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825B1 -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825B1
KR100836825B1 KR1020070109732A KR20070109732A KR100836825B1 KR 100836825 B1 KR100836825 B1 KR 100836825B1 KR 1020070109732 A KR1020070109732 A KR 1020070109732A KR 20070109732 A KR20070109732 A KR 20070109732A KR 100836825 B1 KR100836825 B1 KR 10083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signal
unit
sound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to KR102007010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70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4Measuring f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원격지를 중앙감시제어실에서 원격지의 설비들의 현재 상태 및 방범 상태를 영상 및 음향 및 검출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중앙감시제어실에서 해당 원격지의 설비들에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지 제어를 중앙 관리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설치된 장치들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상태를 음향으로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설비의 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음향 및 영상을 전송하며, 중앙감지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출력하며, 원격지의 설비들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접점 상태 정보 및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응답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원격지의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수단과;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석한 영상 정보 및 데이터를 해당 코드 신호와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해석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 조작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중앙감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각각의 원격지 설비들을 실시간으로 중앙감시실에서 직접 시설관리 및 방범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영상으로 확인한 후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많은 원격지 설비들의 상태를 중앙감시제어실에서 감시 관리하여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건물의 이상이 즉시 감지되고, 이상발생시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원격지, 종합관리, 영상 감시, 원격 제어.

Description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원격지를 중앙감시제어실에서 원격지의 설비들의 현재 상태 및 방범 상태를 영상 및 음향 및 검출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중앙감시제어실에서 해당 원격지의 설비들에 원격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지 제어를 중앙 관리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지 설비 관리는 해당 시설 내부에 설치된 설비들의 이상 유무 및 방범 상태만을 감시하는 정도에 불과하여 해당 원격지마다 독립적인 관리 체계를 가질 수밖에 없어서 연관관계가 있는 원격지 설비들을 연결시켜 종합적으로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없어서 이에 따른 관리비용 상승 및 종합 관리 부재에 따른 획일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없었다.
즉, 각 원격지마다 전문 관리자를 두어야 하고, 원격지 설비들의 이상 유무도 일일히 사람이 감지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원격지 관리의 유지비와 인건비가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네트워크망 및 통신 기술을 활용한 산업설비들의 관리를 원격 관리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원격지 설비들을 실시간으로 중앙감시실에서 직접 시설관리 및 방범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영상으로 확인한 후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 구성된 중앙감시제어수단을 통해 원격지개별제어수단 제어 및 측정은 물론 항상 실시간으로 해당 원격지 설비들의 영상 및 방범을 감시하며 방송하는 기능을 구성함으로써, 실무자가 안전하게 운용하는 원격 영상/음향/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동기기 동작에 따른 내부의 소음을 감지하고 소정의 음계범위로 측정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조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감시실로 보내고 중앙감시실의 PC로 원격지에서 보내온 음계를 받아 주파수 변조 파형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비정상 운전을 체크하여 운전 여부 및 정상 운전시, 비정상 운전시의 상황에 따라 달리 설정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설치된 장치들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상태를 음향으로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설비의 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음향 및 영상을 전송하며, 중앙감지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출력하며, 원격지의 설비들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접점 상태 정보 및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응답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원격지의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수단과;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석한 영상 정보 및 데이터를 해당 코드 신호와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해석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 조작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중앙감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은 각각의 원격지 설비들을 실시간으로 중앙감시실에서 직접 시설관리 및 방범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영상으로 확인한 후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많은 원격지 설비들의 상태를 중앙감시제어실 에서 감시 관리하여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건물의 이상이 즉시 감지되고, 이상발생시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격지 설비들의 이상감지 및 방범등이 인력에 의하지 않고, 기기들에 의해 행해짐으로써, 기존의 관리비용보다 적은 비용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기 동작에 따른 내부의 소음을 감지하고 소정의 음계범위로 측정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조한 후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감시실로 보내고 중앙감시실의 PC로 원격지에서 보내온 음계를 받아 주파수 변조파형을 윈도우화면상에 나타내고 일정주파수 이상의 음계가 수신되면 비상 상태로 표현하여 화면에 비상상태를 주파수 파형으로 표시하고 자체 전동기동작을 차단하여 전동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 또는 기기들의 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비정상 운전을 체크하여 운전 여부 및 정상 운전시, 비정상 운전시의 상황에 따라 달리 설정된 음향을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 또는 기기들의 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설치된 장치들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 서,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상태를 음향으로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설비의 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음향 및 영상을 전송하며, 중앙감지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출력하며, 원격지의 설비들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접점 상태 정보 및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응답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원격지의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수단과;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석한 영상 정보 및 데이터를 해당 코드 신호와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해석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 조작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중앙감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은,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전동기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 구성하여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음향측정장치와,
