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771A -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 - Google Patents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771A
KR20170137771A KR1020177029708A KR20177029708A KR20170137771A KR 20170137771 A KR20170137771 A KR 20170137771A KR 1020177029708 A KR1020177029708 A KR 1020177029708A KR 20177029708 A KR20177029708 A KR 20177029708A KR 20170137771 A KR20170137771 A KR 20170137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knob
slider
bas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나카무라
켄이치 카츠베
소이치 나카야마
타케노리 타카시마
사토시 묘진
토모노리 타나베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다이얼과 노브의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한다. 다이얼 조작 장치(10)에서는, 다이얼(58)의 회전 조작 시에는, 다이얼(58)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78)가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78)에 설치된 노브 계합부(80A)가, 노브(110)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노브(110)의 회전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노브(110)의 회전 조작 시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 중 일방이 노브 계합부(80A)에 대해서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부터 대향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78)의 슬라이드에 연동하는 다이얼(58)의 회전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
본 발명은, 파워 시트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개2014-201267호 공보에 기재된 파워 시트 조작 장치는, 파워 시트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얼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파워 시트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 기구 중에서 조작 대상이 되는 가동 기구가 선택된다. 또, 다이얼부에는, 스위치 노브(노브, knob)가 설치되고, 이 노브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가동 기구가 작동된다. 또, 같은 기술로서는, 특개2012-146429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구성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에서는,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과 노브의 조작이 동시에 행해지면, 의도하지 않은 가동 기구가 조심성 없게 작동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다이얼과 노브의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는, 복수의 가동 기구가 설치된 파워 시트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회전 조작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가동 기구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회전 조작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가동 기구가 작동됨과 동시에, 스스로의 회전 방향으로 대향한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를 갖는 노브와,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노브 계합부를 갖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반경 방향의 일방 측으로 슬라이드 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의 사이에 상기 노브 계합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의 회전 조작 시에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 중 일방이 상기 노브 계합부에 대해서 상기 일방 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에서는, 다이얼이 파워 시트에 대해서 회전 조작되면, 파워 시트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 기구 중 하나가 선택된다. 그리고, 다이얼에 설치된 노브가 다이얼에 대해서 회전 조작되면, 상기 선택된 가동 기구가 작동된다.
여기서, 다이얼의 회전 조작 시에는, 다이얼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다이얼의 반경 방향 일방 측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에 설치된 노브 계합부가, 노브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는, 노브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의 사이에 노브 계합부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와 노브 계합부와의 당접에 의해서, 노브의 회전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노브의 회전 조작 시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 중 일방이 노브 계합부에 대해서 다이얼의 반경 방향 일방 측으로부터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의 노브 계합부가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 중 일방에 당접함으로써, 슬라이더가 다이얼의 반경 방향 일방 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의 슬라이드(연동)를 수반하는 다이얼의 회전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얼과 노브의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는, 제1 태양에서, 상기 노브는,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동축적(同軸的)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에서는, 다이얼에 대해서 회전 조작되는 노브가, 다이얼에 대해서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에 대해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에 설치된 노브 계합부와, 노브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와의 형상을, 다이얼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는, 제1 또는 제2 태양에서, 상기 파워 시트에 장착되어, 상기 다이얼을 상기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캠부가 형성된 다이얼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캠부와의 계합에 의해서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슬라이드 된다.
제3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에서는, 파워 시트에 장착되는 다이얼 베이스가, 다이얼을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다이얼 베이스에는, 슬라이더가 계합한 캠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이얼 베이스에 대해서 다이얼이 회전 조작되면, 다이얼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캠부와의 계합에 의해서 다이얼의 반경 방향 일방 측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의 회전 조작과 슬라이더의 슬라이드를 간단한 구성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는, 제3 태양에서, 상기 캠부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더는, 탄성 부재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서 상기 캠부와 당접되어 있다.
