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450B1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50B1
KR101426450B1 KR1020120076934A KR20120076934A KR101426450B1 KR 101426450 B1 KR101426450 B1 KR 101426450B1 KR 1020120076934 A KR1020120076934 A KR 1020120076934A KR 20120076934 A KR20120076934 A KR 20120076934A KR 101426450 B1 KR101426450 B1 KR 10142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controller
hybrid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586A (ko
Inventor
김기환
이창원
구성모
김주영
박영식
이양구
장윤제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주) 다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이시스 filed Critical (주) 다이시스
Priority to KR102012007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장 제어기에 관리서버와 연결되며 현장 전환 스위치가 구비된 복합단말기를 설치하여 원격 또는 현장에서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 서버와 연결되며 현장 전환 스위치가 구비된 복합단말기를 현장의 제어기에 설치하여 원격 또는 현장에서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기계 및 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원격지에서 각종 공간 및 시설물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원격 제어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는 유치원이나 유아원 등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이들 감시카메라를 인터넷 전용선을 이용하여 서버와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확인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원격진료, 홈오토메이션 등 생활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도시집중화,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농촌에서는 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원예 등에 있어서 자동화 기계를 이용한 시설하우스 재배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러한 시설하우스 재배의 경우에도 광량,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을 위해서는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시설하우스의 자동화 기계들을 조작해주어야 하고 그 예로는 시설하우스 내의 작물에 물이나 약을 분무하고 시설하우스의 차양이나 보호막의 개폐 등을 수행하는 주체는 기계장치이지만 그 기계장치의 제어는 사람이 직접 하고 있어서 시설하우스에 농작물을 키우는 과정에서는 관리자가 수시로 시설하우스를 방문하여야 하고, 자리를 비우기가 어려운 경우 시설하우스 내에 임시 거처를 마련하고 상주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시설하우스에도 원격 제어 및 감시장치가 이용되고는 있지만 이들 원격 감시 및 제어장치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에 연결된 상태에서만 동작이 가능하므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산간지방 등에서는 이용할 수 없으며, 인터넷 연결을 위한 전용선을 별도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비용과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버에 모두 항상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작되므로 서버의 트래픽(traffic) 량이 증가되어 동작이 원활하지 않거나 서버가 다운되어 동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격감시를 위해서는 제어기를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오프라인을 이용한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설하우스의 경우에는 원격제어를 위하여 제어기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원격 제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 서버에 연결되며 현장 전환 스위치와 연결된 복합단말기를 현장의 제어기에 설치하여 원격 또는 현장에서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영상을 무리 없이 전송할 수 있는 3세대 이상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제어를 함으로서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기를 통해 운영되는 기기의 동작을 영상으로 보면서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원격제어와 현장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더라도 쇼트, 오동작, 동작불능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현장에서 현장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현장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현장의 제어 정보를 수집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수단; 상기 제어기를 현장 제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현장 전환 스위치; 상기 제어기와 감시수단 및 현장 전환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감시수단 및 제어기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감시수단 및 제어기로부터 획득된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함과 동시에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는 복합 단말기; 상기 복합 단말기 및 관리 서버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며 원격 제어 모드 및 현장 제어 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복합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와의 접속에 관한 인증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감시수단으로부터 획득되어 복합 단말기를 통해서 수신한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며, 해당 제어상태 데이터를 인증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제어기(100)는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 닫힘/정지/열림(또는 동작/정지) 스위치(102) 및 감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접촉기(103)(104)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제어기(105)로 구성되며, 상기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 및 닫힘/정지/열림(또는 동작/정지) 스위치(102)에서 정지는 스위치의 점촉단자가 자동/수동 혹은 닫힘/열림 접점과 접하지 않는 중립상태인 경우를 나타내며, 상기 복합단말기(400)는 전자접촉기(103)(104)에 각각 릴레이의 일측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자동/정지/수동 스위치의 공통단자(COM)와 릴레이의 타측 점점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동작 제어 릴레이(40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격제어시 상기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와 열기/정지/닫기 스위치(102)가 정지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복합 단말기(400)에는 제어기(100)의 공통단자(COM)에 공통단자(C0M)가 연결되고 릴레이의 일측 점점(현장제어모드)은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의 공통단자(COM)에 연결되고, 릴레이의 타측 점점(원격제어모드)은 상기 동작 제어 릴레이(406)와 연결되는 현장 원격 릴레이(407)를 더 포함하여 현장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복합단말기로 접속 혹은 단절 요청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고, 복합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수신되는 접속 요청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고 이동통신망과의 접속시 할당받은 이동통신망용 IP주소 또는 이동통신망 접속을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한 로그인 신호와 현장의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출력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복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로그인 신호 중에서 IP주소 또는 복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복합 단말기와 대응되게 기록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복합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상태 데이터를 기록하고 관리하며, 모바일 단말기는 접속 요청 신호 전송 후 수신되는 상기 복합 단말기의 IP주소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복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함과 아울러 현장 제어 모드 전환신호를 출력하여 원하는 경우 현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모바일 단말기에는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지에서도 현장을 직접 제어하는 것처럼 현장의 동작상황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확인하면서 복합 단말기에 연결된 제어기 및 감시수단을 통해서 제어하고 확인할 수 있어서, 관리자는 현장 상황을 신뢰할 수 있고, 오동작에 의한 금전적 손실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현장에 설치된 다양한 감시수단의 변화에 따른 알람기능이 있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현장의 환경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대응 또한 가능하다.
