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865B1 -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865B1
KR102480865B1 KR1020210078862A KR20210078862A KR102480865B1 KR 102480865 B1 KR102480865 B1 KR 102480865B1 KR 1020210078862 A KR1020210078862 A KR 1020210078862A KR 20210078862 A KR20210078862 A KR 20210078862A KR 102480865 B1 KR102480865 B1 KR 10248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vironmental
environment management
storage serve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무
김정덕
길태형
박성빈
노영민
김성영
Original Assignee
(주) 강원건설
주식회사 승록테크
한국광해광업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강원건설, 주식회사 승록테크, 한국광해광업공단 filed Critical (주) 강원건설
Priority to KR102021007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서는 환경시설에서 감지된 정보가 무선 통신을 통해 저장서버로 전송되고, 저장서버는 정보를 저장한 후 관리자의 요구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상서버나 관리자의 명령에 의해 감지센서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원격지나 위험이 있는 지역에 있는 환경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전원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주기를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REMOTE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접근이 위험한 지역에 있는 환경시설에 대한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환경오염에 대한 위험성들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무분별한 토목 사업 및 건설 사업 현장, 폐광, 매립지 등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은 대부분 인간의 건강을 포함한 삶의 질을 떨어트린다.
예를 들어, 폐광의 경우에는 관리자에 의한 거리 또는 장소적 접근성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지하 갱도가 무너질 수 있는 등의 위험이 따른다. 그런데, 폐광에서는 특히 우천 시에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침출수가 발생되고, 침출수는 계곡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어서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키거나 해당 인근 지역의 토양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대한민국 특허 10-0750585호 등에서와 같이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폐광(또는 토목건설 현장이나 폐기물 매립장 등의 환경시설일 수 있다)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관리를 통해 오염물질을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행히, 근자에는 반도체기술의 발전에 따른 센서 기술이나 정보통신 기술의 향상에 의해 원격지에 있는 환경시설들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었다.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은 고위험 지역이나 시설 등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 고려되고 있다. 또한, 사람이 직접 관측하던 시설은 오차가 생기거나 자료 누락 등 운영상의 문제가 많기 때문에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은 센서 기술을 활용한 무인자동화를 원하는 경우에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은 폐광 등의 오염원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이나 기상 상태와 같은 주변 상황 등을 감지하고, 이를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정보처리서버로 보낸다. 그리고 정보처리서버에서 처리된 디지털정보는 관리자의 단말기(PC,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단말기 등)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환경시설 중 오지에 있는 폐광과 같은 경우 종종 센서의 작동이나 통신을 위한 전력의 수급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환경 관리시스템에서의 로컬 센서나 통신은 저전력의 동작 기반으로 구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6710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636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32618호
본 발명은 환경시설을 저전력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은 원격지의 환경정보 및 오염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디지털정보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감지센서들; 상기 감지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서버; 상기 감지센서들로부터 오는 정보를 상기 저장서버로 무선 통신에 의해 중계하며, 상기 감지센서들을 관재하는 환경관재유닛; 및 상기 저장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서버는 다수의 환경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해당 환경시설들의 위치를 맵핑하는 맵핑수단; 상기 맵핑수단에 의해 위치가 설정된 특정 환경시설로부터 오는 정보를 특정 환경시설에 대한 정보목록에 매칭시키는 매칭수단; 상기 매칭수단에 의해 매칭된 디지털정보를 환경시설 별로 저장하는 저장수단;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환경시설에 대한 디지털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수단에 의해 저장된 특정 환경시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관재유닛은 상기 감지센서들을 관리하는 관리수단; 상기 저장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수단; 및 상기 관리수단 및 무선통신수단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관재유닛은 상기 저장수단으로 전송될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수단; 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정보를 고유의 아이디(ID)화 하는 아이디화수단; 및 상기 아이디화수단에 의해 고유의 아이디화된 정보를 상기 환경관재유닛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서버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기상서버로부터 온 기상정보에 기반한 센서작동명령을 생성하는 명령생성수단; 및 상기 명령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명령을 상기 환경관재유닛을 통해 상기 감지센서로 전송하는 명령전송수단;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서버는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지도상에서 현장에서의 감지센서들의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격지나 위험이 있는 지역에 있는 환경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전원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적용된 감지센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적용된 저장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저장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에 적용된 환경관재유닛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의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10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100)은 감지센서(110)들, 저장서버(120), 환경관재유닛(130) 및 관리자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110)는 인간이 오감으로 인지되는 모든 정보를 전자정보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수치화 하고, 극한의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전원 환경을 고려한 저전력 설계, 방수방진 및 내구성 등을 확보하도록 설계된다. 감지센서(110)는 폐광, 폐기물 매립지 및 건설현장 등의 환경시설이 있는 현장에 설치되며, 최소한 1개 이상의 필요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하나의 현장(A, B, C)에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110)는 도 2에서와 같이 감지수단(111), 변환수단(112), 아이디화수단(113) 및 전송수단(114)을 포함한다.
