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370B1 -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370B1
KR100530370B1 KR10-2003-0033752A KR20030033752A KR100530370B1 KR 100530370 B1 KR100530370 B1 KR 100530370B1 KR 20030033752 A KR20030033752 A KR 20030033752A KR 100530370 B1 KR100530370 B1 KR 10053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information
video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392A (ko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주)다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보소 filed Critical (주)다보소
Priority to KR10-2003-003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37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기기에 대한 원격제어 및 관리를 구현하기 위한 지능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중앙 서버에서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무단침입자를 감시하는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중의 신호정보를 수신하여 인식 저장하고 전화선통신망(PSTN)을 통하여 독립관리사이트(10)내의 가전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되고 일체화된 제어단말기(20)와, 이용자와 제어단말기(20)사이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제어하는 원격중앙서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중앙 서버에서 집, 사무실, 점포 등의 독립관리사이트 내의 다양한 기기(문 개폐장치, 가전기기, 보일러등)에 대하여 원격 운영 및 감시 관리를 하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침입자 감시 및 비상 상황에 대한 긴급 대처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Intelligence type Remote Watch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을 달성하는 지능형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 상가 또는 사무실 내부 및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전화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별도의 배선, 배관이 없이 원격제어 및 감시관리를 구현하는 시스템으로 네트웍의 구성은 유선 전화기가 있는 주택, 상가 또는 사무실(이하"독립관리사이트"라 한다)내부에 통신단말기를 설치하고 외부에 구축되는 원격 중앙 서버와 전화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외부 사용자는 유선 전화기, 휴대용 모바일폰 또는 PDA 등(이하 "유무선 통신기기"라 한다)을 이용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를 이용하여 원격 중앙서버와 연결된다.
이러한 네트웍을 이용하여 외부의 사용자는 독립관리사이트 내의 다양한 문 개폐장치, 가전기기, 보일러(이하 "가전기기"라 한다)등을 원격 운영 및 감시 관리를 하고 유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및 감시 뿐만 아니라 침입자 감시 및 비상 상황에 대한 긴급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능형 감시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무인 감시 시스템은 독립관리사이트 내의 자체적으로 구축된 아날로그 배선을 통하여 상용으로 시판되는 장비나 기기를 사용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독립관리사이트 내에서만 감시관리하거나, 고가의 통신장비에 의한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는 데이터전송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체적으로 아날로그 배선을 구축한 독립관리사이트 내부가 아니고 원격지에서의 감시 및 제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막대한 구축비용 때문에 실제로는 적용하는 경우가 없고, 인터넷에 의한 경우에도 아파트나 빌딩 같은 대단위 밀집 주거단지의 경우, 건설당시 또는 전체 주거지역 단위로 별도의 전용통신망이 특정업체에 의하여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업체를 통하지 않은 장비를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가 없었다.
