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219B1 -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219B1
KR101817219B1 KR1020170050907A KR20170050907A KR101817219B1 KR 101817219 B1 KR101817219 B1 KR 101817219B1 KR 1020170050907 A KR1020170050907 A KR 1020170050907A KR 20170050907 A KR20170050907 A KR 20170050907A KR 101817219 B1 KR101817219 B1 KR 10181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failure
module
plc
iot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동
이영달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장비가 제조사별 출력방식을 기 설정하여 저장한 후 연결된 PLC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에 따라 장애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구현 로직 및 코드를 갖는 다양한 PLC에 연동이 가능하여 연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IOT 장비가 PLC로부터 출력되는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PLC의 장애를 1차로 점검하되, 관제센터서버에서 해당 PLC의 장애 점검이 2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IOT 장비가 연결된 PLC의 리셋(Reset)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장애종류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PLC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발생 시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여 장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IOT 장비가 공지된 핑-테스트(Ping-test)를 이용하여 관제센터서버와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만약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자기 자신인 IOT 장비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IOT 장비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한 오류를 절감시켜 장애 복구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automatic fault sensing system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using IOT apparatus}
본 발명은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다양한 표준 및 규격에 대응하여 연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IOT 장비를 이용하여 장애를 신속하게 감지함과 동시에 장애 발생 시 장애를 정상상태로 신속하게 복구시켜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주차설비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출 및 주차를 안전하게 유도하여 주차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로서, 다량의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빌딩에 설치되어 주차 공간의 수량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차량 보급률이 증가하고, 도심이 확장됨에 따라 주차 공간 부족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기계식 주차설비가 대두됨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기계식 주차설비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구비하고, PLC는 각 구동부를 제어함과 센서들을 통해 파트별 로그정보 및 오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기계식 주차설비는 현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종 오염물, 전력부하, 통신부하, 환경 여건, 외부 충격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계식 주차설비의 장애는 인명사고 및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장애를 얼마나 신속하게 대응하는지는 주차설비의 성능에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장애 발생 시 시설관리자 또는 고객의 신고에 의하여 유지보수 업체가 현장으로 출동하여 장애 원인을 파악한 후 복구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애 인지, 신고, 접수, 현장출동 및 복구 작업 등으로 인한 시간이 과도하게 지체되어 신속성이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특히 심야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에는 장애 인지, 신고, 접수 및 현장 방문까지의 시간이 더욱 지체되어 고객의 편의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지된 원격 관리시스템을 기계식 주차설비 시스템에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원격 관리시스템이란, 원격 서버에서 관리대상인 특정 설비의 장애를 감지하며, 장애 발생 시 이를 유지보수업체로 신속하게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식 주차설비의 PLC는 구현 로직(Logic) 및 코드 등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조사에 따라 로직 및 코드 등이 다른 특성을 갖고, 이에 다라 원격 제어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연결대상인 해당 PLC의 로직 및 코드와 연동 가능하도록 장비 제작이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특정 장비에만 연동이 가능하여 연동성이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한편, 일반적으로 기계식 주차설비는 장애 발생 시 다양한 장애 원인 중 일시적인 부하로 인한 장애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이러한 일시적인 부하로 인한 장애는 해당 장비의 재부팅(리셋)을 통해 대부분의 복구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장애 발생 시 유지보수업체가 현장에 방문하더라도 단순히 해당 장비를 재부팅시키는 작업만으로 장애를 복구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 및 시간소모가 발행하며,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등록특허 제10-1693619호(발명의 명칭 :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에 개시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는 차량을 탑재하여 승하강하는 파렛트의 위치를 감지한 후 감지된 파렛트의 위치정보를 장애를 검출하며, 장애 검출 시 차량진입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는 장애 발생 시 장애를 원격에서 인지하는지에 대한 구성과, 원격에서 장애를 인지하는 경우 장애를 어떻게 정상상태로 복구시키는지에 대한 구성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술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0734492호(발명의 명칭 :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각종 데이터들을 감지 및 측정하는 감지수단(101-1), ..., (101-N)들과, 감지수단들(101-1), ..., (101-N)들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통합제어장치로 송신하는 현장제어장치(103)들과, 현장제어장치(103) 및 후술되는 중앙관리서버(107)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중개하는 통합제어장치(104) 및 리모트컨트롤장치(105)와, 리모트컨트롤장치(105)로부터 전송받은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리모트컨트롤장치(105)로 송신하는 중앙관리서버(10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에 