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437B1 -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437B1
KR101742437B1 KR1020160075173A KR20160075173A KR101742437B1 KR 101742437 B1 KR101742437 B1 KR 101742437B1 KR 1020160075173 A KR1020160075173 A KR 1020160075173A KR 20160075173 A KR20160075173 A KR 20160075173A KR 101742437 B1 KR101742437 B1 KR 10174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information
control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김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호 filed Critical 김태호
Priority to KR102016007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차량 차단 장치는 진입로를 통하여 진입하는 차량을 통제할 수 있도록 차단 또는 개방하는 차량 차단 장치로, 차단봉; 상기 차단봉의 차단 또는 개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차량의 진입 시 상기 차량의 전면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획득하는 진입 센서 모듈;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방문 주소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차량 진입 시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미리 등록된 경우 출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차량 정보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방문 주소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VEHICLE BLOCKING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록 미등록 차량에 따라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소유가 보편화 되면서 아파트나 빌딩 등에 출입하는 차량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RFID 태그 등을 이용하여 태그를 소지한 차량에 대하서는 통과하도록 하고, 태그 미소지 차량에 대해서는 출입 시간 등이 기록된 방문증을 출력하여 출차 시 제출하거나 과금을 부여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에는 미등록 차량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거나 통제하기 위하여 상기 근무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의 소모가 발생하며 이러한 차량 방문에 대한 전산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등록/미등록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미등록 차량에게 방문 정보를 획득하여 방문 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진입로를 통하여 진입하는 차량을 통제할 수 있도록 차단 또는 개방하는 차량 차단 장치로, 차단봉; 상기 차단봉의 차단 또는 개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차량의 진입 시 상기 차량의 전면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획득하는 진입 센서 모듈;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방문 주소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차량 진입 시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미리 등록된 경우 출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차량 정보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방문 주소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구역에 대한 입출차 관리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아이디 및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비밀번호를 획득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된 아이디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관리자 아이디인 경우 관리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 아이디인 경우 사용자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모드는 상기 관리자 아이디에 부여된 구역에 대한 출입 정보 및/또는 방문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모드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등록된 차량에 대한 출입 정보 및/또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방문 정보가 제공되는 단말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록/미등록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미등록 차량에게 방문 정보를 획득하여 방문 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의 환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장치(1000)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장치(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장치(1000)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600)의 높이 조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930)의 각도 조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UI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UI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UI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관리자UI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 및 촬영부의 이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통제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진입로를 통하여 진입하는 차량을 통제할 수 있도록 차단 또는 개방하는 차량 차단 장치로, 차단봉; 상기 차단봉의 차단 또는 개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차량의 진입 시 상기 차량의 전면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획득하는 진입 센서 모듈;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방문 주소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차량 진입 시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미리 등록된 경우 출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차량 정보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방문 주소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는 분리된 별도의 하우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진입 센서 모듈은 상기 차단봉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진입 센서 모듈은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 미리 정해진 연속된 수의 수광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신호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량에 대한 높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하는 높이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 센서 모듈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부의 각도 및/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도록 엑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구역에 대한 입출차 관리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아이디 및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비밀번호를 획득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된 아이디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관리자 아이디인 경우 관리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 아이디인 경우 사용자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모드는 상기 관리자 아이디에 부여된 구역에 대한 출입 정보 및/또는 방문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모드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등록된 차량에 대한 출입 정보 및/또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대응하는 방문 정보가 제공되는 단말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관리 모드는 택배 이미지, 택배 발송자 정보, 택배 보관 장소 및 택배 수령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택배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관리 모드는 차량 이미지, 요청 정보 종류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알림 메시지를 작성하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사용자 모드는 택배 알림 메시지 및 차량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 단말기는 임시 등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임시 등록 정보의 유효 기간, 만료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여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의 환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은 차량 차단 장치(1000), 서버 장치(2000) 및 단말기(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0)는 사용자 단말기(3000a) 및 관리자 단말기(3000b)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서버 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서버 장치(20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1000)는 통과하는 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차단봉(1910)을 개방하기 전 차량의 전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차단봉(1910) 개방 후 통과하는 차량의 후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차량 차단 장치(1000)의 촬영부(1300)는 제1 촬영위치(C1)에서 차량의 전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차량봉(1700)이 개방하는 동안 제2 촬영위치(C2)로 회전하여 