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717B1 -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717B1
KR100747717B1 KR1020050109866A KR20050109866A KR100747717B1 KR 100747717 B1 KR100747717 B1 KR 100747717B1 KR 1020050109866 A KR1020050109866 A KR 1020050109866A KR 20050109866 A KR20050109866 A KR 20050109866A KR 100747717 B1 KR100747717 B1 KR 10074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household
guard
state
guard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152A (ko
Inventor
배영규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7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세대기기의 경비실기기 또는 타 세대기기와의 통화요청에 따라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또는 임의의 세대기기와 타 세대기기간에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또는 임의의 세대기기와 타 세대기기간 통화종료 요청에 따라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또는 임의의 세대기기와 타 세대기기간 통화연결을 종료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A GATHERING HOUS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대기기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비실기기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터기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집합주택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건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건물은 하나 이상의 세대와 경비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세대와 경비실에는 각각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가 구비되어 각 세대간 또는 각 세대와 경비실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각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는 2선으로 구성된 스타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의의 세대로부터 타 세대와 통화는 경비실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임의의 세대의 거주자는 타 세대의 거주자와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세대 내에 설치된 세대기기를 통해 경비실에 설치된 경비실기기를 호출한다.
이에 경비실에 상주하는 관리자(이하, "경비원"이라 함)는 경비실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경비실기기에 구비된 수화기를 후크 오프(hook off)함으로써 호출한 세대의 거주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경비원은 호출한 세대의 거주자로부터 타 세대의 거주자와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호출한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로가 연결되도록 경비실기기에 구비된 통화전환 스위치를 스위칭 함으로써, 호출한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경비원은 경비실기기에 구비된 수화기를 후크 온(hook on)한 후에 호출한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 종료 시까지 대기한다.
경비원은 호출한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 종료된 후, 호출한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로 연결을 위한 통화전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호출한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세대의 거주자가 타 세대와의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경비원의 경비실기기 조작을 통해 임의의 세대의 거주자와 타 세대의 거주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졌다.
즉, 임의의 세대의 거주자와 타 세대의 거주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경비원이 경비실에 상주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임의의 세대의 거주자와 타 세대의 거주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경비실에 경비원이 상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임의의 세대의 거주자와 타 세대의 거주자간에 통화가 이루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경비실에 경비원이 상주하는 경우에도 임의의 세대의 거주자와 타 세대의 거주자간에 통화가 종료된 경우, 경비원이 경비실기기에 구비된 통화전환 스위치를 오프(off)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시 경비원의 경비실기기의 조작 없이 임의의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 와 상기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 각각에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비실 기기는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 중 임의의 세대기기의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에 대한 통화요청을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의 통화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타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한다.
상기 경비실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 중 임의의 세대기기의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에 대한 통화요청을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의 통화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한다.
상기 경비실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 중 임의의 세대기기의 상기 경비실기기와의 통화요청 후에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 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 이전으로 전환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 각각에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를 포함한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에서 경비실기기의 통신방법은, 임의의 세대기기로부터 통화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요청 상대방번호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통화요청 상대방 번호가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의 번호인 경우,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로 통화요청 연결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의 통화요청 연결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타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경비실기기의 통신방법은, 상기 통화요청 상대방 번호가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의 번호인 경우,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로 통화요청 연결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의 통화요청 연결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경비실기기의 통신방법은, 상기 통화요청 상대방 번호가 상기 경비실기기의 번호인 경우,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비록 다른 도면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집합주택장치(10, 20, 30)와 마스터기(40)를 포함한다.
마스터기(40)는 하나 이상의 집합주택장치(10, 20, 30)간 통신을 제어한다.
집합주택장치(10, 20, 30)는 하나 이상의 세대 기기, 공동 현관기, 및 경비실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집합주택장치에서 집합주택은 하나 이상의 세대로 이루어지는 건물(예를 들어, 아파트, 빌딩 등)을 나타낸다.
집합주택장치(10, 20, 30) 각각은 하나 이상의 세대 기기, 공동 현관기, 및 경비실기기를 포함하는 동일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 집합주택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은 집합주택장치(10)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집합주택장치(10)는 세대기기(11, 12, 13, 14), 공동 현관기(15), 및 경비실기기(16)를 포함한다.
세대기기(11, 12, 13, 14)와 경비실기기(16)는 2선 스타방식의 배선으로 연결된다.
공동 현관기(15)는 경비실기기(16)의 제어에 따라 집합주택의 현관에 설치되는 공동현관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세대기기(11, 12, 13, 14)는 세대 내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비상신호를 발생하여 경비실기기(16)에 전송한다.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 12, 13, 14)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공동현관도어 오픈신호를 발생하여 공동 현관기(15)로 전송한다.
