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610B1 -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610B1
KR100542610B1 KR1020030061248A KR20030061248A KR100542610B1 KR 100542610 B1 KR100542610 B1 KR 100542610B1 KR 1020030061248 A KR1020030061248 A KR 1020030061248A KR 20030061248 A KR20030061248 A KR 20030061248A KR 100542610 B1 KR100542610 B1 KR 10054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mote
phone
door phone
home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835A (ko
Inventor
정해원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6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8Automated outdi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은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 후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외출중에 방문자가 도어폰을 누른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자동으로 도어폰과 경비실 기기간에 통화를 연결시키고, 경비실에서 경비원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세대의 세대주와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국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비의 발생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화까지 모두 수신하였던 가정 자동화 기기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Voice call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door phone and remote place phone in home automation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정 자동화 기기 110 : 모드 설정부
120 : 전화번호 등록부 130 : CPU
140 : 메모리 150 : 전화 제어부
160 : 도어폰 제어부 170 : 경비실 통신 제어부
180 : 경비실 통화 제어부 190, 210 : 통화 제어부
200 : 경비실 기기 220 : 통신 제어부
230 :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 300 : 도어폰
400 : 전화국 500 : 원격지 전화기
본 발명은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 후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외출중에 방문자가 도어폰을 누른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자동으로 도어폰과 경비실간에 통화를 연결시키고, 경비실에서 방문자를 확인하고 해당 세대의 세대주와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국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자동화(Home Automation)는 가정의 정보화, 생력화(省力化)를 지향한 주로 전자 기술의 활용에 의한 가정 내에서의 전자화 및 자동화 시스템이다. 가정 자동화는 예로서, 가사운영(에너지 관리나 보전 등의 주거 공간의 유지 관련), 가정관리(쇼핑, 예약, 건강관리 및 재택근무 등 가정생활의 운영 관련), 교양(학습, 오락, 감상, 창작활동 관련), 커뮤니케이션(전화, 각종 뉴 미디어 등에 의한 사람과의 관계, 연락, 통신 관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정 자동화를 이용한 기기들 은 생활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가정 자동화 시스템은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경보 상황이나 방문자 상황을 통보하는 기능의 시스템을 말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가정 자동화 시스템은 각 경보 상태에 대응되는 센서들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센서들은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 실내에서 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창문 등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방문자를 확인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은 공동 주택 및 단독 주택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은 많은 방문객이 발생되는 곳이기 때문에 경비실 및 관리실과 연결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설치가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가정 자동화 기기(100), 경비실 기기(200), 도어폰(300), 전화국(400) 및 원격지 전화기(50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는 모드 설정부(110), 전화번호 등록부(120), CPU(130), 메모리(140), 전화 제어부(150), 도어폰 제어부(160), 경비실 통신 제어 부(170), 경비실 통화 제어부(180) 및 통화 제어부(190)로 구성될 수 있다.
경비실 기기(200)는 통화 제어부(210) 및 통신 제어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모드 설정부(110)는 사용자가 외출시 외출모드를 선택하거나, 귀가한 후, 외출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키 입력 신호를 CPU(130)로 제공한다.
전화번호 등록부(120)는 사용자가 외출시 방문자와 도어폰을 통해 전화 통화 가능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여기서, 원격지 전화번호는 유,무선 전화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CPU(130)는 모드 설정부(110)와 전화 번호 등록부(120)로부터 입력된 외출 모드 정보와 원격 전화번호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경비실 통신 제어부(170)는 경비실 기기(300)의 통신 제어부(320)와 통신 선로로 연결되어 가정 자동화 기기(100)와 경비실 기기(300)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경비실 통신 제어부(170)는 경비실 기기(300)의 통신 제어부(220)로부터 통신 라인을 통해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신호를 CPU(130)로 제공한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메모리(100)는 모드 설정부(110)와, 전화 번호 등록부(120)를 통해 입력된 외출 모드 데이터와 원격지 전화번호 데이터를 CPU(13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게 된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경비실 통화 제어부(180)는 경비실 기기(300)의 통 화 제어부(310)와 통화 선로로 연결되며, CPU(130)의 제어에 따라 가정 자동화 기기(100)와 경비실 기기(300)간,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화 제어부(190)는 사용자와 경비실 직원간에 경비실 통화 제어부(180)를 통해 음성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경비실 통화 제어부(180)를 제어하고, 또한, 경비실 기기(200)의 통신 제어부(220)로부터 도어폰(300)의 방문자와 기 등록된 원격지 전화기(500)간에 CPU(130)의 제어에 따라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전화 제어부(150)를 제어하게 된다.
