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604B1 -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604B1
KR100885604B1 KR1020070067149A KR20070067149A KR100885604B1 KR 100885604 B1 KR100885604 B1 KR 100885604B1 KR 1020070067149 A KR1020070067149 A KR 1020070067149A KR 20070067149 A KR20070067149 A KR 20070067149A KR 100885604 B1 KR100885604 B1 KR 10088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external
resident
home
teleph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853A (ko
Inventor
양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07006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6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각 세대의 가전제품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홈네트워크(Home Network)와 공동주택 각 세대의 전화와 컴퓨터를 공중 전화 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과 IP 네트워크(IP Network, 또는 Wide Area Network(WAN))에 연결하고 제어하는 홈텔레포니(Home Telephony)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IP 네트워크(WAN) 및 공중 전화 통신망(PSTN)을 통해 외부 전화와의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연결부, IP 네트워크(WAN)를 통해 외부 PC, 휴대전화, PDA 등의 외부 전자 기기와 연결하는 인터넷 접속부를 포함하는 텔레포니 서버; 텔레포니 서버를 통해 외부 전화와 연결되는 전화, PC 등의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텔레포니 서버에 연결하고, 텔레포니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공동현관을 개폐 제어를 하는 공동현관 서버; 및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인터폰, 현관, 냉난방 시스템, 또는 전기전자 시스템 등의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텔레포니 서버에 전송하고, 텔레포니 서버로부터의 지시 명령에 기초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을 제어하는 복수의 홈 서버;를 포함하고, 텔레포니 서버는,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전송할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및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로 전송하고,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 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홈 서버로 지시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67149
공동주택, 홈네트워크, 텔레포니, WAN, PSTN, 전화, 컴퓨터

Description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Apartment House Telephon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각 세대의 가전제품을 연결하여 제어하는 홈네트워크(Home Network)와 공동주택 각 세대의 전화와 컴퓨터를 공중 전화 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과 IP 네트워크(IP Network, 또는 Wide Area Network(WAN))에 연결하고 제어하는 홈텔레포니(Home Telephony)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40년대부터 가사, 가정 생활의 자동화를 위한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홈오토메이션의 중요한 시스템으로는 방범, 방재를 위한 홈시큐리티(Home Security), 에너지, 조명, 냉난방, 급탕 관리와 같은 에너지 시스템(Energy System), 전기, 가스의 조절, 계량기 자동 계측과 같은 하우스 컨트롤(House Control) 등이 있다.
이러한 홈오토메이션은 1990년대부터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에 따라 홈네트워크로 발전하였다. 개인용 컴퓨터(PC)의 발전에 따라 각 가정에 있는 개인용 컴퓨터로 홈오토메이션을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망의 발전과 감지 센서, 사용자 식별 방법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원격으로 홈오토메이션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통상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IP 네트워크(WAN)을 통해 외부 PC, 휴대 전화, PDA 등의 외부 전자 기기(1)와 연결되는 홈네트워크 서버(2), 홈네트워크 서버(2)와 가전 제품 등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3), 게이트웨이(3)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2)에 연결되는 디지털 TV, 오디오 등의 AV 기기군(4), 게이트웨이(3)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2)에 연결되는 방범 장치, 원격 검침 장치, 에어컨, 냉장고, 조명, 가스 밸브 등의 가전 및 제어 기기군(5), 방문자를 확인하고 현관을 개폐할 수 있는 현관 제어부(6), AV 기기군(4), 제어 기기군(5), 현관 제어부(6) 등을 세대 내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홈 패드(7)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공동주택의 경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서 방문자를 확인하고 공동현관을 개폐할 수 있는 공동현관 제어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전자 기기(1) 및/또는 홈 패드(7)를 이용하여 AV 기기군(4), 제어 기기군(5), 현관 제어부(6), 공동현관 제어부(8)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는 아파트, 주상복합 등의 주거 공간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대단위 단지뿐만 아니라 중,소형 단지에서도 기본 사양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리고, 주차 시스템, 보안/방범 시스템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홈네트워크는 공중 전화 통신망(PSTN)과 같은 전화망으로의 연결이 되고 있지는 않는다.
