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701B1 -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701B1
KR101498701B1 KR20140062649A KR20140062649A KR101498701B1 KR 101498701 B1 KR101498701 B1 KR 101498701B1 KR 20140062649 A KR20140062649 A KR 20140062649A KR 20140062649 A KR20140062649 A KR 20140062649A KR 101498701 B1 KR101498701 B1 KR 10149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control signal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정보통신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정보통신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정보통신기술
Priority to KR2014006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현장의 각종 센서 및 감지기의 상태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감시현장의 각종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로서, 관리자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랜포트;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입출력부;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DVR(디지털 영상저장장치)로 송, 수신하는 DVR접속부; 각종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감지신호입력부; 각종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출력부;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제어모드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수동으로 출력하는 수동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카메라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DVR접속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입출력부에서 수신한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수신한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수동제어모드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기능 및 제어기능이 통합된 단일 감시제어장치를 이용하여 DVR 제어, 카메라의 영상 수신, 복수 개의 센서신호 수집 및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현장의 감시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제어모드와 관리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동제어모드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REMOTE MULTI-CHANNEL MONITORING AND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현장 센서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명령으로 현장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CCTV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DVR 중심으로 구성되며 현장에 설치된 모니터나 원격지에서 PC 또는 모바일폰의 뷰어프로그램으로 접속하여 감시한다.
DVR이 감지기에서 이벤트를 수신하면 녹화를 개시한다. 녹화 시작시 DVR에서 녹화시작 상태만 원격지 PC 또는 모바일폰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종래 CCTV 시스템은 감시현장에서 영상을 감시 및 녹화하며 DVR이나 전용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카메라 제어가 가능하나 구성기기와 소프트웨어기능의 미비로 감시현장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감시현장에 있는 각종 센서 및 감지기의 개별 정보가 원격지 PC로 전송되지 않아 각종 세서 및 감지기의 개별 상태를 파악할 수 없고 문제 발생에 따른 능동적인 실행 및 복구조치를 취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해서 각종 센서 및 감지기의 개별 정보가 전송되지 않고 녹화개시 정보만 전달되어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DVR이 설치되지 않은 감시현장에는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접속 및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으며, DVR이 설치되어 있어 원격접속이 가능한 시스템의 경우에도 DVR을 통한 카메라 제어 이외의 명령은 수행할 수가 없어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0755207호(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는 도로변의 재난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변의 사면에 설치되어 사면의 압력이나 수분 및 환경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센서수집장치; 상기 센서수집장치에서 전송된 감지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현장제어장치; 상기 도로변 사면을 감시하기 위하여 설정된 검지구역에 설치된 지주의 일측에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설치되어 검지구역 내의 도로변 사면 또는 차량의 흐름 및 교통량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영상검지장치, 및 상기 현장제어장치의 제어신호로 재난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표출하기 위한 시청각장치를 포함하여 천재지변으로 인하여 하천이 인접한 도로 또는 산악지형이나 절개사면이 인접한 도로변의 붕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재난(및 재해)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의하여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알림으로써, 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내등록특허 제10-0755207호(도로변 재난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는 현장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해 센서수집장치, 현장제어장치 및 볼륨제어장치 등과 같이 별도의 기기가 설치되어야 하고 센서수집장치, 현장제어장치 및 볼륨제어장치 등이 상호 간에 LAN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므로, LAN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각 기기 간에 통신이 두절되는 문제가 있으며, 별도의 기기 설비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복수 개의 장치를 운용해야 하므로 현장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 시 문제 해결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센서 및 감지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과 각종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통합형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제어모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센서 및 감지기의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제어장치로 출력이 가능하고,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는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PC 또는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내림으로써 제어신호를 제어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는, 감시현장의 각종 센서 및 감지기의 상태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감시현장의 각종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로서, 관리자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랜포트;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입출력부;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DVR(디지털 영상저장장치)로 송, 수신하는 DVR접속부; 각종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감지신호입력부; 각종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출력부;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제어모드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수동으로 출력하는 수동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카메라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DVR접속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입출력부에서 수신한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수신한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수동제어모드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각종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각종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며 수동제어모드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의 개별 상태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개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형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는 토글 방식과 값의 변화를 파악하는 정량측정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신호선택부; 및 상기 제어신호출력부의 각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형태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출력 방식과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출력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 출력신호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정량측정 방식으로 설정된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값이 기 설정된 수치를 넘는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감지신호가 여전히 이상상태인지 확인하여 이상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명령이 제어신호 출력 스톱 명령인 경우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에 의하면, 감지기능 및 제어기능이 통합된 단일 감시제어장치를 이용하여 DVR 제어, 카메라의 영상 수신, 복수 개의 센서신호 수집 및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현장의 감시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제어모드와 관리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동제어모드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감시제어장치를 운영함으로써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는 원격지에서 PC 또는 모바일 폰을 통해 인터넷 접속함으로써 복수 개의 센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원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CCTV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가 적용된 현장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의 전면 및 후면의 예시도.