그리고, 독립관리사이트 내의 개인용 컴퓨터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계속 켜 놓아야 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의 불안정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을 구현하는 지능형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독립관리사이트내의 전화기, 카메라, 센서, 변환기를 통하여 입·출력되는 제어, 경보, 문자, 이미지, 음성, 영상 신호를 (전화선)또는 (전력선)을 통하여 독립관리사이트내의 제어 단말기로 연결되도록 통신망을 구성하고 제어 단말기내에서 신호처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관리사이트내의 제어단말기와 원격 중앙서버가 전화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통신변환기를 내장하고, 서버운영체계를 갖추어 전자무인 원격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무인 원격감시 및 제어 서비스가 사용자가 승인한 위치로 자동 연결되어 신호의 전송 및 사용자 권한의 일시적 승계가 되도록 비상 대응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중앙 서버에서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중의 신호정보를 수신하여 인식 저장하고 전화선통신망(PSTN)을 통하여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가전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되고 일체화된 제어단말기와, 이용자와 제어단말기 사이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제어하는 원격중앙서버로 구성된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는 모드의 설정을 하는 키패드부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신호의 입출력, 카메라를 통한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감시카메라신호수신부와, 출입문을 개폐하는 문개폐제어부와,방문자 영상감지를 위한 외부카메라와 침입자 영상감지를 위한 내부카메라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감시카메라신호수신부와, 무선카메라/센서연결부를 구성하여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와,방범/방재장치로부터 경보신호를 처리하여 통합보안시스템과의 연계하도록 방범센서입력부로 입력된 감지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부와, 가전기기제어부와 가전통신부와, 영상정보의 신호처리를 위한 비디오코덱부, 음성정보의 신호처리를 위한 오디오코덱부를 구성하고 통신망연결부에서 영상과 음성정보를 동기화시켜 원격중앙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격중앙서버는 독립관리사이트 및 초고속 인터넷망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통신망연결부와, 신호 및 정보처리를 운용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즉, 본 발명은 독립관리사이트에 전화선으로 원격중앙서버와 연결되는 제어단말기로 구성하는 통상의 원격감시 시스템을 개량한 발명이다. 제어단말기는 외부기기와의 신호입출력을 위하여 감시카메라 및 마이크 신호입력단자(외부비디오, 외부오디오, 마이크), 스피커출력단자, 문 개폐장치 신호출력단자, 방범장치 경보입력단자, 방재장치 경보입력단자, 전원입력단자를 내장하고, 외부기기와의 통신연결을 위하여 가전기기와의 통신(전력선통신:PLC), 무선 방식의 통신(RF 안테나), 전화선통신(PSTN), 이더넷통신(LAN), USB통신, 데이터통신(RS232, RS422/485)연결단자를 내장한다.제어단말기의 조작 및 감시를 위하여 내장되는 스위치의 기능은 전원개폐, 정전기억모드, 부재중모드(침입보안 및 비상대응), 일반모드(출입통제), 제어모드(가전 및 외부기기), 자기진단모드설정기능, 입력설정확인, 리셋트기능 등이다.제어단말기의 설정 및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태표시기능 및 자기진단기능을 내장하고, 제어단말기의 이상 및 고장 상태의 발생시에는 원격중앙서버를 통하여 진단 및 제어단말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수정을 할 수 있도록 원격 진단 기능을 내장한다.
보일러를 포함한 가전기기와는 전력선 통신 등의 가전기기용 통신방식을 이용하고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하여 원격지에서도 가전기기의 상태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감시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음성신호, 방범/방재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단말기로 전송되며 도어개폐장치는 제어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개폐된다.
컴퓨터 또는 기타 기기와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LAN, RS-232-485통신포트를 제공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은 제어단말기는 전화선통신(PSTN)망을 통하여 외부에 있는 원격중앙서버와 연결되고 원격중앙서버는 유선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유무선단말기와 전화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컴퓨터로는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중앙서버와 연결된 각각의 제어단말기는 독립관리사이트내의 초기정보 및 음성/영상정보를 원격중앙서버로 전송한다.
원격중앙서버를 이용한 본 시스템의 서비스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입탐지기능으로는 내부 침입자에 대한 탐지, 침입 상황에 대한 내용 및 음성/영상정보를 통한 방문자 확인, 출입문 개폐를 원격지에서 제어 관리한다.
홈 오토메이션 기능으로는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 대한 원격관리 및 제어, 이를 통한 홈 오토메이션의 구현이 가능한다.
메시지(SMS 또는 ARS)연동 서비스기능으로는 모든 상황에 대한 정보를 문자정보(SMS 및 음성메시지정보(ARS)로 전송, 수신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황정보 및 음성/영상정보를 확인한다.