제4 태양에서는, 다이얼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탄성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서 다이얼 베이스의 캠부와 당접되어 있다. 이 캠부는, 다이얼의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고, 다이얼의 회전 조작 시에는, 슬라이더가 캠부의 요철에 따라서 이동된다. 이 캠부의 요철에 의해,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클릭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는, 제4 태양에서, 상기 캠부는, 요철면이 상기 반경 방향의 중심 측을 향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반경 방향의 외방 측을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제5 태양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에서는, 다이얼 베이스에 형성된 캠부의 요철면이, 다이얼의 반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고, 다이얼에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다이얼의 반경 방향 외방 측으로 부세되어 상기 캠부에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캠부의 요철면이 다이얼의 반경 방향 외방 측을 향하고, 슬라이더가 다이얼의 반경 방향 중심 측을 부세된 구성과 비교하여, 캠부에서의 요철을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의 파워 시트는, 상기 복수의 가동 기구가 설치된 시트 본체와, 상기 다이얼이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서 상기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제1~제5 태양의 어느 1개의 태양 기재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6 태양의 파워 시트에서는, 복수의 가동 기구가 설치된 시트 본체에 대해서, 파워 시트 조작 장치의 다이얼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파워 시트 조작 장치는, 제1~제5 태양의 어느 1개의 태양에 기재된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에서는, 다이얼과 노브의 동시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파워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 동 파워 시트가 구비되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다축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며, 파워 시트 조작 장치가 구비되는 다이얼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다이얼이 리클라이너(recliner)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다이얼이 리프터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다축 구동 장치로부터 파워 시트 조작 장치가 떼어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파워 시트 조작 장치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파워 시트 조작 장치를 표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파워 시트 조작 장치를 이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파워 시트 조작 장치의 구성 부재인 다이얼 베이스를 포함하는 주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 도 9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 파워 시트 조작 장치의 구성 부재인 다이얼 및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주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 도 11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A] 다이얼 및 슬라이더와 다이얼 베이스의 캠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다이얼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 다이얼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로부터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로 회전 조작되고 있는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도 13A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C] 다이얼이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와 슬라이드 조작 위치와의 사이의 도중 위치로부터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때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3A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D] 다이얼이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에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3A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E] 다이얼이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와 슬라이드 조작 위치와의 사이의 도중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조작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때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 13A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F] 다이얼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3A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 파워 시트 조작 장치로부터 다이얼 본체 및 커버가 떼어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도 14에 나타낸 구성으로부터 또 노브가 떼어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A] 노브의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와, 슬라이더의 노브 계합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다이얼 및 노브의 비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 노브가 일 측으로 회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C] 노브가 타측으로 회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D] 다이얼이 회전 조작되고 있는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 및 노브 계합부의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A] 도 17에 나타내는 구성을 도 17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B] 노브가 일 측으로 회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8A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8C] 다이얼이 회전 조작되고 있는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도 18A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9] 캠부의 다른 실시예(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0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도 1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 및 파워 시트(12)에 대해 설명한다. 또, 각 도면 내에 적당하게 나타낸 화살표 FR는 차량 전(前)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上)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OUT는 차량폭 방향의 외방(外方)을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워 시트(12)의 전후 상하의 방향 및 폭 방향(좌우 방향)은, 차량의 전후 상하의 방향 및 폭 방향(좌우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파워 시트(12)의 개략 전체 구성)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파워 시트(12)는, 시트 본체(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 본체(14)는, 시트 쿠션(16)를 도시하지 않은 차체 상부에 대해서 시트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시트 슬라이드 기구(20)와, 시트 백(18)을 시트 쿠션(16)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리클라이너(recliner) 기구(22)와, 시트 쿠션(16)을 차체 상부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터 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구는, 어느 쪽도 가동 기구이다.
또, 이 파워 시트(12)는, 시트 쿠션(16)의 차량 폭 방향 외방 측의 측부(16A)에 설치된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는, 시트 슬라이드 기구(20), 리클라이너 기구(22) 및 리프터 기구(2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시트 스위치이며, 시트 쿠션(16)의 측부(16A) 내에 배설된 다축 구동 장치(26)(도 2~도 5 참조)를 개입시켜 시트 쿠션(16)에 장착되어 있다.
이 다축 구동 장치(26)는, 시트 슬라이드 기구(20), 리클라이너 기구(22) 및 리프터 기구(24)를, 도시하지 않은 1개의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시트 본체(1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다축 구동 장치(26)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12/077759호에 기재된 것으로, 모터와 상기 각 가동 기구와의 기계적인 연결 상태를,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의 구성)
도 2~도 8에 나타내듯이,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는, 시트 본체(14)에 장착된 다이얼 베이스(32)와, 다이얼 베이스(32)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58)과, 다이얼(5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78)와, 다이얼(58)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94)와, 다이얼(58)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노브(110)를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이얼 베이스(32)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축선 방향이 시트 폭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다축 구동 장치(26)의 시트 폭 방향 외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이얼 베이스(32)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다이얼 베이스(32)의 시트 폭 방향 내측면(다축 구동 장치(26) 측의 면)에는, 한 쌍의 요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부(36)는, 관통공(34)을 통해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요부(36)에는, 다축 구동 장치(26)에 설치된 한 쌍의 철부(28)가 감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축 구동 장치(26)에 대한 다이얼 베이스(32)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 다이얼 베이스(32)는, 후술하는 스위치 베이스(62)에 의해서 다축 구동 장치(26)에 대한 축선 방향 이동이 규제된 구성으로 되고, 다축 구동 장치(26)에 대해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다이얼 베이스(32)의 시트 폭 방향 내측면에는, 시트 폭 방향 내방 측을 향하여 커넥터부(3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부(38)에는, 전술의 모터에 접속된 안전 벨트에 장착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축 구동 장치(26), 즉 시트 본체(14)에 고정된 다이얼 베이스(32)에 커넥터가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다이얼(58)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모터의 안전 벨트에 굴곡력이 입력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다이얼 베이스(32)의 시트 폭 방향 외측면에서의 반경 방향의 일 측에는, 복수(여기에서는 4개)의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가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는, 다이얼 베이스(32)의 둘레 방향(周方向)을 직사각형으로 하는 장척형(長尺狀)으로 형성되고, 다이얼 베이스(32)의 반경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이들 복수의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는, 커넥터부(38)에 설치된 복수의 연결기 단자(38A)(도 8 참조)와, 배선 패턴(42)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배선 패턴(42)의 도면 내에는, 퓨지블 링크 플레이트(fusible link plate)(44)가 장착되어 있다. 또, 도 7, 도 9 등에서 부호 46, 48을 교부한 부재는, 절연용의 씰(seal)이다.