감지수단(111)은 환경시설(A, B, C)의 변화하는 정보를 감지한다.
변환수단(112)은 감지수단(111)에서 감지된 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한다.
아이디화수단(113)은 변환수단(112)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정보와 데이터값을 고유의 아이디화 한다. 여기서 아이디화의 예로는 [국가코드]-[기업 및 설치지역]-[센서+단위+디지털값+암호화정의값]으로 규정될 수 있다.
전송수단(114)은 아이디화수단(113)에 의해 고유의 아이디화된 정보를 환경관재유닛(130)으로 전송한다.
즉, 감지센서(110)들은 현장시설(A, B, C)에 대한 각종 환경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환경관재유닛(130)으로 보내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0)들에는 침출수의 페하(PH)를 감지하기 위한 폐하감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0)들에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0)들에는 현장의 화상을 감지하기 위한 디지털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0)에는 온도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계 또는 습도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0)에는 강우량을 감지하기 위한 강우량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0)에는 지진을 감지하기 위한 지진감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110)는 현장의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일 수 있다.
저장서버(120)는 감지센서(110)들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또한, 저장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40)로부터 입력되어 오거나 또는 기상서버(WS)로부터 온 기상정보에 기반한 작동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작동명령을 감지센서(110)가 작동하도록 하는 요구이다. 이를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저장서버(120)는 맵핑수단(121), 매칭수단(122), 저장수단(123), 데이터 전송수단(124), 명령생성수단(125), 명령전송수단(126), 표시수단(127) 및 판단수단(128) 등을 포함한다.
맴핑수단(121)은 도 4의 참고도에서와 같이 다수의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해당 환경시설(A, B, C)들의 위치를 맵핑한다.
매칭수단(122)은 맵핑수단(121)에 의해 위치가 설정된 특정 환경시설(A, B, C)로부터 오는 정보를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정보목록에 매칭시킨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매칭수단(122)은 해당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유량정보, 지진정보, 페하정보 등을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정보목록에 매칭시키고, 이렇게 매칭된 정보는 관리자가 해당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간략 보고서와 같은 형태로 제시된다.
저장수단(123)은 매칭수단(122)에 의해 매칭된 디지털정보를 환경시설(A, B, C) 별로 저장한다.
