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861A -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861A
KR20010004861A KR1019990025617A KR19990025617A KR20010004861A KR 20010004861 A KR20010004861 A KR 20010004861A KR 1019990025617 A KR1019990025617 A KR 1019990025617A KR 19990025617 A KR19990025617 A KR 19990025617A KR 20010004861 A KR20010004861 A KR 2001000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ehold
central
telephon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286B1 (ko
Inventor
문형규
백성훈
Original Assignee
김동수
서울 아이디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서울 아이디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1999002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2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전화네트워크(PSTN) 또는 종합정보 통신네트워크(ISDN)를 통해 특정한 형태의 신호를 발생시켜 공동주택의 출입문을 제어하기 위한 전화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되며, PSTN 또는 ISDN 전화선로에 연결된다. 방문자가 전화 시스템의 키패드를 통해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동/호 번호를 입력하면, 전화 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동/호 번호를 해당 세대의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해당 세대의 일반 전화기로 전화를 건다. 방문자가 거주자와 통화하면, 거주자는 미리 정해진 버튼을 누르고 상기 버튼은 DTMF 톤으로 변환되어 전화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전화 시스템은 상기 DTMF 톤을 미리 정해진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한다. 또한 공동주택의 거주자는 상기 전화 시스템에 연결된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 판독기에 출입자 카드를 접근시킴으로써 출입문을 개방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F APARTMENT COMPLEX}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전화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또는 종합정보 통신네트워크(Integrated Switched Data Network: ISDN)를 통해 특정한 형태의 신호를 발생시켜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빌라, 연립)나 복합건물 및 오피스 등과 같이 다세대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에 있어서, 중앙 출입문의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공동주택은 다수의 사람들이 출입하기 때문에, 거주자(Tenant)가 손쉽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원치않는 방문자(Visitor)의 출입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공동주택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종래기술에는 로비폰 시스템과 인터폰 시스템이 있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로비폰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세대에 설치된 다수개의 세대 키폰(10)(11)과; 공동현관을 제어하는 공동현관 키폰(12); 및 운영사무실(관리실 또는 경비실)에 위치하며 키폰 전용선로(20)을 통해서 상기 세대 키폰(10)(11) 및 공동현관 키폰(12)과 연결되는 키폰중앙제어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공동현관 키폰(12)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출입을 원하는 세대 키폰과의 통화에 의한 원격개방에 의하여 공동현관이 출입이 가능하다. 이때 세대의 거주자는 세대 키폰의 문열림 버튼을 사용하여 공동현관을 원격개방한다. 그러나 상기의 로비폰 시스템은 각 장비가 매우 고가이며, 각 장비들을 키폰 전용선로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선로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부과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터폰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세대에 설치된 다수개의 세대 인터폰(40 내지 45)과; 공동현관을 제어하며 인터폰 전용선로(50)를 통해 상기 세대 인터폰(40 내지 45)과 연결되는 공동현관 인터폰(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공동현관 인터폰(60)을 통해 출입을 원하는 세대 인터폰과의 통화에 의한 원격개방에 의하여 공동현관이 출입이 가능하다. 이때 세대의 거주자는 세대 인터폰의 문열림 버튼을 사용하여 공동현관을 원격개방한다. 그러나 상기의 인터폰 시스템도 상기의 로비폰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각 장비들을 인터폰 전용선로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선로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부과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출입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별도의 전용선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과다한 선로 공사비용을 필요로 하며, 비밀번호 또는 원격개방 등의 제한된 출입방법만을 제공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은 음성 안내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인 및 어린이의 사용이 불편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일반 전화네트워크를 통해 이중톤 다중주파수(Dual Tone Multiple Frequency: DTMF) 톤을 전송함으로써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로비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터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의 전체 실장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의 키패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설정" 모드의 초기 선택화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세대 키폰 12 : 공동현관 키폰
20 : 키폰전용선로 30 : 키폰중앙제어장치
40 내지 45 : 세대 인터폰 50 : 인터폰 전용선로
60 : 공동현관 인터폰 70,71 : 세대 전화기
72 : 전화 시스템 80 : PSTN 또는 ISDN 전화선로
90 : PSTN 또는 ISDN 교환기
100 : 제어/데이터 버스 110 : 전화 네트워크 회로
120 : 전화회로 제어장치 130 : 마이크
135 : 스피커 140 : 주변기기 제어장치
150 : 직렬 입출력 장치 160 : 프로세서
170 : 프로그램 기억장치 175 : 데이터 기억장치
180 : 디스플레이 장치 185 : 키패드
190 : 릴레이 제어그룹 195 : 음성안내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ISDN(Integrated Switched Data Network)과 같은 일반 전화선로를 통해 공동주택내의 각 세대별로 구비된 세대별 일반 전화기와 연결되어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시스템과;
상기 다수개의 세대 전화기 가운데 하나로부터 미리 지정된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톤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상기 중앙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수단;
상기 중앙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직접 개방하거나, 상기 공동주택 내부의 세대별 일반 전화기들과 통화를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중앙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상기 세대별 일반 전화기들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방법의 실시예는,
관리자가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 내에, 중앙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기본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주택의 방문자가 상기 입력수단내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일반 전화기와 통화를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관리자 혹은 상기 방문세대의 거주자가, 상기 일반 전화기와 상기 통화수단을 통해 상기 방문자와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일반 전화기로부터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입력받아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공동주택의 방문자가 상기 입력수단내의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혹은 카드 판독기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설치되며, 공동주택에 기설치된 PSTN 또는 ISDN 전화선로를 통해 전화 교환기에 연결된다. 방문자가 전화 시스템의 키패드를 통해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동/호 번호를 입력하면, 전화 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동/호 번호를 해당 세대의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전화 교환기를 통해 해당 세대의 일반 전화기로 전화를 건다.
