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542B1 -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542B1
KR100766542B1 KR1020070031766A KR20070031766A KR100766542B1 KR 100766542 B1 KR100766542 B1 KR 100766542B1 KR 1020070031766 A KR1020070031766 A KR 1020070031766A KR 20070031766 A KR20070031766 A KR 20070031766A KR 100766542 B1 KR100766542 B1 KR 100766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greenhouse
data
uni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to KR102007003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 온실 시설의 동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며 농산물이 효율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수질 및 토양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양방향 통신을 하여 원격지에 전송하여 필요에 따라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실행할 수 있는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은,
온실의 원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의 수질 항목들을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질측정부와,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위측정부와,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실내외온/습도측정부와,
토양수분 및 비료농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토양수분/비료농도측정부와,
각각의 온실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부와,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고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 상태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온실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실통제수단과;
상기 온실통제수단의 온실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온실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의 온,오프,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온실제어장치로 보내며 온실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각종 측정부에 의해 파악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변수들에 따른 현장여건을 효과적으로 파악한 후 원격지에서 비상방송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비상 사태 발생시 감시자에게 전화하는 자동콜 시스템과 유리 온실에 각각 부여되어 있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온실제어장치로 하여금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보내주는 전송해독장치에 의해 현장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카메라, 유리 온실,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Description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green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영상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데이터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음성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온실통제수단 110 : 수질측정부
120 : 수위측정부 130 : 실내외온/습도측정부
140 : 토양수분/비료농도측정부
150 : 감시카메라 160 : 음향방송부
170 : 접점개폐장치 180 : 온실제어장치
200 : 제어수단 210 : 데이터해독장치
211 : 데이터비교부 212 : 마이컴
220 : 통합제어장치 230 :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
231 : 비디오 카드부 232 : 오디오카드부
233 : 디지털데이터 출력부 234 : 아날로그데이터 출력부
235 : 비상신호처리부 236 : 보안전원컨트롤부
237 : 알지비모니터카드부 238 : 컬러순차화면출력부
239 : 데이터분리부 240 : 허브
241 : 엠펙인코딩/디코딩부 242 : 중앙제어부
243 : 코덱부 250 : 모니터링장치
300 : 원격제어수단 310 : 중앙관리서버
320 : 비상콜장치
본 발명은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리 온실 시설의 동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며 농산물이 효율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수질 및 토양을 측정하여 측 정값을 양방향 통신을 하여 원격지에 전송하여 필요에 따라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실행할 수 있는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온실 재배 농가에서는 반자동 온실 제어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는 작업자가 직접 온실에 접근하여 관찰하고 조작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나 제어장치의 결함으로 인한 작물이 고온장애나 저온장애 등 그 피해가 많은 게 현실이다.
상기 반자동 개폐 제어장치는 온실의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와, 비닐 하우스 내부를 촬영하여 출력하는 카메라와, 비닐 하우스 내부로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여 침입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사용자가 제어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또는 적외선센서의 현재위치가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제어스위치 중 소정 스위치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의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제어스위치 중 소정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동시켜 상기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체크된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표시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반자동 제어장치의 개폐장치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비닐 하우스나 유리온실의 온도 및 습도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반자동 제어장치의 경우 시공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운영이 중요한데, 작업자의 지속 관리상의 어려움과 사후관리 업체의 부재 등으로 인해, 매번 접근하 여 감시하고 관찰하기가 사실상 어려워 반자동 제어장치의 사용과 관리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여 컴퓨터와 시스템 전송 장치들 간에 쌍방향 통신을 통해서 원격감시제어를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사고 대책과 사고원인을 빠르게 알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콜기능과 각종 펌프 및 밸브 및 각종 장치의 개폐관리의 보안유지 및 원격감시 제어 구축을 보완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은,
온실의 원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의 수질 항목들을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질측정부와,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위측정부와,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실내외온/습도측정부와,
토양수분 및 비료농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토양수분/비료농도측정부와,
각각의 온실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부와,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고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 상태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온실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실통제수단과;
