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492B1 -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492B1
KR100734492B1 KR1020060102561A KR20060102561A KR100734492B1 KR 100734492 B1 KR100734492 B1 KR 100734492B1 KR 1020060102561 A KR1020060102561 A KR 1020060102561A KR 20060102561 A KR20060102561 A KR 20060102561A KR 100734492 B1 KR100734492 B1 KR 10073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data
remote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to KR102006010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부터 얻어진 동영상, 음성,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며 원격지에서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관련 제어를 실시간 쌍방향 통신을 하여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할 수 있는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상하수도처리장 및 펌프의 동작 상태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펌프의 동작유무 및 유량, 압력등을 감지하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의 엔진 회전수, 전압, 주파수, 냉각수 온도 및 오일 압력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전동모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음계측정센서부와,
측정된 음계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와,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와,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현장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들의 시동 및 종료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발전동작부와,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와,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의 전동모터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의 온/오프 상태, 고장여부 및 펌프들의 시동/종료, 전압, 회전수, 주파수, 온도, 압력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 및 전동모터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통제수단과;
상기 현장통제수단의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현장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의 동작,정지, 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전동모터의 시동/종료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 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상하수도처리시스템 운영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펌프 감시 카메라의 영상 및 전동모터들의 시동/종료 상태, 상기 감지센서부 및 음계측정센서부로부터의 수신되는 현재 상태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펌프의 조작명령 및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각종 센서에 의해 파악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변수들인 펌프를 동작시키기 전에 현장여건을 효과적으로 파악한 후 원격지에서 비상방송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 및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현재 동작상태 및 감지상태등을 원격지에서 제어 및 감시를 할 수 있으며 비상 사태 발생시 감시자에게 전화하는 자동콜 시스템과 펌프와 전동모터에 각각 부여되어 있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현장제어장치로 하여금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보내주는 전송해독장치에 의해 펌프의 조치 및 전동모터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이고 고전압의 위험요소 및 원격지에서 차 단기를 제어할 수 있어 지락,과부하, 누전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모터의 동작에 따른 내부의 소음을 감지하고 소정의 음계범위로 측정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조한 후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소로 보내고 중앙관리소의 PC로 원격소에서 보내온 음계를 받아 주파수 변조파형을 윈도우화면상에 나타내고 일정주파수 이상의 음계가 수신되면 비상 상태로 표현하여 화면에 비상상태를 주파수 파형으로 표시하고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자체 모터 동작을 차단하여 모터의 과열로 인한 화재 또는 기기들의 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음계측정, 카메라, 펌프, 전동모터,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Description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a Remote Control System For water supply and drainage handling }
도1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영상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데이터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음성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음계측정센서부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현장통제수단 110 : 감시카메라
120 : 감지센서부 130 : 스피커
140 : 음계측정센서부 150 :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
160 :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 170 : 접점개폐장치
180 : 발전동작부 190 : 현장제어장치
200 : 제어수단 210 : 데이터해독장치
211 : 데이터비교부 212 : 마이컴
220 : 통합제어장치 230 :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
231 : 비디오 카드부 232 : 오디오카드부
233 : 디지털데이터 출력부 234 : 아날로그데이터 출력부
235 : 비상신호처리부 236 : 보안전원컨트롤부
237 : 알지비모니터카드부 238 : 컬러순차화면출력부
239 : 데이터분리부 240 : 허브
241 : 엠펙인코딩/디코딩부 242 : 중앙제어부
243 : 코덱부 244 : 분석표시부
250 : 모니터링장치 300 : 원격제어수단
310 : 중앙관리서버 320 : 비상콜장치
400 : 제어실 500 : 원격제어실
600 : 현장 610 : 펌프
본 발명은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부터 얻어진 동영상, 음성,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며 원격지에서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관련 제어를 실시간 쌍방향 통신을 하여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할 수 있는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펌프를 동작시키거나 전동모터들의 엔진상태 및 작동 상태들을 현장에서 직접 수동으로 컨트롤러를 제어함으로 인해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현장사무소까지 가서 위급한 상황을 처리해야 했으므로 신속한 사고 처리가 어려웠고 비록 현장에 왔더라도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면밀히 분석한 후 사태 수습을 함으로 인한 사고처리의 시간이 지연되었다.