인터넷연동 서비스기능으로는 인터넷기반으로 다양한 상황의 소리/영상정보검색, 인터넷 접속으로 출입통제 및 개폐구현, 인터넷을 통한 홈 오토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감시제어시스템의 불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감시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독립관리 사이트에 설치되는 제어단말기 구성도이고, 도 4는 원격중앙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제어단말기의 부재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제어단말기의 일반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제어단말기의 제어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감시제어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불럭도이다. 맨 좌측에 다수개의 독립사이트로 이루어진 독립관리사이트(10)와, 이를 전화선, 인터넷, 데이터 통신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유무선통신수단으로 연결되는 제어단말기(20)와, 유선전화기(4)가 원격중앙서버(50)에 연결된다. 원격중앙서버(50)우측에는 비상대응시스템이 112나 119를 통해서 연결되고, 이동통신망(7)을 통해서 이동통신단말기(8)나 PDA에 연결되며, 유선전화기(6)는 전화통신망(5)을 통해서 연결된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2)는 LAN으로 연결될 수 있다.
원격중앙서버(5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검색한다. 이 서버의 우측은 이용자들이고 이용자는 상기 여러 가지 유선 무선통신기기 또는 인터넷으로 독립사이트의 가전기기와 방범시스템을 원격으로 감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중앙서버의 역할은 제어단말기 진단기능, 일반모드, 부재자모드, 제어모드를 통해서 독립관리사이트(10)를 감시하고 제어한다. 또한 내부침임자 탐지, 침입상황 내용을 파악해서 음성/영상신호를 전송하고 독립관리사이트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선통신망을 이용한 지능형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독립관리사이트(10)내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이나 출입문 개폐장치, 감시카메라 또는 마이크/스피커, 각종 감지기, 가전기기, 방범 장치, 조명제어장치 등과 같은 가전기기(9)로 송수신되는 각종이 정보(입출력 신호, 음성/영상정보)를 제어단말기(20)로 출력하고, 제어단말기에 입력되는 정보는 유선전화기(4)에 연결돼 전화통신망 PSTN(5)을 통하여 원격중앙서버(5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 정보는 독립관리사이트(10)로 방문한 방문자의 요구 또는 침입자 감지경보, 인증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가진 사용자의 요구(사전 설정 포함)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정보가 활성화되면 사용자가 지정한 원격지의 유선전화기(6), 이동통신단말기(8), 원격중앙서버(50)와 연결된 인터넷망(1)과 접속된 원격지컴퓨터(3)로 메시지 또는 메일을 전송하고 사용자의 확인에 의하여 활성화된 정보는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감시제어 및 관리된다.
사용자의 확인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비상조치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원격중앙서버(50)에서 비상대응시스템으로 즉시 전환되어 비상대응시스템이 작동한다. 특히, 긴급을 요하는 시상대응처리의 경우 원격중앙서버(50)는 초고속기간망(인터넷망 포함)과 연계되어 119,112 시스템과의 긴급정보를 전송하고 구가 기간행정망(WAN)과 연계되어 비상재난안내정보를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고속 처리하여야 하는 비상대응시스템을 지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선통신망을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감시제어 시스템중의 독립관리사이트(10)내에 설치되는 제어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모드의 설정은 키패드부(26)를 통하여 설정하고 설정모드, 부재중모드, 일반모드, 제어모드로 구분된다. 설정모드에서의 입력내용은 제어부에 저장됨과 동시에 원격중앙서버(50)에 전송되어 등록확인 된다. 사용자는 원격중앙서버(50)로부터 등록부여 받은 아이디/패스워드를 키패드부(26)를 통하여 설정하고 시스템을 사용 가능한 자의 음성/영상을 입력한다.
감시카메라신호수신부(21)에서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신호의 입출력, 카메라를 통한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모드의 설정과 내용입력은 원격중앙서버(50)를 통하여 원격지 통신/전송에 의한 쌍방향 설정 및 내용입력이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한다. 시스템의 사용을 위하여 일반모드로 설정한 경우, 방문자의 음성/영상이 수신되면 등록된 사용자의 경우 제어부에서 저장정보와 비교 확인하여 일치하면 문개폐제어부(22)를 통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원격중앙서버로 연결되어 원격지의 유무선단말기(6,8)에서 유선전화기(4)로 전화를 걸어 도 6의 프로그램 단계를 거쳐서 출입문의 개폐가 가능하다.
