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8463A -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8463A
KR20080018463A KR1020060080619A KR20060080619A KR20080018463A KR 20080018463 A KR20080018463 A KR 20080018463A KR 1020060080619 A KR1020060080619 A KR 1020060080619A KR 20060080619 A KR20060080619 A KR 20060080619A KR 20080018463 A KR20080018463 A KR 2008001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signal
controller
r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102006008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8463A/ko
Publication of KR2008001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서브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가정내의 일반전화기를 사용하여 기존의 서브기기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여 현관카메라나 경비실 또는 공동현관측과 통화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현관 카메라(100), 경비실(101), 공동현관(102)과 연결되는 본체내의 통화연결부(103), 통신회로1(104), 컨트롤러(106)로 구성된 기존의 경비시스템(200)에 전화기연결부(3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화기연결부(300)는 전화기(110)로부터 발생되는 DTMF신호를 감지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약속된 값이 들어오면 이를 상기 컨트롤러(106)에 보내어 각 개소를 호출하거나 문열림 등의 신호를 보내는 DTMF감지부(107), 상기 컨트롤러(106)의 제어에 의해 전화기(110)가 인식할 수 있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전화기(110)로 보내는 링신호 발생기(108), 각 전화기(110)의 온훅을 감지하여 통화연결 및 링신호의 정지 등에 사용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106)에 보내는 루프감지부(109), 상기 각부의 신호를 스위칭시켜 전화기와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210)로 이루어진다.
경비,호출,통화,전화기,서브기기,현관,경비실,공동현관,링신호발생기