이미지리모트컨트롤장치(105)로부터 얻어진 동영상, 음성,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며 원격지에서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관련 제어를 실시간 쌍방향 통신을 하여 기기 제어를 원격지에서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기계식 주차설비에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기계식 주차설비의 PLC에 적용된다고 가정할 때, 각 파트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입력받아 중앙관리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현장제어장치(103)를 PLC에 연동하기 위한 방법 및 기술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설치대상인 기계식 주차설비의 PLC의 로직 및 코드에 맞춰 설계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연동성이 떨어지며, 제조 및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만약 통합제어장치 자체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해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통합제어장치를 리셋 시키는 작업으로 장애를 복구시킬 수 있으나, 종래기술(100)은 통합제어장치 자체의 통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전혀 감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현장제어장치의 장애라고 잘못된 판단을 하여 장애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IOT 장비가 제조사별 출력방식을 기 설정하여 저장한 후 연결된 PLC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에 따라 장애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구현 로직 및 코드를 갖는 다양한 PLC에 연동이 가능하여 연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IOT 장비가 PLC로부터 출력되는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PLC의 장애를 1차로 점검하되, 관제센터서버에서 해당 PLC의 장애 점검이 2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IOT 장비가 연결된 PLC의 리셋(Reset)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장애종류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PLC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발생 시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여 장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IOT 장비가 공지된 핑-테스트(Ping-test)를 이용하여 관제센터서버와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만약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자기 자신인 IOT 장비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IOT 장비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한 오류를 절감시켜 장애 복구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IOT 장비가 관제센터서버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탐색주기(T) 동안 장애가 발생된 적이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탐색주기(T) 동안 장애가 발생된 적이 없으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인 IOT 장비로 결정함으로써 IOT 장비가 자신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해 장애를 검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인 재부팅을 통해 이를 신속하게 해결 및 대응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기계식 주차설비들의 장애를 신속하게 복구시키기 위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며, 차량의 입출 및 주차를 수행하는 기계식 주차설비들;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연결되며,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여부를 검출하며, 장애검출 시 기 설정된 출력방식에 따라 장애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들; PLC의 구현 로직Logic) 및 코드로 정의되는 출력방식이 제조사별로 매칭된 모델테이블과, 각 출력방식에 대한 장애종류별 신호패턴 데이터가 매칭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PLC들 각각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연결된 PLC의 리셋(Reset)을 제어하는 IOT 장비들을 포함하고, 상기 IOT 장비들은 최초 설치 시 상기 모델테이블을 탐색하여 연결된 PLC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을 설정하는 표준설정모듈; 연결된 PLC로부터 입력된 장애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장애패턴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장애신호에 대응되는 신호패턴을 추출한 후 추출된 신호패턴을 활용하여 장애종류를 검출하는 장애종류 검출모듈;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되면, 상기 PLC를 리셋대상을 결정하는 리셋대상 결정모듈; 상기 리셋대상 결정모듈에 의해 결정된 리셋대상을 리셋(Reset) 시키는 리셋구동모듈; 상기 리셋구동모듈에 의해 리셋이 수행된 이후 장애가 지속되는지를 점검하는 점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은 관제센터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장비들은 상기 점검모듈에 의해 장애가 지속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장애지속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IOT 장비들로부터 장애지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지보수업체의 관리자의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IOT 장비들은 연결된 PLC로부터 입력된 장애신호와,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되면 검출된 장애종류를 포함하는 장애확인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IOT 장비들로부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IOT 장비들로부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장애종류를 검출하며, 장애종류가 검출될 때 해당 IOT 장비로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IOT 장비들의 상기 리셋대상 결정모듈은 상기 관제센터서버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시점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전 사이인 탐색주기(T) 동안에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된 적이 있는지를 비교하며, 만약 탐색주기(T) 동안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된 적이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만약 탐색주기(T) 동안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된 적이 없으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인 IOT 장비로 결정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IOT 장비들은 상기 관제센터서버와의 통신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통신장애 판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애 판별모듈은 핑-테스트(Ping-test)를 