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23B1 -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23B1
KR102560023B1 KR1020210001592A KR20210001592A KR102560023B1 KR 102560023 B1 KR102560023 B1 KR 102560023B1 KR 1020210001592 A KR1020210001592 A KR 1020210001592A KR 20210001592 A KR20210001592 A KR 20210001592A KR 102560023 B1 KR102560023 B1 KR 10256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rking
site
equipment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401A (ko
Inventor
김용묵
Original Assignee
김용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묵 filed Critical 김용묵
Priority to KR102021000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30Parking 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VOip폰을 포함하는 주차 관제가 필요한 현장의 장비를 현장의 호스트 PC에서 장애수신 여부를 수신하고, 복수의 현장 각각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대하여 관제 WEB 서버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현장의 장비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정상 또는 장애신호를 실시간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관제 WEB 서버 감시하여 오류 및 장애발생 시 신속히 알림은 물론 자동복구가 가능한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Parking control self-diagnosis system}
본 발명은 주차 관제 시스템에 대한 자가진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 관제가 필요한 현장의 장비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실시간 감시하여 오류 및 장애발생시 신속히 알림은 물론 자동복구가 가능한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사람의 힘으로 운영되던 많은 것들이 자동화 시스템으로 교체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수많은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해지고, 인터넷을 이용한 관리 시스템개발업체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며 성장했지만, 그 성장이 사람들의 예상치를 넘는 결과를 초래하여 도로확충 및 주차공간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차 공간의 관리에 투입되는 인력도 많은 인건비를 초래하고 있으며, 주차장 유지에 고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근래에는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도 많은 업체에서 도입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연결된 무인 시스템 개발 업체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그 형태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많은 기관과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무인 시스템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차시설에 상주하는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6704호에서는, 무인주차관리를 총괄하는 통합관리부; 상기 통합관리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주차구역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구역관리부; 및 상기 통합관리부에서 제어하며 상기 통합관리부와 상기 구역관리부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주차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통합관리부는 구역관리부의 데이터를 집계하고 관제하며, 사용자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도 주차장 별 빈 공간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감지부는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인식부, 차량인식부에 인식된 차량의 주차요금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요금을 결제하는 결제부, 결제부에서 결제한 뒤 영수증을 출력해주는 출력부, 결제부에서 결제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부와 주고받는 통신부,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 및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자동차에게 공급하게 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통합관리부, 구역관리부 및 주차감지부 등의 전원 제어에 관한 내용은 기재되지 않고 있는데, 통합관리부나 구역관리부 및 주차감지부 등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전원을 리셋하여야 하는 경우에 아무런 대책이 없어 실제로 무인주차 관리를 함에 있어 고객이 관리자와 통화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나 주변에 무인주차 이상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관리자를 별도로 지정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고, 주차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최소화함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6704호(2018. 11. 28. 공개)- 무인주차 관리 시스템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00985호(2003. 10. 08. 공고)-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 선행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4381호(2014. 05. 15. 공고)-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선행문헌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7308호(2005. 09. 28. 공고)- 무인 자동 주차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VOip폰을 포함하는 주차 관제가 필요한 현장의 장비를 현장의 호스트 PC에서 장애수신 여부를 수신하고, 복수의 현장 각각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대하여 관제 WEB 서버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현장의 장비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정상 또는 장애신호를 실시간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관제 WEB 서버 감시하여 오류 및 장애발생시 신속히 알림은 물론 자동복구가 가능한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은 주차장에 진출입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와, 진출입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기와, 출차하는 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무인정산기와, 진출입시 관리자와 통화하는 VOIP 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이 설치된 현장의 PC로 각각의 주차장 현장에 연결된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에 대한 차단동작 제어, 번호인식, 무인정산을 수행을 제어하는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 및 상기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API 통신하면서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웹사이트로 어디서든 모니터링하며, 컨트롤을 수행하되, 오류 및 장애 발생시 알람, 발생된 오류 및 장애의 자동복구,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실시간 감시를 수행하는 관제 WEB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는 진출입로가 여러 개인 주차장의 경우에는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이 