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465B1 -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465B1
KR101403465B1 KR1020120051803A KR20120051803A KR101403465B1 KR 101403465 B1 KR101403465 B1 KR 101403465B1 KR 1020120051803 A KR1020120051803 A KR 1020120051803A KR 20120051803 A KR20120051803 A KR 20120051803A KR 101403465 B1 KR101403465 B1 KR 10140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switchboard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063A (ko
Inventor
정성현
Original Assignee
(주) 일아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아아이티 filed Critical (주) 일아아이티
Priority to KR102012005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4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통합 관제(안전관리, 방범, 방재)를 수행하는 것이며, 다수의 중요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에의 접근을 모바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수배전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안전 교육 및 출입에 관한 철저한 이력관리를 로컬의 통합관리장치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하의 모바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장소에 구애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앱에 의해 계측 진단, 이벤트 현황, 경보 발생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배전반의 통합 관제(안전관리, 방범, 방재)를 수행하게 되며, 특히 다수의 중요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에의 접근을 모바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수배전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Switchboard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mobile app.}
본 발명은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의 통합 관제(안전관리, 방범, 방재)를 수행하는 것이며, 다수의 중요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에의 접근을 모바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수배전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안전 교육 및 출입에 관한 철저한 이력관리를 로컬의 통합관리장치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하의 모바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장소에 구애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앱에 의해 계측 진단, 이벤트 현황, 경보 발생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건물 및 산업용 건물 등의 대형 건축물 내에는 다수의 수배전반을 시공 설치한 전기실을 마련하여 건물 내외 및 구역 내의 전력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실 및 수배전반의 경우 그 시설물의 중요성이나 위험성에 비추어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어야 하나, 현 상황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허다하며, 심지어는 관계없는 일반인이라도 누구든지 손쉽게 출입하도록 관리가 허술한 경우도 많은 것일 실정이다.
평상시에는 자물쇠 등으로 전기실 문을 폐쇄하여 잠궈두고, 작업시에만 전기실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작업자가 목적하는 수배전반을 열어 작업을 한 후 퇴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작업자에 대한 정보, 입출입시간, 작업시간, 작업한 수배전반의 번호, 작업의 내용 등에 관한 이력 관리가 되지 않아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승인된 작업자만이 효율적인 절차에 의하여 전기실 및 수배전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와,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수단과, 작업자를 포함한 작업 전체에 관한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스템 및 절차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한편, 사회의 발달에 따라 전기, 전자, 통신설비에 대한 중요성 및 이용률이 커짐에 따라 전기사고 발생 시 파급되는 인적, 물적 피해 또한 급증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배전반 전기사고 사전 예방을 위해 전기 관리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력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존재하게 되었다.
수배전반 종합 관리시스템은 크게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감시부분, 설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설비의 상태를 미리 예측하고 이상을 진단하는 진단부분, 그리고 승인된 관리자만 접속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안부분으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수배전반에 전기사고 발생 시 수용가에 전기 공급의 중단은 물론 경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수배전반에 발생하는 전기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통합적인 전기안전관리 및 방범 방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하다.
이때, 종래의 원격감시 시스템은 주로 현장에 설치된 로컬 유닛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거나 인터넷 망과 PC를 통한 감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격감시 시스템의 경우 현장 방문시 또는 사무실 및 감시실 등에서 PC를 사용해야만 전력설비의 감시가 가능하여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인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온라인 혹은 모바일 환경에서 수배전반의 안전관리, 방재관리, 보안관리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현재 모바일 환경에서 컨트롤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없음.
본 발명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갖는다.
