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45B1 -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45B1
KR102031245B1 KR1020180035961A KR20180035961A KR102031245B1 KR 102031245 B1 KR102031245 B1 KR 102031245B1 KR 1020180035961 A KR1020180035961 A KR 1020180035961A KR 20180035961 A KR20180035961 A KR 20180035961A KR 102031245 B1 KR102031245 B1 KR 10203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ier
delivery
parcel delivery
inform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372A (ko
Inventor
강전영
Original Assignee
씨앤디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디아이(주) filed Critical 씨앤디아이(주)
Priority to KR102018003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세대의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무인 택배함을 관리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세대별로에 할당되며, 내부에는 택배 수하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무인 택배함; 상기 무인 택배함에 설치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택배 배송자의 배송자 태그 또는 배송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택배함 관리 모듈; 택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구 게이트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 모듈과, 상기 택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택배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번호 인식 모듈과, 상기 택배 배송자가 상기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게이트 단말; 및 상기 게이트 단말로부터 상기 택배 정보와 상기 택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택배 차량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전 예약된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 모듈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택배 차량 진입 관리 모듈과, 상기 배송 세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에 배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세대 알림 모듈과, 상기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을 상기 택배 차량 정보와 연관지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택배 이력 관리 모듈과,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무인 택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택배 서버는 상기 택배 차량에 대하여 상기 게이트 단말에 출입구 게이트 열림 명령을 전달한 경우,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택배 수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며, 만약 택배 차량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택배 수납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등록된 상기 세대 월패드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미도착 상태를 알리고, 상기 택배 차량 진입 후 택배 미도착 상태를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 택배 서버에서 공동 세대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 단말을 제어하여 택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함은 물론 택배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며, 무인 택배함을 원격 제어하여 택배 차량의 출입에서 택배 수하물의 출납 관리를 원스탑으로 실시함으로써 공동 주택 내 택배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택배 차량의 출입 정보 및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세대원에게 실시간으로 알림으로써 세대원들의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UNMANNED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무인으로 택배 배송과 관련된 절차를 관리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의 무인 택배 서버에서 택배 차량의 출입 통제와 세대별 무인 택배함의 관리를 수행하며 세대원에게 택배 차량의 출입 및 택배 수하물의 수납과 관련된 정보를 세대원에 실시간으로 알리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는 사용자가 배송을 의뢰한 수하물을 목적지까지 배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통상적인 택배 서비스는 배송 의뢰를 받은 물품을 의뢰인 또는 구매처에서 수집하여 수하물 집하장으로 집결시키고, 배송 목적지별로 분류하여 지역의 영업점으로 배달하고, 각 지역의 영업점에서 배송 목적지까지 배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1인 세대가 늘어나는 등 하나의 세대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평균 수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는 등으로 인해 배송 목적지에 수취인이 부재인 경우 이웃집이나 경비실 등에 택배 수하물을 맡기거나 수취인 부재로 다시 택배 수하물을 영업점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수취인이 직접 택배 수하물을 수령하지 않는 경우, 전달자가 택배를 제때 전달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수취처로 택배가 배송되는 등의 배송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택배 배송자와 수취인 간에 분쟁이 발생되곤 한다.
또한, 수취인 부재로 택배물이 영업점으로 복귀되는 경우, 장기간 택배물이 배송중인 상태로 남아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배송물이 식품인 경우에는 유통기한이 경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곤 한다.
이러한 수취인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고, 택배 배송자와 댁내 수취인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회피하고자 무인 택배함이 이용되고 있다. 무인 택배함은 아직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일부 공동주택에서는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종래 무인 택배함은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공동주택에서 다수의 세대에 공용 무인 택배함을 운영하는 사례가 존재하였으나, 공용 무인 택배함은 사생활의 영역을 침범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공용 무인 택배함을 운영하는 경우 공유 세대들 간에 비밀번호를 공유하게 되므로, 비밀번호가 유출되어 도난 등의 우려가 높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769호는 건물의 벽면 일부를 들어내고 무인 택배함을 고정 설치하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무인 택배함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각 세대별 무인 택배함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무인 택배함의 본체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여 크기가 큰 택배 수하물도 수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의 문제도 해소하고 있다.
