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975B1 -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975B1
KR101639975B1 KR1020140051879A KR20140051879A KR101639975B1 KR 101639975 B1 KR101639975 B1 KR 101639975B1 KR 1020140051879 A KR1020140051879 A KR 1020140051879A KR 20140051879 A KR20140051879 A KR 20140051879A KR 101639975 B1 KR101639975 B1 KR 10163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hannel
unit
signal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146A (ko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to KR102014005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9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리시설물의 전동기기(수문의 권양기 모터, 배수장의 배수펌프, 양수장의 양수펌프 등)에 있어 2대 이상의 여러 전동기기를 원격 관리할 경우에 각 전동기기별로 독립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음향 신호레벨을 측정하고, 각 전동기기의 동작에 따른 내부의 음향 신호레벨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소음을 감지하여, 이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소로 보내며, 중앙관리소의 PC로 원격소에서 보내온 다채널 음향 신호를 받아 채널별 신호감지 아이콘 및 레벨 수치를 화면상에 나타내며, 관리자는 채널별로 선택하여 현장 발생음 및 기계동작소리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은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색상을 변경함으로 비상 상태를 표현하며,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고, 경고음을 송출하며,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동기기들의 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Multi-channel sound for Repair Facility Management}
본 발명은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리시설물의 전동기기(수문의 권양기 모터, 배수장의 배수펌프, 양수장의 양수펌프 등)에 있어 2대 이상의 여러 전동기기를 원격 관리할 경우에 각 전동기기별로 독립된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음향 신호레벨을 측정하고, 각 전동기기의 동작에 따른 내부의 음향 신호레벨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소음을 감지하여, 이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소로 보내며, 중앙관리소의 PC로 원격소에서 보내온 다채널 음향 신호를 받아 채널별 신호감지 아이콘 및 레벨 수치를 화면상에 나타내며, 관리자는 채널별로 선택하여 현장 발생음 및 기계동작소리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은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색상을 변경함으로 비상 상태를 표현하며,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고, 경고음을 송출하며,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동기기들의 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리시설물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 기계 동작음 및 현장 발생음의 청취는 영상(CCTV)을 통해 감시하는 것보다 중요하다.
종래의 수리시설물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수문 열림이나 닫힘 동작시 개폐 속도가 늦어 수문 동작 여부를 CCTV 화면을 통해 판단하기는 어렵다.
예로써, 관리자는 중앙관리소 PC의 물관리프로그램(HMI)에서 수문의 열림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작동시키는데, 수문동작 상태변화의 시간이 늦어 다시 열림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는 등 오인으로 사용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특히, 관수로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수로의 수문 동작시 카메라 영상은 의미가 없으며 소리로 동작을 파악해야 하며, 최근 배수장 등에 적용되는 펌프게이트는 수문과 펌프가 일체형으로 수문과 펌프를 동작시 영상(CCTV)로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기계동작소리를 듣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관수로나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 펌프게이트 등의 동작소리를 청취하거나, IP 카메라나 A/V 서버의 다채널 오디오 청취를 위한 보완적 제품 개발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 시중에서 판매중인 영상감시(A/V) 서버의 오디오 입력은 1채널로 수리시설물, 즉 펌프나 수문이 현장에 여러 대가 있는 경우, 전동기기 동작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각각의 독립된 다채널 오디오 입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 현장음을 청취하여 수리시설물을 원격감시제어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대한 시스템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34478호(2007년07월0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수문 제어시 중앙관리소 PC의 물관리프로그램(HMI)에서 수문의 열림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실시간(1초 이내) 수문 모터 동작소리를 듣게 됨으로 관리자는 수문 동작유무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수문을 관리할 경우, 각 수문별 독립된 기계동작소리를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어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들려오는 음향(기계동작소리) 신호로 기계의 동작 상태 및 고장 유무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수리시설물 설치현장, 지사, 지역본부, 본사 등)가 한정된 네트워크 환경(ADSL 500Kbps 이하)에서도 현장감있는 기계동작소리 및 현장발생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은,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취득 후, 혼합하여 각종 계측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음향입력수단(100)과;
각 채널별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여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500)로 신호레벨 크기를 전송하며, 비정상적 신호레벨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을 정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신호레벨을 수치로 입력, 저장하며, 기준 소음을 벗어나는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하기 위한 음향판단수단(200)과;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음향 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하고, 알람 발생시 카메라에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제공하여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계측기와 연결된 시리얼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계측값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음향처리수단(300)과;
각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판단, 처리, 압축시켜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며,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출력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은,