데이터 전송수단(124)은 관리자 단말기(140)로부터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디지털정보의 요청에 있으면, 저장수단(123)에 의해 저장된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명령생성수단(125)은 감지센서(110)의 작동명령을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명령생성수단(125)은 2가지 예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명령생성수단(125)은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 입력되어 오는 명령에 따라 작동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명령생성수단(125)은 공중망(PN)에 의해 저장서버(120)와 연결된 기상서버(WS)로부터 오는 기상정보에 기반하여 작동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서버(WS)로부터 특정 환경시설(A, B, C)이 있는 지역의 기상정보가 저장서버(120)로 수신되면, 명령생성수단(125)은 해당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지 등을 판단한 후 해당 기상정보에 의해 오염물질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10)에 대한 작동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10)외에도 특정 환경시설(A, B, C)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든 감지센서(110)들의 작동명령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상서버(WS)에서 저장서버(120)로 특정 환경시설(A, B, C)이 있는 구역의 기상정보 또는 기상예보가 접수되면, 저장서버(WS)의 판단수단(128))은 해당 환경시설(A, B, C)이 접수된 기상정보에 의해 오염물질이 발생될 수 있는 오염원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수단(128)의 판단에 의해 접수된 기상정보에 의해 오염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명령생성수단(125)이 작동명령을 생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강원도 지역에서 관리되는 환경시설(A, B, C) 중 폐광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본다. 기상서버(WS)로부터 폐광이 있는 지역에 비가 오거나 또는 비가 올 예정이라는 정보가 저장서버(120)로 접수되면, 침출수가 발생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판단수단(128)은 침출수가 발생된다고 판단을 하게 되고, 명령생성수단(125)은 작동명령을 생성하게 된다. 이 때, 명령생성수단(125)은 강우량센서만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해당 폐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든 감지센서(110)에 대한 작동명령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전송수단(126)은 명령생성수단(125)에 의해 생성된 작동명령을 공중망을 이용해 환경관재유닛(130)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환경관재유닛(130)은 저장서버로부터 수신한 작동명령을 목적하는 환경시설(A, B, C)의 감지센서(110)로 하달하고, 감지센서(110)는 휴면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되어 감지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감지센서(110)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디지털정보로 변환되어서 환경관재유닛(130)을 거쳐 저장서버(120)로 전송된다.
물론 기상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작동명령은 저장서버(120)에서 주기적으로 생성되어서 감지센서(110)로 하달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만일 설정된 주기 동안 작동명령이 감지센서(110)로 하달되지 않으면 환경관재유닛(130)은 감지센서(110)를 휴면상태로 되돌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경관재유닛(130)과 감지센서(110)의 전원 사용량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환경관재유닛(130)과 감지센서(110)의 전원 관리에 대한 수고가 줄어들고 작동 기간을 늘릴 수 있다.
표시수단(127)은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지도상에서 현장에서의 감지센서(110)들의 작동 상황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수단(127)은 현재 감지센서(110)가 활성상태에 있는 현장의 경우에는 활성중임을 표시하는 이모티콘(예를 들면 칼라)을 디스플레이시키고, 현재 감지센서(110)가 휴면상태에 있는 현장의 경우에는 휴면중임을 표시하는 이모티콘(예를 들면 흑백)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상태를 통해 관리자는 휴면상태에 있는 현자의 감지센서(110)들을 필요에 따라 작동하도록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판단수단(128)은 기상서버(WS)로부터 온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기상정보는 바람, 비, 기온, 지진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는 데, 폐광의 경우에는 바람보다 비에 의해 침출수의 발생위험이 있다. 따라서 비가 온다는 정보가 저장서버(120)로 접수된 경우, 판단수단(128)은 비가 오는 지역의 환경시설(A, B, C)들 중 폐광을 선택하고, 해당 폐광에 대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는 판단을 하게 되는 것이다.
환경관재유닛(130)은 감지센서(110)들로부터 오는 정보를 저장서버(120)로 무선통신에 의해 중계하고, 저장서버(120)로부터 오는 작동명령을 감지센서(110)로 중계한다. 이러한 환경관재유닛(130)은 다양한 환경시설(A, B, C)에 호환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가지도록 구현되며, 극한의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전원환경을 고려한 저전력, 방수방진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환경관재유닛(130)은 관리수단(131), 암호화수단(132), 무선통신수단(133), 전원수단(134) 등을 포함한다.
관리수단(131)은 감지센서(110)들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관리수단(131)은 저장서버(120)로부터 오는 작동명령을 감지센서(110)로 하달하거나, 감지센서(110)에서 오는 정보를 무선통신수단(133)을 통해 저장서버(120)로 보낸다.
예를 들어 관리수단(131)은 작동명령에 따라 감지센서(110)들을 활성상태나 휴면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수단(131)은 주기적으로 감지센서(110)들이 적절히 동작하는지를 판단하고, 작동오류나 작동정지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저장서버(130)로 전송한다. 만일 저장서버(130)로 감지센서(110)에 대한 이상정보가 접수되면 저장서버(130)는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암호화수단(132)은 무선통신수단(133)에 의해 저장서버(120)로 전송될 정보를 보안을 위해 암호화한다.