감시카메라신호수신부(21)는 방문자 영상감지를 위한 외부카메라와 침입자 영상감지를 위한 내부카메라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배관배선의 문제로 인하여 유선으로 설치하기 곤란한 경우를 위하여 무선카메라/센서연결부(25)를 구성하여 무선통신부(33)를 통하여 제어부(27)로 신호 처리되도록 구성한다.
방범/방재장치로부터 경보신호를 처리하여 통합보안시스템과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방범센서입력부(23)로 입력된 감지신호를 입출력부(31)로 처리되도록 구성한다. 가전기기의 경우에는 단순 디지털접점방식의 입출력신호의 전송제어도 가능하면서 동시에 전력선통신과 같이 가전기기용으로 별도 규격이 통신방식도 연결이 가능하도록 별도 가전기기제어부(24)를 준비하여 가전통신부(32)로 처리되도록 구성한다.
기타방식의 기기연결을 위한 통신포트로 RS-232/485(34)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초고속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RJ45를 포함한 랜LAN(35)포트를 탑재한다.
영상정보의 신호처리를 위한 비디오코덱부(28),음성정보의 신호처리를 위한 오디오코덱부(29)를 구성하고 통신망연결부(30)에서 영상과 음성정보를 동기화시켜 원격중앙서버(50)로 전송한다. 비디오코덱부(28),오디오코덱부(29)는 필요에 따라 단일부로 처리함도 가능하다.
영상/음성정보의 저장기간/방식은 원격중앙서버(50)에서 설정하고 처리하며 제어부에서는 사용자가 초기 설정한 기준영상/음성정보(security Key 전용)외에는 저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간 음성정보의 단어 문자전환이나 이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정보이 변환이나 전이처리는 원격중앙서버에서 구성한다.
통신망연결부(30)에서 전화선통신망(PSTN)으로 연결된다.
도 4는 원격중앙서버(50)의 구성을 나타내며 독립관리사이트(10) 및 초고속 인터넷망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통신망연결부(51), 신호 및 정보처리를 운용 제어하는 제어부(52),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70)로 구성된다.통화처리부(60)는 독립관리사이트내의 유선전화기(4)와 원격지 유선전화기(6) 또는 이동통신단말기(8)와 통신접속을 검출하고 통화내용을 제어부(52)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70)의 통화정보(71)에 저장하거나 발수신된 특정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프로세스로 전달 처리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전화기로 응답여부에 대한 검사기능을 수행하고 수신기능 확인 후에 해당정보를 전송한다. 영상처리부(61)는 카메라를 통하여 얻어진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가공처리하고 영상/음성정보(72)에 저장하며 시스템 또는 사용자의 요구 및 지정에 따라 저장된 영상/음성정보를 유선전화기, 이동통신단말기, 원격지컴퓨터(3), 개인용컴퓨터(2), 또는 비상대응처리부(63)의 요구에 따른 비상대응용 인터넷링크사이트로 전송 처리한다. 단문자처리부(62)는 통화처리부(60)와 연계하여 음성의 문자변환 또는 문자의 음성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영상/DAM성정보, 통화정보, 운전정보 또는 사용자가 사전에 작성한 메시지의 상세 내용을 전송하기 전에 경보 또는 안내메시지를 사용자, 방문자, 비상대응자에게 단문 문자메시지(SMS)를 먼저 전송하여 정보 전송 서비스가 준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중문자처리부(67)는 단문 문자메시지(SMS)를 2개소 이상의 수신개소에 동시에 전달하는 메시지(이하, "동보 메시지"라 한다)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문자처리부(62)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유무선단말기에 의한 경우에도 전송하고자 하는 다양한 문자정보를 제공한다. 인터넷운용부(64)는 인터넷접속을 통한 본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원격망처리부(65)는 망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원격중앙서버와 연결되는 단말기 또는 시스템에 대한 접속프로그램 및 통신용 프로토콜의 저장 및 이의 운용을 제공한다. 운전정보처리부(66)는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각종기기에 대한 운전상태 및 제어정보를 관리한다. 비상대응처리부(63)는 상기의 프로세스로부터 비상경보신호 및 비상관련 정보를 전송 받아서 112,119,비상대응설정자에게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52)는 상기의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필요정보를 데이터저장부로 전송하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부(70)는 통화정보DB(71), 영상/음성정보DB(72), 문자정보DB(73), 전자메일DB(74), 서비스DB(75), 웹DB(76), 운전/제어정보DB(77), 망통신정보DB(78), 사용자정보DB(79)로 구성한다.
