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878B1 -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878B1
KR102420878B1 KR1020210112861A KR20210112861A KR102420878B1 KR 102420878 B1 KR102420878 B1 KR 102420878B1 KR 1020210112861 A KR1020210112861 A KR 1020210112861A KR 20210112861 A KR20210112861 A KR 20210112861A KR 102420878 B1 KR102420878 B1 KR 102420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safety
safety inspection
information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형
안종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서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서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서치랩
Priority to KR102021011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자신이 보유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안전점검회사에 요청하면, 안전점검회사에 소속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고, 중앙 플랫폼 서버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를 생성하여 점검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안전점검서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를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점검한 안전점검회사로 제공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점검 관리를 수 있도록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중앙 플랫폼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A platform system for managing of safety insp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점검요청자가 자신이 보유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안전점검회사에 요청하면, 안전점검회사에 소속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고, 중앙 플랫폼 서버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를 생성하여 점검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안전점검서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를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점검한 안전점검회사로 제공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점검 관리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들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크게 발달함에 따라 토목과 건축을 포함한 건설 분야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대규모 건물들과 산업단지, 시설들이 건설되어 운용되고 있다.
특히, 도시에는 많은 인구가 편리하게 생활하도록 주거, 상업, 교육, 산업, 교통, 보건 등을 위한 각종 건물과 인프라 시설들이 구축되어 운용되고 있다.
한편, 건물과 시설은 건물과 시설의 기능과 안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전기, 소방, 구조에 관련된 안전점검을 하고 있으며, 안전점검을 소홀히 하는 경우 화재, 붕괴, 균열, 파손 등과 같은 안전사고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도시는 건물과 시설들이 밀집되어 있어 주변 건물 또는 시설에 연쇄반응으로 큰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건물,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수행하는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종이 형식의 안전점검서를 통해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에 의해 종이 서류 형식에 의한 보관 및 관리의 문제점과 안전점검에 따른 안전점검 시설물에 대한 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자신이 보유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안전점검회사에 요청하면, 안전점검회사에 소속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고, 중앙 플랫폼 서버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를 생성하여 점검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안전점검서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를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점검한 안전점검회사로 제공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점검 관리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4195호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3465호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2563호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해당하는 건물이나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안전점검회사에 요청하면, 안전점검회사에 소속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고, 중앙 플랫폼 서버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보수를 요청하면 다수의 보수업체로부터 비교 견적을 받아서 보수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요청하면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점검요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안전점검자 단말기(100)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안전점검 대상시설별로 분류 저장하는 다수의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의 안전점검 결과정보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하여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다수의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와;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안전점검서 양식을 웹 방식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제공하면 제공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 관련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해당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면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중앙 플랫폼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자신이 보유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안전점검회사에 요청하면, 안전점검회사에 소속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고, 중앙 플랫폼 서버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를 생성하여 점검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안전점검서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를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점검한 안전점검회사로 제공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점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보수를 요청하면 다수의 보수업체로부터 비교 견적을 받아서 보수를 진행하기 때문에, 점검요청자가 자신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효과적인 보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에게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관리 통계정보와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점검요청자가 자신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점검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점검 확인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점검서 링크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견적서 정보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은 점검요청자가 자신이 보유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예: 건물, 각종 시설물 등)에 대한 안전점검을 안전점검회사에 요청하면, 안전점검회사에 소속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로 제공하고, 중앙 플랫폼 서버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를 생성하여 점검요청자에게 제공하고, 안전점검서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를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점검한 안전점검회사로 제공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점검 관리를 수 있고, 점검요청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보수를 요청하면 다수의 보수업체로부터 비교 견적을 받아서 보수를 진행하여 점검요청자가 자신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효과적인 보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점검요청자에게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관리 통계정보와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점검요청자가 자신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10)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안전점검자 단말기(100), 다수의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 다수의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원격지의 중앙 플랫폼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다수의 안전점검자 단말기(100)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안전점검회사가 관리하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별로 분류 저장하는 다수의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하여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다수의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와;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제공하면 제공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 관련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생성하여 해당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면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해당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중앙 플랫폼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는 안전점검회사에 소속된 안전점검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20)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에 해당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웹(Web site) 방식 또는 앱(Application)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10)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는 앱 방식 또는 웹 방식으로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먼저, 웹 방식으로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는 중앙 플랫폼 서버(400)의 웹 사이트 운영부(420)가 운영하는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40)에 웹 접속하여 안전점검서 양식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는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40)에 접속해 제공받은 안전점검서 양식에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웹 방식으로 제공한다.