하지만, 공동주택에 위와 같은 무인 택배함이 적용되는 경우, 택배 배송자와 수취인 간의 사적인 통신에 의해 무인 택배함이 개폐되므로, 택배 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배송의 존부를 공증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택배 배송자가 공동주택에 출입한 정보(예컨대, 차량 번호와 배송자 정보 등과 같은)가 누락되어, 택배 이력이 정확하게 관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무인 택배함이 무단으로 이용되거나 점거되는 경우 범죄 행위를 추적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011-0004769호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중앙의 무인 택배 서버가 택배 차량의 출입 통제와 세대별 무인 택배함의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배송의 존부를 공증할 수 있고 택배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세대원에게 택배 차량의 출입 및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은, 공동 세대의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무인 택배함을 관리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로에 할당되며, 내부에는 택배 수하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무인 택배함; 상기 무인 택배함에 설치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택배 배송자의 배송자 태그 또는 배송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택배함 관리 모듈; 택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구 게이트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 모듈과, 상기 택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택배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번호 인식 모듈과, 상기 택배 배송자가 상기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게이트 단말; 및 상기 게이트 단말로부터 상기 택배 정보와 상기 택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택배 차량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전 예약된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 모듈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택배 차량 진입 관리 모듈과, 상기 배송 세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에 배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세대 알림 모듈과, 상기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을 상기 택배 차량 정보와 연관지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택배 이력 관리 모듈과,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무인 택배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택배 서버는 상기 택배 차량에 대하여 상기 게이트 단말에 출입구 게이트 열림 명령을 전달한 경우,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택배 수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며, 만약 택배 차량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택배 수납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등록된 상기 세대 월패드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미도착 상태를 알리고, 상기 택배 차량 진입 후 택배 미도착 상태를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은, 상기 배송자 태그 또는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식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식별코드 판단부; 상기 식별코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를 구동 제어하는 도어 개폐 구동부; 상기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식별코드 판단부, 상기 도어 개폐 구동부, 및 상기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도어 개폐 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 가능한 상태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은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무인 택배함의 열림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상기 열림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에 도어 열림 명령을 전달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방법은, 공동 세대의 각 세대별로 할당되며 택배 수하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무인 택배함과, 상기 무인 택배함에 설치되는 택배함 관리 모듈과, 택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게이트 단말과, 상기 게이트 단말로부터 택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택배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택배 서버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상에서 상기 무인 택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인 택배 관리 방법으로, (a) 상기 게이트 단말로부터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 검출 신호와, 상기 게이트 단말에 설치된 차량번호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한 택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택배 배송자가 상기 게이트 단말에 장치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상기 택배 수하물 관련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택배 차량 정보 및 상기 택배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택배 차량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전 예약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게이트 단말에 상기 출입구 게이트의 열림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배송 세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에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단계(e)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납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수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단계(e)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등록된 상기 세대 월패드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미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f)를 수행한 경우 상기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과 상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시간을 상기 택배 차량 정보와 연관지어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하며, 상기 단계(g)를 수행한 경우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 후 택배 미도착 상태를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방법은, 상기 단계(e)는, (e-1)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무인 택배함의 열림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2)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상기 열림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에 상기 무인 택배함의 도어 열림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e-3)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무인 택배 서버에서 공동 세대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 단말을 제어하여 택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함은 물론 택배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며, 무인 택배함을 원격 제어하여 택배 차량의 출입에서 택배 수하물의 출납 관리를 원스탑으로 실시함으로써 공동 주택 내 택배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택배 차량의 출입 정보 및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세대원에게 실시간으로 알림으로써 세대원들의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택배함 관리 모듈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택배함의 절첩 과정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무인 택배 서버와 다른 단말 간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택배함 관리 모듈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무인 택배함(110)은 전면에 개폐를 위한 도어(112)가 설치되며, 택배함 관리 모듈(100)에 의해 도어(112)의 개폐가 제어된다. 도어(112)는 전자 록킹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거나, 전자 록킹이 해제된 후에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택배함 관리 모듈(100)은 제어부(12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과, 메모리(124)와, 식별코드 판단부(126)와, 도어 개폐 구동부(128)로 구성된다.