차량 후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1000)는 획득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는 획득한 이미지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출입 정보 및 방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진입한 차량이 등록 차량인 경우 출입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진입한 차량이 미 등록 차량인 경우, 방문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차량 차단 장치(1000) 및 단말기(30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차량 차단 장치(1000) 및 단말기(30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차량 차단 장치(1000) 및 단말기(30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와 차량 차단 장치(1000) 및 단말기(30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망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망은 유선 통신망으로, LAN, WAN, 이더넷(Ethernet), 유에스비(USB)방식, 전화선 방식, 전력선 방식, 시리얼 방식 및 패러럴 방식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일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와이에이치디(WiHD), 3G(3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망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네트워크 망(3000)은 사설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등록 차량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차량 등록 정보는 등록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 차종, 색상,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0)는 등록 차량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동거자 이름, 동거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0)는 사용자 및/또는 관리자가 소지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데스크탑 및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단말기(3000)에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3000)는 로그인된 아이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0a) 및/또는 관리자 단말기(3000b)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의 연결 환경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최적의 연결 환경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을 뿐, 본 발명의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의 연결 환경이 도 1의 연결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가 서버 장치(20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 차단 장치(1000)는 단말기(30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에 별도의 제어부가 제공되지 않고 서버 장치(2000)가 제어부를 대신하여 차량 차단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차량 통제 시스템(10000)의 연결 환경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장치(1000)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차단기 통신부(1100), 센서부(1200), 촬영부(1300), 구동부(1400), 메모리부(1500), 입력부(1600), 디스플레이부(1700) 및 차단기 제어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통신부(1100)는 서버 장치(20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단기 통신부(1100)는 서버 장치(2000)의 서버 통신부(21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200)는 외부로 신호를 발신하고, 발신된 신호가 물체에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0)는 광센서, 초음파센서, 포토다이오드 등의 모션 감지일 수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1200)는 진입 센서 모듈(1210) 및 높이 센서 모듈(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진입 센서 모듈(1210)은 차량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높이 센서 모듈(1220)은 차량 높이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1300)는 외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1300)는 CCD 모듈, CMOS 모듈 등일 수 있다.
구동부(1400)는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400)는 촬영부(1300) 및 차단봉(1910)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500)는 촬영부(1300)가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차량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부(1500)는 차량 차단 장치(1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6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600)는 키패드, 키보드, 스위치, 버튼 및 터치스크린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0)는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1700a) 및 제2 디스플레이부(1700b)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량 차단 장치(1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뿐 선택에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되어 구현되거나 일부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입력부(1600)와 인접한 위치에 인터폰이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본을 통하여 관리자 및/또는 방문자를 호출할 수 있으며, 음성 대화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2000)는 서버 통신부(2100), 저장부(2200) 및 서버 제어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0)는 차량 차단 장치(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2100)는 단말기(300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22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0)는 차량 차단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저장부(2200)는 서버 장치(2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0)는 서버 장치(2000)의 동작을 총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3000)는 단말기 통신부(310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200), 단말기 음향 출력부(3300), 단말기 입력부(3400), 단말기 저장부(3500) 및 단말기 제어부(3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3100)는 서버 장치(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통신부(3100)는 wifi, 3G, 4G, LTE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3100)는 서버 장치(2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통신부(3100)는 서버 장치(2000)로부터 차량 이미지, 출입 정보 및 방문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2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200)는 입출차 관리를 위한 UI(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음향 출력부(3300)는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음향 출력부(3300)는 수신 알림, 일정 알림 등의 알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300)는 예를 들어 스피커 및 부져(Buzzer) 등일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3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 터치 입력, 버튼 푸쉬, 키보드 입력 등의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입력부(3400)는 키보드, 마우스, 조그 셔틀, 터치 패널,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3400)는 획득한 전기 신호를 다른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입력부(3400)는 획득한 전기 신호를 단말기 제어부(36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35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저장부(3500)는 단말기(3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단말기(3000)에 포함된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단말기 통신부(310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200), 단말기 음향 출력부(3300), 단말기 입력부(3400) 및 단말기 저장부(35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단말기(3000)에 포함된 구성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단말기 입력부(340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장치(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차단 장치(1000)의 동작은 진입을 판단하는 단계(S110),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0), 등록 차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 출입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40), 방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50), 방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60) 및 차단봉을 개방하는 단계(S17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차단기 제어부(1800)는 진입 센서 모듈(1210)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 장치(1000)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센서 모듈(1210)은 차단봉(1910)에 제공될 수 있다. 