또, 다이얼 베이스(32)의 시트 폭 방향 외측면에서의 반경 방향의 일 측에는, 다이얼 베이스(32)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부채꼴 모양의 요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50)는, 관통공(34)이 형성된 다이얼 베이스(32)의 중앙 측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갈수록 다이얼 베이스(32)의 둘레 방향의 치수가 확대되도록 형성되고, 다이얼 베이스(32)의 외주부에 요철형의 캠부(5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캠부(52)에 대해서는, 다이얼 베이스(32)의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는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곡부(54A, 54B, 54C)와 복수(여기에서는 2개)의 산부(56A, 56B)가, 다이얼 베이스(32)의 둘레 방향(다이얼(58)의 회전 방향)으로 교대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캠부(52)는, 요철면(52A)이 다이얼 베이스(32) 및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고 있다.
곡부(54A, 54B, 54C) 및 산부(56A, 56B)는, 다이얼 베이스(32)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파형상(波形狀)의 캠부(52)를 구성하고 있다. 곡부(54A, 54B, 54C)는, 다이얼 베이스(32)의 반경 방향 외방 측(외주 측)을 향하여 패여 있으며, 다이얼 베이스(32)의 반경 방향 외방 측으로 갈수록, 다이얼 베이스(32)의 둘레 방향의 치수(다이얼(58)의 회전 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작아지고 있다. 산부(56A, 56B)는, 다이얼 베이스(32)의 반경 방향 중심 측(중앙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다이얼 베이스(32)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 갈수록, 다이얼 베이스(32)의 둘레 방향의 치수(다이얼(58)의 회전 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작아지고 있다. 곡부(54A, 54B, 54C)의 곡저부(谷底部), 및 산부(56A, 56B)의 정부(頂部)는, 다이얼 베이스(32)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円弧狀)으로 만곡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곡부(54A, 54B, 54C)는, 다이얼 베이스(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45°의 피치로, 다이얼 베이스(32)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고, 도 10에 나타낸는 θ1이 45°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곡부(54A, 54B, 54C)를 곡부(54)로 기재하고, 산부(56A, 56B)를 산부(56)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구성의 다이얼 베이스(32)에 대해서 시트 폭 방향 외방 측에는, 다이얼(58)이 배치되어 있다.
다이얼(58)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시트 폭 방향 내방 측(다이얼 베이스(32) 측)이 개방된 대략 유저원통형(有底円筒狀)의 다이얼 본체(60)와, 대략 원반형의 스위치 베이스(6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이얼 본체(60)는, 축선 방향이 시트 폭 방향을 따라 또한 개구부를 시트 폭 방향 내방 측을 향한 자세로, 다이얼 베이스(32)에 대해서 동축적(同軸的)에 배치되어 있다. 다이얼 베이스(32)는, 다이얼 본체(60)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고, 다이얼 본체(60)의 외주부에는, 링 형의 커버(64)가 장착되어 있다. 또, 이 다이얼 본체(60)의 외주부의 일부에는, 다이얼(58)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台形狀)의 요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66)에는, 다이얼 본체(60)의 반경 방향으로 개구된 대략 홈형(矩形)의 노브 삽통공(68)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베이스(62)는, 다이얼 본체(60)와 다이얼 베이스(3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베이스(62)는, 다이얼 본체(60)의 내측에 감합하고, 다이얼 본체(60)의 내주부에 형성된 복수의 조부(爪部)가 스위치 베이스(62)의 외주부에 걸려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베이스(62)가 다이얼 본체(60)에 대해서 동축적이고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베이스(62)의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내방 측으로 돌출된 연결축(72)이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축(72)의 기단부는, 다이얼 베이스(32)의 요부(5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연결축(72)의 기단 측에는, 원주 형으로 형성된 지축부(支軸部)(7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축부(72A)는, 다이얼 베이스(32)의 관통공(34)에 회전 자재로 감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베이스(62), 즉 다이얼(58)이, 다이얼 베이스(32)에 대해서 회전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연결축(72)에서의 지축부(72A)보다 선단 측에는, 각주형(角柱狀)으로 형성된 각주부(72B)가 설치됨과 동시에, 각주부(72B)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조부(72C)가 설치되어 있다.
