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293B1 -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293B1
KR102587293B1 KR1020220125040A KR20220125040A KR102587293B1 KR 102587293 B1 KR102587293 B1 KR 102587293B1 KR 1020220125040 A KR1020220125040 A KR 1020220125040A KR 20220125040 A KR20220125040 A KR 20220125040A KR 102587293 B1 KR102587293 B1 KR 10258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wireless
data
wireless modem
data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백
Original Assignee
이강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백 filed Critical 이강백
Priority to KR102022012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7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하수의 수질, 유량, 수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계측기; 복수의 무선 모뎀으로서, 각각의 무선 모뎀은 각 계측기에 일대일 대응하여 유선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각 계측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모뎀; 상기 복수의 무선 모뎀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무선 모뎀으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기; 및 상기 데이터 수집기에 유선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장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on-site measuring devices and method for setting static IP address}
본 발명은 하수 처리장의 현장계측기들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와 제어기 사이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시설 설치비와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하수 처리장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 처리장은 생활 오수 등을 화학적인 침전, 여과 및 세균 작용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정화하여 강이나 바다에 방류하도록 처리하는 곳이며 지역 단위로 많은 수의 하수 처리장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종래 하수 처리장은 하수를 처리하는 설비에 따라 유량계, 수위계, 및 다양한 종류의 수질 분석계를 설치하고 이들 기기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PLC 또는 이와 유사한 제어 장치에서 수집하여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펌프 등의 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도1은 종래 일반적인 하수 처리장의 기기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현재는 하수 처리장의 각각의 현장 계측기(10)에서 제어기(20)(예컨대 PLC 제어 장치)까지 신호 케이블(30)로 연결되어 계측기(10)의 측정 데이터가 제어기(20)로 전달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계측기(10)는 4mA 내지 20mA의 아날로그 신호를 측정 신호로 생성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가 신호 케이블(30)을 통해 제어기(20)까지 전달되며, 각각의 신호 케이블(30)에는 계측기(10)와 제어기(20)를 각각 낙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신호용 피뢰기(11,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계측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어기(20) 또는 전원 제어반(도시 생략)에서 각 계측기(10)까지 전원 케이블(40)을 연결하여 각 계측기(10)마다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으며 전원 케이블(40)에도 각각 전원용 피뢰기(12,22)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시스템에서는 하수 처리장내 다수의 계측기(10)를 연결하기 위해 다량의 신호 케이블(30)과 전원 케이블(40) 및 피뢰기(11,12,21,22)가 요구되므로 시설 설치비와 운영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0593480호 (2006년 6월 30일 공고) 2. 한국 등록특허 제10-0734492호 (2007년 7월 3일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 처리장에 각종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현장 계측기의 설치 및 운영을 작업자가 손쉽게 할 수 있고 계측기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모니터링 시스템의 공사비와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하수 처리장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하수의 수질, 유량, 수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계측기; 복수의 무선 모뎀으로서, 각각의 무선 모뎀은 각 계측기에 일대일 대응하여 유선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각 계측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모뎀; 상기 복수의 무선 모뎀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무선 모뎀으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기; 및 상기 데이터 수집기에 유선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장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 계측기와 제어기 사이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 도1에서와 같이 개별 계측기마다 별도의 신호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다수의 피뢰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재비와 인건비를 절감하고 운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계측기에 대응하는 무선 모뎀과 데이터 수집기의 IP 주소를 설정할 때 IP 주소의 중복 설정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숙련된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무선 모뎀과 데이터 수집기 등의 기기 설치 및 환경 설정을 손쉽게 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종래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계측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모뎀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모뎀에 저장되는 IP 주소 리스트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기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계측기 전원 연결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모뎀 및/또는 데이터 수집기의 IP 주소를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장치에 저장되는 IP 주소 리스트를 설명하는 도면,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모뎀 및/또는 데이터 수집기의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장이 현장 계측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장 현장 계측기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간단하게 "모니터링 시스템" 또는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하수 처리장의 처리시설에 설치된 다수의 현장 계측기(10), 각각의 현장 계측기(10)에 일대일 대응하여 설치된 무선 모뎀(100), 무선 모뎀(100)과 무선 통신하는 데이터 수집기(200), 및 제어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계측기(10)는 하수 처리시설의 곳곳에 필요에 따라 다수 설치되며 각각의 계측기(10)는 하수의 수질, 수위, 유량 등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계측기(10)는 하수의 유량이나 수위를 측정하거나 또는 DO(용존산소량),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TP(총인), TN(총질소), TOC(총유기탄소량), MLSS(부유물질량), pH 등의 수질을 측정하는 측정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모뎀(100)은 각 계측기(10)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계측기(1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모뎀(100)은 이에 연결된 계측기(1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수집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계측기(10)와 무선 모뎀(100) 사이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예컨대 RS-232나 RS-485 포트를 통해 모드버스(Modbus)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할 수 있다.