도 5는 현장의 복수 개의 감지신호를 확인하고 복수 개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지 PC 또는 모바일폰 화면의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가 적용된 현장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의 전면 및 후면의 예시도이고, 도 5는 현장의 복수 개의 감지신호를 확인하고 복수 개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지 PC 또는 모바일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100)는 감시현장의 각종 센서 및 감지기의 상태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감시현장의 각종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랜포트(101), 영상입출력부(102), DVR접속부(103), 감지신호입력부(104), 제어신호출력부(105), 모드선택부(106) 및 제어부(107)를 포함하고, 무선통신부(108), 표시부(109), 저장부(110), 입력신호선택부(111), 출력신호선택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랜포트(101)는 관리자 단말기(원격지 PC 또는 모바일폰)와 인터넷 접속을 위해 공유기에 연결된다.
영상입출력부(102)는 현장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현장에 설치된 모니터로 출력한다.
DVR접속부(103)는 현장의 카메라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DVR(디지털 영상저장장치)로 전송하고, DVR로부터 녹화 상태 신호를 수신한다.
감지신호입력부(104)는 각종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단자는 네 개를 구비하며 각 입력단자는 적외선 센서, 열선 감지기, 가스 감지기, 화재 감지기에 각각 연결되어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제어신호출력부(105)는 각종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제어신호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설정된 신호가 출력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출력단자는 네 개를 구비하며 각 출력단자는 조명장치, 가스밸브, 방화셔터, 소화설비에 각각 연결되어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작동시키기 원하는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화재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방화셔터 및 소화설비가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가스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가스밸브가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저장부(110)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관리자가 원격으로 접속하여 수정 및 설정이 가능하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신호가 있더라도 운용모드가 수동제어모드인 경우는 인터넷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원격지 PC 또는 모바일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모드선택부(106)는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제어모드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수동으로 출력하는 수동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 및 설정한다. 자동제어모드 및 수동제어모드의 설정은 감시제어장치(100)의 외부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원격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도 5를 참고하면, 관리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뷰어프로그램에서 현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네 개의 센서 및 감지기를 통해서 수신되는 감지신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 앰프, 도어, 가스밸브를 온/오프 시키는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Zoom in/out, Pan/Tilt와 같은 카메라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DVR접속부(10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카메라, 도어폰, DVR 등으로부터 전송되어 영상입출력부(102)에서 수신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수신한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하며 수동제어모드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한다. 영상입출력부(102)에서 수신한 영상은 현장의 모니터로 출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07)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린다. 관리자는 단말기를 통해 어느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신호가 감지되었는지 뿐만 아니라 어떤 제어신호가 출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 5분 동안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저장부(1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한다. 해당 시간은 관리자 단말기를 통하여 초 단위부터 분 단위까지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며, 각 감지신호 별로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자동모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관리자는 단말기를 통한 명령으로 완전히 수동으로만 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완전수동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7)는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 해당 감지신호가 여전히 이상상태인지 확인하여 이상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5분 전에 감지된 감지신호가 이상상태라고 하여도 5분이 지난 후에는 감지신호가 해제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감지신호를 다시 한번 확인 후 여전히 이상이 있는 경우만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수신된 명령이 '제어신호 출력 스톱 명령'인 경우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위에서 본 완전수동모드가 아닌 해당 감지신호에 한해서만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무선통신부(108)는 각종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각종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한다. 무선통신부(108)는 ZigBee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신호를 송, 수신하는 센서 및 감지기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 수신하는 제어장치와는 무선통신부(108)를 통해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무선통신부(108)를 통해 수신한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105) 또는 무선통신부(108)를 통해 출력하며 수동제어모드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105) 또는 무선통신부(108)를 통해 출력한다. 