각주부(72B)는, 다이얼 베이스(32)보다 시트 폭 방향 내방 측으로 돌출되고, 전술한 다축 구동 장치(26)가 구비하는 조작축(30)(도 5 참조)에 대응하고 있다. 이 조작축(30)에는, 시트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의 연결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각주부(72B)는, 상기의 연결공(30A)에 삽입되고, 한 쌍의 조부(72C)가 연결공(30A)의 안쪽(奧側)에서 조작축(30)에 걸려 있다. 이것에 의해,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가 다축 구동 장치(26)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스위치 베이스(62)는, 조작축(30)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고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이얼(58)이 수동으로 회전 조작됨으로써, 다축 구동 장치(26)가 모터와 상기 각 가동 기구와의 기계적인 연결 상태를 바꾸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얼(58)은, 다이얼 베이스(32), 즉 시트 본체(14)에 대해서, 복수의 회전 위치인 슬라이드 조작 위치(도 2에 나타내는 위치),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위치), 및 리프터 조작 위치(도 4에 나타내는 위치)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이얼(58)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모터와 시트 슬라이드 기구(20)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또, 다이얼(58)이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모터와 리클라이너 기구(22)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또, 다이얼(58)이 리프터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모터와 리프터 기구(24)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조작 위치와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와의 사이로의 다이얼(58)의 회전 각도, 및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와 리프터 조작 위치와의 사이로의 다이얼(58)의 회전 각도가, 어느 쪽도 45°로 설정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베이스(62)의 시트 폭 방향 내측면(다이얼 베이스(32) 측의 면)에서의 반경 방향의 일 측에는, 복수(여기에서는 4개)의 단자(74)가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74)는, 스위치 베이스(62)로 동심의 원호형으로 만곡하고, 스위치 베이스(62)의 반경 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단자(74)는, 전술한 복수의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에 대해서 항상 접동 가능하게 접촉하고, 복수의 단자(74)와 복수의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는,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홈(40A)(도 9 참조: 도 9 이외에서는 부호 생략)에 의해서 2고형(二股狀)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74)로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와의 접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마모분을,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놓고, 단자(74)와 다이얼 베이스 접촉자(40)와의 접촉을 안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베이스(62)의 시트 폭 방향 내측면(다이얼 베이스(32) 측의 면)에서의 반경 방향의 타측에는, 슬라이더 지지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지지부(76)는, 다이얼 베이스(32) 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벽부(76A)(도 11 및 도 12 참조)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벽부(76A)는, 스위치 베이스(62)의 둘레 방향으로 대향하고, 스위치 베이스(62)의 중앙 측에서 전술한 연결축(72)의 기단부에 일체화 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 지지부(76)는, 다이얼 베이스(32)의 요부(50) 내에 배치되고, 슬라이더(78)를 지지하고 있다.
슬라이더(78)는, 예를 들면 수지에 의해서 대략 블록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측벽부(76A)의 사이에 감합하는 본체부(80)를 가지고 있다. 이 본체부(80)는, 한 쌍의 측벽부(76A)에 의해서, 스위치 베이스(62)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축선 방향으로 탈락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본체부(80)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베이스(62) 측(시트 폭 방향 외방 측)으로 돌출된 각주형(角柱狀)의 노브 계합부(철부)(8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브 계합부(80A)는, 스위치 베이스(62)에 형성된 홈형의 관통공(82)에 삽통되고, 스위치 베이스(62)의 시트 폭 방향 외방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관통공(82)는, 스위치 베이스(6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위치 베이스(62)에 대한 본체부(80)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80)의 선단부(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외방 측의 단부)에는, 롤러(84)가 장착되어 있다. 롤러(84)는, 슬라이더(78)에 대해서 시트 폭 방향에 따른 축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84)의 외주부에는, 고무에 의해서 링 형으로 형성된 소음용의 고무 링(86)(도 13A~도 13F에서는 부호 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부(76A)의 사이에서, 슬라이더(78)의 본체부(80)와 연결축(72)의 기단부와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로서의 롤러 스프링(88)이 배설되어 있다. 이 롤러 스프링(88)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슬라이더(78)를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외방 측으로 부세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78)의 롤러(84)가, 고무 링(86)을 개입시켜 전술한 캠부(52)의 요철면(52A)에 탄성적으로 당접하며(가압되고) 있다. 이 슬라이더(78)가, 복수의 곡부(54A, 54B, 54C) 중 하나에 감김에 따라, 다이얼(58)이 복수의 회전 위치 중 하나에 보관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78)가 곡부(54A)에 감김에 따라, 다이얼(58)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도 2에 나타내는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또, 슬라이더(78)가 곡부(54B)에 감김에 따라, 다이얼(58)이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또, 슬라이더(78)가 곡부(54C)에 감김에 따라, 다이얼(58)이 리프터 조작 위치(도 4에 나타내는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또, 다이얼(58)이 회전 조작될 때, 슬라이더(78)의 롤러(84) 및 고무 링(86)이 캠부(52)의 요철면(52A) 상에서 전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을 탄성변형 시키고 다이얼(58)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캠부(52)의 요철면(52A)에 따라서 이동된다.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더(78)가 곡부(54A)에 감긴 상태, 즉 다이얼(58)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다이얼(58)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로부터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로 회전 조작될 때, 도 13B에 나타내듯이, 롤러(84)가 산부(56A)의 경사면에 의해서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 밀림으로써,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 슬라이드 한다.
