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331Y1 -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 Google Patents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331Y1
KR200295331Y1 KR2020020023226U KR20020023226U KR200295331Y1 KR 200295331 Y1 KR200295331 Y1 KR 200295331Y1 KR 2020020023226 U KR2020020023226 U KR 2020020023226U KR 20020023226 U KR20020023226 U KR 20020023226U KR 200295331 Y1 KR200295331 Y1 KR 200295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telephone
visito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웅
Original Assignee
유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웅 filed Critical 유철웅
Priority to KR2020020023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331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는, 구내통화용 전화기를 내장하였으며 방문자가 방문목적에 적합한 내부 관계자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내부 관계자에 대한 정보를 TFT-LCD에서 보여주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자는 방문목적에 적합한 내부 관계자를 선택하고 TFT-LCD상에 표시된 내부 관계자에 대한 정보만을 선택해도 자동으로 방문자가 원하는 내부 관계자와 통화연결을 시켜주는 터치패드를 이용하며, 통화는 수화기가 없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Fingerprint Identification Access Control System With Telephone For Visitor}
본 고안은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문자가 TFT-LCD에 표현된 정보를 바탕으로 원하는 내부전화를 터치 패드(Touch Pad)를 통해 연결을 하며 수화기가 없이 본 장치의 케이스에 있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는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많은 기업에서는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내부인의 출입을 관리하기 위해서 출입통제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기업의 비밀보호 등을 이유로 직원들의 출입 또한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출입통제 수단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출입자들은 출입카드를 지참하거나,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기억하거나 지문인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소정의 확인수단을 소지해야만 자유로운 출입이 가능하게 되며 어떤 경우는 출입할 때마다 허가가 있어야만 하기도 한다.
출입자 확인수단으로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지문인식을 사용하여 출입을 허락하도록 만든 출입통제 단말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출입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부와, 읽어들인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출입의 허용과 제한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와, 일련의 처리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출입문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기위한 도어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도어제어부에는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도어잠금장치와, 도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도어감지센서와, 출입이 허용되었던 사람이 외부로 나가려 할 때 수동으로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수동개폐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출입통제 단말기는 출입이 허용된 사람의 경우, 지문인식부에 출입자의 지문을 대면, 그 지문정보를 읽어들인다. 이렇게 읽어들인 값을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할 경우 도어제어부를 작동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출입문이 열리도록 한다.
그러나, 내부의 출입이 허용된 사람을 방문하기 위해 찾아온 사람이나 출입자 확인수단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의 담당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전화를 찾아서 이동하여야만 하고, 게다가 전화통화를 한 후에도 출입문을 열어주기 위해 누군가 출입문에 나와 출입문을 열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출입통제장치에는 구내통화전화장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 출입통제장치와 별도로 구내통화용 전화기를 출입문 외부에 설치하고 이와 별도로 구내전화번호부를 별도로 비치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문자에 대한 출입통제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방문자에게 방문목적에 적합한 내부 관계자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여 해당 내부 관계자와 통화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통제와 근태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통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통제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1의 구내전화부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통제장치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 2 : TFT-LCD
3 : 지문인식 센서 4 : 스피커
110 : 터치패드 120 : 터치 패드 신호처리부
130 : 구내 전화부 140 : 음성 신호처리부
150 : 중앙처리부 160 : 지문 인식부
170 : 외부기기 통신부 180 : 출입문 개폐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는, 구내통화용 전화기를 내장하였으며 방문자가 방문목적에 적합한 내부 관계자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내부 관계자에 대한 정보를 TFT-LCD에서 보여주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자는 방문목적에 적합한 내부 관계자를 선택하고 TFT-LCD상에 표시된 내부 관계자에 대한 정보만을 선택해도 자동으로 방문자가 원하는 내부 관계자와 통화연결을 시켜주는 터치패드를 이용하며, 통화는 수화기가 없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에는 방문자의 음성을 내부의 관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1)와, 방문자의 방문목적에 상응한 내부 관계자의 정보를 보여주고, 출입통제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TFT-LCD(2)와, 출입이 허락된 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센서(3)와, 방문자에 대한 음성 안내 또는 내부 관계자의 음성을 들려주기 위한 스피커(4)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는 벽에 부착이 가능하며 TFT-LCD(2)에는 터치패드가 설치되어 있어 TFT-LCD(2)상에 방문자들을 위한 정보 및 스위치를 대신할 모양이 표시되면 방문자는 손가락으로 해당 정보 및 스위치를 대신할 모양이 표시된 동일 지점의 터치 패드를 누르게된다.