전화 시스템이 전화 교환기를 통해 해당 세대의 일반 전화기로 연결되면, 방문자는 거주자와 통화하여 출입을 허가받는다. 그러면 거주자는 일반 전화기의 미리 정해진 버튼(예를 들어 '#' 버튼)을 누르고, 상기 입력된 버튼은 DTMF 톤으로 변환되어 전화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전화 시스템은 상기 DTMF 톤을 미리 정해진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동주택이 PSTN에 연결된다면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은 PSTN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ISDN에 연결된다면 ISDN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의 전체 실장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내의 각 세대에 설치된 다수개의 세대 전화기(70)(71)와; 미리 정해진 DTMF 톤에 의하여 상기 공동주택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전화 시스템(72); 및 PSTN 또는 ISDN 전화선로(80)를 통해 상기 세대 전화기(70)(71) 및 전화 시스템(72)과 연결되어 상기 세대 전화기(70)(71)와 상기 전화 시스템(72) 간의 통화를 연결하는 PSTN 또는 ISDN 교환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대 전화기들(70)(71)은 PSTN 또는 ISDN 전화기로서, 기 설치된 PSTN 또는 ISDN 전화선로(80)를 통해 PSTN 또는 ISDN 교환기(90)와 연결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에 연결되며 전화 네트워크 회로(110)를 통해 공동주택내의 세대 전화기들(70)(71)과 연결되는 전화회로 제어장치(120); 상기 전화 네트워크 회로(110)를 통해 상기 전화회로 제어장치(120)와 연결되는 마이크(130)와 스피커(135);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며 출입문 및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주변기기 제어장치(140);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며 직렬 인터페이스(RS-232C)를 통해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직렬 입출력 장치(Serial Input and Output)(150);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어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60);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1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기억장치(170);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16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기억장치(175);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어 안내문 및 경보문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80);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키를 입력받는 키패드(185);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그룹(190); 및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100)와 연결되어 안내문 및 경보문을 출력하는 음성안내 장치(19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전화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문 개폐장치와 연결되며, 출입문 개폐장치는 상기 전화 시스템로부터 지시가 있는 경우에 출입문을 개방한다.
전화 시스템은 기존의 전화선로로부터 48V의 전원을 입력받아 전화 네트워크 회로(110)를 별도로 구성한다. 상기 전화 네트워크 회로(110)의 회로 임피던스는 600Ω로서, 세대 전화기(70)(71) 측에 연결되어 있는 전화선로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며, 음성 신호를 입출력한다.
상기 전화회로 제어장치(120)는 DTMF 신호 인터페이스 회로로 구성되며, 키패드(185)로부터 입력된 세대 전화번호와, 세대 전화기(70)(71)에서 발생된 DTMF 신호 및 마이크(130)와 스피커(135)의 신호를 입출력한다. 상기 마이크(130)와 스피커(135)는 방문자가 거주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화수단으로서,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주변기기 제어장치(140)는 출입문을 제어하는 신호선로를 제어한다. 상기 주변기기 제어장치(140)에 연결되는 외부장치로는,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출입문 개폐장치와,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장치,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출입문 감지기(Door Sensor), 출입문을 수동으로 개방하는 퇴실용 버튼(Exit Button), 거주자의 출입을 위해 출입자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기 및 보조 출력 단자(AUX OUT) 등이 있다.
상기 직렬 입출력 장치(150)는 확장 통신 포트로서 직렬 인터페이스를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직렬 입출력 장치(150)는 상기 전화 시스템을 프린터나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에 연결할 때 사용된다.
상기 프로세서(16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or Unit: CPU)로서, 상기 프로그램 기억장치(170)인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여, 모든 입출력을 제어하며 키패드(185)를 사용하여 입력된 세대별 정보를 데이터 기억장치(175)인 RAM(Random Access Memory)에 저장한다. 상기 RAM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전화 시스템의 프로그램 입력시나 정상 동작시 상태를 표시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고 야간 사용을 위하여 백 라이트(Back Light) 기능을 가진다. 상기 LCD는 30×90mm의 대형 화면에 한글문자 표시방식을 가지므로, 노인 및 어린이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전화 시스템이 ISDN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화상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185)는 방문자로부터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번호를 입력받거나 프로그래밍을 위해 사용되기 위하여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며, 야간 사용을 위하여 백 라이트 기능을 가진다.
상기 릴레이 제어그룹(190)은 전화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어, 즉 교환국으로 전송되는 전화라인의 훅 제어(Hook Control), 스피커 온/오프 제어 및 마이크의 볼륨 제어 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화 시스템은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온도와 습도 및 우수(雨水)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다. 또한 한국의 기후 및 전력공급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 불안정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으며,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의 전화 시스템은 1. 출입문의 제어 및 감시 기능과, 2. 전화 통화 기능, 3. 출입자 카드를 이용한 출입통제 기능, 4. 비밀번호를 이용한 출입통제 기능, 5. 타 시스템과의 연동 기능, 6. 시스템 운영 데이터의 설정 기능을 가진다.
이하 상기 각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출입문의 제어 및 감시 기능에 대하여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을 이용한 출입문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110)에서, 공동주택의 관리자는 출입문 개폐장치와 연결된 전화 시스템을, 다수의 세대를 가지는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위치한 PSTN 또는 ISDN 전화단자에 연결하고,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기본조건을 설정한다.