그리고, 도 13C에 나타내듯이, 롤러(84)가 산부(56A)의 정부(頂部)를 넘으면,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외방 측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곡부(54B)의 곡저부 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78)가 산부(56A)를 넘어 곡부(54B)에 끼워진다. 이 때에는, 고무 링(86)이 곡부(54B)의 곡저부와 당접함으로써, 이음의 발생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이 점은, 슬라이더(78)가 곡부(54A) 또는 곡부(54C)에 끼워질 때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78)가 산부(56A)를 넘을 때, 롤러 스프링(88)이 압축 변형된다. 이 때문에, 다이얼(58)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자가, 슬라이드 조작 위치와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와의 사이의 도중 위치(중간 위치)에서 다이얼(58)로부터 손을 떼어 놓았을 경우에는,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가까이의 곡부(54A) 또는 곡부(54B)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이 복수의 회전 위치 중 하나인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 위치에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13C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조작자가 다이얼(58)로부터 손을 떼어 놓았을 때에는,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가까이의 곡부(54B)에 끼워진다(도 13D 참조).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이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에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또, 예를 들면, 도 13E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조작자가 다이얼(58)으로부터 손을 떼어 놓았을 때에는,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가까이의 곡부(54A)에 끼워진다(도 13F 참조).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이 슬라이드 조작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 하지만, 다이얼(58)이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와 리프터 조작 위치와의 사이에 회전 조작될 때,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를 압축 변형시켜 다이얼(58)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산부(56B)를 넘는다. 이 회전 조작의 도중에 조작자가 다이얼(58)로부터 손을 떼어 놓았을 경우에는,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가까이의 곡부(54B) 또는 곡부(54C)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이 복수의 회전 위치 중 하나인 리프터 조작 위치 또는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에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베이스(62)의 중앙부에는, 시트 폭 방향 외방 측으로 돌출된 노브 지지축(114)이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노브 지지축(114)의 선단부는, 다이얼 본체(60)의 저벽(60A)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부(118) 내에 감합하고 있다. 또, 스위치 베이스(62)의 시트 폭 방향 외측면에서의 반경 방향의 일 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94)가 배설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94)는, 도 7, 도 8, 도 14, 도 15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커버(96)와, 스위치 노브(98)와, 스위치 푸시 록 핀(switch push lock pin)(102)과, 스위치 스프링(104)과, 한 쌍의 스위치 접촉자(106)와, 접점(10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커버(96)는, 스위치 베이스(62) 측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조 감합(爪嵌合)에 의해서 스위치 베이스(62)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스위치 베이스(62)의 내측에는, 스위치 노브(98)가 수용되어 있다.
스위치 노브(98)는, 스위치 베이스(62) 측이 개방된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스위치 베이스(62)에 대해서 스위치 베이스(62)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스위치 노브(98)에는, 시트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98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98A)는, 스위치 커버(96)의 저벽에 형성된 홈형의 관통공(100)에 삽통되어, 스위치 커버(96)의 시트 폭 방향 외방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스위치 노브(98)와 스위치 베이스(62)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푸시 록 핀(102) 및 스위치 스프링(104)이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푸시 록 핀(102)은, 블록형으로 형성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인 스위치 스프링(104)에 의해서 스위치 베이스(62) 측에 부세되어 있다. 이 스위치 푸시 록 핀(102)과 스위치 베이스(62)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스위치 접촉자(106)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스위치 접촉자(106)는, 스위치 베이스(62)에 장착된 접점(108)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노브(98)가 스위치 커버(96)에 대해서 스위치 베이스(62)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한 쌍의 스위치 접촉자(106)와 접점(108)과의 접촉 상태를 교체한다. 이 접점(108)은, 전술한 단자(7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변환에 의해서 다축 구동 장치(26)의 모터가 작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마이크로 스위치(94)는, 신뢰성 및 범용성이 있고, 온도 변화에의 내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순한 구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저감에도 기여한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94)는, 노브(110)에 의해서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노브(11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다이얼 본체(60)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노브(110)의 중앙부에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베이스(62) 측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보스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112)의 내측에는, 스위치 베이스(62)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된 원주형의 노브 지지축(114)이 회전 자재로 감합하고 있다. 또, 노브(110)의 중앙부에는, 도 7에 나타내듯이, 다이얼 본체(60)의 저벽(60A) 측을 향하여 돌출된 링형의 회전 지지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지지부(116)의 내측에는, 다이얼 본체(60)의 저벽(60A)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부(118)가 회전 자재로 감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노브(98)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동축적이고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노브(110)와 스위치 베이스(62)와의 사이에는, 노브 스프링(120)이 걸쳐져 있다. 노브 스프링(12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노브(110) 및 스위치 베이스(62)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노브 스프링(120)은, 노브(110)를 스위치 베이스(62)에 대해서 도 14 및 도 16A에 나타내는 중립 위치로 부세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노브(110)에 대해서 조작력이 입력되지 않은 통상시에는, 노브(110)가 스위치 베이스(62)에 대해서 상기의 중립 위치에 보관 유지되어 있다.