수행하여 핑 데이터를 검출하는 핑 테스트 모듈; 상기 핑 테스트 모듈에 의해 검출된 핑 데이터를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핑 데이터가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통신상태 정보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대상 결정모듈은 상기 통신장애 판별모듈에 의해 통신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인 IOT 장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IOT 장비가 제조사별 출력방식을 기 설정하여 저장한 후 연결된 PLC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에 따라 장애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구현 로직 및 코드를 갖는 다양한 PLC에 연동이 가능하여 연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OT 장비가 PLC로부터 출력되는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PLC의 장애를 1차로 점검하되, 관제센터서버에서 해당 PLC의 장애 점검이 2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OT 장비가 연결된 PLC의 리셋(Reset)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장애종류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PLC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발생 시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여 장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OT 장비가 공지된 핑-테스트(Ping-test)를 이용하여 관제센터서버와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만약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자기 자신인 IOT 장비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IOT 장비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한 오류를 절감시켜 장애 복구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IOT 장비가 관제센터서버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탐색주기(T) 동안 장애가 발생된 적이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탐색주기(T) 동안 장애가 발생된 적이 없으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인 IOT 장비로 결정함으로써 IOT 장비가 자신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해 장애를 검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인 재부팅을 통해 이를 신속하게 해결 및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0734492호(발명의 명칭 :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을 타나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IOT 장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애종류 검출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통신장애 판별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을 타나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기계식 주차설비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다양한 로직 및 코드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장애신호 출력방식을 갖는 다양한 PLC와 연동이 가능하고, 기계식 주차설비의 장애 검출을 IOT 장비(3) 및 관제센터서버(7)에서 2중으로 수행하여 장애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장애 판단 시 PLC(5) 또는 IOT 장비(5) 중 어느 하나를 리셋(Reset) 시켜 장애를 신속하게 복구시킬 수 있으며, 리셋(재부팅)만으로 장애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유지보수업체의 관리자의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송출하여 신속한 현장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목적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현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입출 및 주차를 유도하는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과,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 각각에 설치되어 해당 주차설비의 기 설정된 파트별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파트별 장애여부 및 코드를 검출하는 PLC(5)들과,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의 PLC(5)들 각각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해당 PLC(5)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장애여부 및 종류를 검출하는 IOT 장비(5)들과, IOT 장비(5)들로부터 전송받은 출력신호를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전송받은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PLC의 장애여부 및 종류를 2차로 판별하는 관제센터서버(7)와, 관제센터서버(7) 및 IOT 장비(5)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계식 주차설비(2)의 장애 판단이 IOT 장비(5)에서 1차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관제센터서버(7)에서 2차로 이루어지며, 장애 판단 시 작업자의 단말기(11)로 이를 통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장애 판단은 IOT 장비(5)에서만 1회 이루어지고, IOT 장비(5)가 장애 발생 시 이를 유지보수업체의 관리자 단말기(11)로 직접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통신망(10)은 관제센터서버(7) 및 IOT 장비(5)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와이파이(Wi-Fi),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은 현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입출 및 주차를 유도하여 차량의 주차공간을 제공하는 설비로서, 이고, 주차방식에 따라 승강기식, 평면 왕복식, 수직 순환식, 다층 순환식 등으로 분류되고, 이러한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 각각은 PLC(5)에 연결되어 PLC(5)의 제어를 통해 구동된다.
또한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의 내부에는 기 설정된 파트별로 복수개의 센서들이 설치된다. 이때 각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감지데이터는 PLC(5)로 입력된다.
PLC(5)들은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 각각에 연결되어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2)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PLC(5)는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2)의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작 상태 또는 장애 여부 및 종류를 검출한다.
또한 PLC(5)는 출력단자를 구비하며,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장애가 발생되었다는 정보를 갖는 장애신호를 기 설정된 출력방식에 따라 출력단자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방식은 PLC(5)의 제조사 별로 각기 다른 로직 및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애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출력될 수 있다.
