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360A -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360A
KR20040107360A KR1020040025515A KR20040025515A KR20040107360A KR 20040107360 A KR20040107360 A KR 20040107360A KR 1020040025515 A KR1020040025515 A KR 1020040025515A KR 20040025515 A KR20040025515 A KR 20040025515A KR 20040107360 A KR20040107360 A KR 20040107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ata
remote
uni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081B1 (ko
Inventor
안종율
Original Assignee
안종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율 filed Critical 안종율
Publication of KR2004010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방조제 배수갑문의 동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며 쌍방향 통신을 하여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할 수 있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배수갑문에 내수면과 해수면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배수갑문의 개폐정도 및 수위, 유량, 압력, 우량등을 감지하여 감지량에 해당하는 소량의 전위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부와,
각각의 배수갑문의 내수면과 해수면측에 분리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수문의 개폐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수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개폐장치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배수갑문의 열고 닫힘 상태 및 고장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배수갑문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통제수단과;
상기 현장통제수단의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현장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배수갑문의 업,다운,스탑,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배수갑문의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배수갑문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수문개폐장치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배수갑문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이용하면
각종 센서에 의해 파악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변수들인 배수갑문을 열고 닫기전 내수면수로나 해수면수로에서 정박한 선박이나 조업중인 선박, 어패류 채취인등과 같은 피사체등의 현장여건을 효과적으로 파악한 후 원격지에서 비상방송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비상 사태 발생시 감시자에게 전화하는 자동콜 시스템과 배수갑문에 각각 부여되어 있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현장제어장치로 하여금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보내주는 전송해독장치에 의해 배수갑문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이고 농업 용수 이용의 문제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a Remote Control System For Drainage to Seewall}
본 발명은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방조제 배수갑문의 동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며 양방향 통신을 하여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할 수 있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방조제의 배수갑문의 수위를 측정하거나 배수갑문을 개폐하는데 있어서는 현장에서 직접 수동으로 컨트롤러를 제어함으로 인해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현장사무소까지 가서 위급한 상황을 처리해야 했으므로 신속한 사고 처리가 어려웠고 비록 현장에 왔더라도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면밀히 분석한 후 사태 수습을 함으로 인한 사고처리의 시간이 지연되었다.
일반적으로 댐이나 보에는 배수갑문을 설치하고, 배수갑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장치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배수갑문을 열거나 닫아서 저수량을 조절하고 이를 통하여 물관리를 하고 있다. 과거에는 배수갑문에 조절핸들을 설치하여 조절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배수갑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수동방식을 많이 채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모터와 기어유닛 또는 유압피스톤 장치 등을 이용하여 배수갑문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자동방식이라 하더라도 종래에는 모터 등을 구동하는 제어판넬이 수리시설 현장에 설치되어 있어, 배수갑문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수문 관리자가 일일이 현장까지 직접 가서 제어판넬의 스위치를 조작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집중 호우 및 폭우에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수문 원격제어시스템의 유형중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89321호인 원격조정 수문 개폐 시스템은 삐삐호출신호를 단방향에 의해 수신하므로 수문이 설치된 지역에 수신기를 두어 수문관리자의 개폐조작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모터 제어할 수 있으나 수문관리자가 현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 수 없으며, 전화키에 의한 수문조작으로 수문의 개폐 동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삐삐호출신호는 단방향 통신수단이기 때문에, 수문이 설치된 지역에 삐삐수신기를 두어 수문 관리자의 개폐조작 명령을 무선 송신하여 모터제어를 통한 수문개폐를 제어할 수는 있지만, 반대로 수문 관리자가 각 수문이 현재 어느 정도 열려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문개폐의 제어에 있어서 수문 관리자가 각 