터치 패드에서 눌려진 위치 신호를 중앙처리부에서 저장하고 분석하여 TFT-LCD(2) 상에 표시된 정보 및 스위치표시가 있는 위치와 일치하는 점을 찾아 일치된 데이타에 해당하는 기능을 이미 저장된 데이터에서 찾아서 실행한다.
마이크(1)와 스피커(4)는 구내 통화용이며 방문자가 구내 전화기와 연결되면 수화기가 없이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출입이 허가되어 지문이 등록된 이용자가 출입문을 열고자 할 때 TFT-LCD(2) 상에 표시된 지문인증에 해당하는 정보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터치패드가 신호를 중앙처리부에 보내어 지문인식 센서(3)를 동작시킨다. 중앙처리부는 지문인식과정을 통하여 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등록된 지문과 일치할 경우 출입문을 열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FT-LCD(2)위에 설치되어 방문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패드(110)와, 터치 패드(11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터치패드 신호 처리부(120)와, 내부의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구내 전화부(130)와, 구내 전화부(130)를 통해 방문자가 내부의 관계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140)와, 터치 패드(110)를 통해 방문자의 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해당 관계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TFT-LCD(2)에 표시하여 주는 중앙처리부(150)와, 지문 인식센서(3)를 통해 입력된 지문정보를 처리하는 지문 인식부(160)와, TCP/IP 통신이 가능한 LAN 망에 연결하기 위한 외부기기 통신부(170)와, 허락된 출입자 또는 내부 관계자의 명령 여부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개폐부(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FT-LCD(2)는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안내정보들이 표시된다. 이 안내 정보에는 내부 관계자의 전화번호 정보도 포함된다. 따라서, 방문자는 TFT-LCD(2)를 통해 자신이 방문할 내부 관계자의 전화번호를 안내받을 수 있고, 해당 내부 관계자와의 통화를 요청할 수 도 있다.
터치 패드(110)는 TFT-LCD(2)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한다.
터치 패드 신호처리부(120)는 터치 패드(100)로부터 발생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150)로 전송한다.
구내전화부(130)는 구내전화 단자함의 회선에 연결되며 중앙처리부(150)에서 회선의 개폐를 제어한다. 아울러, 구내전화부(130)는 터치패드(110)에서 눌려진 위치 신호와 TFT-LCD(2) 상에 표시된 정보 및 스위치표시가 있는 위치와 일치하는 점을 찾아 일치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내부 관계자의 전화번호를 중앙처리부(150)에서 검색하여, 회선을 연결하고 각 전화번호의 숫자에 해당하는 신호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전화를 건다.