IOT 장비(5)들은 기계식 주차설비(2-1), ..., (2-N)들의 PLC(5)들 각각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PLC(5)로부터 장애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장애여부 및 종류를 검출함과 동시에 입력된 장애신호를 관제센터서버(7)로 전송하며, 장애 발생 시 PLC(5)의 전원을 리셋(재부팅) 시켜 장애를 복구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IOT 장비(5)들은 PCL 제조사별 출력방식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 모델테이블과, 각 출력방식의 장애종류별로 신호패턴 데이터가 매칭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즉 IOT 장비(5)들은 최초 설치 시 기 저장된 모델테이블을 탐색하여 해당 PLC(5)의 제조사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을 설정하여 해당 PLC(5)와 연동이 가능하게 되고, 해당 PLC(5)로부터 장애신호를 입력받으면, 기 저장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장애신호에 대응되는 장애종류를 검출함으로써 장애발생 여부 및 장애종류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원 발명의 IOT 장비(5)는 모델테이블이 기 설정되어 저장됨으로써 제조사에 따라 각기 다른 로직 및 코드를 갖는 다양한 PLC(5)들에 연동이 가능하여 연동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해당 출력방식에 따른 장애종류별로 신호패턴 데이터가 매칭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됨으로써 장애종류를 신속 및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IOT 장비(5)들은 해당 PLC(5)로부터 장애신호를 입력받으면, 기 저장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모델테이블을 탐색하여 해당 PLC(5)에 대응되는 장애신호 출력방식을 추출한 후 기 저장된 신호패턴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장애신호에 대응되는 장애종류를 검출한다. 이때 IOT 장비(5)들은 입력된 장애신호에 대응되는 신호패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장애가 발생되었으나 장애종류를 검출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IOT 장비(5)들은 연결된 PLC(5)의 리셋(재부팅)을 제어한다. 즉 IOT 장비(5)들은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PLC(5)를 리셋(재부팅) 시켜 장애를 복구시키도록 하되, 리셋 이후에도 장애가 지속되는지를 점검하여 만약 장애가 지속되는 경우 장애가 해결되지 못하고 지속되고 있다는 장애지속 데이터를 관제센터서버(7)로 전송한다. 이때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5)들로부터 장애지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지보수업체의 관리자 단말기(11)로 알림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한 현장 방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IOT 장비(5)들은 해당 PLC(5)로부터 입력된 장애신호를 관제센터서버(7)로 전송하며, 만약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검출된 장애정류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확인 데이터를 관제센터서버(7)로 전송한다.
또한 IOT 장비(5)들은 주기적으로 관제센터서버(7)와의 통신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핑-테스트(Ping-test)를 수행하여 핑 데이터를 검출하며, 만약 검출된 핑-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통신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자기 자신(IOT 장비)(3)을 리셋(재부팅) 시킨다. 즉 본 발명의 IOT 장비(5)들은 주기적으로 핑-테스트를 수행하여 자신의 통신장애 발생여부를 점검함과 동시에 통신장애 발생 시 자신을 리셋시킴으로써 PLC(5)의 장애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장애를 신속하게 점검 및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5)들을 관리 및 제어함과 동시에 IOT 장비(5)들로부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모니터링 한다.
또한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5)들로부터 장애신호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IOT 장비(3)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여 장애종류를 검출한다.
즉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3)들로부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장애 발생여부를 2차로 점검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기계식 주차설비(2)의 장애점검은 1차로 IOT 장비(3)에서 이루어지고, 2차로 관제센터서버(7)에서 이루어져 2중 점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5)들로부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가공하여 이를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시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관제센터서버(7)는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IOT 장비(5)로 장애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IOT 장비(5)는 관제센터서버(7)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시점으로부터 임계범위 이전 사이인 탐색주기(T) 동안 자체적으로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적이 있었는지를 비교하며, 만약 탐색주기 동안 자체적으로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가 없으면 해당 PLC(5)를 리셋(재부팅) 시키는 것이 아니라 IOT 장비(5) 자신을 리셋(재부팅) 시킨다.