공동 현관기(15)는 경비실기기(16)로부터 수신된 공동현관도어 오픈신호에 따라 공동현관도어를 오픈(open)한다.
세대기기(11, 12, 13, 14)는 경비실 및 임의의 타 세대 각각에 대한 통화요청에 따라 경비실기기(16)와 세대기기(11, 12, 13, 14)간 및 상기 타 세대의 세대기기와 세대기기(11, 12, 13, 14)간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경비실기기(16)로 전송한다.
이에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 12, 13, 14)로부터 수신된 경비실간 통화 요청신호에 따라 경비실 호출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경비실 호출신호는 경비실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경비실 호출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메시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경비실 호출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로 송출될 수 있다.
이후, 경비실기기(16)는 경비실기기(16)에 구비된 수화기가 후크 오프 됨에 따라 경비실간 통화연결 응답신호를 발생하여 세대기기(11, 12, 13, 14)에 전송한다.
세대기기(11, 12, 13, 14)는 경비실기기(16)로부터 경비실간 통화연결 응답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세대기기(11, 12, 13, 14)와 경비실기기(16)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함을 나타내는 통화전환신호를 발생하여 경비실기기(16)에 전송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상태는 세대기기(11, 12, 13, 14)와 경비실기기(16)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기 전후에 세대기기(11, 12, 13,14)와 경비실기기(16)간에 메시지 가 송수신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 12, 13, 14)로부터 통화전환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경비실기기(16)와 세대기기(11, 12, 13, 14)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대기기(11, 12, 13, 14)와 경비실기기(16)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세대기기(11, 12, 13, 14)는 세대기기(11, 12, 13, 14)에 구비된 수화기가 후크 온 됨에 따라 경비실간 통화종료신호를 발생하여 경비실기기(16)에 전송한다.
경비실기기(16)는 경비실기기(16)에 구비된 수화기기 후크 온 되거나 세대기기(11, 12, 13, 14)로부터 경비실간 통화종료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세대기기(11, 12, 13, 14)와 경비실기기(16)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대기기(11, 12, 13, 14)와 경비실기기(16)간에 이루어지는 통화가 종료되는 것이다.
한편,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 12, 13, 14)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타 세대와의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타 세대의 세대기기로 전송한다.
이하에서, 임의의 타 세대와의 통화요청신호를 발생한 세대기기를 세대기기(11)로 한다.
이와 달리, 임의의 타세대와의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수신 받는 타 세대의 세 대기기는 세대기기(11)와 같은 집합주택장치에 위치한 세대의 세대기기(12, 13, 14), 집합주택장치(20, 30)에 설치된 세대기기(21, 22, 23, 31, 32, 3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타세대와의 통화연결 요청신호 수신 받는 타 세대의 세대기기는 각각 세대기기(11)와 같은 집합주택장치(10)에 위치한 세대기기(12), 집합주택장치(20)에 위치한 세대기기(21)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대간 통화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타세대와의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수신 받는 타 세대의 세대기기가 세대기기(12)인 경우, 세대기기(11)와 세대기기(12)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작에 살펴보자.
경비실기기(16)는 세대개기(11)로부터 수신된 타세대와의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세대기기(12)로 전송한다.
세대기기(12)는 경비실기기(16)로부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신호에 따라 세대 호출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세대 호출신호는 세대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대 호출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메시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대 호출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로 송출될 수 있다.
이후, 세대기기(12)는 세대기기(12)에 구비된 수화기가 후크 오프 됨에 따라 제1 타세대 통화연결 응답신호를 발생하여 경비실기기(16)에 전송한다.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2)로부터 수신된 제1 타세대 통화연결 응답신호를 세대기기(11)에 전송하고, 세대기기(11)와 세대기기(12)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 또는 세대기기(12)로부터 서로간에 통화종료를 위한 통화종료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세대기기(11)와 세대기기(12)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타세대와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수신 받는 타 세대의 세대기기가 세대기기(21)인 경우에 세대기기(11)와 세대기기(21)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작에 살펴보자.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로부터 수신된 세대기기(21)로의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마스터기(40) 및 경비실기기(25)를 통해 세대기기(21)로 전송한다.
세대기기(21)는 경비실기기(25)로부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신호에 따라 세대 호출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세대 호출신호는 세대기기(2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대 호출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메시지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대 호출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로 송출될 수 있다.
이후, 세대기기(21)는 세대기기(21)에 구비된 수화기가 후크 오프 됨에 따라 제2 타세대 통화연결 응답신호를 발생하여 경비실기기(25), 마스터기(40) 및 경비 실기기(16)를 통해 세대기기(11)에 전송한다.
이때, 경비실기기(25), 마스터기(40) 및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와 세대기기(21)간 연결을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경비실기기(16, 25, 35)와 마스터기(40)는 2선 스타방식의 배선으로 연결된다.