종래의 영상과 음향을 혼합하여 전송하는 A/V서버로 인터넷의 한정된 전송 속도로 인하여 영상데이터량이 많아지는 한낮의 햇빛 또는 집중호우시 음향 신호가 전송되지 않거나 끊기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영상을 배제한 오디오 전용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통신환경이 열악하여 영상 전송이 어려운 경우에도 수리시설물 제어시 기계동작소리로 제어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관수로나 지하에 매설된 전동기기의 제어시 유용하게 활용되며, 오디오 기능이 없거나 채널수가 부족한 영상전송장치(A/V) 서버의 보완적 제품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수리시설물 현장에서 다수의 전동기기(예, 수문 8련, 배수펌프 4대 등)를 감시제어하는 경우 각 전동기기 일측에 음향취득장치를 설치하고 다채널 오디오 입력를 받아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며, 관리자는 프로그램에서 선택적으로 전동기기의 기계동작소리를 청취할 수 있어 안심하고 수리시설물을 감시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채널별로 입력된 다채널 독립된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소리 크기)을 판단하고, 관리자가 설정한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 신호레벨을 비교하여 더 큰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되면,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알람을 알리고,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은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색상을 변경함으로 비상 상태를 표현하며,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고, 경고음을 송출하며,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알람이 판단되면 디지털입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카메라의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동기기의 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대 이상의 전동기기를 구성할 경우에, 각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중앙관리소 PC 스피커 출력은 언제나 일정하게 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현장에서 각 채널별로 이득조절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다채널 오디오 청취시 출력 스피커의 볼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고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이 통신 전송 속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음향신호의 비트레이트를 조절하여 압축, 전송함으로써 열악한 통신환경이나 다수의 사용자 접속에 대해서도 원활한 다채널 음향 신호를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두절인지 시스템이 오류로 인하여 정지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설정된 주기(예, 1분)마다 시스템이 DDNS 서버로 현장 IP 정보를 알리는 기능으로 설정된 시간마다 시스템의 현재 IP 주소를 DDNS 서버로 보내고 DDNS 서버는 시스템으로 ACK 신호를 줄 때 정상적인 통신 상태로 판단하게 되나,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수 없는 상황일 경우 DDNS 서버가 ACK 신호를 받을 수 없어 이런 경우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으로 상태로 판단하여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에 상태를 표출해 주고, 경고창을 팝업시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SMS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두절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전천후 물관리자동화시스템(대한민국특허등록 1128366호인 유동 IP 환경에서 통신두절 자가 감지 및 자동 재개 기능을 갖춘 전천후 물관리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과 결합할 경우 DDNS 서버가 ACK 신호를 받을 수 없을 경우 자동으로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리셋 신호를 보내 일정시간(예, 3초) 전원을 리셋함으로써 자동으로 재개시킬 수 있는 확장성을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입력수단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판단수단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처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출력수단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중앙관리소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은,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취득 후, 혼합하여 각종 계측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음향입력수단(100)과;
각 채널별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여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500)로 신호레벨 크기를 전송하며, 비정상적 신호레벨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을 정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신호레벨을 수치로 입력, 저장하며, 기준 소음을 벗어나는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하기 위한 음향판단수단(200)과;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음향 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하고, 알람 발생시 카메라에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제공하여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계측기와 연결된 시리얼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계측값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음향처리수단(300)과;
각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판단, 처리, 압축시켜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며,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출력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입력수단(100)은,
상기 전동기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취득하도록 설치되는 음향취득장치(110)와,
2대 이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다채널오디오입력부(120)와,
입력된 다채널 음향신호를 혼합하는 오디오믹서부(130)와,
각종 계측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리얼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판단수단(200)은,
다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채널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해당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500)에서 선택한 채널로 연결하여 각 채널별로 선택하여 청취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선택부(210)와,
각 채널별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여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신호레벨 크기를 전송하는 신호레벨판단부(220)와,
비정상적 신호레벨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을 정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신호레벨을 수치로 입력, 저장하는 알람설정부(230)와,
신호레벨판단부의 신호레벨 크기와 알람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 신호레벨과 비교하여 기준 소음을 벗어나는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하는 알람판단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처리수단(300)은,
각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부(310)와,
자동이득조절부를 거친 음향 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하여 상향(Upload) 속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디오압축부(320)와,
상기 알람판단부에서 알람으로 판단되면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알람을 알리고, 디지털입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카메라의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알람처리부(330)와,