상기 음향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음계 신호를 받아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상태를 감지하면 이상 발생 신호의 규칙성을 재차 판단하여 불규칙성일 경우에 영상촬영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음향신호분석장치와,
상기 음향신호분석장치에서 촬영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실행하여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와,
각각의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에 설치 구성되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장치와,
원격지에 설치된 전기 설비들의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각각의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접점개폐장치에 의해 획득된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며 상기 전기설비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거나 상기 음향측정장치를 통해 검출된 음향을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은,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전동기기 작동에 의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는 CT센서부와,
상기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비정상 운전을 체크하여 음향을 발생시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하거나, 비정상 운전시 영상촬영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향발생장치와,
상기 음향발생장치에서 촬영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실행하여 영상을 실시 간으로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와,
각각의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에 설치 구성되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장치와,
원격지에 설치된 전기 설비들의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각각의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접점개폐장치에 의해 획득된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며 상기 전기설비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거나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통해 검출된 음향을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은,
원격지개별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인 영상 정보 및 데이터를 해당 코드신호와 매칭시켜 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장치로 보내는 이미지리 모트컨트롤장치와,
상기 영상촬영장치 및 음향측정장치 및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및 음향 및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측정장치는,
소정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부와,
음향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고정부와,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설정된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의 소음 중 세팅된 주파수 대 이상의 주파수를 차단하는 주파수필터링부와,
상기 흡음부에서 흡음된 음향을 음향신호분석수단으로 전송하는 음향신호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신호분석장치는,
음향측정장치에서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음향입력부와,
음계치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음계값설정부와,
상기 음계값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는 음계초과 횟수를 설정하는 초과치설정부와,
음계초과치 횟수를 카운트하는 초과치카운터부와,
상기 초과치설정부의 음계초과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이상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1차이상신호판단부와,
상기 1차이상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규칙적인지 불규칙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2차이상신호판단부와,
상기 2차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신호가 불규칙적인 신호인 경우에 정해진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부와,
상기 신호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수단에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음향신호분석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동작상태판단부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운전상태출력부와;
전동기기가 동작할 경우에 상한치를 설정하기 위한 상한치설정부와;
운전 여부에 따른 음악 정보 및 비정상 운전에 따른 음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악저장부와;
상기 동작상태판단부에 따라 판단된 값에 의해 운전 여부에 따른 음향 및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이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발생부와;
상기 음향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음향증폭부와;
음향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한 음향출력부와;
상기 음향출력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운전 여부, 정상운전, 비정상 운전 등에 따라 각기 달라지는 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획득부와;
운정상태출력부에 의해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전동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상태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는,
중앙감시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받아 원격지 설비들의 전동기 동작, 스톱 등을 제어하는 디지털출력모듈과;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완료된 상황과 장치 상황을 무접점 신호로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디지털입력모듈과;
전압, 전류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취득하여 중앙제어부로 송출하는 아날로그입력모듈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받아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의하여 동작, 스톱 등의 전동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상기 전동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리미터스위치부와;
상기 원격지 설비들의 상태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원격지개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전동기 온/오프, 비상 콜등을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는,
상기 접점개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해석부와,
관리자가 조작한 원격 감시 제어 신호를 해석하는 원격감시제어해석부와,
상기 데이터해석부를 통해 해석된 데이터를 해당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의 코드 신호와 영상 정보를 매칭시키기 위한 데이터매칭부와,
