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704A - 무인주차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주차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704A
KR20180126704A KR1020170061435A KR20170061435A KR20180126704A KR 20180126704 A KR20180126704 A KR 20180126704A KR 1020170061435 A KR1020170061435 A KR 1020170061435A KR 20170061435 A KR20170061435 A KR 20170061435A KR 20180126704 A KR20180126704 A KR 2018012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rking
vehicle
management unit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원
Original Assignee
최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원 filed Critical 최종원
Priority to KR102017006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704A/ko
Publication of KR2018012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06K2209/1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은 무인주차관리를 총괄하는 통합관리부; 상기 통합관리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주차구역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구역관리부; 및 상기 통합관리부에서 제어하며 상기 통합관리부와 상기 구역관리부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주차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주차관리시스템{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무인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과 카드결제기를 이용하여 결제하며,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사람의 힘으로 운영되던 많은 것들이 자동화 시스템으로 교체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수많은 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해지고, 인터넷을 이용한 관리 시스템 개발업체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며 성장했지만, 그 성장이 사람들의 예상치를 넘는 결과를 초래하여 도로확충 및 주차공간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차 공간의 관리에 투입되는 인력도 많은 인건비를 초래하고 있으며, 주차장 유지에 고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근래에는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도 많은 업체에서 도입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연결된 무인 시스템 개발 업체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그 형태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많은 기관과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무인 시스템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차시설에 상주하는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카드결제기를 이용한 간단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무인 정산하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은 무인주차관리를 총괄하는 통합관리부; 상기 통합관리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주차구역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구역관리부; 및 상기 통합관리부에서 제어하며 상기 통합관리부와 상기 구역관리부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주차감지부;를 제공한다..
상기 통합관리부는 구역관리부의 데이터를 집계하고 관제하며, 사용자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도 주차장 별 빈 공간 탐색을 할 수 있다.
상기 주차감지부는 옥외설치하며, 방진 및 방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차감지부는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인식부, 상기 차량인식부에 인식된 차량의 주차요금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요금을 결제하는 결제부, 상기 결제부에서 결제한 뒤 영수증을 출력해주는 출력부, 상기 결제부에서 결제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부와 주고받는 통신부,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 및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자동차에게 공급하게 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인식부는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듀얼LPR카메라와 차량 동작을 인식하는 듀얼 IR조명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부는 IC 및 마크네틱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삽입구 및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결제할 수 있는 교통카드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LTE-M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력부는 태양열 집열판, 태양전지 및 한전전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태양열을 이용한 전력공급과 LTE-M망을 이용한 통신으로 타제품보다 운용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전기공사 및 네트워크 공사가 불필요하여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감지부의 모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주차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의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감지부의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은 무인주차관리를 총괄하는 통합관리부(20), 상기 통합관리부(2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주차구역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구역관리부(30) 및 상기 통합관리부(20)에서 제어하며 상기 통합관리부(20)와 상기 구역관리부(30)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주차감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통합관리부(20)는 구역관리부(30)의 데이터를 집계하고 관제하며, 상기 모바일(10)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10)에서도 주차장별 빈공간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차감지부(40)는 옥외설치하며, 방진 및 방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주차감지부(40)는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인식부(41), 상기 차량인식부(41)에 인식된 차량의 주차요금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42), 상기 디스플레이부(42)에 나타난 요금을 결제하는 결제부(43), 상기 결제부(43)에서 결제한 뒤 영수증을 출력해주는 출력부(44), 상기 결제부(43)에서 결제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부(20)와 주고받는 통신부(45)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46) 및 상기 전력부(46)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자동차에게 공급하게 하는 충전부(47)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차량인식부(41)는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듀얼LPR카메라(미도시)와 차량 동작을 인식하는 듀얼 IR조명(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요금을 결제하는 결제부(43)는 IC 및 마크네틱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삽입구(43-1) 및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결제할 수 있는 교통카드 접촉부(43-2)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통신부(45)는 LTE-M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LTE-M은 사물인터넷(IoT)에 사용되는 통신기술로 LTE-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 협회)에서 표준화한 기술이다. 저전력 장거리 통신과 저전력 소모설계, 낮은 단가장비 공급, 구축비용 최소화 안정적인 커버리지 제공 등 핵심설계 사항이다. 이동통신사가 구축해 놓은 기존 LTE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최대 10Mbps 속도가 나오며, 11Km의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력부(46)는 태양열 집열판, 태양전지 및 한전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한다.
상기 충전부(47)는 전기자동차에 필요한 전력을 충전하게 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47)는 전기자동차가 충전하는 시간에 따라 요금을 부가할 수 있으며, 충전이 완료되면, 주차요금만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주차감지부(40)를 설치할 때 소규모 주차장에는 진출입되는 곳에는 2개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입구에는 차량인식부(41)가 있는 제품을 설치하여 차량 출입 시 차량번호와 입차 시간이 입력되고, 출구에는 결제부(43)를 포함하고 있는 제품을 설치하여 차량의 주차시간에 따른 주차요금을 지불하도록 한다.
상기 주차감지부(40)를 설치할 때 또 다른 예로 노상주차장에 설치할 경우, 2개의 주차공간 사이에 1대씩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무인주차관리시스템을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진입하였을 때 차량인식부(41)의 인식하는 듀얼LPR카메라와 차량 동작을 인식하는 듀얼 IR조명으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차량번호 데이터를 구역관리부(30)로 전송하면 구역관리부(30)에서 차량번호와 함께 입차 시간을 입력한다. 또한 모든 주차 공간을 주차된 공간과 빈 공간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차량이 출차할 때, 구역관리부(30)입차시간과 출차시간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42)에 주차요금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2)에 나타난 주차요금을 결제부(43)에서 결제하며, 결제한 뒤에는 출력부(44)에서 결제한 영수증을 출력하여 제공한다.
다른 예로, 주차와 동시에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경우, 충전부(47)에서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며, 사용된 전력과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계산한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이 완료된 후, 주차요금을 부가하여 추가 징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단말기 20: 통합관리부
30: 구역 관리부 40: 주차감지부
41: 차량인식부 42: 디스플레이부
43: 결제부 43-1: 카드삽입구
43-2: 교통카드 감지부 44: 출력부
45: 통신부 46: 전력부
47: 충전부