상기 온실통제수단의 온실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온실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 점의 온,오프,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온실제어장치로 보내며 온실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온실제어장치는
실시간으로 온실의 상태를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 및 감시자에게 호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실제어장치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 비상 콜등을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는
상기온실제어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RS-485통신 방식을 채택하며 코드부여가 되어있는 상기 온실제어장치에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데이터를 펄스폭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는,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킬때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온실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점개폐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강하시키기 위한 전압강하부 와;
상기 전압강하부를 통해 전압 강하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교류/직류변환부와;
전압제어부가 동작하기 위한 동작점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조건설정부와;
상기 제어조건설정부에서 정해진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인가되어 있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강하시키기 위한 전압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기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에는 바이패스시키고, 정해진 값 이하일 경우에는 해당 값을 획득하기 위한 오동작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은 IP를 갖춘 컴퓨터와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카메라와 주변기기간에 쌍방향 통신을 하도록 통합제어장치(220)와 온실제어장치(180)내에 모듈을 가지고 있으며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온실에 배치된 분수가습기, 온풍기, 수냉식 에어컨 등 식물이 자라는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의 온/오프 접점 제어, 긴급메세지 신호등을 원격지 혹은 네트워크상에서 이를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상사태 발생하면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의 비상신호처리부(255)를 통해 현장측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콜이 작동하여 감시자1로 만약 감시자1이 없으면 감시자2로 다시 감시자N에게로 긴급상황을 전화로 알려줄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220)는 RS-485통신을 채택하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노이즈 방지를 위해서 로우신호(LOW SIGNAL)을 스타트비트로 하여 코드부여가 되어있는 온실제어장치에게 자신의 고유 번호를 알려주고 그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펄스폭으로 보내게 되어 이를 온실제어장치가 확인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한 후 자신의 상태를 또다시 통합제어장치(220)로 보내면 운영소프트웨어나 모니터로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확한 제어와 동시에 원격감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운영소프트웨어와 통합제어장치(220)간에 서로 통신하고 원격에서 보내는 영상 신호 혹은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가 그 신호를 데이터해독장치(210)에서 해독하여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온실에 배치된 분수가습기, 온풍기, 수냉식 에어컨 등 식물이 자라는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의 온/오프 접점 제어 신호를 온실제어장치로 보낸다. 그럼 온실제어장치는 다시 자신의 위치 상태를 다시 피드백(FEEDBACK)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은 온실통제수단(100)과 제어수단(200)과 원격제어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온실통제수단(100)은,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의 수질 항목들을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 를 전송하는 수질측정부(110)와,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위측정부(120)와,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실내외온/습도측정부(130)와,
토양수분 및 비료농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토양수분/비료농도측정부(140)와,
각각의 온실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150)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부(160)와,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170)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고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 상태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펌프나 밸브나 각종 장치의 온/오프 접점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온실제어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질측정부는 BOD, 용존 산소량, 염분, PH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량 및 염분 등을 측정하여 사용 가능한 수질의 농업 용수를 확보하고 PH측정기로 산성 또는 염기성을 측정하여 식물의 번식에 유리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위측정부(120)는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실내외온/습도측정부(130)는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각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농업 용수를 저장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필요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필요한 물탱크의 펌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접점개폐장치로 접점 신호를 전송하여 펌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외온/습도측정부(130)를 통해 실내외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실내외 기온차가 적으면 접점개폐장치의 제어에 따라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하며 고온일 경우 차가운 지하수를 끌어올려 수냉식 에어컨을 동작하고 저온일 경우 온풍기를 동작하여 적은 비용으로 식물이 자라는데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양수분/비료농도측정부(140)를 통해 식물이 자라는데 적합한 토양의 수분이나 비료의 농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액체 비료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감시 카메라(150)는 바람직하게는 스피드 돔을 설치하여 360도 감시 및 녹화가 가능하며 프리셋 기능으로 원하는 곳을 클릭 한번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모션 감지 기능을 구성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있을 시 화면이 자동으로 이동하고 음향방송부로 경고 방송 및 싸이렌을 울릴 수 있으므로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실통제수단(100)은 상기 제어수단(200)과의 송수신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며 또한, 원격제어수단(100)과도 유선 혹은 무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하다.