진입 센서 모듈(1210)이 차단봉(1910)에 제공되는 경우 진입 센서 모듈(1210)는 복수의 센서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입 센서 모듈(1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91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에 제공될 수 있다. 진입 센서 모듈(1210)은 발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신부는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수신부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복수의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복수의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신호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복수의 수신부 중 연속되어 배치된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의 수신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신호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수신부가 제1 수신부부터 제10 수신부까지 10개로 제공되는 경우, 차단기 제어부(1800)는 미리 정해진 개수인 5개 즉 제3 수신부부터 제7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신호값이 모두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수신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신호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더라도 미리 정해진 개수만큼 연속되지 않는 경우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부터 제10 수신부까지의 수신부 중 제1 수신부부터 제3 수신부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신호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고, 제8 수신부부터 제10 수신부까지 획득한 신호의 신호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 기준을 만족하는 연속하는 수신부는 최대 3개로, 미리 정해진 개수인 5개 미만이기 때문에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진입 센서 모듈(1210')은 진입로 바닥에 설치된 루프 코일로 제공될 수 있다. 진입 센서 모듈(1210')이 루프 코일로 제공되는 경우, 차단기 제어부(1800)는 진입 센서 모듈(1210')로부터 획득한 신호값을 미리 정해진 진입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진입 센서 모듈(121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값이 진입 판단 기준 이상인 경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 제어부(1800)는 진입 센서 모듈(121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값이 진입 판단 기준 미만인 경우,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촬영부(1300)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촬영부(1300)가 획득한 이미지는 예를 들어 차량 전면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촬영부(1300)가 획득한 이미지는 차량 번호판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이미지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이미지에 포함된 차량 번호판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이미지로부터 차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차량이 대형, 중형, 소형 및 경차와 같은 차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등록 차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차단기 제어부(1800)는 획득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획득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지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거나 서버 장치(2000)로 판단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가 획득한 차량 번호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면, 서버 장치(2000)는 차량 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차단기 제어부(18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량 번호가 미리 등록되어 메모리부(1500)에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량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량 번호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출입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 제어부(1800)는 서버 장치(2000)로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의 방문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의 방문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의 방문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3000b)로 전송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출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40).
차단기 제어부(1800)는 판단 결과 등록 차량인 경우 출입 정보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출입 시간 정보, 차량 이미지, 차량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방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50).
차단기 제어부(1800)는 판단 결과 미등록 차량인 경우 방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입력부(1600)를 통하여 방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 정보는 방문 주소 정보 및 방문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입력부(1600)를 통하여 방문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입력부(1600)와 인접하여 설치된 제2 촬영부(1300b)로부터 방문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입력부(1600)를 통하여 방문 주소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방문자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600)와 인접한 위치에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방문 주소 입력을 요청하는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는 방문 주소 입력 방법에 대한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는 방문 주소 입력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는 방문 주소 입력이 실패하였을 알리는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재입력을 요청하는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방문 주소 정보 및/또는 방문자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지지봉(19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600)의 높이 조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입력부(1600)와 인접하여 설치된 센서모듈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진입한 차량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지지봉(19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봉과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결과 중형차인 경우, 도 7(a)와 같이 초기 높이인 제1 높이(H)를 유지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판단 결과 대형 차량인 경우, 도 7(b)와 같이 제2 높이(H')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방문 주소 정보 및/또는 방문자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거치대(19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930)의 각도 조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입력부(1600)와 인접하여 설치된 센서 모듈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진입한 차량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입력부(1600)가 거치된 거치대(1930)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결과 중형차인 경우, 도 8(a)와 같이 초기 각도인 제1 각도(A)를 유지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판단 결과 대형 차량인 경우, 도 7(b)와 같이 초기 각도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제2 각도(A')가 유지 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판단 결과 경차인 경우, 도 7(c)와 같이 초기 각도에서 상대적으로 큰 제3 각도(A'')가 유지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방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60).
차단기 제어부(1800)는 방문 주소 정보, 차량 이미지, 방문 시간 정보 및 방문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방문 정보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단봉(1910)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0).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단봉(1910)을 개방하도록 구동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단기 제어부(1800)는 차단봉(1910)를 폐쇄하도록 구동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차단봉(1910)를 폐쇄하도록 구동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단기 제어부(1800)는 별도의 센서를 통하여 차량이 통과를 완료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과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차단동(1910)을 폐쇄하도록 구동부(1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단말기(10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1000)의 동작은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S210), 아이디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S220), 사용자 UI를 출력하는 단계(S230) 및 관리자 UI를 출력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있다(S210).