또한, 상수도처리시스템 혹은 하수도처리시스템등의 펌프 모터 구동시 유경험자들이 현장에서 동작 상태를 소리를 듣고 베어링의 상태 모터의 회전소리를 듣 고 임펠러등에 이물질 등이 속도를 저해하는가 등을 체크하는데 이는 현장에 누군가가 있어야 하므로 원격지에서 이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미 알려진 모터의 제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상태 및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백열등 혹은 발광다이오드로 표시를 하고 있어 모터의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가 지락, 과부하, 누전등의 원인에 의해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 현장까지 직접가서 원인을 분석하고 조치를 취하여 신속한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여 컴퓨터와 시스템 전송 장치들 간에 쌍방향 통신을 통해서 원격감시 및 제어를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사고 대책과 사고원인을 빠르게 알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 인명피해 및 고전압으로부터의 위험요소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비상콜기능과 펌프 및 전동모터 관리의 보안유지 및 원격감시 제어 구축을 보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모터의 동작에 따른 내부의 소음을 감지하고 소정의 음계범위로 측정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조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소로 보내고 중앙관리소의 PC로 원격소에서 보내온 음계를 받아 주 파수 변조 파형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상하수도처리장 및 펌프의 동작 상태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펌프의 동작유무 및 유량, 압력등을 감지하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의 엔진 회전수, 전압, 주파수, 냉각수 온도 및 오일 압력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전동모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음계측정센서부와,
측정된 음계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와,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와,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현장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들의 시동 및 종료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발전동작부와,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와,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의 전동모터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의 온/오프 상태, 고장여부 및 펌프들의 시동/종료, 전압, 회전수, 주파수, 온도, 압력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 및 전동모터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통제수단과;
상기 현장통제수단의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현장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의 동작,정지, 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전동모터의 시동/종료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상하수도처리시스템 운영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펌프 감시 카메라의 영상 및 전동모터들의 시동/종료 상태, 상기 감지센서부 및 음계측정센서부로부터의 수신되는 현재 상태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펌프의 조작명령 및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현장제어장치는
실시간으로 펌프들의 상태 및 전동모터들의 상태를 원격제어실 및 감시자에게 호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현장제어장치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의 동작/정지, 전동모터의 시동/종료 및 감지상태, 비상 콜등을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는,
상기 현장제어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RS-485통신 방식을 채택하며 코드부여가 되어있는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데이터를 펄스폭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는,
펌프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거나 전동모터의 시동/동작/정지에 관한 제어를 위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의 비상신호처리부는,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문자메세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 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계측정센서부는
전동모터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부와,
음계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고정부와,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설정된 주파수보다 10KHz이상 대의 소음을 차단하는 주파수필터링부와,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데시벨을 측정하는 콘덴서음계측정부를 포함하여 구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는,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와,
음계값을 설정하는 상한값설정부와,
음계초과 횟수를 설정하는 초과치설정부와,
음계초과치를 카운트하는 초과치카운터와,
소정의 카운터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SMS메세지를 발생하는 SMS발생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컨트롤장치에서 얻어진 모든 영상, 음성, 데이터 정보들을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고 원격제어수단에서 이 정보를 분석하여 상하수도처리시스템에 있는 제어를 실시간 동영상으로 보고 들으면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동모터의 동작에 따른 내부의 소음을 감지하고 소정의 음계범위로 측정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조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제어수단로 보내고 원격제어수단의 PC로 원격소에서 보내온 음계를 받아 주파수 변조 파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지락, 과부하등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차단기가 오프되면 원격제어수단 혹은 제어수단에서 배전반에 있는 차단기를 온시킬 수 있으며 누전, 단선에 의해 발생된 문제점의 경우에는 비상콜, 메세지 송출을 통해 현장에 있는 관리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자가 항시 상주함으로서 생기는 시 간 및 경비 절약이 가능하고 비상사태 발생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고정 IP를 갖춘 컴퓨터와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카메라와 전동모터의 주변기기간에 쌍방향 통신을 하도록 통합제어장치(220)와 현장제어장치(190)내에 모듈을 가지고 있으며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의 