복수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관제 WEB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실시간 감지를 수행하되, 관제 WEB 서버(300)와 연결된 관리자 PC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A/S가 접수시, 상기 차단기에 대하여는 차단기 UP/DOWN 설정, 차단기 Lock on/off 설정, system 초기화(reset), 감지기 상태 확인 및 초기화, 정전식 작동 열림을 수행하고, 상기 무인정산기에 대하여는 각 신용모듈과 현금모듈에 대한 모듈통신을 수행하여 정산에 따른 차단기 제어, 출구 전광판 제어 즉 전광판 메시지 컨트롤(차량 입/출차 통제 안내문구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VOIP폰을 통해 차단기 UP/DOWN 설정, 차단기 Lock on/off 설정 및 안내멘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은, 관제 WEB 서버(300)의 제어만으로 장애발생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현장에 파견가능한 현장 A/S 담당자의 스마트폰(400, 410, 420)으로, 현장에 대한 정보, 장애발생 장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여 A/S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현장 A/S는 각각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를 통해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에 대한 시스템 초기화에 의해 프로그램 오류를 포함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장비 자체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VOIP 폰을 포함하는 주차장 관제장비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각각의 장비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여부를 수신 후 각각의 호스트 PC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PC는 이를 수신하여 관제 WEB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발생 시 지역 주자창 A/S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로 카카오 톡이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장애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자가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관제 WEB 서버는 상기 장애발생에 따라 지역 주자창 A/S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로 카카오 톡이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 시 미리 설정된 장애처리 우선순위와 지역 주자창 A/S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장애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애발생 시 지역 주자창 A/S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로 카카오 톡이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장애를 통보하는 단계후에, 상기 관제 WEB 서버(300)는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장애발생장비의 A/S 결과를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370)에서 수집하고,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380)를 통해 장애발생장비의 A/S 결과를 분석하며, A/S 분석결과 장비교체 분석부(390)에서는 연한 정보에서 연한을 비교하여 장비교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관제 WEB 서버(300)에 연결된 관리자 PC에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함과 함께 해당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VOip폰을 포함하는 주차 관제가 필요한 현장의 장비를 현장의 호스트 PC에서 장애수신 여부를 수신하고, 복수의 현장 각각에 설치된 호스트 PC에 대하여 관제 WEB 서버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모니터링 및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현장의 장비들이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정상 또는 장애신호를 실시간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관제 WEB 서버 감시하여 오류 및 장애발생 시 신속히 알림으로 인한 복구가 가능하여 운영의 안정화 및 주차요금 수납 오류 발생으로 인한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A/S 접수 후 복구까지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정기점검(유지보수) 계약을 없앨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의 관제 WEB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주차 관제 자가진단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주차 관제 자가진단 방법에서 관제 WEB 서버의 자가진단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의 관제 WEB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 관제 WEB 서버(300) 및 복수의 스마트 기기(400, 410, 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은 주차장에 진출입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와, 진출입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기와, 출차하는 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무인정산기와, 진출입시 관리자와 통화하는 VOIP 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진출입로가 여러개인 주차장의 경우에는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이 복수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는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이 설치된 현장의 PC로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과 비대면 문화가 보편화됨에 따라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이 설치된 현장에서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에 대한 주차장의 원활한 무인 운영을 위해 도입된 것으로 각각의 주차장 현장에 연결된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에 대한 차단동작 제어, 번호인식, 무인정산을 수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연결된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은 TCP/IP 통신에 의한 통신 및 제어가 수행된다
관제 WEB 서버(300)는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API 통신하면서 모든 현장의 장비(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 및 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웹사이트로 어디서든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서버에 연결된 PC와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시스템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오류 및 장애 발생시 알람 설정, 발생된 오류 및 장애의 자동복구, 미리 설정된 시간(10분 단위) 단위로 실시간 감시를 수행한다.
그에 따라 신속한 오류 및 장애복구로 운영의 안정화 및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요금 수납 오류 발생시 손실 최소화 등이 있다.
또한 관제 WEB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실시간 감지를 수행하고, 관제 WEB 서버(300)와 연결된 관리자 PC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A/S가 접수된 후 복구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즉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장비별 제어-
이는 예를 들어 차단기에 대하여는 차단기 UP/DOWN 설정, 차단기 Lock on/off 설정, system 초기화(reset), 감지기 상태 확인 및 초기화, 정전식 작동 열림(조절 가능)이 있다.