음성처리부(140)는 내부 관계자와 전화 통화가 연결되면 이용자가 수화기가 없이 마이크(1)와 스피커(4)를 통해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중앙 처리부(150)는 터치 패드(110)를 통해 방문자의 요청신호가 있는 경우, 해당 관계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TFT-LCD(2)에 표시하여 주고, 지문 인식부(160)를 통해서 입력된 지문정보에 의거하여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지문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출입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방문자의 방문시간 또는 내부 직원의 출입시간 정보를 외부기기 통신부(170)를 통해 근태를 관리하는 근태관리서버(미도시됨)에 전송하여 직원에 대한 근태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처리부(150)에서 TFT-LCD(2)를 통해 방문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정보에는 내부 관계자의 부서별 전화번호, 인명별 전화번호, 안내요원의 전화번호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문인식부(160)는 방문자의 입출입여부를 판단하기 보다는 내부 직원의 입출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별도로 설치된 지문인식정보 데이터 베이스 서버(미도시됨)와 연계하여 직원에 대한 입출입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외부기기통신부(170)는 이더넷(Etherne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TCP/IP 통신이 가능한 LAN 망에 연결한다. 외부기기통신부(208)는 본 고안과 통신이 허용된 PC를 통해 통상의 출입통제장치처럼 근태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본 고안과 접속이 허용된 PC를 통해 출입문을 개폐한다.
출입문개폐부(180)는 NC와 NO 중에서 한 접점을 선택할 수 있는 릴레이가 있다.
도 3은 도 2의 구내 전화부의 상세한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내전화부(130)는 상기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전달된 전화번호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는 DTMF 신호 발생부(132)와, 상기 DTMF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DTMF 신호에 의해 내부 교환망과의 회선을 연결하는 회선 연결부(135)와, 전화회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133)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조절부(136)와, 상기 신호 조절부(136), 신호증폭부(133)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여부를 비교하여 해당 전화회선의 사용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중앙처리부(150)로 송신하는 신호 비교부(131)와, 상기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선 연결부(135)를 제어하여 전화회선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화회선 개폐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내 전화부(1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중앙처리부(150)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그 전화번호 정보에 의거하여 전화회선 개폐부(134)에서 회선을 연결하고 각 전화번호의 숫자에 해당하는 신호를 DTMF발생부(132)로 보내면 DTMF발생부(132)는 전화번호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전화를 건다.
한편, 회선이 연결된 경우, 전화음 상태를 중앙처리부(150)가 신호비교부 (131)를 통해 계속 감시하며, 중앙처리부(150)는 기준 시간을 초과한 동일신호가 반복될 경우 회선을 차단한다. 신호비교부(131)는 전압비교기를 사용하여 통화대기음과 통화중음의 펄스폭을 측정하여 일정한 주파수로 반복되는 경우만 검출해 낸다. 회선이 연결되면 음성신호는 신호증폭부(133)에서 스피커(4)로 들릴 수 있게 증폭되며, 방문자의 음성은 마이크(1)를 통해 신호조절부(136)에서 전화 회선상의 기준에 맞는 신호로 변환되어 회선으로 보내지게 된다.
도 4는 내부 관계자와 전화 통화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내부관계자 선택단계(S1)에서는 TFT-LCD에서 보여지는 내부 관계자에 대한 정보를 보고 TFT-LCD 상에 표시된 정보의 위치와 일치하는 점을 터치패드(110)에서 방문자가 누르면서 선택된다.
전화걸기단계(S2)에서는 방문자가 통화를 원하는 최종 내부 관계자를 선택하면 TFT-LCD 화면에 전화걸기가 표시 되며 이 표시 위치와 일치되는 터치 패드(110)를 누르면 중앙처리부(150)에서 먼저, 전화회선 개폐부(134)에서 회선을 연결하고, 최종 선택된 내부 관계자의 정보에 해당하는 내선 전화번호를 DTMF발생부(132)로 보내면 DTMF발생부(132)는 전화번호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전화를 건다.
무응답 확인 단계(S3)에서는 전화벨 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보내짐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 안에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회선을 차단한다. 전화벨 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보내 진다는 것은 통화중이거나 전화벨 신호가 감에도 불구하고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일 수 밖에 없다.