수문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볼 수 없고 전화기의 키를 이용하여 수문개폐 정보를 발생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문이 여러 개일 경우 전체 수문에 대한 개폐조작을 위해서는 하나씩 차례로 개폐명령을 내려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문 원격제어시스템의 유형중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997-0049594호인 원격 수문조작 시스템은 호출기를 수문마다 장착하는 것과 중계장치간은 단파 무선통신을 설치해 중계장치와 조작자는 전화 통신으로 연결하며, 중계장치는 수문조작방법과 현재의 수문상태를 음성으로 조작자에게 알려주며, 조작자는 전화키로 조작명령을 내려 수문을 조작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여러 수문에 대한 병렬적인 제어가 불가능하며 각 수문마다 현재의 개폐를 조작한 다음 그 결과를 다시 듣는 등의 절차를 반복하는 이유로 수문의 개폐 조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문 원격제어시스템의 유형중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2001-0047206호인 구내용 디지탈가입자회선모뎀을 이용한 무인 원격감시/통제시스템은 구내전화선을 이용해 원격지를 네트워크 환경으로 구축하고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카메라 신호의 전송 및 출입제어 및 각종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각종 외부환경요소에 맞춰 배수갑문을 조작해야 하지만 기상이나 간만차 또는 외부의 환경여건에 따라 수문 조작을 결정해야 하는 배수갑문의 조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수문 원격제어시스템의 유형중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2002-0002137호인 컴퓨터를 이용한 가동보 수문의 원격 감시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제어장치는 수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수단, 각 수문별로 수문개폐센서, 구동전원공급부, 상기 수문개폐센서로부터 전기신호를 획득하여 컴퓨터로 전송된 각 수문별 개방율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개방율 정보에 의해 상기 가동보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관리자 컴퓨터를 구비하여 원격지가동보시설의 수문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보원격감시 제어장치가 제공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한 수문의 개방율 정보와 각종 환경센서로부터 정보를 획득한 다음 원격으로 제어를 하지만 배수갑문이 설치된 내수면과 해수면의 환경을 상세히 획득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말하자면, 각종 센서에 의해 파악되지 않은 물체들이 배수갑문을 열고닫기전 내수면수로나, 해수면수로에서 정박한 선박이나 조업중인 선박, 어패류 채취인등과 같은 피사체등이 있는 경우를 상기와 같은 각종 환경 센서들에 의해서는 효과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방조제 배수갑문의 동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며 쌍방향 통신을 하여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할 수 있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수갑문에 내수면과 해수면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배수갑문의 개폐정도 및 수위, 유량, 압력, 우량등을 감지하여 감지량에 해당하는 소량의 전위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부와,
각각의 배수갑문의 내수면과 해수면측에 분리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수문의 개폐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수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개폐장치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배수갑문의 열고 닫힘 상태 및 고장여부 상태를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배수갑문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통제수단과;
상기 현장통제수단의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현장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배수갑문의 업,다운,스탑,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배수갑문의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배수갑문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수문개폐장치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배수갑문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여 컴퓨터와 시스템 전송 장치들 간에 쌍방향 통신을 통해서 원격감시제어를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사고 대책과 사고원인을 빠르게 알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배수갑문이 설치된 장소에 농업용수와 인명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비상콜기능과 배수갑문의 개폐관리의 보안유지 및 원격감시 제어 구축을 보완함으로써 종래의 배수갑문 시스템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사용 배치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대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영상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데이터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음성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현장통제수단 110 : 감시카메라
120 : 감지센서부 130 : 스피커
140 : 수문개폐장치 150 : 현장제어장치
200 : 제어수단 210 : 데이터해독장치
211 : 데이터비교부 212 : 마이컴
220 : 통합제어장치 230 :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
231 : 비디오 카드부 232 : 오디오카드부
233 : 디지털데이터 출력부 234 : 아날로그데이터 출력부
235 : 비상신호처리부 236 : 보안전원컨트롤부
237 : 알지비모니터카드부 238 : 컬러순차화면출력부
239 : 데이터분리부 240 : 허브
241 : 엠펙인코딩/디코딩부 242 : 중앙제어부
243 : 코덱부 250 : 모니터링장치
300 : 원격제어수단 310 : 중앙관리서버
320 : 비상콜장치 400 : 제어실
500 : 원격제어실 600 : 현장