또한 무인정산기에 대하여는 각 신용모듈과 현금모듈에 대한 모듈통신을 수행하고, 신용모듈에 대하여는 I/O 보드를 통해 차단기 UP/DOWN 설정, 신용카드단말기(결제, 카드 삽입유무, 카드삽입인식시 카드고정) 기능 체크, 영수증프린터 기능체크(용지걸림, 용지 보충, 출력여부 등), 할인권리더기(할인권걸림, 할인권 용량 Full 여부 등)을 수행한다.
또한 현금모듈에 대하여는 지폐인식기(위폐 여부 확인, 금액 구분 확인, 지폐 걸렸는지 확인 등), 지폐방출기(회손화폐 구분처리, 5천원/천원권으로 방출), 동전인식기(위폐 여부 확인, 금액 구분 확인, 동전 걸렸는지 확인) 동전방출기(회손화폐 구분처리, 오백원/백원으로 방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무인정산기에 대한 정산에 따른 차단기 제어 즉 차단기 UP/DOWN 및 상태확인, 출구 전광판 제어 즉 전광판 메시지 컨트롤(차량 입/출차 통제 안내문구 제어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VOIP폰을 통해 차단기 UP/DOWN 설정, 차단기 Lock on/off 설정 및 안내멘트(음성지원)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HOST PC에 대하여는 입구 전광판 문구 조절(만차입니다., 신용카드 전용주차장입니다., 긴급문구 등등), 출구 전광판 문구 조절(차량 미인식 재진입하세요., 호출하세요., 긴급문구 등등) 및 각 장비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관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 각각의 주차장들에 대한 정기점검(유지보수) 계약이 필요없어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제 WEB 서버(300)의 제어만으로 장애발생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현장에 파견가능한 현장 A/S 담당자의 스마트폰(400, 410, 420)으로, 현장에 대한 정보, 장애발생 장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즉각적인 A/S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장 A/S 담당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된 정보에 따라 장애발생 장비에 대한 적절한 교체 부품을 미리 챙겨 A/S를 충실히 즉각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관제 WEB 서버(3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320), 장애발생장비 이상 검출부(330), 주차장 관제장치 원격 제어부(340), 장애발생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350),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360),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370),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380), A/S 분석결과 장비교체 분석부(390) 및 제어부(3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각각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를 통해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과 통신하고, 별도의 통신망(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스마트기기(400, 410, 420)와 통신한다.
데이터베이스(320)는 지역주차장 A/S 담당자 정보(321), 주차장 관제장치 설치정보(322), 주차장 관제장치 장비별 연한 정보(323) 및 주차장 관제장치 장비별 A/S 정보(324)를 포함한다.
장애발생장비 이상 검출부(330)는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의 이상을 검출한다.
이러한 이상은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으로부터 전송된다.
주차장 관제장치 원격 제어부(340)는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의 이상에 대하여 원격제어한다.
이러한 원격제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비별 제어'가 있다.
장애발생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350)는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에 대한 장애발생에 대하여 A/S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현장과, 담당자, 각각의 장비에 대한 중요도(예를 들어, 무인정산기 최우선, 번호인식기와 차단기는 그 다음, VOIP폰은 최하위 순서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360)는 장애발생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350)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지역 주차장 A/S 담당자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담당자의 스마트기기로 장애정보를 통보한다.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370)는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360)의 통보에 따라 해당 담당자가 장애를 처리한 후 해당 담당자의 스마트기기가 통신부(310)를 통해 처리한 결과를 수집한다.
이러한 처리결과 수집은 장애발생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350)에서 결정되어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360)에서 통보된 장애정보에 대하여 A/S 결과를 수집하는 것으로 장애처리까지의 시간, 장애발생 장비의 교체 필요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데이터베이스(320)의 주차장 관제장치 장비별 A/S 정보(324)에 추가된다.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380)는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370)에서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320)의 주차장 관제장치 장비별 A/S 정보(324)에 대하여 처리결과를 분석한다.
A/S 분석결과 장비교체 분석부(390)는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380)에서의 분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주차장 관제장치 장비별 연한 정보(323)가 있지만 해당 연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장비에 잦은 A/S 요청이 발생되고, 처리되는 경우 이를 조기에 교체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주차장 관제장치 장비별 연한 정보(323)와 비교하여 불량률이 높은 경우는 해당 장비에 대한 전체적인 장비 점검이나 장비 업그레이드나 아예 다른 버전의 장비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현장경험(Field test)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잦은 A/S 요청에 따른 인력 낭비를 해결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현장 A/S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를 통해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은 시스템 초기화에 의해 프로그램 오류 등 간단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장비 자체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다.
