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089B1 - Hvdp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Hvdp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089B1
KR100557089B1 KR1020030067596A KR20030067596A KR100557089B1 KR 100557089 B1 KR100557089 B1 KR 100557089B1 KR 1020030067596 A KR1020030067596 A KR 1020030067596A KR 20030067596 A KR20030067596 A KR 20030067596A KR 100557089 B1 KR100557089 B1 KR 10055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vdp
visitor
use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334A (ko
Inventor
장민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0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HVDP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방문자의 영상을 보면서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외출대기모드 상태에서 방문자 감지센서로부터 방문자 감지신호가 있는 경우 외부장치를 동작시키고, 이후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수신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메시지 전송 후 응답 대기시간이 초과하는지를 검사하여, 응답시간이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고, 응답 대기시간이 초과하기 전에 연결을 위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기 방문자간의 실시간 통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HVDP, HVDP 제어

Description

HVDP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HOME VIDEO PHONE}
도 1은 종래의 HVDP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해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에 사용자 전화번호 등록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HVDP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HVDP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제어 과정 중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었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HVDP를 제어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의 자동응답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흐 름도.
본 발명은 HVDP(Home Video Door Phone)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HVDP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폰과 같은 출입문 개폐장치는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면 방문자의 영상을 실내의 비디오폰으로 출력하고, 사용자와 방문자 사이의 음성 대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방문자의 신원이 확인된 후에 실내 비디오폰의 키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폰은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경우에만 유용하게 사용되며, 사용자가 외출중일 경우에는 방문자와 통화할 방법이 없으므로 누가 방문을 하였는지 알 수 없으며, 방문자는 차후에 다시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출중일 경우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HVDP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을 하여 원격지에서도 사용자가 방문자를 확인하고, HVDP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01-0059985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DMA모듈을 구비하고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출입구의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 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HVDP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출입문을 제어하기 위한 HVDP는 무선 인터넷 서버를 구비하여 고정 IP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우선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출입문 제어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방문자와 통화를 하고자 할 때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출입문 제어장치에 전화를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국내공개특허 제2001-0059985호에서는 HVDP가 촬영한 방문자의 동영상은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을 하고, 사용자에게 SMS메시지를 송신하여 사용자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HVDP의 IP로 접속을 하여 방문자의 영상을 확인한 후, HVDP으로 직접 통화연결을 하여 방문자와 통신을 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한 국내공개특허 제2001-0059985호와 같이 방문자와의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HVDP에는 무선인터넷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고정IP가 할당되어야 하며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와 방문자가 직접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된 CDMA 모듈은 일반 휴대전화와 동일하게 고유 번호(ESN)를 보유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방문자와의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방문자를 확인하고 방문자와 통화를 하기까지의 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그러면 방문자는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사용자가 통화 요청을 하기 전에 이미 자리를 떠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문자와 통화를 할 때 방문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방문자가 왔을 때, 사용자가 다른 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방문자를 응대할 수 없을 경우에 대한 방법이 없으므로 이 경우 방문자를 확인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HVDP은 사용자가 외출중일 경우에는 방문자와 통화할 방법이 없으므로 누가 방문을 하였는지 알 수 없으며, 방문자는 차후에 다시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01-0059985호에서는 방문자와 사용자간에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만, HVDP가 무선인터넷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고정IP가 할당되어야 하며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방문자가 직접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된 CDMA 모듈은 일반 휴대전화와 동일하게 고유 번호(ESN)를 보유하여야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방문자와 통화를 할 때 방문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방문자가 왔을 때, 사용자가 다른 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방문자를 응대할 수 없을 경우에 대한 방법이 없으므로 이 경우 방문자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HVDP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방문자의 영상을 보면서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인터넷이 지원되는 모듈을 구비하지 않고도 HVDP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VDP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실시간 동영상 전송하여 방문자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방문자에게 응대를 할 수 없을 경우 자동응답 모드로 전환하여 방문자의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HVDP에 접속하여 HVDP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방문자 감지센서,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를 구비하는 외부장치와,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HVDP(Home Video Door Phone)에 있어서, 외출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방문자 감지센서로부터 방문자 감지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전송 후 응답 대기시간이 초과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시간이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대기시간이 초과하기 전에 연결을 위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상기 외부장치로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와 상기 방문자간의 실시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방문자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시간 동영상 전송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방문자에게 응대를 할 수 없을 경우 자동응답 모드로 진입하여 방문자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HVDP는 송수신기(transceiver)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휴대폰과 통신을 하기 위하여, 각 접속망에 따른 고유 번호를 가진다. PSTN망을 사용한다면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망을 사용한다면 휴대단말기와 유사한 고유 번호를 가진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200)와 이동통신 단말기(210)간의 통신을 위해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HVDP(200)과 중계망(206)으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또는 인터넷망을 거쳐 이동전화 사업자망(208)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과 연결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HVDP(200)는 유선망을 통해 PSTN망에 연결이 되어있거나 인터넷망에 연결되어있다. PSTN망에 연결이 되어있을 경우 HVDP(200)는 고유 전화번호를 가지게 되며, 인터넷망에 연결이 되어있을 경우에는 고정 IP나 IP전화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자체 전화번호를 가질 수 있다. HVDP(200)는 중계망(206)으로 유선망인 PSTN망이나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휴대폰과 연결을 할 수 있다.