각 계측기(10)는 각 계측기(10)에 대응하는 무선 모뎀(100)으로 측정 데이터를 전달하고, 무선 모뎀(100)은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기(20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기(200)는 하수 처리장의 적어도 일부의 무선 모뎀(100)들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는 데이터 수집기(200)는 하수 처리장의 규모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규모 하수 처리장인 경우 하나의 데이터 수집기(200)가 설치되고 하수 처리장의 모든 무선 모뎀(100)으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만일 하수 처리장의 규모가 크거나 복층 구조 또는 실내 및 실외 시설로 구분된 구조인 경우 예컨대 각 층마다 데이터 수집기(200)가 설치되거나 실내 및 실외에 각각 데이터 수집기(200)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데이터 수집기(200)는 하수 처리장의 전체 무선 모뎀(100) 중 소정 커버 영역의 무선 모뎀(100)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는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으로 연결된다. Wi-SUN은 소전력 무선통신에 적합한 무선 통신 규격으로 물리층은 IEEE802.15.4g, MAC층은 IEEE802.15.4e로 표준화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917~923.5MHz대의 무선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며 무선 LAN(Wi-Fi)에 비해 통신 속도는 느리지만 저소비 전력으로 최대 약 1km까지도 통신이 가능하고 장애물에도 강하여 기기간 연결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Wi-SUN 네트워크를 사용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Wi-Fi, 지그비(Zigbee) 또는 LoRa 등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 수집기(200)와 무선 모뎀(100)은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마스터 장치(데이터 수집기(200))가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무선 모뎀(100))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모뎀(100)은 하나의 데이터 수집기(200)에만 연결된다. 데이터 수집기(200)는 Wi-SUN 네트워크를 통해 각 무선 모뎀(100)과 통신하며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기(200)는 이에 연결된 각각의 무선 모뎀(100)에 개별적으로 명령 또는 요청을 전송하고, 각 무선 모뎀(100)은 이에 연결된 데이터 수집기(200)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무선 모뎀(100)간 통신은 하지 않는다.
데이터 수집기(200)는 무선 모뎀(100)들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제어기(300)로 전송한다. 데이터 수집기(200)와 제어기(300)는 물리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유선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기(200)와 제어기(300)는 이더넷 통신을 하도록 연결된다.