이때,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서 양식에 입력하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내용은 전기 관련 안전점검 내용, 소방 관련 안전점검 내용, 시설물 관련 안전점검 내용, 시설물 구조 관련 안전점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는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40)가 제공한 안전점검서 양식에 입력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앱 방식으로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에는 제1 전용 앱(110)이 탑재되는데, 제1 전용 앱(110)은 실행 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 화면에 안전점검서 양식을 표시한다.
안전점검자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된 안전점검서 양식에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입력하면 와 안전점검자의 전자서명 정보가 안전점검자에 의해 입력되면, 제1 전용 앱(110)은 안전점검서 양식에 입력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으로 통신 연결된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이때,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서 양식에 입력하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내용은 전기 관련 안전점검 내용, 소방 관련 안전점검 내용, 시설물 관련 안전점검 내용, 시설물 구조 관련 안전점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는 제1 전용 앱(110)이 화면에 표시한 안전점검서 양식에 입력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전점검 결과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를 예를 들면, 상기 안전점검 결과정보는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AA 병원, 점검요청자는 AA 병원 원장, 안전점검회사는 BB 안전점검회사(안전점검자는 홍길동 기사), 점검 일자는 2020년 4월 1~3일, 점검 내용은 전기, 소방, 시설물 점검, 보수 관련 특이사항은 소방설비 교체 필요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점검 결과정보의 점검 내용은 전기 관련 안전점검, 소방 관련 안전점검, 시설물 관련 안전점검, 시설물 구조 관련 안전점검을 포함한다.
도 1, 3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는 안전점검회사마다 설치된 단말기로서,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부터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받는다.
즉, 안전점검을 수행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를 통해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웹 방식 또는 앱 방식으로 제공하면, 후술할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 점검서(1)를 생성하여 해당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에 제공하여 확인을 받고,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는 경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된다.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는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분류 저장한다.
특히, 안전점검회사는 다수의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안전점검 대상시설 별로 분류 저장하여 보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는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안전점검을 요청하는 점검요청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도 3과 같이,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의 안전점검 결과정보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하여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에는 제2 전용 앱(310)이 탑재된다.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10)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보유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전용 앱(310)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 점검서(1)를 직접 제공하는 경우, 제공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 점검서(1)(도 4 참조) 를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 점검서(1)에 점검요청자의 전자서명 정보가 입력되면 도 5와 같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해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또한, 제2 전용 앱(310)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 점검서(1)를 열람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도 6과 같이, 제공하는 경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된 링크 정보를 점검요청자가 선택하면, 해당 링크를 통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 점검서(1)(도 4 참조)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 점검서(1)에 점검요청자의 전자서명 정보가 입력되면, 도 5와 같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해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상기 제2 전용 앱(310)이 생성하는 안전점검 확인서(2)에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 점검요청자 전자서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용 앱(310)은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도 4와 같은 안전 점검서(1)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하여 안전점검을 요청한 점검요청자가 점검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 후, 점검요청자가 확인의 의미로 전자서명(예: 김철수)을 입력하면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와 점검요청자 전자서명이 있는 도 5와 같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하여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제공하면 제공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 관련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생성하여 해당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면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해당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웹 사이트 운영부(410), 안전점검서 처리부(420), 안전점검 확인서 처리부(430), 정보 DB(4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에 웹 접속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 안전점검서 양식을 제공하고,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웹 방식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획득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앱 방식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웹 사이트 운영부(410)와,
웹 방식 또는 앱 방식으로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생성하고,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생성한 안전점검서(1)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하고,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점검요청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점검요청자 정보에 해당하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생성한 안전점검서(1)를 직접 제공하거나 안전점검서(1)를 열람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점검서 처리부(420)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하면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안전점검회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회사 정보에 해당하는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고,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하는 안전점검 확인서 처리부(430)와,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가 저장되는 정보 DB(44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점검서 처리부(420)가 생성하는 안전점검서(1)에는 안전점검 결과정보, 안전점검자의 전자서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웹 사이트 운영부(410)는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40)를 운영 관리하고,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에 웹 접속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 안전점검서 양식을 제공하고,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웹 방식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획득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앱 방식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이다.
