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203A -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203A
KR20190096203A KR1020180015851A KR20180015851A KR20190096203A KR 20190096203 A KR20190096203 A KR 20190096203A KR 1020180015851 A KR1020180015851 A KR 1020180015851A KR 20180015851 A KR20180015851 A KR 20180015851A KR 20190096203 A KR20190096203 A KR 20190096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ield equipment
data
failure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316B1 (ko
Inventor
이진권
박종천
성영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주식회사이티테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8001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3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장비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장애 여부를 판단해서 현장 장비를 리셋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장장비와 통신하며 모니터링하는 관제센터서버를 포함한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장비와 통신하며 지정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모듈; 상기 데이터 측정모듈이 측정한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모듈; 상기 상태정보를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해서 상기 현장장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장애판단모듈; 상기 현장장비의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판단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해 리셋시키는 리셋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ITS DEVICE}
본 발명은 현장 장비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장애 여부를 판단해서 현장 장비를 리셋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정보, 통신, 제어 등의 기술을 교통체계에 접목시킨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이하 'ITS')은 온라인을 통해 원격에서 관리된다.
이를 위해 ITS 체계의 현장장비는 별도의 원격 관제센터서버와 연결되고, 관제센터서버는 ITS 현장장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유사시에는 장애 복구를 위한 해당 인력을 현장으로 급파하는 오더를 실행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관리 프로세스는 ITS 현장장비에 장애를 확인하면 작업자가 현장에 직접 방문해서 장애가 있는 장비를 보수해야 하므로, 작업자에게는 시간적으로나 업무적으로 불리함이 있었다.
더욱이 작업자가 현장에 방문하기 위해서는 스케쥴 편성과 방문 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므로, 해당 장애에 대응한 대처가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해당 지연 시간만큼 장비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중단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불편이 뒤따를 수밖에 없었다.
물론 관제센터서버가 이상이 발생한 ITS 현장장비를 체크해서 문제에 대응하는 기술은 이미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의 체크와 대응은 관리자가 일일이 체크해서 오더를 내려야 하는 수동성이 있으므로, ITS 현장장비에 발생한 문제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0734492호(2007.07.03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ITS의 현장 장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장비와의 통신 상태와 장애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유사시에는 해당 장비의 즉각적인 리셋 처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장장비와 통신하며 모니터링하는 관제센터서버를 포함한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장비와 통신하며 지정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모듈; 상기 데이터 측정모듈이 측정한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모듈; 상기 상태정보를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해서 상기 현장장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장애판단모듈; 상기 현장장비의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판단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해 리셋시키는 리셋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ITS 현장장비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현장장비와의 통신 상태와 장애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유사시에는 해당 현장장비의 즉각적인 리셋 처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 모습을 순차로 보인 플로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 모습을 순차로 보인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은, 현장장비(M1, M2, M3; 이하 'M')와 통신하며 모니터링하는 관제센터서버(200)를 포함한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장비(M)와 통신하며 지정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모듈(110); 데이터 측정모듈(110)이 측정한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모듈(120); 상기 상태정보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장애판단모듈(130); 현장장비(M)의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판단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해 리셋시키는 리셋모듈(140);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00, 100', 100"; 이하 '10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은, 도로 또는 기타 지역에 분산 설치되는 현장장비(M)에 각각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고, 관제센터서버(20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온라인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현장장비(M)와 통신하면서 유사시에 해당 현장장비(M)가 리셋하도록 구동하고, 관제센터서버(20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구동 이력을 모니터링한다.
본 실시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와 동작 사항을 실행 프로세스에 따라 순차로 설명한다.
S10; 데이터 측정 단계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현장장비(M)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지정된 데이터를 측정 및 수집한다. 본 실시는 지정된 데이터가 현장장비(M)의 통신 관련 데이터와 소비전류 데이터와 입출력 데이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현장장비(M)의 기능 등에 따라 데이터 측정모듈(110)이 측정하는 데이터는 다양할 수 있다.