제어기(300)는 예를 들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장치일 수 있다. 제어기(300)는 데이터 수집기(200)로부터 하수 처리장의 모든 계측기(10)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어진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기(300)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키보드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데스크톱 컴퓨터나 서버 등 HMI(human-machine interface) 장치에 연결되고 하수 처리장 운영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운영자가 필요에 따라 이들 데이터를 기초로 각 해당 설비(장치)들에 제어 값(목표값)을 입력함으로써 각 해당설비(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무선 모뎀(100) 및 데이터 수집기(20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모뎀(1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모뎀(100)은 데이터 처리부(110), 입력포트(120), 무선 통신부(130), IP 주소 저장부(140), 및 딥스위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10)는 무선 모뎀(100)에 일대일 대응하여 유선으로 연결된 계측기(10)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1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의 데이터의 형식을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계측기(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모드버스(Modbus) 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 패킷인 경우 이를 Wi-SUN 프로토콜 형식의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포트(120)는 계측기(10)와 유선 통신하기 위한 입력 포트이다. 예를 들어 입력포트(120)는 RS-232, RS-422, RS-485, RS-TTL, 및 RS-TCP 등의 RS 포트 및/또는 USB 포트 등 공지의 입력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데이터 수집기(200)와의 통신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Wi-SUN)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10)로부터 Wi-SUN 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 패킷을 전달받으면 이를 Wi-SUN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수집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IP 주소 저장부(140)는 기설정된 소정 개수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고, 딥스위치(Dip-switch)(150)는 무선 모뎀(100) 장치 외측 표면에 설치된 스위치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자가 딥스위치(150)를 이용하여 해당 무선 모뎀(100)의 고정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모뎀(100)의 IP 주소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IP 주소 리스트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도4에서는 하나의 딥스위치(150)가 2비트를 표현할 수 있는 2비트 스위치 8개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경우 딥스위치(150)는 255개 숫자를 나타낼 수 있고, 도4에 도시한 것처럼 IP 주소 리스트의 각의 IP 주소가 딥스위치(150)가 표현하는 각 숫자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즉 IP 주소 리스트는 딥스위치(150)가 나타낼 수 있는 255가지 숫자 중 적어도 일부를 고정 IP 주소와 매핑시킨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는 모든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가 도4와 같이 미리 설정된 IP 주소 리스트를 각자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 작업자가 예컨대 임의의 무선 모뎀(100)의 딥스위치(150)의 8개 스위치 모두를 0으로 설정하여 "000 0000"을 만들면 이 무선 모뎀(100)은 "100.100.100.0"의 IP 주소를 할당 받게 된다. 고정 IP 주소는 하나의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무선 모뎀(100)들과 데이터 수집기(200)들을 서로 구별하는 주소이면 되므로 하수 처리장 외부의 다른 네트워크의 IP 주소와의 중복 여부는 문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 처리장에 계측기(10) 및 그에 대응하는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를 설치할 때 도4와 같이 미리 주어지는 IP 주소 리스트에 따라 각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의 각각에 설치된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설정하면 되므로, 고도로 숙련된 엔지니어가 제어기(300)나 그에 연결된 제어 컴퓨터에서 프로그래밍 하거나 별도의 제어를 하여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의 IP 주소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각 장치(100,200)의 딥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설치와 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기(20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기(200)는 데이터 처리부(210), 무선 통신부(220), 출력포트(230), IP 주소 저장부(240), 및 딥스위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10)는 무선 모뎀(100)들로부터 수신하는 측정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1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을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모뎀(100)으로부터 수신한 Wi-SUN 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 패킷을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모뎀(100)들과의 통신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Wi-SUN)에 연결할 수 있는 기능부이고, 출력포트(230)는 제어기(300)와 유선 통신하기 위한 포트이다. 예를 들어 출력포트(230)는 이더넷 통신을 위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대안적 실시예에서 모드버스(Modbus) 포트나 USB 포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IP 주소 저장부(240)는 기설정된 소정 개수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로서 예컨대 도4에 도시한 IP 주소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 때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는 모든 무선 모뎀(100) 및 데이터 수집기(200)의 IP 주소 리스트는 동일할 수 있다. 딥스위치(250)는 데이터 수집기(200) 장치의 외부면에 설치된 스위치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무선 모뎀(100)에 대해 딥스위치(150)를 사용하여 무선 모뎀(100)의 고정 IP 주소를 설정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기(200)에 대해서도 딥스위치(250)를 사용하여 해당 데이터 수집기(200)의 고정 IP 주소를 설정한다. 즉, IP 주소 저장부(240)에 저장된 각각의 IP 주소가 딥스위치(250)가 표현하는 각 숫자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딥스위치(250)를 조작하여 소정 숫자를 설정하면 IP 주소 리스트의 이 숫자에 대응하는 IP 주소가 데이터 수집기(200)의 고정 IP 주소로 할당된다.