610 : 배수갑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각각의 배수갑문에 내수면과 해수면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배수갑문의 개폐정도 및 수위, 유량, 압력, 우량등을 감지하여 감지량에 해당하는 소량의 전위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부와,
각각의 배수갑문의 내수면과 해수면측에 분리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수문의 개폐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수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개폐장치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배수갑문의 열고 닫힘 상태 및 고장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배수갑문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통제수단과;
상기 현장통제수단의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현장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배수갑문의 업,다운,스탑,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배수갑문의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배수갑문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수문개폐장치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배수갑문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사용 배치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기 고유번호가 부여된 현장제어장치(150)가 장착된 배수갑문(610)에 내수면수위표(WL1)와 해수면수위표(WL2)를 각각 부착한 채 내수면과 해수면 각각의 배수갑문에는 감시카메라1,2(110,115)와 원격제어실(500)에서 보내는 음성신호가 증폭되는 스피커(130,135)와 비상콜장치(320)가 각각 설치된 현장(600)의 제어실(400)에는 영상감시 및 제어기, 배수갑문제어기, 방송통제기, 전원제어기를 구비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조작하고 현장제어장치(150)는 배수갑문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문개폐장치(140)로부터 제어상태를 입력받아서 이를 RS-485방식의 통합제어장치(220)에 보내면 제어실(400)에 설치된 통합제어장치(220)는 이를 해독하여 기기의 상태와 현장의 상태, 수위의 측정정도, 시설물의 보호 영상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DVR이 갖춰진 컴퓨터로 보내진 자료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마이크 및 음성신호 증폭기가 갖춰진 제어용 컴퓨터로 원격제어실(500)에서 직접 제어 하거나 원격제어실(500)에서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원격제어는 지정된 원격제어실(500) 이외의 네트워크망이 연결된 어느 컴퓨터에서도 인증절차를 거치게 되면 제어가 가능하다.
도2는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대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한 전송매체로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현장제어장치(150)와 전송하고 해독하는 통합제어장치(220)가 있다.
상기 현장제어장치(150)는 현장의 배수갑문(610)의 열고 닫힘 상태 및 고장여부상태를 파악하고 정확한 위치제어가 되었는지를 감시 제어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배수갑문(610)의 상태를 제어실(400)이나 감시자에게 이를 호출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바탕으로 데이터해독장치(210)에게 데이터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데이터를 통합제어장치(220)가 받아서 처리한다.
데이터해독장치(210)는 상기 현장제어장치(15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211)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데이터 충돌을 방지함에 따른 호환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마이컴(212)을 내장하고 있는데, 마이컴(212)은 기존 데이터와 충돌하지 않는 동작을 하며 원격감시제어가 가능하도록 회로를 내장하고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고정 IP를 갖춘 컴퓨터와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카메라와 주변기기간에 쌍방향 통신을 하도록 통합제어장치(220)와 현장제어장치(150)내에 모듈을 가지고 있으며 카메라, 렌즈, 등기구, 수문개폐, 긴급메세지신호등을 원격지 혹은 네트워크상에서 이를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상사태 발생하면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의 비상신호처리부(255)를 통해 현장측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콜이 작동하여 감시자1로 만약 감시자1이 없으면 감시자2로 다시 감시자N에게로 긴급상황을 전화로 알려줄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220)는 RS-485통신을 채택하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노이즈 방지를 위해서 로우신호(LOW SIGNAL)을 스타트비트로 하여 코드부여가 되어있는 현장제어장치(150)에게 자신의 고유 번호를 알려주고 그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펄스폭으로 보내게 되어 이를 현장제어장치(150)가 확인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한 후 자신의 상태를 또다시 통합제어장치(220)로 보내면 운영소프트웨어나 모니터로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확한 제어와 동시에 원격감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운영소프트웨어와 통합제어장치(220)간에 서로 통신하고 원격에서 보내는 영상 신호 혹은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서 가 그 신호를 데이터해독장치(210)에서 해독하여 배수갑문(610)의 업 또는 다운, 정지, 리셋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150)로 보낸다. 그럼 현장제어장치(150)는 다시 자신의 위치 상태를 다시 피드백(FEEDBACK)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현장통제수단(100)과 제어수단(200)과 원격제어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은,
상기 각각의 배수갑문에 내수면과 해수면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1과 감시카메라N(110)과,