즉 관제센터서버(7) 및 IOT 장비(5)는 둘다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할 때, 동일한 장애신호를 기반으로 장애 발생 여부에 대한 동일한 판단이 이루어지게 되나, IOT 장비(5)가 일시적인 부하가 발생하여 장애를 점검하지 못한다고 가정할 때, 관제센터서버(7)에서만 장애가 발생되었다는 판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IOT 장비(5)를 리셋(재부팅) 시킴으로써 IOT 장비(5)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해 장애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5)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장애확인데이터를 검출하는 경우 이를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관리자가 장애가 발생되었음을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5)로부터 장애지속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지보수업체의 관리자 단말기(11)로 이러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리셋(재부팅) 만으로 장애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신속한 현장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IOT 장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IOT 장비(5)는 제어모듈(31)과, 메모리(32), 통신 인터페이스모듈(33), 입출력모듈(40), 표준설정모듈(34), 장애종류 검출모듈(35), 통신장애 판별모듈(36), 리셋대상 결정모듈(37), 리셋구동모듈(38), 점검모듈(39)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31)은 IOT 장비(5)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2), (33), (34), (35), (36), (37), (38), (39), (40)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최초 설치 시 표준설정모듈(34)을 구동시킨다. 이때 표준설정모듈(34)은 기 저장된 모델테이블을 탐색하여 입력된 제조사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을 검출하며, 검출된 출력방식을 해당 PLC(5)의 출력방식으로 결정하여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장애신호가 분석될 때 활용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입출력모듈(40)을 실시간 크롤링(Crawling) 하여 입출듈(34)을 통해 PLC(5)로부터 장애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장애신호를 장애종류 검출모듈(35)로 입력하며,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들을 리셋대상 결정모듈(37)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기 설정된 주기 마다 통신장애 판별모듈(36)을 구동시키며, 통신장애 판별모듈(36)에 의해 검출된 통신상태정보를 리셋대상 결정모듈(37)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통신장애 판별모듈(36)에 의해 통신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모듈(33)을 제어하여 장애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장애확인 데이터가 관제센터서버(7)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통신 인터페이스모듈(33)을 통해 관제센터서버(7)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장애확인 데이터를 리셋대상 결정모듈(37)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리셋대상 결정모듈(37)에 의해 리셋대상이 결정되면 리셋제어모듈(31)을 구동시킨다.
메모리(32)에는 IOT 장비(5)들 및 이들 각각에 연결된 PLC(5)의 식별코드정보 및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검출된 장애종류 정보와, 통신장애 판별모듈(36)에 의해 검출된 통신상태 정보가 임시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통신장애 판별모듈(36)에서 이루어지는 핑-테스트(Ping-test)를 수행하기 위한 핑-테스트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PLC 제조사별 출력방식이 매칭된 모델테이블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PLC(5)의 각 출력방식의 장애종류별 신호패턴들이 매칭된 장애패턴정보가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모듈(33)은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여 관제센터서버(7)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입출력모듈(34)은 PLC(5)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표준설정모듈(34)은 IOT 장비(5)가 최초 설치될 때 해당 PLC(5)의 출력방식을 설정한다. 이때 IOT 장비(5)는 표준설정모듈(34)에 의해 출력방식이 설정되면, 설정된 출력방식에 따라 PLC(5)로부터 입력되는 장애신호를 분석한다.
즉 표준설정모듈(34)은 최초 설치 시 메모리(32)에 저장된 모델테이블을 탐색하여 연결대상인 PLC(5)의 제조사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을 추출한 후 추출된 출력방식을 이후의 장애신호 분석에 활용할 것으로 설정한다.
도 4는 도 3의 장애종류 검출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장애종류 검출모듈(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5)로부터 입력된 장애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모듈(351)과, 메모리(32)에 저장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신호분석모듈(351)에 의해 분석된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패턴을 추출하는 탐색 및 추출모듈(353)과, 탐색 및 추출모듈(353)에 의해 추출된 신호패턴을 활용하여 장애종류를 결정하는 장애종류 결정모듈(357)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IOT 장비(5)는 PLC 제조사별로 출력방식이 매칭된 모델테이블을 활용하여 최초 설치 시 표준설정모듈(34)에 의해 연결대상인 PLC(5)의 표준, 로직 및 코드 등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을 인지 및 적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사에 따라 표준, 로직 및 코드가 다른 다양한 PLC(5)에 연동이 가능하게 되고, 각 출력방식의 장애종류별 신호패턴들이 매칭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장애신호에 대응되는 장애종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의 통신장애 판별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장애 판별모듈(3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테스트 모듈(361)과, 비교모듈(363), 통신상태 정보 검출모듈(365)로 이루어진다.
핑-테스트 모듈(361)은 기 설정된 핑-테스트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해당 IOT 장비(5)의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핑-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핑(Ping)은 통신망(10)에 연결된 특정 컴퓨터에게 일정한 테스트 데이터를 보내어 상대방 컴퓨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는 유닉스(Unix) 명령어이고, 이러한 핑-테스트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방식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교모듈(363)은 핑-테스트 모듈(361)에 의해 검출된 핑 데이터를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위치하는지를 비교한다.