즉, 제 1 목적은 수배전반의 통합 관제(안전관리, 방범, 방재)를 수행하는데 있으며, 특히 다수의 중요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에의 접근을 모바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수배전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제 2 목적은 작업자의 안전 교육 및 출입에 관한 철저한 이력관리를 로컬의 통합관리장치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하의 모바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장소에 구애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앱에 의해 계측 진단, 이벤트 현황, 경보 발생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전기실 내부에 화재 감지 및 전력 계측을 위하여 설치 구성되어 감지된 센싱값을 안전관리기로 송출하기 위한 센서수단(200);
전기실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부(100);
실내에 마련되는 다수의 수배전반이 설치된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의 접근을 관리하며, 상기 센서수단 및 영상촬영부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안전관리기(300);
통합관제실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안전관리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통합관리장치(400);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스마트폰에 제공하며, 상기 통합관리장치와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어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스마트폰에 제공하기 위한 안전방범방재서버(500);
상기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접속되어 모바일 수배전반 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며, 안전방범방재서버에서 전송되는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스마트폰(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은,
수배전반의 통합 관제(안전관리, 방범, 방재)를 수행하게 되며, 특히 다수의 중요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에의 접근을 모바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수배전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 교육 및 출입에 관한 철저한 이력관리를 로컬의 통합관리장치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하의 모바일 앱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장소에 구애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앱에 의해 계측 진단, 이벤트 현황, 경보 발생 정보 등을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조작 및 모니터링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통합관리장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안전방범방재서버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스마트폰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는 앱의 아이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주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도면을 인용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발명으로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기실 내부에 화재 감지 및 전력 계측을 위하여 설치 구성되어 감지된 센싱값을 안전관리기로 송출하기 위한 센서수단(200);
전기실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부(100);
실내에 마련되는 다수의 수배전반이 설치된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의 접근을 관리하며, 상기 센서수단 및 영상촬영부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안전관리기(300);
통합관제실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안전관리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는 통합관리장치(400);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스마트폰에 제공하며, 상기 통합관리장치와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어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스마트폰에 제공하기 위한 안전방범방재서버(500);
상기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접속되어 모바일 수배전반 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며, 안전방범방재서버에서 전송되는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스마트폰(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네트워크망을 통해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원격텀퓨터단말기(700)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센서수단(200)은 전기실 내부에 화재 감지 및 전력 계측을 위하여 설치 구성되어 감지된 센싱값을 안전관리기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센서수단에는 전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210),
전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부(220),
전기실 내부의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기(230),
전기실 내부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감지기(240),
전기실 내부의 수배전반의 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계측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 및 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구성이다.
온도센서부에 의해 온도 감지에 의존하여 화재를 관측하기에는 그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이산화탄소센서부, 불꽃감지기, 연기감지기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각각에서 센싱된 정보를 참조하여 종합적으로 화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센서들은 USN 통신 기반의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센서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안전관리기(300)는 실내에 마련되는 다수의 수배전반이 설치된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의 접근을 관리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컴과 잠금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구성을 일반적으로 가지게 된다.
이때, 특징적인 것은 상기 센서수단 및 영상촬영부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정보들을 통합관리장치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이다.
종래의 안전관리기는 출입 및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기능 이외에도 센싱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관리장치로 송출하는 점이며, 이는 전기실 내에서 발생되는 모든 상황들을 취합하여 원격지로 송출하기 위한 사전 정보 취합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합관리장치(400)는 통합관제실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안전관리기와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게 된다.