또, 노브(110)의 외주 측에는, 시트 폭 방향 내방 측(스위치 베이스(62) 측)을 향하여 한 쌍의 대략 각주형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는, 노브(110)의 회전 방향(둘레 방향)으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는, 노브(110)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노브(110)의 회전 방향을 따르도록 만곡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는, 도 16A 및 도 17에 나타내듯이, 전술한 슬라이더(78)의 노브 계합부(80A)에 대해서, 노브(110)의 중심 측의 근방에 배치되고, 노브(110)가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의 사이의 간극(틈새)가, 노브 계합부(80A)에 대해서 노브(110)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8A 참조). 또, 도 16A~도 16D에서는, 노브 계합부(80A)를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노브 계합부(80A)에 점(dot)을 교부하고 있다.
노브(110)의 외주부에는, 절결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24) 내에는, 스위치 노브(98)의 돌기(98A)가 배치되어 있다. 또, 노브(110)의 외주부에는, 노브(110)의 반경 방향 외방 측으로 돌출된 조작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126)는, 다이얼 본체(60)의 노브 삽통공(68)에 삽통되어 다이얼 본체(6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이얼 본체(60)의 요부(6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126)에 대해 노브(110)가 회전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B에 나타내듯이, 조작부(126)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둘레 방향 일방 측으로 조작됨으로써, 노브(110)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둘레 방향 일방 측으로 회전하고, 스위치 노브(98)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둘레 방향 일방 측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것에 의해, 다축 구동 장치(26)의 모터가 정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일방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가, 노브 계합부(80A)에 대해서 노브(110)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부터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8B 참조).
또, 도 16C에 나타내듯이, 조작부(126)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둘레 방향 타방 측으로 조작됨으로써, 노브(110)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둘레 방향 타방 측으로 회전하고, 스위치 노브(98)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둘레 방향 타방 측으로 슬라이드 한다. 이것에 의해, 다축 구동 장치(26)의 모터가 역전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타방의 슬라이더 계합부(122B)가, 노브 계합부(80A)에 대해서 노브(110)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부터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6D 및 도 18C에 나타내듯이, 다이얼(58)이 회전 조작됨으로써, 슬라이더(78)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 슬라이드 될 때, 노브 계합부(80A)가,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의 사이에 배치(삽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파워 시트(12)에서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의 다이얼(58)이 다이얼 베이스(32)에 대해서 복수의 회전 위치(슬라이드 조작 위치, 리클라이너 조작 위치 및 리프터 조작 위치) 중 하나로 회전 조작되면, 복수의 가동 기구(시트 슬라이드 기구(20), 리클라이너 기구(22) 및 리프터 기구(24)) 중 하나가 조작 대상으로 하여 선택된다. 그리고, 다이얼(58)에 설치된 노브(110)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선택된 가동 기구가 작동된다.
여기서, 다이얼(58)의 회전 조작 시에는, 다이얼(58)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78)가, 다이얼(58)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78)에 설치된 노브 계합부(80A)가, 노브(110)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의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는, 노브(110)의 회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의 사이에 노브 계합부(80A)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와 노브 계합부(80A)와의 당접에 의해서, 노브(110)의 회전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노브(110)의 회전 조작 시에는,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 중 일방이 노브 계합부(80A)에 대해서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부터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78)의 노브 계합부(80A)가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 중 일방에 당접함으로써, 슬라이더(78)가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78)의 슬라이드(연동)를 수반하는 다이얼(58)의 회전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이얼(58)과 노브(110)의 동시 조작에 의해서, 복수의 가동 기구의 어느 것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58)에 대해서 회전 조작되는 노브(110)가, 다이얼(58)에 대해서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에 대해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78)에 설치된 노브 계합부(80A)와, 노브(110)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122A, 122B)와의 형상을, 다이얼(58)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워 시트(12)에 장착되는 다이얼 베이스(32)가, 다이얼(58)을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다이얼 베이스(32)에는, 슬라이더(78)가 계합(당접)한 캠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이얼 베이스(32)에 대해서 다이얼(58)이 회전 조작되면, 다이얼(58)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78)가, 캠부(52)와의 계합에 의해서 다이얼(58)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의 회전 조작과 슬라이더(78)의 슬라이드를 간단한 구성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58)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서 다이얼 베이스(32)의 캠부(52)와 당접되어 있다. 이 캠부(52)는, 다이얼(58)의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고, 다이얼(58)의 회전 조작 시에는, 슬라이더(78)가 캠부(52)의 요철에 따라서 이동된다. 이 캠부(52)의 요철에 의해, 다이얼(58)의 회전 조작에 클릭감을 줄 수 있다. 게다가, 캠부(52)의 산부(56)의 크기나 산부(56)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의 클릭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 베이스(32)에 형성된 캠부(52)의 요철면(52A)이,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고, 다이얼(58)에 지지되는 슬라이더가,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외방 측으로 부세되어 캠부(52)에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캠부의 요철면이 다이얼의 반경 방향 외방 측을 향하고, 슬라이더가 다이얼의 반경 방향 중심 측으로 부세된 구성과 비교하여, 캠부(52)에서의 요철을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 베이스(32)에는, 캠부(52)가 형성되고, 다이얼(58)에는, 슬라이더(78)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의 캠부(52)에서는, 다이얼(58)의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는 복수의 곡부(54A, 54B, 54C)와 복수의 산부(56A, 56B)가 다이얼(58)의 회전 방향으로 교대로 늘어서 있다. 