동작/정지, 긴급메세지신호, 전동모터의 시동/종료, 전압, 회전수, 주파수, 온도, 압력등을 원격지 혹은 네트워크상에서 이를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상사태 발생하면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의 비상신호처리부(235)를 통해 현장측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콜이 작동하여 감시자1로 만약 감시자1이 없으면 감시자2로 다시 감시자N에게로 긴급상황을 전화로 알려줄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220)는 RS-485통신을 채택하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노이즈 방지를 위해서 로우신호(LOW SIGNAL)을 스타트비트로 하여 코드부여가 되어있는 현장제어장치(190)에게 자신의 고유 번호를 알려주고 그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펄스폭으로 보내게 되어 이를 현장제어장치(190)가 확인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한 후 자신의 상태를 또다시 통합제어장치(220)로 보내면 운 영소프트웨어나 모니터로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확한 제어와 동시에 원격감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운영소프트웨어와 통합제어장치(220)간에 서로 통신하고 원격에서 보내는 영상 신호 혹은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그 신호를 데이터해독장치(210)에서 해독하여 펌프(610)의 동작, 정지, 리셋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전동모터의 시동/종료/동작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190)로 보낸다. 그럼 현장제어장치(190)는 다시 자신의 위치 상태를 다시 피드백(FEEDBACK)한다.
각기 고유번호가 부여된 현장제어장치(190)가 장착된 펌프(610)에 감시카메라(110)와 원격제어실(500)에서 보내는 음성신호가 증폭되는 스피커(130)와 비상콜장치(320)가 각각 설치된 현장(600)의 제어실(400)에는 영상감시 및 제어기, 펌프제어기, 방송통제기, 전원제어기, 발전제어기를 구비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조작하고 현장제어장치(190)는 펌프측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개폐장치(170)로부터 제어상태를 입력받아서 이를 RS-485방식의 통합제어장치(220)에 보내면 제어실(400)에 설치된 통합제어장치(220)는 이를 해독하여 기기의 상태와 현장의 상태, 수위의 측정정도, 시설물의 보호 영상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DVR이 갖춰진 컴퓨터로 보내진 자료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마이크 및 음성신호 증폭기가 갖춰진 제어용 컴퓨터로 원격제어실(500)에서 직접 제어 하거나 원격제어실(500)에서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원격제어는 지정된 원격제어실(500) 이외의 네트워크망이 연결된 어느 컴퓨터에서도 인증절차를 거치게 되면 제어가 가능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현장통제수단(100)과 제어수단(200)과 원격제어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은,
각각의 상하수도처리장 및 펌프의 동작 상태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1과 카메라N과,
펌프의 동작유무 및 유량, 압력등을 감지하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의 엔진 회전수, 전압, 주파수, 냉각수 온도 및 오일 압력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1과 감지센서부N과,
전동모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음계측정센서부1과 음계측정센서부N과,
측정된 음계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1과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N과,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1과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N과,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1과 접점개폐장치N과,
현장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들의 시동 및 종료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발전동작부1과 발전동작부N과,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1과 스피커N과,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의 전동모터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의 온/오프 상태, 고장여부 및 펌프들의 시동/종료, 전압, 회전수, 주파수, 온도, 압력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 및 전동모터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1과 현장제어장치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은 상기 제어수단(200)과의 송수신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며 또한, 원격제어수단(300)과도 유선 혹은 무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하다.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은 한개 이상의 펌프와 전동 모터에 따라 각각 존재하므로 한개 이상의 현장통제수단(100)이 필요하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의 현장제어장치(19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210)와, 상기 현장제어장치(190)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210)로 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의 동작,스탑 및 전동모터의 제어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190)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100) 및 원격제어수단(300)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220)와, 유,무선 인터넷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와, 펌프의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격제어수단(300)은,
상기 제어수단(2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펌프와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310)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장제어장치(190)는 실시간으로 펌프의 상태 및 전동모터의 상태를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 및 감시자에게 호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현장제어장치(190)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펌프의 동작/정지, 비상 콜, 전동모터의 현재 상태등을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접점개폐장치(170)는 상용전원을 상시적으로 충전하였다가 사용하며 상용전원의 고장시 대체용으로 배터리 혹은 지역의 특성상 태양열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해독장치(210)는 상기 현장제어장치(190)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211)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한 전송매체로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현장제어장치(190)와 전송하고 해독하는 통합제어장치(220)가 있다.