이때, 통합관리장치에는 통합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에는 각종 동작 모드를 관리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모듈과, 선택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이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안전방범방재서버(500)는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탑재하고 있으며,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친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관리앱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인증서버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인증서버는 스마트폰에 대한 관리자의 정보를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사전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접속되면 자동으로 인증을 거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인증서버의 안내에 따라 별도의 인증절차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인증 절차를 거친 후 통합관리장치와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되어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스마트폰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수배전반의 위치는 각각의 센서의 고유 아이디별 설치 구성된 수배전반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해당 위치 정보를 스마트폰에 제공하게 되며 위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통합관리장치는 수배전반의 현재 데이터와 과거 이력 데이터의 변화 추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계측 진단에는 수배전반의 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계측부로부터 송출되는 계측 정보를 참조하여 진단한 정보를 의미하며 계측 진단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스마트폰(600)은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접속되어 모바일 수배전반 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며, 안전방범방재서버에서 전송되는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PDA, 무선노트북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통합관리장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합관리장치(400)는,
센서수단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센싱간격설정부(405),
센서수단의 임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치값설정부(410),
상기 임계치값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수단을 통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를 판별하는 이상징후판별부(415),
상기 이상징후판별부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가 판별되면 상기 센싱간격설정부의 측정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측정간격변경부(420),
상기 측정간격변경부에 의해 측정간격이 변경되어도 임계치 값을 벗어나게 되면 이상징후로 결정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신호발생부(425),
영상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영상정보디비(430),
안전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의 안전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안전관리정보디비(435),
센서수단의 센싱 정보, 임계치 정보,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센서수단정보디비(440),
상기 이벤트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 신호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안전방범방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신호송출부(445),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싱간격설정부(405)는 센서수단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측정 수배전반의 상황에 맞게 센서들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게 되며, 예를 들어 10초를 설정하게 되면 10초마다 센서부가 센싱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임계치값설정부(410)는 센서수단의 임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임계치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상기 이상징후판별부(415)는 임계치값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참조하여 센서수단을 통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를 판별하게 된다.
임계치를 초과하게 되면 이상이라고 1차적으로 판별하게 되며, 측정간격변경부(420)에서는 이상징후판별부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가 판별되면 측정간격을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임계치 값을 50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55라는 센싱값이 감지되면 이를 이상징후판별부에서 이상징후로 판별하여 측정간격변경부에 의해 측정간격을 변경하게 되는데, 상기 10초 간격을 1초 간격으로 측정간격을 변경하여 감지를 세밀하게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간격으로 변경되어 측정시 임계치 값 범위의 센싱 값들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통합관리제어부(450)에서는 최초에 설정된 측정 간격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이벤트신호발생부(425)는 측정간격변경부에 의해 측정 간격이 변경되어도 지속적으로 임계치 값을 벗어나게 되면 이상징후로 결정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통합관리제어부(450)에서는 영상정보디비(430)로부터 해당 측정값을 제공하는 수배전반의 위치에서 송출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게 되며, 이벤트신호송출부(445)에 해당 영상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벤트신호송출부(445)는 이벤트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 신호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안전방범방재서버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관리정보디비(435)에는 안전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의 안전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는데, 안전 관리 정보에는 출입 요청한 사람의 신상 정보, 출입 승인 정보, 작업 요청한 사람의 신상 정보, 작업 승인 정보 등의 일반적인 안전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센서수단정보디비(440)에는 센서수단의 센싱 정보, 임계치 정보,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 신호를 의미하며, 통합관리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수단정보디비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한가지의 임계치로만 고정할 경우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임계치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므로 오감지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임계치 값에 도달 유무 확인을 세밀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임계치 초과값이 발생되면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 정보를 동시에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의 성능이 향상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영상 정보를 동시에 전송해도 화면 출력에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센싱수단들은 감지하고자 하는 전기실 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섹터를 지정하여 구성하여 감지 오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수단들이 복수개로 구성될 경우에 수집된 센싱 정보들이 동일한 감지값을 가지고 있는 지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탑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안전방범방재서버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방범방재서버(500)는,
통합관리장치의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정보디비(505),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수배전반관리앱디비(510),
통합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고유 아이디 정보, 이벤트 신호를 수집하는 이상징후정보수집부(515),
통합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영상을 수집하는 이상징후영상수집부(520),
상기 이상징후영상수집부에서 수집된 감지 영상을 분석하여 비정상적 패턴을 획득하기 위한 비정상패턴획득부(525),
상기 이상징후정보수집부 및 이상징후영상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고유 아이디 정보에 따라 이벤트 신호 및 감지 영상 및 해당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이상징후정보데이터베이스(530),
상기 이상징후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이벤트 신호와 비정상패턴획득부에 의해 비정상적 패턴이 획득될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535),
경보발생부에 의해 경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이상징추정보디비에서 추출하기 위한 위치추출부(540),
상기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보발생신호처리부(545),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방범방재제어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준정보디비(505)에는 통합관리장치의 기준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기준 정보에는 해당 통합관리장치의 고유 아이디 정보, 설치 구성된 위치 정보, 센서수단에 구성되는 센서들의 고유 아이디 정보, 영상촬영부의 고유 아이디 정보, 안전관리기의 고유 아이디 정보 등과 같이 제어에 필요한 일반적인 기본 정보를 의미하게 된다.