무선통신수단(133)은 저장서버(120)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공중 무선 통신망(이미 구축되어 있는 로라망 등)으로만 구축될 수도 있고, 전용 무선 통신망으로 공중 유선 통신망을 조합하여 구축될 수도 있다.
전원수단(134)은 관리수단(131), 암호화수단(132) 및 무선통신수단(133)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며, 충전 가능한 축전지로 구비됨을 고려해볼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40)는 관리자가 사용하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고 필요한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140)는 데스크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나 스마트폰, 컨트롤박스, 관재실 현황판장치 등일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서 디지털화된 정보는 문자화, 2D, 3D 그래픽으로 도식화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누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현장 및 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관리자 단말기(140)에 가공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100)의 작동에 대하여 저장서버(120)를 기준으로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작동명령의 생성<S61>
관리자로부터 감지센서(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상서버(WS)에서 접수된 기상정보에 의해 감지센서(110)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저장서버(120)는 작동명령을 생성시킨다.
2. 작동명령 전송<S62>
저장서버(120)는 생성된 작동명령을 환경관재유닛(130)으로 전송하고, 환경관재유닛(130)은 해당 작동명령에 따라 감지센서(110)를 활성화시킨다.
3. 정보의 수신<S63>
감지센서(110)들이 활성화됨으로써 얻어진 정보는 환경관재유닛(130)을 거쳐 저장서버(120)로 수신된다.
4. 정보의 저장<S64>
저장서버(120)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
5. 정보의 전송<S65>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 관리자가 접속하면, 저장서버(120)는 관리하고 있는 환경시설(A, B, C)들이 표기된 지도를 관리자 단말기(14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관리자가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면, 특정 환경시설(A, B, C)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100)에서 사용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환경시설(A, B, C)을 관재하여 목적에 맞는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또, 환경관재유닛(130)은 하나의 환경시설(A, B, C)만을 관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인접하는 여러 환경시설(A, B, C)들을 함께 관리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서버(120)는 여러 개의 환경관재유닛(130)에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110 : 감지센서
111 : 감지수단 112 : 변환수단
113 : 아이디화수단 114 : 전송수단
120 : 저장서버
121 : 맵핑수단 122 : 매칭수단
123 : 저장수단 124 : 데이터 전송수단
125 : 명령생성수단 126 : 명령전송수단
127 : 표시수단
130 : 환경관재유닛
131 : 관리수단 132 : 암호화수단
133 : 무선통신수단 134 : 전원수단
14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6)

  1.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으로서,
    원격지의 환경정보 및 오염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디지털정보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는 감지센서들 ― 각각의 감지센서들은 환경시설들의 현장에 설치됨 ―;
    상기 감지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서버;
    상기 감지센서들로부터 오는 정보를 상기 저장서버로 무선 통신에 의해 중계하며, 상기 감지센서들을 관재하는 환경관재유닛; 및
    상기 저장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서버는
    다수의 환경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지도상에 해당 환경시설들의 위치를 맵핑하는 맵핑수단;
    상기 맵핑수단에 의해 위치가 설정된 특정 환경시설로부터 오는 정보를 특정 환경시설에 대한 정보목록에 매칭시키는 매칭수단;
    상기 매칭수단에 의해 매칭된 디지털정보를 환경시설 별로 저장하는 저장수단;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환경시설에 대한 디지털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수단에 의해 저장된 특정 환경시설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서버는,
    기상서버로부터 수신된, 특정 환경시설이 있는 지역의 기상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상기 판단수단이 오염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면 해당 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작동하도록 요구하는 센서작동명령을 생성하는 명령생성수단; 및
    상기 명령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센서작동명령을 상기 환경관재유닛을 통해 상기 감지센서로 전송하는 명령전송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수단은 특정 환경시설이 상기 수신된 기상정보에 의해 오염물질이 발생될 수 있는 오염원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오염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관재유닛은
    상기 감지센서들을 관리하는 관리수단;
    상기 저장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수단; 및
    상기 관리수단 및 무선통신수단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관재유닛은 상기 저장수단으로 전송될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수단; 을 더 포함하는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정보를 고유의 아이디(ID)화 하는 아이디화수단; 및