도 3은 HVDP(200)가 PSTN망을 거치지 않고 이동전화 사업자망(208)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송수신 역할을 하는 HVDP(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수신기는 이동전화 사업자망(208)의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RF 모듈로 구성이 된다. 이런 구성을 이룰 경우에는 유선망인 PSTN망을 거치는 것보다 빠르게 사용자와 직접 연결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 HVDP(200)는 이동전화 사업자가 정하는 고유 전화번호를 가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HVDP(200)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200)의 내부 구성도이다.
HVDP(200)는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HVDP의 내부 비디오폰의 디스플레이부(412)와, 입력을 위한 키패드(414)와, 외부장치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08)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406)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기(406)는 HVDP(200)가 접속되어 있는 망의 종류에 따라 그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이동전화 사업자망(208)에 접속할 경우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RF 송수신기가 장착되어야 하며, PSTN망에 접속할 경우에는 모뎀이 장착되어야 하고, 인터넷망에 접속할 경우에는 랜카드와 같은 이더넷어댑터와 모뎀을 장착하여야 한다.
또한, 출입문의 개폐를 담당하는 출입문 개폐장치(202)와, 외부장치(204)인 카메라, 외부마이크, 외부스피커, 방문자 감지 센서, 외부조명, 초인종으로 구성된다. 제어부(400)는 방문자 감지 센서로부터 방문자가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정보를 보낸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간단한 키조작으로 HVDP(200)와 연 결할 수 있고, HVDP(200)가 촬영한 실시간 동영상을 보고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HVDP(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HVDP(200)로 전송되어 방문자와 대화를 할 수 있다.
또한, HVDP(200)의 제어부(400)는 방문자 감지부 센서로부터 방문자가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정보를 알렸는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시간정보와 함께 메모리(408)에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에 돌아와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HVDP(20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방문자가 왔다는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사용자가 즉시 방문자와 통신할 수 없는 상황이 있을 경우 HVDP(200)의 제어부(200)는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자동응답 모드로 전환하여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방문자에게 들려주어 방문 목적 및 방문자가 정보를 남기도록 하여 이후에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가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추가적인 하드웨어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면, 이제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HVDP(200)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에 사용자 전화번호 등록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5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번호 등록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400)는 시스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502단계로 진행한다. 502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이 감지되면 504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408)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HVDP 시스템의 비밀번호와 상기 50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일치하는 경우에는 5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02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한번 시스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504단계에서 506단계로 진행하면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입력되면 508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재확인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가 입력되면 510단계로 진행하여 506단계에서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와 508단계에서 재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5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를 메모리(408)에 저장하여 등록시킨다.
그러면, 이제 이동통신 단말기(210)에서 HVDP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HVDP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6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HVDP 등록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602단계로 진행한다. 602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HVDP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HVDP 번호가 입력되면 604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한번 사용자 HVDP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 레이 하여 사용자 HVDP 번호를 재확인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HVDP 번호가 입력되면 606단계로 진행하여 602단계에서 입력된 HVDP의 번호와 604단계에서 재 입력한 HVDP의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6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한 HVDP의 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등록시킨다.