상기 데이터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정보를 원격지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키기 위한 원격지정보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각 부 및 원격지정보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데이터해독장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기기 오동작이거나 이상 발생시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관리자의 신상 정보 및 녹음된 메세지 정보 및 기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접점개폐장치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유무 정보 전송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 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 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부터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설치된 장치들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상태를 음향으로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설비의 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음향 및 영상을 전송하며, 중앙감지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출력하며, 원격지의 설비들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접점 상태 정보 및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응답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원격지의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수단(100)과;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석한 영상 정보 및 데이터를 해당 코드 신호와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해석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 조작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중앙감시제어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은,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전동기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 구성하여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음향측정장치(110)와,
상기 음향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음계 신호를 받아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상태를 감지하면 이상 발생 신호의 규칙성을 재차 판단하여 불규칙성일 경우에 영상촬영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음향신호분석장치(120)와,
상기 음향신호분석장치에서 촬영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실행하여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130)와,
각각의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에 설치 구성되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장치(140)와,
원격지에 설치된 전기 설비들의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150)와,
각각의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접점개폐장치에 의해 획득된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며 상기 전기설비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거나 상기 음향측정장치를 통해 검출된 음향을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은,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전동기기 작동에 의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는 CT센서부(300)와,
상기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비정상 운전을 체크하여 음향을 발생시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하거나, 비정상 운전시 영상촬영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향발생장치(310)와,
상기 음향발생장치에서 촬영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실행하여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130)와,
각각의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에 설치 구성되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장치(140)와,
원격지에 설치된 전기 설비들의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150)와,
각각의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접점개폐장치에 의해 획득된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며 상기 전기설비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거나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통해 검출된 음향을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은,
원격지개별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240)와,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인 영상 정보 및 데이터를 해당 코드신호와 매칭시켜 모니터링장치에 전송하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제어신호를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장치로 보내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10)와,
상기 영상촬영장치 및 음향측정장치 및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및 음향 및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측정장치는,
소정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부와,
음향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고정부와,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설정된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의 소음 중 세팅된 주파수 대 이상의 주파수를 차단하는 주파수필터링부와,
상기 흡음부에서 흡음된 음향을 음향신호분석수단으로 전송하는 음향신호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흡음부는 흡음부재로 이뤄지고 공지기술에 한한다.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음향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10KHz를 대상으로 주파수를 고정하게 된다면 10KHz 부근 또는 그 이하 혹은 그 이상의 소음만이 측정의 대상이 되며, 측정 범위는 사용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역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파수필터링부는 주파수고정부에서 설정된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의 소음 중 세팅된 주파수 대 이상의 주파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주파수고정부를 통하여 설정하게 되는 데 예를 들면 대역을 10KHz에 맞추어 자동차의 경 적소리, 사람의 음성신호등의 20Hz이하 혹은 20KHz이상의 주파수는 주파수필터링부를 통하여 차단하게 된다.
이때, 측정된 주파수를 음향신호전송부를 통해 음향신호분석장치의 음향입력부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스피드 돔을 설치하여 360도 감시 및 녹화가 가능하며 프리셋 기능으로 원하는 곳을 클릭 한번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모션 감지 기능을 구성하여 움직이는 물체가 있을 시 화면이 자동으로 이동하고 음향방송부로 경고 방송 및 싸이렌을 울릴 수 있으므로 도난의 위험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격지별제어수단(100)은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200)과의 송수신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며 또한, 타 컴퓨터단말기와도 유선 혹은 무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하다.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100)은 한 개 이상의 원격지의 수에 따라 각각 존재하므로 한 개 이상의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이 필요하다.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200)은,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100)의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원격지 내에 존재하는 각종 전기 설비들의 온, 오프, 리셋 기능 혹은 전기 설비들의 온, 오프, 데이터 제어 신호를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 보내며 원격지개별제어수단 및 중앙감시제어수단 내의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 수행 및 유,무선 인터넷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각종 데이터들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은,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각종 전기설비의 조작명령 혹은 각종 전기설비들의 온, 오프, 조작명령을 입력받으며,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격지 설비들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서술한 측정 범위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현재 원격지 설비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도 포함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를 통해 카메라, 렌즈, 선별 과정을 제어하거나 조회 혹은 감시할 수 있다.