통신상태 정보 검출모듈(365)은 비교모듈(363)에 의해 핑 데이터가 임계범위 내 위치하는 경우 통신장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또한 통신상태 정보 검출모듈(365)은 비교모듈(363)에 의해 핑 데이터가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통신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1)은 통신상태 정보 검출모듈(365)에 의해 통신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판단된 통신상태 정보를 리셋대상 결정모듈(37)로 입력한다.
리셋대상 결정모듈(37)은 제어모듈(31)의 제어에 따라 장애종류 검출모듈(35)로부터 장애종류 정보가 입력되거나 또는 통신장애 판별모듈(36)로부터 통신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구동된다.
또한 리셋대상 결정모듈(37)은 장애종류 검출모듈(35)로부터 장애종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리셋대상을 PLC(5)로 결정한다.
또한 리셋대상 결정모듈(37)은 통신장애 판별모듈(36)로부터 통신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IOT 장비)(3)으로 결정한다.
즉 리셋대상 결정모듈(37)은 만약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되면, 리셋대상을 해당 PLC(5)로 결정하고, 만약 통신장애 판별모듈(36)에 의해 통신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여부 판단모듈(36)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3)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리셋대상을 IOT 장비(5), 즉 자기 자신으로 결정한다.
또한 리셋대상 결정모듈(37)은 통신 인터페이스모듈(33)을 통해 관제센터서버(7)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입력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전 사이인 탐색주기(T) 동안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적이 있는지를 비교한다.
또한 리셋대상 결정모듈(37)은 만약 탐색주기(T) 동안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적이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만약 탐색주기(T) 동안 장애종류 검출모듈(35)에 의해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적이 없으면, 리셋대상을 IOT 장비(5)로 결정한다.
즉 본 발명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PLC(5)로부터 출력되는 장애신호가 IOT 장비(5) 및 관제센터서버(7)에서 2중으로 수행됨으로써 장애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만약 동일한 장애신호에 대하여 IOT 장비(5)에서는 장애를 검출하지 못하되, 관제센터서버(7)에서만 장애가 검출되는 경우 IOT 장비(5)에 일시적인 부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IOT 장비(5)를 리셋(재부팅) 시킴으로써 부하로 인한 장애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리셋구동모듈(38)은 리셋대상 결정모듈(37)에 의해 결정된 리셋대상을 리셋(재부팅) 시킨다.
즉 리셋구동모듈(38)은 리셋대상 결정모듈(37)에 의해 리셋대상이 IOT 장비(5)로 결정되면 IOT 장비(5)를 리셋(재부팅) 시키고, 리셋대상 결정모듈(37)에 의해 리셋대상이 PLC(5)로 결정되면 PLC(5)를 리셋(재부팅) 시킴으로써 장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점검모듈(39)은 장애종류 검출모듈(35) 또는 통신장애 판별모듈(36)에 의해 리셋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장애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지를 검출한다.
또한 점검모듈(39)은 만약 리셋 이후 장애가 반복되는 경우, 리셋으로 장애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장애지속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점검모듈(39)에 의해 생성된 장애지속 데이터는 제어모듈(31)의 제어에 따라 관제센터서버(7)로 전송되고, 관제센터서버(7)는 IOT 장비(5)로부터 장애지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지보수업체의 관리자 단말기(11)로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리셋(재부팅) 만으로 장애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IOT 장비(3)가 제조사별 출력방식을 기 설정하여 저장한 후 연결된 PLC(5)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에 따라 장애신호를 분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조사별로 서로 다른 구현 로직 및 코드를 갖는 다양한 PLC에 연동이 가능하여 연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IOT 장비(3)가 PLC(5)로부터 출력되는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PLC(5)의 장애를 1차로 점검하되, 관제센터서버(7)에서 해당 PLC(5)의 장애 점검이 2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IOT 장비(3)가 연결된 PLC(5)의 리셋(Reset)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장애종류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PLC(5)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애 발생 시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여 장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목적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IOT 장비(3)가 공지된 핑-테스트(Ping-test)를 이용하여 관제센터서버(7)와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만약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자기 자신인 IOT 장비(3)를 리셋 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IOT 장비(3)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한 오류를 절감시켜 장애 복구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1)은 IOT 장비(3)가 관제센터서버(7)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탐색주기(T) 동안 장애가 발생된 적이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탐색주기(T) 동안 장애가 발생된 적이 없으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인 IOT 장비(3)로 결정함으로써 IOT 장비가 자신의 일시적인 부하로 인해 장애를 검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인 재부팅을 통해 이를 신속하게 해결 및 대응할 수 있다.