Description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A CALL SYSTEM USING A TELEPHONE}
도 1은 종래 서브기기를 사용한 통화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일반 전화기를 사용한 통화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현관 카메라 101:경비실
102:공동현관 103:통화연결부
104:통신회로1 106:컨트롤러
107:DTMF감지부 108:링신호 발생기
109:루프 감지부 110:전화기
본 발명은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서브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가정내의 일반전화기를 사용하여 서브기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현관카메라나 경비실 또는 공동현관측과 통화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최근 건설되는 아파트 및 가정에는 세대의 방문자 확인을 위한 세대 현관 카 메라와 경비실 및 공동현관과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경비 및 통화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는 집의 평수가 넓은 경우 또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서브 기기 등을 확장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가정내 통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현관 카메라(10), 경비실(11), 공동현관(12)이 통신라인과 통화라인을 통하여 본체(50)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50)는 다수의 통신라인을 통하여 확장가능한 서브기기(17)(18)에 연결되어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본체(50)는 상기 각 통화라인과 연결되어 통화가능한 통화연결부(13), 상기 통화연결부(13) 및 각부와 연결되는 통신회로1(14), 통신회로2(15), 상기 통화연결부(13)와 통신회로1,2(14)(15)에 연결되는 컨트롤러(16)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 통화시스템에 있어서는 본체(50)의 제어를 받아 각각의 서브기기(17)(18)가 세대 현관 카메라(10), 경비실(11), 공동현관(12) 등과 상호 호출 및 통화를 할 수 있었다.
즉, 현관카메라(10)에서의 호출신호를 호출감지회로에서 감지하여 컨트롤러(16)에 전하면 컨트롤러(16)는 가정에서 통화하고자 할 경우는 본체(50)의 통화 회로에 연결하지만 다른 서브 기기(17)(18)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 서브기기(17)(18)에 호출 신호(여기서 호출 신호를 미리 약속된 프로토콜을 사용함)를 보내고 서브기기(17)(18)에서 통화 연결을 요청하면 통신회로2(15)에서 통화 요청된 신호를 컨트롤러(16)가 감지하여 통화연결부(13)에서 현관카메라(10)와 서브기기(17)(18)를 연결하여 결국 현관카메라(10)와 서브기기(17)(18)간의 통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현관카메라(10)와 공동현관(12)의 경우는 문열림 기능 또한 사용가능하였고, 방문자의 출입도 서브기기(17)(18)를 통하여 통제가능한 것으로, 경비실(11) 및 공동현관(12)도 마찬가지로 호출신호를 받아 서브기기(17)(18)에 보내고 서브기기(17)(18)에서 통화요청신호가 오면 본체(50)의 통화 연결부(13)에서 각각 통화하고자 하는 기기를 서로 연결시켜 통화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통화시스템에 있어서는, 본체(50)에서 서브기기(17)(18)를 확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기기를 구입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서브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의 일반전화기를 연결하여 서브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내의 기기(비디오폰, 홈오토메이션, 홈네트워크)와 전화기를 연동하여 서브기기의 확장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확장된 서브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관 카메라, 경비실, 공동현관과 연결되는 본체내의 통화연결부, 통신회로1, 컨트롤러로 구성된 통화시스템에 있어서,
DTMF감지부에서 전화기로부터 발생되는 DTMF신호를 감지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약속된 값이 들어오면 이를 상기 컨트롤러에 보내어 각 개소를 호출하거나 문열림 등의 신호를 보내고, 링신호 발생기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전화기가 인식할 수 있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전화기로 보내며, 루프감지부는 각 전화기의 온훅을 감지하여 통화연결 및 링신호의 정지 등에 사용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에 보내고, 스위칭부에서 상기 각부를 스위칭하도록 된 구성부분을 더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도로, 크게 현관 카메라(100), 경비실(101), 공동현관(102)과 연결되는 본체내의 통화연결부(103), 통신회로1(104), 컨트롤러(106)로 구성된 기존의 경비시스템(200)에 전화기연결부(3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전화기연결부(300)는 전화기(110)로부터 발생되는 DTMF신호를 감지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약속된 값이 들어오면 이를 상기 컨트롤러(106)에 보내어 각 개소를 호출하거나 문열림 등의 신호를 보내는 DTMF감지부(107)와, 상기 컨트롤러(106)의 제어에 의해 전화기(110)가 인식할 수 있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전화기(110)로 보내는 링신호 발생기(108)와, 각 전화기(110)의 온훅을 감지하여 통화연결 및 링신호의 정지 등에 사용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106)에 보내는 루프감지부(109)와, 상기 각부의 신호를 스위칭시켜 전화기와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먼저, 링신호가 발생되어 전화기(110)에 호출 신호를 주고, 전화기(110)의 DTMF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DTMF감지부(107)가 구비되고, 각각의 개소(현관카메라(100), 경비실(101), 공동현관(102) 등)와 연결할 수 있는 통화 연결부(103)가 구비된다.
단, 상기 전화기(110)는 확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브기기 대신 사용되는 전화기(110)에서 요청이 오면 현관카메라(100) 와 경비실(101) 및 공동현관(102)과도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다.
즉, 전화기(110)로부터 DTMF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DTMF감지부(107)에서 감지하게 되며, 미리 프로그램된 약속된 값이 들어오면 이를 상기 컨트롤러(106)에 보내어 각 개소를 호출하거나 문열림 등의 신호를 보낸다.
또한, 컨트롤러(106)의 제어에 의해 링신호 발생기(108)로부터 전화기(110)가 인식할 수 있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전화기(110)로 보낸다.
그리고, 루프 감지부(109)에서는 각 전화기(110)의 온훅상태를 감지하여 통화연결 및 링신호의 정지 등에 사용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106)에 보낸다.
여기서, 현관카메라(100)는 현관에 설치되어 방문자가 호출하여 본체에 호출 음이 울리게 하며 방문자 영상이 본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영상을 전송하고, 가정내 본체에서 통화 버튼을 누르면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경비실(101)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로 다세대 및 공동주택 등의 경비실에 설치하여 입주민과 서로 연락할 수 있으며, 공동현관(102)은 공동주택의 입구에 설치하여 공동주택 입구에서 세대로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의 신원을 입주민이 직접 확인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3)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통화 연결부(103)는 현관카메라(100), 경비실(101), 공동현관(102)과 가정내 본체 및 전화기(110)와의 통화 연결을 하는 부분으로, 보통의 경우 릴레이 및 아날로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회로1(104)는 컨트롤러(106)의 제어에 의해 현관카메라(100), 경비실(101), 공동현관(102)측으로 호출을 하거나 위의 기기로부터 호출을 받고자 신호를 변환하는 것으로, 각각의 신호가 컨트롤러(106)에 의해 진행되며, 현관 카메라(100)의 경우는 전압레벨을 변화하여 호출 신호를 받는다.
또한, 통화 중 공동현관 및 현관 문열림 기능은 통화시 DTMF를 감지하여 이를 가지고 문열림 신호를 발생시키면 된다.
이러한 가정내의 본체 기기가 활용된다면,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본체를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내의 시스템에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 반전화를 댁내 기기(본체)에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별도의 서브기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현관 카메라(100), 경비실(101), 공동현관(102)과 연결되는 본체내의 통화연결부(103), 통신회로1(104), 컨트롤러(106)로 구성된 경비시스템(200)에 있어서,
    전화기(110)로부터 발생되는 DTMF신호를 감지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약속된 값이 들어오면 이를 상기 컨트롤러(106)에 보내어 각 개소를 호출하거나 문열림 등의 신호를 보내는 DTMF감지부(107)와,
    상기 컨트롤러(106)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화기(110)가 인식할 수 있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화기(110)로 보내는 링신호 발생기(108)와,
    상기 각 전화기(110)의 온훅을 감지하여 통화연결 및 링신호의 정지 등에 사용하는 신호를 상기 콘트롤러(106)에 보내는 루프감지부(109)와,
    상기 각부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스위칭부(210)로 구성된 전화기연결부(3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KR1020060080619A 2006-08-24 2006-08-24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KR20080018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619A KR20080018463A (ko) 2006-08-24 2006-08-24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619A KR20080018463A (ko) 2006-08-24 2006-08-24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463A true KR20080018463A (ko) 2008-02-28

Family

ID=3938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619A KR20080018463A (ko) 2006-08-24 2006-08-24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84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99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itor reception service in absence
JPS6165555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72508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4989395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11234432A (ja) 警備システム
KR20080018463A (ko)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시스템
JP2004265254A (ja) 侵入者通報装置
JPH1069591A (ja) 集合住宅警報監視統合システム
KR100747717B1 (ko) 집합주택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2530B1 (ko) 자동전환장치를 가지는 공동현관 출입통제 시스템
KR100194462B1 (ko) 무인경비시스템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국선 착신호 전환 방법
JP3755423B2 (ja) 給湯器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型給湯器システム
KR19990083803A (ko) 가정자동화시스템
KR100555404B1 (ko) 집합주택 관리 시스템의 공동현관 영상전송 장치
JP2004171383A (ja) 共同住宅警報監視用複合盤
RU2185037C1 (ru) Домофон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KR20030026443A (ko) 웹도어폰 시스템
KR101051444B1 (ko) 로비폰 절체장치
JP2005242980A (ja) 通信システム、複合通信端末
JP2001156924A (ja) 集合住宅通話システム
NL1021198C2 (nl) Systeem voor toegangsbewaking op afstand en inrichting voor een dergelijk systeem.
JP2913047B2 (ja) 集合住宅用戸建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接続端末ユニット
KR100782846B1 (ko)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JPH09242394A (ja) 集合インターホン装置
JP3001415B2 (ja) パソコン通信支援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