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846B1 -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846B1
KR100782846B1 KR1020060033540A KR20060033540A KR100782846B1 KR 100782846 B1 KR100782846 B1 KR 100782846B1 KR 1020060033540 A KR1020060033540 A KR 1020060033540A KR 20060033540 A KR20060033540 A KR 20060033540A KR 100782846 B1 KR100782846 B1 KR 10078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hone
input signal
video input
circui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985A (ko
Inventor
이현재
김재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84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04M11/08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using a television receiver, e.g. viewdata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폰으로부터 영상 입력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인터폰으로부터의 영상 입력 신호의 인가가 검출되면 상기 영상 입력 신호를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로서, 기존 기기(인터폰, TV)에 변경을 최소화하여 각 기기의 가격 상승을 최소화시키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최대화한다.
인터폰, TV, PIP, 도어락, 리모콘

Description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a video input from a interphone}
도 1은 종래의 인터폰 기능 내장 TV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장치의 구성 및 외부 인터폰과의 연동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V 장치의 구성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인터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이용되는 인터폰 시스템은 실내와 실외로 나누어 설치 되어 있으며, 이렇게 나뉘어 설치된 시스템들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인이 실외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 자신의 출입 허가를 원하면 실내에 있는 사람은 음성으로만 외부인을 판단하거나, 음성과 화상을 이용하여 외부인을 판단한다. 그러므로 내부 인터폰 조작자는 서로 통화 및 영상화면을 통하여 외부인을 판단하게 되고, 실내에 있는 내부 버튼을 눌러 외부인이 출입을 할 수 있도록 도어를 개방한다. 이러한 내부 버튼은 현관문 가까이 설치되어 이용되기도 하고, 전화기에 설치되어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방식은 전화의 내선을 이용하여 현관에서 벨을 누르면 집안의 전화가 호출되어 외부 인터폰과 전화기로 통화를 할 수 있고 전화기의 특별 코드를 사용하여 문을 자동으로 열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터폰 시스템은 현관에서 내부 인터폰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긴 선을 연결해야 하는 문제 때문에 대부분 현관에서 가까운 곳에 설치해야 한다. 이런 경우 거실에서 TV를 시청하고 있을 때 외부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인터폰까지 가야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폰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연결되는 선들을 숨기기 위해 집안의 구조물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터폰을 TV와 연동하는 아이디어가 나오게 되었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는 이미 많이 존재하고 있는데 제일 흔한 아이디어는 인터폰을 아예 TV에 내장하는 방법이다. TV 회로에 인터폰 기구물과 관련회로를 내장하여, 인터폰 기능을 내장한 TV를 만드는 것이다. 이런 TV의 메인보드에는 인터폰 모듈이 그대로 내장되기 때문에 카메라 영상 및 마이크 음성을 받아들이는 입력회로, 마이크 음성을 내보내는 출력회로가 그대로 TV에 부가되어 있다. 입출력회로 이외에 인터폰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 회로, 사용자 제어 신호를 마이컴과 통신하도록 해주는 리모콘 입력회로 등이 추가로 부가된다.
도 1은 종래의 인터폰 기능 내장 TV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발명은 기본적으로 인터폰 모듈이 그대로 TV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폰의 동작원리와 상당히 유사하다. 다만, 카메라 영상 입력이, TV 출력으로서 영상화면으로 나오게 되는 부분이 기존 인터폰과 다른 점이다.
그 동작을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자가 외부 인터폰(100)에서 초인종(102)을 누르면 초인종 입력부(114)로 부터 입력 신호를 받은 마이컴 회로(111)가 외부 카메라/마이크(101)에 연결된 신호를 활성화 시킨다. 활성화 된 영상 입력 신호와 음성 입력 신호는 카메라 영상 입력부(112), 마이크 음성 입력부(113)로 입력되어 TV 출력부(120)를 통하여 TV 화면과 스피커(도시되지 않음)에 방문자의 영상과 음성을 출력한다.