배수갑문의 개폐정도 및 수위, 유량, 압력, 우량등을 감지하여 감지량에 해당하는 소량의 전위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부1과 감지센서부N(120)과, 각각의 배수갑문의 내수면과 해수면측에 분리 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1과 스피커N(130)과,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수문의 개폐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수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개폐장치1과 수문개폐장치N과,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배수갑문의 열고 닫힘 상태 및 고장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220)로 송신하며 배수갑문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210)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110)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1과 현장제어장치N(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은 상기 제어수단(200)과의 송수신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며 또한, 원격제어수단(100)과도 유선 혹은 무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하다.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은 한개 이상의 배수갑문수에 따라 각각 존재하므로 한개 이상의 현장통제수단(100)이 필요하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현장통제수단(100)의 현장제어장치(15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210)와, 상기 현장제어장치(150)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210)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배수갑문의 업,다운,스탑,리셋 기능에 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150)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100) 및 원격제어수단(300)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220)와, 유,무선 인터넷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와, 배수갑문의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격제어수단(300)은,
상기 제어수단(200)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배수갑문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310)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장제어장치(150)는 실시간으로 배수갑문의 상태를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 및 감시자에게 호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현장제어장치(150)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배수갑문 오픈/클로즈, 비상 콜등을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문개폐장치(140)는 상용전원을 상시적으로 충전하였다가 사용하며 상용전원의 고장시 대체용으로 배터리 혹은 지역의 특성상 태양열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해독장치(210)는 상기 현장제어장치(150)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211)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트컨트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은,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 카드부(231)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232)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235)와,
수문개폐장치의 보안을 유지하기위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236)와,
상기 비디오카드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와,
상기 비디오카드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와,
상기 원격제어수단(30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150)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비교부(239)와,
전력 제어 혹은 배수갑문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300)으로 보내는 허브(240)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241)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242)와,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3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수문개폐장치(140)는 예컨대 업,다운,스탑,리셋등의 동작 신호를 주어 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236)는 수문개폐장치(140)의 전원만 제어하게 된다. 즉, 관리자이외의 접근을 원천 봉쇄하기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작 실행이후 전원 오프도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오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안전원컨트롤부(236)에서 수문개폐장치(140)를 오프할 경우에는 상기의 수문개폐장치(140)가 동작 실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는 영상과 음성을 엔코딩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제어실로 보내는 코덱장치와 연결하여 송수신한다. 상기 코덱장치란 음성 또는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와 그 반대로 변환시켜 주는 디코더의 기능을 함께 갖춘 장치를 말하며, 코덱 장치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은 웹상에서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하는 것은 보안상에 수문개폐장치(140)의 컨트롤이 해킹된다면 관리자이외의 접근을 원천봉쇄할 수 없게되어 원치않는 사고로 이어질수 있기때문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평상시에는 상기 비상전원 컨트롤부(236)의 파워를 오프시켜놓은 상태이고, 파워를 오프한 상태에서는 수문개폐장치(140)의 컨트롤이 불가능하게되며 관리자만이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접근하여 파워를 온시킴으로써 수문개폐장치(140) 컨트롤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보안 메카니즘은 단순하면서도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된다.