단계(s120)에서 공동주택의 방문자가 상기 전화 시스템으로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번호를 입력하면, 단계(s130)에서 상기 전화 시스템이 상기 입력된 세대의 번호를 상기 세대의 전화번호로 변환하고, 단계(s140)에서 상기 변환된 세대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세대 전화기로 전화를 건다.
단계(s150)에서 상기 세대의 거주자는 세대 전화기와 상기 전화 시스템을 통해 상기 방문자와 통화하여 방문자가 용건을 말하면, 단계(s160)에서 상기 방문자를 확인하고 상기 세대 전화기의 미리 지정된 문열림 버튼을 누른다. 상기 미리 지정된 문열림 버튼은 세대 전화기에 있는 키 가운데 하나, 예를 들어 '*' 키 또는 '#' 키로 지정된다.
단계(s170)에서 상기 세대 전화기가 상기 눌려진 문열림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 즉 DTMF 톤을 생성하여 상기 전화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단계(s180)에서 상기 전화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상기 DTMF 톤을 미리 정해진 신호 패턴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면, 단계(s190)에서 상기 전화 시스템은 상기 출입문 개폐장치를 작동시켜 출입문을 개방한다.
방문자는 상기와 같이 공동주택의 거주자 또는 관리실(경비실)과 통화함으로써 출입을 허가받게 되나, 거주자는 기등록된 출입자 카드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통화없이 출입이 가능하다.
상기 전화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출입문 개폐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출입문 개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충분한 전원을 공급한다. 출입문 개폐장치의 제어용 릴레이는 최대 1.5A의 전류를 허용하며, 출입문 잠금장치의 종류에 따라 장애시 출입문 잠금(Fail Secure)/장애시 출입문 개방(Fail Sate) 방식 가운데 하나가 점퍼(Jumper)를 이용하여 선택된다.
출입문 개폐장치에 의하여 개방된 출입문은, 0 내지 99초의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문열림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잠겨진다. 그러나 이사나 화재시 등 필요에 따라 상시 개방 또는 정상운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화 시스템은 또한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감지기(Door Sensor)를 감지하여 출입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경보를 울린다. 이때 출입문 감지기의 종류에 따라 점퍼를 이용하여 N.C.(Normal Close)/N.O.(Normal Open) 방식의 접점을 선택할 수 있으며, 경보장치는 미리 설정된 문열림 시간이 지나도록 계속해서 출입문이 열려 있을 경우 경보를 울린다.
상기 경보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디세이블(disable) 또는 이네이블(enable) 된다. 이때 타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하여 경보 발생시와 출입문이 열린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경보장치를 구동하는 릴레이가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전화 시스템은 외부로 나가는 사람의 존재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출입문이 열리는 퇴실용 감지기(Exit Sensor)나 외부로 나가는 사람이 직접 작동시켜 출입문을 열게 하기 위한 퇴실용 버튼(Exit Button) 또는 별도의 신호 발생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출입문을 여는 원격개방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가지며, 종류에 따라 점퍼를 이용하여 N.C/N.O. 접점을 선택할 수 있고, 퇴실용 감지기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전원을 공급한다.
2. 전화 통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화 시스템은 PSTN 또는 ISDN 전화선로를 통해 전화 교환국과 연결되며, 고유한 일반 전화번호를 부여받는다. 그러나 상기 전화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출입문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므로, 발신전용으로서 착신은 금지된다. 만일 외부에서 실수로 상기 전화 시스템에 착신이 요구된 경우, 결번 안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전화 시스템이 ISDN에 연결되어 있다면, 결번 안내를 출력하는 도중에라도 방문자의 통화가 가능하다.
방문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세대번호는 최대 4자리로서, 아파트의 경우 동번호를 제외한 호번호만이 입력된다.
방문자는 키패드(185)를 통해 세대번호를 입력하며,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185)의 구성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아파트의 1418동 1203호를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는, 1418동의 출입문에 설치된 전화 시스템의 키패드(185)를 사용하여 "1203"을 입력한다. 이때 전화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입력된 세대번호 "1203"을 표시한다. 입력된 "1203"은 전화 시스템에 의하여, 미리 등록된 번호변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1418동 1203호의 실제 전화번호로 변환된다.
세대별로 통화가능한 전화번호는 전화 시스템에 미리 등록되며, 시외전화나 국제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번호는 등록될 수 없다. 전화번호는 최대 10자리까지 등록 가능하며, 등록가능한 전화번호의 개수 즉 등록가능한 세대의 수는 전화 시스템의 주보드 상의 점퍼를 이용하여 선택된다.
표 1 은 전화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번호변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호 번호 전화번호
101호 234-2222
102호 456-1234
103호 567-4567
... ...
1203호 678-7517
관리실 123-1111
방문자가 세대의 번호를 입력하고 키패드(185) 상의 "통화/정지" 버튼을 누르면, 전화 시스템은 입력된 번호(상기 예의 경우 1203)에 해당하는 세대의 전화번호(상기 예의 경우 678-7517)로 전화를 건다. 입력된 세대번호에 대하여 등록된 전화번호가 번호변환 테이블에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80) 및 음성안내 장치(195)는 전화번호가 없음을 표시한다.
이때 전화를 거는 발신용 톤이 방문자에게 들려서 전화번호가 노출되어서는 안되므로, 발신용 톤이 스피커(135)를 통해 출력되서는 안된다. 따라서 전화 네트워크 회로(110)는 DTMF 톤 검출기를 가지며, DTMF 톤 검출기가 DTMF 톤을 검출하면 스피커가 차단된다.