상기 온실통제수단(100)은 한 개 이상의 유리 온실의 수에 따라 각각 존재하므로 한 개 이상의 온실통제수단(100)이 필요하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온실통제수단(100)의 온실제어장치(18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210)와, 상기 온실제어장치(180)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210)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 및 밸브의 온, 오프, 리셋 기능 혹은 유리 온실에 설치된 각종 장치의 온, 오프, 데이터 제어 신호를 온실제어장치(180)로 보내며 온실통제수단(100) 및 원격제어수단(300)내의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220)와, 유,무선 인터넷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와,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격제어수단(300)은,
상기 제어수단(2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펌프 및 밸브의 조작명령 혹은 각종 장치들의 온, 오프,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310)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실제어장치는 실시간으로 펌프 및 밸브 및 각종 장치의 상태를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 및 감시자에게 호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온실제어장치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 및 밸브 오픈/클로즈, 각종 장치들의 온.오프, 조작명령, 비상 콜 등을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접점개폐장치는 상용전원을 상시적으로 충전하였다가 사용하며 상용전원의 고장시 대체용으로 배터리 혹은 지역의 특성상 태양열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해독장치(210)는 상기 온실제어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211)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은,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 카드부(231)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232)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235)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236)와,
상기 비디오카드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와,
상기 비디오카드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와,
상기 원격제어수단(30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온실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비교부(239)와,
전력 제어 혹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 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240)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241)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242)와,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3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점개폐장치는 예컨대 온, 오프, 리셋 등의 동작 신호를 주어 펌프의 모터 및 각종 장치들의 전원 혹은 조작 명령을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236)는 펌프 혹은 각종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모터의 전원만 제어하게 된다. 즉, 관리자 이외의 접근을 원천 봉쇄하기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작 실행 이후 전원 오프도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오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안전원컨트롤부(236)에서 오프할 경우에는 상기의 펌프 혹은 각종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모터가 동작 실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는 영상과 음성을 엔코딩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제어실로 보내는 코덱장치와 연결하여 송수신한다. 상기 코덱장치란 음성 또는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장치를 말하며, 코덱 장치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은 웹상에서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하는 것은 보안상에 펌프 및 밸브의 컨트롤이 해킹된다면 관리자이외의 접근을 원천봉쇄할 수 없게 되어 원치않는 사고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평상시에는 상기 비상전원 컨트롤부(236)의 파워를 오프시켜놓은 상태이고, 파워를 오프한 상태에서는 접점개폐장치의 컨트롤이 불가능하게되며 관리자만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하여 파워를 온시킴으로써 접점개폐장치의 컨트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보안 메카니즘은 단순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된다.