이와같은 절차는 원격 제어실 이외에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지 관리자가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활용을 일실시예로 설명하자면, 만약 감지센서부(120)에서 감지를 하다가 내수면의 내수면 수위표(WL1)가 80M에서 85M로 변화가 되면 감지센서부(120)에서 신호를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허브(240)를 통해 수신하여 신호를 혼합하고 중앙제어부(242)를 통해 코덱부(243)로 보내면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해당 배수갑문(61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중인 모니터링장치(250)에서 해당 배수갑문의 화면이 깜박거리거나 모니터링장치(250)들의 화면을 해당 배수갑문의 화면으로 전체화면으로 와이드하게 보여주거나 비상신호벨(미도시)을 울림으로써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며 관리자가 화면제어신호를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로 보내면 팬,틸트,줌 신호를 감시카메라(110)에 주어 감시카메라를 제어한다. 상기 관리자가 비디오카드부(231)로 받은 영상신호를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를 통해 모니터링장치(250)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비디오카드부(23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D.V.R장치 혹은 원격지에 있는 중앙관리서버(3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이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관리자가 팬,틸트,줌 신호를 감시카메라(110)에 주어 내수면 수위표(WL1)의 변화를 직접 확인하고 판단하기에 비상사태라 판단된다면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보내면 중앙제어부(242)에서 판단하여 오디오카드부(232)를 통하여 처리된 음성신호를 현장에 있는 낚시꾼 혹은 어패류 채취인, 유람객등에게 도피 또는 안전을 위하여 해당 현장(600)에 있는 스피커(130)를 통해 음성 메세지와 비상 신호를 보내고 일정시간이 흐른후 배수갑문(610)을 열기위한 해당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중앙제어부(242)를 통해 판단후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에서 통합제어장치(220)로 조작 신호를 보내고 해당 현장에 있는 현장제어장치(150)에서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수문개폐장치(140)의 동작에 의해 배수갑문을 열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갑문을 여는 구동 모터 제어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250)의 디스플레이 순서 및 문제 발생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해당 관리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급작스러운 집중호우 및 폭풍등과 같은 긴급한 상황 발생시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230)의 비상신호처리부(235)를 통해 처리하고 비상콜장치(320)에서 PSTN망을 통해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관리자 혹은 감시자 및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을 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영상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를 조작할 경우에 중앙제어부(242)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디지털데이터출력부(233)에서 팬,틸트,줌 정보를 해당 감시카메라(110)에 주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감시카메라(110)에서 포착된 영상신호를 비디오카드부(231)에서 엠펙4로 변환하여 중앙제어부(242)에 보내게 되면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후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를 거쳐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상기 비디오카드부(23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하나이상의 지역에서 오는 영상신호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241)를 통해 압축한 후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데이터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를 조작할 경우에 중앙제어부(242)에서 조작 신호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에서 수문 개폐정보를 해당 수문개폐장치(140)에 주어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문개폐장치(140)의 개폐정보 혹은 현재상태정보등을 리모트 지역 혹은 로컬 지역에 위치한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보내면 허브(240)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해독장치(210)를 거쳐 데이터를 해독한 후 중앙제어부(242)로 보내어 처리하며 해당 배수갑문의 개폐정보 혹은 현재상태정보등을 알지비모니터카드부(237)를 거쳐 디스플레이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를 컬러순차화면출력부(238)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하나이상의 지역에서 오는 데이터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데이터를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의 이미지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음성 처리 신호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중앙제어부(242)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에서 음성 정보를 해당 현장스피커(130)에 주어 비상 신호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현장에 있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리모트 지역 혹은 로컬 지역에 위치한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로 보내면 중앙제어부(242)로 보내어 처리하며 해당 배수갑문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234)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관리자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해당 배수갑문의 음성 신호를 듣을 수 있는 것이다.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242)에서 처리한 음성 데이터를 엠펙인코딩/디코딩부(241)를 통해 압축한 후 코덱부(243)를 거쳐 원격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 영상 데이터를 보내어 원격지제어수단 또는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점선은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송신 신호를 의미하며, 실선은 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드백을 통한 쌍방향 통신을 갖추고 있고 또한, 종래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해서 구성하여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사고 대책을 위해서 갖춘 비상사태 자동 콜 기능은 배수갑문의 원격조정에 있어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보안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관리자이외의 배수갑문 조작의 접근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인증절차를 거치므로 보안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이용하면