한편, 종래에는 전화는 공중 전화 통신망(PSTN)을 이용하여 서비스되었다. 공중 전화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각 전화는 전화 회선 교환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회선을 독점 사용하여야 하므로 회선당 비용이 높다.
근래에는 인터넷망(WAN)의 발전에 따라 음성을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로 나누어 패킷 단위로 전송하는 IP 텔레포니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IP 텔레포니의 경우 회선의 독점을 막고 관리가 편리하여 통신 비용이 저렴하다.
그러나, 이러한 공중 전화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 각 세대의 통신 환경은 각 세대에서 별도로 구성해야 한다. 즉, 각 세대는 전화 사업자를 선정하고 전화를 연결한다. 각 세대의 전화에 키폰 기능, 단축 번호 기능, 자동 응답 기능, 통화 녹음 기능, 발신자 표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세대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전화기를 준비하여야 한다.
또한, 종래에는 홈네트워크와 홈텔레포니를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파트나 주상복합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홈네트워크와 홈텔레포니를 연결하여 홈네트워크를 PSTN, WAN과 같은 전화망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 주택에 설치된 텔레포니 서버를 통해 각 세대의 전화에 키폰 기능, 단축 번호 기능, 자동 응답 기능, 통화 녹음 기능, 발신자 표시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WAN) 및 공중 전화 통신망(PSTN)을 통해 외부 전화와의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연결부, 및 IP 네트워크(WAN)를 통해 외부 PC, 휴대전화, PDA 등의 외부 전자 기기와 연결하는 인터넷 접속부를 갖는 텔레포니 서버; 텔레포니 서버를 통해 외부 전화와 연결되는 전화, PC 등의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텔레포니 서버에 연결하고, 텔레포니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공동현관을 개폐 제어를 하는 공동현관 서버; 및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인터폰, 현관, 냉난방 시스템, 또는 전기전자 시스템 등의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텔레포니 서버에 전송하고, 텔레포니 서버로부터의 지시 명령에 기초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을 제어하는 복수의 홈 서버;를 포함하고, 텔레포니 서버는,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전송할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및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로 전송하고,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홈 서버로 지시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연결할 인터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 연결하고, 인터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의 개폐 제어 신호를 공동현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에 대하여 사전에 입력된 단축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단축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에서 입력된 단축 번호를 단축 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축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전화 번호로 변경하고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외부 전화 또는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거주자의 외부 전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가정 통신 기기로부 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저장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음성 신호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음성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외부 전화와 가정 통신 기기 사이의 통화 중 가정 통신 기기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통화 내용을 저장하고, 거주자의 외부 전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가정 통신 기기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저장된 통화 내용을 재생하는 통화 내용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연결할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즉시로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 연결하거나, 또는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연결되지 않는 경우 걸려오는 전화를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전자 기기로 연결할 전화의 발신자 번호를 더 저장하며, 제어부는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의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고, 걸려오는 전화를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전자 기기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에 대한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가정 통신 기기 또는 외부 전화로부터의 호출 신호가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가정 통신 기기로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나 주상복합과 같은 공동주택에서 홈네트워크와 홈텔레포니를 연결하여 홈네트워크를 PSTN, WAN과 같은 전화망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동 주택에 설치된 텔레포니 서버를 통해 각 세대의 전화에 키폰 기능, 단축 번호 기능, 자동 응답 기능, 통화 녹음 기능, 발신자 표시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100)은 IP 네트워크(WAN)를 통해 외부 PC(121), 휴대전화(122), PDA(123)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와 연결되고 IP 네트워크(WAN) 및 공중 전화 통신망(PSTN)을 통해 외부 일반전화(130)와 연결되는 텔레포니 서버(110), 게이트웨이(143)를 통해 텔레포니 서버(110)와 연결되고 게이트웨이(143), 텔레포니 서버(110)를 통해 외부 전자 기기(120) 및 외부 일반전화(130)와 연결되는 세대 내의 일반 전화(141), 인터넷 PC(142)와 같은 가정 통신 기기군(140),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 를 텔레포니 서버(110)에 연결하고 텔레포니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공동현관을 개폐 제어하는 공동현관 서버(150), 공동주택 각 세대의 인터폰, 현관, 냉난방 시스템, 전기전자 시스템, 보안 시스템 등의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의 정보를 텔레포니 서버(110)로 전송하고 텔레포니 서버(110)로부터의 지시 명령에 기초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을 제어하는 홈 서버(160)를 포함한다.