도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원 연결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현장의 계측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분배반(400) 및 제어반(500)을 포함한다. 제어반(50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수전하는 장치일 수 있고 예컨대 제어기(300)에 포함되거나 이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하수 처리장은 하나 이상의 전원분배함(400)을 포함하며, 전원분배함(400)은 현장 계측기(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수 처리장이 실내와 실외에 각각 다수의 계측기(10)를 구비한 경우 전원분배함(400)은 실내와 실외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고, 이 때 실내의 경우 하나 이상의 전원분배함(400)이 복수개의 계측기(10)를 분담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실외에서도 하나 이상의 전원분배함(400)이 복수개의 계측기(10)를 분담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분배함(400)은 피뢰기(410) 및 복수개의 전원스위치(420)를 구비할 수 있고, 피뢰기(410)는 전원분배함(400)과 제어반(500)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케이블(41)에 설치되어 낙뢰로 인한 시스템 손상을 방지한다. 각각의 전원스위치(420)는 각각 일대일로 현장 계측기(10)에 전원케이블(42)로 연결되며 이 때 각 전원 케이블에 피뢰기(12)가 설치되어 각 계측기(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구성에 의하면, 현장 계측기(10)에 인접한 전원분배함(400)에 대해 제어반(500)에서 하나의 전원 케이블(41)만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되므로 도1의 종래 구성과 비교할 때 전원 설비 작업이 간단하고 케이블 등의 장비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 때 도1과 비교하여 도6의 전원 연결 구성이 가능한 것은 도3과 같이 통신 네트워크를 무선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 사이의 통신망을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하였으므로 전원 연결망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높아졌고, 따라서 도1에서와 같이 제어반에서 각 계측기(10)로 일일이 하나씩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어반(500)에서 계측기 근처의 전원분배함(400)까지 하나의 전원 케이블만 설치하고 전원분배함(400)에서 주변의 각 계측기(10)로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과 같은 전원 연결망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IP 주소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5에서 설명한 것처럼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가 딥스위치(150, 25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딥스위치를 조작하여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 각각의 고정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수 처리장에는 수위계, 유량계, 수질계 등 매우 다양한 종류의 많은 수의 계측기(10)가 설치되고 각 계측기(10)마다 무선 모뎀(100)이 설치되는데 각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마다 딥스위치(150, 250)로 IP 주소를 설정할 경우 둘 이상의 기기에 대해 동일 IP 주소를 설정하는 실수가 일어날 수도 있고, 이 경우 모든 계측기(10)와 무선 모뎀(100) 및 데이터 수집기(200)를 설치하고 테스트 운전을 하기 전까지는 이러한 실수를 발견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장치(600)를 사용하여 각 기기(100, 200)의 IP 주소 설정시 실시간으로 IP 주소의 중복 사용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또한 IP 주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작업자가 참고하여 각 기기의 IP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7(a)를 참조하면, 예컨대 하수 처리장의 소정 현장에 계측기(10) 및 이에 연결된 무선 모뎀(100)을 설치한 후, 무선 모뎀(100)의 IP 주소를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장치(600)를 유선으로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장치(6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임의의 휴대용 장비가 될 수 있고 단말장치(600)는 본 발명에 따른 IP 주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도8에 도시한 IP 주소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단말장치(6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은 예컨대 도9에서 설명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도7(b)는 데이터 수집기(200)의 IP 주소를 설정하기 위해 단말장치(600)가 데이터 수집기(200)에 유선 또 무선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한다.