즉,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해당 영상촬영장치의 원격 조작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해당 조작 신호를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에서 수신하여 해당 영상촬영장치에 조작 신호를 전송하여 원하는 영상촬영장치의 팬,틸트,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네트워크망에 접속된 어떠한 단말기로도 접속이 승인되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에서 판단 결과 이상 상태일 경우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이를 수신하여 영상을 촬영하거나, 관리자의 제어에 의해 필요할 경우에 영상을 촬영할 수 있거나,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영상촬영장치가 24시간 내내 감시할 경우에 발생하는 전력 비용 및 데이터 저장 용량 등이 축적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 비용상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유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접점개폐장치는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즉 조작명령을 전송하게 되면 이에 따른 응답 신호를 전송하게 되어 올바르게 동작을 실행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접점개폐장치는 원격지개별제어장치에서 수신된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를 송신하고, 동력 발생을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따른 해당 영상촬영장치 및 각종 전기설비에 동력 발생을 시켜 동력 발생 결과 데이터를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전송하게 되며, 이후 처리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원격지에서 전송되는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를 확인하거나 동력을 발생시켜 동작하거나 멈추거나를 원격지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지 내에 구성되므로 어 느 원격지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혹은 측정 혹은 검출 데이터인지를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게 되며,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은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과의 송수신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측정된 데이터 및 촬영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중앙감시제어수단에 전송하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모든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게 되어 중앙집중식 관리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신호분석장치 블록도이다.
상기 음향신호분석장치(120)은,
음향측정장치에서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음향입력부(121)와,
음계치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음계값설정부(122)와,
상기 음계값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는 음계초과 횟수를 설정하는 초과치설정부(123)와,
음계초과치 횟수를 카운트하는 초과치카운터부(124)와,
상기 초과치설정부의 음계초과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이상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1차이상신호판단부(125)와,
상기 1차이상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규칙적인지 불규칙적인지를 판단 하기 위한 2차이상신호판단부(126)와,
상기 2차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신호가 불규칙적인 신호인 경우에 정해진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부(127)와,
상기 신호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수단에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음향신호분석제어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계값설정부는 음계치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는데 예를 들어 16KHz를 상한값으로 설정하면 16KHz를 초과치설정부에서 설정한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초과치카운터부에 의해 초과된 횟수가 카운터되어 초과치카운터에 저장된다.
만약, 초과되는 횟수는 중간에 정상적인 신호로 귀환되면 다시 '0'으로 셋팅되게 된다. 따라서, 연속되는 초과치가 아니면 비상신호는 발생되지 아니한다.