전화 시스템이 세대의 전화기로 전화를 걸 때 미리 설정된 신호대기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해당 세대에서 전화를 받지 않으면, 전화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통해 "부재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음성안내 장치(195)를 통해 음성안내를 출력한다. 또한 해당 세대의 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 통화중임을 화면 및 음성으로 표시하고 전화를 끊는다.
세대 전화기가 전화를 받을 경우, 방문자는 세대의 거주자와 통화가 가능하다. 통화시간은 1차 통화시간과 2차 통화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통화가 이루어진 이후 1차 통화시간이 초과하면 1차 경고음이 발생되며, 2차 통화시간이 초과되면 통화가 강제 종료되고 음성 안내장치(195)를 통해 안내문이 출력된다.
세대에서 통화중 거주자가 세대 전화기의 미리 지정된 문열림 버튼을 누르면 통화가 정지되며, 전화 시스템은 출입문을 개방한다. 또한 전화 시스템은 화면 및 음성으로 출입문이 열렸음을 표시한다.
이대 세대 전화기의 지정된 문열림 버튼에 의해서만 출입문이 개방하여야 하며, 통화시 방문자의 핸드폰 버튼 조작에 의한 신호음이나 다른 신호음이 전화 시스템의 마이크(130)를 통해서 유입되어 출입문이 개방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마이크(130)를 통해서 입력되는 DTMF 톤은 전화 네트워크 회로(11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또한 문열림 버튼이 눌리지 않더라도 세대의 거주자가 전화를 끊는 경우 통화는 정지되며, 전화 시스템은 화면 및 음성으로 통화가 정지되었음을 표시한다.
통화가 종료되면 전화 시스템은 통화를 수행한 세대번호 또는 세대의 전화번호와 통화시각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번호를 모르거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방문자는 "관리실" 버튼을 눌러 관리실(경비실)과의 통화를 시도한다. 입력된 "관리실"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는 전화 시스템에 의하여 미리 지정된 관리실의 실제 전화번호로 변환되며, 전화 시스템은 관리실로 전화를 건다. 지정된 관리실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 관리실 전화번호가 없음을 표시한다.
만일 지정된 시간 이내에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부재중임을 나타내며 전화를 끊으며, 통화중인 경우에도 통화중임을 나타내며 전화를 끊는다.
관리실과의 통화가 이루어지면 지정된 1차 통화시간동안 통화를 허용하며, 1차 통화시간이 초과한 경우 1차 경고음을 발생하고, 2차 통화시간이 초과한 경우 전화를 강제로 끊고 음성 안내문을 출력한다.
관리실과의 통화중 관리실 또는 경비실에서 미리 지정된 문열림 버튼을 누르면, 전화 시스템은 상기 문열림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음에 의하여 출입문을 개방하고 전화를 끊은 다음 화면 및 음성을 통해 출입이 허용되었음을 표시한다.
통화가 종료되면 전화 시스템은 관리실 또는 관리실의 전화번호와 통화시각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3. 출입자 카드를 이용한 출입통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화 시스템은 주변기기 제어장치(140)를 통해 카드 판독기와 연결되며, 공동주택의 거주자는 출입자 카드를 이용하여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 출입자 카드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드번호의 길이는 모토로라/HID 등 표준(standard) 카드의 경우에는 10자리, 대만제 등과 같이 비표준 카드인 경우에는 6자리를 사용한다. 카드 판독기의 종류와, 출입자 카드의 등록 건수 및 출입 이벤트의 저장 건수는 전화 시스템 주 보드상의 점퍼를 이용하여 선택된다.
전화 시스템과 카드 판독기와의 인터페이스는 Weigand 26 비트 포맷을 이용하며, 카드번호의 길이나 출입자 카드의 등록건수 및 출입 이벤트의 저장 건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기 등록된 출입자 카드 관련 정보를 리셋한다.
거주자가 카드 판독기의 카드 투입구로 출입자 카드를 삽입하거나 근접시키면, 카드 판독기는 상기 출입자 카드의 번호를 판독하여 전화 시스템의 주변기기 제어장치(140)를 통해 프로세서(160)로 전달한다. 프로세서(160)는 상기 판독된 출입자 카드의 번호를, 데이터 기억장치(175)에 기 저장되어 있는 카드번호와 비교하고,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화면 및 음성으로 거부되었음을 표시한다.
또한 신문이나 우유 및 편지 등의 배달인은, 사용기간 또는 사용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임시 출입자 카드를 사용하여 출입이 가능하다.
4. 비밀번호를 이용한 출입통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입자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거주자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 비밀번호는 세대별로 다르게 등록되며 2 내지 8 자리수를 가진다. 비밀번호의 자리수는 고정되지 않으며, 2 내지 8 자리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거주자 또는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방문자는 키패드(185)를 사용하여 세대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문열림 버튼을 누른다. 이때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세대번호", "#", "비밀번호", "문열림"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키패드(185)를 통해 입력되는 세대번호를 표시하며, 비밀번호는 표시하지 않는다. 입력된 세대번호와 비밀번호는 프로세서(160)로 전달되며, 프로세서(160)는 상기 전달된 비밀번호를, 데이터 기억장치(175)에 기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프음(beep)을 발생하고 지정된 횟수(예를 들어 3회)가 초과하도록 비밀번호가 반복해서 틀린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한다.
거주자 또는 관리자는 출입자 카드 또는 비밀번호 이외에, 별도의 열쇠를 사용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열쇠는 허락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된다.