상기 현장제어장치(190)는 현장의 펌프(610)의 동작 정지 상태 및 고장여부상태를 파악하며 전동모터들의 시동/종료, 전압, 회전수, 주파수, 온도, 압력 등의 상태파악을 하고 정확한 위치의 장치제어가 되었는지를 감시 제어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펌프(610)의 상태를 제어실(400)이나 감시자에게 이를 호출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바탕으로 데이터해독장치(210)에게 데이터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를 통합제어장치(220)가 받아서 처리한다.
데이터해독장치(210)는 상기 현장제어장치(19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211)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데이터 충돌을 방지함에 따른 호환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마이컴(212)을 내장하고 있는데, 마이컴(212)은 기존 데이터와 충돌하지 않는 동작을 하며 원격감시제어가 가능하도록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발전동작부(180)는 현장제어장치(190)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전동모터들의 시동 및 종료 제어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소수력발전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231)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232)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235)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236)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239)와,
전력 제어 혹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240)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241)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242)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점개폐장치(170)는 예컨대 동작, 스탑, 리셋등의 동작 신호를 주어 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236)는 접점개폐장치(170)의 전원만 제어하게 되며 또한 전동모터의 컨트롤 상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통제하게 된다. 즉, 관리자이외의 접근을 원천 봉쇄하기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작 실행이후 전원 오프도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오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안전원컨트롤부(236)에서 접점개폐장치(170)를 오프할 경우에는 상기의 접점개폐장치(170)가 동작 실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는 영상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을 엔코딩 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제어실로 보내는 코덱장치와 연결하여 송수신한다. 상기 코덱장치란 음성 또는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장치를 말하며, 코덱 장치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은 웹상에서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하는 것은 보안상에 접점개폐장치(170)의 컨트롤 및 전동모터의 컨트롤등이 해킹된다면 관리자이외의 접근을 원천봉쇄할 수 없게되어 원치않는 사고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평상시에는 상기 비상전원 컨트롤부(236)의 파워를 오프시켜놓은 상태이고, 파워를 오프한 상태에서는 접점개폐장치(170) 및 전동모터의 컨트롤이 불가능하게 되며 관리자만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하여 파워를 온시킴으로써 접점개폐장치(170) 및 전동모터의 컨트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보안 메카니즘은 단순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된다.