즉, 일정기간 연속적인 이상신호에서만 발생하는 것이지 일시적인 것은 이상신호에 해당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이때, 음계초과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1차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이상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발생된 신호의 규칙성 여부를 2차이상신호판단부를 통해 규칙적인지 불규칙적인지를 판단하여 이상 신호가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면 이를 '0'으로 셋팅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한 규칙된 신호가 정상적인 신호로 등록시키기 위해서 저장부를 포 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2차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이상 신호가 불규칙성을 가지고 있다면 신호출력부에 의해 정해진 출력 신호(영상촬영장치 제어신호 혹은 메시지 전송 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촬영장치 및 메세지발생부(미도시)를 통해 자동으로 설정된 번호로 메세지를 발생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원격지에서 이상 신호란 온도가 낮아져 보일러가 동작하고 모터 소리가 들리게 되는데 이러한 소리도 종래에는 이상 발생 신호로 여기고 경보를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발생장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동작상태판단부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운전상태출력부(311)와;
전동기기가 동작할 경우에 상한치를 설정하기 위한 상한치설정부(312)와;
운전 여부에 따른 음악 정보 및 비정상 운전에 따른 음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악저장부(313)와;
상기 동작상태판단부에 따라 판단된 값에 의해 운전 여부에 따른 음향 및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이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발생부(314)와;
상기 음향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음향증폭부(315)와;
음향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한 음향출력부(316)와;
상기 음향출력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운전 여부, 정상운전, 비정상 운전 등에 따라 각기 달라지는 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획득부(317)와;
운정상태출력부에 의해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전동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상태판단부(3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송받은 감지 신호를 음향발생장치에 의해 분석을 하여 스피커를 통해 운전 여부, 정상운전, 비정상 운전 등에 따라 각기 달라지는 음을 출력하게 되면 스피커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음향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음향을 원격지개별제어장치를 통해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보내고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원격지에서 보내온 음향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운전상태출력부(110)는 상기 CT센서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동작상태판단부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존재한다면 이는 해당 전동기기가 운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는 해당 전동기가 운전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상한치설정부를 통해 관리자가 전동기기의 운전 상한치를 500RPM 에 해당하는 측정 전압을 20V로 설정을 하였는데, 측정 전압이 20V를 넘는지 넘지 않는지를 체크하여 동작상태판단부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동작상태판단부는 운전상태출력부에 의해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전동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운전상태출력부에 의해 체크된 상태가 모터 정지 상태라면 이에 대한 "00" 데이터를 음향발생부에 전달하여 무음을 발생시키게 되며, 운전상태출력부에 의해 체크된 상태가 전동기기의 운전 상태라면 이에 대한 "01" 데이터를 음악저장부에 전송하여 이에 해당하는 음향을 동작상태판단부의 제어에 따라 음향발생부에 전달하여 해당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모터 정지 상태에 무음 이외에도 별도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전상태출력부에 의해 체크된 상태가 전동기기의 비정상 운전 상태라면 이에 대한 "10" 데이터를 음악저장부에 전송하여 이에 해당하는 음향을 동작상태판단부의 제어에 따라 음향발생부에 전달하여 해당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음악저장부에 저장되는 음악은 최초 장치 제조시부터 저장되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본 발명 장치에 별도의 출력포트(미도시)를 구성하여 출력포트와 외부접속장치를 연결하여 외부접속장치로부터 음악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본 발명의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설정에 따라 음악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 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원격지개별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지개별제어장치(160)는,
중앙감시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받아 원격지 설비들의 전동기 동작, 스톱 등을 제어하는 디지털출력모듈(161)과;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완료된 상황과 장치 상황을 무접점 신호로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디지털입력모듈(162)과;
전압, 전류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취득하여 중앙제어부로 송출하는 아날로그입력모듈(163)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4)와;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받아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의하여 동작, 스톱 등의 전동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165)과;
상기 전동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리미터스위치부(166)와;
상기 원격지 설비들의 상태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67)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원격지개별제어부(16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체동작을 LED로 점멸하고 각 동작의 버튼을 소형화하여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원격지개별제어장치는 구성되는 곳이 일반적으로 수KM에서 수십 KM까지 떨어져 있는 원격지를 일일히 조작자가 조작할 수 없으므로 중앙감시실에서 원격 제어를 하게 되며, 원격지인 원격 제어실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각종 전기 설비 또는 기타 전력 설비들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반은 원격 제어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원격지개별제어부로부터 인가받아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의하여 전동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CPU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리미터스위치부는 스위치 접점을 받아 원격지개별제어장치에 바람직하게는 LED로 표현하며 원격지에 있는 원격제어실로는 디지털입력모듈에 신호를 보내어 송출하게 된다.