전화 제어부(150)는 CPU(130)에서 제공되는 원격지 전화번호 정보와 다이얼링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지 전화기(500)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호 신호를 전화국(500)으로 전송한다. 만약 원격지 전화기(500)와 호가 연결된 경우, 도어폰(300)과 원격지 전화기(500)간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어폰 제어부(160)는 도어폰(400)을 통해 방문자의 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출 신호, 방문자 음성/영상 신호를 CPU(130)로 제공하며, 통화 제어부(19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도어폰(400)으로 전송한다.
또한, 도어폰 제어부(160)는 도어폰(300)으로부터 전송되는 방문자 음성 신호를 통화 제어부(190) 및 전화 제어부(150)를 통해 원격지 전화기(500)로 전송하고, 원격지 전화기(5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전화 제어부(150) 및 통화 제어부(190)를 통해 수신한 후, 수신된 원격지 전화기(500)의 음성 신호를 도어폰(300)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어폰(300)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단지의 각 세대 현관 또는 공동 현관에 부착되어 각 세대를 호출하거나 각 세대의 가정 자동화기기(100), 경비실 기기(200) 및 원격지 전화기(300)간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에 대한 동작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방문자가 도어폰(300)을 이용하여 해당 세대(300)를 호출한 경우, 호출 신호는 도어폰 제어부(160)를 통해 CPU(130)로 제공된다.
CPU(130)는 도어폰 제어부(160)로부터 제공되는 호출 신호에 따라 메모리(140)를 검색한다. 메모리(140) 검색 결과, 현재 가정 자동화 기기(100)가 외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메모리(140)에 원격지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
만약, 메모리(140)에 원격지 전화번화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전화 번호 정보를 리드하여 전화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전화 제어부(150)는 CPU(130)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원격지 전화기(500)로 다이얼링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이얼링 결과, 전화국(400)을 통해 원격지 전화기(500)간에 호가 연결된 경우, 도어폰(300)과 통화 채널을 형성하여 방문자와 원격지 전화기(500)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원격지 전화기(500)와 호가 연결된 경우, 전화 제어부(150)는 통화 제어부(190), 도어폰 제어부(160)를 통해 도어폰(300)과 원격지 전화기(500)간에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도어폰(300)을 통해 입력되는 방문자의 음성 신호는 도어폰 제어부(160), 통화 제어부(190), 전화 제어부(150)를 통해 전화국(400)으로 전송되고, 전화국(400)은 가정 자동화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방문자 음성 신호를 원격지 전화기(500)로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원격지 전화기(500)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가정 자동화 기기(100)에서 사용자가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외출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현관에 방문자가 와서 도어폰을 누른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100)에서는 등록된 원격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방문자와 원격지 전화기간에 음성 통화를 연결시켜 주게 된다.
결국, 방문자가 누구인지에 관계없이 도어폰을 통해 호출이 있는 겨우 모든 방문자와 통화를 연결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세대주)는 수시로 전화를 받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잡상인과 같이 통화가 필요하지 않는 사람과도 무조건 통화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통신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 후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외출중에 방문자가 도어폰을 누른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자동으로 도어폰과 경비실간에 통화를 연결시키고, 경비실에서 방문자를 확인하고 해당 세대의 세대주와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국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비실 기기와 연동되는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출 모드 정보와 원격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a) 사용자로부터 외출 모드 설정 및 원격지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외출 정보와 원격지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b) 외출 모드 상태에서, 상기 도어폰으로부터 방문자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비실 기기 호출 신호와, 도어폰과 상기 경비실 기기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상기 경비실 기기로부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어폰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격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호출 신호와, 도어폰과 경비실 기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폰과 상기 경비실 기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제1 통화 채널 형성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지 전화기와 호를 연결하고, 호가 연결되면,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제2 통화 채널 형성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정 자동화 기기는 상기 가정 자동화 기기의 외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부; 외출시 방문자와 원격에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원격지 전화번호 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비실 기기는, 상기 제1 통화 채널 형성부를 통해 도어폰과 음성 통화중 세대주와 방문자 간의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를 상기 가정 자동화 기기로 제공하는 원격지 통화 확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지 전화번호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비실 기기와 연동되는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외출 모드 정보와 원격지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도어폰으로부터 방문자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현재 설정 모드가 외출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설정 모드가 외출 모드인 경우, 상기 경비실 기기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방문자와 경비원간에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폰과 상기 경비실 기기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와 경비원간에 음성통화중 경비실 기기로부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방문자와 원격지에 위치한 세대주간에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도어폰과 상기 저장된 원격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는, 경비실 기기(200)에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200)을 추가하여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 후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외출중에 방문자가 도어폰(300)을 누른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100)에서 자동으로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에 통화를 연결시키고, 경비실에서 경비원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세대의 세대주와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도어폰(300)과 원격지 전화기(500)간의 국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먼저, 세대주(사용자)가 외출을 위해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모드 설정부(110)를 통해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고, 방문자와 원격지에서 통화를 위해 전화 번호 등록부(120)를 이용하여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하게 된다.