이와같은 절차는 원격 제어실 이외에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지 관리자가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활용을 일실시예로 설명하자면, 만약 감지센서부(120)에서 감지를 하다가 변화가 생기게 되면 감지센서부(120)에서 신호를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허 브(240)를 통해 수신하여 신호를 혼합하고 중앙제어부(242)를 통해 코덱부(243)로 보내면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해당 펌프(610) 혹은 해당 전동모터의 동작 상태 화면을 디스플레이중인 모니터링장치(250)에서 해당 펌프 혹은 전동모터의 화면이 깜박거리거나 모니터링장치(250)들의 화면을 해당 펌프의 화면 혹은 해당 전동모터를 전체화면으로 와이드하게 보여주거나 비상신호벨(미도시)을 울림으로써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며 관리자가 화면제어신호를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로 보내면 팬,틸트,줌 신호를 감시카메라(110)에 주어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전동모터의 시동/종료/동작 제어 신호를 주게 된다. 상기 관리자가 비디오카드부(231)로 받은 영상신호를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를 통해 모니터링장치(250)로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또한 전동모터들의 시동/동작/정지, 동작 상태에 따른 엔진 회전수, 전압, 주파수, 냉각수 온도 및 오일 압력등의 각종 정보를 분석표시부(244)에서 분석하여 모니터링장치(25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비디오카드부(23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D.V.R장치 혹은 원격지에 있는 중앙관리서버(3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문 및 터빈을 여는 구동 모터 제어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250)의 디스플레이 순서 및 문제 발생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해당 관리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급작스러운 긴급한 상황 발생시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비상신호처리부(235)를 통해 처리하고 비상콜장치(320)에서 PSTN망을 통해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관리자 혹은 감시자 및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을 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영상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를 조작할 경우에 중앙제어부(242)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에서 팬,틸트,줌 정보를 해당 감시카메라(110)에 주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감시카메라(110)에서 포착된 영상신호를 비디오카드부(231)에서 엠펙4로 변환하여 중앙제어부(242)에 보내게 되면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후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를 거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상기 비디오카드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하나이상의 지역에서 오는 영상신호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241)를 통해 압축한 후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데이터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를 조작할 경우에 중앙제어부(242)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에서 펌프의 동작유무 정보를 해당 접점개폐장치(170)에 주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중앙제어부(242)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감지센서부로부터 감지되는 주파수, 엔진속도, 오일압력, 냉각수 온도, 각상의 전압레벨 및 전류등의 정보를 토대로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에서 발전동작부로 신호를 보내어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접점개폐장치(170)의 개폐정보 혹은 전동모터의 현재상태 정보등을 리모트 지역 혹은 로컬 지역에 위치한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보내면 허브(240)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해독장치(210)를 거쳐 데이터를 해독한 후 중앙제어부(242)로 보내어 처리하며 해당 펌프의 동작유무 정보 혹은 전동모터의 현재상태 정보등을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를 거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하나이상의 지역에서 오는 데이터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음성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중앙제어부(242)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에서 음성 정보를 해당 현장스피커(130)에 주어 비상 신호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현장에 있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리모트 지역 혹은 로컬 지역에 위치한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보내면 중앙제어부(242)로 보내어 처리하며 해당 펌프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관리자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해당 펌프의 음성 신호를 듣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음성 데이터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241)를 통해 압축한 후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음계측정센서부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계측정센서부(140)는,
전동모터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부(141)와,
음계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고정부(142)와,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설정된 주파수보다 10KHz이상 대의 소음을 차단하는 주파수필터링부(143)와,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데시벨을 측정하는 콘덴서음계측정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흡음부는 흡음부재로 이뤄지고 공지기술에 한한다.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10KHz를 대상으로 주파수를 고정하게 된다면 10KHz 부근의 소음만이 측정의 대상이 된다.
상기의 전동모터 내부 혹은 전동모터의 하부 일측면에 음계측정센서부를 설치 부착하는데, 이때 음계측정센서부의 음계측정 주파수는 주파수고정부를 통하여 설정하게 되는 데 예를 들면 대역을 10KHz에 맞추어 자동차의 경적소리, 사람의 음성신호등의 20Hz이하 혹은 20KHz이상의 주파수는 주파수필터링부를 통하여 차단하고 전동기 또는 기기의 dB을 콘덴서음계측정부(사운드 칩)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상기 측정된 음계값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는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150)에서 행하게 된다.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150)는 공지기술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에 한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 구성도이다.
다음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에 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160)는,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161)와,
음계값을 설정하는 상한값설정부(162)와,
음계초과 횟수를 설정하는 초과치설정부(163)와,
음계초과치를 카운트하는 초과치카운터(164)와,
소정의 카운터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SMS메세지를 발생하는 SMS발생부(165)와,
전송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66)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166)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는 바람직하게는 중앙관제소에 설치되는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15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로상에 리피터 혹은 모뎀, 그 밖에 다른 컴퓨터등의 여러가지 장치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훼손하지 아니한다.