모바일 단말기 하나에 여러 개의 복합단말기와의 연결이 가능하며, 복수개의 모바일 단말기가 한대의 복합 단말기에 접속이 가능하여 여러 사람이 현장 상황을 공유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도 공동 관리가 가능하다.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기를 그대로 사용하여 추가설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기존시설 철거에 따른 금전적 손실 및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또한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인터넷 전용망을 사용하지 않고 3G, 4G망 등의 이동통신망을 사용함으로써 인터넷 전용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용선 설치로 인한 비용과 시간문제가 해소되고, 어떠한 장소든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면서 제어가 필요한 순간에만 인터넷에 연결되므로 제어를 위한 인터넷 접속시간 및 데이터 전송량을 대폭 감소할 수 있어서, 원격 제어를 위한 비용 부담이 발생하지 않고, 서버의 트래픽 폭주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어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서버 관리자의 입장에서도 무리하게 서버용량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단말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기 결선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기와 복합 단말기 결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설하우스의 원격제어를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는, 크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설하우스에 설치되는 제어기(100), 감시수단(210)(220)(230), 현장 전환 스위치(300), 복합 단말기(400), 모바일 단말기(500) 및 관리서버(60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어기(100)는 시설하우스에 설치되고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동작되며, 시설하우스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펌프, 천장개폐기, 측창개폐기, 커튼 개폐기, 환풍기, 열풍기를 포함하는 각종 장치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제어하며, 자동모드일때는 온도 또는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동작을 제어하고 수동모드일때는 수동조작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자동모드 혹은 수동모드 전환을 위한 동작 제어 신호 및 수동모드상태에서 각종 장치로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는 복합 단말기(400)로부터 제어기(100)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감시수단(210)(220)(230)은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현장의 제어 정보를 수집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데, 카메라(210), 환경감시센서(220), 계측기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복합 단말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에서 카메라(210)는 1대 혹은 다수대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합 단말기(400)는 1대의 카메라 영상 정보 혹은 다수 대의 카메라 영상을 한 장으로 만든 영상정보를 모바일 단말기(500) 및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환경 감시 센서(220)는 온도, 습도, 조도, 광량, 풍향, 풍속, 기압, 지자기, 소음, 압력, 가속도, 유속, 유량, 속도, 수위레벨, CO2, 에틸렌, 암모니아, 강우, 동작감지, 화재감지기, 정전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환경 감시 센서(220)의 출력은 필요에 따라 복합단말기(400)에 전송됨과 동시에 제어기(100)로도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계측기기(230)는 길이? 시간? 질량? 온도? 넓이? 부피? 광도? 속력? 가속도의 크기? 압력? 일과 힘의 크기? 열량? 각도? 가속도? 입체각? 유량? 점성도? 농도? 밀도? 주파수? 전력? 전기량? 전압? 전기저항? 정전기용량? 인덕턴스? 피상전력? 무효전력? 열전도율? 복사의 세기? 광속? 휘도? 조명도? 방사능? 소음 레벨? 경도(經度)? 충격값? 인장강도? 압축강도? 내화도? 굴절도? 습도? 비중? 흡수선량? 입자선속 밀도? 방사능 농도? 