디지털 출력(DO) 신호 획득시, 전동기기를 정지시키거나 카메라의 프리셋을 해당 전동기기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다채널 디지털입출력부(340)와,
계측기와 연결된 시리얼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계측값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시리얼통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향출력수단(400)은,
현장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단자를 구성하고 있는 오디오출력부(410)와,
각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판단, 처리, 압축시켜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는 오디오전송부(420)와,
자동이득조절부의 처리 이전에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신호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청취할 수 있도록 신호 레벨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AUX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청취부(430)와,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DDNS알림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관리소단말기(500)는,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색상변경부(510)와,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며, 경고음을 송출하기 위한 경고발생부(520)와,
SMS문자를 담당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시지전송부(530)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영상정보표출부(540)와,
전동기기에 동작 차단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동기기동작차단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1000)은,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취득 후, 혼합하여 각종 계측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음향입력수단(100)과;
각 채널별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여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500)로 신호레벨 크기를 전송하며, 비정상적 신호레벨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을 정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신호레벨을 수치로 입력, 저장하며, 기준 소음을 벗어나는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하기 위한 음향판단수단(200)과;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음향 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하고, 알람 발생시 카메라에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제공하여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계측기와 연결된 시리얼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계측값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음향처리수단(300)과;
각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판단, 처리, 압축시켜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며,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를 알릴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향출력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입력수단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입력수단(100)은,
상기 전동기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취득하도록 설치되는 음향취득장치(110)와,
2대 이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다채널오디오입력부(120)와,
입력된 다채널 음향신호를 혼합하는 오디오믹서부(130)와,
각종 계측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리얼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음향취득장치는 수리시설물의 전동기기에 밀착시켜 구성하게 되며, 다채널오디오입력부는 2대 이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때, 상기 오디오믹서부는 입력된 다채널 음향신호를 혼합하게 된다.
상기 시리얼입력부는 수위계, 유량계 등과 같은 각종 계측기를 RS232, RS485, RS422과 같은 시리얼(Serial) 통신으로 연결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판단수단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판단수단(200)은,
다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채널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해당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500)에서 선택한 채널로 연결하여 각 채널별로 선택하여 청취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선택부(210)와,
각 채널별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여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신호레벨 크기를 전송하는 신호레벨판단부(220)와,
비정상적 신호레벨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을 정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신호레벨을 수치로 입력, 저장하는 알람설정부(230)와,
신호레벨판단부의 신호레벨 크기와 알람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 신호레벨과 비교하여 기준 소음을 벗어나는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하는 알람판단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신호선택부는 중앙관리소에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에서 다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채널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해당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HMI)에서 선택한 채널로 연결함으로써 관리자가 각 채널별로 선택하여 청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신호레벨판단부는 각 채널별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소리 크기)을 판단하여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신호레벨 크기를 전송하고 해당 프로그램은 크기를 수치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알람설정부는 오디오믹서부 이전, 즉 자동이득조절부를 거치지 않은 본래의 음향 신호레벨로 판단하는 신호레벨판단부의 신호레벨 크기를 관리자가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하고, 각 채널별로 선택하여 현장음을 청취한 후 비정상적 신호레벨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을 정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신호레벨을 수치로 입력하여 저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알람판단부는 신호레벨판단부의 신호레벨 크기와 알람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 신호레벨과 비교하여 기준 소음을 벗어나는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처리수단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처리수단(300)은,
각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부(310)와,
자동이득조절부를 거친 음향 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하여 상향(Upload) 속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디오압축부(320)와,
상기 알람판단부에서 알람으로 판단되면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알람을 알리고, 디지털입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카메라의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알람처리부(330)와,