상기 모바일수배전반관리앱디비(510)에는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저장하고 관리하게 되며, 관리앱의 업그레이드 정보 등이 저장되게 된다.
상기 이상징후정보수집부(515)는 통합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고유 아이디 정보, 이벤트 신호를 수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벤트 신호는 통합관리장치에서 이상 징후라고 판단되어 전송되는 신호로서 센싱값과 임계치 값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상징후영상수집부(520)는 통합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영상을 수집하게 되며, 비정상패턴획득부(525)는 이상징후영상수집부에서 수집된 감지 영상을 분석하여 비정상적 패턴을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배전반에 화재 발생시 이산화탄소센서부, 불꽃감지기, 연기감지기 등에서 이벤트 신호가 발생되어 관리자가 확인하는데 실제 영상을 확인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데이터를 비정상패턴획득부에서 수신받아 감지 영상을 분석하여 비정상적 패턴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는 화재, 연기의 비정상적 패턴을 분석하여 센서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보완하여 화재 혹은 화재 이상 징후를 판단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영상 촬영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게 되는데, 상기 비정상적 상황에 대한 영상을 별도의 저장수단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비정상적 패턴 인식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임계치자동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이상징후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감지 정보 및 감지 영상에 대한 평상시 패턴을 추출하여 센서별 임계치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계절에 따른 온도, 이산화탄소 등의 패턴을 추출하여 오판단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상징후정보데이터베이스(530)에는 이상징후정보수집부 및 이상징후영상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고유 아이디 정보에 따라 이벤트 신호 및 감지 영상 및 해당 위치 정보를 저장하게 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접속시 해당 정보들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보발생부(535)는 이상징후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이벤트 신호와 비정상패턴획득부에 의해 비정상적 패턴이 획득될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이벤트 신호만 발생한다 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닌 두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에서는 상기 이벤트 신호만을 추출하여 화면에 출력시킬 수도 있다.
이는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원격지에서 관리할 경우에 영상 정보없이도 1차적으로 해당 로컬에 위치한 기타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위치추출부(540)는 경보발생부에 의해 경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이상징후정보디비에서 추출하게 된다.
결국, 상기 경보발생신호처리부(545)에 의해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경보 발생시에 스마트폰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스마트폰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600)은,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기 위한 수배전반관리앱다운로드부(610),
수배전반의 위치를 선택하여 계측 진단 정보와 이벤트 현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연결 요청하는 연결요청부(620),
해당 수배전반의 계측 진단 정보와 이벤트 현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정보획득부(630),
안전방범방재서버에서 송출되는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경보발생정보획득부(640),
미리 지정된 영역에 상기 경보발생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부에 표출하기 위한 경보화면생성부(650),
안전관리기 및 영상촬영부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설정부(660),
상기 각각의 부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앱이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 마켓을 통해 실행시키는 '어플'을 의미한다.
상기 수배전반관리앱다운로드부(610)는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요청부(620)는 수배전반의 위치를 선택하여 계측 진단 정보와 이벤트 현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연결 요청하게 된다.