진동 레벨 등 계량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양의 측정 종류 중 하나 이상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 현장 전환 스위치(300)는 모바일 단말기가 없어도 현장에서 직접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며, 상기 현장 전환 스위치(300)가 조작되면 복합 단말기(400)의 중앙처리부(411)는 현장 원격 릴레이(407)를 제어하여 현장제어모드로 설정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 단말기(400)는 현장제어모드로 전환되어 제어기(100)를 통해서 현장에서 설정한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현장 제어 과정에도 원격지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열기 혹은 닫기 즉 동작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도 2의 중앙 처리부(411)가 현장 원격 릴레이(407)를 원격제어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제어 릴레이(406)가 동작하게 되고 원격으로 현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합 단말기(400)는 상기 제어기(100)와 감시수단(210)(220)(230) 및 현장 전환 스위치(300)와 직렬 유선 혹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시수단(210)(220)(230) 및 제어기(10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감시수단(210)(220)(230) 및 제어기(100)로부터 획득된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시수단(210)(220)(230)과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제 1 내지 3 통신부(401~403), 환경감지센서(23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컨버터(404), 각종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405), 열기 또는 닫기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릴레이(406), 원격 혹은 현장 제어를 위한 현장 원격 릴레이(407), 전원과 전원차단 감지부(408)(409), 메모리(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기(100)와 복합 단말기(400)의 결선관계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기(100)의 기본구성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 닫힘/정지/열림(또는 동작/정지) 스위치(102) 및 타이머(또는 온도계)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접촉기(103)(104)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제어기(105)로 구성된다.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가 자동으로 설정되어있을 경우 자동제어기(105)는 타이머 설정에 따라 전자접촉기(103)(104)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고,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는 열림/정지/닫힘 스위치(102)의 조작에 따라 전자접촉기(103)(104)로 동작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시설하우스 내 장치가 열리거나 닫힌다.
타이머 설정의 단점은 완전히 열리거나 완전히 닫히는 것만 설정이 가능하므로, 조금 열어 놓고 싶을 경우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온도 제어기는 특정온도가 되면 조금씩 열었다가 멈추고 열었다가 멈추고 하여, 한번에 모두 열리지 않고 초단위 설정을 두어 조금씩 열 수 있어 타이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온도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일사량을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어기(100)는 자동으로 조작하든 수동으로 조작하든 결국은 전자접촉기(103)(104)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을 하게 되며, 상기에서 정지는 스위치가 열기/닫기 또는 자동/수동접촉단자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러한 제어기에 원격제어를 위하여 복합단말기(400)를 연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제어 릴레이(406) 2개를 사용하여 제어신호를 전자 접촉기(103)(104)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와 열기/정지/닫기 스위치(102)는 모두 정지(중립)에 두어야 한다.
만약 정지(중립)가 아닌 상태에서 원격제어를 하게 되면, 열기 및 닫기 전자접촉기(103)(104)가 동시에 동작신호가 인가되는 상태가 발생하므로 경우에 따라 전원 숏트, 동작기기 파손, 동작 불능 등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고 파손으로 인한 금전적 손실까지 입게 된다. 즉 사용자가 원격제어를 위해서는 항상 전환스위치를 정지(중립) 상태에 주어야한다. 그러므로 자동으로 사용시에는 자동/정지/수동 전환스위치(101)를 자동으로, 현장에서 직접 수동으로 사용시에는 자동/정지/수동 전환스위치(101)를 수동으로 전환 후 열기/정지/단기 전환스위치(102)의 조작을 통해서 장치를 구동시킨다.
위와 같은 오동작 및 사용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OMMON 라인(COM)의 시작부분을 잘라 원격제어 복합단말기(400)의 현장 원격 릴레이(407)에 A와 같이 연결하고, 열기와 닫기의 동작 제어 릴레이(406)의 제어라인을 열기 전자접촉기(103)와 닫기 전자접촉기(104)에 각각 B와 C같이 연결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원격제어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원격제어모드 상태에서는 현장제어(자동 혹은 수동제어)가 들어와도 경우 숏트, 동작기기 파손, 동작 불능 등 오동작이 발생 하지 않는다.
즉 현장의 조작스위치 상태에 상관없이 원격으로 동작한다.
