐쇄알림신호만을 송신한 후 떠나더라도 트렁크 개방에 의한 물품의 분실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폐쇄승인단계(S730)에서,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S734)한 경우, 제어장치(610)는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732)하고 트렁크의 폐쇄가 감지되면,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733)하게 된다.
폐쇄승인단계(S730)에서,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하지 못한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S734)한 경우, 제어장치(610)는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S732)하여 트렁크의 개방이 감지되면, 락킹장치(640)에 폐쇄신호를 송신(S735)하여 트렁크를 닫게 된다. 따라서, 배달원이 트렁크를 닫지 않고 폐쇄알림신호도 송신하지 않은채 떠나더라도 트렁크 개방에 의한 물품의 분실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락킹장치(640)는 열린 상태의 트렁크를 닫을 수 있는 타입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차량의 트렁크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 장치기술은 자동차 제조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락킹장치(640)의 세부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장치는, 락킹장치(640)에 폐쇄신호를 송신(S735)한 후 트렁크나 락킹장치(640)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트렁크의 폐쇄를 감지하면,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733)하게 된다.
제어장치는, 신호수신단계(S720)에서 트렁크에 설치된 녹화장치(650)를 작동시키고,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733)할 때 녹화장치(650)의 녹화데이터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물품의 배달이 완료된다.
한편, 락킹장치(640)가 열린 상태의 트렁크를 닫을 수 있는 타입으로 구비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 폐쇄승인단계(S730)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폐쇄승인단계(S730)에서,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한 후 트렁크의 개방을 확인(S732)한 경우, 제어장치(610)는 수령자의 제2 단말기(200)로 이상발생신호를 송신(S735)하여 수령자에게 트렁크의 미폐쇄를 알리게 된다.
수령자는 이상발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차량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등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배달원이 트렁크를 닫지 않고 폐쇄알림신호만을 송신한 후 떠나더라도 트렁크 개방에 의한 물품의 분실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폐쇄승인단계(S730)에서, 제어장치(610)가 폐쇄알림신호를 수신(S731)한 후 트렁크의 개방을 확인(S732)한 경우, 제어장치(610)는 배달원의 제1 단말기(100)로 이상발생신호를 송신(S735)할 수도 있다. 배달원은 이상발생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차량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트렁크를 폐쇄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수령 방법(S800)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수령 방법(S800)은 수령자의 제2 단말기에서 수행되며, 데이터수신단계(S810), 데이터승인단계(S820), 신호송신단계(S830) 및 처리완료단계(S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수신단계(S810)는, 배달원이 수령인의 차량(600)에 접근하여 제1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에 승인데이터를 입력한 후, 수령자의 제2 단말기(200)가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수신(S811)하여 수신알림신호를 생성(S812)하는 단계이다.
데이터승인단계(S820)는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승인데이터를 승인하는 단계로서, 데이터승인단계(S820)에서 수령자가 승인데이터를 승인하면, 신호송신단계(S830)가 실행된다.
신호송신단계(S830)는 제2 단말기(200)가 제어장치(610)로 락킹장치(640)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개방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610)는 락킹장치(640)를 구동하여 트렁크를 개방하게 된다. 제2 단말기는 트렁크 개방 이후 제어장치로부터 폐쇄승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승인단계(S820)에서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은 수신알림신호를 생성한 후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승인데이터를 미승인(S813)하면 제어장치로부터 폐쇄승인신호를 수신(S841)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승인데이터가 승인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은 설정시간 전까지 수신알림신호를 반복적 생성(S812)한다.
처리완료단계(S840)는, 제2 단말기(200)가 제어장치(610)로부터 폐쇄승인신호를 수신한 후, 수령자가 제2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단계이다.
제어장치(610)가 제2 단말기(200)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S162,도 2 참조)하면, 제2 단말기(200)의 어플은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확인창이 띄워진다. 수령자가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면 택배 수령 과정이 종료되며, 이후 수령자는 차량(600)의 트렁크를 열고 택배 물품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령자의 차량에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와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단말기와 제어장치 간 통신을 통해 락킹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수령자 차량의 트렁크를 활용하여 무인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00,S200 :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S110,S210 : 위치수신단계 S150,S250 : 신호수신단계
S120,S220 : 데이터입력단계 S260 : 폐쇄알림단계
S130,S230 : 데이터승인단계 S160,S270 : 폐쇄승인단계
S140,S240 : 신호송신단계 S170,S280 : 처리완료단계
S300,S400 :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
S310,S410 : 위치수신단계 S440 : 신호송신단계
S320,S420 : 데이터입력단계 S330,S450 : 폐쇄알림단계
S430 : 데이터승인단계
S500,S600,S700 :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
S510,S610,S710 : 위치송신단계
S520,S620,S720 : 신호수신단계
S530,S630,S730 : 폐쇄승인단계
S800 :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수령 방법
S810 : 데이터수신단계
S820 : 데이터승인단계
S830 : 신호송신단계
S840 : 처리완료단계
10 :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시스템 600 : 차량
100 : 제1 단말기 610 : 제어장치
200 : 제2 단말기 620 : 지피에스
300 : 제3 단말기 630 : 통신장치
400 : 판매사이트 640 : 락킹장치
500 : 서버 650 : 녹화장치

