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787B1 -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787B1
KR100642787B1 KR1020050039716A KR20050039716A KR100642787B1 KR 100642787 B1 KR100642787 B1 KR 100642787B1 KR 1020050039716 A KR1020050039716 A KR 1020050039716A KR 20050039716 A KR20050039716 A KR 20050039716A KR 100642787 B1 KR100642787 B1 KR 10064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monitoring
user
hous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호
구자복
Original Assignee
다스웨이브 주식회사
(주)지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스웨이브 주식회사, (주)지맥 filed Critical 다스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7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감시 및 온도,습도 등의 조절을 위한 자동통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스내에 설치되어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감시값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각 센서로부터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감시값을 입력받아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를 인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기준 제어값과의 비교를 통해 이상 발생시 원격지의 사용자 휴대전화 단말기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알림과 동시에 자동개폐수단을 제어하여 온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제어값에 맞춰 온도에 조절하도록 하는 환경감시제어기와, 환경감시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조정을 위하여 하우스에 설치된 자동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에 맞춰 자동 제어함은 물론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이를 관리 및 이 시스템으로부터 하우스내의 감시 결과를 통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하우스의 감시통보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온도/습도자동조절, 온도조절, 원격조정, 온도감시, 습도감시, 원격감시

Description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Temperature / humidity watch notification control system of hothouse}
도 1은 본 발명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감시통보제어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문자메시지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음성안내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알람 이벤트 발생으로 인한 문자메시지 전송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통해 온도의 상한/하한을 설정하기 위한 송신하는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온도설정이 완료된 후 온도설정상태를 전송한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일정한 주기(시간)마다 통보(보고)받을 수 있도록 정주기 보고모드를 설정하는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8에서와 같이 정주기 보고모드를 설정후 정주기 보고모드 설정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하우스내의 감시상황을 필요에 따라 보고받기 위한 감시통보제어기로 전송한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0에서와 같이 전송한 문자메시지에 대하여 감시통보제어기가 현재 감시상황을 사용자에게 통보한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감시통보제어기에서 이루어지는 감시상황 통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감시통보제어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하우스를 감시 통보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감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감시 및 온도,습도 등의 조절을 위한 자동통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채소류의 촉성재비 또는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외부 환경(계절)에 관계없이 적정한 재배환경을 제공하는 비닐하우스, 유리 온실등이 이용되고 있다.
비닐 필름이 농업에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하우스 터널 등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었으며, 이와 같은 온실은 급속도로 발전하여 현재 가장 중요한 원예시설로 전국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 유리온실은 그 내부의 온도를 재배대상물에 따라 적정하게 유지시켜주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영규모가 크고, 연중재배를 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면서, 비닐하우스, 유리 온실 내부의 온도를 운영자가 직접 이를 관리하기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근래에는 온실내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에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무인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인화 시스템은 오작동될 경우 온실내의 재배 대상물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재산상의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신뢰성이 매우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자동 온도조절시스템에 적용되는 감시통보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감시 및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 제어하면서, 사용자에게 이에 대한 감시 결과를 제공하여, 시스템을 원격지에서 이를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도감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스내에 설치되어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감시값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각 센서로부터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 등의 환경감시값을 입력받아 하우스내의 온도, 습도를 인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 정의 기준 제어값과의 비교를 통해 이상 발생시 원격지의 사용자 휴대전화 단말기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알림과 동시에 자동개폐수단을 제어하여 온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제어값에 맞춰 온도에 조절하도록 하는 환경감시제어기와, 환경감시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하우스 내의 온도 및 습도조정을 위하여 하우스에 설치된 