텔레포니 서버(110)의 상세는 후술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을 먼저 기술한다.
외부 PC(121), 휴대전화(122), PDA(123)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는 IP 네트워크(WAN)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이다. 외부 전자 기기(120)는 IP 네트워크(WAN)를 통해 텔레포니 서버(110)에 연결된다.
외부 일반전화(130)는 기존의 공중 전화 통신망(PSTN)를 통하거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을 이용하여 IP 네트워크(WAN)를 통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연결된다. PSTN과 텔레포니 서버(110) 사이에는 PSTN과 텔레포니 서버(110)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131)가 설치된다.
복수의 가전 통신 기기군(140)은 일반 전화(141), 인터넷 PC(142) 등으로서, 외부 전자 기기(120) 또는 외부 일반전화(130)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가전 통신 기기군(140)은 게이트웨이(143)를 통해 텔레포니 서버(110)와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가전 통신 기기군(140)은 직접 WAN이나 PSTN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텔레포니 서버(110)를 거쳐 외부 전자 기기(120) 또는 외부 일반전화(130)와 연결된다. 인터넷 PC(142)의 경우 주로 텔레포니 서버(110)를 거쳐 외부 전자 기기(120)에 연결되고, 전화기(141)의 경우 주로 텔레포니 서버(110)를 거쳐 외부 일반전화(130) 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 관리실, 경비실, 상가, 부대 시설 간의 전화 연결은 외부 WAN이나 PSTN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공동현관 서버(150)는 인터폰이 설치되고 원격으로 개폐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연결된다. 공동현관 서버(150)는 공동현관의 인터폰의 통화 신호를 텔레포니 서버(110)와 송수신한다. 또한, 공동현관 서버(150)는 텔레포니 서버(110)로부터의 공동현관 개폐 지시에 따라 공동현관을 개폐한다.
한편, 공동현관 서버(150) 뿐만 아니라, 텔레포니 서버(110)는 경비실, 주차장, 놀이터 등의 공용 공간의 인터폰, 카메라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홈 서버(160)는 각 세대에 설치된다. 홈 서버(160)는 각 세대의 인터폰, 현관, 냉난방 시스템, 전기전자 시스템, 보안 시스템 등의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에 연결된다. 홈 서버(160)는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으로부터의 정보를 텔레포니 서버(110)에 전송하고, 텔레포니 서버(1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을 제어한다. 또한, 홈 서버(160)는 각 세대에서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방문자가 인터폰을 작동하는 경우, 인터폰으로부터의 신호는 세대 내의 홈 서버(160)에 전달되고, 또한 홈 서버(160)를 통해 텔레포니 서버(110)를 통해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가정 통신 기기군(14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세대의 거주자는 홈 서버(160)를 직접 작동하거나, 텔레포니 서버(110)를 통해 홈 서버(160)에 연결된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 반전화(130) 또는 가정 통신 기기군(140)을 이용하여 현관을 개폐할 수 있다.