5. 타 시스템과의 연동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 시스템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나 화재 감지기 등 타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해, 경보 릴레이와는 별도의 여분의 릴레이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기 등에 의하여 화재신호가 발생한 경우, 전화 시스템은 화재모드(Fire Mode)로 진입하여 출입문을 자동으로 강제 개방한다. 화재 신호가 소멸된경우에도 별도의 조치가 없는 한, 출입문은 계속해서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화재모드시의 개방 및 정상운영 여부는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화재모드는 "시스템설정(Program)" 모드 상태에서 관리자에 의한 해제 또는 주 보드의 스위치의 작동으로 인한 해제가 가능하다.
6. 시스템 운영 데이터의 설정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데이터의 설정은, 지정된 마스터 카드나 지정된 마스터 코드 및 마스터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하여 가능하다. 마스터 카드나 마스터 코드 및 마스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전화 시스템은 "시스템설정(Program)" 모드로 진입하여 운영에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마스터 카드는 출입용으로만 사용되는 세대용 카드나 관리자용 카드와는 달리, 시스템설정 용으로만 사용되며 출입용으로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전화 시스템은 "시스템설정" 모드에서 입력된 내용의 입력오류/정상 여부를 비프음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전화 시스템이 "시스템설정" 모드에서 설정가능한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 마스터 카드와 마스터 비밀번호의 설정 및 변경.
- 문열림 시간과 문열림 감지시간의 설정, 변경 및 확인.
- 신호 대기시간 설정, 변경 및 확인.
- 1차 통화시간과 2차 통화시간의 설정, 변경 및 확인.
- 경보 작동시간의 설정, 변경 및 확인.
- 경보 모드(출입문 오래열림 및 강제개방시 경보발생)의 이네이블/디세이블의 설정과 확인.
- 세대별 전화번호의 등록, 삭제, 변경, 인쇄 및 확인.
- 세대별 비밀번호의 등록, 삭제, 변경, 인쇄 및 확인.
- 출입자 카드의 등록, 삭제, 변경, 인쇄 및 확인.
- 관리실(경비실) 전화번호의 등록, 삭제, 변경 및 확인.
- 화재모드의 해제.
- 전화통화 내역의 조회, 검색, 인쇄 및 삭제.
- 출입자 카드에 의한 출입내역의 조회, 검색, 인쇄 및 삭제.
- 비밀번호에 의한 출입내역의 조회, 검색, 인쇄 및 삭제.
- "시스템설정" 모드의 상태 해제.
"시스템설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키패드(185)의 "기능" 버튼을 누른다. 전화 시스템은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80)에 "마스터 카드를 입력하십시오"라는 문구(message)를 출력한다. 마스터 카드가 카드 판독기로 입력되면, 전화 시스템의 프로세서(160)는 입력된 카드의 번호와 기등록된 값을 비교한다.
만일 전화 시스템이 카드 판독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마스터 코드를 입력하십시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마스터 코드가 키패드(185)를 통해 입력되면, 프로세서(160)는 입력된 코드와 기등록된 값을 비교한다. 이때 마스터 코드의 자리수는 카드 판독기의 종류 선택 점퍼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마스터 코드의 입력시 "확인" 키의 입력에 의해 등록을 종료한다.
입력된 마스터 카드 또는 마스터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80)는 "마스터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프로세서(160)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기등록된 값과 비교하여 확인한다.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등록된 값과 일치하면, 전화 시스템은 "시스템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80)의 화면상에 설정가능한 각 기능의 선택화면을 표시하며, 동시에 출입문 개폐장치를 동작시켜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한다.
이때 "시스템설정" 모드의 초기 선택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다. 관리자는 키패드(185)의 상하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을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
관리자가 1. 세대별 전화번호 화면에서 1. 등록을 선택한 경우, 전화 시스템은 최대 10자리의 세대별 전화번호를 등록하며, "확인" 키의 입력은 받지 않는다. 또한 세대별 전화번호는 관리자에 의하여 삭제되며 변경된다. 이때 세대별 전화번호가 삭제되면 그에 종속되는 데이터, 즉 세대별 비밀번호 등이 모두 삭제된다.
세대별 비밀번호는 최소 2자리에서 최대 8자리로 등록, 삭제 및 변경되며, 출입자 카드는 카드번호를 통해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하다. 이때 출입자 카드의 등록 및 삭제는 한장 또는 집단으로 가능하다. 한장등록(또는 삭제)인 경우, 카드번호는 6 또는 10자리로 입력되며, 집단등록(또는 삭제)인 경우 카드번호는 예를 들어 XXXX번부터 XXXX번까지로 입력된다.
관리실(경비실) 전화번호는 최대 10자리로 등록, 삭제 및 변경된다.
신호대기시간은 최대 99초로 설정 및 확인되는데, 예를 들어 신호대기시간은 40초로 설정된다.
1차 통화시간 및 2차 통화시간은 최대 99초로 설정 및 확인되는데, 예를 들어 1차 및 2차 통화시간은 30초로 설정된다.
문열림 시간은 최대 99초로 설정 및 확인되는데, 예를 들어 문열림 시간은 3초로 설정된다.
문열림 감지시간은 최대 99초로 설정 및 확인되는데, 예를 들어 문열림 감지시간은 10초로 설정된다.
출입문 항시개방 여부는 항시개방 또는 잠금으로 설정된다. 출입문이 항시개방으로 설정되면, 퇴실용 버튼 및 출입자 카드의 작동 이후에도 출입문이 잠기지 않는다.
경보모드는 강제열림 또는 오래열림으로 설정 및 확인된다. 이때 출입문의 강제열림은 출입자 카드, 전화통화, 비밀번호 입력 및 퇴실버튼 등에 의한 출입문의 개방을 제외한 나머지 경우이며, 오래열림은 출입문이 기 설정된 문열림 감지시간보다 오래 열려 있는 경우이다. 경보기는 강제열림 또는 오래열림 시에 경보를 울린다.