자동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스내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100)와, 하우스내의 습도 측정을 위한 습도센서(120)와, 온도센서(200) 및 습도센서(120)를 통해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하우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인식하여 하우스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및 습도상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감시제어 및 이의 판단결과를 원격지의 사용자의 휴대전화(500)를 통해 통보해주는 감시통보제어기(300)와, 하우스에 설치되고 감시통보제어기(300)의 제어를 받아 구동 개폐 제어되는 자동개폐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시통보제어기(300)는 온도센서(100) 및 습도센서(200)로부터 입력된 감지값을 입력받기 위한 센서입력부(301)와, 자동개폐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한 자동개폐장치(4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302)와,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3)와, 모드설정 및 동작제어를 위한 사용자 키이입력부(304)와, 센서입력부(301)를 통해 입력된 하우스내의 온도 및 센서값을 내부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값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자동개폐장치 (400)의 개폐제어 및 사용자에게 원격 통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주제어장치(305)와, 사용자에게 하우스내의 환경감시 및 제어상태를 이동통신망(CDMA망)을 통해 통보하기 위한 통신모듈(306)과, 감시결과 및 설정된 정보 등을 사용자가 프린터 또는 기타 장치와 연결하여 출력하여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부(307)와,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장치(305)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및 습도 설정값이 저장되는 기준환경감시값저장부, 센서입력부(301)를 통해 입력된 환경감시값이 저장되는 감시결과값저장부, 통보대상정보 및 통보 설정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모드설정정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부(305A)와, 센서입력부(301)를 통해 입력된 센서값과 메모리부(305A)에 설정된 기준환경값을 비교하여 자동개폐장치(400)의 개폐여부를 판별하고, 메모리부(305A)에 설정된 통보설정등록정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환경감시값의 통보 및 시스템의 이상발생에 대한 통보여부를 판단하고 그 진행 과정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감시제어부(305B)와, 사용자 키이입력부(304)를 이용한 설정모드 또는 사용자의 휴대전화(500)로부터 수신된 원격설정모드에 의한 설정값을 메모리부(305A)에 설정등록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설정값등록제어부(305C)와, 사용자의 휴대전화(500)로 통보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기 위한 SMS부(305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제어기(400)는 하우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기 위한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401)와, 모터(401)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402)와, 감시통보제어기 (3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모터(401)를 구동시키는 모터제어부(403)와, 감시통보제어기(300)에 의한 자동 개폐제어 또는 사용자의 조정에 의한 도어 개폐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수동 전환을 위한 스위치수단 및 수동 제어시 도어의 오픈/클로즈를 위한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스위치부(404)와, 사용자 스위치부(404)를 통해 자동/수동 전환시 스위칭하여 자동/수동 개폐제어를 설정하기 위한 릴레이(4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하우스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센서(100)와 습도센서(200)가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며, 소정의 공간에 이의 온도센서(100)와 습도센서(200)로부터 감시값을 입력받아 자동개폐장치(400)를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감시결과를 알리기 위한 감시통보제어기(300)가 설치된다.
상기 감시통보제어기(300)는 온도센서(100) 및 습도센서(200)와 시리얼 통신(RS485)을 통해 감시값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센서입력부(301)가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온도센서(100) 및 습도센서(200)에 RF 송신수단과 같은 무선통신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센서입력부(301)를 무선수신수단으로 구성하여 무선으로 센서의 값을 제공받도록 하여 온도센서(100) 및 습도센서(200)의 설치위치에 따른 거리제약을 해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감시통보제어기(300)는 사용자의 휴대전화(500)로 감시결과를 통보하기 위하여 통신모듈(306)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CDMA 모듈로 구성한 바, 국내 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이동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306)은 감시통보제어기(300)를 최초 사용시 해당 이동통신망에 가입 신청하여 해당하는 폰넘버를 지정받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개폐장치(400)는 외부의 공기유입 및 내부 공기의 방출을 위하여 설치되며, 감시통보제어기(300)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되는 것으로, 감시통보제어기(300)는 이의 제어를 위해 통신인터페이스부(302)를 구성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302) 또한 다양한 신호입출력을 위한 시리얼통신, 랜(LAN), 무선통신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감시통보제어기(300)의 외부면에는 사용자가 감시통보제어기(300)의 동작모드설정 및 수동동작제어를 위한 사용자 키이입력부(304)와 표시부(303)가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303)는 세븐 세그먼트와 같은 숫자 정도의 표시수단으로부터 다양한 글자 표현이 가능한 LCD 표시수단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감시통보제어기(300)의 전원공급부(308)는 AC 전원을 DC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로 구성되며, 배터리를 포함하여 평상시 충전중이고, 정전시 배터리의 전원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감시통보제어기(300)는 감시통보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갖는 주제어장치(305)가 구성되는 바,
상기 주제어장치(305)에 구성된 메모리부(305A)는 감시결과 및 설정된 기준환경값 및 사용자 설정등록값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305A)의 기준환경감시값저장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기준이 되는 온도 및 습도값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305A)의 감시결과값저장부에는 온도센서(100) 및 습도센서(200)에 의해 감시된 센서입력값이 저장된다.