도 5의 플로챠트를 근거로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단말기(20)에서 부재중 모드를 설정한 경우 침입상황탐지를 설정한 후 원격중앙서버(50)로 영상/DAM성/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시스템의 경보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시 사전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6,8)로 SMS 경보전송을 하는 단계, 영상/음성/문자메세지를 부재자 확인 후 조치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확인 및 조치 완료한 경우에는 종료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확인 및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대응 작동 시스템이 112.119, 사전설정자에게 영상/음성/문자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종료된다.
도 6은 제어단말기의 일반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단말기(20)에서 일반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방문자 상황탐지를 설정한 후 원격중앙서버(50)로 영상/음성/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시스템의 경보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시 사전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6,8)로 SMS안내를 전송하고, 영상/음성/문자메시지를 부재자 확인후 조치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통화, 확인 및 조치 완료한 경우에는 종료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확인 및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대응 시스템이 작동하여 사전설정자에게 영상/음성/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7의 플로차트를 통해서 제어단말기의 제어모드를 설명한다. 제어단말기(20)에서 제어모드를 설정하고, 가전기기 운전상황을 점검한 후 원격중앙서버(50)로 운전/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시스템의 경보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요구시 사전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6,8)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부재자 운전상황 확인 및 제어 명령 전송을 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확인 및 조치를 완료한 경우에는 종료되고, 일정시간경과 후 확인 및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사전에 설정된 긴급정지 또는 일정운전체계로 전환된 후 종료하는 단계로 진행된다.
제어단말기의 모드는 정상관리모드와 비상관리모드로 구분된다.
정상관리 모드에서는 각 독립관리사이트의(아이디 및 IP 번호)를 토대로 서버에 저장된 관리데이터와 비교하여 아이디 및 IP 보유자의 사전 설정 또는 호출에 의한 제어 및 감시를 한다.
비상관리 모드에서는 독립관리사이트 내에서의 침입자 또는 비상경보 상황발생의 경우, 아이디 및 IP보유자가 지정한 유무선 단말기로 호출신호 및 실시간 데이터를 서버에서 송출하고 아이디 및 IP 보유자가 사전에 설정한 원터치 키에 의하여 비상 대응 시스템이 가동된다.
비상 대응 시스템은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고장 모드 전환 및 긴급 차단시스템과, 외부 링크 사이트에 의한 방범(112호출 및 자동 신고 접수 시스템), 방재(119호출 및 자동 신고 접수 시스템) 및 지정(계약된 보안 경비업체)대응 시스템-비상대응시스템과, 사용자가 지정한 관계자(친. 인척 또는 이웃)에게 호출 및 신호 송출 등으로 구성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선 통신에 의하여 네트웍이 구성되므로 신규로 네트웍을 구성하는 배선·배관의 공사비가 필요 없다.
제어단말기의 이상유무를 원격중앙서버에서 확인진단이 가능하므로 원격지에서도 신속한 고장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기로 메시지의 전송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어떤 장소에 있더라도 독립관리사이트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의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방문자, 침입자, 기기의 이상발생 등에 대한 조치하지 못하는 부득이한 경우에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비상대응을 대신해 주는 효과가 있다.