확장 릴레이는 확장 릴레이에 별도의 장치가 연결된 경우에 설정 및 확인된다.
화재경보는 작동으로 설정, 해제 및 확인된다. 화재경보가 작동으로 설정되면 화재 입력단자에 화재신호가 감지되면 출입문 개방 릴레이가 동작한다. 화재경보가 작동안함으로 설정되면 화재 입력단자에 화재신호가 감지되어도 출입문 개방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는다. 화재경보의 해제는 화재경보의 사유가 해소된 상태에서 출입문 개방 릴레이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마스터 비밀번호는 최소 2자리에서 최대 8자리로 등록 및 확인된다. 이때 확인을 위하여 2회 반복해서 입력받는다. 입력되는 번호는 모두 '*'로 표시된다.
또한 관리자는 시스템의 현재 날자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 내역을 조회 및 삭제할 수 있다. 전화통화 내역은 세대별 및 전체별로 세대번호를 사용하여 조회가 가능하며, 관리실의 번호는 예를 들어 '0000'이다. 검색하고자 하는 세대번호(또는 전체)와 검색기간을 입력받아, 검색된 통화회수를 표시 또는 삭제한다.
관리자는 기등록된 세대별 전화번호나 비밀번호, 출입자 카드 명단, 세대별 기간별 전화통화 내역, 세대별 전화통화 회수 및 기기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상기 기기정보에는 신호대기시간과 1차/2차 통화시간, 문열림 시간, 문열림 감지시간, 출입문 개방시간, 경보설정 상태 및 화재경보 작동 여부가 포함된다.
관리자는 기등록된 세대별 전화번호나 세대별/마스터 비밀번호, 등록된 출입자 카드, 전화통화 내역/통화건수 및 기기 정보 등을 초기화(삭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의 인가(ON)나 리셋(RESET)에 의하여 초기화되면,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은 강제개방 여부나 화재모드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문을 개방한다. 강제개방이나 화재모드가 아니면, 전화 시스템은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통해 "방문객은 세대번호와 통화버튼을 눌러주십시오."라는 문구를 1초 간격으로 표시하는 초기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음성안내 장치(195)는 동작하지 않는다.
키패드(185)로부터 첫 번째 키 입력(key stroke)이 들어오면, 전화 시스템은 상기 첫 번째 키입력을 분석한다.
만일 첫 번째 키 입력이 "관리실" 버튼이라면, 관리실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화면과 음성으로 "통화를 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관리실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다면, 등록된 관리실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시에 화면과 음성으로 "전화를 연결하고 있습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이때 전화 시스템은 발신중인 관리실 전화번호의 톤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리실의 전화번호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리실로 전화를 걸었을 때 통화중이었다면, 전화 시스템은 화면과 음성으로 "통화중입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0.5 내지 1초 후에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관리실로 전화를 걸었을 때 지정된 신호대기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전화를 받지 않았다면, 전화 시스템은 화면과 음성으로 "전화를 받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0.5 내지 1초 후에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관리실에서 전화를 받으면, 화면으로 "연결되었습니다. 통화하십시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마이크(130)와 스피커(135)를 통해 통화내용을 송수신하며, ISDN의 경우에는 화상통화를 수행한다. 통화를 시작한 이후 1차 통화시간이 초과하면 비프음을 발생시키고, 2차 통화시간이 초과하면 통화를 강제 종료하고 음성 안내문을 출력한다.
만일 첫 번째 키 입력이 "기능" 버튼이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통해 "마스터 카드를 입력하십시오" 또는 "마스터 코드를 입력하십시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마스터 카드 또는 마스터 코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마스터 카드 또는 마스터 코드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입력된 마스터 카드 또는 마스터 코드가 기 등록된 값과 다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통해 "등록된 마스터 카드가 아닙니다." 또는 "등록된 마스터 코드가 아닙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한 다음,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분석결과 입력된 마스터 카드 또는 마스터 코드가 기 등록된 값과 같은 경우, 0.5 내지 1초간 대기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80)를 통해 "마스터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기 등록된 값과 비교하여, 틀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80)로 "등록된 마스터 비밀번호가 아닙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한 다음 초기화 화면으로 복귀한다. 비밀번호가 정확하면 "시스템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시스템 설정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첫 번째 키 입력이 숫자 버튼이라면, 화면으로 눌린 버튼의 숫자를 표시하며 다음 버튼의 입력을 기다린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숫자 버튼이 눌린 이후 "통화/정지" 버튼이 눌리면, 세대번호와 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만일 전화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세대번호인 경우, 화면과 음성으로 "통화를 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만일 전화번호가 등록된 세대번호라면, 이미 등록된 세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동시에 화면과 음성으로 "전화를 연결하고 있습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이때 전화 시스템은 발신중인 세대 전화번호의 톤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세대 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세대 전화기로 전화를 걸었을 때 통화중이었다면, 전화 시스템은 화면과 음성으로 "통화중입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0.5 내지 1초 후에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세대 전화기로 전화를 걸었을 때 지정된 신호대기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전화를 받지 않았다면, 전화 시스템은 화면과 음성으로 "전화를 받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0.5 내지 1초 후에 초기화면으로 복귀한다.