각종 센서에 의해 파악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변수들인 배수갑문을 열고 닫기전 내수면수로나 해수면수로에서 정박한 선박이나 조업중인 선박, 어패류 채취인등과 같은 피사체등의 현장여건을 효과적으로 파악한 후 원격지에서 비상방송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비상 사태 발생시 감시자에게 전화하는 자동콜 시스템과 배수갑문에 각각 부여되어 있는 고유번호가 부여된 현장제어장치로 하여금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실시간으로 보내주는 전송해독장치에 의해 배수갑문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이고 농업 용수 이용의 문제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한다는 것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배수갑문의 개방을 원격감시,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배수갑문에 내수면과 해수면의 영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와,
    배수갑문의 개폐정도 및 수위, 유량, 압력, 우량등을 감지하여 감지량에 해당하는 소량의 전위를 발생하는 감지센서부와,
    각각의 배수갑문의 내수면과 해수면측에 분리설치되며 제어실 혹은 원격지 제어실에서 보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되는 스피커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조작명령에 대한 응답정보, 수문의 개폐상태정보, 수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동력을 발생시켜 수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수문개폐장치와,
    각각의 배수갑문에 설치되고 배수갑문의 열고 닫힘 상태 및 고장여부 상태를 파악하여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며 배수갑문의 조작명령을 수신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코드신호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해독장치에 코드신호 및 데이터를 보내며 감시 카메라와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현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통제수단과;
    상기 현장통제수단의 현장제어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원격감시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해독장치와,
    상기 현장제어장치에서 보내는 영상신호 및 코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로부터 해독한 데이터를 근거로 배수갑문의 업,다운,스탑,리셋 기능에대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현장제어장치로 보내며 현장통제수단 및 원격제어수단내의 고정 IP를 가지는 컴퓨터 및 제어기기 간의 쌍방향 통신을 하는 통합제어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 및 압축,복원,원격 카메라 제어 및 시스템 운영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와,
    배수갑문의 감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배수갑문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중앙관리서버와,
    비상상태 발생시 자동으로 현장에 있는 감시자 혹은 등록된 사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긴급상황을 알려주는 비상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는 감시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엠펙4 방식으로 압축시키는 비디오카드부와,
    마이크,앰프,스피커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카드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디지털데이터출력부와,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중앙제어부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순위 결정하여 D/A 변환을 한 후 그 결과를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들로 송출하는 아날로그데이터출력부와,
    출입통제 및 기기오동작의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된 관리자의 번호로 신호를 보내고 녹음된 메세지를 전달하는 비상신호처리부와,
    수문개폐장치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통제하는 보안전원컨트롤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키는 알지비모니터카드부와,
    상기 비디오 카드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며 4~16 분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컬러순차화면출력부와,
    상기 원격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현장제어장치로 보내어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분리부와,
    전력 제어 혹은 배수갑문 제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혼합하여 원격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허브와,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내의 모든 데이터를 압축,저장,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엠펙4 480/240F를 지원하는 엠펙인코딩/디코딩부와,
    이미지 리모트 컨트롤 장치내 각각의 부들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원격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원격제어수단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코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제어장치는
    실시간으로 배수갑문의 상태를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 및 감시자에게 호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제어장치를 통해 카메라, 렌즈, 등기구, 배수갑문 오픈/클로즈, 비상 콜등을 제어실 혹은 원격제어실에서 조회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해독장치는 상기 현장제어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비교부와,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며 전반적인 원격감시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RS-485통신 방식을 채택하며 코드부여가 되어있는 상기 현장제어장치에 통합제어장치의 제어 데이터를 펄스폭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전원컨트롤부는,