외출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예약방문 또는 불시의 방문자가 있더라도 외부에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화기가 아닌 인터넷을 이용하는 컴퓨터에서도 원격중앙서버를 통하여 기기의 기능설정, 부재중 대응절차 및 메시지내용 등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작성, 수정 및 해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지역적으로 가스폭발사고, 화재, 홍수와 같은 비상으로 발생한 재해 또는 재난 대피에 대한 조치 및 안내를 동시에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네트워크 감시제어시스템의 불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독립관리 사이트에 설치되는 제어단말기 구성도,
도 4는 원격중앙서버의 블록도,
도 5는 제어단말기의 부재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어단말기의 일반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제어단말기의 제어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인터넷망 2:개인용 컴퓨터
3: 원격지컴퓨터 4: 유선전화기
5: 전화통신망(PSTN) 7: 이동통신망(CDMA)
8: 이동통신단말기 9: 가전기기
10: 독립사이트 20: 제어단말기
30: 통신망연결부 50: 원격중앙서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중앙 서버에서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가전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중의 신호정보를 수신하여 인식 저장하고 전화선통신망(PSTN)을 통하여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가전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되고 일체화된 제어단말기와, 이용자와 제어단말기 사이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제어하는 원격중앙서버로 구성된 통상의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는 모드의 설정을 하는 키패드부(26)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신호의 입출력, 카메라를 통한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감시카메라신호수신부(21), 출입문을 개폐하는 문개폐제어부(22),
    방문자 영상감지를 위한 외부카메라와 침입자 영상감지를 위한 내부카메라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감시카메라신호수신부(21)와 무선카메라/센서연결부(25)를 구성하여 무선통신부(33)를 통하여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27)와,
    방범/방재장치로부터 경보신호를 처리하여 통합보안시스템과의 연계하도록 방범센서입력부(23)로 입력된 감지신호를 처리하는 입출력부(31)와,
    가전기기제어부(24)와 가전통신부(32)와, 영상정보의 신호처리를 위한 비디오코덱부(28), 음성정보의 신호처리를 위한 오디오코덱부(29)를 구성하고 통신망연결부(30)에서 영상과 음성정보를 동기화시켜 원격중앙서버(5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격중앙서버는 독립관리사이트(10) 및 초고속 인터넷망과의 통신연결을 위한 통신망연결부(51)와, 신호 및 정보처리를 운용 제어하는 제어부(52)와, 상기 제어부(52)의 제어에 따라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7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2)는 독립관리사이트내의 유선전화기(4)와 원격지 유선전화기(6) 또는 이동통신단말기(8)와 통신접속을 검출하고 통화내용을 제어부(52)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저장부(70)의 통화정보(71)에 저장하거나 발수신된 특정신호를 분석하는 통화처리부(60)와, 카메라를 통하여 얻어진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가공처리하고 영상/음성정보(72)에 저장하는 영상처리부(61)와, 상기 통화처리부(60)와 연계하여 음성의 문자변환 또는 문자의 음성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단문자처리부(62)와, 단문 문자메시지(SMS)를 2개소이상의 수신개소에 대한 동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문자처리부(67)와, 인터넷접속으로 본 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운용부(64)와,
    망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원격망처리부(65)와, 독립관리사이트내의 각종기기에 대한 운전상태 및 제어정보를 관리하는 운전정보처리부(66)와, 상기의 프로세스로부터 비상경보신호 및 비상관련 정보를 전송 받아서 112,119,비상대응설정자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비상대응처리부(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20)의 모드의 설정은 키패드부(26)를 통하여 설정하고, 설정모드, 부재중모드, 일반모드, 제어모드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20)의 모드의 설정이 부재중 모드인 경우에 침입상황탐지를 설정한 후, 원격중앙서버(50)로 영상/DAM성/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시스템의 경보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시 사전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6,8)로 SMS 경보전송을 하는 단계, 영상/음성/문자메세지를 부재자 확인 후 조치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확인 및 조치 완료한 경우에는 종료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확인 및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대응 작동 시스템이 112.119, 사전설정자에게 영상/음성/문자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20)가 일반모드인 경우에 제어단말기(20)에서 일반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방문자 상황탐지를 설정한 후, 원격중앙서버(50)로 영상/음성/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시스템의 경보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시 사전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6,8)로 SMS안내를 전송하고, 영상/음성/문자메시지를 부재자 확인후 조치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통화, 확인 및 조치 완료한 경우에는 종료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확인 및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대응 시스템이 작동하여 사전설정자에게 영상/음성/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기(20)가 제어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제어단말기(20)에서 제어모드를 설정하고,가전기기 운전상황을 