세대 전화기에서 전화를 받으면, 화면으로 "연결되었습니다. 통화하십시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통화내용을 전달하며, ISDN의 경우에는 화상통화를 수행한다. 통화를 시작한 이후 1차 통화시간이 초과하면 비프음을 발생시키고, 2차 통화시간이 초과하면 통화를 강제 종료하고 음성 안내문을 출력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숫자 버튼이 눌린 이후 "#" 버튼이 눌리면, 전화 시스템은 "비밀번호 운영" 모드로 진입하여 이후로 입력되는 숫자 버튼들을 화면상에 "*"로 표시한다. 비밀번호는 "확인" 버튼이 눌릴 때까지 입력받으며, 입력된 숫자버튼들의 개수가 최대 자리수(예를 들어 8자리)를 초과하면 비프음을 발생시킨다.
"확인" 버튼이 눌리면, "#" 버튼이 눌리기 전까지 입력된 숫자들이 세대번호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 버튼이 눌린 이후 입력된 숫자들이 해당 세대의 비밀번호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해당 세대의 비밀번호가 정확하지 않으면, 화면과 음성으로 "비밀번호가 틀립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비밀번호 입력화면으로 복귀한다. 만일 3회이상 비밀번호의 입력이 틀린 경우 약 10초간 경보를 발생시킨다.
만일 해당 세대의 비밀번호가 정확하면, 출입문을 개방하고 화면과 음성으로 "출입문이 열렸습니다."라는 문구를 출력한다.
만일 첫 번째 키 입력이 "관리실" 버튼이나 "기능" 버튼 또는 숫자 버튼이 아니라면, 입력된 버튼을 무시하고 비프음을 발생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출입문에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운영될 수 있으므로 설비가 매우 간단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전화 시스템은 자체 네트워크가 아닌 기존의 전화 네트워크(PSTN 또는 ISDN)를 이용하므로 전화 시스템과 세대 전화기간의 별도의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의 전화 교환기(PSTN 또는 ISDN 교환기)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중앙관리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배선 및 부가장비 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설치비용 및 공사비용이 저렴하며, 설비를 이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화선로의 이전만으로 간단히 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ISDN(Integrated Switched Data Network)과 같은 일반 전화선로를 통해 공동주택내의 각 세대별로 구비된 세대별 일반 전화기와 연결되어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시스템과;
    상기 다수개의 세대 전화기 가운데 하나로부터 미리 지정된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톤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상기 중앙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수단;
    상기 중앙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직접 개방하거나, 상기 공동주택 내부의 세대별 일반 전화기들과 통화를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중앙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상기 세대별 일반 전화기들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수단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은,
    제어/데이터 버스와;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상기 세대 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DTMF 톤에 의하여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구동시키며, 상기 전화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에 연결되며 전화 네트워크 회로를 통해 상기 공동주택내의 상기 다수의 세대별 일반 전화기들과 연결되는 전화회로 제어장치;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의 지시에 의하여 출입문 개방장치 및 주변기기들을 제어하는 주변기기 제어장치;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며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장치와 연결되는 직렬 입출력 장치;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기억장치;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기억장치;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안내문 및 경보문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외부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그룹; 및
    상기 제어/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안내문 및 경보문을 출력하는 음성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단의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설정된 DTMF 신호음과 유사한 DTMF 신호음에 의해 상기 중앙 출입문이 잘못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DTMF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세대의 전화번호 및 관리실의 전화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에서 발신하는 전화번호 톤이 상기 통화수단의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방문자에게 음성 및 화면으로 사용방법 및 현재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및 화면 안내시스템을 추가로 구비한,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은 별도의 원격 조정기로부터 미리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상기 중앙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하는 원격 개방장치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출입자 카드 판독기 또는 비밀번호 입력수단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인,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는,
    상기 공동주택내 세대별 전화번호 데이터와;
    상기 각 세대별 비밀번호 데이터;
    상기 입력장치로 카드 판독기를 사용하는 경우, 출입자 카드의 카드번호 데이터;
    중앙 관리실의 전화번호 데이터;
    상기 통화수단을 통해 외부인이 공동주택내 거주자와 통화를 하는 경우를 위하여 설정된 통화시간 데이터;
    상기 통화수단을 통해 외부인이 공동주택내 거주자와 통화를 시도하였으나 통화가 되지 않는 경우를 위하여 설정된 신호대기시간 데이터;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의 문열림 시간 데이터;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의 문열림 감지시간 데이터;
    상기 중앙 출입문의 개방 또는 잠금 상태여부 데이터;
    경보작동의 설정 또는 해제여부 데이터;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내의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마스터 비밀번호 데이터;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의 현재 날짜 및 시간 데이터;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전체의 전화통화 내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
  9.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ISDN(Integrated Switched Data Network)과 같은 일반 전화선로를 통해 공동주택내의 각 세대별로 구비된 세대별 일반 전화기와 연결되어 상기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에 대한 개폐 제어를 하는 중앙 제어 시스템과,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개폐수단, 상기 중앙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앙 출입문을 직접 개방하거나 상기 공동주택 내부의 세대별 일반 전화기들과 통화를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중앙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상기 세대별 일반 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는 통화수단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시스템에 의한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가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 내에, 중앙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기본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주택의 방문자가 상기 입력수단내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일반 전화기와 통화를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관리자 혹은 상기 방문세대의 거주자가, 상기 일반 전화기와 상기 통화수단을 통해 상기 방문자와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일반 전화기로부터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톤을 입력받아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공동주택의 방문자가 상기 입력수단내의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혹은 카드 판독기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일반 전화기와 통화를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가 상기 입력장치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세대번호 또는 관리실 버튼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번호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세대번호 혹은 관리실 버튼 신호를 상기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 혹은 관리실의 일반 전화번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PSTN 또는 ISDN을 통해 상기 변환된 일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일반 전화기로부터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입력받아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혹은 상기 방문세대의 거주자가 상기 방문자와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문자에게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방문세대의 일반 전화기 혹은 관리실내 일반 전화기상에 미리 지정된 문열림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상기 방문세대의 일반 전화기가, 상기 눌려진 문열림 버튼에 해당하는 DTMF 톤을 생성하여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수신된 