또, 상기의 슬라이더(78)는, 다이얼(58)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롤러 스프링(88)의 부세력에 의해서 캠부(52)와 당접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78)가, 캠부(52)에서의 54A, 54B, 54C의 하나에 감김에 따라 다이얼(58)이 하나의 회전 위치에 보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이 예기치 못한 하중에 의해서 부주의 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슬라이더(78)는, 다이얼(58)의 회전 조작 시에, 롤러 스프링(88)을 탄성변형 시키고 다이얼(58)에 대해 슬라이드 하면서 캠부(52)의 산부(56)를 넘는다. 이 회전 조작의 도중에 조작자가 다이얼(58)로부터 손을 떼어 놓았을 경우에는, 슬라이더(78)가 롤러 스프링(88)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가까이의 곡부(54)에 끼워진다. 이 때에 다이얼(58)이 슬라이더(78)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서, 다이얼(58)을 가까이의 회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다이얼(58)이 회전 조작의 도중 위치에서 정지한 채로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의 도중 정지 상태로 노브(110)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은 가동 기구가 작동되는 등의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이얼 베이스(32)에 형성된 캠부(52)에서, 복수의 곡부(54A, 54B, 54C)와 복수의 산부(56A, 56B)가 다이얼(58)의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고, 다이얼(58)에 지지되는 슬라이더(78)가, 다이얼(58)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의 축선 방향에 따른 장치의 치수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파워 시트(12)와 차체 측부와의 사이의 좁은 틈새에서의 파워 시트 조작 장치(10)의 배설 스페이스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워 시트(12)에 장착된 다이얼 베이스(32)에 캠부(52)가 형성되고, 다이얼 베이스(32)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58)에 슬라이더(78)가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다이얼(58)이 회전 조작되는 복수의 회전 위치는, 캠부(52)에 의해서 규정되기 때문에, 파워 시트(12)에 장착되는 다이얼 베이스(32)에 캠부(5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회전 위치를 파워 시트(12)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규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78)는, 다이얼(58)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부(80)와, 본체부(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캠부(52)에 당접하고, 다이얼(58) 회전 조작 시에 회전되는 롤러(84)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이얼(58)의 회전 조작의 도중, 즉 슬라이더(78)가 캠부(52)의 산부(56)를 넘는 도중에 조작자가 다이얼(58)로부터 손을 떼어 놓았을 경우에는, 롤러(84)의 회전에 의해서 슬라이더(78)를 가까이의 곡부(54)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다이얼(58)이 회전 조작의 도중 위치에서 정지한 채로 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에 더욱 기여한다.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슬라이드 기구(20), 리클라이너 기구(22) 및 리프터 기구(24)가 복수의 가동 기구일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가동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 쿠션의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틸트 기구, 시트 쿠션 또는 시트 백에 설치된 사이드 서포트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사이드 서포트 조정 기구, 발판을 시트 쿠션에 대해서 시트 폭 방향에 따른 회동축선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발판 기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52)가 다이얼(58)의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고, 슬라이더(78)가 탄성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서 캠부(52)와 당접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캠부가 지그재그형의 가이드홈에 의해서 구성되고, 슬라이더에 설치된 철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접동 가능하게 감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노브(110)가 다이얼(58)과 동축적으로 설치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노브의 회전축과 다이얼(58)의 회전축이 어긋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52)가 3개의 곡부(54A, 54B, 54C)와 2개의 산부(56A, 56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곡부 및 산부의 수는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듯이, 캠부(52)가 4개의 곡부(54)A, 54B, 54C, 54D)와 3개의 산부(56A, 56B, 56C)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θ2가 30°로 설정되고, 다이얼 베이스(32)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30°의 피치로 곡부(54A, 54B, 54C, 54D)가 다이얼 베이스(32)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78)가 롤러(8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롤러(84)가 생략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52)가 다이얼 베이스(32)에 형성되고, 슬라이더(78)가 다이얼(58)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캠부가 다이얼에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다이얼 베이스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캠부(52)의 요철면(52A)이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고, 슬라이더(78)가 다이얼(58)의 반경 방향 외방 측을 향하여 부세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캠부의 요철면이 다이얼의 반경 방향 외방 측을 향하고, 슬라이더가 다이얼의 반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여 부세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2015년 4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2015-084189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기재되었을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Claims (6)

  1. 복수의 가동 기구가 설치된 파워 시트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조작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가동 기구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 조작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가동 기구가 작동됨과 동시에, 스스로의 회전 방향에 대향한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를 갖는 노브와,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노브 계합부를 갖고, 상기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반경 방향의 일방 측에 슬라이드 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의 사이에 상기 노브 계합부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의 회전 조작 시에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 계합부 중 일방이 상기 노브 계합부에 대해서 상기 일방 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슬라이더,
    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동축적(同軸的)으로 설치되어 있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시트에 장착되어, 상기 다이얼을 상기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캠부가 형성된 다이얼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캠부와의 계합에 의해서 상기 다이얼에 대해서 슬라이드 되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요철을 이루고,
    상기 슬라이더는, 탄성 부재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서 상기 캠부와 당접되고 있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요철면이 상기 반경 방향의 중심 측을 향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반경 방향의 외방 측을 향하여 부세되고 있는 파워 시트 조작 장치.