이와같은 절차는 원격 제어실 이외에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지 관리자가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 온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활용을 일실시예로 설명하자면, 만약 상기 수질측정부 혹은 수위측정부 혹은 실내외온/습도측정부, 토양수분/비료농도측정부에서 감지를 하다가 어느 일정치 이상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부에서 신호를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허브(240)를 통해 수신하여 신호를 혼합하고 중앙제어부(242)를 통해 코덱부(243)로 보내면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해당 부의 화면을 디스플레이중인 모니터링장치(250)에서 해당 유리 온실의 화면이 깜박거리거나 모니터링장치(250)들의 화면을 해당 유리 온실의 화면으로 전체화면으로 와이드하게 보여주거나 비상신호벨(미도시)을 울림으로써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며 관리자가 화면제어신호를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로 보내면 팬,틸트,줌 신호를 감시카메라(110)에 주어 감시카메라를 제어한다. 상기 관리자가 비디오카드부(231)로 받은 영상신호를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를 통해 모니터링장치(250)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비디오카드부(23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D.V.R장치 혹은 원격지에 있는 중앙관리서버(3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250)의 디스플레이 순서 및 문제 발생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해당 관리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급작스러운 수질 측정치의 변화 및 각종 기기의 오동작과 같은 긴급한 상황 발생시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비상신호처리부(235)를 통해 처리하고 비상콜장치(320)에서 PSTN망을 통해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관리자 혹은 감시자 및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을 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영상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를 조작할 경우에 중앙제어부(242)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에서 팬,틸트,줌 정보를 해당 감시카메라에 주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감시카메라에서 포착된 영상신호를 비디오카드부(231)에서 엠펙4로 변환하여 중앙제어부(242)에 보내게 되면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후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를 거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상기 비디오카드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하나이상의 지역에서 오는 영상신호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241)를 통해 압축한 후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데이터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를 조작할 경우에 중앙제어부(242)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에서 펌프 혹은 밸브 혹은 각종 장치들의 개폐 정보를 해당 접점개폐장치에 주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접점개폐장치의 개폐정보 혹은 현재 상태정보등을 리모트 지역 혹은 로컬 지역에 위치한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보내면 허브(240)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해독장치(210)를 거쳐 데이터를 해독한 후 중앙제어부(242)로 보내어 처리하며 해당 펌프 혹은 밸브 혹은 각종 장치들의 개폐정보 혹은 현재 상태 정 보등을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를 거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하나이상의 지역에서 오는 데이터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음성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중앙제어부(242)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에서 음성 정보를 해당 현장스피커(130)에 주어 비상 신호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현장에 있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리모트 지역 혹은 로컬 지역에 위치한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보내면 중앙제어부(242)로 보내어 처리하며 해당 현장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관리자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해당 현장의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음성 데이터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241)를 통해 압축한 후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 신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접점개폐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강하시키기 위한 전압강하부와;
상기 전압강하부를 통해 전압 강하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교류/직류변환부와;
전압제어부가 동작하기 위한 동작점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조건설정부와;
상기 제어조건설정부에서 정해진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인가되어 있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강하시키기 위한 전압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기기들의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현장제어 패널의 제어 등과 같은 원거리의 전자 장비를 제어하는 장치는 중앙관리소와 각 현장의 장치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다수의 릴레이를 조립한 릴레이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릴레이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 장비는 중앙관리소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원격단말유닛의 메인 중앙처리장치(Main CPU)에서 분석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출하고, 디지털 출력은 릴레이의 더스트 코일(Dust Coil)에 DC 5~12V의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릴레이는 코일이 자화됨에 의해 B접점에서 A접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릴레이는 무접점 신호를 발생하여 현장 제어 판넬 ON/OFF 또는 UP/DOWN/STOP 등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현장의 상태정보는 현장의 제어 판넬 ON/OFF 또는 UP/DOWN/STOP 등의 표시 램프에서 AC 220V를 발취하여 AC 220V 릴레이의 더스트 코일에 공급된다. 