도8을 참조하면, 단말장치(600)가 저장하고 있는 IP 주소 리스트는 도4의 IP 주소 리스트, 즉 각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가 갖고 있는 IP 주소 리스트와 동일할 수도 있고, 도8에 도시한 것처럼 '주소할당 기기' 항목을 더 포함함으로써 각 IP 주소에 대해 주소가 할당된 기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8의 '주소할당 기기' 항목에는 예컨대 작업자가 소정 무선 모뎀이나 데이터 수집기의 IP를 할당한 후 단말장치(600)를 통해 해당 IP 주소가 할당된 기기를 특정하거나 설명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각 기기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정보나 식별번호가 단말장치(600)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무선 모뎀(100) 및 데이터 수집기(200)의 예시적인 IP 설정 방법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9의 단계(S10)에서 하수 처리장에 설치할 계측기 배치 정보를 단말장치(600)에 입력하고 단계(S20)에서 단말장치(600)가 이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IP 주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계측기 배치 정보는 예를 들어 하수 처리장의 구조(예컨대 건물 구조, 실내 및 실외 배치 여부 등) 및 하수 처리장에 설치하는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의 개수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고, 단말장치(600)는 이에 기초하여 IP 주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 IP 주소 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기(200)에 할당할 IP 주소, 각 데이터 수집기(200)에 연결될 무선 모뎀(100)에 할당할 IP 주소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데이터 수집기(200)와 이에 연결되는 무선 모뎀(100)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IP 주소를 체계적이고 계층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하수 처리장에 2개의 데이터 수집기(200)를 설치하는 경우 제1 데이터 수집기의 IP 주소를 100.100.100.0으로 할당하고 제2 데이터 수집기의 주소를 100.100.100.100으로 할당하고, 제1 데이터 수집기(100)에 연결될 무선 모뎀에 대해서는 IP 주소의 마지막 8비트 값이 1번에서 99번 사이의 주소를, 제2 데이터 수집기에 연결된 무선 모뎀에 대해서는 IP 주소의 마지막 8비트 값이 101번에서 199번 사이의 값을 갖도록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 데이터 수집기(100)에 연결되는 1번에서 99번 사이의 IP 값을 갖는 무선 모뎀에 대해 예를 들어 각 대응되는 계측기(10)의 종류 등 다른 세부 분류에 따라 무선 모뎀들을 하위 계층에서 더 세분화하여 1번에서 99번 사이에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고, 제2 데이터 수집기(100)의 101번에서 199번 IP 주소도 마찬가지로 각 계측기에 따라 분류를 세분화하여 IP 주소를 계층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단말장치(600)가 IP 주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면 작업자가 이 가이드를 참조하여 각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의 주소 할당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IP 주소가 중복되는 상황도 방지하고 각 기기(100,200)에 대해 계층별로 및/또는 종류별로 IP 주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할당할 수 있어 기기의 유지 관리에도 유용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10, S20)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IP 주소 가이드를 생성하지 않고 단계(S30)부터 시작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단말장치(600)가 아닌 다른 장치에서 IP 주소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 후 단말장치(600)이 입력함으로써 단말장치(600)가 이 정보를 갖게 될 수도 있다.
단계(S30)에서, 작업자가 각 기기(100,200)에 대해 딥스위치(150,250)를 조작하여 IP 주소를 할당한다. 이 때 단계(S10, S20)를 통해 생성된 IP 주소 가이드 정보가 있는 경우 작업자가 이를 참조하여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40)에서 단말장치(600)와 해당 기기(100, 200)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을 하면, 단말장치(600)가 해당 기기(100,200)의 IP 주소가 중복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 예를 들어 작업자가 단계(S30)에서 단말장치(600)가 어느 특정 무선 모뎀(100)의 IP 주소를 설정하고 단계(S40)에서 이 무선 모뎀(100)을 단말장치(600)와 연결한 경우, 단말장치(600)가 해당 무선 모뎀(100)과 통신하여 이 무선 모뎀의 IP 주소를 식별하고, 단말장치(600)가 갖고 있는 IP 주소 리스트를 참조하여 해당 식별된 IP 주소가 이미 사용된 주소인지를 판단한다(S50). 해당 IP 주소가 다른 기기에 사용되지 않은 주소인 경우 단말장치(600)는 IP 주소 리스트에 이 IP 주소가 이제 사용되었음을 표시함으로써 IP 주소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S70). 만일 해당 IP 주소가 다른 기기에 사용된 주소인 경우 단말장치(600)는 이를 작업자에게 알람으로 알리고 다른 IP 주소로 설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60).