부가적인 기능이 들어 있는 유사 특허 아이디어로는 TV 회로(110)에 마이크(도시 되지 않음)를 추가하여, 외부 방문자와 음성으로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마이크 음성 출력부(115)를 외부 인터폰의 스피커(103)와 연동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인터폰 내장 TV에 대한 아이디어는 많이 있었지만 아직 시중에 제품화 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는, 두 모듈을 하나로 합성하는 것이 시장성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분명히 인터폰 화면을 TV에서 보는 것은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인터폰을 TV에 내장하여 발생하는 가격 상승분을 감당할 만큼 상품성은 없다고 보여진다. 더욱이 인터폰 회로에 대한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TV에 인터폰 회로를 덧붙이게 되면, 향후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하기에도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기존 인터폰 내장 TV 특허 아이디어들의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기존 기기(인터폰, TV)에 간단한 장치만을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변경을 최소화하여 각 기기의 가격 상승을 최소화시키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인터폰으로부터 영상 입력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터폰으로부터의 영상 입력 신호의 인가가 검출되면 상기 영상 입력 신호를 TV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의 구현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영상 입력 신호와 음성 입력 신호의 입력을 받는 인터폰 회로; 및 상기 인터폰 회로의 영상 입력 신호를 TV로 바이패스(Bypass) 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인터폰으로부터 영상 입력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인터럽트 검출회로; 상기 영상 입력 신호의 인가가 검출되면 TV 화면에 상기 인터폰으로부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가 필요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 동작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인터폰(210)으로부터 영상 입력 신호(211)와 음성 입력 신호(212)가 들어오면, 바이패스 회로(220)가 영상 입력 신호(211)만을 바이패스하여 TV(230)로 전송한다. TV(230)는 방문자의 영상을 화면 전체로 출력하거나 PIP 화면(231)을 만들어 출력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상기 TV화면을 통하여 방문자가 확인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인터폰으로 이동하지 않고 TV 리모콘(241)을 조작하여 도어락 개폐 신호(242)를 도어락(240)으로 송신함으로써 현관문을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TV 리모콘(241)은 상기 TV 리모콘(241)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폰을 제어하는 별도의 리모콘과 같이 그 밖의 무선 통신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영상 입력만을 바이패스 하여 사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즉, 방문자의 얼굴이 TV 화면을 통하여 확인되면 굳이 음성 대화를 통해 신원을 확인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대화를 위하여 TV에서 인터폰으로 음성출력을 내보내는 회로와 인터폰에서 TV로 음성입력을 받을 수 있는 회로가 TV에 필요한데 음성 출력을 내보내는 회로는 이미 TV에 내재하고 있지만, 음성 입력을 받는 회로는 상당한 비용추가가 예상된다. TV에서 음성 입력을 받는 방법은 두 가지 예상할 수 있는데 1)지향성 마이크를 TV 본체에 설치하여 사용자 음성입력을 받거나, 2)마이크를 리모콘에 설치하여, 리모콘 음성 출력을 TV가 무선으로 받아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이렇게 입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출력회로를 TV 에 추가하고, 인터폰에서는 마이크 입력부에 TV음성출력신호를 동시에 받아들일 수 있는 회로를 추가하여야 한다. 이 경우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인터폰에서 TV로 넣는 음성입력이나 TV에서 인터폰으로 넣는 음성출력회로는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만일 낯선 사람이 와서 실제 음성 대화를 통해 음성 대화를 할 필요가 있다면 인터폰에서 직접 대화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장치의 구성 및 외부 인터폰과의 연동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폰 장치(320)는 인터폰 회로(330)와 바이패스 회로(3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존 인터폰 회로(330)에 바이패스 회로(334)를 추가하여, 영상 입력 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하여 TV에 전송하도록 한다. 인터폰의 입장에서는 기존 회로에 영상 입력 신호를 그대로 바이패스해서 TV로 출력시키는 약간의 회로를 첨가한다. 실제로는 인터폰 회로에 신호 공유 분배기(즉, 바이패스 회로 - 334)를 제외하면 인터폰 회로에서는 더 이상 추가할 회로가 없다.
도 3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자가 외부 인터폰(310)의 초인종(312)을 누르면 초인종 입력 신호(333)와 외부 카메라/마이크(311)로부터의 영상 입력 신호(331) 및 음성 입력 신호(332)가 인터폰 회로(330)에 유입되어, 인터폰 내부 모니터와 내부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벨소리와 화면, 음성으로 출력된다. 인터폰의 영상 입력 신호는 인터폰 장치(320)에 설치된 바이패스 회로(334)를 통해 바이패스 되어 TV(335)로 유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V 장치의 구성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V 회로 입장에서는 외부 영상 입력부들(401 내지 404) 중에 하나의 단자(실제로는 composite 입력)에 인터럽트 검출회로(406)를 장착한다. 이 회로는 외부 영상 입력부들에 영상 입력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지를 검출하여 제어부(405)에 인터럽트를 보내준다. 제어부(405)는 TV 출력부(407)를 통하여 TV 화면에 인터폰으로부터 유입된 영상 입력 신호를 전체 화면 또는 PIP 화면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체 화면 또는 PIP 화면으로 변환하는 것은 기존 TV 회로 블럭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도 4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폰 회로의 바이패스를 통하여 바이패스 된 영상 입력 신호(420)는 외부 영상 입력부 1(401)로 유입된다. 이때 TV는 On 상태로 가정한다. TV를 보고 있는 중에 인터폰 화면에 방문자를 확인하러 가는 것이 귀찮고 불편한 것이지, TV를 보고 있지 않다면 굳이 방문자를 확인하러 인터폰까지 가는 것이 불편하다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TV는 켜져 있다라고 가정한다. 켜져 있는 TV에 외부 영상 입력부 1(401)을 통해 영상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인터럽트 검출회로(406)에서 영상 입력 신호(420)가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하여, 제어부(405)에 인터럽트를 보낸다.