이후, 요청정보획득부(630)에서는 해당 수배전반의 계측 진단 정보와 이벤트 현황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벤트 현황 정보는 경보 발생전까지의 임계치 값을 초과한 해당 센싱 정보들을 의미하며 원격지에서 해당 이벤트 현황 정보들을 확인하여 현장에 거주하고 있는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리자에게 숙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보발생정보획득부(640)는 안전방범방재서버에서 송출되는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후, 단말기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화면생성부에 동작 명령을 송출하게 되며, 상기 경보화면생성부(650)에서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상기 경보발생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부에 표출하게 되는 것이다.
미리 지정된 영역이란 출력되는 화면상에 앱 제작시 설정된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신호설정부(660)는 안전관리기 및 영상촬영부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기타 화재 관련 장비의 동작 신호, 스피커를 통한 알람 발생, 경광등 작동 신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방범방재서버와 스마트폰 간에 통신시 불특정 다수가 접근할 수 있는 네트워크망을 이용하게 되므로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시 난수로 이루어진 키값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이루어진 암호화 패킷을 생성하거나 그 암호화 패킷을 복호화하여 난수로 이루어진 키 값과 비교하는 암호화패킷부와 웹베이스 기반의 보안패킷부를 안전방범방재서버에 탑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접속되는 것으로, 안전방범방재서버에 기 설정되는 운용프로그램과 같은 용도의 어플리케이션인 수배전반 관리앱이 탑재되어 있어 일반적인 입출력디바이스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안전방범방재서버까지 전달되도록 하거나 입출력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상태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폰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한 아이콘 형태는,
수배전반의 위치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위치정보아이콘(10)과,
수배전반의 계측 진단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계측진단정보아이콘(20)과,
상기 수배전반의 이벤트 현황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이벤트현황정보아이콘(30)과,
상기 수배전반의 경보 발생정보와 감지 영상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경보발생정보아이콘(40)과,
안전관리기 및 영상촬영부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창으로 안내하는 제어신호설정아이콘(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동 아이콘을 클릭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해당 수배전반의 위치정보아이콘(10)과, 계측진단정보아이콘(20)과, 이벤트현황정보아이콘(30)과, 경보발생정보아이콘(40)과, 제어신호설정아이콘(50)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위치정보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에는 수배전반이 설치 구성된 위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관리자 정보, 설치일자, 최근 유지보수 일자 등 기본적인 정보들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계측진단정보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화면에 전압, 전류 등의 전력 계통 계측 정보 및 현재 센서부들로부터 측정되는 센싱값들이 그래프와 같은 이미지들과 함께 숫자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벤트현황정보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경보 발생 직전까지의 각종 센싱 정보값을 그래프와 같은 이미지들과 함께 숫자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경보발생정보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경보가 발생한 수배전반의 위치, 설정된 임계치 값, 초과된 센싱값, 경보 내용, 발생시간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신호설정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는 설비들이 나열되게 되며, 해당 설비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출력되어 진다.
예를 들어, 소화기 동작, 전기실 출입을 위한 출입문 잠금 및 해제, 스피커를 통한 알람 신호 발생, 영상촬영부의 제어 신호, 경광등의 작동 신호, 영상촬영부의 촬영시간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아이콘을 화면에 제공하여 해당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에 이를 단말기제어부에서 획득하여 안전방범방재서버에 송출하고, 해당 장치들이 설치 구성된 통합관리장치로 송출하여 해당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추가적으로 아이콘 형태에 기타요청정보아이콘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기타요청정보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예를 들어, 장비장애발생, 장비점검요청, 교육요청, AS직원전화요청 등과 같은 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이는 후속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의 주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안전방범방재서버로부터 모바일 수배전반 앱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게 된다.