그러면 이제 상기한 도 5와 도 6과 같이 HVDP에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등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HVDP 번호를 등록하고 난 후, HVDP(200)의 방문자 감지 센서가 방문자가 있음을 감지한 경우 HVDP(20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통신을 시도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HVDP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외출대기모드 입력이 있는 경우 700단계에서 외출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외출대기모드이면 702단계에서 제어부(400)는 방문자 감지 센서를 동작시키고, 704단계에서 방문자 감지센서로부터 방문자 감지신호가 있는 경우 706단계로 진행하여 외부 조명을 켜고 카메라와, 외부 마이크와 스피커를 동작시킨다. 또한, 708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400)는 외부의 카메라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408)에 저장하기 시작한다. 그와 동시에 71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712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연결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 대기한다. 이후 714단계로 진행하여 연결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 대기하는 대기시간이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714단계에서 대 기시간이 초과하는 경우에는 720단계로 진행하여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71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와 연결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사용자와 연결되는 것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연결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이다. 716단계에서 사용자와 연결되면 즉,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통신연결이 되면 71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20단계로 진행하여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한다.
즉, 만약 사용자가 연결하지 않기로 하거나, 사용자가 응답을 하지 않아 대기시간을 초과한다면 HVDP는 자동응답모드로 진입한다. 이와 같은 자동응답모드에 대한 HVDP의 동작에 대한 과정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의 자동응답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자동응답 모드로 진입을 하게 되면, 1002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외부 스피커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를 출력시켜 방문자로 하여금 방문 목적이나 연락처 등을 남기도록 한다. 예를 들면, '어서 오십시오, 외출중입니다' 또는 '현재 녹화중입니다. 용건을 말씀해 주시거나 연락처를 남기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등의 자동응답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자동응답 메시지를 출력한 이후 방문자에 의해 음성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를 메모리(408)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400)는 1004단계로 진행하여 방문자 감지 센서로부터 방문자 감지신호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방문자가 있음이 감지되면 계속하여 음성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를 메모리(408)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1006단계로 진행하여 자동응답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자동응답 메시지 는 '감사합니다. 안녕히 가십시오!'와 같은 메시지이다. 그리고 1008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400)는 외부 카메라, 마이크, 외부 조명 및 외부 스피커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메모리(408)에 영상과 음성을 저장하는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후 101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400)는 외출대기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716단계에서 718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400)는 외부의 카메라와 마이크로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408)에 저장함과 동시에 송수신기(406)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방문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방문자와 직접 음성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서 710단계와 같이 HVDP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방문자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에 대하여 응답함으로써 방문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VDP 제어 과정 중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을 위한 화면과, 연결되었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1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HVDP(200)로부터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10)는 (a)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a)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사용자에게 방문자가 왔음을 알리고 HVDP(200)와 연결할 지의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보고 사용자에 의해 HVDP(200) 와 연결하기 위해 '예'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b)로 진행한다. 그러나, '아니오'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HVDP(200)로 연결거부신호를 전송하여 HVDP(200)가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도록 한다. 한편, HVDP(200)와 연결하기를 선택하여 진행한 (b)에서는 HVDP(200)와 연결됨을 알리고 동영상을 저장할 것인지 사진을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영상을 저장하기 않을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를 보고 사용자는 가정의 HVDP(200)에서 전송되어지는 동영상 전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저장할지, 지정된 초마다 사진을 저장할지, 아니면 방문자의 동영상이나 사진을 저장하지 않고 통화만 할지를 선택하게 된다. 저장모드가 선택되면, (c)로 진행하여 방문자와 실시간으로 HVDP(200)를 통해 통화한다. 이때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종료하기 위한 항목을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즉,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에 HVDP(200)의 카메라로 촬영되는 방문자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출력되고 방문자와 음성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아래쪽에는 방문자와 통화를 하고 종료할 것인지, 방문자가 가족이나 지인일 경우 집안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 출입문을 개폐하는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선택사항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c)에서 사용자가 출입문 개폐를 선택한 경우 (d)로 진행하여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잠김',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열림' 그리고 메뉴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의 선택사항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에 사용자가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열림' 선택이 있으면, (e)로 진행하여 출입문의 잠김을 정말로 해제할 것인지를 한번 더 확인한다. 즉, 사용자가 출입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고자 의도하지 않았는데 사용자의 실수로 출입문 잠금장치 해제를 선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해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도 8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10)에서 HVDP(200)로부터 접속신호를 수신하여 연결되는 경우와는 달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HVDP(200)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HVDP를 제어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HVDP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한 도 6과 같이 HVDP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메뉴와 HVDP(200)와 연결하기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HVDP(200)와 연결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b)로 진행하여 가정의 HVDP(200)로 접속을 시도한다. (b)에서는 사용자에게 가정의 HVDP(200)로 접속을 시도함을 알리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등록된 사용자가 맞는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210)와 연동이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한 HVDP(200)가 광범위하게 보급이 된다면 HVDP(20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등록된 사용자가 맞는가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분실하거나 범죄자에 의해 빼앗겼을 경우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사용자의 가정의 출입문을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로 가정의 HVDP(200)에 접속을 시도할 경우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묻도록 한다. 비밀번호가 틀릴 경우 가정의 HVDP(200)에 접속이 취소되어 HVDP(200)를 제어할 수 없다.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하였을 경우에 비로소 접속이 완료되고, (c)와 같이 가정의 HVDP(200)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c)를 참조하면, 출입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출입문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메뉴와,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와, 방문자 정보를 보기 위한 메뉴와, HVDP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 된다.