한편 상기 단계(S30, S40)에서 작업자는 해당 IP 주소가 할당된 기기에 대한 설명이나 식별정보를 단말장치(6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고 이 식별 정보가 도8의 리스트의 '주소할당 기기' 항목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기기의 IP 주소를 설정한 후 단말장치(600)와 통신하면 단말장치(600)가 해당 기기의 IP 주소 및 기기의 식별정보나 고유 번호(예컨대 MAC 어드레스 등)를 식별하면 단말장치(600)가 자동으로 IP 주소 리스트의 '주소할당 기기' 항목을 채울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IP 주소 설정 단계(S30)와 통신 연결 단계(S40)의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즉 IP 주소를 할당하고자 하는 기기와 단말장치(600)의 통신을 먼저 연결한 후 딥스위치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할당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위와 같이 단계(S30 내지 S70)를 수행하여 하나의 기기(100,200)에 대한 IP 주소 할당을 완료하면 작업자는 그 다음 기기로 가서 해당 기기에 대해 단계(S30 내지 S70)를 수행하여 IP 주소를 할당하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장치(600)에서 제공하는 IP 주소 리스트를 참조하여 기기(100, 200)들의 IP 주소 설정 작업을 수행하면 IP 주소를 중복 설정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데이터 수집기(200)와 그에 연결되는 무선 모뎀(100)들의 IP 주소를 계층적이고 체계적으로 설정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하수 처리장 시설의 설치비와 운영비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계측기 100: 무선 모뎀
200: 데이터 수집기 300: 제어기
400: 전원분배함 500: 제어반
600: 모바일 단말장치

Claims (6)

  1.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어 하수의 수질, 유량, 수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계측기(10);
    복수의 무선 모뎀(100)으로서, 각각의 무선 모뎀은 각 계측기에 일대일 대응하여 각 계측기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유선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각 계측기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무선 모뎀(100);
    상기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모뎀(100)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무선 모뎀으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기(200); 및
    상기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수집기(200)에 유선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선 모뎀(100)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수집기(200)의 각각은,
    소정 자리수의 비트를 표현할 수 있는 딥스위치(150, 250); 및
    소정 개수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와 상기 딥스위치(150, 250)가 표현하는 각 숫자를 일대일로 대응한 IP 주소 리스트를 저장하는 IP 주소 저장부(140, 240);를 포함하고,
    상기 딥스위치에 의해 표현된 숫자에 대응하는 IP 주소가 상기 무선 모뎀과 데이터 수집기 각각의 고정 IP 주소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무선 모뎀(100)이,
    계측기와 유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입력포트(120);
    상기 데이터 수집기와 통신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30); 및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기(200)가,
    상기 무선 모뎀과 통신을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220);
    상기 제어기와 유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출력포트(230);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어기와의 유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상에서 상기 무선 모뎀(100)과 데이터 수집기(200)의 각각의 IP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모뎀과 데이터 수집기 중 IP를 설정하고 하는 기기("IP 설정대상 기기")에 대해, 상기 IP 설정대상 기기의 딥스위치를 사용하여 해당 기기에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S30);
    상기 IP 주소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장치(600)와 상기 IP 설정대상 기기 사이에 통신 연결을 하는 단계(S40);
    단말장치(600)가 상기 IP 설정대상 기기의 IP 주소가 중복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0); 및
    IP 주소가 중복 사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IP 주소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IP 주소가 중복 사용된 경우, 상기 단말장치가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지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 설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계측기와 이에 대응하는 무선 모뎀이 RS-232, RS-422, 또는 RS-485를 이용한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의 프로토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모뎀과 상기 데이터 수집기가 Wi-SUN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장의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20125040A 2022-09-30 2022-09-30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KR10258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040A KR102587293B1 (ko) 2022-09-30 2022-09-30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040A KR102587293B1 (ko) 2022-09-30 2022-09-30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293B1 true KR102587293B1 (ko) 2023-10-10