전기실 내의 각종 센서수단 및 영상촬영부로부터 감지 신호 및 영상 정보가 통합관리장치로 송출되게 되며, 해당 정보를 통합관리장치에서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이때, 경보가 발생하게 되면 경보가 발생되는 장비의 코드 정보와 경보 신호를 안전방범방재서버로 송출하게 되며,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신호를 안전방범방재서버로 송출하게 되며, 해당 제어신호를 다시 통합관리장치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통합관리장치는 해당 제어신호의 종류를 판단하여 해당 장비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벤트 신호 및 계측 진단 정보를 요청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데이터 흐름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영상촬영부
200 : 센서수단
300 : 안전관리기
400 : 통합관리장치
500 : 안전방범방재서버
600 : 스마트폰

Claims (8)

  1.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210),
    전기실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센서부(220),
    전기실 내부의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기(230),
    전기실 내부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감지기(240),
    전기실 내부의 수배전반의 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계측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수단(200);
    전기실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촬영부(100);
    실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배전반이 설치된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의 접근을 관리하며, 상기 센서수단 및 영상촬영부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안전관리기(300);
    센서수단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센싱간격설정부(405),
    센서수단의 임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치값설정부(410),
    상기 임계치값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수단을 통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를 판별하는 이상징후판별부(415),
    상기 이상징후판별부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가 판별되면 상기 센싱간격설정부의 측정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측정간격변경부(420),
    상기 측정간격변경부에 의해 측정간격이 변경되어도 임계치 값을 벗어나게 되면 이상징후로 결정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신호발생부(425),
    영상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영상정보디비(430),
    안전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전기실의 출입 및 수배전반의 안전 관리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안전관리정보디비(435),
    센서수단의 센싱 정보, 임계치 정보,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센서수단정보디비(440),
    상기 이벤트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 신호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안전방범방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신호송출부(445),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합관리장치(400);
    통합관리장치의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정보디비(505),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바일수배전반관리앱디비(510),
    통합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고유 아이디 정보, 이벤트 신호를 수집하는 이상징후정보수집부(515),
    통합관리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영상을 수집하는 이상징후영상수집부(520),
    상기 이상징후영상수집부에서 수집된 감지 영상을 분석하여 비정상적 패턴을 획득하기 위한 비정상패턴획득부(525),
    상기 이상징후정보수집부 및 이상징후영상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고유 아이디 정보에 따라 이벤트 신호 및 감지 영상 및 경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이상징후정보디비(530),
    이상징후정보디비에 저장된 이벤트 신호 및 감지 영상에 대한 평상시 패턴을 추출하여 센서별 임계치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임계치자동설정부,
    상기 이상징후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이벤트 신호와 비정상패턴획득부에 의해 비정상적 패턴이 획득될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535),
    경보발생부에 의해 경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이상징후정보디비에서 추출하기 위한 위치추출부(540),
    상기 경보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스마트폰으로 송출하기 위한 경보발생신호처리부(545),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방범방재제어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방범방재서버(500);
    모바일 수배전반 관리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기 위한 수배전반관리앱다운로드부(610),
    수배전반의 위치를 선택하여 계측 진단 정보와 이벤트 현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연결 요청하는 연결요청부(620),
    연결 요청한 수배전반의 계측 진단 정보와 이벤트 현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정보획득부(630),
    안전방범방재서버에서 송출되는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경보발생정보획득부(640),
    미리 지정된 영역에 상기 경보발생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경보 발생신호와 위치 정보 및 감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부에 표출하기 위한 경보화면생성부(650),
    안전관리기 및 영상촬영부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설정부(660),
    상기 각각의 부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6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방범방재서버와 스마트폰 간에,
    통신시 난수로 이루어진 키값을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이루어진 암호화 패킷을 생성하거나 그 암호화 패킷을 복호화하여 난수로 이루어진 키 값과 비교하는 암호화패킷부와 웹베이스 기반의 보안패킷부를 안전방범방재서버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수배전반의 위치, 계측진단, 이벤트 현황을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형태는,
    수배전반의 위치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위치정보아이콘과,
    수배전반의 계측 진단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계측진단정보아이콘과,