디지털 출력(DO) 신호 획득시, 전동기기를 정지시키거나 카메라의 프리셋을 해당 전동기기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다채널 디지털입출력부(340)와,
계측기와 연결된 시리얼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계측값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시리얼통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자동이득조절부는 각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실시예로써, 중앙관리소 PC의 스피커 볼륨을 50%로 두고 1번 수문의 기계동작소리를 선택하여 청취한 후 2번 수문의 기계동작소리를 선택하여 청취할 경우, 스피커 볼륨을 조절해야 하는 등 운영상 불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리시설물 전동기기의 특성상 각 전동기기마다 소리의 볼륨이 달라 다채널 오디오 입력시 채널을 선택할 때마다 중앙관리소 PC의 스피커를 조절하게 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자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는 마치 TV를 시청할 때, 리모콘으로 채널을 변경할 때마다 볼륨을 조절하지 않는 것과 같다.
각 채널별 기준 이득은 음향출력수단의 현장청취부, 즉 AUX 단자를 통해 현장에서 직접 소리를 청취하여 각 채널의 기준값을 조절한다.
상기 오디오압축부는 자동이득조절부를 거친 음향 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하여 상향(Upload) 속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자동이득조절부를 거친 음향 신호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관리소로 전송해야 하는데, 이때, 네트워크 통신 속도를 측정하고 해당 속도에 맞도록 음향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함으로써 인터넷 ADSL과 같은 상향(Upload) 속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알람처리부(330)는 알람판단부에서 알람으로 판단되면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알람을 알리고, 디지털입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카메라의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신호레벨판단부의 신호레벨 크기와 알람설정부를 통해 관리자가 설정한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 신호레벨을 비교하여 더 큰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판단부에서 알람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알람을 알리고,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은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색상을 변경함으로 비상 상태를 표현하며,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고, 경고음을 송출하며,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알람이 판단되면 디지털입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카메라의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채널 디지털입출력부(340)는 디지털 출력(DO) 신호 획득시, 전동기기를 정지시키거나 카메라의 프리셋을 해당 전동기기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에서 전등 켜기/끄기, 방송앰프 켜기/끄기, 수문 열림/정지/닫힘, 펌프 기동/정지 등 현장 전동기기 및 주변장치를 원격 제어하거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알람발생시 알람처리부에서 자동으로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전동기기를 정지시키거나 카메라의 프리셋을 해당 전동기기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시리얼통신부는 수위계, 유량계, 온도계 등과 같은 계측기와 연결된 시리얼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계측값을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음향출력수단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향출력수단(400)은,
현장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단자를 구성하고 있는 오디오출력부(410)와,
각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판단, 처리, 압축시켜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는 오디오전송부(420)와,
자동이득조절부의 처리 이전에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신호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청취할 수 있도록 신호 레벨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AUX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청취부(430)와,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DDNS알림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오디오출력부는 중앙관리소 PC와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현장 수리시설물을 제어하기 전 안내방송이나 경고방송을 하기 위해 디지털입출력부로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전송하여 방송 앰프를 켜고 현장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하는데 이 때, 현장 스피커와 연결하는 스피커 단자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전송부는 각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오디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판단, 처리, 압축시켜 최종 인터넷 통신장비(모뎀, 공유기 등) 및 통신라인을 통해 중앙관리소 PC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현장청취부는 자동이득조절부의 처리 이전에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신호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청취할 수 있도록 신호 레벨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AUX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현장에서 음향원격감시제어시스템을 설치하거나 유지관리시 오디오믹서부 이후 즉, 자동이득조절부 이전에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신호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청취하여 자동이득조절부의 이득조절 레벨 설정을 프로그램을 통해 신호 레벨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DDNS알림부는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통신두절인지 음향원격감시제어시스템이 오류로 인하여 정지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설정된 주기(예, 1분)마다 시스템이 DDNS 서버로 현장 IP 정보를 알리는 기능으로 설정된 시간마다 시스템의 현재 IP 주소를 DDNS 서버로 보내고 DDNS 서버는 시스템으로 ACK 신호를 줄 때 정상적인 통신 상태로 판단하게 되나,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수 없는 상황일 경우 DDNS 서버가 ACK 신호를 받을 수 없어 이런 경우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으로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중앙관리소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관리소단말기(500)는,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색상변경부(510)와,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며, 경고음을 송출하기 위한 경고발생부(520)와,
SMS문자를 담당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시지전송부(530)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영상정보표출부(540)와,
전동기기에 동작 차단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동기기동작차단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아이콘색상변경부는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의 색상을 변경하게 된다.