제어부(120)는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ROM(Read Only Memory)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 메모리(124), 식별코드 판단부(126), 및 도어 개폐 구동부(128)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라이팅(writing) 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은 배송자 태그 또는 배송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식하는 통신 수단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은 예컨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24)는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2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디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SD 또는 XD 카드),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코드 판단부(126)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2)에서 배송자 태그를 인식하면, 식별코드 판단부(126)는 배송자 태그에 기록된 식별코드가 메모리(124)에 저장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도어 개폐 구동부(128)는 식별코드 판단부(126)의 판단 결과에 따라 도어(112)의 개폐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또는 스텝 모터 등과 같은 개폐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코드 판단부(126)에서 배송자 태그를 인식한 결과, 메모리(124)에 저장된 식별코드와 일치할 경우 제어부(120)에 의해 도어 개폐 구동부(128)가 동작하고, 무인 택배함(110)의 도어(112)가 개폐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택배함의 절첩 과정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무인 택배함(110)은 각 세대의 도어에 설치되거나 도어에 인접한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나 벽면 모두에서 무인 택배함(110)의 전후 방향 폭에 상당한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부피가 큰 택배 수하물의 수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무인 택배함(110)은 전후의 폭 방향으로 절첩 가능한 절첩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배송자나 사용자가 전면의 도어(1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앞으로 당기면, 절첩부(114)가 연장되면서 무인 택배함(110)이 전방으로 펼쳐지고, 내부 수납 공간이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도어(112)를 밀어 넣을 경우 절첩부(114)가 원래대로 복귀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은 무인 택배 서버(200)와, 택배함 관리 모듈(100)과, 게이트 단말(300)과, 세대 월패드(400)와, 사용자 휴대 단말(500)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단말(300)은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구에 설치된 게이트의 동작을 제어하여 택배 차량(390)의 출입을 통제하고, 택배 정보를 입력받아 무인 택배 서버(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단말이다. 게이트 단말(300)은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구(예컨대, 방문자 입출차 게이트)에 설치되며, 무인 택배 서버(200)와는 내부 유선망 또는 무선망으로 연결된다.
게이트 단말(300)은 게이트 구동 모듈(310)과, 키패드(320)와, 차량번호 인식 모듈(330)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 모듈(310)은 택배 차량(390)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며, 무인 택배 서버(200)의 명령을 수신하여 출입구 게이트를 구동한다.
키패드(320)는 택배 배송자가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택배 배송자는 택배 수하물의 송장 번호와 배송 세대 동호수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이트 단말(300)은 택배 배송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택배 정보를 생성하여 무인 택배 서버(200)로 전송한다. 무인 택배 서버(200)는 택배 정보를 판독하여 게이트 단말(300)에 차량 출입 허가 명령을 발송한다. 게이트 단말(300)은 차량 출입 허가 명령을 수신하면, 게이트 구동 모듈(310)을 동작시킨다.
차량번호 인식 모듈(330)은 택배 차량(390)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택배 차량(390)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택배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택배 차량 정보는 무인 택배 서버(200)로 전송된다. 무인 택배 서버(200)는 택배 차량 정보를 읽어 들여 택배 차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차량 출입 허가 명령을 발송할 수도 있다.
무인 택배 서버(200)는 게이트 단말(300)로부터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공동주택의 세대별로 구비되는 세대 월패드(400)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500)에 배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세대 월패드(400)는 무인 택배 서버(200)와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서 연결되거나 유선망과 무선망이 복합된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휴대 단말(500)은 세대원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로서, 예컨대 스마트폰이다. 무인 택배 서버(200)는 이동 통신망(600)을 통해 사용자 휴대 단말(500)로 택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택배 서버(200)는 택배 차량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택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세대 월패드(4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 배송자가 무인 택배함(110)에 접근한 시간, 무인 택배함(110)의 개방 및 폐쇄 시간 등 택배 차량의 출입에서 배송이 완료되는 동안 일어난 사건들의 시간과 택배 수하물의 출납과 관련된 정보들을 모두 세대 월패드(4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500)로 전송하여, 세대원이 택배 배송과 관련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택배 관리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에서 무인 택배 서버(200)에 의해 택배 관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택배 차량(390)이 공동 주택의 출입구 게이트에 진입하는 경우, 게이트 단말(300)이 택배 차량(390)의 진입을 검출할 것이다. 이때, 무인 택배 서버(200)는 게이트 단말(300)로부터 택배 차량(390)의 진입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ST410).