영상 입력 신호가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1)영상 입력 신호의 DC Level이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갔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 , 또는 2) 영상 입력 신호에 수직회귀 주사선 시작 펄스가 있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만일 CPU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면 인터럽트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 시간 순차적으로 외부 영상 입력부 1(401)의 신호가 들어오고 있는지 폴링을 통해 신호 유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인터폰을 통해 외부로부터 영상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TV의 제어부(405)는 TV의 전체 화면 또는 PIP 화면을 통하여 방문자의 영상을 내보내도록 한다. 제어부(405)는 기존 영상을 지우고 인터폰 영상만 내보내게 하던지, 기존 영상에 PIP 화면을 일부 화면에만 인터폰 영상을 내보내게 하던지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TV 화면을 통하여 방문자의 신원이 확인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인터폰으로 이동하지 않고 TV 리모콘(410)을 조작하여 도어락 개폐 신호(412)를 도어락(411)에 송신함으로써 출입문 열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5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인이 초인종을 누르고 대화를 시도하면(501), 외부 카메라 및 외부 마이크를 통하여 영상 입력신호, 음성 입력신호, 초인종 입력신호가 내부 인터폰으로 유입된다(502). 내부 인터폰에 설치된 바이패스 회로는 영상 입력 신호만을 바이패스 하여 TV로 전송한다(503). TV는 영상 입력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검출한다(504). 영상 입력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를 거쳐, 영상 입력 신호(방문자의 영상)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505).
본 발명은 기존 기기(인터폰, TV)에 간단한 장치만을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변경을 최소화하여 각 기기의 가격 상승을 최소화시키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최대화 한다. 또한 인터폰과 TV간에 사용하는 신호를 이미 널리 사용하고 있는 아나로그 영상 입력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호환성에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Claims (5)

  1. 인터폰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영상 입력 신호와 음성 입력 신호의 입력을 받는 인터폰 회로; 및
    상기 인터폰 회로의 영상 입력 신호를 TV로 바이패스(Bypass) 시키는 바이패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폰 장치.
  2. TV 장치에 있어서,
    인터폰으로부터 영상 입력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인터럽트 검출회로; 및
    상기 영상 입력 신호의 인가가 검출되면 TV 화면에 상기 인터폰으로부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33540A 2006-04-13 2006-04-13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0782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40A KR100782846B1 (ko) 2006-04-13 2006-04-13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40A KR100782846B1 (ko) 2006-04-13 2006-04-13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985A KR20070101985A (ko) 2007-10-18
KR100782846B1 true KR100782846B1 (ko) 2007-12-06

Family

ID=3881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40A KR100782846B1 (ko) 2006-04-13 2006-04-13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8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03A (ko) * 1999-08-09 1999-12-06 박유희 가정자동화시스템
KR200267786Y1 (ko) 2001-11-21 2002-03-13 (주)디스플레이 인사이드 다기능 디지탈 티에프티 엘시디 텔레비젼
KR200270463Y1 (ko) 2001-12-29 2002-04-06 김성태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03A (ko) * 1999-08-09 1999-12-06 박유희 가정자동화시스템
KR200267786Y1 (ko) 2001-11-21 2002-03-13 (주)디스플레이 인사이드 다기능 디지탈 티에프티 엘시디 텔레비젼
KR200270463Y1 (ko) 2001-12-29 2002-04-06 김성태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985A (ko)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08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41938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자동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1068A (ko) 얼굴인식 기능을 갖는 스마트 도어벨 시스템.
JP2015074938A (ja) 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オートロック扉用の無線認証装置
JP529128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004103U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도어제어시스템
KR100918040B1 (ko) 다기능 무선제어 가능한 지능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77144B1 (ko) 기존의 인터폰을 활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782846B1 (ko) 인터폰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19901A (ko) 부재중 방문자와 통화가능한 도어폰시스템
JPH10283585A (ja) 住戸監視制御装置
KR101236307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40122993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도어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제어방법
KR20050014357A (ko) 홈 게이트웨이와 컴퓨터를 활용한 홈 오토메이션기기와연동이 가능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090106030A (ko) 보안 시스템
KR100990475B1 (ko) 양방향 화상통화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932530B1 (ko) 자동전환장치를 가지는 공동현관 출입통제 시스템
JPH0896280A (ja) 監視システム
JP200705866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80076886A (ko) 공동 주택의 출입통제장치
JP3726549B2 (ja) ドアホン子機アダプタ
KR101049049B1 (ko) 원격 모니터링 및 통신 장치
KR20030078139A (ko) 방문자 확인장치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KR100834127B1 (ko) 도어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