즉, 웹 사이트 운영부(410)는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40)를 운영하고,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40)에 웹 접속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 안전점검서 양식을 제공하고,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서 양식에 도 4와 같이,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웹 방식으로 획득한다. 또한, 웹 사이트 운영부(41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으로 획득한다.
상기 안전점검서 처리부(420)는 웹 방식 또는 앱 방식으로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생성하고,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생성한 안전점검서(1)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하고,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점검요청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점검요청자 정보에 해당하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생성한 안전점검서(1)를 직접 제공하거나 안전점검서(1)를 열람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20)을 방문하여 안전점검을 수행한 후,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를 통해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에 웹 방식 또는 앱 방식으로 제공하면, 상기 안전점검서 처리부(420)는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점검서(1)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안전점검서(1)에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점검서 처리부(420)는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생성한 안전점검서(1)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한다. 예를 들어,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AA 병원인 경우, 생성한 안전 점검서(1)를 AA 병원을 식별자로 하여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한다.
또한, 상기 안전점검서 처리부(420)는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점검 요청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점검요청자 정보에 해당하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생성된 안전 점검서(1)를 직접 제공하거나, 안전 점검서(1)를 열람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점검요청자가 안전점검서(1)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추출된 점검요청자가 AA 병원 원장인 경우, AA 병원 원장의 단말기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 점검서(1)를 직접 제공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점검요청자인 AA 병원 원장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 점검서(1)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점검 확인서 처리부(430)는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하면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안전점검회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회사 정보에 해당하는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고,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부터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 점검요청자 전자서명이 포함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가 제공되면, 안전점검 확인서 처리부(430)는 안전점검 확인서(2)로부터 안전점검회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회사 정보에 해당하는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한다.
또한,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부터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 점검요청자 전자서명이 포함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가 제공되면, 안전점검 확인서 처리부(430)는 안전점검 확인서(2)로부터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한다. 예를 들어,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AA 병원인 경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AA 병원을 식별자로 하여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한다.
상기 정보 DB(440)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가 저장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공공기관이 특정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요청하면, 해당 특정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관련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정보 DB(44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서(1)의 안전점검 결과정보와 안전점검자 전자서명이 추출된 안전점검 확인서(2)의 안전점검 결과정보와 안전점검자 전자서명과 상호 동일한지 판단하고, 동일하면 추출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해당 공공기관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공공기관이 안전점검 대상시설(20)인 AA 병원의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요청하면, 상기 정보 제공부(450)는 정보 DB(440)로부터 AA 병원을 식별자로 하는 도 4와 같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와 도 5와 같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의 안전점검 결과정보와 안전점검자 전자서명(예: 홍길동)이 상호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 제공부(450)는 추출된 AA 병원에 대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해당 공공기관(30)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공기관(30)이 중앙 플랫폼 서버(400)에 특정 안전점검 대상시설(20)의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요청하는 이유는, 해당 안전점검 대상시설(20)이 점검기준에 맞게 제때에 점검을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점검요청자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요청하면, 누적 저장된 해당 점검요청자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의 안전 점검서(1)에 기록된 점검 일자, 점검 내용을 기초 데이터로 하여 해당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또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통계정보 요청 시 제공한 공공기관이나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통계정보 제공부(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점검요청자의 안전점검 대상시설(20)에 대한 통계정보를 요청하는 이유는,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통해 점검요청자가 자신의 안전점검 대상시설(20)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과 점검요청자가 지정하는 공공기관이나 시스템으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설관리 통계정보가 요청된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태양광 발전 시설인 경우, 상기 통계정보 제공부(470)가 생성하는 시설관리 통계정보는 날씨에 따른 발전량 변화율, 시간에 따른 발전량 변화율, 발전량 대비 소모량에 대한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정보 DB(440)에 안전점검 대상시설 별로 저장되는 안전점검서(1) 또는 안전점검 확인서(2)를 이용하여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파악하고,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관리하는 안전점검회사의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와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보유한 점검요청자의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 점검 처리부(4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는 긴급 점검이 필요한 대상시설 정보와 긴급 점검 사항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안전점검 대상시설은 법에서 정한 점검 주기(이년에 한번, 년에 한번, 년에 두 번 등)에 맞게 정기적인 안전점검을 받게 된다.