    상기 아이디화수단에 의해 고유의 아이디화된 정보를 상기 환경관재유닛으로 전송하는 전송수단; 을 포함하는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서버는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지도상에서 현장에서의 감지센서들의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는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KR1020210078862A 2021-06-17 2021-06-17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KR10248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62A KR102480865B1 (ko) 2021-06-17 2021-06-17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62A KR102480865B1 (ko) 2021-06-17 2021-06-17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865B1 true KR102480865B1 (ko) 2022-12-26

Family

ID=8454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62A KR102480865B1 (ko) 2021-06-17 2021-06-17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86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100A (ko) 2002-02-07 2003-08-14 대한민국(목포해양대학교 총창) 다중환경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618A (ko) 2011-09-23 2013-04-02 유천승 Gtg전열망과 친환경 제설재 살포를 통한 하이브리드형 비닐하우스 제설원격관리장치 및 방법
KR101426450B1 (ko) * 2012-07-13 2014-08-06 (주) 다이시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KR20150105664A (ko) * 2014-03-10 2015-09-18 (주) 무심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건축물 구조
KR20200063625A (ko) 2018-11-28 2020-06-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원격으로 건물 에너지 및 환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30025B1 (ko) * 2018-07-19 2020-07-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업데이트된 환경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5012A (ko) *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엠원인터내셔널 생활권역별 환경안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100A (ko) 2002-02-07 2003-08-14 대한민국(목포해양대학교 총창) 다중환경 시설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618A (ko) 2011-09-23 2013-04-02 유천승 Gtg전열망과 친환경 제설재 살포를 통한 하이브리드형 비닐하우스 제설원격관리장치 및 방법
KR101426450B1 (ko) * 2012-07-13 2014-08-06 (주) 다이시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KR20150105664A (ko) * 2014-03-10 2015-09-18 (주) 무심종합건축사사무소 스마트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건축물 구조
KR102130025B1 (ko) * 2018-07-19 2020-07-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업데이트된 환경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63625A (ko) 2018-11-28 2020-06-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원격으로 건물 에너지 및 환경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5012A (ko) *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엠원인터내셔널 생활권역별 환경안전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848B1 (ko)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토양 및 지하수 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8707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CN103477606A (zh) 用于检测、收集、传递和使用与环境条件和发生事件有关的信息的系统
KR101940224B1 (ko) 맨홀의 내부 상태에 대한 자동알림기능을 제공하는 원격관리시스템
KR101525884B1 (ko) 태양광 발전 통합 관제시스템 및 방법
KR102026821B1 (ko) 사면 원격 계측 관리 시스템
CN103017824B (zh) 使用测量机器人的监测系统
KR102480865B1 (ko) 원격 환경 관리시스템
KR20110068141A (ko) 위성 기반 센서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1966872B (zh) 一种城市综合管廊监控报警和运维管理系统
CN102857935A (zh) 用于增强无线网状网络通信的器件和方法
JP2009169734A (ja) 現場計測システム
KR10210325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RU105780U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объектами на расстоянии
KR100479171B1 (ko) 유무선 겸용 단말기를 사용한 원격제어감시시스템
KR20040090044A (ko) 자동기상관측을 통한 재난 경보 및 생활정보 제공 시스템
Vilayatkar et al. Iot based weather monitor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KR101192745B1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JP5721224B2 (ja) 放射線量計測システム
KR20070099246A (ko) 송전탑을 이용한 기상 및 환경 감시 시스템
Hamzah et al. Design and Built a Prototype Kit for Fire Detection in a Peat Swamp Forest: A Preliminary Results
KR20040003487A (ko) 사면 관리를 위한 실시간 무인 감시 시스템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CN111882832A (zh) 一种机房环境监测预警系统
KR20210104390A (ko) 독성 가스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