상기한 원격지개별제어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동작 상태를 LED 레인지 혹은 디지털 인디게이트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원격지개별제어부는 자기 유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온/오프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지속적인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리미터스위치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전동기기의 동작 상태가 어느 일정 RPM 이상 혹은 이하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한 전동기기의 동작 정도가 설정값을 넘어가게 되면 이에 따른 데이터 값을 원격제어실에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 격 감시제어시스템의 데이터해독장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해독장치(240)는,
접점개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해석부(241)와,
관리자가 조작한 원격 감시 제어 신호를 해석하는 원격감시제어해석부(242)와,
상기 데이터해석부를 통해 해석된 데이터를 해당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의 코드 신호와 영상 정보를 매칭시키기 위한 데이터매칭부(243)와,
상기 데이터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정보를 원격지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키기 위한 원격지정보데이터베이스(245)와,
상기 각 부 및 원격지정보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데이터해독장치제어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해석부(241)는 접점개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석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매칭부를 통해 매칭된 정보를 원격지별로 원격지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원격감시제어해석부(242)에 의해 관리자가 조작한 원격 감시 제어 신호를 해석하게 되는데, 관리자가 중앙감시제어수단에 설치 구성된 조작 패널(미도시)을 통해 조작을 수행하게 되면 어떠한 조작을 실행하는지에 대하여 이를 해석하여 해당 장치가 구성된 원격지개별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이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중앙 또는 각 원격지에서 타 원격지의 현재 상태 및 영상 확인의 불가로 인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다른 관리자들도 해당 원격지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관리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컨트롤장치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10)는,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211)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212)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213)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14)와,
기기 오동작이거나 이상 발생시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215)와,
관리자의 신상 정보 및 녹음된 메세지 정보 및 기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16)와,
접점개폐장치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유무 정보 전송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217)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218)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 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인코딩/디코딩부(219)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 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221)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부터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망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가 구성된 네트워크망과 연결되어 있는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각각의 원격지개별제어수단 내에 설치된 영상촬영장치의 카메라, 렌즈 제어와 조회가 가능하며, 비상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217)는 접점개폐장치 및 영상촬영장치 및 본 발명을 위해 구성된 각종 장치들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및 동력 발생 제어 신호 전송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게 된다.
즉, 관리자 이외의 접근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작 실행 이후 전원 오프도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오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영상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을 엔코딩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보내는 코덱장치와 연결하여 송수신한다.
상기 코덱장치란 음성 또는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장치를 말하며, 코덱 장치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은 웹상에서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하는 것은 보안상에 영상촬영장치의 컨트롤이 해킹된다면 관리자 이외의 접근을 원천봉쇄할 수 없게 되어 원치않는 사고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평상시에는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의 파워를 오프시켜 놓은 상태이고, 파워를 오프한 상태에서는 영상촬영장치의 컨트롤이 불가능하게 되며 관리자만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하여 파워를 온시킴으로써 영상촬영장치의 컨트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보안 메카니즘은 단순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된다.
이와 같은 절차는 원격 중앙감시 제어실 이외에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지 관리자가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며 관리자가 화면제어신호를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의 디지털데이터출력부로 보내면 팬,틸트,줌 신호를 영상촬영장치에 주어 영상촬영장치를 제어하거나 동작 온/오프 신호 를 주게 된다.