통화 단계(S4)에서는 방문자가 통화를 중단하고 통화 종료를 하지 않았을 경우 신호 없음 판단단계(S5)를 수행하여 신호없음이 규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를 중앙처리부(150)가 신호 비교부(131)을 통해 감시하여 규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자동으로 회선을 차단한다. 방문자는 통화가 종료되면 TFT-LCD 화면에 통화종료라고 표시된 위치를 누르면 터치패드(110)가 겹쳐진 위치가 눌려 통화종료 단계(S6)가 처리되며 중앙처리부(150)에서 해당 데이터를 받아 회선을 차단하게 된다(S7).
회선 차단 단계(S7)에서는 중앙처리부(150)에서 전화 회선을 차단하는 과정이며 전화회선 개폐부(134)에 회선 차단 신호를 보낸다.
본 고안은 방문자가 쉽게 방문 목적에 적합한 구내 전화기와 연결이 가능하게 하며 TFT-LCD와 터치 패드를 사용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그래픽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여 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제공하다. 기구적인 스위치가 없어짐으로 제품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Claims (2)

  1. 방문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패드가 설치되며, 방문자의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TFT-LCD와,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방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내부의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구내 전화부와,
    상기 구내 전화부를 통해 방문자가 내부의 관계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및 스피커와,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방문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관계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TFT-LCD에 표시하여 주고, 상기 TFT-LCD에 표시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관계자와 통화가능하도록 상기 구내 전화부를 제어하고, 허락된 출입자 또는 내부 관계자의 명령 여부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와,
    지문 인식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정보를 출입여부 판단을 위해 처리하여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지문 인식부와,
    TCP/IP 통신이 가능한 LAN 망에 연결되어, 근태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출입자의 출입시간을 전송하는 외부기기통신부를 포함하는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 전화부는,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전화번호 정보를 DTMF 신호로 변환하는 DTMF 신호 발생부와,
    상기 DTMF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DTMF 신호에 의해 내부 교환망과의 회선을 연결하는 회선 연결부와,
    전화회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조절부와,
    상기 신호 조절부, 신호증폭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여부를 비교하여 해당 전화회선의 사용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중앙처리부로 송신하는 신호비교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선 연결부를 제어하여 전화회선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화회선 개폐부를 포함하는 구내통화 기능이 내장된 지문인식 출입 통제장치.
KR2020020023226U 2002-08-02 2002-08-02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KR200295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226U KR200295331Y1 (ko) 2002-08-02 2002-08-02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226U KR200295331Y1 (ko) 2002-08-02 2002-08-02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331Y1 true KR200295331Y1 (ko) 2002-11-18

Family

ID=7312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226U KR200295331Y1 (ko) 2002-08-02 2002-08-02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3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1259B1 (en) Authentication apparatus
US6792287B1 (en) Electronic apparatus
CA2180991C (en) Intelligent cordless telephone interface device
US7697674B2 (en) Gate intercom with a wireless telephony interface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EA010602B1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с функцией надзор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абонентов с ограниченной свободой совершения вызовов
KR200295331Y1 (ko) 구내통화기능이 내장된 지문 인식 출입통제장치
JP2007288675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463982B1 (ko) 종합통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S6232750A (ja) 電話機
KR100332286B1 (ko) 공동주택의 중앙 출입문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9007799A (ja) リーダー装置、オートロックドア及び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010048228A (ko) 도어 자동 개방장치 및 개방방법
KR100405122B1 (ko) 출입통제장치 및 방법
KR200171097Y1 (ko) 지문인식이 가능한 비디오폰
KR100574373B1 (ko) 도어 잠금 제어 시스템
KR20080049968A (ko) Ip전화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비디오폰 시스템과 그 방법
KR19980017206U (ko) 구내전화를 통한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출입통제 단말기
KR100815237B1 (ko) 아이피 기반 교환기(ip pbx)를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KR0145775B1 (ko) 키폰 시스템의 신분인식 자동문 개폐장치
KR20050008592A (ko) 지문인식 도어시스템
JP2024044789A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475194B1 (ko) 통신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
KR20040095389A (ko) 네트워크를 통한 경비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 및원격제어방법
KR20040082508A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원격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