  6. 상기 복수의 가동 기구가 설치된 시트 본체와,
    상기 다이얼이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서 상기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KR1020177029708A 2015-04-16 2016-03-30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 KR20170137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4189 2015-04-16
JP2015084189A JP6484495B2 (ja) 2015-04-16 2015-04-16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PCT/JP2016/060558 WO2016167130A1 (ja) 2015-04-16 2016-03-30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771A true KR20170137771A (ko) 2017-12-13

Family

ID=5712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708A KR20170137771A (ko) 2015-04-16 2016-03-30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66072B2 (ko)
EP (1) EP3285274A4 (ko)
JP (1) JP6484495B2 (ko)
KR (1) KR20170137771A (ko)
CN (1) CN107430952B (ko)
WO (1) WO2016167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2398B2 (ja) * 2015-06-16 2019-03-13 日本発條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4287B (sv) * 1987-10-12 1991-04-08 Haakansson Bengt E W Anordning foer att reglera objekt i foerarmiljoen i ett fordon
DE10203509B4 (de) * 2002-01-30 2005-01-13 Whirlpool Corp., Benton Harbor Rastvorrichtung für einen mehrstufigen Drehschalter
DE102005001560A1 (de) * 2005-01-13 2006-07-27 Leopold Kostal Gmbh & Co. Kg Drehsteller für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Geräte in einem Kraftfahrzeug
JP4869886B2 (ja) * 2006-11-29 2012-02-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電動操作装置
JP4917416B2 (ja) * 2006-11-29 2012-04-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電動操作装置
DE112008000911T5 (de) * 2007-04-13 2010-03-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Yokkaichi Bedienvorrichtung und Bediensystem
CN101673637B (zh) * 2008-09-09 2012-02-08 宝元数控精密股份有限公司 波段开关
US8350731B2 (en) * 2009-06-22 2013-01-08 Alps Electric Co., Ltd. Complex-operation input device
KR101592076B1 (ko) * 2010-12-08 2016-02-04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
JP5605907B2 (ja) 2011-01-11 2014-10-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N102403153B (zh) * 2011-12-01 2014-01-22 珠海市敏夫光学仪器有限公司 旋转式多挡位开关
CN202339868U (zh) 2011-12-02 2012-07-18 雅安小航电器有限责任公司 旋钮式开关
JP5975673B2 (ja) * 2012-02-27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操作装置、及び電子機器
JP6126104B2 (ja) * 2012-08-31 2017-05-10 日本発條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JP2014201267A (ja) 2013-04-08 2014-10-27 日本発條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0952B (zh) 2019-11-19
WO2016167130A1 (ja) 2016-10-20
JP2016207301A (ja) 2016-12-08
EP3285274A4 (en) 2019-01-02
CN107430952A (zh) 2017-12-01
JP6484495B2 (ja) 2019-03-13
US10266072B2 (en) 2019-04-23
EP3285274A1 (en) 2018-02-21
US20180111508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4860B1 (en) Shift device
US7416255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US7823978B2 (en) Reclining device
KR20060046681A (ko) 회전 장치 및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20170137770A (ko)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
KR20140044331A (ko) 내부 판 스프링을 구비한 디스크 리클라이너
JP5797734B2 (ja) 多軸駆動装置
JP4777911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TW201443948A (zh) 按壓開關
KR20170137771A (ko) 파워 시트 조작 장치 및 파워 시트
JP4832317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0803959B1 (ko) 회전형 전기 부품
WO2016167129A1 (ja)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KR101423145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 장치
US7692109B2 (en) Lever switch
WO2020116079A1 (ja) 回転操作装置
CN109008903B (zh) 一种内窥镜操作部和内窥镜
JP6482398B2 (ja)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JP6640022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4713425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1972971B1 (ko)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JP6883965B2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解除装置
JP200628658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WO2015125912A1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552936B2 (en) Push switch