상기 관리자가 비디오카드부로 받은 영상신호를 알지비모니터카드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를 모니터링장치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비디오카드부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인코딩/디코딩부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D.V.R장치 혹은 원격지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의 디스플레이 순서 및 문제 발생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해당 관리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급작스러운 긴급한 상황 발생시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전송되는 비상 신호를 비상신호처리부에서 수신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관리자의 번호로 비상 신호를 보내거나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비상콜수단(미도시)에 자동으로 비상신호를 전송하여 현장에 있는 관리자 혹은 감시자 및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을 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의 영상 처리 신호 흐름을 설명하자면, 관리자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를 조작할 경우에 중앙제어부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디지털데이터출력부에서 팬,틸트,줌 정보를 해당 영상촬영장치에 주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영상촬영장치에서 포착된 영상신호를 비디오카드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엠펙4로 변환하여 중앙제어부에 보내게 되면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한 후 알지비모니터카드부를 거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상기 비디오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 호를 순차화면출력장치(미도시)에 전송하여 관리 지역이 많은 원격제어실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어 하나 이상의 지역에서 오는 영상신호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부를 통해 압축한 후 코덱부(미도시)를 거쳐 원격 중앙감지 제어실(미도시)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은 다수의 원격지 시설물의 관리 비용 절감 및 중앙에서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므로 이에 따른 원격 감시 분야 및 관리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신호분석장치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발생장치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원격지개별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데이터해독장치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컨트롤장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원격지개별제어수단
110 : 음향측정장치
120 : 음향신호분석장치
130 : 영상촬영장치
140 : 음향방송장치
150 : 접점개폐장치
160 : 원격지개별제어장치
200 : 중앙감시제어수단
210 :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
230 : 모니터링장치
240 : 데이터해독장치

Claims (11)

  1. 원격지에 설치된 장치들을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상태를 음향으로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설비의 상태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음향 및 영상을 전송하며, 중앙감지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출력하며, 원격지의 설비들의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접점 상태 정보 및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응답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원격지의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수단과;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해석한 영상 정보 및 데이터를 해당 코드 신호와 매칭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해석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원격지개별제어수단에 조작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중앙감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은,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전동기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기기에서 발생 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 구성하여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음향측정장치와,
    상기 음향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음계 신호를 받아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이상 상태를 감지하면 이상 발생 신호의 규칙성을 재차 판단하여 불규칙성일 경우에 영상촬영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음향신호분석장치와,
    상기 음향신호분석장치에서 촬영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실행하여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와,
    각각의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에 설치 구성되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장치와,
    원격지에 설치된 전기 설비들의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각각의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접점개폐장치에 의해 획득된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며 상기 전기설비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거나 상기 음향측정장치를 통해 검출된 음향을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은,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의 전동기기 작동에 의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는 CT센서부와,
    상기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비정상 운전을 체크하여 음향을 발생시켜 발생된 음향을 출력하거나, 비정상 운전시 영상촬영장치에 촬영 신호를 전송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향발생장치와,
    상기 음향발생장치에서 촬영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을 실행하여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와,
    각각의 감시를 필요로 하는 원격지에 설치 구성되며 중앙감시제어수단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음향방송장치와,
    원격지에 설치된 전기 설비들의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동력을 발생시켜 전기 설비들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각각의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접점개폐장치에 의해 획득된 조작 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및 고장 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며 상기 전기설비 및 영상촬영장치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부여된 코드 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거나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통해 검 출된 음향을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송신하기 위한 원격지개별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측정장치는,
    소정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부와,
    음향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고정부와,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설정된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대의 소음 중 세팅된 주파수 대 이상의 주파수를 차단하는 주파수필터링부와,
    상기 흡음부에서 흡음된 음향을 음향신호분석수단으로 전송하는 음향신호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분석장치는,
    음향측정장치에서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음향입력부와,
    음계치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음계값설정부와,
    상기 음계값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는 음계초과 횟수를 설정하는 초과치설정부와,
    음계초과치 횟수를 카운트하는 초과치카운터부와,
    상기 초과치설정부의 음계초과 횟수를 초과하게 되면 이상 감지신호를 발생 시키는 1차이상신호판단부와,
    상기 1차이상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신호가 규칙적인지 불규칙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2차이상신호판단부와,