도 2에서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을 제어하는 홈 서버(160)와 가정 통신 기기군(140)은 별도의 회선으로 텔레포니 서버(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홈 서버(160)가 텔레포니 서버(110)를 거치지 않고 가정 통신 기기군(14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홈 서버(160)는 또한 가정 통신 기기군(140)의 통신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의 내부 구성을 기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텔레포니 서버(110)는 외부 전자 기기(120)와의 연결을 위해 WAN에 연결되는 인터넷 연결부(1111), 외부 일반전화(130)와의 연결을 위해 WAN 또는 게이트웨이(131)를 통해 PSTN에 연결되는 IP 전화 연결부(1112) 및 PSTN 전화 연결부(1113), 각 세대의 가정 통신 기기군(140)과의 연결을 위해 게이트웨이(143)에 연결되는 가정 통신 기기 연결부(1114), 공동 현관 서버(150)에 연결되는 공동 현관 연결부(1115), 홈 서버(160)와 연결되는 홈 서버 연결부(1116) 등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 연결부(111)를 포함한다. 인터넷 연결부(1111)와 IP 전화 연결부(1112)는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정 통신 기기군(140)이 홈 서버(160)에 연결되는 경우, 가정 통신 기기 연결부(1114) 및 홈 서버 연결부(1116)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경비실, 주차장, 놀이터 등의 공용 공간의 인터폰, 카메라와의 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텔레포니 서버(110)는 외부 기기 연결부(111)의 각각의 연결부 사이에서 신 호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외부 일반전화(130)가 PSTN을 통해 신호가 올 때, 스위칭부(112)는 PSTN 전화 연결부(1113)와 가정 통신 기기 연결부(1114)를 연결한다.
텔레포니 서버(110)는 텔레포니 서버(110)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113)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113)는 홈 서버(160)를 통해 수신된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의 정보를 전송할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가정 통신 기기군(140)의 정보를 저장하는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131),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연결할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각 세대의 인터폰, 또는 가정 통신 기기군(140)의 정보를 저장하는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1132),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140)에 의해 지정된 단축 번호를 저장하는 단축 번호 데이터베이스(1133), 외부에서 세대 내의 전화기(141)로 걸려오는 전화를 연결할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120) 또는 외부 일반전화(13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1134),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140)에 대하여 지정된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1135), 외부 전자 기기(120) 또는 외부 일반전화(13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음성 신호 저장부(1136), 외부 일반전화(130)와 가정 통신 기기(140) 사이의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통화 내용 저장부(1137)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포니 서버(110)는 외부 기기 연결부(111), 스위칭부(112), 데이터베이스부(113)를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한편, 홈네트워크와 텔레포니 모두를 제어하기 위한 텔레포니 서버(110)가 상술되었지만, 텔레포니 서버(110)는 홈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서버와 텔레포니를 제어하는 서버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텔레포니 서버(11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것이다.
<홈네트워크 기기 제어>
각 세대의 거주자는 PC(121), PDA(123), 휴대 전화(122)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한다.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의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의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정보는 이메일 주소, 휴대 전화 번호, 외부 전화 번호, 세대 내 전화의 번호 등을 포함한다. 거주자가 외부 전자 기기(120) 또는 세대 내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 거주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입력 툴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거주자가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세대 내의 전화(141)를 이용하는 경우,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서비스에 따라 전화기의 키이(0~9, *, #)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텔레포니 서버(110)의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131)에 저장된다.
방문자가 각 세대의 인터폰을 조작하는 경우, 또는 냉난방 시스템, 전기전자 시스템, 보안 시스템이 거주자에게 정보를 전송하려는 경우에 홈네트워크 기기 군(170)으로부터의 신호는 홈 서버(160)를 통해 텔레포니 서버(110)로 전송된다.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131)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러한 신호를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가정 통신 기기군(140)으로 전송한다.
거주자는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PC(121), 휴대전화(122), PDA(123)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 전화(130) 또는 세대 내의 일반 전화(141) 등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을 제어한다.
거주자가 신호 수신을 PSTN에 연결된 외부 일반전화(130)로 설정한 경우,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131)에는 외부 전화(130)의 번호가 저장된다. 방문자가 현관에서 인터폰을 조작할 때,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131)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칭부(112)가 홈 서버 연결부(1116)와 PSTN 전화 연결부(1113)를 연결하도록 한다. 거주자는 외부 일반전화(130)를 이용하여 인터폰을 조작하는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다. 거주자가 방문자의 출입을 허락하는 경우,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서비스에 따라 전화기의 키이를 이용하여 현관의 개방 명령을 지시한다. 텔레포니 서버(110)는 거주자의 지시에 따라 홈 서버(160)를 통해 현관을 열리게 할 수 있다.