또한 감시결과값저장부에는 자동개폐장치(400)의 개폐제어상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05A)의 모드설정정보부는 사용자에게 결과를 통보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통보모드, 결과를 통보하는 방법 및 통보대상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통보모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주기 통보모드와, 알람 이벤트 발생(이상발생)시 통보하는 알람통보모드로 구성한다.
정주기 통보모드는 알람이벤트 발생에 의한 감시결과값 통보중에 알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정해진 시간(주기)마다 감시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하는 것이며, 알람통보모드는 이벤트 발생시에만 감시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통보대상정보는 사용자의 휴대전화(500)의 번호정보 및 비밀번호정보이다.
상기 통보대상정보의 휴대전화(500)의 번호정보는 최소한 하나 이상으로 하여, 다수개 더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통보시 다수인에게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보하는 방법은 문자메시지 통보방법과, 음성안내통보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주제어장치(305)의 감시통보제어부(305B)는 감시통보 및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주제어장치(305)의 설정값등록제어부(305C)는 설정값을 등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값등록제어부(305C)는 각 기능별 코드정보와 수신된 문자메시지 정보를 해독하는 수단(decoder)을 내장하고 있어, 원격지에서 사용자 휴대전화(500)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로 입력하는 기능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동작 모드를 진행한다.
동작모드는 온도 및 습도 센서의 설정, 통모보드 및 통보방법설정, 현재상태보고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설정값등록제어부(305C)는 통신모듈(306)을 통해 전화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ARS음성안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 및 설정등록이 가능하도록 ARS 음성안내제공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305)의 SMS부(305D)는 사용자의 휴대전화(500)에 문자메시지로 감시결과를 통보하기 위하여 생성된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작성하여 통신모듈(306)로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부(307)는 메모리부(305A)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프린터 또는 기타 외부 처리장치(PC) 등으로 출력하여 인쇄물 또는 데이터로 지속적으로 관리저장하도록 한다.
자동개폐장치(400)의 모터(401)는 하우스내에 구성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 키기 위한 구동개폐수단으로 정,역회전 모터로 구성된다.
자동개폐장치(400)는 사용자 스위치부(404)는 감시통보제어기(300)의 제어에 의해서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도 도어를 오픈/클로즈할 수 있도록 자동/수동 스위치수단이 구성되며, 또한 수동시 그 오픈/클로즈 및 오픈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405)는 자동/수동 개폐제어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수단으로 사용자 스위치부(404)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그 스위칭하여 자동/수동개폐제어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휴대전화(500)의 문자메시지를 감시통보제어기(300)에 송신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100) 및 습도센서(200)의 상한/하한을 설정, 정주기상태 통보모드, 현재상태보고 명령, 그리고 사용자 폰번호 및 비밀번호 변경 등 사용자 정보(통보대상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감시통보제어기(3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 및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전화(500)에 문자메시지를 송신하여 그 결과를 알리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는 감시통보제어기(300)의 외부에 구성된 사용자 키이입력부(304)를 통해서도 설정 및 동작 명령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과정을 ARS 음성안내로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감시통보제어기(300)의 통신모듈(306)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감시통보제어기(300)에서 제공하는 ARS음성안내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감시통보제어기(300)는 통보방법이 ARS 음성안내로 되어있는 경우 ARS음성안내를 통해 이벤트 발생(알람발생)시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그러면 감시통보제어기(3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도센서(100) 및 습도센서(200)에서 감시된 센서값은 센서입력부(301)로 입력되고, 센서입력부(301)로 입력된 센서값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주제어장치(305)로 입력된다.
주제어장치(305)의 감시통보제어부(305B)에서는 이와 같이 입력된 센서값을 메모리부(305A)의 감시결과값저장부에 저장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감시통보제어부(305B)는 메모리부(305A)의 기준환경감시값저장부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자동개폐장치(400)의 동작제어여부 및 사용자에게 통보를 해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기준환경감시값저장부에 저장된 온도 및 습도의 상/하한 값과 비교하여 그 이상 벗어나는 경우 감시통보제어부(305B)에서는 알람 이벤트발생으로 판단하여 SMS부(305D)로 해당 감시결과를 출력한다.