다음으로, 택배 배송자가 게이트 단말(300)에 장치된 키패드(320)를 통해 택배 수하물 관련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입력하면, 무인 택배 서버(200)는 택배 정보를 수집한다(ST415). 이때, 무인 택배 서버(200)는 게이트 단말(300)의 차량 번호 인식 모듈(330)로부터 택배 차량(390)의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택배 차량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무인 택배 서버(200)는 수집된 택배 정보를 판독하여 택배 차량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전 예약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게이트 단말(300)에 출입구 게이트 열림 명령을 전달한다(ST420).
그리고, 배송 세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4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500)에 배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T425).
다음 단계에서, 택배함 관리 모듈(100)로부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T430). 예컨대, 택배 배송자가 무인 택배함(110)에 근접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택배함 관리 모듈(100)이 배송자 태그를 읽어 무인 택배함(110)의 도어(112)를 개방 상태로 전환한다. 택배 배송자가 택배 수하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도어(112)를 닫으면, 택배함 관리 모듈(100)은 무인 택배함(110)의 도어(112)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택배 수하물의 수납 상태를 알리는 정보를 무인 택배 서버(200)로 전송한다.
무인 택배 서버(200)는 택배 수하물 수납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400)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500)에 택배 수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T435). 그리고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과 택배 수하물의 수납 시간을 택배 차량 정보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을 업데이트 한다(ST440). 이후, 사용자가 무인 택배함(110)으로부터 택배 수하물을 꺼내 갈 경우, 택배 인출 시간을 추가로 저장하여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만약, 단계 ST430에서 택배 수하물의 수납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택배 차량(390)의 진입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445). 만약,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등록된 세대 단말(세대 월패드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미도착 상태를 알리고(ST450), 단계 ST440으로 진행하여 택배 차량 진입 후 택배 미도착 상태를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무인 택배 서버와 다른 단말 간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무인 택배 서버(200)의 중앙 제어식 무인 택배 관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인 택배 서버(200)는 택배 차량 진입 관리 모듈(210)과, 세대 알림 모듈(220)과,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230)과, 택배 이력 관리 모듈(240)을 구비하며, 무인 택배 서버(200)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서버에는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250)가 구축된다.
택배 차량 진입 관리 모듈(210)은 게이트 단말(300)과 통신하여 게이트 단말(300)로부터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 및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와, 택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생성된 택배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택배 배송자가 입력한 택배 정보(예컨대, 배송물의 송장 번호) 또는 택배 차량 정보가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거나, 사전에 예약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 게이트 단말(300)에 택배 차량의 진입을 허가하는 정보를 전달한다. 택배 차량 진입 관리 모듈(210)의 원격 제어에 의해 게이트 단말(300)의 게이트 구동 모듈(310)이 동작되어 택배 차량의 출입이 통제된다.