점검 주기에 따른 정기 점검 시, 문제가 발견되면 후술하는 보수 이벤트 처리부(480)의 기능에 의해 해당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보수하게 되어, 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점검 주기 사이에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문제가 생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긴급 점검 처리부(470)는 정보 DB(440)에 안전점검 대상시설 별로 저장되는 안전점검서(1) 또는 안전점검 확인서(2)를 이용하여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안전점검서(1) 또는 안전점검 확인서(2)에 있는 점검 내용과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사고 발생이 예상되어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파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안전점검서(1) 또는 안전점검 확인서(2)에 있는 점검 내용과 보수 관련 특이사항은 문자(텍스트)로 기재되어 있으며, 긴급 점검 프로그램이 탑재된 인공지능 AI를 통해 문자(텍스트)로 기재 된 점검 내용과 보수 관련 특이사항을 판독하고, 판독한 내용이 긴급 점검 사항에 해당하면 긴급 점검 사항이 발생한 대상시설을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로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파악되면, 긴급 점검이 필요한 해당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관리하는 안전점검회사의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와 긴급 점검이 필요한 해당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보유한 점검요청자의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는 긴급 점검이 필요한 대상시설 정보와 긴급 점검 사항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10)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보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보수 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견적서 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여 안전점검 대상설비(20)에 대한 보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수업체 단말기(500)가 본 발명에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에 탑재된 제2 전용 앱(310)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 점검서(1)를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 점검서(1)에 점검요청자의 전자서명 정보와 보수 요청 체크 정보가 입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 요청 체크가 있는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해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또한, 보수 요청 체크가 있는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 후,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견적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점검요청자가 입력한 선정 보수업체 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하는 안전점검 확인서(2)에 보수 요청이 체크 되어 있는 경우,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보수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보수 관련 특이사항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보수 관련 특이사항 정보를 보수 관련 정보로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로 제공하여 견적을 요청하고, 보수업체 단말기(500)들이 제공한 견적서 정보를 보수를 요청한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선정 보수업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선정 보수업체 정보에 해당하는 보수업체 단말기(500)로 선정 사실을 통보하는 보수 이벤트 처리부(4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의 제2 전용 앱(310)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도 4와 같은 안전 점검서(1)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점검서(1)에 점검요청자의 전자서명 정보(예 : 김철수)와 보수 요청 체크 정보(예 : 보수요청 ∨)가 입력되면, 보수 요청 체크가 있는 전자서류 형식의 도 5와 같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해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여 해당 안전점검 대상설비(20)에 대한 보수를 요청하게 된다.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하는 안전점검 확인서(2)에 보수 요청이 체크 되어 있는 경우, 중앙 플랫폼 서버(400)의 보수 이벤트 처리부(480)는 점검요청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보수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보수 관련 특이사항 정보를 추출한다.
도 5를 예를 들면, 안전점검 확인서(2)에 보수 요청이 체크 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수 이벤트 처리부(480)는 소방설비인 스프링 쿨러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보수 관련 특이사항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어서 추출된 보수 관련 특이사항 정보인 소방설비인 스프링 쿨러의 교체를 보수 관련 정보로 소방 관련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에 제공하여 해당 소방설비인 스프링 쿨러의 교체에 대한 견적을 요청하게 된다.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들이 소방설비인 스프링 쿨러의 교체에 대한 견적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보수 이벤트 처리부(480)는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들이 제공한 견적 정보들을 취합한 도 7과 같은 견적서 정보를 보수를 요청한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에 탑재된 제2 전용 앱(310)은 점검요청자가 견적서 정보를 이용해 특정 보수업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특정 보수업체를 선정 보수업체 정보(도 7의 경우 보수업체 F)로 중앙 플랫폼 서버(400)에 제공한다.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선정 보수업체 정보를 제공하면, 보수 이벤트 처리부(480)는 선정 보수업체 정보에 해당하는 보수업체 단말기(500)(도 7의 경우 보수업체 F의 보수업체 단말기)로 선정 사실을 통보하여 소방설비인 스프링 쿨러의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전자서류, 웹 또는 앱 방식)
100 : 안전점검자 단말기
200 : 안전점검회사 단말기
300 : 점검요청자 단말기
400 : 중앙 플랫폼 서버
500 : 보수업체 단말기

Claims (11)

  1.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다수의 안전점검자 단말기(100)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안전점검회사가 관리하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별로 분류 저장하는 다수의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에 대한 점검요청자의 확인이 있는 경우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하여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다수의 점검요청자 단말기(300)와;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제공하면 제공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 관련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생성하여 해당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면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해당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중앙 플랫폼 서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에 웹 접속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 안전점검서 양식을 제공하고,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웹 방식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획득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앱 방식으로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로부터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획득하는 웹 사이트 운영부(410)와,