Claims (12)

  1.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제1 단말기를 보유한 배달원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어장치 간 통신에 의해 상기 지피에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단계;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수령자가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승인데이터를 승인하는 데이터승인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입력단계 이후, 상기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상기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한 경우,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부가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이 상기 트렁크를 폐쇄하고,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알림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승인단계; 및
    상기 수령자가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처리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승인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미폐쇄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1 단말기로 미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송신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트렁크에 설치된 녹화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폐쇄승인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상기 녹화장치의 녹화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6.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제1 단말기를 보유한 배달원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어장치 간 통신에 의해 상기 지피에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치수신단계;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 및
    상기 배달원이 상기 트렁크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로 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상기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한 경우,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부가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
  8.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통신장치를 통한 상기 배달원의 제1 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지피에스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위치송신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배달원의 제1 단말기 또는 상기 수령자의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는 신호수신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기로 폐쇄승인신호를 송신하는 폐쇄승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승인단계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폐쇄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승인단계에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미폐쇄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락킹장치에 의한 상기 트렁크의 폐쇄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1 단말기로 미폐쇄알림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인증 방법.
  11. 수령자의 차량에는 지피에스 및 통신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하는 락킹장치가 설치되고,
    배달원이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차량번호 및 승인번호를 포함하는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수령자가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승인데이터를 승인하는 데이터승인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 락킹장치의 개방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폐쇄승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령자가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상기 폐쇄승인신호를 승인하는 처리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수령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이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에 상기 승인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제2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은 수신알림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수령자가 설정시간까지 상기 승인데이터를 미승인하면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폐쇄승인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방법.
KR1020160072694A 2016-06-10 2016-06-10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KR20170140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94A KR20170140487A (ko) 2016-06-10 2016-06-10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PCT/KR2017/000835 WO2017213324A1 (ko) 2016-06-10 2017-01-24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94A KR20170140487A (ko) 2016-06-10 2016-06-10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87A true KR20170140487A (ko) 2017-12-21

Family

ID=6057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694A KR20170140487A (ko) 2016-06-10 2016-06-10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40487A (ko)
WO (1) WO20172133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875A (ko) * 2019-09-06 2021-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연락정보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6104A1 (ja) * 2018-03-16 2019-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達システム
CN110807611A (zh) * 2018-08-01 2020-02-18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物流配送方法和装置
US11580613B2 (en) 2019-06-28 2023-02-14 Light Line Delivery Corp. Parcel convey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5389B2 (ja) * 2001-07-30 2011-02-23 マツダ株式会社 遠隔解錠方法
JP4576767B2 (ja) * 2001-07-30 2010-11-10 マツダ株式会社 遠隔解錠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ユーザー端末及び該ユーザー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JP4635390B2 (ja) * 2001-07-30 2011-02-23 マツダ株式会社 遠隔解錠方法
JP2006206225A (ja) * 2005-01-26 2006-08-10 Denso Corp 配達物受取システム、車両用配達物受取装置、車両による配達物の受取方法
KR101603121B1 (ko) * 2015-04-27 2016-03-14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택배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 수령 방법과 비밀번호 인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875A (ko) * 2019-09-06 2021-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연락정보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3324A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183B2 (en) Automated delivery security system
US10628784B2 (en) Method for dropping off a shipment in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US116310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suring secure delivery of parcels using internet-enabled storage receptacle
CN107074200B (zh) 使用软件狗的用于去往和来自交通工具的服务递送的端到端系统
KR20170140487A (ko) 차량 트렁크 무인 택배 배달, 인증 및 수령 방법
CN110033213B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和存储程序的非暂时性存储介质
US11748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elivery system
JP2006206225A (ja) 配達物受取システム、車両用配達物受取装置、車両による配達物の受取方法
KR20070072784A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물품 배송 확인 시스템 및방법
JP2017517462A (ja) 車上配達受取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03999497A (zh) 用于递送邮件的系统和方法
US201600253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destination delivery system
US118615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al delivery of a transport container
US202102871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ordering and securely delivering ordered products
KR101496296B1 (ko)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KR102031245B1 (ko)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1797A (ko) 배달 지원 장치, 배달 지원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컴퓨터 매체 저장 배달 지원 프로그램
KR100889831B1 (ko)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11037264B2 (en) Selective arrival notification system
JP2019046202A (ja) 宅配ボックス、宅配サーバ、宅配システム、宅配方法
JP7489272B2 (ja) 車両配達管理装置及び車両配達管理方法
US11544983B1 (en) System and method to authorize the use of a BEV charging apparatus by a short-term renter
KR20120128588A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물품 배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2022100049A (ja) 配達管理装置及び配達管理方法
US20220366747A1 (en) Mobile body, delivery system, and deliver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60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18

Effective date: 2019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