택배 이력 관리 모듈(240)은 게이트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택배 정보, 택배 차량 정보, 및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 정보를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230)은 택배함 관리 모듈(100)로부터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으로 무인 택배함(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택배 이력 관리 모듈(240)은 수집된 택배 수하물 출납 정보를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택배함 관리 모듈(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배송자 태그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어 인증된 배송자인지를 판단하고, 무인 택배함(110)의 도어를 개방 상태로 제어할 수 있지만, 배송자가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무인 택배함(110)에 택배 수하물을 수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은 출입구에서 배송자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배송자가 인증된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에도 배송자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무인 택배 서버와 통신하여 무인 택배함(110)에 대한 접근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230)은 배송자 휴대 단말과 통신하여 무인 택배함(110)에 대한 열림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자가 출입구 게이트를 통과하면서 게이트 단말(300)의 키패드(320)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무인 택배 서버(200)로 전송하면,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230)은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250)를 검색하여 배송자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택배 차량의 입차 시에 입력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230)은 택배함 관리 모듈(100)에 무인 택배함(110)의 도어(112) 열림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택배함 관리 모듈(100)은 사용자 휴대 단말(5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500)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어 들이고,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 무인 택배함(110)을 자동으로 도어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택배함 관리 모듈(100)이 세대 월패드(4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세대 월패드(400)에 마련된 키가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무인 택배함(110)을 자동으로 도어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택배 이력 관리 모듈(240)은 무인 택배함(110)이 사용자 휴대 단말(500)이나 세대 월패드(400)에 의해 개폐되는 경우에도, 개폐 시간에 관한 정보들을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세대 알림 모듈(220)은 택배 차량의 출입 시에 수집된 배송 세대 정보를 바탕으로 배송 세대를 추출하고 추출된 세대의 세대 월패드(400)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500)에 배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택배 배송자에 의해 무인 택배함(110)이 개방되고 택배 수하물이 수납되는 경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정보(예컨대, 송장 번호와 수납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세대 월패드(4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500)로 전송한다.
한편, 택배 수하물의 수납을 확인하기 위해 무인 택배함(110) 내에는 택배 수하물의 수납을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택배함(110) 내부의 하중을 검출하는 로드셀이 설치되거나, 무인 택배함(110)의 입구로 택배 수하물이 투입되는 것을 검출하는 광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택배함 관리 모듈(100)은 택배 수하물의 수납이 검출되는 경우, 또는, 택배 수하물의 인출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 신호를 무인 택배 서버(200)로 전송하며, 택배 이력 관리 모듈(240)는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갱신한다.
각 세대에서 택배를 수령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세대 알림 모듈(220)은 세대 월패드(400) 또는 사용자 휴대 단말(500)과 통신하여 택배 수령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세대 알림 모듈(220)에서 택배 수령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택배 이력 관리 모듈(240)은 해당 배송물에 대하여 택배 수령 완료를 알리는 정보를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250)에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택배함 관리 모듈 110 : 무인 택배함
112 : 도어 114 : 절첩부
120 : 제어부 122 :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124 : 메모리 126 : 식별코드 판단부
128 : 도어 개폐 구동부 200 : 무인 택배 서버
210 : 택배 차량 진입 관리 모듈 220 : 세대 알림 모듈
230 :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 240 : 택배 이력 관리 모듈
250 : 택배 이력 데이터베이스 300 : 게이트 단말
310 : 게이트 구동 모듈 320 : 키패드
330 : 차량번호 인식 모듈 390 : 택배 차량
400 : 세대 월패드 500 : 사용자 휴대 단말
600 : 이동 통신망

Claims (12)

  1. 공동 세대의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무인 택배함을 관리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별로에 할당되며, 내부에는 택배 수하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무인 택배함;
    상기 무인 택배함에 설치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택배 배송자의 배송자 태그 또는 배송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택배함 관리 모듈;
    택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구 게이트를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 모듈과, 상기 택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택배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번호 인식 모듈과, 상기 택배 배송자가 상기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게이트 단말; 및
    상기 게이트 단말로부터 상기 택배 정보와 상기 택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택배 차량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전 예약된 차량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 모듈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택배 차량 진입 관리 모듈과, 상기 배송 세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에 배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세대 알림 모듈과, 상기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을 상기 택배 차량 정보와 연관지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택배 이력 관리 모듈과,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수하물의 출납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무인 택배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택배 서버는 상기 택배 차량에 대하여 상기 게이트 단말에 출입구 게이트 열림 명령을 전달한 경우,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택배 수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며, 만약 택배 차량 진입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택배 수납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등록된 상기 세대 월패드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미도착 상태를 알리고, 상기 택배 차량 진입 후 택배 미도착 상태를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은,
    상기 배송자 태그 또는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식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식별코드 판단부;
    상기 식별코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를 구동 제어하는 도어 개폐 구동부;