제어부(395)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320), 장애발생장비 이상 검출부(330), 주차장 관제장치 원격 제어부(340), 장애발생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350),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360),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370),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380) 및 A/S 분석결과 장비교체 분석부(39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 주차 관제 자가진단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주차 관제 자가진단 방법에서 관제 WEB 서버의 자가진단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주차 관제 자가진단 방법의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VOIP 폰은 미리 설정된 시간단위로 각각의 장비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여부를 수신한 후 각각의 호스트 PC로 보고하면 호스트 PC는 이를 수신하여 관제 WEB 서버(300)로 전송한다.
참고로, 시스템 리셋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장애발생으로 판단하여 지역 주자창 A/S 담당자 정보를 참조하여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로 카카오 톡이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장애를 해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주차 관제 자가진단 방법에서 관제 WEB 서버의 자가진단 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역별 주차장 관제장치 설치 정보, 장비별 연한정보, 장비별 A/S 정보 및 지역별 주차장 A/S 담당자 정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00).
이어 지역별 주차장 A/S 담당자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한다(S110).
이는 통신사 서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해당 담당자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이어 지역별 관제장비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된 주기로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VOIP 폰에 대하여 각각의 장비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장애여부를 수신한 후 각각의 호스트 PC로 보고하면 호스트 PC는 이를 수신하여 관제 WEB 서버(300)로 전송한다(S120).
그에 따라 관제 WEB 서버(300)의 장애발생장비 이상 검출부(330)에서는 이상을 검출하고, 주차장 관제장치 원격 제어부(340)에서는 자동복구 가능한 경우(시스템 리셋)에는 시스템 리셋 등을 통해 자동복구하고, 자동복구 불가시에는 장애가 발생한 장비의 A/S 우선순위가 지역 주자창 A/S 담당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장애발생 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350)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360)를 통해 장애발생을 통보, 즉 A/S 내용을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한다(S130).
이후 관제 WEB 서버(300)는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370)를 통해 장애발생장비의 A/S 결과를 수집하고,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380)를 통해 분석하며, A/S 분석결과 장비교체 분석부(390)에서는 연한 정보에서 연한을 비교하여 장비교체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관제 WEB 서버에 연결된 관리자 PC에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함과 함께 해당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14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120, 130, 140 : 주차장 관제 장치(장비)
200, 210, 220, 230, 240 : 현장 호스트 PC
300 : 관제 WEB 서버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장애발생장비 이상 검출부
340 : 주차장 관제장치 원격 제어부
350 : 장애발생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
360 :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
370 :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
380 :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
390 : A/S 분석결과 장비교체 분석부
395 : 제어부
400, 410, 420 :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Claims (8)

  1. 각각은 주차장에 진출입하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단기와, 진출입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번호 인식기와, 출차하는 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무인정산기와, 진출입시 관리자와 통화하는 VOIP 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와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이 설치된 현장의 PC로 각각의 주차장 현장에 연결된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에 대한 차단동작 제어, 번호인식, 무인정산을 수행을 제어하는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API 통신하면서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웹사이트로 어디서든 모니터링하며 컨트롤을 수행하되, 오류 및 장애 발생시 알람, 발생된 오류 및 장애의 자동복구,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실시간 감시를 수행하는 관제 WEB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한 관제 WEB 서버(300)는 통신부(310), 데이터베이스(320), 장애발생장비 이상 검출부(330), 주차장 관제장치 원격 제어부(340), 장애발생장비 A/S 우선순위 결정부(350), 현장 A/S 담당자 장애정보 통보부(360),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수집부(370), 장애발생장비 처리결과 분석부(380), A/S 분석결과 장비교체 분석부(390) 및 제어부(395)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WEB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실시간 감지를 수행하되, 관제 WEB 서버(300)와 연결된 관리자 PC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A/S가 접수시, 상기 차단기에 대하여는 차단기 UP/DOWN 설정, 차단기 Lock on/off 설정, system 초기화(reset), 감지기 상태 확인 및 초기화, 정전식 작동 열림을 수행하고,