즉, 경비실기기(25)는 세대기기(21)로부터 수신된 제2 타세대 통화연결 응답신호를 마스터기(40)에 전송하고, 경비실기기(25)와 세대기기(21)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 제2 타세대 통화연결 응답신호는 제2 타세대 통화응답신호를 발생한 세대기기(21)의 번호, 제2 타세대 통화응답신호를 수신할 경비실기기(16)의 번호와 세대기기(11)의 번호를 포함한다.
마스터기(40)는 경비실기기(25)로부터 수신된 제2 타세대 통화응답신호를 경비실기기(16)에 전송하고, 경비실기기(25)와 마스터기(40)간 연결라인의 상태 및 경비실기기(16)와 마스터기(40)간 연결라인의 전송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경비실기기(16)는 마스터기(40)로부터 수신된 제2 타세대 통화응답신호를 세대기기(11)에 전송하고, 세대기기(11)와 경비실기기(16)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경비실기기(16), 마스터기(40) 및 경비실기기(25)는 세대기기(11) 또는 세대기기(21)로부터 서로간에 통화종료를 위한 통화종료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세대기기(11)와 세대기기(21)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경비실기기(16)는 세대기기(11)로부터 수신된 통화종료 신호를 마스터기(40)에 전송하고, 경비실기기(16)와 세대기기(11)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마스터기(40)는 경비실기기(16)로부터 수신된 통화종료 신호를 경비실기기(25)에 전송하고, 경비실기기(16)와 마스터기(40)간 연결라인의 상태 및 마스터기(40)와 경비실기기(25)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경비실기기(25)는 마스터기(40)로부터 수신된 통화종료 신호를 세대기기(21)로 전송하고, 경비실기기(25)와 세대기기(21)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경비실기기(25)는 세대기기(21)로부터 수신된 통화종료 신호를 마스터기(40)에 전송하고, 경비실기기(25)와 세대기기(21)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송한다.
마스터기(40)는 경비실기기(25)로부터 수신된 통화종료 신호를 경비실기기(16)에 전송하고, 경비실기기(25)와 마스터기(40)간 연결라인의 상태 및 마스터기(40)와 경비실기기(16)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경비실기기(16)는 마스터기(40)로부터 수신된 통화종료 신호를 세대기기(11)로 전송하고, 경비실기기(16)와 세대기기(11)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대기기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기기는 하나 이상의 센서(200, 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 제어부(206), 스피커(208), 표시부(210), 및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를 포함한다.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는 세대기기에 구비된 수화기의 후크 온/오프를 감지하여 제어부(208)에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센서(200, 202)는 세대 내의 온도와 세대 내에 누출된 가스 량을 검출하여 제어부(206)에 제공한다.
제어부(206)는 하나 이상의 센서(200, 202)에서 검출된 온도와 가스 량을 각각 설정된 온도와 가스 량과 비교하고, 검출된 온도와 가스 량이 각각 설정된 온도와 가스 량을 넘어선 경우에 이상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와 경비실기기는 2선 스타방식의 배선으로 연결된다.
제어부(206)는 임의의 타 세대와의 통화 요청에 따라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제어부(206)는 상기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수신한 임의의 타 세대로부터 통화연결 응답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에서 수화기의 후크 온/오프를 감지하고, 수화기가 후크 오프된 경우에 통화전환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206)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에서 수화기의 후크 온(on)이 감지된 경우에 임의의 타 세대간 통화종료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206)는 경비실과의 통화 요청에 따라 경비실간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제어부(206)는 경비실기기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 통화연결 응답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에서 수화기의 후크 온/오프를 감지하고, 수화기가 후크 오프된 경우에 통화전환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206)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에서 수화기의 후크 온(on)이 감지된 경우에 경비실기기간 통화종료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발생하여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반면, 제어부(20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통화연결 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세대 호출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208)와 표시부(210)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세대 호출신호는 경비실기기 또는 타 세대의 세대기기에 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대 호출신호는 표시부(210)에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메시지로 표시되거나, 스피커(208)를 통해 "호출이 왔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로 송출될 수 있다. 또는 세대 호출신호는 스피커(208)와 표시부(210)에 동시에 출력될 수 도 있다.
제어부(208)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에서 수화기의 후크 오프가 감지된 경우에 통화연결 응답신호를 발생하여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208)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212)에서 수화기의 후크 온이 감지된 경우, 통화종료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경비실기기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비실기기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비실기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 제어부(302), 스피커(304), 표시부(306), 및 후크 온/오프 감지부(308)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는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 마스터기와 각각 2선 스타방식의 배선으로 연결된다.