2. 현장제어 동작 중에 원격제어가 들어가면 현장제어는 자동으로 멈추고 원격제어모드로 전환되고 원격제어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3. 원격제어모드 상태에서 현장에서 제어를 원한다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장 버튼(도 7에 도시) 또는 복합 단말기에 연결된 현장 전환 스위치를 한번만 눌러주면 복합 단말기는 현장제어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4. 현장에서는 현장제어모드로 전환만 가능하며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현장제어모드 및 원격제어모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5. 만일 복합 단말기가 고장이나 전원을 꺼놓는다면 자동으로 현장제어모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어떠한 경우라도 현장제어 불능 상태는 막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제어기(100)의 자동/정지/수동 스위치만 자동으로 설정하면 제어기(100)의 개폐기를 원격으로 수동동작 또는 자동모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장에서 수동 조작할 경우에는 현장전환 스위치를 누른 후 자동/정지/수동 스위치를 수동으로 전환하고 닫기/정지/열림 스위치를 조작하여 시설하우스 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만일 사용자가 현장에서 수동조작 후 자동/정지/수동 스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하지 않았어도 원격으로 제어기(100)의 개폐기 수동조작은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줄였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50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복합 단말기(400) 및 관리 서버(6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영상 수신창(501)을 통해 영상을 보고, 원격 조작 버튼(502)을 조작하면 복합 단말기에서 원격제어 모드로 전환되어 현장을 자유롭게 제어하게 되고, 현장 버튼(503)으로 현장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관리서버(600)는 복합 단말기(400)와 모바일 단말기(500)의 접속에 관한 인증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감시수단(210)(220)(230)으로부터 획득되어 복합 단말기(400)를 통해서 수신한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며, 해당 제어상태 데이터를 인증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우선, 복합 단말기(400)를 현장의 제어기(100)와 감시수단(210)(220)(230) 및 현장 전환 스위치(300)와 연결한다.
이 후 관리 서버(600)에 복합 단말기(400)의 식별데이터(이동통신 전화번호 등)와 해당 복합 단말기(400)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식별데이터(이동통신 전화번호, 고정IP주소 등)를 매칭시켜 기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500)의 입력수단(키패널, 터치패드 등)을 이용하여 복합 단말기(400)의 식별데이터(이동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복합단말기(400)로 SMS, MMS, Voice call 중에서 택일된 방법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망의 접속요청신호를 전송 한다.
복합 단말기(400)는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된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고 이동통신망에 접속시 할당받은 IP주소와 해당 복합 단말기(400)의 식별데이터(이동전화번호 혹은 고유한 식별코드 등)를 포함한 로그인 요청 신호를 관리서버(600)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한다.
관리서버(600)에서는 복합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신호에 따라 해당 복합 단말기(400)를 관리서버(600)에 로그인하면서 해당 복합 단말기(400)의 식별데이터와 매칭되게 기록된 모바일 단말기(500)의 식별데이터를 확인하여 해당 복합 단말기(400)에 대응되는 모바일 단말기(500)로 IP주소를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600)로부터 전송된 IP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5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복합 단말기(400)와 접속하게 되고, 이후 복합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명령/응답(Ack)/제어상태/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원격지에서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복합 단말기(400)와 모바일 단말기(500)의 제어 명령은 암호화되어 전송된다.
이러한 제어과정에서 복합 단말기(400)는 감시수단(210)(220)(230)의 정보 변화에 따른 알림을 모바일 단말기(500)로 전송하는데, 그 예로서 복합 단말기(400)는 전력선을 통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체 밧데리 전원으로 전환하도록 전원스위치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모바일 단말기(500)에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고, 다시 전원이 회복될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기(500)에 메시지를 보낸다.