단말기 제어부(3600)는 비 로그인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로그인UI가 출력되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UI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UI에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UI에는 외부 사이트 및/또는 SNS의 계정과의 연동을 선택할 수 있는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로그인UI에는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및 미등록 회원이 등록할 수 있는 가입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입력한 아이디가 미리 등록된 상태에서 입력한 비밀번호가 등록된 아이디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로그인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600)는 외부 사이트 및/또는 SNS로부터 획득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승인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아이디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S220).
단말기 제어부(3600)는 로그인된 아이디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로그인된 아이디가 사용자 아이디인지 또는 관리자 아이디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로그인된 아이디가 관리자 아이디인 경우 관리자 등급을 추가적으로 더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사용자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30).
단말기 제어부(3600)는 판단 결과 사용자 아이디인 경우 사용자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사용자 UI가 출력되도록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UI의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I는 차량 출입 오브젝트, 차량 알림 오브젝트, 택배 알림 오브젝트, 공지사항 오브젝트, 건의 사항 오브젝트 및 설정 오브젝가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출입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차량 출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사용자 아이디에 매칭된 등록 차량 및/또는 사용자 아이디의 주소를 방문한 방문 차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출입 정보는 차량 이미지, 출입 시간, 방문 시간, 차량 번호 및 주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차량 출입 정보가 최근 출입 및/또는 방문 정보 순으로 정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출입 정보 방문 차량 및 등록 차량이 구분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출입 차량의 정보와 방문 차량의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의 색상이 서로 상이하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출입 차량의 정보와 방문 차량의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이 하나의 화면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좌우로 분할된 하나의 화면에서 오른쪽에는 출입 차량의 정보 리스트가 출력되고 왼쪽에는 방문 차량의 정보 리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알림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관리 단말기(3000b)에 의해 작성된 차량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알림은 예를 들어 차량 이동 요청 메시지, 차량 문제 발생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차량 이동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등록 차량 및/또는 방문 차량의 이동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차량 문제 발생 메시지는 예를 들어 등록 차량 및/또는 방문 차량의 파손, 전조등과 실내등의 켜짐 등과 같은 문제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택배 알림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사용자 아이디의 주소로 배송된 택배의 알림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택배 알림 메시지는 예를 들어 택배 수령 시간, 택배 보관 장소 및 발송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지사항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관리 단말기(3000b)에 의해 작성된 공지사항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건의 사항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3000a) 및/또는 관리 단말기(3000b)에 의해 작성된 건의 사항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설정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주소 변경, 로그아웃, 아이디 및 비밀번호 변경, 차량 등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사용자 모드의 동작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0)의 사용자 모드 동작은 선택에 따라 일부 기능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기능이 생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서버 장치(2000)로부터 방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방문 정보를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2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600)는 단말기 음향 출력부(3300)를 통하여 방문 정보가 출력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600)는 방문 정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방문 확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방문 승인 메시지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600)는 방문 거절 및/또는 미방문을 선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방문 거절 및/또는 미방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방문 거절 메시지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UI는 방문 예정인 차량의 차량 정보를 임시로 등록할 수 있는 방문 차량 등록 오브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문 차량 등록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단말기 제어부(3600)는 방문 차량에 대한 임시 등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UI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임시 등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획득한 임시 등록 정보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임시 등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2000)는 임시 등록 정보를 차량 차단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임시 등록 정보에는 유효 기간 및/또는 만료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임시 등록 정보의 유효 기간 및/또는 만료 조건은 차량 차단 장치(10000), 서버 장치(2000) 및 단말기(30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 등록 정보에는 24시간이라는 유효 기간이 설정될 수 있으며, 유효 기간이 만료되면 삭제되거나 이력은 남기되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임시 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이 방문 및/또는 출차한 경우 임시 등록 정보가 삭제되거나 이력은 남기되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설정이 변경되도록 만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유효한 임시 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에 한해서는 등록 차량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차단 장치(1000)는 유효 기간이 지났거나 만료된 경우에는 방문 차량(미등록차량)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관리자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40).
단말기 제어부(3600)는 관리자 UI가 출력되도록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UI의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출입 오브젝트, 블랙리스트 오브젝트, 차량 알림 오브젝트, 택배 알림 오브젝트, 공지사항 오브젝트, 건의 사항 오브젝트, 현황 오브젝트 및 설정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출입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말기 제어부(3600)는 미리 정해진 구역에 대한 출입 정보 및 방문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된 관리자 아이디에 부여된 구역이 A 아파트인 경우, 단말기 제어부(3600)는 A아파트에 대한 출입정보 및 방문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블랙리스트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말기 제어부(3600)는 블랙리스트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리스트는 방분 시 사용자 단말기(3000b)에 의해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방문 거절 메시지를 획득한 차량 정보일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블랙리스트의 추가 및/또는 해지를 선택할 수 있는 오브젝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블랙리스트의 추가 및/또는 해지를 설정할 수 있다.