한편, 전송된 데이터는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에서 가공되어 바람직하게는 막대그래프등의 형태로 변환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즉, 전송된 데이터는 가공되어 도레미파솔라시와 같이 소정의 음계범위로 변환하여 음향장치를 통하여 운영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는 임계치로서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16KHz를 상한값으로 설정하면 16KHz를 초과하게 되면 화면에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초과된 횟수가 카운터되어 초과치카운터에 저장된다.
초과되는 횟수는 중간에 정상적인 신호로 귀환되면 다시 '0'으로 셋팅되게 된다.
따라서, 연속되는 초과치가 아니면 비상신호는 발생되지 아니한다.
즉, 전동모터의 이상은 일정기간 연속적인 이상신호에서만 발생하는 것이지 일시적인 것은 전동모터의 이상동작에 해당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임계초과치의 횟수도 설정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3회로 설정하면 임계치를 3회 이상 연속적으로 초과하면 원격감시컴퓨터는 비상신호를 발하게 된다.
비상신호시에는 디스플레이 전체가 깜박하게 하며, 즉시 SMS문자메세지를 생성하여 관련 운영자의 핸드폰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시스템적인 접근으로서 해당모터로 가는 전원을 차단하게 하는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중앙관제소에 설치되는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의 상한값설정부(162)에 설정값을 16KHz대 이상은 체크하여 비상으로 간주한다고 설정한 상태에서 만약 16KHz대 이상의 신호가 도면에 제시한 대로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전동모터에 Do 신호를 보내고 현장의 전동모터 전자릴레이(미도시)를 제어하여 전동모터의 동작을 스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드백을 통한 쌍방향 통신을 갖추고 있고 또한, 종래 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해서 구성하여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사고 대책을 위해서 갖춘 비상사태 자동 콜 기능은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조정에 있어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관리자이외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 조작의 접근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인증절차를 거치므로 보안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이용하면
각종 센서에 의해 파악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변수들인 펌프를 동작시키기 전에 현장여건을 효과적으로 파악한 후 원격지에서 비상방송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 및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현재 동작상태 및 감지상태등을 원격지에서 제어 및 감시를 할 수 있으며 비상 사태 발생시 감시자에게 전화하는 자동콜 시스템과 펌프와 전동모터에 각각 부여되어 있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현장제어장치로 하여금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보내주는 전송해독장치에 의해 펌프의 조치 및 전동모터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이고 고전압의 위험요소 및 원격지에서 차단기를 제어할 수 있 어 지락,과부하, 누전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모터의 동작에 따른 내부의 소음을 감지하고 소정의 음계범위로 측정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조한 후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소로 보내고 중앙관리소의 PC로 원격소에서 보내온 음계를 받아 주파수 변조파형을 윈도우화면상에 나타내고 일정주파수 이상의 음계가 수신되면 비상 상태로 표현하여 화면에 비상상태를 주파수 파형으로 표시하고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자체 모터 동작을 차단하여 모터의 과열로 인한 화재 또는 기기들의 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한다는 것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0)

  1.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상하수도처리장 및 펌프의 동작 상태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펌프의 동작유무 및 유량, 압력등을 감지하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의 엔진 회전수, 전압, 주파수, 냉각수 온도 및 오일 압력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전동모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검출하도록 설치되는 음계측정센서부와,
    측정된 음계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와,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와,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을 제어하는 접점개폐장치와,
    현장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펌프를 동작시키는 전동모터들의 시동 및 종료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발전동작부와,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에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와,
    상기 음계측정데이터변환부를 통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각각의 하수도처리장 혹은 상수도처리장의 전동모터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의 온/오프 상태, 고장여부 및 펌프들의 시동/종료, 전압, 회전수, 주파수, 온도, 압력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 및 전동모터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통제수단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현장통제수단의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현장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펌프의 동작,정지, 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전동모터의 시동/종료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상하수도처리시스템 운영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펌프 감시 카메라의 영상 및 전동모터들의 시동/종료 상태, 상기 감지센서부 및 음계측정센서부로부터의 수신되는 현재 상태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펌프의 조작명령 및 전동모터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음계측정데이터제공부는,