    상기 택배 수하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식별코드 판단부, 상기 도어 개폐 구동부, 및 상기 메모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도어 개폐 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함 원격 제어 모듈은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무인 택배함의 열림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상기 열림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에 도어 열림 명령을 전달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8. 공동 세대의 각 세대별로 할당되며 택배 수하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무인 택배함과, 상기 무인 택배함에 설치되는 택배함 관리 모듈과, 택배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게이트 단말과, 상기 게이트 단말로부터 택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택배 정보를 이용하여 배송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택배 서버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상에서 상기 무인 택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무인 택배 관리 방법으로,
    (a) 상기 게이트 단말로부터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 검출 신호와, 상기 게이트 단말에 설치된 차량번호 인식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한 택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택배 배송자가 상기 게이트 단말에 장치된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 상기 택배 수하물 관련 정보와 배송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택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 상기 택배 차량 정보 및 상기 택배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택배 차량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전 예약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게이트 단말에 상기 출입구 게이트의 열림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배송 세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에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단계(e)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수납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세대의 세대 월패드 또는 등록된 세대원의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수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단계(e)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등록된 상기 세대 월패드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택배 미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f)를 수행한 경우 상기 택배 차량의 출입 시간과 상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시간을 상기 택배 차량 정보와 연관지어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하며, 상기 단계(g)를 수행한 경우 상기 택배 차량의 진입 후 택배 미도착 상태를 세대별 택배 관리 이력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e-1)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무인 택배함의 열림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2) 상기 배송자 휴대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상기 열림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에 상기 무인 택배함의 도어 열림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e-3) 상기 택배함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택배 수하물의 수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택배 관리 방법.
  12. 삭제
KR1020180035961A 2018-03-28 2018-03-28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961A KR102031245B1 (ko) 2018-03-28 2018-03-28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961A KR102031245B1 (ko) 2018-03-28 2018-03-28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372A KR20190113372A (ko) 2019-10-08
KR102031245B1 true KR102031245B1 (ko) 2019-10-11

Family

ID=6820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961A KR102031245B1 (ko) 2018-03-28 2018-03-28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80B1 (ko) * 2019-11-22 2020-02-05 서정화 가방 제조 시스템
JP7264022B2 (ja) * 2019-11-26 2023-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60848A (ja) * 2020-03-31 2021-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運搬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74858B1 (ko) * 2020-08-05 2021-07-09 (주)구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통신망을 이용한 우편함 구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37B1 (ko) * 2016-06-16 2017-05-31 김태호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769U (ko) 2009-11-06 2011-05-13 백인구 무인택배함
KR101258689B1 (ko) * 2010-11-03 2013-05-09 (주)한별테크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20150020926A (ko) *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37B1 (ko) * 2016-06-16 2017-05-31 김태호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372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45B1 (ko)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861221B2 (en) Package receiving systems and methods
US109226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 event to video documenting the event
JP6239778B2 (ja) 宅配保管ボックス及びこれを用いた宅配受領方法とパスワード認証方法
KR101085445B1 (ko) 자동 소포 픽업 및 배달용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35175A1 (en) Automated Access Code Expiration Based on Delivery Fulfillment
US20160066733A1 (en) System for the selective receipt of delivered parcels utilizing a lock box having automated and remotely controlled features
KR101995874B1 (ko) 공동주택의 무인택배 시스템
US201502354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tially Opening an Access Barrier
US8271342B2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communicator
WO20161310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ackage delivery or pickup
KR101693358B1 (ko) 가구별 택배물품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원격 택배 관리 통제 시스템
JP2006206225A (ja) 配達物受取システム、車両用配達物受取装置、車両による配達物の受取方法
US20150235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tentially Unauthorized Access to an Enclosure
US102173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goods with automatic access code expiration
US20180276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tentially unauthorized access to an enclosure
US10497192B2 (en) Notifying an individual about an item in a secure mailbox
KR20120086614A (ko) 자동 택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39872A1 (en) System for securing packages
JP2012063845A (ja) 食配管理システム
CN112601477A (zh) 智能无人家庭递送箱
JP4905068B2 (ja) 宅配便システム、及び宅配箱
JP2009174165A (ja) 電気錠システム
KR101707781B1 (ko)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시스템
US20200160637A1 (en) Stor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