SMS부(305D)에서는 이와 같이 전달받은 감시결과를 전송할 문자메시지로 작성하고, 메모리부(305A)의 모드설정정보부에 저장된 통보대상 전화번호로 통신모듈(306)을 통해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감시통보제어부(305B)에서는 전원공급부(308)를 감시하여 전원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알람발생 이벤트로 판단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알람발생 이벤트에 의해 문자메시지가 전달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보방법을 ARS 음성안내로 설정한 경우, 감시통보제어부(305B)에서는 이상발생 상황을 ARS음성안내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감시통보제어부(305B)에서는 자동개폐장치(400)를 제어하여 하우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및 습도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넘어서게 되면, 자동개폐장치(400)를 열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내부 온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감시통보제어기(300)의 동작제어외에도 자동개폐제어기(400)에 구성된 사용자 스위치부(404)를 통해 사용자는 수동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자신이 사용자 스위치부(404)를 통해 모터(401)의 정,역 회전제어를 수행하여 도어를 오픈/클로즈 제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환기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휴대전화(500)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감시통보제어기(300)의 통보모드 및 통보하는 방법 설정 또는 정보 변경 또는 하우스내의 상태를 보고받을 수 있게 되는 바, 이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휴대전화(500)를 이용하여 감시통보제어기(400)로 문자메시지를 송 신한다 .
감시통보제어기(400)의 설정등록제어부(305C)에서는 문자메시지가 도착하면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해독하여 사용자가 송신한 정보를 인식한다.
도 6은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통해 온도의 상한/하한을 설정하기 위한 송신하는 문자메시지의 일 예이다.
여기서 문자메시지에서 송신된 정보는 소정의 약속된 구분 식별자 #와 기능코드 '1' 비밀번호 '1234' 온도설정값 '5020'의 조합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설정등록제어부(305C)에서는 식별자의 구분에 따라 나누어진 코드를 순서대로 인식하여 해당하는 설정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기능코드 '1' 은 온도 설정모드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통해 설정등록제어부(305C)에서는 온도의 상한을 50으로 하한을 20으로 메모리부(305A)에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등록제어부(305C)에서 설정등록이 완료되면, 감시통보제어부(305B)에서 설정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보고메시지 정보를 생성하고, SMS부(305D)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고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7은 사용자에게 온도설정이 완료된 후 온도설정상태를 전송한 문자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과정과 동일하게 시스템의 상황을 일정한 주기(시간)마다 통보(보고)받을 수 있도록 정주기 통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에서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주기 통보모드 설정 기능코드 '3'과 비밀번호 '1234' 그리고 설정값인 '0030'을 전송하면, 설정등록제어부(305C)에서는 이를 해독하여 메모리부(305A)에 등록하여 정주기 통보모드를 설정하고, 도 9에서와 같은 설정등록후 설정된 정주기 통보모드 설정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일정한 주기마다 상황을 통보받을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현재 상황을 통보(보고)받을 수 있는 바,
이의 과정도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코드 '2'를 입력하고, 비밀번호 '1234'를 입력하면 설정등록제어부(305C)에서는 이를 해독하고, 현재 센서입력부(301)를 통해 입력된 온도/습도의 현재값을 문자메시지로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한다.
도 10은 사용자가 감시통보제어기(300)로 전송한 문자메시지의 일예이며, 도 11은 이에 대하여 현재상황을 감시통보제어기(300)가 사용자에게 통보한 문자메시지의 일 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설정된 온도/습도 이상 및 전원이상 등의 시스템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의 휴대전화(500)로 문자메시지 또는 ARS 음성을 통해 보고하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의 상황을 보고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감시통보제어기(300)의 통보방법 및 통보대상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의 정보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2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온도, 습도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과정과,
수집된 온도/습도를 설정된 기준온도/습도와 비교 및 전원을 감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보고)해야할 알람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결과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면, 설정된 통보방법에 따라서 문자 메시지 또는 ARS 음성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통보하는 과정과,
문자메시지가 수신되었는 가를 판단하고,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문자메시지의 코드를 해독하여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전화가 수신되었는 가를 판단하고, 전화가 수신되면 ARS 음성 안내를 제공하고, ARS음성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능에 대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과정과,
정주기 통보모드가 설정되었는 가를 판단하고, 정주기 통보모드가 설정되어있으면, 이벤트 발생과 상관없이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여 현재의 온도/습도 등의 환경감시결과를 설정된 통보방법에 따라 문자메시지 또는 ARS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의 수순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감시통보제어기(300')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하우스를 감시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하수의 외부 또는 이중 하나의 하우스내에 감시통보제어기(300')를 설치하고, 각 하우스내에 구성된 온도센서(100A,100B,100C) 및 습도센서(200A,200B,200C) 로부터 센서값들을 입력받고, 각 하우스의 자동개폐장치(400A,400B,400C)를 개폐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시통보제어기(300')는 다수개의 온도센서(100A,100B,100C), 습도센서(200A,200B,200C)들로부터 센서값들을 입력받기 위하여 각 입력 포트를 갖는 센서입력부(301')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감시통보제어기(300')에서는 센서입력부(301')의 각 포트별 설정을 통해 어느 하우스의 센싱값인지를 인식하여 각 하우스별 온도/습도 센서값을 저장한다.