차량 알림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말기 제어부(3600)는 기 등록된 차량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600)는 차량 알림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는 오브젝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 알림 메시지 추가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차량 알림 메시지 추가 UI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차량 알림 메시지 추가 UI를 통하여 차량 알림 이미지, 알림 종류(예를 들어 파손, 조명등 켜짐 등) 및 대상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알림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획득한 차량 알림 메시지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획득한 차량 알림 메시지를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의 사용자 단말기(3000a)로 전송할 수 있다.
택배 알림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말기 제어부(3600)는 기 등록된 택배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부(3600)는 택배 알림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는 오브젝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택배 알림 메시지 추가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택배 알림 메시지 추가 UI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택배 알림 메시지 추가 UI를 통하여 택배 이미지, 택배 정보(예를 들어 발송자 정보, 수령 시간등) 및 대상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택배 알림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3600)는 획득한 택배 알림 메시지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0)는 획득한 택배 알림 메시지를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의 사용자 단말기(3000a)로 전송할 수 있다.
공지사항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관리 단말기(3000b)에 의해 작성된 공지사항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건의 사항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3000a) 및/또는 관리 단말기(3000b)에 의해 작성된 건의 사항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현황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말기 제어부(3600)는 관리자 아이디에 부여된 구역에 대한 통계 그래프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시간당 입출차 량에 대한 그래프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주소 변경, 로그아웃, 아이디 및 비밀번호 변경, 차량 등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관리자 모드의 동작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3000)의 관리자 모드 동작은 선택에 따라 일부 기능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 기능이 생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관리자UI의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관리자 UI는 도 13의 관리자UI 와는 다른 등급의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 시 제공되는 UI일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관리자 UI는 일부 기능이 제외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기능과 같은 추가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모니터링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말기 제어부(3600)는 예를 들어 현재 차량 차단 차이(1000)를 통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기 제어부(3600)는 가장 최근(현재시점 포함)에 획득한 출입 정보 및/또는 방문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에 대해서 설명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과 비교하였을 때, 차량 차단 장치(1000)의 촬영부(1300)가 회전하는 구성이 더 부가된 것으로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10000)과 동일한 구성 및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1910) 및 촬영부(1300)의 이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a)는 차단봉(1910)의 이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910)과 촬영부(1300)는 구동부(1400)와 연결될 수 있다.
차단봉(1910)과 촬영부(1300)는 구동부(1400)에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봉(1910)과 촬영부(1300)는 구동부(1400)가 제공하는 구동축에 연결되어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단봉(1910)과 촬영부(1300)는 구동부(1400)가 제공하는 기어에 연결되어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400)가 제공하는 동력은 차단봉(1910)과 촬영부(13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1400)가 제공하는 동력은 차단봉(1910)과 촬영부(1300)에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차단봉(1910)은 구동부(14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910)의 일측이 구동부(1400)와 연결될 수 있다.
차단봉(1910)은 제1 위치(P1)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P1)는 예를 들어 차단봉(1910)이 차량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진입로를 차단하는 차단 상태일 때의 위치일 수 있다.
차단봉(1910)은 구동부(140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910)은 구동부(1400)와 연결된 제1 회전축(R1)에 회전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제1 회전축(R1)에 제공 받은 회전력에 의해 차단봉(1910)의 다른 일측은 제1 위치(P1)에서 제1 경로(L1)을 따라 제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P2)는 예를 들어 차단봉(1910)이 진입로를 통하여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개방 상태일 때의 위치일 수 있다.
도 15(b)는 촬영부(1300)의 이동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300)는 회전이동할 수 있다.
촬영부(1300)는 제1 촬영위치(C1)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촬영위치(C1)는 예를 들어 차단봉(1910)이 차단 상태일 때의 촬영위치일 수 있다.