    데이터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와,
    음계값을 설정하는 상한값설정부와,
    음계초과 횟수를 설정하는 초과치설정부와,
    음계초과치를 카운트하는 초과치카운터와,
    소정의 카운터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SMS메세지를 발생하는 SMS발생부와,
    상기 각 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펌프나 밸브의 온/오프 접점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계측정센서부는
    전동모터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부와,
    음계측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주파수고정부와,
    상기 주파수고정부에서 설정된 주파수보다 10KHz이상 대의 소음을 차단하는 주파수필터링부와,
    전동모터에서 발생하는 데시벨을 측정하는 콘덴서음계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10. 삭제
KR1020060102561A 2006-10-20 2006-10-20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3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561A KR100734492B1 (ko) 2006-10-20 2006-10-20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561A KR100734492B1 (ko) 2006-10-20 2006-10-20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492B1 true KR100734492B1 (ko) 2007-07-03

Family

ID=3850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561A KR100734492B1 (ko) 2006-10-20 2006-10-20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492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28B1 (ko) * 2008-07-24 2009-03-27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펌프장 침수 예상 경보시스템
KR100990362B1 (ko) * 2010-01-12 2010-10-29 파워테크주식회사 지역별 데이터 수집ㆍ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통합 관리시스템
KR100989805B1 (ko) * 2010-05-07 2010-10-29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상수도 송수계통의 펌프와 배수지 간의 연계제어장치
KR101119984B1 (ko) 2009-03-30 2012-03-1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중계펌프 원격감시제어 유지관리 시스템
KR101171836B1 (ko) * 2012-04-17 2012-08-14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
CN102662385A (zh) * 2012-05-30 2012-09-12 王春伟 一种远程水井测控系统及测控方法
KR101219192B1 (ko) 2011-11-25 2013-01-09 (주) 휴스 오지 수리시설물의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CN103292693A (zh) * 2013-01-31 2013-09-11 王录民 一种粮仓仓容实时监测系统
KR101308076B1 (ko) *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센서기반 오감 정보를 이용한 수리시설물의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322339B1 (ko) * 2012-02-10 2013-10-28 주식회사 광명전기 환경기초시설용 다이렉트 동적감시관리장치 및 방법
KR101382627B1 (ko) * 2012-11-21 2014-04-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돈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가축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4729618A (zh) * 2015-01-27 2015-06-24 新疆维吾尔自治区粮油科学研究所 粮仓粮食传感装置、粮仓储粮数量的测量装置和测量方法
KR20150125146A (ko) *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대영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1805843B1 (ko) * 2013-10-04 2017-12-07 (주)대산이엔씨 전원제어장치를 이용한 원격 수문 계장 제어 시스템
KR20190096203A (ko) 2018-02-08 2019-08-19 한국도로공사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CN110361983A (zh) * 2019-08-26 2019-10-22 甘肃陇昊电气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供水远程网络自动化控制系统
KR102419037B1 (ko) *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KR102587293B1 (ko) 2022-09-30 2023-10-10 이강백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155A (ko) * 2000-10-16 2002-04-24 양태열 펌프장의 원격 제어 시스템
JP2003278122A (ja) 2002-03-22 2003-10-02 Hitachi Ltd 津波及び/または高潮警報時の閉門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40107360A (ko) * 2003-06-13 2004-12-20 안종율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050009586A (ko) * 2003-07-18 2005-01-25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기기 구동부 음향원격 점검장치
KR20060026723A (ko) * 2004-09-21 2006-03-24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펌프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원격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155A (ko) * 2000-10-16 2002-04-24 양태열 펌프장의 원격 제어 시스템