따라서 메모리(305A)에는 하우스별 온도/습도 센서 데이터 저장테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인터페이스부(302') 또한 자동개폐장치(400A,400B,400C)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감시통보제어기(300')에서 제어가능 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사용자는 각 하우스별 온도/습도 및 통보모드 등 설정방법을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모리(305A)에는 하우스별 설정등록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하수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재배대상 작물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손쉽게 변경가능 하다.
또한 원격지에서도 손쉽게 해당 하우스의 정보를 통보받을 수 있어, 비상 상 황 발생시 빠른 대처가 가능해지므로, 재산상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우스내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감지수단 및 하우스내의 습도 측정을 위한 습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환경감시수단과, 온도감지수단 및 습도감지수단을 통해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하우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인식하여 하우스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및 습도상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감시제어 및 이의 판단결과를 원격지의 사용자의 휴대전화를 통해 통보해주는 감시통보제어기; 및
    하우스에 설치되고 감시통보제어기의 제어를 받아 구동 개폐 제어되는 자동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시통보제어기는 온도감지수단 및 습도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감지값을 입력받기 위한 감지수단입력부와, 자동개폐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자동개폐장치와의 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와,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모드설정 및 동작제어를 위한 사용자 키이입력수단과, 감지수단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하우스내의 온도 및 감지값을 내부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값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결과에 따라 자동개폐장치의 개폐제어 및 사용자에게 원격 통보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주제어장치와, 사용자에게 하우스내의 환경감시 및 제어상태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보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감시결과 및 설정된 정보 등을 사용자가 프린터 또는 기타 장치와 연결하여 출력하여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및 습도 설정값이 저장되는 기준환경감시값저장부, 감지수단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환경감시값이 저장되는 감시결과값저장부, 통보대상정보 및 통보 설정등록 정보가 저장되는 모드설정정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와, 감지수단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센서값과 메모리부에 설정된 기준환경값을 비교하여 자동개폐장치의 개폐여부를 판별하고, 메모리부에 설정된 통보설정등록정보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환경감시값의 통보 및 시스템의 이상발생에 대한 통보여부를 판단하고 그 진행 과정을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감시제어부와, 사용자 키이입력수단을 이용한 설정모드 또는 사용자의 휴대전화로부터 수신된 원격설정모드에 의한 설정값을 메모리부에 설정등록 제어하기 위하여, 각 기능별 코드정보와 수신된 문자메시지 정보를 해독하는 수단(decoder)을 내장하고, 그 진행을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설정값등록제어부와, 사용자의 휴대전화로 통보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기 위한 SMS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는 하우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기 위한 정역회전 모터와, 모터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감시통보제어기로부터 전달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제어부와, 감시통보제어기에 의한 자동 개폐제어 또는 사용자의 조정에 의한 도어 개폐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수동 전환을 위한 스위치수단 및 수동 제어시 도어의 오픈/클로즈를 위한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스위치부와, 사용자 스위치부를 통해 자동/수동 전환시 스위칭하여 자동/수동 개폐제어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통보대상정보는 통보대상(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이고, 통보설정 등록정보는 통보방법과 통보모드 설정정보이며, 통보모드 설정정보는 정주기 통보모드와 알람 이벤트 발생시에만 통보하는 알람통보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통보대상정보의 통보대상의 전화번호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다수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김시통보제어기의 설정등록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전화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ARS음성안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 및 설정등록이 가능하도록 ARS 음성안내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등록제어부의 원격설정모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메시지의 정보는 소정의 구분식별자(#)로 구분된 기능코드+비밀번호+설정값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039716A 2005-05-12 2005-05-12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KR10064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16A KR100642787B1 (ko) 2005-05-12 2005-05-12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716A KR100642787B1 (ko) 2005-05-12 2005-05-12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787B1 true KR100642787B1 (ko) 2006-11-03