물론, 세대 내에 있는 거주자가 직접 또는 홈 서버(160)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동현관 제어>
각 세대의 거주자는 PC(121), PDA(123), 휴대 전화(122)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한다.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여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연결하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의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정보는 이메일 주소, 휴대 전화 번호, 외부 전화 번호, 세대 내 전화의 번호 등을 포함한다. 거주자가 외부 전자 기기(120) 또는 세대 내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 거주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입력 툴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거주자가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세대 내의 전화(141)를 이용하는 경우,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서비스에 따라 전화기의 키이(0~9, *, #)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텔레포니 서버(110)의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1132)에 저장된다.
방문자가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의 인터폰을 조작하는 경우에 공동현관 서버(150)로부터의 신호는 텔레포니 서버(110)로 전송된다.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113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러한 신호를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가정 통신 기기군(140)으로 전송한다.
거주자는 공동현관 서버(15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홈 서버(160) 외에 PC(121), 휴대전화(122), PDA(123)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세대 내의 일반 전화(140) 등을 이용하여 현관 개폐를 제어한다.
거주자가 신호 수신을 PSTN에 연결된 외부 일반전화(130)로 설정한 경우,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1132)에는 외부 전화의 번호가 저장된다. 방문자가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서 인터폰을 조작할 때,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1132)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칭부(112)가 공동현관 연결부(1115)와 PSTN 전화 연결부(1113)를 연결하도록 한다. 거주자는 외부 일반전화(130)를 이용하여 공동현관 인터폰을 조작하는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다. 거주자가 방문자의 출입을 허락하는 경우,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서비스에 따라 전화기의 키이를 이용하여 현관의 개방 명령을 지시한다. 텔레포니 서버(110)는 거주자의 지시에 따라 공동현관 서버(150)를 통해 공동현관을 열리게 할 수 있다.
물론, 세대 내에 있는 거주자가 직접 또는 홈 서버(160)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기기군(170)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131)와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1132) 각각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단축 번호>
각 세대의 거주자는 PC(121), PDA(123), 휴대 전화(122)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한다.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여 각각의 전화에 대하여 단축 번호에 대한 실제 전화 번호를 대응시키는 단축 번호 정보를 입력한다. 각 각의 전화는 전화 번호 기억 기능이 없는 전화일 수 있다. 세대 내에 전화(141)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전화(141)에 대하여 입력할 수 있다. 거주자가 외부 전자 기기(120) 또는 세대 내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 거주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입력 툴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거주자가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세대 내의 전화(141)를 이용하는 경우,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가 제공하는 자동 응답 서비스에 따라 전화기의 키이(0~9, *, #)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텔레포니 서버(110)의 단축 번호 데이터베이스(1133)에 저장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거주자는 전화기(141)에서 전화 번호 전부를 입력하는 대신에 단축 번호를 입력한다.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단축 번호 데이터베이스(1133)에 저장된 단축 번호에 대한 실제 번호에 기초하여 외부 일반전화(130)를 연결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단축 번호 저장 기능이 없는 전화기에 대하여도 단축 번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대 내에 복수의 전화(141)에 대하여 별도의 단축 번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사서함>
각 세대의 거주자는 PC(121), PDA(123), 휴대 전화(122)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한다.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여 각각의 전화(141)에 대하여 음성 사서함 기능을 설정하고, 거주자는 자동 응답 안내문을 녹음한다. 각 각의 전화(141)는 자동 응답 장치가 없는 전화일 수 있다. 세대 내에 전화(141)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전화(141)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세대 내의 각각의 전화(141)에 대하여 설정하는 경우는 후술할 각각의 전화에 대하여 식별 번호를 부여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또한, 거주자는 음성 사서함에 저장된 내용을 전송할 외부 전자 기기(120)를 설정할 수 있다.
외부에서 각 세대 내의 전화(141)로 통화 연결을 시도할 때, 소정의 시간 내에 통화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거주자가 녹음시킨 자동 응답 안내문을 재생한다.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자가 녹음을 하면 녹음된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 저장부(1136)에 저장된다.