1: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2-1, ..., 2-N:기계식 주차설비들 3:IOT 장비
5:PLC 7:관제센터서버
10:통신망 31:제어모듈
32:메모리 33: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34:표준설정모듈 35:장애종류 검출모듈
36:통신장애 판별모듈 37:리셋대상 결정모듈
38:리셋구동모듈 39:점검모듈
40:입출력모듈 351:신호분석모듈
353:탐색 및 추출모듈 355:장애종류 결정모듈
361:핑-테스트 모듈 363:비교모듈
365:통신상태 정보 검출모듈

Claims (6)

  1. 기계식 주차설비들의 장애를 신속하게 복구시키기 위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며, 차량의 입출 및 주차를 수행하는 기계식 주차설비들;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들 각각에 연결되며, 연결된 기계식 주차설비의 센서들로부터 입력된 감지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여부를 검출하며, 장애검출 시 기 설정된 출력방식에 따라 장애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들;
    PLC의 구현 로직Logic) 및 코드로 정의되는 출력방식이 제조사별로 매칭된 모델테이블과, 각 출력방식에 대한 장애종류별 신호패턴 데이터가 매칭된 장애패턴 데이터들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PLC들 각각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연결된 PLC의 리셋(Reset)을 제어하는 IOT 장비들을 포함하고,
    상기 IOT 장비들은
    최초 설치 시 상기 모델테이블을 탐색하여 연결된 PLC에 대응되는 출력방식을 설정하는 표준설정모듈;
    연결된 PLC로부터 입력된 장애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장애패턴 데이터들을 탐색하여 입력된 장애신호에 대응되는 신호패턴을 추출한 후 추출된 신호패턴을 활용하여 장애종류를 검출하는 장애종류 검출모듈;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되면, 상기 PLC를 리셋대상을 결정하는 리셋대상 결정모듈;
    상기 리셋대상 결정모듈에 의해 결정된 리셋대상을 리셋(Reset) 시키는 리셋구동모듈;
    상기 리셋구동모듈에 의해 리셋이 수행된 이후 장애가 지속되는지를 점검하는 점검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은 관제센터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장비들은 상기 점검모듈에 의해 장애가 지속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장애지속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IOT 장비들로부터 장애지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지보수업체의 관리자의 단말기로 알림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IOT 장비들은
    연결된 PLC로부터 입력된 장애신호와,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되면 검출된 장애종류를 포함하는 장애확인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IOT 장비들로부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IOT 장비들로부터 전송받은 장애신호를 분석하여 장애종류를 검출하며, 장애종류가 검출될 때 해당 IOT 장비로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IOT 장비들의 상기 리셋대상 결정모듈은
    상기 관제센터서버로부터 장애확인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시점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전 사이인 탐색주기(T) 동안에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된 적이 있는지를 비교하며, 만약 탐색주기(T) 동안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된 적이 있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만약 탐색주기(T) 동안 상기 장애종류 검출모듈에 의해 장애종류가 검출된 적이 없으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인 IOT 장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비들은 상기 관제센터서버와의 통신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통신장애 판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애 판별모듈은
    핑-테스트(Ping-test)를 수행하여 핑 데이터를 검출하는 핑 테스트 모듈;
    상기 핑 테스트 모듈에 의해 검출된 핑 데이터를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핑 데이터가 임계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통신상태 정보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대상 결정모듈은 상기 통신장애 판별모듈에 의해 통신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리셋대상을 자기 자신인 IOT 장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6. 삭제
KR1020170050907A 2017-04-20 2017-04-20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KR101817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07A KR101817219B1 (ko) 2017-04-20 2017-04-20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07A KR101817219B1 (ko) 2017-04-20 2017-04-20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219B1 true KR101817219B1 (ko) 2018-01-10

Family

ID=6099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07A KR101817219B1 (ko) 2017-04-20 2017-04-20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21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945A (zh) * 2019-02-14 2019-06-14 北京鑫华源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垂直升降类停车设备控制系统