제어부(302)는 세대기기로부터 수신된 경비실간 통화연결 요청신호에 따라 경비실 호출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304)와 표시부(306)에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세대기기는 경비실기기가 위치한 집합주택에 설치된 세대기기, 경비실기기가 위치한 집합주택과 다른 집합주택에 설치된 세대기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어부(302)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308)에서 경비실기기에 구비된 수화기가 후크 오프 됨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와 세대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제어부(302)는 후크 온/오프 감지부(308)에서 경비실기기에 구비된 수화기가 후크 온 됨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와 세대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제어부(302)는 세대기기로부터 타 세대간 통화연결 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타 세대의 세대기기로 통화연결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타 세대의 세대기기는 경비실기기가 위치한 집합주택에 설치된 세대기기, 경비실기기가 설치된 집합주택과 다른 집합주택에 설치된 세대기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어부(302)는 타 세대의 세대기기로부터 수신된 통화연결 응답신호를 세대기기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와 세대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302)는 타 세대의 세대기기 또는 세대기기로부터 통화종료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0)와 세대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터기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기는 제어부(400)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는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와 제어부(400)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스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와 경비실기기는 2선 스타방식의 배선으로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임의의 경비실기기로부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신호 또는 통화종료신호를 상대방 경비실기기로 전송하고, 임의의 경비실기기로부터 수신된 통화연결 요청신호 또는 통화종료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와 임의의 경비실기기 및 상대방 경비실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의 변경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00)는 임의의 경비실기기로부터 통화연결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와 임의의 경비실기기간의 연결라인의 상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와 상대방 경비실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제어부(400)는 임의의 경비실기기로부터 통화종료신호가 수신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와 임의의 경비실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0)와 상대방 경비실기기간 연결라인의 상태를 통화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상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임의의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시 경비원의 경비실기기의 조작 없이 임의의 세대와 타 세대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 와
    상기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 각각에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경비실기기는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 중 임의의 세대기기의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에 대한 통화요청을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의 통화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타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실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 중 임의의 세대기기의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에 대한 통화요청을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의 통화요청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실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라인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 중 임의의 세대기기의 상기 경비실기기와의 통화요청 후에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4.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경비실기기 각각에 네트워크 통 신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세대기기를 포함한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에서 경비실기기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세대기기로부터 통화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요청 상대방번호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통화요청 상대방 번호가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의 번호인 경우,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로 통화요청 연결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타 세대기기의 통화요청 연결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타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타 세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비실기기의 통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상대방 번호가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의 번호인 경우,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로 통화요청 연결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의 통화요청 연결메시지에 대한 응 답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에 연결된 세대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상기 다른 경비실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 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비실기기의 통신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상대방 번호가 상기 경비실기기의 번호인 경우,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요청이 있는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통화종료요청에 따라 상기 임의의 세대기기와 경비실기기간 네트워크 통신라인의 상태를 통화라인상태 이전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비실기기의 통신방법.
KR1020050109866A 2005-11-16 2005-11-16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66A KR100747717B1 (ko) 2005-11-16 2005-11-16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66A KR100747717B1 (ko) 2005-11-16 2005-11-16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152A KR20070052152A (ko) 2007-05-21
KR100747717B1 true KR100747717B1 (ko) 2007-08-08

Family

ID=3827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866A KR100747717B1 (ko) 2005-11-16 2005-11-16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282A (ko) 2015-05-08 2016-11-17 (주) 코콤 배선 체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434A (ko) * 1989-05-15 1990-12-24 김시호 집단세대용 인터폰 시스템
KR960020298A (ko) * 1994-11-04 1996-06-17 구자흥 홈 오토메이션(ha) 시스템의 인터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세대호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9434A (ko) * 1989-05-15 1990-12-24 김시호 집단세대용 인터폰 시스템
KR960020298A (ko) * 1994-11-04 1996-06-17 구자흥 홈 오토메이션(ha) 시스템의 인터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세대호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152A (ko)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99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itor reception service in absence
JPS6165555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1695100A (zh) 智能家居安防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30082670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KR100452031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530370B1 (ko) 지능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KR20010000186A (ko)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경비시스템
KR100747717B1 (ko)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CN201804421U (zh) 智能家居安防系统
KR100813162B1 (ko) 공동 주택의 개별 세대 보안 시스템
KR100582144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KR100885604B1 (ko)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KR100195140B1 (ko) 집단 주택 시스템의 세대 호출방법
JPS622794A (ja) テレコンシステムを備えた集合住宅
EP3769503B1 (en) Network-enabled door station extender
KR100194462B1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국선 착신호 전환 방법
KR100932530B1 (ko) 자동전환장치를 가지는 공동현관 출입통제 시스템
CN2907134Y (zh) 楼宇可视对讲门禁系统
JP2001156924A (ja) 集合住宅通話システム
KR20050045769A (ko) 인터폰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59802B1 (ko) 방범시스템의 통신장치
JP2985987B2 (ja) 集合住宅情報システム
KR20080018463A (ko)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WO19990679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a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