여기서 방문자 정보를 보기 위한 메뉴는 사용자가 HVDP(200)의 호출에 응답할 수 없거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전원이 꺼져있는 동안 방문자가 메시지를 남기고 갔을 경우에 사용자가 HVDP(200)로 접속하여 HVDP(200)의 메모리(408)에 저장되어 있는 방문자의 동영상 정보를 볼 수 있는 메뉴이다. 한편,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d)로 진행하여 출입문 열림, 잠김을 제어할 수 있고, HVDP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가 선택되면 HVDP(200)의 전원을 오프(off) 또는 온(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재 시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방문자를 HVDP를 통해 확인하고, HVDP에 저장되는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원격지에서 볼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방문자의 영상을 보면서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자동응답모드를 제공하여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재 시에 방문자를 집안에서 HVDP를 통해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사 용자의 휴대폰을 통해 HVDP가 수집한 방문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원격지에서 볼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방문자의 영상을 보면서 방문자와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자동응답모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즉시 응대할 수 없을 경우에 방문자는 방문 목적이나 그 외의 메시지를 남길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메시지를 활용한다면 절도범죄 또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HVDP(Home Video Door Phone)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HVDP(Home Video Door Phone)를 제어하기 위한 HVDP와 연결 메뉴 선택이 있으면,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비밀번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비밀번호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HVDP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를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메뉴에 대응하여 상기 HVDP로 HVDP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HVDP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는 출입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출입문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메뉴와,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와, 방문자 정보를 보기 위한 메뉴와, HVDP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들 중 하나 이상의 메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67596A 2003-09-29 2003-09-29 Hvdp 제어방법 KR10055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96A KR100557089B1 (ko) 2003-09-29 2003-09-29 Hvdp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596A KR100557089B1 (ko) 2003-09-29 2003-09-29 Hvdp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34A KR20050031334A (ko) 2005-04-06
KR100557089B1 true KR100557089B1 (ko) 2006-03-03

Family

ID=3723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596A KR100557089B1 (ko) 2003-09-29 2003-09-29 Hvdp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448B1 (ko) * 2004-04-13 2011-06-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재중 방문자 응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78098B1 (ko) 2015-07-31 2022-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방문자 호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34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8925A (ja) 遠隔留守番装置
WO20060677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a cellular network
WO2006038760A1 (en) Videophone having multi-function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FR3043484A1 (fr) Procede de gestion d'acces a un local
KR101841938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7202017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6005376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도어폰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415018B1 (ko) 단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전자무인경비 및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JP2004194111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340249B2 (ja) ドアホン装置、ドアホンシステム、ドアホン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57089B1 (ko) Hvdp 제어방법
KR20040082152A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카메라 촬영 방법
KR20150004103U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도어제어시스템
KR20090106030A (ko) 보안 시스템
KR20140122993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도어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제어방법
JP2002194936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192740Y1 (ko) 원격 출입 보안 시스템
JPH11298573A (ja) 電話機
KR200255553Y1 (ko) 홈 관제 시스템
KR20010108894A (ko) 지능형 도어비디오폰 및 이를 이용한 도어원격개방시스템
TW201946429A (zh) 對講機系統
JP2004348520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80049968A (ko) Ip전화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비디오폰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2320040A (ja) ドア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