이를 통해 손쉽게 알람 발생을 인지할 수 있으며, 경고발생부에 의해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며, 경고음을 송출하여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전송부에 의해 알람 발생에 대한 SMS문자를 담당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영상정보표출부에 의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표출하며, 전동기기동작차단부의 동작을 통해 전동기기에 동작 차단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전동기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다.
즉, 수문 8련의 수리시설물 현장에 있어 각 수문의 전동기기 즉, 권양기 일측에 밀착시켜 수문 동작시 발생하는 기계동작소리를 취득하도록 본 발명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음향취득장치(대한민국특허등록 0734478호(2008.04.02)인 전동기기 음계 원격 점검장치) 8개 설치하고, 8개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8개의 입력단자를 포함한 다채널오디오입력부와 입력된 음향신호가 오디오믹서부를 거치기 전에 각 전동기기의 동작에 따른 내부의 음향 신호레벨을 판단하여 수치화하는 신호레벨판단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소음이 포함되었는지 알람판단부에서 판단하게 되며, 2개의 혼합기(Mixer)를 두어 8개의 음향신호를 혼합한 후 스테레오(L, R)로 출력하여 현장청취부를 통해 현장에서 각 채널별 음향신호레벨에 따른 자동이득조절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이득조절부(AGC 처리부)를 통해 조절된 후 오디오 프로세서를 거쳐 음향신호를 압축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관리자는 마이크의 전원을 켜고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의 방송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현장 시스템은 디지털입출력부와 연결된 방송앰프로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앰프를 켜고 스피커 출력부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안내방송 및 경고방송을 한다.
중앙관리소의 PC 프로그램은 현장에서 보내온 다채널 음향 신호를 받아 채널별 신호감지 아이콘 및 레벨 수치를 화면상에 나타내며, 관리자는 채널별로 선택하여 현장 발생음 및 기계동작소리를 청취한다.
또한,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은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색상을 변경함으로 비상 상태를 표현하며,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고, 경고음을 송출하며,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동기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 또는 기기들의 큰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수리시설물 관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차이점에 따라 파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종래의 수리시설물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수문 열림이나 닫힘 동작시 개폐 속도가 늦어 수문 동작 여부를 CCTV 화면을 통해 판단하기는 어렵다.