KR20190096203A (ko) * 2018-02-08 2019-08-19 한국도로공사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101974557B1 (ko) * 2019-02-26 2019-09-05 에이제이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를 이용한 물품 보관시스템
KR20190113205A (ko) 2018-03-28 2019-10-08 (주)한위드정보기술 기계식 주차설비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87552B1 (ko) * 2019-08-19 2020-03-1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IoT기반 제어신호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주차 관제시스템
KR102175724B1 (ko) * 2019-10-18 2020-11-0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센서 및 그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보안 강화 방법
KR20210056055A (ko) * 2019-11-08 2021-05-18 김용묵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장비의 전원제어시스템
CN114237175A (zh) * 2021-12-01 2022-03-25 北京福田戴姆勒汽车有限公司 车辆制造总装车间设备的监控系统和监控方法
KR20220099401A (ko) * 2021-01-06 2022-07-13 김용묵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499A (ja) * 2000-11-14 2002-05-24 Sumitomo Heavy Ind Ltd 駐車場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499A (ja) * 2000-11-14 2002-05-24 Sumitomo Heavy Ind Ltd 駐車場管理システ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03A (ko) * 2018-02-08 2019-08-19 한국도로공사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102051316B1 (ko) * 2018-02-08 2019-12-03 한국도로공사 Its 현장장비의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20190113205A (ko) 2018-03-28 2019-10-08 (주)한위드정보기술 기계식 주차설비 통합 관제 시스템
CN109881945A (zh) * 2019-02-14 2019-06-14 北京鑫华源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垂直升降类停车设备控制系统
KR101974557B1 (ko) * 2019-02-26 2019-09-05 에이제이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를 이용한 물품 보관시스템
KR102087552B1 (ko) * 2019-08-19 2020-03-1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IoT기반 제어신호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주차 관제시스템
KR102175724B1 (ko) * 2019-10-18 2020-11-0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센서 및 그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보안 강화 방법
KR20210056055A (ko) * 2019-11-08 2021-05-18 김용묵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장비의 전원제어시스템
KR102307010B1 (ko) * 2019-11-08 2021-09-29 김용묵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장비의 전원제어시스템
KR20220099401A (ko) * 2021-01-06 2022-07-13 김용묵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560023B1 (ko) * 2021-01-06 2023-07-25 김용묵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CN114237175A (zh) * 2021-12-01 2022-03-25 北京福田戴姆勒汽车有限公司 车辆制造总装车间设备的监控系统和监控方法
CN114237175B (zh) * 2021-12-01 2023-11-17 北京福田戴姆勒汽车有限公司 车辆制造总装车间设备的监控系统和监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219B1 (ko)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WO2018232937A1 (zh) 一种电力电缆故障监测方法及装置
CN104044969B (zh) 电梯故障预警方法和系统
CN104464158B (zh) 一种火灾报警的联动控制方法及系统
KR101934777B1 (ko)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학습 기반의 스크린도어 관리시스템
CN107544366B (zh) 一种自动控制系统中冗余传感器信号采集及处理方法
KR102324792B1 (ko) 펌프 설비의 자가 진단 및 복구가 가능한 계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0956B1 (ko) 전력 설비를 위한 양방향 제어시스템
US20210365021A1 (en) A method for commissioning and maintenance of alarm systems
KR20210084094A (ko) 무선 진동 센서의 배터리 상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023533B1 (ko) 고속철도 에이티시의 실시간 원격복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9245B1 (ko) IoT 기반 전기차 급속/완속 충전기 원격 차단기 제어시스템
CN103095509A (zh) 一种快速检测rs485总线故障的方法
KR100972228B1 (ko) 원격 제어/관리 장치의 오류 복구방법
CN111524341B (zh) 一种燃气行业rtu数据采集方法
CN115471968A (zh) 一种电缆防盗报警装置
CN113098698A (zh) 一种通讯恢复方法、设备及存储介质、通讯断传重启器
JP7045200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
KR101969865B1 (ko) 설비 관리용 센서 신호의 오류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설비 관리 시스템
JP402898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045644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5472383A (zh) 电视机内置dongle的性能检测方法和系统
KR102519616B1 (ko) 전기자동차 충전기기의 유지 관리 시스템
KR20230112538A (ko) 무선 병렬 센서망을 이용한 이상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764009B1 (ko) 전기 장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