S20; 상태정보 생성 단계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은, 데이터 측정모듈(110)이 측정한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 측정모듈(110)이 측정한 현장장비(M)와의 통신 상태 또는 실행 상태 등은 하나 이상의 수치 형식으로 데이터화할 수 있고, 이렇게 데이터화한 정보와 현장장비(M) 정보와 리모트 컨트롤러(100)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로 생성한다. 참고로, 현장장비(M)는 다른 현장장비와의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가 설정되고, 리모트 컨트롤러(100) 역시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와의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가 설정되며, 상태정보에는 상기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S30; 장애여부 판단 단계
장애판단모듈(130)은 상기 상태정보를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정보를 생성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태정보는 수치 형식의 데이터이므로, 상기 상태정보를 지정된 기준값과 비교해서 상기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 또는 이하의 수치이면, 해당 현장장비(M)가 정상 또는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은 다수 대상의 데이터를 상태정보로 생성할 수 있으므로,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다수의 상태정보를 상호 연산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유무에 대한 판단정보를 생성한다.
S40; 리셋 단계
리셋모듈(140)은, 현장장비(M)의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판단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해 리셋시킨다.
장애판단모듈(130)이 확인한 판단정보는 현장장비(M)의 장애 유무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판단정보를 수신한 리셋모듈(140)은 상기 판단정보를 리딩해서 현장장비(M)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현장장비(M)의 전원장치를 제어해서 리셋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정보를 리딩해서 현장장비(M)에 장애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판단정보를 무시하고 현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현장장비(M)와 지정된 시간을 간격으로 통신하면서 지정된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을 지속한다.
이후,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로그아웃하면 프로세싱을 종료하고, 장애 판단에 대한 작업을 속행하면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현장장비(M)와 통신하면서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및 측량한다.
본 실시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장애판단모듈(130)의 판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50); 저장모듈(150) 또는 장애판단모듈(130)로부터 판단정보를 수신하면 통신모듈(170)을 통해 관제센터서버(200)로 발신하는 제어모듈(16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통신모듈(170)의 통신은 인터넷 또는 이더넷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ITS의 통신체계는 이더넷 기반이므로, 본 실시의 시스템 역시 이더넷을 기반으로 현장장비(M)와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통신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관제센터서버(200)는 인터넷 또는 이더넷을 기반으로 통신한다.
본 실시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관제센터서버(200)에 판단정보를 전송해서, 관제센터서버(200)에서 현장장비(M)의 구동 상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관제센터서버(200)는 현장장비(M)의 상태와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자동 제어 등에 관한 이력 등을 파악 및 기록하고, 다수의 현장장비(M)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현장장비(M)에 핑테스트(Ping-Test)를 수행해서 핑데이터를 측정하고,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은 상기 핑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통신에 관한 상태정보로 생성한다.
본 실시의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현장장비(M)의 다양한 상태를 데이터로 수집하며, 예시로 핑테스트를 이용하여 핑데이터를 수집해 측정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핑테스트는 통신상태 확인을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현장장비(M)의 핑테스트를 통해 현장장비(M)의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핑데이터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리모트 컨트롤러(100)에 대한 핑테스트를 수행해서 제1핑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핑테스트모듈(111); 현장장비(M)에 대한 핑테스트를 수행해서 제2핑데이터를 측정하는 제2핑테스트모듈(1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의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현장장비(M)는 물론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통신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데, 제1핑테스트모듈(111)을 통해 자체적으로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현장장비(M)의 통신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은 상기 제1,2핑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고; 장애판단모듈(130)은, 상기 제1핑데이터를 연산해서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핑데이터를 연산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며; 리셋모듈(140)은, 장애판단모듈(130)의 판단정보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현장장비(M) 중 적어도 하나를 리셋시킨다.