거주자는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고 음성 신호 저장부(1136)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거주자는 별도의 자동 응답 장치가 없어도 음성 사서함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자동 응답 장치와는 상이하게 외부에서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텔레포니 서버(110)는 음성 신호 저장부(1136)에 음성 신호가 저장되었음을 이메일을 이용하여 외부 PC(121), PDA(123)로 알리거나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외부 휴대 전화(122)로 알리는 등 외부 전자 기기(120)로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주자는 음성 사서함에 녹음된 내용이 있음을 즉시로 알 수 있고,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여 저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텔레포니 서버(110)는 음성 신호 저장부(1136)에 저장된 음성 신호 자체를 이메일을 이용하여 외부 PC(121), PDA(123)로 전송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이용하여 외부 휴대 전화(122)로 전송하는 등 외부 전자 기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지 않고 외부 전자 기기(120)를 이용하여 저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통화 녹음>
거주자는 각 세대 내의 전화기(141)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하는 중 통화 내용을 저장하기 위해 전화기의 키이를 조작한다. 통화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신호는 일반 조화기의 키이(1~9, *, #)를 조합한 것으로 사전에 설정한다. 텔레포니 서버(110)가 각 세대 내의 전화기(141)로부터 통화 내용 저장 키이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14)는 통화 내용을 통화 내용 저장부(1137)에 저장한다.
거주자는 후에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또는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한 후 통화 내용 저장부(1137)에 저장된 통화 내용을 재생할 수 있다. 또는, 통화 내용 저장부(1137)에 저장된 통화 내용을 이메일로 외부 PC(121), PDA(123)로 전송하거나 음성메시지로 휴대전화(122)에 전송하는 등 외부 전자 기기(12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화 연결>
각 세대의 거주자는 PC(121), PDA(123), 휴대 전화(122) 등의 외부 전자 기 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한다.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여 세대 내의 전화(141)에 대하여 통화를 연결할 휴대전화(122) 또는 외부 일반전화(130)의 번호를 입력한다. 세대 내의 전화(141)는 자동 응답 장치가 없는 전화일 수 있다. 세대 내에 전화(141)가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전화(141)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세대 내의 각각의 전화(141)에 대하여 설정하는 경우는 후술할 각각의 전화에 대하여 식별 번호를 부여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러한 통화 연결은 세대 내의 전화기(141)로 전화가 걸릴 때 즉시 연결되도록 '즉시 통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세대의 거주자가 외출을 하는 경우 거주자가 외부 전화의 번호를 입력하면 세대 내의 전화기로 걸리는 전화가 즉시 외부의 휴대전화(122) 또는 일반전화(130)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는, 이러한 통화 연결은 세대 내의 전화기(141)로 전화가 걸릴 때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연결되지 않는 경우 연결되도록 '대기 통화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거주자가 외출을 할 때마다 통화 연결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거주자가 부재중인 것으로 가정하고 외부의 휴대전화(122) 또는 일반전화(130)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거주자는 발신자 번호를 미리 등록하고 각각의 등록된 번호에 대하여 연결할 외부 휴대전화(122) 또는 일반전화(130)의 번호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버지의 동창회원 전화는 아버지의 사무실 일반전화로, 아들의 친구 전화는 아들의 휴대전화로 연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통화 연결 전화번호, 연결 방법, 발신자 번호는 텔레포니 서버(110)의 통화 연결 데이터베이스(1134)에 저장된다.
외부에서 세대 내의 전화기(141)로 전화가 올 때, 그 전화기의 번호에 대하여 통화 연결 데이터베이스(1134)에 '즉시 통화 연결'로 설정된 경우 즉시 통화 연결 데이터베이스(1134)에 저장된 외부 휴대전화(122) 또는 일반전화(130)로 연결이 된다. 그 전화기의 번호에 대하여 통화 연결 데이터베이스(1134)에 '대기 통화 연결'로 설정된 경우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동안 전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통화 연결 데이터베이스(1134)에 저장된 외부 휴대전화(122) 또는 일반전화(130)로 연결이 된다. 그리고,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의 발신 번호를 추출하고, 발신 번호가 통화 연결 데이터베이스(1134)에 저장된 경우, 그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외부 휴대전화(122) 또는 일반전화(130)로 연결을 한다.