DTMF 톤을 미리 정해진 신호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면,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출입문 개방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가 상기 입력수단내의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혹은 카드 판독기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가 상기 입력장치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세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자가 상기 입력장치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세대번호에 대하여 기 등록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면,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출입문 개방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자가 상기 입력수단내의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혹은 카드 판독기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가 상기 카드 판독기내에 출입자 카드를 삽입하거나 근접시키는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출입자 카드로부터 입력된 카드번호가 등록된 카드번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등록된 카드번호이면,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이 상기 출입문 개방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가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내에 기본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내 키패드를 이용하여 마스터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마스터 코드가 기 등록된 코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기 등록된 마스터 코드이면,“시스템 설정”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관리자로부터 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본조건을 설정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가 상기 중앙 제어 시스템내에 기본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내 카드 판독기로 마스터 카드를 삽입하거나 근접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카드로부터 입력된 카드번호가 기 등록된 마스터 카드의 카드번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기 등록된 마스터 카드이면,“시스템 설정”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관리자로부터 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본조건을 설정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열림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 출입문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문열림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중앙 출입문이 미리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개방된 상태로 판단되면 경보를 울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 수단에 의해 상기 공동주택내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화재 감지수단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를 울림과 동시에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외출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공동주택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외출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공동주택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자동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내의 중앙 출입문 내부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퇴실용 버튼을 누르면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와;
    별도의 원격 조정기로부터 미리 지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상기 출입문 개폐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중앙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설정" 모드에서 상기 관리자로부터 기본조건을 설정받는 단계는,
    상기 세대별 전화번호를 등록, 삭제 및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세대별 비밀번호를 등록, 삭제 및 변경하는 단계;
    상기 출입자카드를 등록 및 삭제하는 단계;
    상기 관리실 전화번호를 등록, 삭제 및 변경하는 단계;
    상기 신호대기시간을 설정 및 확인하는 단계;
    상기 1차 통화시간 및 2차 통화시간을 설정 및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문열림 시간을 설정 및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문열림 감지시간을 설정 및 확인하는 단계;
    상기 중앙 출입문의 항시개방 또는 정상운영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중앙 출입문의 강제로 열린 경우나 장시간 열린 경우 경보의 발생여부를 설정 및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문의 인근에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를 위한 상기 출입문의 상태를 설정, 해제 및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화 시스템의 전화통화 내역을 세대별로 조회 및 삭제하는 단계;
    상기 세대별 전화번호와 비밀번호, 상기 등록된 출입자 카드들의 명단, 세대별 기간별 전화통화 내역, 세대별 전화통화 회수 및 상기 전화 시스템의 정보를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세대별 전화번호와 비밀번호, 상기 마스터 비밀번호, 상기 출입자 카드, 상기 전화통화 내역, 상기 전화 시스템의 정보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 방법.
KR1019990025617A 1999-06-30 1999-06-30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33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17A KR100332286B1 (ko) 1999-06-30 1999-06-30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17A KR100332286B1 (ko) 1999-06-30 1999-06-30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61A true KR20010004861A (ko) 2001-01-15
KR100332286B1 KR100332286B1 (ko) 2002-04-12

Family

ID=1959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617A KR100332286B1 (ko) 1999-06-30 1999-06-30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2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768A (ko) * 2002-03-27 2003-10-04 주식회사 이고 무인영접시스템
KR100885604B1 (ko) * 2007-07-04 2009-02-24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KR20190030536A (ko) * 2017-09-14 2019-03-22 정기인 Rs-485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기반 공동주택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143B1 (ko) * 1990-03-22 1993-01-09 김철진 공동건물의 무인 경비 도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768A (ko) * 2002-03-27 2003-10-04 주식회사 이고 무인영접시스템
KR100885604B1 (ko) * 2007-07-04 2009-02-24 주식회사 넥서스커뮤니티 공동주택 텔레포니 제어 시스템
KR20190030536A (ko) * 2017-09-14 2019-03-22 정기인 Rs-485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기반 공동주택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286B1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7855A (en) Building security system
US6748061B2 (en) Access control system having a programmable automatic notification feature
US6728351B2 (en) Access control system having tenant codes that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WO2007016813A1 (fr) Système d'interphone de garde d'entrée
KR100332286B1 (ko)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1280A (ko) 공중전화망과 ip전화망의 발신자표시를 이용하여 구동하는주차장의 출입차단장치
KR20040044250A (ko) 도어 자동개방 제어장치
KR100574373B1 (ko) 도어 잠금 제어 시스템
KR20080049968A (ko) Ip전화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비디오폰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4246881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3079280B2 (ja) 集合住宅用監視通話システム
KR200295331Y1 (ko)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KR200214739Y1 (ko) 통신기기를 이용한 원격 건물 관리 시스템
KR100685813B1 (ko) 서버 피씨와 카메라 및 인터폰을 이용한 출입통제 장치 및그 제어 방법
JP3446901B2 (ja) 集合住宅の通信システム
KR20090070331A (ko) 다세대주택을 위한 보안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0191246A (ja) 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KR20070041277A (ko) Ip전화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비디오폰 시스템과 그 방법
CA1293040C (en) Building security system
KR20040012240A (ko) 인터폰/외부 전화 자동 연결 시스템
KR100431900B1 (ko) 인터폰을 이용한 출입통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13037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22835A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H0354953A (ja) 玄関ドアの開閉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