이때 릴레이의 출력에서는 무접점 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는 메인 CPU의 디지털 입력부에 공급되어 중앙관리소로 전송되고 중앙관리소의 컴퓨터에서는 동작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릴레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철심 코어에 발생된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릴레이 부품을 현장제어 판넬에 하나 하나 부착하여 배선을 하게 되므로 많은 현장 기술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릴레이는 동작 시 접점 부분에서 생기는 스파크 잡음로 인하여 저전압 고효율로 동작되는 메인 CPU 또는 통신 칩에 스파크 잡음이 유입되어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전송되는 현장 상태 정보를 장기적으로 감시할 때 릴레이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지속적인 철심 코어의 자화는 철심 코어 자체에 자력을 갖게 하여 허전압에 의해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도 자력을 띠게 되어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분진이나, 결로, 온도, 습도 등의 현장 환경에 의하여 접점 부분이 부식 및 접점불량으로 인하여 고장 발생 빈도가 높아져 기계의 신뢰성을 떨어짐은 물론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현장의 랙(rack)에 릴레이 하나 하나를 부착하고 접속 작업을 하여야함으로 최초 설치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어 공사비 지출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접점개폐장치를 전원공급부와 전압강하부와 교류/직류변환부와 제어조건설정부와 전압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오동작방지부를 구성하여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에는 바이패스시키고, 정해진 값 이하일 경우에는 해당 값을 획득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기기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성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수분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노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 만 아니라, 전압제어부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면 동작 신호로 인식하여 기기 제어신호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구성이 용이하고 회로의 구성도 용이하여 시스템의 구성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드백을 통한 쌍방향 통신을 갖추고 있고 또한, 종래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해서 구성하여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사고 대책을 위해서 갖춘 비상사태 자동 콜 기능은 유리 온실의 원격조정에 있어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관리자이외의 현장의 기기 조작의 접근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인증절차를 거치므로 보안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을 이용하면
각종 측정부에 의해 파악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변수들에 따른 현장여건을 효과적으로 파악한 후 원격지에서 비상방송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비상 사태 발생시 감시자에게 전화하는 자동콜 시스템과 유리 온실에 각각 부여되어 있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온실제어장치로 하여금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보내주는 전송해독장치에 의해 현장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한다는 것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9)

  1. 온실의 원격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의 수질 항목들을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수질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질측정부와,
    농작물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있는 각각의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수위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위측정부와,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실내외온도및습도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실내외온습도측정부와,
    토양수분 및 비료농도를 측정하여 온실제어장치로 토양수분및비료농도측정데이터를 전송하는 토양수분비료농도측정부와,
    각각의 온실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부와,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각각의 온실에 설치되고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상태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온실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실통제수단과;
    상기 온실통제수단의 온실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온실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의 온,오프,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온실제어장치로 보내며 온실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제어장치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비상 콜을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는
    상기온실제어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RS-485통신 방식을 채택하며 코드부여가 되어있는 상기 온실제어장치에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데이터를 펄스폭 변조하여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디지털을 아날로그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온실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31766A 2007-03-30 2007-03-30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KR100766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766A KR100766542B1 (ko) 2007-03-30 2007-03-30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766A KR100766542B1 (ko) 2007-03-30 2007-03-30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542B1 true KR100766542B1 (ko) 2007-10-12

Family

ID=3942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766A KR100766542B1 (ko) 2007-03-30 2007-03-30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54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02B1 (ko) 2009-05-25 2010-04-19 최지윤 비닐하우스 커버의 원격개폐장치