점검한 후, 원격중앙서버(50)로 운전/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시스템의 경보 또는 사용자의 서비스요구시 사전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6,8)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부재자 운전상황 확인 및 제어 명령 전송을 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확인 및 조치를 완료한 경우에는 종료되고, 일정시간경과 후 확인 및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사전에 설정된 긴급정지 또는 일정운전체계로 전환된 후 종료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10-2003-0033752A 2003-05-27 2003-05-27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100530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752A KR100530370B1 (ko) 2003-05-27 2003-05-27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752A KR100530370B1 (ko) 2003-05-27 2003-05-27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392A KR20040102392A (ko) 2004-12-08
KR100530370B1 true KR100530370B1 (ko) 2005-11-22

Family

ID=3737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752A KR100530370B1 (ko) 2003-05-27 2003-05-27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3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24B1 (ko) 2004-12-24 2007-12-24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WO2012074161A1 (ko) * 2010-12-03 2012-06-07 Lee Choong Dong 태양광 추적식 독립 조명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74146B1 (ko) * 2011-03-30 2013-06-13 박기주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609B1 (ko) * 2005-12-01 2007-03-22 대림산업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을 내장한 월패드
KR100721903B1 (ko) * 2006-03-30 2007-05-28 (주)엑스웨이브 실시간 실내환기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372266B1 (ko) * 2007-05-16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18040B1 (ko) * 2007-07-16 2009-09-18 (주)라이코 다기능 무선제어 가능한 지능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437678B1 (ko) * 2013-08-08 2014-09-03 엘앤케이(주) 피플 카운팅 기능을 갖는 무인 방범 시스템
CN106502117A (zh) * 2016-12-12 2017-03-15 杭州知加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的智能家居系统
CN115047777A (zh) * 2022-05-31 2022-09-13 安徽省通信产业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5g通信的智能家居控制平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24B1 (ko) 2004-12-24 2007-12-24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모바일 모니터링 시스템
WO2012074161A1 (ko) * 2010-12-03 2012-06-07 Lee Choong Dong 태양광 추적식 독립 조명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74146B1 (ko) * 2011-03-30 2013-06-13 박기주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392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7433B2 (en) Security system with two-way communication and video
KR100988330B1 (ko)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제어 기능을 구비한 홈 게이트웨이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US7804403B2 (en) Security system control module
US201300632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Building Security and Automation
US20070085676A1 (en) Security system reporting events through e-mail massages
US78399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itor reception service in absence
US98526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 alarm system
JP3794343B2 (ja) 集合住宅用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ンターサーバー
KR100530370B1 (ko)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20030082670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940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제어 감시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9990078861A (ko) 감시 카메라 단말장치의 보안 시스템
KR100452031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10000186A (ko)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경비시스템
KR20010069685A (ko)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JP4620218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50100811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공용건물의 원격 제어용 중앙 관제시스템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785789B1 (ko) 가상 홈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시스템을 이용한 긴급상황 처리 방법
JP2005184190A (ja) 監視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6507188B2 (ja) 住戸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747717B1 (ko)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EP3554067B1 (en) Camera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362050Y1 (ko) 네트워크 카메라 서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