Claims (8)

  1. 무인주차관리를 총괄하는 통합관리부;
    상기 통합관리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주차구역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구역관리부; 및
    상기 통합관리부에서 제어하며 상기 통합관리부와 상기 구역관리부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주차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부는 구역관리부의 데이터를 집계하고 관제하며, 사용자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도 주차장 별 빈 공간 탐색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감지부는 옥외설치하며, 방진 및 방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감지부는 사용자의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인식부,
    상기 차량인식부에 인식된 차량의 주차요금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요금을 결제하는 결제부,
    상기 결제부에서 결제한 뒤 영수증을 출력해주는 출력부,
    상기 결제부에서 결제한 데이터를 상기 통합관리부와 주고받는 통신부,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 및 상기 전력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자동차에게 공급하게 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인식부는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듀얼LPR카메라와 차량 동작을 인식하는 듀얼 IR조명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IC 및 마크네틱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삽입구 및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결제할 수 있는 교통카드 접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LTE-M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부는 태양열 집열판, 태양전지 및 한전전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주차관리시스템.
KR1020170061435A 2017-05-18 2017-05-18 무인주차관리시스템 KR20180126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435A KR20180126704A (ko) 2017-05-18 2017-05-18 무인주차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435A KR20180126704A (ko) 2017-05-18 2017-05-18 무인주차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04A true KR20180126704A (ko) 2018-11-28

Family

ID=6456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435A KR20180126704A (ko) 2017-05-18 2017-05-18 무인주차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7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8366A (zh) * 2019-11-11 2020-04-17 杭州懒陈鑫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落锁的无人值守停车收费系统的使用方法
CN111223306A (zh) * 2020-01-15 2020-06-0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非法停车确定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56055A (ko) 2019-11-08 2021-05-18 김용묵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장비의 전원제어시스템
KR20220099401A (ko) 2021-01-06 2022-07-13 김용묵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055A (ko) 2019-11-08 2021-05-18 김용묵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장비의 전원제어시스템
CN111028366A (zh) * 2019-11-11 2020-04-17 杭州懒陈鑫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落锁的无人值守停车收费系统的使用方法
CN111223306A (zh) * 2020-01-15 2020-06-0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非法停车确定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20099401A (ko) 2021-01-06 2022-07-13 김용묵 주차 관제 자가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6704A (ko) 무인주차관리시스템
CN201489666U (zh) 基于无线技术的超低功耗停车场车位信息采集和管理系统
CN102831719B (zh) 可避免电网过载的电动汽车有序轮流充电控制系统
CN205610296U (zh) 一种led路灯与电动汽车充电桩一体化设备
CN107627879A (zh) 一种为多辆静止电动汽车有序充电的移动充电系统及方法
CN105303727A (zh) 一种充电桩的计费收费方法及系统
CN203242180U (zh) 智能停车管理系统
CN104217612A (zh) 一种停车场实时智能车辆引导系统
CN204904595U (zh) 基于zigbee RSSI车位检测的路边停车系统
CN204761082U (zh) 一种互联网电动车直流充电桩系统
CN108928249A (zh) 电动车辆充电灯杆及充电灯杆管理系统
CN110807948A (zh) 一种采用无人小车实现路边车位智能管理系统
GB2569786A (en) Kerbside vehicle charger
CN112819975A (zh) 一种高效无人值守路侧停车收费系统及其工作方法
CN109285357A (zh) 基于地磁模式识别技术的车辆信息获取及自动扣费系统
KR101512899B1 (ko) 멀티 충전기 운영 시스템
CN106297394A (zh) 一种全天候无人值守停车场系统
CN104637311A (zh) 用于采集停车和堵车信息的无线车辆感应器
CN208291012U (zh) 电动车辆充电灯杆及充电灯杆管理系统
CN105160932A (zh) 一种基于云存储与nfc的区域停车指引系统
KR101942153B1 (ko) 차량의 주차 및 충전 정보를 토대로 요금을 정산 부과하는 시스템
CN205881040U (zh) 基于云平台、多租户的分布式电动车充电管理系统
CN204809939U (zh) 一种基于灯杆的汽车充电桩
CN201716774U (zh) 一体化路桥车道收费机
CN204538741U (zh) 一种基于市政照明线路的智能充电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