<식별 번호 부여>
각 세대의 거주자는 PC(121), PDA(123), 휴대 전화(122) 등의 외부 전자 기기(120), 외부 일반전화(130), 가정 통신 기기(140)를 이용하여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한다. 거주자는 텔레포니 서버(110)에 접속하여 세대 내에 복수의 전화기(141)가 있는 경우 각각의 전화기에 대하여 식별 번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세대의 전화 번호가 '999-9999'이고, 세대 내에 거실, 부엌, 방 1~3에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거주자는 거실의 전화기에 대하여 '999-9999-0', 부엌의 전화기에 대하여 '999-9999-1', 방1의 전화기에 대하여 '999-9999-2', 방2의 전화기에 대하여 '999-9999-3', 방3의 전화기에 대하여 '999-9999-4'를 설정한다. 각각의 전화기에 대하여 부여된 번호는 텔레포니 서버(110)의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1135)에 저장된다.
거주자는 세대 내에서 각각의 전화기를 키폰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2의 전화기에서 '0'번을 누르면 거실의 전화기로 연결될 수 있다.
거주자는 타인에게 전화 번호를 알려주는 경우, 전화 번호(999-9999) 뿐만 아니라 식별 번호를 함께 알려줄 수 있다(예를 들면, 999-9999-3). 타인이 전화를 할 때 식별 번호가 추가된 전화 번호(999-9999-3)로 전화를 하면, 텔레포니 서버(110)의 제어부(114)는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1135)에 저장된 내용에 기초하여 방2에 설치된 전화로만 신호를 보낸다. 그리하여, 하나의 전화 번호로 다수의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가족 내에 다른 구성원에게 전화를 연결할 수고가 감소하며, 가족 내에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전화기에 대하여 각각의 식별 번호가 부여된 경우, 상술한 음성 사서함 기능, 통화 연결 기능 등은 식별 번호가 부여된 각각의 전화기에 대하여 실행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포니 서버의 내부 구성도.

Claims (9)

  1. 공동주택의 텔레포니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IP 네트워크(WAN) 및 공중 전화 통신망(PSTN)을 통해 외부 전화와의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전화 연결부, 및 상기 IP 네트워크(WAN)를 통해 외부 PC, 휴대전화, PDA 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기기와 연결하는 인터넷 접속부를 갖는 텔레포니 서버;
    상기 텔레포니 서버를 통해 상기 외부 전화와 연결되는 전화, PC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상기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상기 텔레포니 서버에 연결하고,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현관을 개폐 제어를 하는 공동현관 서버;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인터폰, 현관, 냉난방 시스템, 또는 전기전자 시스템 등의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상기 텔레포니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텔레포니 서버로부터의 지시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군을 제어하는 복수의 홈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전송할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연결할 상기 인터폰, 상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기기군의 정보를 상기 홈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홈 서버로 지시 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공동현관의 인터폰 통화 신호를 상기 공동현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폰, 상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 연결하고, 상기 인터폰, 상기 복수의 가정 통신 기기,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의 개폐 제어 신호를 상기 공동현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에 대하여 사전에 입력된 단축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단축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에서 입력된 단축 번호를 상기 단축 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단축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전화 번호로 변경하고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상기 외부 전화 또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거주자의 외부 전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상기 가정 통신 기기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음성 신호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상기 외부 전화와 상기 가정 통신 기기 사이의 통화 중 상기 가정 통신 기기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통화 내용을 저장하고, 거주자의 외부 전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 또는 상기 가정 통신 기기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통화 내용을 재생하는 통화 내용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상기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연결할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즉시로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걸려오는 전화를 상기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자 기기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상기 거주자의 전자 기기로 연결할 전화의 발신자 번호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정 통신 기기로 걸려오는 전화의 발신자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걸려오는 전화를 상기 전화 연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발신자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거주자의 외부 전화 또는 상기 거주자의 전자 기기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포니 서버는, 각각의 가정 통신 기기에 대한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정 통신 기기 또는 상기 외부 전화로부터의 호출 신호가 상기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별 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가정 통신 기기로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KR1020070067149A 2007-07-04 2007-07-04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KR10088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149A KR100885604B1 (ko) 2007-07-04 2007-07-04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149A KR100885604B1 (ko) 2007-07-04 2007-07-04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53A KR20090002853A (ko) 2009-01-09