Family

ID=3764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716A KR100642787B1 (ko) 2005-05-12 2005-05-12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7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99B1 (ko) 2006-09-27 2008-01-30 박진섭 시스템 제어판 및 통보장치를 부착시킨 수막 난방 장치
KR101426450B1 (ko) * 2012-07-13 2014-08-06 (주) 다이시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CN104503323A (zh) * 2014-12-17 2015-04-08 长沙瑞和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密集烤房远程控制装置及其控制数据传输方法
KR101763716B1 (ko) * 2016-11-02 2017-08-03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원격 온습도 조절이 가능한 시설하우스용 경량 다목적 제습기
KR101790184B1 (ko) * 2014-11-12 2017-11-20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스마트폰을 이용한 하우스용 제습기의 온도 습도 조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1770Y1 (ko) * 1995-02-06 1998-10-01 송기성 비닐하우스용 전화식 경보장치
KR20000007182A (ko) * 1998-07-01 2000-02-07 김원규 종합감시음성통보장치
KR20000015740U (ko) * 1999-01-09 2000-08-05 정재용 농작물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원격개폐장치
KR20010088025A (ko) * 2000-03-10 2001-09-26 김홍수 휴대전화를 이용한 이상상태 경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20030077243A (ko) * 2002-03-25 2003-10-01 김승균 축사용 유.무선 환기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1770Y1 (ko) * 1995-02-06 1998-10-01 송기성 비닐하우스용 전화식 경보장치
KR20000007182A (ko) * 1998-07-01 2000-02-07 김원규 종합감시음성통보장치
KR20000015740U (ko) * 1999-01-09 2000-08-05 정재용 농작물비닐하우스 보온덮개의 원격개폐장치
KR20010088025A (ko) * 2000-03-10 2001-09-26 김홍수 휴대전화를 이용한 이상상태 경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20030077243A (ko) * 2002-03-25 2003-10-01 김승균 축사용 유.무선 환기제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99B1 (ko) 2006-09-27 2008-01-30 박진섭 시스템 제어판 및 통보장치를 부착시킨 수막 난방 장치
KR101426450B1 (ko) * 2012-07-13 2014-08-06 (주) 다이시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KR101790184B1 (ko) * 2014-11-12 2017-11-20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스마트폰을 이용한 하우스용 제습기의 온도 습도 조절장치
CN104503323A (zh) * 2014-12-17 2015-04-08 长沙瑞和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密集烤房远程控制装置及其控制数据传输方法
KR101763716B1 (ko) * 2016-11-02 2017-08-03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원격 온습도 조절이 가능한 시설하우스용 경량 다목적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082B1 (ko)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642787B1 (ko) 하우스 감시통보 제어 시스템
KR100766542B1 (ko)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KR100700878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5256B1 (ko)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KR101733439B1 (ko) 사물 인터넷과 이동형로봇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제어 기반의 맞춤형 주말 농장 관리 시스템
NO309879B1 (no) Apparat og fremgangsmÕte for automatisk klimakontroll
KR20090027279A (ko) 온실 무선 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412184B1 (ko) 농작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99162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26705A (ko) 시설물 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736250B1 (ko)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980162B (zh) 发射机掉电自动开机方法
KR101146261B1 (ko) 축사의 실내온도 원격 관리장치
KR20190124946A (ko) 온실의 환기 제어 시스템
CN105278595A (zh) 一种农作物储藏环境监控系统
KR101392484B1 (ko) 시설물의 통합감시 시스템
KR101818165B1 (ko) 다동 재배시설의 환기시설 개폐장치용 상태신호검출 및 제어장치
KR20190083156A (ko)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에서의 온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205318184U (zh) 一种农作物储藏环境监控系统
CN210295341U (zh) 一种智能电网工器具房的监控系统
KR20220111368A (ko) 지능형 스마트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CN110762776B (zh) 一种无线传感控制器装置和控制方法
KR20150057688A (ko) 안전관리 시스템
CN209824500U (zh) 一种粮仓智能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