무선통신부(108)를 통한 송, 수신의 경우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의 운용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저장부(110)는 각종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하나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없을 수도 있고, 여러 개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107)는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저장부(110)에서 검색하여 출력한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매핑정보는 수정이 가능하여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다른 것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표시부(109)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의 개별 상태 및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개별 상태를 표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100)의 전면과 후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4의 경우는 최대 네 개의 센서 및 감지기가 연결되는 경우 각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LED가 켜지는 것을 표시하는 예이고, 최대 네 개의 제어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각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될 때 LED가 켜지는 것을 표시한 예이다.
후면에는 DVR접속부(103)에 해당하는 RS-485/232 단자, 인터넷 접속을 위한 랜포트(101), 카메라, 도어폰, DVR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현장의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입출력부(102)에 해당하는 VIDEO 입력/출력 단자, 현장의 소리를수신하고 현장으로 안내방송을 출력하는 AUDIO 입력/출력 단자, 각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입력부(104), 각종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출력부(105)가 구비된다. 또한, 각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의 개수에 대응하는 입력 DIP-Switch와 각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의 개수에 대응하는 출력 DIP-Switch가 구비된다.
입력신호선택부(111)는 감지신호입력부(104)의 각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형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는 토글 방식과 값의 변화를 파악하는 정량측정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한다. 입력 DIP-Switch를 이용하여 각 입력단자 별로 설정이 가능하다. 온/오프 상태 파악시 loopback 감지 전압은 DC 5V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값의 변화량 측정은 저항값을 측정한다.
출력신호선택부(112)는 제어신호출력부(105)의 각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형태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출력 방식과 릴레이 구동전압 DC 5V를 출력하는 전원출력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한다. 출력 DIP-Switch를 이용하여 각 출력단자 별로 설정이 가능하다. 출력 릴레이의 접점 내압은 단자당 220V/1A로 구성한다.
제어부(107)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정량측정 방식으로 설정된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값이 기 설정된 수치를 넘는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단자로 수신되는 센서 및 감지기의 감지신호의 세기가 아주 작은 경우는 이상 상태로 판단하지 않고, 설정된 수치 이상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만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다. 각 센서 및 감지기의 경우마다 이상상태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수치는 다르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접속하여 설정된 수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기능 및 제어기능이 통합된 단일 감시제어장치를 이용하여 DVR 제어, 카메라의 영상 수신, 복수 개의 센서신호 수집 및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현장의 감시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제어모드와 관리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동제어모드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감시제어장치를 운영함으로써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는 원격지에서 PC 또는 모바일 폰을 통해 인터넷 접속함으로써 복수 개의 센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원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0: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101: 랜포트
102: 영상입출력부 103: DVR접속부
104: 감지신호입력부 105: 제어신호출력부
106: 모드선택부 107: 제어부
108: 무선통신부 109: 표시부
110: 저장부 111: 입력신호선택부
112: 출력신호선택부

Claims (9)

  1. 감시현장의 복수 개의 센서 및 감지기의 상태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감시현장의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로서,
    관리자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랜포트;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하는 영상입출력부;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DVR(디지털 영상저장장치)로 송, 수신하는 DVR접속부;
    복수 개의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감지신호입력부;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어신호출력부;
    상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자동제어모드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수동으로 출력하는 수동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카메라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DVR접속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입출력부에서 수신한 영상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수신한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수동제어모드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신호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형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는 토글 방식과 값의 변화를 파악하는 정량측정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신호선택부;