    상기 수배전반의 이벤트 현황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이벤트현황정보아이콘과,
    상기 수배전반의 경보 발생정보와 감지 영상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안내하는 경보발생정보아이콘과,
    안전관리기 및 영상촬영부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창으로 안내하는 제어신호설정아이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120051803A 2012-05-16 2012-05-16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KR10140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803A KR101403465B1 (ko) 2012-05-16 2012-05-16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803A KR101403465B1 (ko) 2012-05-16 2012-05-16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063A KR20130128063A (ko) 2013-11-26
KR101403465B1 true KR101403465B1 (ko) 2014-06-03

Family

ID=4985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803A KR101403465B1 (ko) 2012-05-16 2012-05-16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878B1 (ko) 2021-08-26 2022-07-14 주식회사 엔서치랩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20B1 (ko) * 2014-02-04 2014-06-19 유한회사 주왕산업 모바일 앱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격감시장치 및 방법
KR101641638B1 (ko) * 2014-06-09 2016-07-21 윤중오 감지기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15865B1 (ko) * 2015-11-05 2016-04-27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567011B1 (ko) * 2016-06-14 2023-08-11 주식회사 케이티 메타 데이터 기반의 이벤트 알림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953698B1 (ko) * 2016-12-01 2019-03-04 주식회사 액션테크 다계층 인증 프로세싱을 이용한 다중 인증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4738B1 (ko) * 2017-09-06 2018-09-04 주식회사 현태 수배전반 화재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7610030A (zh) * 2017-09-22 2018-01-19 福建四创软件有限公司 基于防灾经验大数据分析的小流域险情辅助研判方法
KR101996928B1 (ko) * 2018-12-19 2019-07-08 주식회사 벽진테크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사고 예방시스템을 내장한 배전반
KR102302897B1 (ko) * 2020-11-13 2021-09-16 주식회사 피디엔에스 전기실 스마트 안전 시스템
KR102312128B1 (ko) * 2021-03-23 2021-10-12 김상일 배전판넬 화재 감시진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18A (ko) * 2008-08-29 2010-03-10 랜스(주)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KR100981232B1 (ko) * 2009-10-26 2010-09-10 이승철 배전반 전기화재 조기 감지장치 및 오차보정 방법
KR101035109B1 (ko) * 2009-12-24 2011-05-19 주식회사 케이엔티 전기실과 수배전반의 출입 및 안전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25579A (ko) * 2010-05-13 2011-11-21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전력설비의 이상진단 방법 및 이상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18A (ko) * 2008-08-29 2010-03-10 랜스(주)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KR100981232B1 (ko) * 2009-10-26 2010-09-10 이승철 배전반 전기화재 조기 감지장치 및 오차보정 방법
KR101035109B1 (ko) * 2009-12-24 2011-05-19 주식회사 케이엔티 전기실과 수배전반의 출입 및 안전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25579A (ko) * 2010-05-13 2011-11-21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현장전력설비의 이상진단 방법 및 이상진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878B1 (ko) 2021-08-26 2022-07-14 주식회사 엔서치랩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063A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465B1 (ko)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US11893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building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CN1993718B (zh) 因特网促进的火警监视、控制系统
KR101038370B1 (ko) 스마트폰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놀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67065B1 (ko) 원격 보호관찰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JP6691722B2 (ja) 防災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245887B1 (ko) 실내 화재예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0982A (ko)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CN113542690A (zh) 一种建筑施工安全监控系统及方法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0088873A (ko)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KR20070066441A (ko) 다목적 원격 감시 장치, 이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방법, 및이를 이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KR20120057829A (ko) 씨씨디 카메라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주차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02428B1 (ko) 영상을 이용한 원방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641176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200327096Y1 (ko) 건물 화재 예방을 위한 원격 통합 자동 감시 시스템
KR10121767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178B1 (ko) Plc 기반 ami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그의 보안 관리 방법 및 보안 시스템
EP3467797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verification using access control system
KR100836813B1 (ko) 웹미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50026244A (ko) 가스절연개폐기 및 전력 케이블 접속부의 과열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563094B1 (ko) 통합 화재 대응 시스템
KR102326193B1 (ko) 영상 융합형 비상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