    웹 방식 또는 앱 방식으로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이용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생성하고,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생성한 안전점검서(1)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하고, 획득된 안전점검 결과정보에서 점검요청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점검요청자 정보에 해당하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생성한 안전점검서(1)를 직접 제공하거나 안전점검서(1)를 열람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점검서 처리부(420)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하면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안전점검회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회사 정보에 해당하는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제공하고,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여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한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정보 DB(440)에 저장 처리하는 안전점검 확인서 처리부(430)와,
    안전점검 대상시설 정보를 식별자로 하는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가 저장되는 정보 DB(44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점검서 처리부(420)가 생성하는 안전점검서(1)에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 결과정보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내용은 전기 관련 안전점검 내용, 소방 관련 안전점검 내용, 시설물 관련 안전점검 내용, 시설물 구조 관련 안전점검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는,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운영하는 안전점검 관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 안전점검서 양식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안전점검서 양식에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웹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자 단말기(100)는,
    제1 전용 앱(110)이 탑재되고, 상기 제1 전용 앱(110)은,
    화면에 안전점검서 양식을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점검서 양식에 안전점검자가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정보를 앱 방식으로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는 제2 전용 앱(310)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전용 앱(310)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직접 제공하는 경우, 제공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점검서(1)에 점검요청자의 전자서명 정보가 입력되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해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거나,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열람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된 링크 정보를 점검요청자가 선택하면, 해당 링크를 통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획득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점검서(1)에 점검요청자의 전자서명 정보가 입력되면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해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전용 앱(310)이 생성하는 안전점검 확인서(2)에는 안전점검 대상시설, 점검요청자, 안전점검회사,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안전점검자 전자서명, 보수 관련 특이사항에 관한 정보, 점검요청자 전자서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공공기관이 특정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요청하면, 해당 특정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관련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정보 DB(44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안전점검서(1)의 안전점검 결과정보와 안전점검자 전자서명이 추출된 안전점검 확인서(2)의 안전점검 결과정보와 안전점검자 전자서명과 상호 동일한지 판단하고, 동일하면 추출된 안전점검서(1)와 안전점검 확인서(2)를 해당 공공기관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점검요청자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요청하면,
    누적 저장된 해당 점검요청자의 안전점검 대상시설의 안전점검서(1)에 기록된 점검 일자, 점검 내용을 기초 데이터로 하여 해당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설관리 통계정보를 점검요청자 단말기(300) 또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통계정보 요청 시 제공한 공공기관이나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통계정보 제공부(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정보 제공부(460)는,
    시설관리 통계정보가 요청된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태양광 발전 시설인 경우,
    상기 시설관리 통계정보는 날씨에 따른 발전량 변화율, 시간에 따른 발전량 변화율, 발전량 대비 소모량에 대한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정보 DB(440)에 안전점검 대상시설 별로 저장되는 안전점검서(1) 또는 안전점검 확인서(2)를 이용하여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파악하고,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관리하는 안전점검회사의 안전점검회사 단말기(200)와 긴급 점검이 필요한 안전점검 대상시설을 보유한 점검요청자의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긴급 점검 처리부(4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점검 이벤트 정보는 긴급 점검이 필요한 대상시설 정보와 긴급 점검 사항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보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보수 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견적서 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는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는 제2 전용 앱(310)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전용 앱(310)은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한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서(1)를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안전점검서(1)에 점검요청자의 전자서명 정보와 보수 요청 체크 정보가 입력되면 보수 요청 체크가 있는 전자서류 형식의 안전점검 확인서(2)를 생성해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고, 중앙 플랫폼 서버(400)가 견적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점검요청자가 입력한 선정 보수업체 정보를 중앙 플랫폼 서버(400)로 제공하고,