따라서, CPU(130)는 모드 설정부(110)로부터 설정된 외출 모드 정보와 전화번호 등록부(120)를 통해 등록한 원격지 전화 전호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정 자동화 기기(100)가 외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방문자가 도어폰(300)을 이용하여 호출을 한 경우, 호출 신호는 도어폰 제어부(160)를 통해 CPU(130)로 제공된다.
CPU(130)는 도어폰 제어부(160)로부터 제공되는 방문자의 호출 신호에 따라 메모리(140)를 검색한다.
메모리(140) 검색 결과, 현재 가정 자동화 기기(100)가 외출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CPU(130)는 경비실 통신 제어부(170)를 통해 경비실 기기(200)의 통신 제어부(220)로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
만약, 경비실 기기(200)에서 경비원이 호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 CPU(130)는 가정 자동화기기(100)의 경비실 통화 제어부(180)로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경비실 통화 제어부(180)는 CPU(130)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경비실 기기(200)의 통화 제어부(210)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CPU(130)는 통화 제어부(190)를 제어하여 도어폰 제어부(160)를 통해 도어폰(300)과의 통화 채널 역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에 음성 통화 채널이 형성되어 경비원과 방문자의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 통화 채널이 형성된 상태, 즉, 방문자와 경비원간의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경비원이 경비실 기기(200)의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230)을 선택하게 된 경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는 경비실 기기(200)의 통신 제어부(220)를 통해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경비실 통신 제어부(170)로 제공된다. 이때, 경비원이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230)을 선택한 경우는, 방문자와 음성 통화 중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세대주와 원격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로서, 방문자와 세대주가 등록한 원격지 전화기(500)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확인 신호이다.
경비실 기기(200)의 통신 제어부(220)로부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를 수신한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경비실 통신 제어부(170)는 수신된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를 CPU(130)로 제공한다.
CPU(130)는 통신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에 따라 메모리(140)를 검색하여 원격지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원격지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원격지 전화 번호 정보를 전화 제어부(150)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전화 제어부(150)는 CPU(130)로부터 제공되는 전화 번호 정보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다이얼링 결과, 원격지 전화기(500)와 호가 연결되면, CPU(130)는 통화 제어부(190)에 통화 채널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통화 제어부(190)는 CPU(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화 제어부(150)를 통해 원격지 전화기(500)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폰(500)과 원격지 전화기(500)간의 통화 채널이 형성되어 상호간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도어폰(300)을 통해 입력되는 방문자 음성 신호는 도어폰 제어부(160), 통화 제어부(190) 및 전화 제어부(150)를 통해 원격지 전화기(500)로 전송하게 되고, 원격지 전화기(500)로부터 수신되는 세대주의 음성신호는 전화 제어부(150), 통화 제어부(190) 및 도어폰 제어부(160)를 통해 도어폰(300)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을 요약해 보면, 먼저, 가정 자동화 기기(100)에서 사용자가 외출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모드를 외출 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CPU(1130)는 외출 모드정보와 원격지 전화 번호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이 상태에서, 방문자가 도어폰(300)을 누르게되면, CPU(130)는 메모리(140)를 검색하여 현재 상태가 외출 모드 상태인 경우 경비실 통신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경비실 기기(200)를 호출하게 된다.
호출 후 경비실 기기(200)와 가정 자동화 기기(100)간에 통화가 연결되면,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에 가정 자동화 기기(200)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경비원이 방문자와 통화중 집 주인과 통화가 필요한 방문자로 판단되어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230)을 누르게 되면, 경비실 기기(200)의 통신 제어부(220)는 통신 선로를 통해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를 가정 자동화 기기(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CPU(130)는 경비실 기기(200)로부터 전송 되는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원격지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전화 제어부(150)로 제공하고, 전화 제어부(150)는 CPU(130)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지 전화번호 정보에 따라 해당 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원격지 전화기(500)와 통화 채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폰(300)과 원격지 전화기(500)간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과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세대주)가 외출을 위해 먼저 가정 자동화 기기(100)를 외출 모드로 설정한다(S101).
외출 모드설정 후, 원격지에서 방문자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지 전화번호를 가정 자동화 기기(100)에 등록하게 된다(S102).
이와 같이 설정된 외출 모드 정보와 원격지 전화번호 정보는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메모리(140)에 저장된다(S103).
외출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정 자동화 기기(100)는 도어폰(300)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한다(S104).
감지 결과, 도어폰(300)으로부터 호출신호가 감지되면, 가정 자동화 기기(100)는 메모리(140)를 검색하여(S105) 현재 가정 자동화 기기(100)가 외출 모 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06).