촬영부(1300)는 제1 촬영위치(C1)에서 제1 영역(A1)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예를 들어, 차단봉(1910)을 기준으로 차량이 접근해 오는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영역(A1)으로 차량을 진입하는 경우, 상기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이 상기 촬영부(130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
촬영부(1300)은 구동부(140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300)는 구동부(1400)와 연결된 제2 회전축(R2)에 회전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제2 회전축(R2)에 제공 받은 회전력에 의해 촬영부(1300)는 제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촬영부(1300)는 회전하여 제1 촬영위치(C1)에서 제2 촬영위치(C2)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촬영위치(C2)는 예를 들어 차단봉(1910)이 개방 상태일때의 촬영위치일 수 있다. 또한, 촬영부(1300)의 촬영영역은 촬영부(1300)가 제1 촬영위치(C1)에서 제2 촬영위치(C2)로 회전하여 이동함에 따라 제1 영역(A1)에서 제2 경로(L2)를 따라 제2 영역(A2)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c)는 차단봉(1910)의 이동과 촬영부(1300)의 이동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은, 촬영부(1300)의 이동(예를 들어, 회전)이 차단봉(1910)의 이동과 완전히 연계되어 동작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 '연계되어 동작한다'는 것의 의미는, 촬영부(1300)가 이동을 시작할 때 차단봉(1910)도 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며, 아울러 촬영부(1300)가 이동을 중단할 때 차단봉(1910)도 이동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시점(T1)에 구동부(1400)가 동력을 발생시키기 시작하게 되면, 제1 시점(T1)에 촬영부(1300)가 제1 촬영위치(C1)에서 이동하기 시작하게 되며, 동시에 제1 시점(T1)에 차단봉(1910)이 제1 위치(P1)에서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점(T2)에 구동부(1400)가 동력을 발생을 멈추게 되면, 제2 시점에 촬영부(1300)의 이동이 멈추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제2 시점에 차단봉(1910)의 이동도 멈추게 된다.
만약 이때 제2 시점이 촬영부(1300)가 제2 촬영위치(C2)에 위치하게 되는 시점이라면, 상기 제2 시점에 상기 차단봉(1910)은 제2 위치(P2)에 멈추게 될 것이나, 반드시 제2 시점이 상기 촬영부(1300)가 제2 촬영위치(C2)에 위치하게 되는 시점일 필요는 없다.
촬영부(1300)의 이동이 회전이동이며, 아울러 차단봉(1910)의 이동이 회전이동인 경우를 예로 들어 "연계되어 동작"하는 것의 의미를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
구동부(1400)가 동력을 발생시킨 제1 시점(T1)부터 구동부(1400)가 동력 제공을 중단하는 제2 시점(T2)까지 차단봉(1910)은 제1 위치(P1)로부터 90도 이동하고, 촬영부(1300)는 제1 촬영위치(C1)부터 180도 이동하게 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구동부(1400)가 제1 시점(T1)부터 동력을 제공하여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의 절반의 시점에 동력의 제공을 중단한다면 차단봉(1910)은 45도만큼 회전이동할 수 있으며, 촬영부(1300)는 90도만큼 회전이동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시점(T1)에 이동을 시작한 차단봉(1910)이 이동한 각도(L1)과 촬영부(1300)가 이동한 각도(L2)는 서로 같을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차단봉(1910)과 촬영부(1300)는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봉(1910)은 제1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하여 구동부(14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촬영부(1300)는 제2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하여 구동부(14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전달 부재가 기어로 구현되는 경우, 차단봉(1910)은 제1 기어와 연결되고 구동부(1400)는 제2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서로 다른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기어비는 동일한 시간 동안 차단봉(1910)의 이동한 각도(L1)와 촬영부(1300)가 이동한 각도(L2)에 의해 결정될 있다. 여기서 기어비란 서로 맞물려 동작하는 기어들간에 하나의 기어의 잇수와와 다른 기어의 잇수의 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의 잇수가 100이고, 제2 기어의 잇수가 50일 때 두 기어의 기어비는 2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기어비는 동일 시간 동안의 차단봉(1910)의 이동 각도(L1)과 촬영부(1300)의 이동 각도(L2)의 비에 대한 역수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의 잇수가 100이고, 제2 기어의 잇수가 50이고, 차단봉(1910)의 이동 각도(L1)가 90도 이고 촬영부(1300)의 이동 각도(L2)가 180이면,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기어비는 50/100=2가 되고, 차단봉(1910)의 이동 각도(L1)와 촬영부(1300)의 이동 각도(L2)의 비의 역수는 180/90=2로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기어비는 이동 각도(L1)와 촬영부(1300)의 이동 각도(L2)의 비의 역수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어와 제2 기어의 기어비는 동일 시간 동안의 차단봉(1910)의 이동 각도(L1)과 촬영부(1300)의 이동 각도(L2)의 비와 반비례 관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은 구동부(1400)가 차단봉(1910) 및 촬영부(130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만약 구동부(1400)를 통하여 차단봉(1910) 및 촬영부(130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되면(즉, 연계하여 제어하지 않는 경우), 구동부(1400)로부터 차단봉(191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 전달 수단과 구동부(1400)로부터 촬영부(1300)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 전달 수단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을 하여야 하거나, 복잡한 구조의 기어박스를 구성하여 구동부(140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차단봉(1910) 및 촬영부(1300)로 전달할 수 있는 복잡한 형태의 동력 전달 수단을 구비하여야만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동력 전달 수단을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 차단 장치의 제조/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차량의 전면과 후면을 촬영하여 보다 더 보안력을 높이고자 하는 공중 일반에 요구되는 요구사항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 차단 장치(1000)를 포함하는 차량 통제 시스템(10000)의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통제 시스템(10000)은 차량 차단 장치(1000)를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 및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제1 차로를 통하여 들어오는 차량(입차)을 위한 차량 차단 장치(1000)일 수 있으며,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제2 차로를 통하여 나가는 차량(출차)을 위한 차량 차단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량 차단 장치(1000)가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 및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300)는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에만 제공될 수 있다.