JP2003278122A (ja) 2002-03-22 2003-10-02 Hitachi Ltd 津波及び/または高潮警報時の閉門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40107360A (ko) * 2003-06-13 2004-12-20 안종율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050009586A (ko) * 2003-07-18 2005-01-25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기기 구동부 음향원격 점검장치
KR20060026723A (ko) * 2004-09-21 2006-03-24 신한일전기주식회사 펌프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원격제어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28B1 (ko) * 2008-07-24 2009-03-27 삼일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펌프장 침수 예상 경보시스템
KR101119984B1 (ko) 2009-03-30 2012-03-1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중계펌프 원격감시제어 유지관리 시스템
KR100990362B1 (ko) * 2010-01-12 2010-10-29 파워테크주식회사 지역별 데이터 수집ㆍ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통합 관리시스템
WO2011087278A2 (ko) * 2010-01-12 2011-07-21 파워테크주식회사 지역별 데이터 수집ㆍ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통합 관리시스템
WO2011087278A3 (ko) * 2010-01-12 2011-11-24 파워테크주식회사 지역별 데이터 수집ㆍ기록 장치를 이용한 시설물 통합 관리시스템
KR100989805B1 (ko) * 2010-05-07 2010-10-29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상수도 송수계통의 펌프와 배수지 간의 연계제어장치
KR101219192B1 (ko) 2011-11-25 2013-01-09 (주) 휴스 오지 수리시설물의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308076B1 (ko) * 2011-12-28 2013-09-12 (주) 휴스 센서기반 오감 정보를 이용한 수리시설물의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1322339B1 (ko) * 2012-02-10 2013-10-28 주식회사 광명전기 환경기초시설용 다이렉트 동적감시관리장치 및 방법
KR101171836B1 (ko) * 2012-04-17 2012-08-14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마을 상수도 시스템의 원격 관리 방법
CN102662385A (zh) * 2012-05-30 2012-09-12 王春伟 一种远程水井测控系统及测控方法
KR101382627B1 (ko) * 2012-11-21 2014-04-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돈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가축 축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3292693B (zh) * 2013-01-31 2015-12-23 王录民 一种粮仓仓容实时监测系统
CN103292693A (zh) * 2013-01-31 2013-09-11 王录民 一种粮仓仓容实时监测系统
KR101805843B1 (ko) * 2013-10-04 2017-12-07 (주)대산이엔씨 전원제어장치를 이용한 원격 수문 계장 제어 시스템
KR20150125146A (ko) * 2014-04-29 2015-11-09 주식회사 대영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1639975B1 (ko) * 2014-04-29 2016-07-15 주식회사 대영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CN104729618A (zh) * 2015-01-27 2015-06-24 新疆维吾尔自治区粮油科学研究所 粮仓粮食传感装置、粮仓储粮数量的测量装置和测量方法
KR20190096203A (ko) 2018-02-08 2019-08-19 한국도로공사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CN110361983A (zh) * 2019-08-26 2019-10-22 甘肃陇昊电气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供水远程网络自动化控制系统
KR102419037B1 (ko) *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KR102587293B1 (ko) 2022-09-30 2023-10-10 이강백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492B1 (ko)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36877B1 (ko)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553032B1 (ko) 소수력발전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US6975220B1 (en) Internet based security, fire an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8396446B2 (en) Two way voice communication through GSM with alarm communication
CN102063116B (zh) 楼宇信息综合管理系统及方法
JP3910178B2 (ja) 監視システム
US20020005894A1 (en) Internet base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US7733376B2 (en) Remot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draining floodgate of seawall
CN201965477U (zh) 楼宇信息综合管理系统
CN106128006A (zh) 无线火灾报警通信系统
KR100472081B1 (ko)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RU2554549C2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домофон
KR200205015Y1 (ko) 방범 시스템 가입자용 양방향 무선 단말장치
KR100579144B1 (ko) 보안 기능 및 비상콜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원격감시 및제어장치
KR100820951B1 (ko) 음향 측정 수단을 이용한 재난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CN204348013U (zh) 一种门窗用被动红外探测的防盗报警监控装置
KR20010077720A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KR100815208B1 (ko)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KR20070010554A (ko) 실시간 비상벨 보안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보안감시방법
JP2003187355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3676874A (zh) 变电站一体化综合监控系统
KR20000063233A (ko) 감시장치, 원격감시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4171186A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