    수문개폐장치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킬때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2004-0025515A 2003-06-13 2004-04-13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472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591 2003-06-13
KR20030018591 2003-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360A true KR20040107360A (ko) 2004-12-20
KR100472081B1 KR100472081B1 (ko) 2005-03-14

Family

ID=3738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515A KR100472081B1 (ko) 2003-06-13 2004-04-13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08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538B1 (ko) * 2006-02-13 2006-09-15 한국농촌공사 물 수요 중심 용수 공급 시스템
KR100731301B1 (ko) * 2006-08-09 2007-06-21 주식회사 대영 배수갑문 배전반 전자제어장치
KR100734492B1 (ko) *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32115B1 (ko) * 2007-02-12 2008-05-27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웹 카메라, 압력스위치, 인디케이터를 이용한수문제어시스템
KR100903883B1 (ko) * 2007-10-01 2009-06-22 김상현 웹서버를 이용한 원격 수문 제어시스템
KR100921750B1 (ko) * 2009-03-31 2009-10-15 주식회사 대영 개방형 원격제어 장치
KR101104075B1 (ko) * 2011-07-13 2012-01-10 김종채 수문개폐장치의 무선제어시스템
KR101271253B1 (ko) * 2012-07-30 2013-06-07 (주) 휴스 수리시설물 통합관리를 위한 이기종 통합 관리시스템
KR101588664B1 (ko) * 2015-09-22 2016-01-25 주식회사 대영 중앙제어전용통합입출력수단을 이용한 원클릭 수리시설관리 자동화시스템
KR102134446B1 (ko) * 2020-01-13 2020-07-15 김성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0535A (ko) * 2019-10-04 2021-04-14 우일산업 주식회사 자율운전 가능한 수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84B1 (ko) 2009-04-09 2009-10-09 윤주섭 무인 완전자동화 하천수문 개폐시스템
KR101237525B1 (ko) 2012-07-30 2013-02-26 (주) 휴스 수리시설물 원격제어 화면에서의 동작 상태 알림시스템
KR20180050818A (ko) * 2016-11-07 2018-05-16 박종세 다목적 물꼬의 원격 수위 조절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538B1 (ko) * 2006-02-13 2006-09-15 한국농촌공사 물 수요 중심 용수 공급 시스템
KR100731301B1 (ko) * 2006-08-09 2007-06-21 주식회사 대영 배수갑문 배전반 전자제어장치
KR100734492B1 (ko) *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32115B1 (ko) * 2007-02-12 2008-05-27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웹 카메라, 압력스위치, 인디케이터를 이용한수문제어시스템
KR100903883B1 (ko) * 2007-10-01 2009-06-22 김상현 웹서버를 이용한 원격 수문 제어시스템
KR100921750B1 (ko) * 2009-03-31 2009-10-15 주식회사 대영 개방형 원격제어 장치
KR101104075B1 (ko) * 2011-07-13 2012-01-10 김종채 수문개폐장치의 무선제어시스템
KR101271253B1 (ko) * 2012-07-30 2013-06-07 (주) 휴스 수리시설물 통합관리를 위한 이기종 통합 관리시스템
KR101588664B1 (ko) * 2015-09-22 2016-01-25 주식회사 대영 중앙제어전용통합입출력수단을 이용한 원클릭 수리시설관리 자동화시스템
KR20210040535A (ko) * 2019-10-04 2021-04-14 우일산업 주식회사 자율운전 가능한 수문 시스템
KR102134446B1 (ko) * 2020-01-13 2020-07-15 김성렬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081B1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877B1 (ko)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472081B1 (ko)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US7733376B2 (en) Remot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draining floodgate of seawall
US8504103B2 (en) Cellular home security system
KR100734492B1 (ko)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553032B1 (ko) 소수력발전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US7486271B2 (en) Security system user interface with video display
US6975220B1 (en) Internet based security, fire and emergency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4052151B (zh) 变电站智能辅助综合监控与d5000综合联动平台
US20020005894A1 (en) Internet base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CN101620441A (zh) 通信机房监控系统
US20040036596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s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JP2002190079A (ja) 水門遠隔監視システム
CN1489116A (zh) 银行安防系统和方法
KR100579144B1 (ko) 보안 기능 및 비상콜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원격감시 및제어장치
JPH096414A (ja) 水門開閉装置
KR20140129762A (ko) Ip/sip/ims카메라, ip/sip/ims카메라가 구비된 사설보안시스템 및 사설보안시스템 제어방법
KR20010008215A (ko) 실시간동영상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방법과 그인터페이스장치
JP2005229320A (ja) 水門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935594B1 (ko) 구내 통신망을 이용한 아파트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FR2566942A1 (fr) Dispositif de telecontrole d'un ou de plusieurs ouvrages, et en particulier les parkings, pour en assurer la gestion, la surveillance et le controle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KR100743585B1 (ko) 웹카메라를 이용한 수문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233A (ko) 감시장치, 원격감시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50100811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공용건물의 원격 제어용 중앙 관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