    상기 제어신호출력부의 각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형태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출력 방식과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전원출력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 출력신호선택부; 및
    각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의 개수에 대응하는 입력 DIP-Switch와 각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의 개수에 대응하는 출력 DIP-Switch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선택부는 입력 DIP-Switch를 이용하여 각 입력단자 별로 토글 방식과 정량측정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출력신호선택부는 출력 DIP-Switch를 이용하여 각 출력단자 별로 접점출력 방식과 전원출력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제어부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정량측정 방식으로 설정된 입력단자에서 입력되는 값이 기 설정된 수치를 넘는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접속하여 센서 및 감지기 별로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상기 기 설정된 수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센서 및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복수 개의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감지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며 수동제어모드인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의 개별 상태 및 상기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개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모드가 자동제어모드인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동제어모드 상태에서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감지신호가 여전히 이상상태인지 확인하여 이상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명령이 제어신호 출력 스톱 명령인 경우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KR20140062649A 2014-05-23 2014-05-23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KR10149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2649A KR101498701B1 (ko) 2014-05-23 2014-05-23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2649A KR101498701B1 (ko) 2014-05-23 2014-05-23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701B1 true KR101498701B1 (ko) 2015-03-05

Family

ID=5302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2649A KR101498701B1 (ko) 2014-05-23 2014-05-23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3802A (zh) * 2017-02-24 2017-05-24 广州威普数码科技有限公司 混合式硬盘录像机
KR101951361B1 (ko) * 2017-09-15 2019-02-22 김동권 인공지능 방범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437A (ko) * 2007-11-02 2007-11-21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
KR20100018645A (ko) * 2008-08-07 2010-02-18 (주)위드솔루션 홈네트워크 솔루션을 탑재한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101241582B1 (ko) * 2012-05-18 2013-03-11 주식회사 나라정보기술 방범 폐쇄회로티브이 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140010586A (ko) * 2012-07-13 2014-01-27 (주) 다이시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437A (ko) * 2007-11-02 2007-11-21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
KR20100018645A (ko) * 2008-08-07 2010-02-18 (주)위드솔루션 홈네트워크 솔루션을 탑재한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101241582B1 (ko) * 2012-05-18 2013-03-11 주식회사 나라정보기술 방범 폐쇄회로티브이 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140010586A (ko) * 2012-07-13 2014-01-27 (주) 다이시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또는 현장 제어 장치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3802A (zh) * 2017-02-24 2017-05-24 广州威普数码科技有限公司 混合式硬盘录像机
KR101951361B1 (ko) * 2017-09-15 2019-02-22 김동권 인공지능 방범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660B1 (ko)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US8354935B2 (en) Method for hushing a CO detector through power-on reset
US8847773B2 (en) Combination CO/smoke detector with reverse compatible initiating circuit
WO2015170316A1 (en) Dual-detector capacity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thereof
KR101498701B1 (ko) 원격지 다채널 감시제어장치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8186A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감시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310243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
JP2018049487A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20170118262A (ko) Cctv 카메라의 고장 경고 장치
JP6263368B2 (ja) 火災報知設備
KR20170013513A (ko) 원격 방범용 멀티제어장치
KR101264591B1 (ko) 화재 감지 장치 및 시스템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JP2021131912A (ja) 防災システム
KR101737789B1 (ko) 지진 및 진동 감지 시스템을 구비한 주차 유도 시스템
US10733955B2 (en) Devices and methods to display alarm and home events on video monitors
JP6055216B2 (ja) 告知放送受信機
JP6646839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KR100731592B1 (ko)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JP3305965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蓄積式受信機および状態表示制御方法
JP2013246546A (ja) 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