    상기 2차이상신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신호가 불규칙적인 신호인 경우에 정해진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부와,
    상기 신호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전송받아 촬영수단에 촬영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음향신호분석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CT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전동기기의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동작상태판단부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운전상태출력부와;
    전동기기가 동작할 경우에 상한치를 설정하기 위한 상한치설정부와;
    운전 여부에 따른 음악 정보 및 비정상 운전에 따른 음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악저장부와;
    상기 동작상태판단부에 따라 판단된 값에 의해 운전 여부에 따른 음향 및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이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발생부와;
    상기 음향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음향증폭부와;
    음향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한 음향출력부와;
    상기 음향출력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운전 여부, 정상운전, 비정상 운전에 따라 각기 달라지는 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획득부와;
    운정상태출력부에 의해 운전 여부 및 상한치를 체크하여 전동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상태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장치는,
    중앙감시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받아 원격지 설비들의 전동기 동작, 스톱을 제어하는 디지털출력모듈과;
    원격지의 설비들의 동작 완료된 상황과 장치 상황을 무접점 신호로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디지털입력모듈과;
    전압, 전류의 아날로그 신호를 취득하여 중앙제어부로 송출하는 아날로그입력모듈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중앙감시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받아 전송되어 온 데이터에 의하여 동작, 스톱의 전동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과;
    상기 전동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리미터스위치부와;
    상기 원격지 설비들의 상태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원격지개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개별제어수단을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전동기 온/오프, 비상 콜을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원격지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070109732A 2007-10-30 2007-10-30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10083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32A KR100836825B1 (ko) 2007-10-30 2007-10-30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32A KR100836825B1 (ko) 2007-10-30 2007-10-30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825B1 true KR100836825B1 (ko) 2008-06-10

Family

ID=3977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732A KR100836825B1 (ko) 2007-10-30 2007-10-30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8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92B1 (ko) 2011-11-25 2013-01-09 (주) 휴스 오지 수리시설물의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237525B1 (ko) 2012-07-30 2013-02-26 (주) 휴스 수리시설물 원격제어 화면에서의 동작 상태 알림시스템
KR101237524B1 (ko) 2012-07-30 2013-02-26 (주) 휴스 수리시설물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다입력에 대한 화면 표출시스템
KR101308076B1 (ko) *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센서기반 오감 정보를 이용한 수리시설물의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345417B1 (ko) * 2012-09-21 2013-12-30 오찬용 캠핑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44242B1 (ko) * 2014-04-08 2014-09-30 (주)동국일렉콘스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반 및 원격제어반의 자가진단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789A (ko) * 2004-06-15 2005-12-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영상감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789A (ko) * 2004-06-15 2005-12-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영상감시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92B1 (ko) 2011-11-25 2013-01-09 (주) 휴스 오지 수리시설물의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308076B1 (ko) *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센서기반 오감 정보를 이용한 수리시설물의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237525B1 (ko) 2012-07-30 2013-02-26 (주) 휴스 수리시설물 원격제어 화면에서의 동작 상태 알림시스템
KR101237524B1 (ko) 2012-07-30 2013-02-26 (주) 휴스 수리시설물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다입력에 대한 화면 표출시스템
KR101345417B1 (ko) * 2012-09-21 2013-12-30 오찬용 캠핑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44242B1 (ko) * 2014-04-08 2014-09-30 (주)동국일렉콘스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반 및 원격제어반의 자가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825B1 (ko)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100734492B1 (ko)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US9852604B2 (en) Building security system
KR100853757B1 (ko)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관리시스템
KR100766542B1 (ko) 유리 온실 자동화 및 제어시스템
KR101403465B1 (ko)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US10891492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ivacy enabled surveillance in a building
KR101150993B1 (ko) 터널 비상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20090078186A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감시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853756B1 (ko) 다수의 축사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IT201800005672A1 (it) Sistema di allarme biometrico scalabile con intelligenza artificiale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KR100793814B1 (ko)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진단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94740B1 (ko) 노인 복지시설의 원격 진료 및 원격 제어감시시스템
KR101241582B1 (ko) 방범 폐쇄회로티브이 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120057829A (ko) 씨씨디 카메라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주차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820951B1 (ko) 음향 측정 수단을 이용한 재난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579144B1 (ko) 보안 기능 및 비상콜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원격감시 및제어장치
KR20070088242A (ko)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793813B1 (ko) 인터넷망과 공중망 및 무선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63233A (ko) 감시장치, 원격감시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129621A (ko) 통합 제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