Family

ID=8829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040A KR102587293B1 (ko) 2022-09-30 2022-09-30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2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80B1 (ko) 2004-03-11 2006-06-30 학교법인 인하학원 저수조 무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734492B1 (ko)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47076B1 (ko) * 2008-03-24 2008-07-18 (주)버들시스템 상하수도 처리장의 무인원격 통보 시스템
KR101140277B1 (ko) * 2012-02-15 2012-04-26 (주) 에코센스 다중 통신 방식의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와 전력량 수집기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3075B1 (ko) * 2013-08-07 2013-11-26 이창호 상하수도 원격관리를 위한 하부기기 통합감시 및 전송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1798003B1 (ko) * 2017-02-28 2017-12-12 한양계전(주) 지능형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경 플랜트 통합 원방감시용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
KR102037285B1 (ko) * 2019-01-31 2019-10-29 한국유체기술(주) 보안성을 향상시켜 수집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량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80B1 (ko) 2004-03-11 2006-06-30 학교법인 인하학원 저수조 무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734492B1 (ko)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47076B1 (ko) * 2008-03-24 2008-07-18 (주)버들시스템 상하수도 처리장의 무인원격 통보 시스템
KR101140277B1 (ko) * 2012-02-15 2012-04-26 (주) 에코센스 다중 통신 방식의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와 전력량 수집기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3075B1 (ko) * 2013-08-07 2013-11-26 이창호 상하수도 원격관리를 위한 하부기기 통합감시 및 전송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1798003B1 (ko) * 2017-02-28 2017-12-12 한양계전(주) 지능형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경 플랜트 통합 원방감시용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
KR102037285B1 (ko) * 2019-01-31 2019-10-29 한국유체기술(주) 보안성을 향상시켜 수집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량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694B2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system
CN101401472A (zh) 无线网状网络中现场设备消息路由的可视映射
CN108700324B (zh) 远程管理系统
JP2008192152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入・出力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AU4319201A (en) Network addressing based on physical site location of a network device
US20110153034A1 (en) Universal human machine interface for automation installation
GB2466740A (en) Wireless network performance display.
CN1757002A (zh) 加工厂中通知的传送
WO2006121114A1 (ja) フィールド機器制御システム
CN109062155B (zh) 一种自来水生产监控与供水调度管理系统
KR20160034023A (ko)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
CN111030867B (zh) 基于拨码开关的通讯采集装置和通讯协议免配置方法
KR20130096601A (ko)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EP2237484B1 (en)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87293B1 (ko) 현장 계측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고정 ip 설정 방법
CN111726398A (zh) 一种用于物联网平台的虚拟设备与物理设备的关联方法
CN201765497U (zh) 煤矿污废水处理综合监控信息系统
KR100908047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감시제어시스템
JP628295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RU66550U1 (ru) Комплекс программно-технический для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ным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и процессами
CN106209965A (zh) 一种设备联机管理系统
KR101564603B1 (ko) 광산설비의 중앙집중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KR101917616B1 (ko) 로라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물 제어시스템
CN110285529A (zh) 中央空调末端设备自动配置方法、设备、终端及系统
CN111432369A (zh) 气象信息的无线采集方法和无线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