실시예로써, 관리자는 중앙관리소 PC의 물관리프로그램(HMI)에서 수문의 열림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작동시키는데, 수문동작 상태변화의 시간이 늦어 다시 열림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는 등 오인으로 사용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특히, 관수로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수로의 수문 동작시 카메라 영상은 의미가 없으며 소리로 동작을 파악해야 하며, 최근 배수장 등에 적용되는 펌프게이트는 수문과 펌프가 일체형으로 수문과 펌프를 동작시 영상(CCTV)로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기계동작소리를 듣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수리시설물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 기계 동작음 및 현장발생음의 청취는 영상(CCTV)을 통해 감시하는 것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면 영상과 음향을 혼합하여 전송하는 A/V서버로 인터넷의 한정된 전송 속도로 인하여 영상데이터량이 많아지는 한낮의 햇빛 또는 집중호우시 음향 신호가 전송되지 않거나 끊기는 현상을 배제하기 위하여 영상을 배제한 오디오 신호만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수리시설물 원격감시제어시스템(대한민국특허등록 0836825호(2008.06.03)인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의 경우에는 오디오 단일 채널 입력으로 현장 기계동작소리를 청취하기 때문에 다수의 전동기기를 관리하는 현장에서는 각 전동기기별로 기계동작소리를 파악할 수 없고, 음향취득장치(대한민국특허등록 0734478호(2008.04.02)인 전동기기 음계 원격 점검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음향 청취가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수리시설물 현장에서 다수의 전동기기(예, 수문 8련, 배수펌프 4대 등)를 감시제어하는 경우 각 전동기기 일측에 음향취득장치(대한민국특허등록 0734478호(2008.04.02)인 전동기기 음계 원격 점검장치)를 설치하고 다채널 오디오 입력를 받아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며, 관리자는 프로그램에서 선택적으로 전동기기의 기계동작소리를 청취할 수 있어 안심하고 수리시설물을 감시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수리시설물 영상(CCTV)으로 감시하는 경우 전동기기의 동작 상태 및 고장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없었다.
실시예로써, 물이 없는데 배수펌프가 작동중(빈 모터 작동)일 경우 과열로 인한 기기 손상 및 화재 위험, 수문 뒷면(CCTV로 확인이 되지 않는 부분)에 이물질이 끼여 개폐가 원활하지 않아 권양기의 과부하로 인한 기기 손상, 수문의 좌우 수평이 맞지 않아 엇물려 개폐됨으로써 수문이 이탈될 위험이 있는 상황 등의 경우 영상으로는 파악이 불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각 채널별로 입력된 다채널 독립된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소리 크기)을 판단하고, 관리자가 설정한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 신호레벨을 비교하여 더 큰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되면,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으로 알람을 알리고,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은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색상을 변경함으로 비상 상태를 표현하며, 화면에 비상상태를 경고창으로 표출하고, 경고음을 송출하며, SMS문자 전송을 통하여 담당자에게 전송하고 알람이 판단되면 디지털입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카메라의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동기기의 큰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에 음향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현장에 직접 가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통신두절인지 시스템이 오류로 인하여 정지된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설정된 주기(예, 1분)마다 시스템이 DDNS 서버로 현장 IP 정보를 알리는 기능으로 설정된 시간마다 시스템의 현재 IP 주소를 DDNS 서버로 보내고 DDNS 서버는 시스템으로 ACK 신호를 줄 때 정상적인 통신 상태로 판단하게 되나,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 주소를 알릴수 없는 상황일 경우 DDNS 서버가 ACK 신호를 받을 수 없어 이런 경우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으로 상태로 판단하여 중앙관리소 PC 프로그램에 상태를 표출해 주고, 경고창을 팝업시키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관리자에게 SMS 문자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두절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인이 이전에 출원하여 등록된 전천후 물관리자동화시스템(대한민국특허등록 1128366호(2012.03.13)인 유동 IP 환경에서 통신두절 자가 감지 및 자동 재개 기능을 갖춘 전천후 물관리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과 결합할 경우 DDNS 서버가 ACK 신호를 받을 수 없을 경우 자동으로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리셋 신호를 보내 일정시간(예, 3초) 전원을 리셋함으로써 자동으로 재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음향입력수단
200 : 음향판단수단
300 : 음향처리수단
400 : 음향출력수단
500 : 중앙관리소단말기

Claims (6)

  1.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전동기기 일측에 밀착시켜 전동기기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취득하도록 설치되는 음향취득장치(110)와,
    2대 이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다채널오디오입력부(120)와,
    입력된 다채널 음향신호를 혼합하는 오디오믹서부(130)와,
    각종 계측기와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리얼입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향입력수단(100)과;
    다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채널별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해당 아이콘을 마우스로 클릭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500)에서 선택한 채널로 연결하여 각 채널별로 선택하여 청취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선택부(210)와,
    각 채널별 음향신호의 신호레벨을 판단하여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신호레벨 크기를 전송하는 신호레벨판단부(220)와,
    비정상적 신호레벨에 대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을 정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신호레벨을 수치로 입력, 저장하는 알람설정부(230)와,
    신호레벨판단부의 신호레벨 크기와 알람설정부를 통해 설정한 알람을 발생시킬 기준 신호레벨과 비교하여 기준 소음을 벗어나는 소음이 발생될 경우, 알람으로 판단하는 알람판단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향판단수단(200)과;
    각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라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의 스피커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부(310)와,