그리고, 온/습도 초과, 강우 강설 시작, 정전 등 설정된 환경감시 조건이 되었을 경우 복합 단말기(400)는 모바일 단말기(500)로 메시지를 보내고 이를 관리서버(600)에 이력을 남기며, 메시지를 받은 모바일 단말기(500)는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받았음을 관리서버(600)에 이력을 남긴다. 복합 단말기(400)는 모바일 단말기(500)로 메시지를 보낸 후 특정 시간이 지났음에도 관리서버(600)에 모바일 단말기(500)가 메시지를 받았다는 이력이 없을 경우 망 오류로 간주하고 다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망 오류로 인해 특정시간 안에 메시지가 모바일 단말기(500)로 도착하지 못할 경우 다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복수개의 복합 단말기(400)를 한대의 모바일 단말기(500)로 영상수신 및 제어가 가능하고, 복수개의 모바일 단말기(500)로도 영상수신 및 제어가 가능한데, 한대의 복합 단말기(400)에 복수개의 모바일 단말기(500)가 접속하여 영상수신 및 제어할 때 복합 단말기(400)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관리 서버(600)로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500)는 관리 서버(600)에서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한 복합 단말기(400)의 기능 추가 및 오류 수정을 위해 관리서버(600)에 수정된 프로그램을 공유해두면, 복합 단말기(400)는 주기적으로 수정된 프로그램 공유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500)를 이용한 복합 단말기(400) 제어과정 중 제어관련데이터를 관리서버(600)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하우스의 비닐과 같은 차양막의 개폐동작과 물과 농약의 분무 등을 시설하우스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시설하우스 관리를 위한 인력 및 비용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전용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산불감시장치 등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 닫힘/정지/열림(또는 동작/정지) 스위치(102) 및 감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접촉기(103)(104)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제어기(10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 및 닫힘/정지/열림(또는 동작/정지) 스위치(102)에서 정지는 스위치의 접촉단자가 자동/수동 혹은 닫힘/열림 접점과 접하지 않는 중립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현장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100);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현장의 제어 정보를 수집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수단(210)(220)(230);
    상기 제어기(100)를 현장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 전환 스위치(300);
    전자접촉기(103)(104)에 각각 릴레이의 일측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의 공통단자(COM)와 릴레이의 타측 점점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동작 제어 릴레이(406)와, 상기 제어기(100)의 공통단자(COM)에 공통단자(C0M)가 연결되고 릴레이의 일측 점점(현장제어모드)은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의 공통단자(COM)에 연결되고, 릴레이의 타측 점점(원격제어모드)은 상기 동작 제어 릴레이(406)와 연결되는 현장 원격 릴레이(40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100)와 감시수단(210)(220)(230) 및 현장 전환 스위치(300)와 연결되어 상기 감시수단(210)(220)(230) 및 제어기(10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감시수단(210)(220)(230) 및 제어기(100)로부터 획득된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는 복합 단말기(400);
    상기 복합 단말기(400) 및 관리 서버(6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현장 또는 원격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500);
    상기 복합 단말기(400)와 모바일 단말기(500)의 접속에 관한 인증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감시수단(210)(220)(230)으로부터 획득되어 복합 단말기(400)를 통해서 수신한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며, 해당 제어상태 데이터를 인증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500)로 전송하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합 단말기(400)는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접속요청신호를 전송되면,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고 이때 할당받은 IP주소 또는 접속을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한 로그인 요청 신호를 관리 서버(600)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600)는 복합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신호에 따라 해당 복합 단말기(400)를 관리 서버(600)에 로그인하면서 해당 복합 단말기(400)의 식별데이터와 매칭되게 기록된 모바일 단말기(500)로 IP주소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600)로부터 전송된 IP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500)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복합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복합 단말기(400)를 현장의 제어기(100)와 감시수단(210)(220)(230) 및 현장 전환 스위치(300)와 연결하는 과정과,
    관리 서버(600)에 복합 단말기(400)의 식별데이터와 해당 복합 단말기(400)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500) 식별데이터를 매칭시켜 기록하는 과정과,
    모바일 단말기(500)에서 복합 단말기(400)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복합 단말기(400)는 전송된 접속요청신호에 따라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고 이동통신망에 접속시 할당받은 IP주소 또는 접속을 위한 전화번호를 포함한 로그인 요청 신호를 관리 서버(600)로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는 과정,
    관리서버(600)에서 복합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신호에 따라 해당 복합 단말기(400)를 관리 서버(600)에 로그인하면서 해당 복합 단말기(400)의 식별데이터와 매칭되게 기록된 모바일 단말기(500)로 IP주소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리 서버(600)로부터 전송된 IP주소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500)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복합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에서 제어기(100)는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 닫힘/정지/열림(또는 동작/정지) 스위치(102) 및 감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접촉기(103)(104)로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제어기(10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 및 닫힘/정지/열림(또는 동작/정지) 스위치(102)에서 정지는 스위치의 접촉단자가 자동/수동 혹은 닫힘/열림 접점과 접하지 않는 중립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현장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감시수단(210)(220)(230)은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현장의 제어 정보를 수집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현장 전환 스위치(300)는 제어기(100)를 현장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복합 단말기(400)는 전자접촉기(103)(104)에 각각 릴레이의 일측 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의 공통단자(COM)와 릴레이의 타측 점점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동작 제어 릴레이(406)와, 상기 제어기(100)의 공통단자(COM)에 공통단자(C0M)가 연결되고 릴레이의 일측 점점(현장제어모드)은 자동/정지/수동 스위치(101)의 공통단자(COM)에 연결되고, 릴레이의 타측 점점(원격제어모드)은 상기 동작 제어 릴레이(406)와 연결되는 현장 원격 릴레이(40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100)와 감시수단(210)(220)(230) 및 현장 전환 스위치(300)와 연결되어 상기 감시수단(210)(220)(230) 및 제어기(100)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감시수단(210)(220)(230) 및 제어기(100)로부터 획득된 제어상태 데이터를 관리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복합 단말기(400)와 모바일 단말기(500)의 제어 명령은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복합 단말기(400)를 한대의 모바일 단말기(500)로 영상수신 및 제어가 가능하고, 복수개의 모바일 단말기(500)로도 영상수신 및 제어가 가능하고,
    한대의 복합 단말기(400)에 복수개의 모바일 단말기(500)가 접속하여 영상수신 및 제어할 때 복합 단말기(400)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관리 서버(600)로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500)는 관리 서버(600)에서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복합 단말기(400)는 감시수단(210)(220)(230)의 정보 변화에 따른 알림을 모바일 단말기(500)로 전송하고, 망 오류로 인해 특정시간 안에 메시지가 모바일 단말기(500)로 도착하지 못할 경우 다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복합 단말기(400)의 기능 추가 및 오류 수정을 위해 관리서버(600)에 수정된 프로그램을 공유해두면, 복합 단말기(400)는 주기적으로 수정된 프로그램 공유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방법.