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외부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 및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서버 장치(20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차량 차단 장치(예를 들어,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 및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를 제공함으로써, 들어오는 차량(입차)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차량의 출입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나가는 차량(출차)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관리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에 대한 이력을 보다 강력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 및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 중 하나의 차량 차단 장치(1000)에만 촬영부(1300)를 제공하여 사용되는 촬영부(1300)의 수를 최소화 함으로써, 제작/수리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 및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 중 하나의 차량 차단 장치(1000)에만 촬영부(1300)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추가적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a)의 요청에 의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a)의 요청에 의해 제1 촬영위치에서 제1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a)의 요청에 의해 제1 촬영위치에서 제1 영역에 대한 이미지는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a)를 통과한 차량(예를 들어, 출차)의 후면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a)를 대신해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획득한 이미지와 차량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이미지를 서버 장치(2000)로 전송하면서 획득한 이미지가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a)를 대신하여 획득한 이미지임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차량이 감지되면 제2 차단봉(1700b)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와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독립된 장치이기 때문에 제2 차단봉(1700b)이 개방되더라도 촬영부(1300)는 제2 차단붕(1700b)과 동시에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촬영부(1300)는 제1 차단봉(1700a)의 이동 시에만 제1 차단봉(1700a)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의 제1 차단봉(1700a)이 폐쇄 상태일 때만 제2 차단봉(1700b)을 개방할 수 있다. 제1 차단봉(1700a)이 개방 상태일때는 촬영부(1300) 역시 동시에 이동하여 제1 촬영위치(C1)에서 제2 촬영위치(C2)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부(1300)가 제1 촬영위치(C1)에서 촬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차량이 감지되더라도 제1 차단봉(1700a)이 개방 상태인 경우 대기하다 제1 차단봉(1700a)이 폐쇄 상태가 되면 제2 차단봉(1000b)을 개방하며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로 이미지 획득을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의 제1 차단봉(1700a)이 개방 상태인 경우,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로 촬영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로부터 촬영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차단봉(1700a)이 폐쇄 상태가 되면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로 촬영이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로부터 촬영이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차단봉(1700b)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는 제2 차단봉(1700b)을 다시 폐쇄하는 경우,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로 촬영을 완료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차량 차단 장치(1000a)는 제2 차량 차단 장치(1000b)로 촬영이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 경우, 차량이 감지되더라도 제1 차단봉(1700a)을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0 입출차 관리 시스템 1000 차량 차단 장치
2000 서버 장치 3000 단말기

Claims (11)

  1. 진입로를 통하여 진입하는 차량을 통제할 수 있도록 차단 또는 개방하는 차량 차단 장치로,
    차단봉;
    상기 차단봉의 차단 또는 개방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차량의 진입 시 상기 차량의 전면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촬영부;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획득하는 진입 센서 모듈;
    서버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차단기 통신부;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차량의 탑승자로부터 방문 주소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차량 진입 시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미리 등록된 경우 상기 서버 장치로 출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차량 정보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방문 주소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문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단봉을 개방하는 제2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출입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 상기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차량의 방문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차단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방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방문 승인 메시지 및 방문 거절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블랙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상기 방문 거절 메시지를 획득한 차량 정보이고,
    상기 차량 차단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임시 등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임시 등록정보가 유효할 때는 상기 임시 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을 등록 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시 등록정보가 만료된 경우에는 미 등록 차량으로 판단하되,