KR101030283B1 (ko) * 2010-06-21 2011-04-19 경성산업 주식회사 원격 제어/모니터링이 가능한 계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1019B1 (ko) * 2010-12-03 2012-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랩뷰를 이용한 식물공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3389708A (zh) * 2013-07-14 2013-11-13 解增友 矿泉水水源、加工综合管理系统
CN103609363A (zh) * 2013-11-22 2014-03-05 济南安信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育苗管理监视系统
CN104090606A (zh) * 2014-06-10 2014-10-08 广西小草信息产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大棚监控方法及设备
CN104407552A (zh) * 2014-12-10 2015-03-11 绵阳青山森腾信息科技有限公司 温室大棚远程监视控制系统
CN104429715A (zh) * 2014-11-19 2015-03-25 沈阳大学 一种基于gsm的农业大棚监测系统
CN104521404A (zh) * 2014-12-24 2015-04-22 沈阳远大科技园有限公司 一种自动施肥给水控制系统及方法
CN104871872A (zh) * 2015-04-29 2015-09-02 上海理工大学 一种智慧微型温室
CN104914904A (zh) * 2015-06-23 2015-09-16 崔矿生 一种人工模拟环境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159369A (zh) * 2015-09-30 2015-12-16 东南大学 一种智能温室大棚的测控方法及测控装置
KR101723173B1 (ko) * 2015-12-15 2017-04-18 주식회사 로하스텍 Ict 기반의 농산물 관리 및 생산 시스템
CN110376980A (zh) * 2019-06-20 2019-10-25 广东工业大学 一种温室大棚远程动态智能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2475262B1 (ko) * 2021-09-13 2022-12-07 김재식 작물별 필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제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팩토리
KR20230056189A (ko) 2021-10-20 2023-04-27 가온에너지 주식회사 온실 환경제어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278Y1 (ko) 2005-03-02 2005-05-12 (주)한국과기산업 복합환경제어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278Y1 (ko) 2005-03-02 2005-05-12 (주)한국과기산업 복합환경제어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02B1 (ko) 2009-05-25 2010-04-19 최지윤 비닐하우스 커버의 원격개폐장치
KR101030283B1 (ko) * 2010-06-21 2011-04-19 경성산업 주식회사 원격 제어/모니터링이 가능한 계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1019B1 (ko) * 2010-12-03 2012-08-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랩뷰를 이용한 식물공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3389708A (zh) * 2013-07-14 2013-11-13 解增友 矿泉水水源、加工综合管理系统
CN103609363A (zh) * 2013-11-22 2014-03-05 济南安信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育苗管理监视系统
CN104090606A (zh) * 2014-06-10 2014-10-08 广西小草信息产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大棚监控方法及设备
CN104429715A (zh) * 2014-11-19 2015-03-25 沈阳大学 一种基于gsm的农业大棚监测系统
CN104407552A (zh) * 2014-12-10 2015-03-11 绵阳青山森腾信息科技有限公司 温室大棚远程监视控制系统
CN104521404A (zh) * 2014-12-24 2015-04-22 沈阳远大科技园有限公司 一种自动施肥给水控制系统及方法
CN104521404B (zh) * 2014-12-24 2016-08-31 沈阳远大科技园有限公司 一种自动施肥给水控制系统及方法
CN104871872A (zh) * 2015-04-29 2015-09-02 上海理工大学 一种智慧微型温室
CN104914904A (zh) * 2015-06-23 2015-09-16 崔矿生 一种人工模拟环境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159369A (zh) * 2015-09-30 2015-12-16 东南大学 一种智能温室大棚的测控方法及测控装置
KR101723173B1 (ko) * 2015-12-15 2017-04-18 주식회사 로하스텍 Ict 기반의 농산물 관리 및 생산 시스템
CN110376980A (zh) * 2019-06-20 2019-10-25 广东工业大学 一种温室大棚远程动态智能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10376980B (zh) * 2019-06-20 2022-04-08 广东工业大学 一种温室大棚远程动态智能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2475262B1 (ko) * 2021-09-13 2022-12-07 김재식 작물별 필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제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팩토리
KR20230056189A (ko) 2021-10-20 2023-04-27 가온에너지 주식회사 온실 환경제어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542B1 (ko)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KR100736877B1 (ko)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34492B1 (ko)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1085011B1 (ko) 지능형 감시장치 및 방송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대기전력차단 홈넷
US7733376B2 (en) Remot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draining floodgate of seawall
CN102063116B (zh) 楼宇信息综合管理系统及方法
US8689249B2 (en) In-hom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having a video camera connected to a set-top box
KR100553032B1 (ko) 소수력발전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53757B1 (ko)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관리시스템
CN201965477U (zh) 楼宇信息综合管理系统
KR100625256B1 (ko) 비닐 하우스 원격 관리장치
CN1960480A (zh) 一种电视监控系统及其实现方法
KR100472081B1 (ko)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CN108965080A (zh) 智能家居安防系统
KR100793390B1 (ko) 무인국사 원격 환경 감시 시스템
KR20200045219A (ko) 카메라 영상 및 데이터의 동시 통신을 위한 스마트 제어보드를 이용한 원격지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스마트 팜
KR100836825B1 (ko)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CN10910094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监控系统
KR100853756B1 (ko) 다수의 축사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20050100541A (ko) 보안 기능 및 비상콜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원격감시 및제어장치
KR20120075526A (ko) 시설재배장의 원격 관리시스템
CN114545850A (zh) 一种用于医院水系统的物联网智慧管理系统
CN209328163U (zh) 一种家居安防系统
KR100564321B1 (ko) 분전반 제어를 통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20000063233A (ko) 감시장치, 원격감시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