    자동이득조절부를 거친 음향 신호의 비트레이트를 가변 조절하여 압축하여 상향(Upload) 속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다수의 사용자에게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디오압축부(320)와,
    알람판단부에서 알람으로 판단되면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알람을 알리고, 디지털입출력부를 통해 디지털 출력(DO) 신호를 보내 카메라의 프리셋을 동작시켜 해당 전동기기의 영상을 표출하거나, 자체 전동기기 동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알람처리부(330)와,
    디지털 출력(DO) 신호 획득시, 전동기기를 정지시키거나 카메라의 프리셋을 해당 전동기기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다채널 디지털입출력부(340)와,
    계측기와 연결된 시리얼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계측값을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시리얼통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향처리수단(300)과;
    현장 스피커와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단자를 구성하고 있는 오디오출력부(410)와,
    각각의 전동기기마다 설치된 각각의 음향취득장치와 연결하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각 채널별 음향 신호를 판단, 처리, 압축시켜 PC 프로그램이 탑재된 중앙관리소단말기로 전송하는 오디오전송부(420)와,
    자동이득조절부의 처리 이전에 각 채널별 오디오 입력신호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청취할 수 있도록 신호 레벨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AUX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장청취부(430)와,
    통신에 장애가 있거나 시스템이 오류로 정지되어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동적 DNS) 주소를 알릴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 통신 이상 또는 시스템 이상 상태에 대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DDNS알림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향출력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51879A 2014-04-29 2014-04-29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163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79A KR101639975B1 (ko) 2014-04-29 2014-04-29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79A KR101639975B1 (ko) 2014-04-29 2014-04-29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46A KR20150125146A (ko) 2015-11-09
KR101639975B1 true KR101639975B1 (ko) 2016-07-15

Family

ID=5460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879A KR101639975B1 (ko) 2014-04-29 2014-04-29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71B1 (ko) * 2015-11-17 2019-01-02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아날로그 계측 장비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아날로그 계측 장비 관리 방법
KR20210129873A (ko) * 2020-04-21 2021-10-29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음향 카메라의 개선된 음향 정보 시각적 표시 방법 및 음향 카메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92B1 (ko) *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1117613B1 (ko) *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78B1 (ko) 2006-08-21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전동기기 음계 원격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92B1 (ko) * 2006-10-20 2007-07-03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1117613B1 (ko) *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46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3968B2 (en) Pressure se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734492B1 (ko) 상하수도처리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US8023661B2 (en) Self-adjusting and self-modifying addressable speaker
US20210278006A1 (en)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leaks using a system of flow rate sensors and smart valves
KR102181623B1 (ko) 지능화 상하수도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RU2688272C2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монитор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US1103259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security system using a television remote control
KR102162632B1 (ko) 지능화 상하수도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53164B1 (ko)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0553032B1 (ko) 소수력발전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CN105100758A (zh) 用于安防监控的方法、设备以及摄像头
KR101639975B1 (ko)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채널 음향 원격감시제어시스템
US20190297797A1 (en) Irrigation flow sensor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irrigation
KR101854726B1 (ko) 센서 기반의 이상검출 자동통보방송시스템
EP3345058A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wasserleitungnetzes
KR20090078186A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감시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2081B1 (ko)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836825B1 (ko)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20180136671A (ko) 영상분석 기법을 이용한 지진감시 대응 안내시스템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CN210639451U (zh) 一种水库大坝水位渗压渗流采集控制系统
KR101002428B1 (ko) 영상을 이용한 원방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3756B1 (ko) 다수의 축사설비 관리를 위한 영상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KR101858675B1 (ko) 이상 음원 검출 자동 경고 방송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KR20120095516A (ko) 수계 감시 계측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