KR1020120076934A 2012-07-13 2012-07-1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KR10142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934A KR101426450B1 (ko) 2012-07-13 2012-07-1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934A KR101426450B1 (ko) 2012-07-13 2012-07-1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86A KR20140010586A (ko) 2014-01-27
KR101426450B1 true KR101426450B1 (ko) 2014-08-06

Family

ID=5014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934A KR101426450B1 (ko) 2012-07-13 2012-07-13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865B1 (ko) * 2021-06-17 2022-12-26 (주) 강원건설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01B1 (ko) * 2014-05-23 2015-03-05 주식회사 대성정보통신기술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CN104599044A (zh) * 2014-12-30 2015-05-06 苏州亚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运用定位术实现展会管理系统的方法
KR101658378B1 (ko) 2016-04-14 2016-09-21 (주)클라루스코리아 정보 전달을 위한 조명체계 통합 시스템
KR102597554B1 (ko) * 2020-11-20 2023-11-02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수동제어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 전원공급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0642787B1 (ko) * 2005-05-12 2006-11-03 다스웨이브 주식회사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KR20110090707A (ko) * 2010-02-04 2011-08-10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스마트 전력 절감 지원 스위칭 장치 및 방법
KR20110009094U (ko) * 2011-08-11 2011-09-23 주식회사 셈즈 시설물의 원방 감시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256B1 (ko) * 2005-03-15 2006-09-20 박은석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0642787B1 (ko) * 2005-05-12 2006-11-03 다스웨이브 주식회사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KR20110090707A (ko) * 2010-02-04 2011-08-10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스마트 전력 절감 지원 스위칭 장치 및 방법
KR20110009094U (ko) * 2011-08-11 2011-09-23 주식회사 셈즈 시설물의 원방 감시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865B1 (ko) * 2021-06-17 2022-12-26 (주) 강원건설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86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450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US8538407B2 (en) Fixed mobile convergence home control system
EP1791302A2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4007741A (zh) 即插即用式智能家居系统
KR100625256B1 (ko)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CN104052151A (zh) 变电站智能辅助综合监控与d5000综合联动平台
CN201965477U (zh) 楼宇信息综合管理系统
CN102510477A (zh) 数字化室内机及智能家居安防系统
KR100608148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99965A (zh) 智能变电站物联网辅助监控系统
CN105425598A (zh) 社区管理系统
CN104880952A (zh) 一种基于运营服务的智能家居管理系统
JP5775995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対応型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4635687A (zh) 一种数字化智能家居安防报警系统
CN105827730A (zh) 一种基于多级管理的广播电视发射平台监控系统
CN204203706U (zh) 一种智能家居报警系统
CN103575053A (zh) 一种远程操作酒柜的方法
JP4128147B2 (ja) 防災施設用設備管理システム
CN110320440A (zh) 一种终端区域电力监测系统
KR100530370B1 (ko)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CN110247804B (zh) 一种家庭获取社区共享设备信息的系统
KR101242734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와 방법
CN218450254U (zh) 一种基于物联网的牵引变电所辅助监控系统
JP2005278068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438769B1 (ko) 이더넷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의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