    상기 임시 등록 정보의 유효 여부는 상기 임시 등록 정보에 설정된 유효 기간 및 만료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판단되고,
    상기 만료 조건은 상기 임시 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의 방문 및 출차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는 분리된 별도의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차량에 대한 높이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획득하는 높이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 센서 모듈로부터 획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부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 센서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부 중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신호값을 갖는 수신부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인 경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신호값을 갖는 수신부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 이라도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의 신호값을 갖는 수신부가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차단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센서 모듈은 상기 차단봉의 일측에 제공되는
    차량 차단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75173A 2016-06-16 2016-06-16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74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73A KR101742437B1 (ko) 2016-06-16 2016-06-16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173A KR101742437B1 (ko) 2016-06-16 2016-06-16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25A Division KR20170142104A (ko) 2017-05-23 2017-05-23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437B1 true KR101742437B1 (ko) 2017-05-31

Family

ID=5905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173A KR101742437B1 (ko) 2016-06-16 2016-06-16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4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372A (ko) * 2018-03-28 2019-10-08 씨앤디아이(주)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9720B1 (ko) * 2019-11-07 2020-05-12 주식회사 아파트스토리 미등록차량 및 방문차량의 주차관제 통합관리시스템
CN111636740A (zh) * 2020-06-08 2020-09-08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可升降式智能停车位路障系统
KR20210081910A (ko) * 2019-12-24 2021-07-02 (주)이현 스마트게이트 iot 시스템
KR102319938B1 (ko) * 2021-06-07 2021-10-29 김태선 주차장 불법 차량 번호판 사용 차단 블랙리스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744A (ja) * 2002-02-04 2003-08-15 Nippon Signal Co Ltd:The 駐車管理システム
KR100768465B1 (ko) * 2007-02-27 2007-10-18 (주)유피에스정보통신 차량의 출입관리방법
KR101424635B1 (ko) * 2013-11-28 2014-08-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감지장치 및 차량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744A (ja) * 2002-02-04 2003-08-15 Nippon Signal Co Ltd:The 駐車管理システム
KR100768465B1 (ko) * 2007-02-27 2007-10-18 (주)유피에스정보통신 차량의 출입관리방법
KR101424635B1 (ko) * 2013-11-28 2014-08-01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감지장치 및 차량감지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372A (ko) * 2018-03-28 2019-10-08 씨앤디아이(주)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1245B1 (ko) * 2018-03-28 2019-10-11 씨앤디아이(주)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9720B1 (ko) * 2019-11-07 2020-05-12 주식회사 아파트스토리 미등록차량 및 방문차량의 주차관제 통합관리시스템
KR20210081910A (ko) * 2019-12-24 2021-07-02 (주)이현 스마트게이트 iot 시스템
KR102285812B1 (ko) 2019-12-24 2021-08-05 (주)이현 스마트게이트 iot 시스템
CN111636740A (zh) * 2020-06-08 2020-09-08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可升降式智能停车位路障系统
KR102319938B1 (ko) * 2021-06-07 2021-10-29 김태선 주차장 불법 차량 번호판 사용 차단 블랙리스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437B1 (ko)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U2020244502B2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barrier operator
US10810817B2 (en) Remote guest access to a secured premises
US9396598B2 (en) Remote guest access to a secured premises
US10829111B2 (en) Methods and vehicles for driverless self-park
CA2691774C (en) Security system with two-way communication and video
US20120066301A1 (en) Social networking with autonomous agents
KR100781697B1 (ko)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42104A (ko) 차량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1041437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lock/unlock alerts
US20140266573A1 (en) Control Device Access Method and Apparatus
EP1701475A1 (en) Home appliance control in a virtual private network environment
CN105225520A (zh) 一种停车管理方法、装置及系统
EP3166088A1 (fr) Procede de gestion d'acces a un local
US94143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call with doorphone using telematics
JP4031743B2 (ja) 駐車場制御装置、携帯型通信端末、駐車場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798659A (zh) 一种车辆监控方法及系统
JP2018053438A (ja) 住宅管理システム
KR101743872B1 (ko) 아파트의 차량 관리 시스템
KR101841938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26450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KR102149618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654481B1 (ko) 차량 차단 장치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5431385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管理システム
KR101515582B1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