    상기 무인정산기에 대하여는 각 신용모듈과 현금모듈에 대한 모듈통신을 수행하여 정산에 따른 차단기 제어, 출구 전광판 제어 즉 전광판 메시지 컨트롤(차량 입/출차 통제 안내문구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VOIP폰을 통해 차단기 UP/DOWN 설정, 차단기 Lock on/off 설정 및 안내멘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은 상기 관제 WEB 서버(300)의 제어만으로 장애발생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현장에 파견가능한 현장 A/S 담당자의 스마트폰(400, 410, 420)으로, 현장에 대한 정보, 장애발생 장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여 A/S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는 진출입로가 여러 개인 주차장의 경우에는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이 복수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장 A/S는 각각의 현장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와 호스트 PC(200, 210, 220, 230, 240)를 통해 복수의 주차장 관제 장치(100, 110, 120, 130, 140) 각각의 차단기, 번호인식기, 무인정산기 및 VOIP 폰에 대한 시스템 초기화에 의해 프로그램 오류를 포함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장비 자체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01592A 2021-01-06 2021-01-06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KR10256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92A KR102560023B1 (ko) 2021-01-06 2021-01-06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92A KR102560023B1 (ko) 2021-01-06 2021-01-06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01A KR20220099401A (ko) 2022-07-13
KR102560023B1 true KR102560023B1 (ko) 2023-07-25

Family

ID=8240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592A KR102560023B1 (ko) 2021-01-06 2021-01-06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0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363B1 (ko) 2000-09-04 2003-04-08 이선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307091B1 (ko) 2013-01-28 2013-09-11 (주)보성전자 분산 설치된 관제장비의 장애상태 제어장치
KR101817219B1 (ko) * 2017-04-20 2018-01-1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KR102087552B1 (ko) * 2019-08-19 2020-03-1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IoT기반 제어신호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주차 관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85B1 (ko) 2001-06-13 2003-10-08 한국교통종합개발(주)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
KR100517308B1 (ko) 2003-08-26 2005-09-28 이지원 무인 자동 주차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4381B1 (ko) 2012-09-03 2014-05-15 하이네트(주)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2682A (ko) * 2017-02-10 2018-08-20 김보상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스마트 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6704A (ko) 2017-05-18 2018-11-28 최종원 무인주차관리시스템
KR102116797B1 (ko) * 2018-06-14 2020-05-29 주식회사 메인시스 주차장 출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363B1 (ko) 2000-09-04 2003-04-08 이선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307091B1 (ko) 2013-01-28 2013-09-11 (주)보성전자 분산 설치된 관제장비의 장애상태 제어장치
KR101817219B1 (ko) * 2017-04-20 2018-01-10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Iot 장비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장애 감지시스템
KR102087552B1 (ko) * 2019-08-19 2020-03-1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IoT기반 제어신호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주차 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01A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424B1 (en) Self-service terminal portal management
US8161330B1 (en) Self-service terminal remote diagnostics
US20130208295A1 (en) Predictive fault resolution
US9940771B2 (en) Security apparatu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US8245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corrective action for an electronic terminal
US20110125615A1 (en) Self-service device inventory information control
US20050282539A1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9659465B2 (en) Problem resolution validation
KR20090003435A (ko) 자동화기기 예측유지보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자동화기기 예측유지보수 방법
KR102560023B1 (ko)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US20120023028A1 (en) Assisted service terminal
EP3987468B1 (en) Providing service to automated banking machines
JP2007172443A (ja) 自動取引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03337970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保守方法およびその保守プログラム
EP3889864A1 (en) Cause estimation device, cause estimation output method, and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20100010264A (ko) 금융자동화기기 장애정보 제공 시스템
JP2017021567A (ja) 保守管理システム
CN209946983U (zh) 票据传输系统
KR101114596B1 (ko) 역무 자동화 시스템
KR100610810B1 (ko) 자동화기기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4893B1 (ko) 카세트의 매체 정산 방법 및 그 금융자동화기기
JP202312466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その保守方法
KR100610811B1 (ko) 실시간 세션을 이용한 자동화기기의 기기 장애 검지시스템 및 그 방법
EP3839896A1 (en)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a parking lot
CN112447001A (zh) 纸币处理装置的远程维护系统、及远程维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