만약, 현재 모드가 외출 모드로 설정된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100)는 경비실 기기(200)를 호출하여(S107),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에 통화로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S108).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에 통화 연결 상태에서, 가정 자동화 기기(100)는 경비실 기기(200)로부터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한다(S109). 즉, 방문자와 경비원간의 통화중 경비원이 해당 방문자의 신원 확인을 한 후, 세대주(집주인)와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비실 기기(200)에 장착된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230)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경비원이 원격지 통화 확인 버튼을 입력한 경우, 경비실 기기(200)는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를 가정 자동화 기기(100)로 전송한다(S110).
따라서, 가정 자동화 기기(100)는 경비실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원격지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S111), 도어폰(300)과 원격지 전화기(500)간에 전화 통화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S112).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은,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 후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외출중에 방문자가 도어폰(300)을 누른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100)에서 자동으로 도어폰(300)과 경비실 기기(200)간에 통화를 연결시키고, 경비실에서 경비원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세대의 세대주와 통화가 필요 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도어폰(300)과 원격지 전화기(500)간의 국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및 그 방법은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 후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외출중에 방문자가 도어폰을 누른 경우,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자동으로 도어폰과 경비실 기기간에 통화를 연결시키고, 경비실에서 경비원이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세대의 세대주와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국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비의 발생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화까지 모두 수신하였던 가정 자동화 기기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Claims (6)

  1. 경비실 기기와 연동되는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정 자동화 기기는,
    외출 모드 정보와 원격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a) 사용자로부터 외출 모드 설정 및 원격지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외출 정보와 원격지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b) 외출 모드 상태에서, 상기 도어폰으로부터 방문자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비실 기기 호출 신호와, 도어폰과 상기 경비실 기기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상기 경비실 기기로부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도어폰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원격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호출 신호와, 도어폰과 경비실 기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폰과 상기 경비실 기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제1 통화 채널 형성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지 전화기와 호를 연결하고, 호가 연결되면,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제2 통화 채널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비실 기기는,
    상기 제1 통화 채널 형성부를 통해 도어폰과 음성 통화중 세대주와 방문자 간의 통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를 상기 가정 자동화 기기로 제공하는 원격지 통화 확인부를 포함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 자동화 기기는,
    외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부;
    외출시 방문자와 원격에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원격지 전화번호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전화번호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장치.
  5. 경비실 기기와 연동되는 가정 자동화 기기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방법에 있어서,
    외출 모드를 설정하고, 원격지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외출 모드 정보와 원격지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도어폰으로부터 방문자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현재 설정 모드가 외출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설정 모드가 외출 모드인 경우, 상기 경비실 기기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방문자와 경비원간에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폰과 상기 경비실 기기간에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문자와 경비원간에 음성통화중 경비실 기기로부터 원격지 통화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방문자와 원격지에 위치한 세대주간에 음성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도어폰과 상기 저장된 원격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원격지 전화기간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전화번호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 방법.
KR1020030061248A 2003-09-02 2003-09-02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4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248A KR100542610B1 (ko) 2003-09-02 2003-09-02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248A KR100542610B1 (ko) 2003-09-02 2003-09-02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35A KR20050022835A (ko) 2005-03-08
KR100542610B1 true KR100542610B1 (ko) 2006-01-11

Family

ID=3723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248A KR100542610B1 (ko) 2003-09-02 2003-09-02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641A (ko) 2014-11-06 2016-05-17 (주) 코콤 중개키트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3655B (zh) * 2021-09-24 2023-12-08 深圳市瑞强通信有限公司 一种具有手机通讯功能的报警主机控制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641A (ko) 2014-11-06 2016-05-17 (주) 코콤 중개키트를 이용한 스마트폰의 인터폰기능 구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835A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08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 status of an authorization device over a network for administration of theatrical performances
US8532615B2 (en)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US75293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equipment status data over a network
CN101770659A (zh) 远端信息传送及安全系统
KR20030082670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JP3716171B2 (ja) 携帯端末を利用したホームセキュリティ方法
KR100573224B1 (ko) 통신장치를 이용한 도어록 제어시스템
KR100452031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542610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200234152Y1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US77340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all between a calling party and a called party over a wired network
KR20180109781A (ko) 와이파이ap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도어락
KR100685651B1 (ko) 공동 경비 비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70023480A (ko)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보안 감지 단말기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통합 보안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15955A (ko) 사용자 콜백에 의한 2차인증수행 디지털 도어락
KR200214739Y1 (ko) 통신기기를 이용한 원격 건물 관리 시스템
US6731208B1 (en) House intercom security system
KR20090070331A (ko) 다세대주택을 위한 보안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50008592A (ko) 지문인식 도어시스템
KR100557089B1 (ko) Hvdp 제어방법
KR100685813B1 (ko) 서버 피씨와 카메라 및 인터폰을 이용한 출입통제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20030078139A (ko) 방문자 확인장치
KR20030026443A (ko) 웹도어폰 시스템
KR2008008272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