이를 통해 본 실시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장애판단모듈(130)이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통신상태 불량을 현장장비(M)의 통신상태 불량으로 오판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현장장비(M)만을 반복적으로 리셋하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관리시스템에 구성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데이터 측정모듈(110")은, 현장장비(M)의 소비전류를 측정하는 소비전류 측정모듈(113)과, 현장장비(M)의 입출력데이터를 검출해 측정하는 입출력데이터 검출모듈(114)을 포함하고;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은 상기 소비전류와 입출력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고; 장애판단모듈(130)은, 현장장비(M)의 통신 상태, 전력상태 및 입출력 상태를 분석 및 연산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현장장비(M)는 데이터 처리의 오류 등을 이유로 정상적인 프로세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과부하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소비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현장장비(M)는 자체 손상 등을 이유로 동작이 정지되어서 소비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소비전류의 변화를 데이터 측정모듈(110")의 소비전류 측정모듈(113)이 측정하고,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은 소비전류 측정모듈(113)이 측정한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연산해서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물론 장애판단모듈(130)은 상기 상태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현장장비(M)는 지정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신호등의 경우 지정된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램프의 ON/OFF를 제어하는데, 기기오류 또는 외부 신호의 오수신 등을 이유로 현장장비(M)가 잘못된 입력신호를 수신해서 램프의 ON/OFF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데이터 오류를 데이터 측정모듈(110")의 입출력데이터 검출모듈(114)이 측정하고,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은 입출력데이터 검출모듈(114)이 측정한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연산해서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물론 장애판단모듈(130)은 상기 상태정보를 기준값과 비교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의 리모트 컨트롤러(100)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저장모듈(150)은 데이터 측정모듈(111, 111', 111"; 이하 '111')이 측정한 데이터와 상태정보 생성모듈(120)이 생성한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하고; 제어모듈(160)로부터 저장모듈(150)의 저장 정보를 수신한 관제센터서버(200)가, 해당 정보를 연산해서 장애 발생에 대한 장애확인데이터를 생성하고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발신하며; 장애판단모듈(130)은, 제어모듈(160)을 통해 수신한 상기 장애확인데이터의 수신 시점부터 임계시간 이전 사이에 현장장비(M)의 장애 발생에 관한 판단정보를 확인하면, 리셋모듈(140)을 통해 현장장비(M)가 리셋되도록 한다.
본 실시의 관제센터서버(20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제어모듈(160)로부터 수신한 현장장비(M)에 관한 측정 데이터, 생성정보, 판단정보 등을 연산해서 현장장비(M)의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현장장비(M)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관제센터서버(200)는 장애확인데이터를 생성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00)에 발신한다. 여기서 관제센터서버(200)는 지정된 리모트 컨트롤러(100)에게 장애확인데이터를 발신할 수도 있으나, 해당 구역에 위치한 다수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로 발신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장애확인데이터를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제어모듈(160)은 상기 장애확인데이터를 장애판단모듈(130)에 전달하고, 장애판단모듈(130)은 상기 장애확인데이터의 수신 시점부터 임계시간 이전 사이에 현장장비(M)의 장애 발생에 관한 판단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데이터 측정모듈(110)의 통신 주기인 5분이고 상기 임계시간이 5분이며 장애확인데이터의 수신 시점이 5시라고 하면, 장애판단모듈(130)은 5시의 5분 이전인 4시 55분부터 5시 사이에서 판단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판단정보 생성 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현장장비(M)의 장애를 정상적으로 감지해서 리셋 작업을 진행한 것이므로, 상기 장애확인데이터를 무시한다. 그러나 판단정보 생성 이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현장장비(M)의 장애를 감지하지 못하고 후속 대처를 하지 못한 것이므로,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장애판단모듈(130)은 상기 장애확인데이터에 따라 리셋모듈(140)을 제어해서, 관할하는 현장장비(M)가 리셋하도록 처리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100"; 리모트 컨트롤러 110; 데이터 측정모듈
111; 제1핑테스트모듈 112; 제2핑테스트모듈
113; 소비전류 측정모듈 114; 입출력데이터 검출모듈
120; 상태정보 생성모듈 130; 장애판단모듈
140; 리셋모듈 150; 저장모듈
160; 제어모듈 170; 통신모듈
200; 관제센터서버 M, M1, M2, M3; 현장장비

Claims (7)

  1. 현장장비와 통신하며 모니터링하는 관제센터서버를 포함한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장비와 통신하며 지정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모듈; 상기 데이터 측정모듈이 측정한 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모듈; 상기 상태정보를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해서 상기 현장장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장애판단모듈; 상기 현장장비의 전원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판단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장치를 제어해 리셋시키는 리셋모듈;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장애판단모듈의 판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저장모듈 또는 장애판단모듈로부터 판단정보를 수신하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발신하는 제어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측정모듈은 상기 현장장비에 핑테스트를 수행해서 핑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상태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핑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통신에 