    상기 중앙 플랫폼 서버(400)는,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제공하는 안전점검 확인서(2)에 보수 요청이 체크 되어 있는 경우, 안전점검 대상시설에 대한 보수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점검 확인서(2)에서 보수 관련 특이사항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보수 관련 특이사항 정보를 보수 관련 정보로 다수의 보수업체 단말기(500)로 제공하여 견적을 요청하고, 보수업체 단말기(500)들이 제공한 견적서 정보를 보수를 요청한 점검요청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점검요청자 단말기(300)가 선정 보수업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선정 보수업체 정보에 해당하는 보수업체 단말기(500)로 선정 사실을 통보하는 보수 이벤트 처리부(4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20210112861A 2021-08-26 2021-08-26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KR102420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61A KR102420878B1 (ko) 2021-08-26 2021-08-26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61A KR102420878B1 (ko) 2021-08-26 2021-08-26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878B1 true KR102420878B1 (ko) 2022-07-14

Family

ID=8240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861A KR102420878B1 (ko) 2021-08-26 2021-08-26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80B1 (ko) * 2023-05-15 2023-10-30 (주) 중흥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16562B1 (ko) *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엔서치랩 관리 시설물 운영 관리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195B1 (ko) 2010-08-24 2011-12-14 박기주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KR101403465B1 (ko) 2012-05-16 2014-06-03 (주) 일아아이티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KR20160116370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키스톤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 및 모니터링 통합 시스템
KR101712563B1 (ko) 2015-04-10 2017-03-07 (주)다울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20200009738A (ko) * 2018-07-20 2020-01-30 토탈하우징케어 협동조합 가정 내 소규모 설비 유지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7605A (ko) * 2018-08-02 2020-02-19 이기배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00099670A (ko) * 2019-02-15 2020-08-25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현장 점검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195B1 (ko) 2010-08-24 2011-12-14 박기주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KR101403465B1 (ko) 2012-05-16 2014-06-03 (주) 일아아이티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KR20160116370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키스톤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 및 모니터링 통합 시스템
KR101712563B1 (ko) 2015-04-10 2017-03-07 (주)다울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20200009738A (ko) * 2018-07-20 2020-01-30 토탈하우징케어 협동조합 가정 내 소규모 설비 유지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7605A (ko) * 2018-08-02 2020-02-19 이기배 소방관리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KR20200099670A (ko) * 2019-02-15 2020-08-25 (주)새움소프트 아파트 현장 점검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80B1 (ko) * 2023-05-15 2023-10-30 (주) 중흥 범용성을 갖는 스마트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16562B1 (ko) * 2023-08-10 2023-12-21 주식회사 엔서치랩 관리 시설물 운영 관리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baka et al. A holistic framework for building critical infrastructure resilience
Lin et al. Stochastic post-disaster functionality recovery of community building portfolios I: Modeling
Khazai et al. Resilience Performance Scorecard: Measuring urban disaster resilience at multiple levels of geography with case study application to Lalitpur, Nepal
He et al. A process mining approach to improve emergency rescue processes of fatal gas explosion accidents in Chinese coal mines
Anderson et al. A risk-based input–output methodology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the August 2003 northeast blackout
Scholz et al. Rapid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of primary health care facilities–a relevant instrument for health care systems management
CN102496087A (zh) 使用计算机技术的hse管理系统及其应用
KR102420878B1 (ko) 안전점검정보 관리 플랫폼 시스템
Matheson et al.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for HIV care and treatment in Haiti: an assessment of system use and the impact of large-scale disruptions
Yan et al. ISS-an electronic syndromic surveillance system for infectious disease in rural China
Yan et al. Establishing a web-based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infectious disease epidemic in rural China: a field experimental study
Holmner et al. Climate change and eHealth: a promising strategy for health sector mitigation and adaptation
Oke et al. Influe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on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Zamuda et al. Monetization methods for evaluating investments in electricity system resilience to extreme weather and climate change
WO2015153290A1 (en) Computer system for catastrophic event management
Luther et al.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concerted international efforts for advancing multi-hazard early warning systems
Özkan et al. Evaluation of Asian countries using data center security index: a spherical fuzzy AHP-based EDAS approach
US201401364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ustomer profile based on history of service
Lorenzi et al. Community based emergency response
McInerney et al. Evaluating the safety and patient impacts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mmand centre in acute hospital care: a mixed-methods protocol
Adekugbe et al. Harnessing data insights for crisis management in us public health: lessons learned and future directions
Uddin et 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outhwestern Indiana
Arvidsson et al.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mapping and analysing cascading effects of flooding events
CN102005006A (zh) 基于信用评级系统的多项目合同管理方法
Chan et al. Outbreak Response: Public health surveillance for the Toronto 2015 Pan/Parapan American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