KR100885604B1 true KR100885604B1 (ko) 2009-02-24

Family

ID=4048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149A KR100885604B1 (ko) 2007-07-04 2007-07-04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15Y1 (ko) 2008-10-23 2011-07-28 정장오 VoIP공동현관기와 DTMF리시버를 포함하는 무인경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391B1 (ko) * 2016-04-15 2016-06-13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통신망 중계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861A (ko) * 1999-06-30 2001-01-15 김동수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8528A (ko) * 2000-01-06 2001-07-23 이학준 공동주택 세대별 정보관리 시스템
KR20010095648A (ko) * 2000-04-11 2001-11-07 구자동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 주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관리 방법
KR20020064847A (ko) * 2001-02-03 2002-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49565A (ko) * 2002-12-06 2004-06-12 김일곤 비디오 폰을 이용한 홈 서버 시스템
KR20060001904A (ko) * 2005-12-13 2006-01-06 주식회사 라이징테크놀러지 실시간 연동서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적용된아파트 및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및 통합카드시스템
KR20060125237A (ko) * 2005-06-02 2006-12-06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861A (ko) * 1999-06-30 2001-01-15 김동수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8528A (ko) * 2000-01-06 2001-07-23 이학준 공동주택 세대별 정보관리 시스템
KR20010095648A (ko) * 2000-04-11 2001-11-07 구자동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 주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관리 방법
KR20020064847A (ko) * 2001-02-03 2002-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40049565A (ko) * 2002-12-06 2004-06-12 김일곤 비디오 폰을 이용한 홈 서버 시스템
KR20060125237A (ko) * 2005-06-02 2006-12-06 대한위즈홈 주식회사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KR20060001904A (ko) * 2005-12-13 2006-01-06 주식회사 라이징테크놀러지 실시간 연동서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적용된아파트 및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및 통합카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15Y1 (ko) 2008-10-23 2011-07-28 정장오 VoIP공동현관기와 DTMF리시버를 포함하는 무인경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53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330B1 (ko)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제어 기능을 구비한 홈 게이트웨이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CN103313024A (zh) 楼宇可视对讲系统及方法
CN101247516B (zh) 一种楼宇中的可视对讲方法及系统
CN102915630A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WO20060677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a cellular network
CN103326937A (zh) 基于多网融合的智能网关设备及社区管理对讲系统
CN202904854U (zh) 远程门铃控制系统及其智能门铃装置
KR20060125237A (ko)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CN107864413A (zh) 楼宇呼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1778240A (zh) 一种无线可视对讲门铃系统
KR100415018B1 (ko)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885604B1 (ko)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JP739347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RU2379852C1 (ru) Система запирания двери
RU2689275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видеодомофонной трансля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с камер наблюдения на базе штатной системы домофонной связи
KR20120052505A (ko) 공동현관 출입제어를 위한 통신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2176745A (zh) 一种无线可视对讲门铃系统
KR100443329B1 (ko) 브이오아이피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폰이 결합된 비디오 폰
CN201623794U (zh) 一种无线可视对讲门铃系统
KR101039434B1 (ko) 계정차용에 의한 통화 장치 및 방법
KR20080049968A (ko) Ip전화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비디오폰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332328Y1 (ko) 아파트의 출입자 관리시스템
KR100747717B1 (ko)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1613B1 (ko) 비디오 폰을 이용한 홈 서버 시스템
JP2004348520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