관한 상태정보로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측정모듈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핑테스트를 수행해서 제1핑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핑테스트모듈; 상기 현장장비에 대한 핑테스트를 수행해서 제2핑데이터를 측정하는 제2핑테스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제1,2핑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장애판단모듈은, 상기 제1핑데이터를 연산해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핑데이터를 연산해서 현장장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리셋모듈은, 상기 장애판단모듈의 판단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현장장비 중 적어도 하나를 리셋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측정모듈은, 상기 현장장비의 소비전류를 측정하는 소비전류 측정모듈과, 상기 현장장비의 입출력데이터를 검출해 측정하는 입출력데이터 검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생성모듈은 상기 소비전류와 입출력데이터를 프로세스에 따라 상태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장애판단모듈은, 상기 현장장비의 통신 상태, 전력상태 및 입출력 상태를 분석 및 연산해서 상기 현장장비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데이터 측정모듈이 측정한 데이터와 상기 상태정보 생성모듈이 생성한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저장모듈의 저장 정보를 수신한 상기 관제센터서버가, 해당 정보를 연산해서 장애 발생에 대한 장애확인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발신하며;
    상기 장애판단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수신한 상기 장애확인데이터의 수신 시점부터 임계시간 이전 사이에 현장장비의 장애 발생에 관한 판단정보를 확인하면, 상기 리셋모듈을 통해 상기 현장장비가 리셋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 시스템.
KR1020180015851A 2018-02-08 2018-02-08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10205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51A KR102051316B1 (ko) 2018-02-08 2018-02-08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51A KR102051316B1 (ko) 2018-02-08 2018-02-08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03A true KR20190096203A (ko) 2019-08-19
KR102051316B1 KR102051316B1 (ko) 2019-12-03

Family

ID=6780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51A KR102051316B1 (ko) 2018-02-08 2018-02-08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3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743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지.아이.티 원격감시제어장치의 전원 리셋을 이용한 장애복구 시스템및 검출방법
KR100734492B1 (ko)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JP2011142390A (ja) * 2010-01-05 2011-07-21 Hitachi Ltd 監視システムおよび障害通信機器判定方法
KR101736083B1 (ko) * 2017-02-17 2017-05-16 뉴코리아전자통신(주) NCICA 개방형 플랫폼모듈을 통한 현장기기 체크형 IoT 스마트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17219B1 (ko) * 2017-04-20 2018-01-1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743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지.아이.티 원격감시제어장치의 전원 리셋을 이용한 장애복구 시스템및 검출방법
KR100734492B1 (ko)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JP2011142390A (ja) * 2010-01-05 2011-07-21 Hitachi Ltd 監視システムおよび障害通信機器判定方法
KR101736083B1 (ko) * 2017-02-17 2017-05-16 뉴코리아전자통신(주) NCICA 개방형 플랫폼모듈을 통한 현장기기 체크형 IoT 스마트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17219B1 (ko) * 2017-04-20 2018-01-1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316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122B2 (en)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maintenance of a set of facilities
JP4762140B2 (ja) ループオーバライド付きプロセス装置、及び方法
CN102130784B (zh) 基于以太网的电源装置的通信错误监控系统及其方法
KR101817219B1 (ko)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US11262276B2 (en) Monitoring system
KR20170115596A (ko) 전기 소비를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448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KR101694370B1 (ko) 소비전류값을 이용한 손상된 led모듈 자동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51316B1 (ko)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US20060132321A1 (en) Universal equipment process monitor
JP5322581B2 (ja) 駅務システム
KR101625606B1 (ko) Cctv 관리 시스템
KR10079191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모듈용 테스터,노드모듈 테스트 방법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시스템의 원격감시장치
US65188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ine disconnection and a fire, and a fire alarm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91926B1 (ko) 자동화 설비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80081390A (ko) 가로등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KR101883672B1 (ko)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hmi 시스템
KR102504121B1 (ko) Qr코드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106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인식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0390706Y1 (ko) 통신용 정류기의 관리시스템
KR20020045148A (ko) 설비 감시 시스템
KR102344471B1 (ko) 데이지 체인 방식을 통한 스마트 eocr용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2365517B1 (ko) 지진 감지 정보 1 대 1 교환 시스템
KR20180060330A (ko) 산업용 보일러의 유지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